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The) effect of mirror self-observation on interoceptive awareness in individuals with binge eating tendency

        박희은 중앙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aim of the present study was to explore the effect of mirror self-observation on interoceptive awareness in individuals with binge eating tendency. To test this, 50 students with binge eating tendency (BET) and 50 healthy control students participated in the experiment and they were randomly assigned to mirror self-observation condition and control condition. Participants completed VAS scaled hunger check, Situational Self-Awareness Scale (SSAS), interoceptive awareness subscale of Eating Disorder Inventory (EDI-IA), and Positive and Negative Affect Schedule (PANAS). They completed heartbeat detection task first to measure baseline interoceptive awareness, second to measure the effect of manipulation in each condition (mirror self-observation condition, control condition). Heartbeat rate was measured by polygraph (Lafayette LX-4000). After the task, they completed VAS scaled hunger check and self-reported interoceptive awareness VAS. As a result, interoceptive awareness increase rate and hunger decrease level was higher in mirror self-observation condition than in control condition, and interoceptive awareness increase rate was higher in BET group than in healthy control group. The present study identified that mirror self-observation can increase interoceptive awareness in BET group and healthy control group, and is more effective in BET group. It can be expected to develop therapeutic programs which aim to increase interoceptive awareness for individuals with binge eating disorder using mirror self-observation based on this study. 본 연구는 거울 자기-관찰이 폭식 경향자의 내원지각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실험적으로 검증해보고자 하였다. 폭식 경향자 집단과 통제집단 각 50명을 대상으로 심장박동 인식 과제를 2회(기저선 측정, 처치 조건) 실시하였으며, 거울 자기-관찰 조건과 통제조건에 각 25명씩 무선 할당하였다. 참가자는 실험 시작 전 상황적 자기인식 척도(Situational Self-Awareness Scale: SSAS), 식이장애 설문지 내 내원지각 하위척도(Eating Disorder Inventory - Interoceptive Awareness: EDI-IA), 긍정 정서 및 부정 정서 척도(Positive and Negative Affect Schedule: PANAS), 배고픔 정도 VAS 설문지를 작성하고 실험 후 배고픔 정도, 내원지각 정확도에 대한 VAS 설문지를 작성하였으며, 폴리그래프를 이용하여 실제 심장박동을 측정했다. 실험 결과, 폭식 경향자 집단과 통제집단 모두 거울 자기-관찰 조건에서 내원지각이 유의미하게 상승하고 배고픔 정도가 유의미하게 감소하였으며, 통제집단보다 폭식 경향자 집단의 내원지각 상승정도가 유의미하게 큰 것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거울 자기-관찰이 내원지각을 상승시키며, 이는 기저 내원지각 수준이 더 낮은 폭식 경향자 집단에서 더 뚜렷하게 나타나는 것을 시사한다.

      • 유아 다문화교육의 최근연구 동향에 관한 연구 : 2002년부터 2011년까지

        박희은 한국국제대학교 일반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up to now is suggesting the direction of the study related to the research about general tendency and methodological study for increasing the number of children from diversity family. This study was analyzed by collecting 65 dissertations. The followings are the result of the analysis. First, the study related to children from diversity family has been increased since 2007. In addition, there are more topics of the recognition of diversity education. Second, majority numbers of subjects for study are teachers and children. Therefore, the future study of children from diversity family needs following aspect. First, not only teachers and children, but also parents need to be the subjuct of the study. Additionally, the study needs to be expanded by including more parents from various countries. Second, the study related to children from diversity family needs to be examined by the intensive and qualitative research rather than by the quantitative and expansive one. 본 연구는 현재까지 이루어진 유아 다문화관련 연구의 내용 동향 및 연구방법을 고찰하여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유아 다문화 관련 연구의 방향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석사학위논문 37편, 박사학위 논문 5편, 학술지에 등재된 논문 25편 총 67편의 논문을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유아 다문화 관련 연구는 2007년부터 증가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유아 다문화 관련 연구의 주제는 다문화 교육에 대한 인식에 관한 연구와, 교육신념 및 교사효능감, 유아교육프로그램에 대한 연구가 많았다. 둘째, 연구 대상은 교사와 유아가 많았다. 셋째, 연구는 설문지를 통한 연구가 가장 많았다. 이를 살펴볼 때 앞으로의 다문화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은 점이 요구된 다. 첫째, 교사와 유아 외에도 부모를 대상으로 하는 연구로 확대되어야 한다. 둘째, 보다 심층적이고, 질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 온라인 토론 학습에서 논증모델 활용과 학습자의 학습양식이 논증기술에 미치는 효과

