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 완덕오계 체험을 통한 즉흥탐색 : 박혜원의 무용 창작작품 "내려놓기"

        박혜원 동덕여자대학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63

        본 연구는 무용수에게 내면으로부터의 움직임을 이끌어내기 위하여 완덕오계 방법을 통해 즉흥 체험을 한 후 본 연구자의 무용 창작작품 “내려놓기”를 창작한 과정에 대한 연구이다. 본 연구에서는 무용 창작작품 “내려놓기”의 창작과정을 면밀히 기록하고 탐구하여 창작과 학문 사이의 연결체계를 모색하기 위하여 안무 및 창작과정을 하나의 객관적인 기록으로 남기는 공연에서의 탐구로서의 실천(practice as research in performance)방법을 사용하여 연구를 수행하였다. 무용에서 즉흥체험은 잠재의식 속 움직임의 무한한 다양성을 표현하는데, 이것이 인간의 내면과 연결 될 때 움직임의 에너지 및 창의성은 무한해진다. 본 연구자는 연구자만의 독창적인 방법으로 무용 창작작품 “내려놓기”를 만드는 과정에서 완덕오계를 통한 즉흥체험을 이론적으로 뒷받침하는데 본 연구의 목적이 있다. 이에 본 연구자는 내면을 보다 효과적으로 바라보고 인식하기 위하기 완덕오계라는 방법을 선택, 무용수의 움직임에 적합하도록 수정?보완하였다. 완덕오계는 한국순교복자성직수도회를 창설한 방유룡 신부가 수도생활을 위한 지침서로써, 5단계의 수행 단계를 통해 내면의 복잡함을 집중적으로 바라보게 함으로써 내면과 소통을 할 수 있게 하는 방법이다. 이에 본 연구자는 완덕오계를 무용수에게 적합하도록 수정?보완하여 다음과 같이 각 단계별 주제를 정하였다. 1단계 들여보기, 2단계 바라보기, 3단계 마주보기, 4단계 소통하기, 5단계 받아들이기이다. 각각의 단계는 연습과정 중에 시행되었으며, 각 단계의 주제는 무용수로 하여금 움직임을 수행할 수 있도록 동기를 유발시키고, 움직임의 다양성을 표현할 수 있도록 확장시켜주었다. 또한 무용수의 내면에 잠재되어 있는 다양한 움직임을 효과적으로 이끌어 낼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완덕오계를 통한 즉흥 탐색은 무용수의 내면으로부터 오는 움직임의 반응을 표현해 낼 수 있도록 집중력을 극대화하였다. 둘째, 이러한 탐색을 통해 무용수의 잠재의식 속에 내재되어 있는 움직임의 다양성과 창의성을 확인할 수 있었고 이는 무용 창작작품 “내려놓기”의 움직임들로 연결할 수 있었다. 셋째, 완덕오계 방법을 통한 즉흥무용이 내면과 긴밀히 연결되어 있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무용수 자신에게 잠재되어 있던 움직임의 무한한 에너지를 보여주었다. 이상의 결과를 통하여 본 연구자는 완덕오계 방법을 통한 즉흥체험은 무용수의 내면으로부터 이끌어내는 움직임들을 다양하게 유도하는 힘을 가졌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무용작품을 창작하는데 본 연구자만의 독창적인 창작법으로 주제에 알맞은 움직임들을 풍부하게 찾을 수 있는 도구가 되었고, 무용작품을 창작하는데 본 연구자만의 독창적인 방법을 시도하는 초석이 되었다.