        박희은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47631

        지식 정보 사회의 도래로 정보는 무수히 증가하고 있으며 오늘날 이러한 정보를 관리하며, 비판적으로 해석하고 수용하는 안목이 무엇보다 필요하다. 정보를 수용하고 조직화하는 과정에서는 서로의 의견을 조율하여 집단간 합의를 도출하는 것이 중요하며, 이를 위해서는 다른 사람들과의 논리적인 의사소통 능력이 기본적으로 요구된다. 이러한 의사 소통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의사소통 능력의 하나인 논증기술의 향상이 필요하다. Toulmin(2003)은 논증기술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써 논증모델을 제시하였다. 논증모델의 활용은 Tan(2000)과 Cho(2001)등에 의해서 그 효과가 입증된 바 있지만, 이러한 연구들은 개인의 특성을 고려하지 않았다. 그러나 교수 &#8211; 학습 상황에서 교수자가 아닌 학습자 중심의 학습으로 그 초점이 바뀌면서 학습자에 관한 연구가 많이 진행되고 있으며, 이 중에서도 학습자 특성은 많은 관심을 끌고 있다. 따라서 논증모델을 활용함에 있어서 학습자 개인의 특성에 따라 논증기술이 어떻게 향상되는지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또한, 정보통신 기술이 발달하고 인터넷 사용이 보편화되면서 교수 &#8211; 학습 상황에서도 인터넷을 적극적으로 사용하기 시작했다. 특히, 다른 구성원과 자유롭게 접할 수 있는 도구라는 장점을 가지고 있어서 이를 최대한 반영할 수 있는 토론에서 매우 긍정적으로 활용되고 있다. 면대면 학습 상황에서는 시간과 공간의 제약이 있고, 교수자 &#8211; 학습자 상호작용이 부족하기 때문에 토론이 이뤄질 때 학습자의 적극적인 참여를 유도하기 힘들었다. 그러나 온라인 토론은 이러한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방법으로 오늘날 각광 받고 있으며 이를 활용한 효과적인 학습 방법에 대한 연구들이 진행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온라인 토론에서 논증모델 활용과 학습자의 학습양식이 논증기술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분석하고자 하였다.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온라인 토론 학습에서 토론횟수가 증가함에 따라 논증모델 활용과 학습자의 학습양식에 따른 논증의 양에 변화가 있는가? 1-1. 토론횟수의 증가에 따라 논증모델 활용에 따른 논증의 양에 변화가 있는가? 1-2. 토론횟수의 증가에 따라 학습자의 학습양식에 따른 논증의 양에 변화가 있는가? 1-3. 토론횟수의 증가에 따라 논증모델 활용과 학습자의 학습양식에 따른 논증의 양에 상호작용 효과를 보이는가? 2. 온라인 토론 학습에서 토론횟수가 증가함에 따라 논증모델 활용과 학습자의 학습양식에 따른 논증의 질에 변화가 있는가? 2-1. 토론횟수의 증가에 따라 논증모델 활용에 따른 논증의 질에 변화가 있는가? 2-2. 토론횟수의 증가에 따라 학습자의 학습양식에 따른 논증의 질에 변화가 있는가? 2-3. 토론횟수의 증가에 따라 논증모델 활용과 학습자의 학습양식에 따른 논증의 질에 상호작용 효과를 보이는가? 위의 연구문제에서 독립변인은 논증모델 활용과 학습양식이며, 종속변인은 논증의 양과 질로 측정될 수 있는 논증기술이다. 본 연구에서 활용된 논증모델은 1958년 Toulmin에 의해 고안된 것으로, 주장(claims), 근거(grounds), 보증(warrants), 후원(backings), 한정어(qualifier), 반론(rebuttals) 6개 요소로 구성되어 있다. 단, 연구에서는 이 중 “한정어”를 제외한 5개 요소를 논증모델의 구성요소를 사용하였다. 학습양식은 Kolb의 경험학습 이론에 근거한 것으로 조절자(accommodator), 동화자(assimilator), 수렴자(converger), 확산자(diverger) 4가지 유형으로 구분된다. 논증의 양은 논증모델 5개 구성요소 각각의 사용 빈도이며, 논증의 질은 논증모델 5개 구성요소 각각의 점수화된 수준이다. 연구 대상으로, 서울에 위치한 E대학교 사범대학 전공기초 과목인 ‘교육학 개론’ 두 반 수강생 137명을 선정하였다. 한 반은 논증모델을 활용한 실험집단(71명)으로 토론 과제를 그래픽 형태로 제출하게 하였으며 다른 한 반은 논증모델을 활용하지 않는 비교집단(66명)으로 토론 과제를 텍스트 형태로 제출하게 하였다. 분석은 모든 실험 과정에 한 번도 빠지지 않고 참가한 대상자 96명(실험집단 57명과 비교집단 39명)의 자료로 실시하였다. 최종 대상자 중 실험집단에서는 조절자, 동화자, 수렴자, 확산자가 각각 4명, 25명, 7명, 21명이었으며 비교집단에서는 각각 3명, 19명, 3명 14명이었다. 본 연구의 실험은 2004년 3월 2일부터 4월 8일까지 약 한 달 이상에 걸쳐 이루어졌다. 실험 첫 주에 논증기술 사전 검사를 시행했으며 일주일이 지난 후 논증모델에 대한 오리엔테이션과 학습양식 검사를 실시하였다. 이후 3주 동안 다른 주제로 사이버 캠퍼스를 통해 온라인 토론이 계속되었으며 토론 종료 후 개별 과제를 제출하였다. 실험을 통해 수집된 자료의 결과 분석은 유의수준 .05로 하여 반복측정 다변량분석(Repeated Measures MANOVA)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논증의 양에 대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논증모델을 활용한(그래픽 형태로 과제를 제출한) 집단과 논증모델을 활용하지 않은(텍스트 형태로 과제를 제출한) 집단간에 Wilks’Lambda 값은 0.61, F(5, 84) = 10.72, p < .05(h2 = .39)이었으며, 논증모델을 활용한(그래픽 형태로 과제를 제출한) 집단에서 논증모델을 활용하지 않은(텍스트 형태로 과제를 제출한)집단보다 높게 나타난 것은 주장, 근거, 반론의 양이었다. 둘째, Kolb의 4가지 학습양식 조절자, 동화자, 수렴자, 확산자 간에 Wilks’Lambda 값은 0.85, F(15, 232.29) = 0.93, p > .05(h2 = .05)로, 논증의 양에 차이가 없었다. 셋째, 토론횟수와 논증모델 활용의 상호작용 효과는 Wilks’Lambda 값이 0.58, F(10, 79) = 5.61, p < .05(h2 = .42)였으며, 토론횟수가 1차, 2차, 3차 반복되면서 논증모델을 활용한(그래픽 형태로 과제를 제출한)집단에서 활용하지 않은(텍스트 형태를 과제로 제출한) 집단보다 높게 나타난 요소는 반론이었다. 논증의 질에 대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 첫째, 논증모델을 활용한(그래픽 형태로 과제를 제출한) 집단과 논증모델을 활용하지 않은(텍스트 형태로 과제를 제출한) 집단간에 Wilks’Lambda 값은 0.65, F(5, 84) = 9.07, p < .05(h2 = .35)였으며, 논증모델을 활용한(그래픽 형태로 과제를 제출한) 집단이 논증모델을 활용하지 않은 집단(텍스트 형태로 과제를 제출한)보다 높게 나타난 것은 주장, 근거, 보증, 반론이었다. 둘째, Kolb의 4가지 학습양식 조절자, 동화자, 수렴자, 확산자 간에 Wilks’Lambda 값은 0.78, F(15, 232.29) = 1.44, p > .05(h2 = .08)로, 논증의 질에 차이가 없었다. 셋째, 토론횟수와 논증모델 활용의 상호작용 효과는 Wilks’Lambda 값이 0.60, F(10, 79) = 5.37, p < .05(h2 = .40)였으며, 토론횟수가 1차, 2차, 3차 반복되면서 논증모델을 활용한(그래픽 형태로 과제를 제출한)집단에서 활용하지 않은(텍스트 형태를 과제로 제출한) 집단보다 높게 나타난 요소는 없었다. ‘ 이러한 결과로 보았을 때 다음과 같은 논의가 가능하다. 첫째, 논증의 양에서는 논증모델을 활용한 집단에서 주장, 근거, 반론의 빈도가 높아졌으며, 논증의 질에서는 보증의 점수가 향상되었다. 따라서 논증모델을 활용하는 것, 즉 그래픽 형태의 논증모델을 사용하는 것이 논증기술 향상에 효과적인 방법이라고 볼 수 있다. 이것은 논증모델을 활용하는 것이 논증기술에 긍정적인 영향을 준다는 연구 결과들(Buckingham Shum et, al., 1997; Cho, 2001)과 일치한다. 둘째, 본 연구에서는 학습자의 학습양식에 따라 논증기술이 다르게 나타날 것으로 기대하였으나 조절자, 동화자, 수렴자, 확산자의 4가지 학습양식에 따라서 논증의 양과 질은 차이가 없었다. 셋째, 토론횟수가 증가하면서 논증모델을 활용한 집단에서 높아진 것은 주장의 양이었다. 따라서 논증모델을 반복하여 활용하면, 즉 그래픽 형태의 논증모델을 반복적으로 사용하면 논증기술이 일부 향상되었다고 볼 수 있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후속 연구를 제언하였다. 첫째, Toulmin의 논증모델이 아닌 다른 모형, 모델, 개념을 이용한 연구가 필요하다. 둘째, Kolb의 학습양식 이외에 개인의 다른 특성이 논증기술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This study showed the effects of using the argumentation model and learning style of learners on argumentation skills in online discussion learning. The study was conducted in a small group debate setting in which four students made use of graphics or text as an argumentation support tool. The researcher expects that this result of study will show a practical strategy for guidance of online discussion learning. The research questions were as follows. 1. In online discussion learning, when the repetition of discussion increases, how does the use of the argumentation model and learning style of learners affect the quantity of argumentation? 1-1. As the discussion repeats itself, does the use of the argumentation model have any different effects on the quantity of argumentation? 1-2. As the discussion repeats itself, do learning styles have any different effects on the quantity of argumentation? 1-3. As the discussion repeats itself, what kind of interrelationship lies between the use of the argumentation model and learning style of the learners on the quantity of argumentation? 2. In online discussion learning, when the repetition of discussion increases, how does the use of the argumentation model and learning style of learners affect the quality of argumentation? 2-1. As the discussion repeats itself, does the use of the argumentation model have any different effects on the quality of argumentation? 2-2. As the discussion repeats itself, does the learning style have any different effects on the quantity of argumentation? 2-3. As the discussion repeats itself, what kind of interrelationship lies between using the argumentation model and learning style of the learners on the quality of argumentation? In order to examine the research questions, 96 undergraduate students from two lecture sections of the ‘Introduction to Education’ course at E university were involved as the subjects of this study. One of the two sections was assigned as an experimental group which students submitted their weekly reports using a graphical argumentation model, and the other section was assigned as a control group in which students stated their views freely in weekly reports. All of the students in the two sections performed the LSI (Learning Style Inventory) of Kolb (1993) before the experiment. The results of the first research question were as follows. First, in online discussion learning, there were som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on the quantity of claims, grounds, rebuttals and quality of claims, grounds, backings, and rebuttals depending on use of the argumentation model. Second, in online discussion learning,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on the quantity and quality of argumentation depending on learning styles of learners. Third, in online discussion learning, when the repetition of discussion increases, there were som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on the quantity of claims depending on use of the argumentation model. Based on this study, several suggestions to the following research were made. First, by using other models and concepts, not Toulmin’s argumentation model, argumentation skills can be measured. Second, by grasping whether other characteristics of individuals affect argumentation skills, a plan to make argumentation education effective can be pursued.

      • 영어권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문화 학습 방안 연구 : 한, 미간 문화적 간섭에서 오는 의사소통 문제를 중심으로

        박희은 경희대학교 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효과적인 한국어 교육을 위한 문화 교육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문화와 언어, 문화와 의사소통 사이에 관계를 통하여 문화가 의사소통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고, 문화 간 의사소통의 장애요인으로 작용하는 가치체계와 생활양식 및 관습의 차이에는 어떠한 것들이 있는지 한국과 미국을 중심으로 비교ㆍ분석하여 제시함으로써, 그에 따른 바람직한 문화교육 방안에 대해서 설계하려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논문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먼저 2장에서는 본 연구의 이론적 바탕이 되는 문화와 언어의 관계에 대해서 살펴본다. 나아가 의사소통과 문화의 관계에 대해서 살펴본 후 의사소통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는 상황에 대해 문화 간섭의 개념을 도입하여 살펴본다. 더불어 다른 문화권 사이에서 발생하는 의사소통 즉, 상호 문화적 의사소통과 문화간섭의 관계에 대해서 논의를 진행해 나가고자 한다. 이는 한국어를 학습하는 외국인 학습자들이 겪는 의사소통의 오류들이 문화적 차이로 인해 발생한다는 견해를 뒷받침하고자 함이다. 3장에서는 본 연구의 초점이 되는 한국과 미국의 양 문화에서 나타나는 상호 문화적 의사소통 양식을 가치체계의 차이, 생활양식의 및 사고방식의 차이, 표현의 차이 등 세 부분으로 분류하여 비교ㆍ대조 분석을 시도한다. 이러한 대조 분석을 통해 양 문화의 유사점과 차이점을 분석하여 외국인 학습자들이 겪는 문화간섭을 이해하고, 그들이 한국 문화에 대해 이해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게 될 것이다. 4장에서는 2,3장에서 논의한 한국과 미국의 문화 차이에서 발생하는 상호 문화적 의사소통 양식의 대조분석을 토대로 외국인 학습자가 한국어를 배우는 데 있어서 문화적 간섭이 최소화 될 수 있는 바람직하고 효율적인 문화 교육 방안에 대해 논의한다. 문화교육방법에 대한 이론적 고찰과 문화 교육 시 고려해야 할 사항에 대한 검토 후, 한국과 미국의 문화차이에 대한 대조분석을 토대로 실제적인 문화교육 지도안을 설계한다. 특히 문화교육에 있어서 활용도가 높을 것이라 예상되는 실제적인 자료(authentic material)에 가까운 ‘영화’를 통한 수업지도안을 실례로 제시하고자 한다. 이와 같은 논의를 통해 한국과 미국의 상호 문화적 의사소통 양식의 차이에 대해서 알 수 있으며 반대로, 문화 간 의사소통의 장애요인으로 작용하는 요소들에는 어떠한 것들이 있는지 드러나게 될 것이다. 이러한 연구를 통해 그동안의 피상적인 문화교육 방법에 대한 연구에서 한 걸음 더 나아가 특정 언어권을 위한 구체적이고 직접적인 문화교육 방안을 설계할 수 있으리라 기대한다. Cultural differences widen with increasing linguistic distance between the two languages. Unlike the linguistic barriers between English and German or Korean and Japan, those existing between English and Korean are so huge enough to lead to high cultural barriers. Accordingly, ways of thinking and sensing the world around people vary depending on which culture people belong to. Emphasizing the importance of cultural education for effective Korean education to foreigners and considering the relationship between culture and language, and culture and communication, the present study investigates how culture affects communicative activities, examines how different Korea and the United States are in terms of values, lifestyle, and customs which could result in hindrance of intercultural communications, and suggests a model of desirable cultural education in teaching the Korean language. The present thesis consists of the following chapters. Chapter 2 explores the relationship between culture and language which serves as the theoretical foundation of the present research. The chapter also looks into the relations between communications and culture and investigates some examples of intercultural communication breakdowns with the concept of cultural intervention. The chapter also covers cross-cultural communications with some examples of cultural intervention into the communications between people with different lingual and cultural backgrounds, which is designed to lend support to the idea that communication breakdown confronting foreign learners of Korean stems from inter-cultural differences. Dealing with the main focus of the present study, chapter 3 attempts to make comparative and contrastive analyses of cross-cultural communications between Koreans and Americans with the classification of differences in values, lifestyles, ways of thinking and expressing one's opinions. The contrastive analysis ushers us into cultural intervention facing foreign learners of Korean and furthermore helps them have a better understanding of the Korean culture. When it comes to the discussion on the verbal and non-verbal differences of 'ways of expressing one's opinion,' the existing literature has examined the grammatical errors through the contrastive analysis method. The chapter, however, looks into the verbal and non-verbal ways of communications from the perspective of cross-cultural differences, which is aimed at figuring out how cross-cultural differences affect linguistic expressions. Chapter 4 discusses desirable and effective ways of cultural education in learning Korean as a foreign language (KFL) on the basis of the contrastive analyses of cross-cultural communications between Korea and the U.S. dealt with in chapter 2 and 3. Following literature review on the theoretical aspects of cultural education methods and factors to consider for an effective cultural education in KFL, a practical teaching lesson plan is suggested reflecting upon the contrastive analyses of the cultural differences found between Koreans and Americans. The chapter also shows a lesson plan using authentic materials such as Korean movies believed to be what is most commonly employed in teaching KFL. The aforementioned chapters illustrate not merely the differences in cross-cultural communications between Koreans and Americans but the factors hampering the cross-cultural communications. The author believes that the current research is a step beyond the existing superficial approaches into cultural education methods in teaching KFL and furthermore conducive to efforts of designing concrete and meaningful cultural education methods in the field. The author hopes that the present research will serve as a steppingstone of opening a new era in which English-speaking learners of KFL receive meaningful cultural education.

      • 한국 기혼여성들의 레저 제약과 타협 : 근거이론 접근법을 중심으로

        박희은 한양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박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다중 역할 부담 속에서 상대적으로 높은 레저 소외를 경험하고 있는 우리나라의 미취학아동을 양육하는 기혼여성들을 대상으로 하여 그들이 경험하는 레저제약과 타협의 내용을 탐색함으로 기혼여성들의 레저 현실을 반영하는 실체적 이론을 제시하고 이를 활용한 실제적인 제언을 제시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레저의 개념, 레저제약, 여성학적 관점에서의 여성 레저 연구 동향을 중심으로 한 문헌 고찰을 통해 사회문화적 배경과 여성 개인 간의 상호작용으로서의 레저 현상에 대한 통합적 시각에 따른 레저 연구의 필요성을 도출하였으며, 한국 여성의 레저 향유 현황과 문제점을 2차 자료를 중심으로 파악하였다. 연구의 방법으로는 Blumer의 상징적 상호작용론에 기초, 현상을 바탕으로 한 이론의 개발에 적합한 근거이론 접근법을 사용하였으며, 이론적 표본 추출에 따라 총 22명의 표본을 대상으로 심층면접을 실시, 연구 자료를 수집하였다. 개방코딩을 통해 총 221개의 개념과 하위 범주 52개, 상위 범주 20개를 도출하였으며, 축코딩을 통해 미취학 아동을 양육하는 기혼여성들이 경험하는 레저제약 및 타협 과정에 대한 패러다임을 구축하였다. 인과적 조건으로는 육아의 부담과 가사의 부담, 직장 생활의 부담, 그리고 미혼기의 레저 경험이 도출되었으며, 맥락적 조건으로는 전통적 성 역할 요구와 현대적 성 역할 요구가 제시되었다. 중심 현상으로는 자유의 부족이, 중재적 조건으로는 본인의 레저참여 의지와 배우자의 지지, 보조양육자의 지원, 레저비용의 부담, 레저기반의 부족이 도출되었고, 레저 참여를 위해 구사하는 작용/상호작용으로는 레저 참여의 연기와 포기, 가족의 지원 요청, 짬을 내어 활용, 대체 활동 활용, 환경의 변화 도모, 인지적 타협, 마지막으로 결과로는 자유를 잃어감과 자유를 찾아감이 도출되었다. 연구의 주제이자, 연구 대상이 경험하는 현상을 관통하는 핵심 범주는 “자기 존재감 찾기”로서, 돌봄과 지원의 역할 기대 속에서 자유로움과 자기 정체감의 혼돈을 경험하는 여성들은 제한된 레저 참여 여건 속에서 다양한 행동적, 인지적 타협 전략을 구사하여 레저 참여를 도모하며 이를 통해 자기 존재감, 즉 자기 정체성의 구축을 경험하고 있었다. 과정분석 결과, 연구 대상자들은 레저 참여의 필요성 인식과 레저 참여 여건의 마련, 참여 기회의 탐색, 참여의 4 단계에 따라 각각의 레저 타협 전략을 구사하고 있었으며, 유형분석 결과, 5개의 참여 유형이 도출된 가운데 레저 참여 의지와 배우자의 지지가 기혼 여성의 레저 참여를 좌우하는 가장 큰 중재조건으로 나타났다. 상황모형을 통해 기혼 여성의 레저 참여를 통한 자기 존재감 찾기가 개인적 요인, 가족적 요인, 사회물리적 환경, 사회문화적 배경의 영향과의 상호작용을 통해 발전하는 양상을 제시하였다. 연구의 이론적 성과는 크게 3가지로 요약할 수 있는데, 첫째, 상대적 자유 속에서 자기 정체성을 찾아가는 과정으로서의 우리나라 기혼 여성의 레저 현상에 대한 이론적 틀의 제시와 둘째, 유교적 가부장주의와 신자유주의의 갈등 속에서 나타나는 사회 현상으로서의 여성 레저에 대한 통찰력의 제시, 셋째, 내재적 레저제약과 배우자의 지지를 중심으로 한 제약 요인간의 상호작용의 결과로서의 레저 참여에 대한 통찰력 제시로 들 수 있다. 아울러, 근거이론 접근법을 활용한 레저 현상의 설명에 적합한 대안적인 패러다임 모형의 틀을 제시할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우리나라 기혼 여성과 가족, 사회를 향한 제언을 제시하였는데, 먼저 기혼 여성들의 경우 적극적인 레저 기회 탐색과 가족의 지원 확보를 통해 레저에 참여함으로 개인적, 가족적, 사회적 건강성을 증진시킬 수 있음을 제언하였다. 둘째, 배우자의 경우 정서적 지원과 육아 및 가사의 지원 노력, 함께 하는 레저 활동을 통해 아내의 레저 참여를 지원할 것으로 촉구하였다. 셋째, 여성 레저 참여 여하를 좌우하는 주요 요소인 배우자를 대상으로 한 남편 교육과 함께 사회 전반의 일가정병립 분위기의 확산, 여성 레저 교육의 확대 실시, 생활권 레저 프로그램 확충, 육아지원제도를 비롯한 여성 레저 지원제도 확충의 필요성을 제기하였다.

      • 전공적합성과 교수-학생 상호작용이 학과몰입에 미치는 영향

        박희은 세명대학교 일반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31

        요약 계속되는 학령인구 감소로 인해 대학들의 입시경쟁이 심화되어 가고 있다. 하지만 이제는 입시뿐만이 아닌 재학생 유지에 또한 집중해야 한다. 현재 많은 대학생은 중도이탈, 중도탈락으로 학과몰입에 있어 힘든 상황을 겪고 있다. 이러한 상황을 방지하기 위해 전공적합성과 교수-학생 상호작용은 주요한 요인이 될 수 있다. 특히 교수와 학생 간의 상호작용이 원활하게 이루어졌을 때 전공적합성과 학과몰입이 증가한다는 사실은 선행연구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전공적합성, 교수-학생 상호작용, 학과몰입 간의 영향 관계를 알아보고, 교수-학생 상호작용의 조절효과에 대해 분석하는 것이다. 이러한 분석 결과를 통하여 대학생들에게 만족스러운 학업 공부와 학교생활 그리고 교수와의 접점을 통하여 더 나은 진로를 구체적이고 효율적으로 구축할 수 있도록 실무적인 시사점을 주는 것에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개념과 구성요인을 규명하고, 이론적 고찰을 통해 각 구성개념의 관계를 체계적으로 파악하고자 하였다. 또한 대학생이 전공적합성을 인식하면 학과, 학습에 대해 몰입한다는 것을 살펴보고자 하였으며, 교수-학생 상호작용의 조절효과를 검증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전문대 대학생과 4년제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2022년 9월 4일부터 실시하여 2022년 9월 15일까지 총 11일간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최종적으로 수집한 자료 202부를 사용하였다. 실증분석을 위하여 SPSS 18.0 프로그램을 사용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분석을 진행하였다. 우선 인구통계학적 특성을 파악하고 빈도분석, 기술통계량분석, 상관관계분석, 탐색적 요인분석과 신뢰도 및 타당도 검증을 하였고 조절효과 검증을 위해 위계적 회귀분석을 진행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전공적합성이 학과몰입에 유의한 정(+)의 영향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교수-학생 상호작용이 학과몰입에 유의한 정(+)의 영향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전공적합성과 교수-학생상호작용은 상호영향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전공적합성과 교수학생상호작용이 둘 다 높을 때 학과몰입이 더 증가한다는 결과이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통하여 대학생들의 학과몰입에 전공적합성과 교수-학생 상호작용이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에 대학교에서는 학생들의 학과몰입을 위하여 학교, 학과에서 진행되는 상담 프로그램, 전공 프로그램 등의 추가와 보완의 필요성을 제시하였으며 본 연구의 한계점과 확장된 연구의 필요성을 요구하며 연구를 마무리하였다.

      • 한국 탈춤의 포스트 모던적 특성

        박희은 한성대학교 2002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한국 탈춤이 우리 고유의 전통예술이지만 현대적인 공연 양식인 포스트 모던적인 특성을 지니고 있음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한국 탈춤은 삼국시대부터 시작되어 조선시대까지 이어진 전통예술의 한 분야이며 서구의 포스트모던 예술은 2차 세계대전 이후 형성된 예술로서 기존 전통의 파괴라는 의미를 지닌 예술로 이 두 예술 양식은 상반된 가치를 지니고 있다. 그러나, 공연 진행과정과 공연 형식에 있어서는 유사성을 찾을 수 있다. 한국 탈춤의 포스트 모던적 특성은 다음과 같이 세 가지로 정리된다. 첫째, 유희성(遊戱性)이다. 탈춤과정에서 춤과 노래를 포함한 앞놀이와 뒷놀이에서 뚜렷하게 나타나며 연희자와 관객 모두가 함께 어울려 즐기는 것을 통해 정서가 순화되고 대동적인 연대의식까지 지니게 되었다. 둘째, 관객 참여이다. 관객과 연희자들이 함께 극을 이끌어 갔고 이때, 관객과 연희자는 상호작용이 일어나며 연희자는 상황에 맞게 가변적, 즉흥적인 요소를 이용하여 극의 흐름을 이끌어 갔다. 셋째, 다원주의이다. 탈춤의 내용은 각 장마다 다른 주제와 내용을 통해 주제의 다양화를 찾을 수 있으며 각 마당들은 서로 연관성이 없이 옴니버스 스타일의 삽화로 구성되어 있다 즉, 한국 탈춤은 어떠한 하나의 양식의 접근방법이 아닌 주제와 내용의 다양성이 양식과의 조화로움 속에서 결합된 형태를 통해 다원화를 찾을 수 있다. 이처럼 전통예술인 한국 탈춤은 포스트 모던적 특성을 가지고 있어 현대적인 표현양식을 지니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한국탈춤의 특성을 오늘의 춤에 도입하는 방안이 적극적으로 검토가 되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verify that, although Korean Mask Oance is traditional art native to Korea, it possesses post-modernistic characteristics, which is the style of modernistic performance. Korean Mask Dance, which originated in the period of the Three Kingdoms and carried on till the Chosun Dynasty, is a part of traditional art, and Western post-modern art was formed after the Second World War an as a form of art that bears the meaning of destruction of existing tradition, these two forms of art, possess values that contradict each other. However, they have similarities in the progress and the form of performance. The three post-modernistic characteristics of Korean Mask Dance are as follows. Firstly, there is the amusement characteristic. This can be clearly found in the first half and the second half of the performance, including the dances and the songs, in the process of the Mask Dance. In addition, sentiments are purified and there is unity in the sense of solidarity, through the feelings of enjoyment of the performers together with the audience. Secondly, there is the audience participation characteristic. The performers and the audience lead the play together and with that, interaction occurs between the performers and the audience. Moreover, the performers lead the flow of the Dlay by utilizing variable and improvised elements, according to the situation. Thirdly, there is the pluralism characteristic. In Mask Dances, there are diversification in the theme through different themes and contents in each scene. Each act is formed in episodes of omnibus style and there is no connection in each act. In another words, pluralism can be found through joint form, of the harmony of styles, and diversity of themes and contents, not as an approaching method of a certain style. It is proven that Korean Mask Dance, a traditional form of art, has post-modernistic characteristics and modern style of expression, Accordingly, the measures to introduce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Mask Dance to current dances have to be actively investigated.

      • 애니메이션 더빙을 위한 성우화술과 발성 훈련 연구

        박희은 중앙대학교 예술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In a technological development-oriented rapidly changing media environment, a voice actor has been demonstrating his capabilities in various fields with skilled voice acting techniques and specialized expertise. With the advent of new media after the heyday of radio dramas and TV foreign films, a voice actor has been actively carrying out his performance in a variety of areas, such as commercial advertisements, broadcasting narrations, games, promotions, home-shoppings, audio books, learning materials, ARS and recitations. However, animation dubbing seems to be his most representative work even in the change and expansion of activity areas. Animation is a popular cultural content that can be familiar to anyone of all ages and enjoyed anytime, anywhere due to the expansion of media platforms, and therefore animation industry has endless possibility and potential for development. Animation dubbing adds auditory language functions to visual images. If video production, which adds movement to a still image, gives life to the character, the dubbing that gives a voice to an animated character to speak finally provides the character complete identity and personality. Therefore, the dubbing is an indispensable work in the production of animations. As well as visual images, the dubbing carries out the function of delivering the entire story, character's personality and psychology, and message of the work. Because animation is an embodiment of infinite imagination, animation dubbing often needs exaggerated acting, such as various artificial vocalizations and rich emotional expressions that can maximize the image and disposition of characters with strong personality. Because imported animation is distorted in Korean intonations, restricted in the expression of feelings and breathings, and constrained in the use of pauses and speeds, due to its already completed visual images and opticals, dubbing speech differs from general acting speech. In addition, animation dubbing needs high concentrations and skilled techniques in that it requires a voice actor to listen to the original sound while watching scripts and images simultaneously, and then synchronize the image and the optical accurately. As star marketing and performer’s image casting increase for the commercial success, animation dubbing, which has been recognized as the exclusive area of professional voice actors, has been increasingly participated by not only actors, but comedians, idols, musical actors, and even children. However, since voice acting skills are quite different from performer’s acting skills, animation dubbing requires one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 of animation media and voice actor’s special skills. Therefore, the performer of animation dubbing must be trained to equip proper qualifications.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 of animation and character, the special feature of voice actor’s voice acting skills in animation dubbing, and the essential voice training for animation dubbing, thus providing guidelines to potential participants in animation dubbing in the future and then making them perform such a good voice acting as increasing the completion of their works. The author hopes study findings can provide an opportunity to professional voice actors with which they can look back and self-reflect on the formalized and schematic voice acting through serious consideration of the modality of conventional voice acting skills, thus developing a natural and unique voice acting skill that meets the needs of the times. Imported animation and creative animation differ in voice acting modalities depending on the production method such as pre-recording and post-recording. In this vein, this study examined the voice acting modality concretely by classifying it into such voice acting elements as vocalization, breathing, intonation, pause and speed. And in order to help understanding the author presented the examples/images/texts of animation works, and carried out interviews with currently active voice actors, thus additionally providing professional voice actor’s viewpoints. Compared to studies on actor's speech skills, studies on voice actor’s acting skills, especially on animation dubbing skills, have been rarely conducted for the present. Animation industry will continue to develop in the future, as it has done so far. In this regard, a study on dubbing that cannot be missed in animation production and the acting skills of voice actors who are playing their roles seems to be of great significance in itself. The author hopes many diversified/in-depth follow-up studies on voice acting skills will be conducted in the future based on study findings. 기술의 발달과 함께 급변하는 미디어 환경 속에서 성우는 목소리 연기자로서 숙련된 연기화술과 특화된 전문성으로 다양한 분야에서 역량을 발휘해오고 있다. 새로운 미디어의 등장으로 라디오 드라마와 TV 외화 전성시대를 지나 상업광고, 방송내레이션, 게임, 홍보, 홈쇼핑, 오디오북, 학습교재, ARS, 낭독 등 다방면으로 활발히 활동하고 있는 성우에게 있어 애니메이션 더빙은 활동 영역의 변화와 확대 속에서도 여전히 가장 대표적인 작업이라고 할 수 있다. 애니메이션은 남녀노소 누구나 친숙하게 접할 수 있는 대중적인 문화콘텐츠로서 미디어 플랫폼의 확대로 언제 어디서나 시청 가능하다는 점에서 애니메이션 산업은 무궁한 발전 가능성과 잠재력을 가지고 있다. 애니메이션 더빙은 시각적 영상에 청각적 언어기능을 부과하는 것으로 정지된 이미지에 움직임을 더한 동영상제작이 캐릭터에 생명을 부여하는 것이라면 생명력을 얻은 캐릭터에 목소리를 주어 말을 하게 하는 더빙은 비로소 캐릭터에 완전한 정체성과 개성을 부여하는 것으로 애니메이션 제작에서 결코 빼놓을 수 없는 중요한 작업이다. 시각적 영상 못지않게 전체 스토리와 캐릭터의 성격과 심리, 작품의 메시지까지 모두 전달하는 기능을 하는 것이 바로 더빙인 것이다. 애니메이션 더빙은 무한한 상상력의 구현체인 애니메이션의 특성상 개성 강한 캐릭터의 이미지와 성격을 극대화할 수 있는 다양한 인위적 발성과 풍부한 감정표현 등 과장된 연기가 요구되는 경우가 많으며, 수입 애니메이션은 이미 완성된 영상과 옵티컬의 영향으로 우리말 억양이 왜곡되거나 감정과 호흡의 표현이 제한적이고 휴지와 속도의 활용에도 제약이 따른다는 점에서 더빙화술은 일반 연기화술과는 차이를 보인다. 또한 대본과 영상을 함께 보는 동시에 원음까지 들으면서 영상과 옵티컬에 정확히 싱크를 일치시켜야 하는 점에서 고도의 집중력과 숙련된 기술도 필요로 하는 작업이다. 상업적 성공을 위해 스타마케팅과 연예인의 이미지캐스팅이 늘어나면서 전문 성우들의 전유물로 인식되어오던 애니메이션 더빙에 배우뿐 아니라 개그맨, 아이돌, 뮤지컬 배우, 실제 아이들 등이 참여하는 기회가 점점 늘고 있다. 그러나 목소리연기 화술은 배우의 연기화술과는 상당한 차이가 있어 애니메이션 더빙을 위해서는 애니메이션이라는 매체와 성우화술의 특성을 이해하고 그에 적합한 조건을 갖추기 위한 훈련이 선행되어야 한다. 본 연구의 목적이 바로 여기에 있다. 본 고는 애니메이션과 캐릭터의 이해, 애니메이션 더빙에 있어 성우화술의 특성, 애니메이션 더빙을 위해 필수적인 발성 훈련 등에 관해 연구함으로써 앞으로 애니메이션 더빙에 참여할 기회가 있는 모든 이들에게 작품의 완성도를 높일 수 있는 훌륭한 목소리연기를 하는 데 있어 길잡이가 되고자 하는 바람에서 출발하였다. 또한 전문 성우들에게는 성우화술 양상에 대한 진지한 고찰을 통해 정형화, 도식화된 연기에 대해 돌아보고 자성함으로써 시대의 요구에 부합하는 자연스럽고 진실된 목소리연기를 펼칠 수 있도록 발전하는 작은 계기가 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수입 애니메이션과 창작 애니메이션은 선녹음, 후녹음 등의 제작 방식에 따라 화술의 양상에 있어 차이를 보이는데 발성, 호흡, 억양, 휴지, 속도 등 화술의 요소별로 나누어 구체적으로 파악하고자 하였으며, 이해를 돕기 위해 애니메이션 작품 사례와 이미지, 텍스트를 제시함과 더불어 현역성우들에 대한 인터뷰를 실시해 전문가들의 견해도 추가하였다. 배우들의 화술 연구에 비해 목소리연기 화술에 관한 연구, 특히 애니메이션의 더빙화술에 대한 연구는 매우 미진한 상태라고 할 수 있다. 애니메이션 산업은 지금까지 그래왔듯 앞으로도 지속적으로 발전해 나갈 것이다. 그런 의미에서 애니메이션 제작에 있어 결코 빠질 수 없는 더빙과 그 역할을 수행하고 있는 성우의 화술에 관한 연구는 그 자체만으로도 큰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으며 이 연구를 시작으로 목소리연기 화술에 대한 좀 더 다양하고 심도 있는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기를 희망한다.

      • 가로경관의 정체성 인지에 관한 연구 : 서울시 자치구 가로경관 개선사업 사례를 중심으로

        박희은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With an increase of interest in improving the quality of life, along with functional aspects of the city from the mid-1980s, there have been many efforts to improve the quality of street environment, which is the face of the city. Many cities around the world have already undergone changes, and each municipality, including Seoul is actively promoting streetscape improvement projects in Korea. As institutional discussions have been activated with the establishment of the Landscape Law in 2007, and project objectives came to be specified, the streetscape improvement projects are expected to continue to be implemented continuously However, it was determined that some projects focus on the design of partial elements such as street facilities, leading to problems by undermining regional identity. Based on the awareness of these problems, the researcher has conducted basic research through journals of an academic society to identify status of identity representation that appears in domestic streetscape improvement projects. In this regard, this study was aimed at proposing directions of improvement projects and causes of the problems through in-depth analysis based on the basic research. The process of this study was conducted as follows. Chapter 1 described the background, purpose, scope and methods of the research based on the awareness of problems about identity representation that appeared in the progress with the current streetscape improvement projects. Chapter 2 reviewed the concept and characteristics of the streetscape as well as streetscape design related areas through literature research, and examined the contents of the principle on the definition of identity, identity formation factors and identity representation methods. Chapter 3 attempted to identify problems about the identify representation through case study of domestic streetscape improvement projects. Towards this end, four streets were selected, the survey results on the identity recognition of the public were analyzed, and common problems of identity representation that appear in four streets were comprehensively investigated. In Chapter 4, the problems of identity representation analyzed through the survey were summarized, directions of the future streetscape improvement projects were proposed, and values and limitations of the study were presented. Conclusions obtained through the survey process on the recognition of identit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The identity of streetscape can help to enhance the image of the region through being formed by natural and artificial elements as well as historical and cultural elements of the region. However, people were unaware of the identity of street where there are landscape elements unique for the region. That's because street facilities emphasizing the symbol with excessive forms contributed to the formation of unharmonious landscape due to individual elements. After all the element-centered design is making people unaware of natural, historical or cultural elements with greater hierarchy and preventing them from recognizing the identity. This problems resulted from the autonomous district's excessive demands for identity representation or landmark artificially installed by partial factors. The false recognition that identity can be expressed by the design that emphasizes the symbolic representation in the partial elements resulted in undermining the identity unique for the region. There is a need to understand that beautiful streetscape can be achieved by looking at the landscape collectively, and positive identities can be formed by reflecting regional characteristics and considering the relationship between part and whole as well as symbolic representation at the same time. And it was determined that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basis for promoting public officials' capabilities and participation of professionals from the stage of business plans in the future projects. This study analyzed the problem of methods for identity representation that appeared in the current streetscape improvement projects and its causes through the survey on the recognition of the identity. And this study has its significant in that it proposed project directions to overcome the problem. 80년대 중반부터 도시의 기능적인 측면과 더불어 삶의 질 향상에 대한 관심이 높아 짐에 따라 도시의 얼굴이 되는 가로환경의 질적 개선을 위해 많은 노력들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미 세계의 여러 도시들은 이러한 흐름 속에서 변화를 겪어 왔고, 국내에서도 서울시를 비롯한 각 지자체들이 지역의 특성을 살리기 위한 가로경관 개선사업을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그리고 2007년 경관법이 제정됨에 따라 제도적 논의가 활성화되고, 사업 목표 또한 구체화되면서 가로경관 개선사업은 지속적으로 시행되어질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여전히 일부 사업에서는 가로시설물 등의 부분적 요소 중 심의 디자인에 치중함으로써 지역 정체성을 오히려 훼손하는 문제점이 나타나고 있다고 판단되었다. 이러한 문제의식에 기초하여 본 연구자는 국내 가로경관 개선사업에 나타난 정체성 표현의 실태를 파악하기 위해 학회 저널을 통하여 기초 연구를 해왔다. 그리고 본 연구는 기초 연구를 토대로 제기된 문제를 심층적으로 연구 분석하여 그 문제점의 원인과 개선사업의 방향에 대한 제안을 하는 것을 연구의 목적으로 하였다.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과정으로 진행되었다. 제 1장에서는 현재 가로경관 개선사업이 진행되어 오면서 나타난 정체성 표현에 대한 문제인식을 바탕으로 연구의 배경 및 목적, 연구의 범위 및 방법을 서술하였다. 제 2장에서는 문헌연구를 통해 가로경관의 개념 및 특성, 가로경관디자인과 관련한 영역들을 고찰하고, 정체성의 정의, 정체성 형성요인, 정체성 표현 방법에 대한 원론적인 내용을 살펴보았다. 제 3장에서는 국내 가로경관 개선사업의 사례를 통해 정체성 표현에 대한 문제점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4개의 가로를 선정하였고, 정체성 인지에 대한 일반인 설문조사 결과를 분석하였다. 그리고 4개의 가로에서 공통적으로 나타난 정체성 표현의 문제점을 종합하였다. 제 4장에서는 설문을 통해 분석된 정체성 표현의 문제점을 요약하고, 그 문제점의 원인을 찾아 향후 가로경관 개선사업의 방향을 제안하였으며 연구의 가치 및 한계를 제시하였다. 정체성 인지에 대한 설문조사 과정을 거쳐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었다. 가로경관의 정체성은 그 지역 고유의 자연요소, 인공 요소, 역사·문화적 요소에 의해 형성됨으로써 그 지역만의 이미지를 고취시킬 수 있다. 그러나 사람들은 지역 고유의 경관 요소가 있는 가로에서 정체성을 인지하지 못하고 있었다. 그 이유는 과도한 형태로 상징을 강조한 가로시설물 등이 개개의 요소들로 인해 조화롭지 못한 경관을 형성하고 있기 때문이다. 결국 요소 중심의 디자인은 더 큰 위계를 갖는 자연 요소나 역사·문화적 요소를 지각하지 못하게 하고, 사람들의 정체성 인지를 방해하고 있다. 이러한 문제가 나타난 원인은 자치구에서 가로경관 개선사업을 계획 할 때, 디자이너들에게 무리한 정체성 표현을 요구하거나 부분적 요소에 인위적으로 랜드마크를 설치하게 함으로써 초래되는 결과이다. 이처럼 부분적인 요소에 표상성이 강조된 디자인으로 정체성을 표현할 수 있다는 잘못된 인식은 지역 고유의 정체성을 오히려 해치는 결과를 초래하였다. 아름다운 가로경관은 경관을 총체적으로 바라보았을 때 가능한 것이고, 지역의 특성을 반영함과 동시에 부분과 전체의 관계, 표의성을 고려함으로써 긍정적인 정체성을 형성할 수 있음을 이해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앞으로의 사업에 있어서는 사업의 계획에서부터 전문가 참여와 공무원 역량을 강화할 수 있는 토대를 마련해야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본 연구는 정체성 인지에 대한 설문 조사를 통해 현재 가로경관 개선사업에서 나타난 정체성 표현 방법의 문제점과 그 원인을 분석하였다. 그리고 그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한 사업 방향에 대한 제안을 하였다는 것에 연구의 의의가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