      • 소가씨(蘇我氏)의 권력확대 과정에서 본 백제계 도래인의 역할

        박혜원 청주대학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47

        이 글은 일본의 대신인 소가씨(蘇我氏)의 권력 확장 과정에서 백제계 도래인들의 역할이 컸다는 전제하에 이를 연구하기 위한 목적으로 작성되었다. 고대 일본은 문화와 종교를 비롯한 많은 부분에서 대륙의 영향을 받았는데, 그 중 일본과 관계가 깊었던 백제의 영향을 많이 받았다. 그 이유는 백제에서 일본으로 건너 간 도래인들의 영향이 컸기 때문이다. 백제계 도래인은 일본고대 국가체제 정비 및 실질적인 운영과정에 있어 필요한 토기⦁제철⦁마구제작 등 다양한 방면의 생산을 담당하던 수공업 전문 기술자, 국가체제를 운영하는데 필수적인 문서행정을 담당하는 전문 관료, 문화형성에 필요한 유교와 불교를 비롯한 각종 박사나 승려집단 등의 지식인, 사원과 궁을 건설하던 특수 기능인 등 고대 일본 국가정비에 필수적인 인적자원들이었다. 또한 백제의 도래인들은 일본으로 건너 가 선진문물과 기술, 제도, 사상, 불교와 유교를 비롯한 학문의 도입과 일본 내의 기술 혁신을 바탕으로 비약적인 고대 국가체제의 발전을 가져왔다. 불교는 새로운 종교의 도입과 더불어 사회적인 통합을 이륙할 수 있도록 해주었다. 또한 경제 부분에서의 둔창(屯倉), 사회 부분에서의 부민제를 통해 백제계 도래인들은 소가씨의 휘하에서 권력을 확대할 수 있도록 도움을 주었다. 본고에서는 소가씨의 출신에 대한 간략한 정리와 소가씨가 일본내의 권력을 확대하는 과정에서 백제계 도래인의 활약이 두드러졌던 불교와 아스카시대 문화부분, 경제부분에서의 둔창, 정치⦁사회적인 부분에서의 부민제를 서술하려 한다. This article was written for the purpose of studying this under the premise that the role of Baekje's immigrants was large in the process of expanding power of Soga's, a Japanese minister. Ancient Japan was influenced by continents in many areas, including culture and religion, among which Japan was deeply influenced from Baekje. The reason for this is that the influence of the arrivals who came to Japan from Baekje was great. Immigrants to the Baekje system are experts in manual engineering and cultural administration, including those in charge of the production of various fields such as the construction of the Buddhist temple, iron and horseback riding equipment, which were indispensable for the establishment of Japan. In addition, Baekje immigrants to Japan brought about the rapid development of an ancient national system based on advanced literature, technology, systems, ideas, Buddhism and Confucianism, and technological innovation in Japan. Buddhism introduced a new religion and allowed social integration to take off. In this way, the Baekje immigrants's lived in Japan for a long period of time, demonstrated their abilities under the direction of Soga's, and were later incorporated into the Japanese government system. In this study, a Soga's origins, and Buddhism and Asuka culture, warehousing in economics, bumin system in politics and societies, where Baekje immigrants were prominent in the process of expanding power in Japan.

      • 중.고등학생의 정치의식 : 전남지역을 중심으로

        박혜원 전남대학교 2007 국내석사

        RANK : 247647

        21세기 미래지향적인 정치교육의 목표와 과제는 미래지향적인 정치의식의 함양이다. 미래지향적인 정치의식이란 ‘열린 자아’의 바탕 위에서 함께 공존하는 지구촌 시민의식이며 이러한 열린 자아를 갖는 ‘글로벌 시민’을 양성하는 것이 미래의 주된 사회과 학습의 목표이다. 이에 본 연구는 미래 지향적인 시민 교육의 과제를 훌륭히 수행하기 위해 중․고등학생의 정치의식이 어느 수준인지를 파악하고자 했으며, 그 방법으로 전남지역 중․․고등학생의 정치적관심도, 정치사회화 매체, 정치정향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로는 첫째, 중․고등학생의 정치적 관심도는 비교적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둘째, 중․고등학생의 정치사회화 매체는 주로 인터넷이며 이들은 인터넷을 통해 정치적 정보를 얻고 정치참여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중․고등학생의 정치정향의 특성으로는 관용성의 태도는 매우 높게 나타나고 있으나 ‘소수지배’에 대해서는 상대적으로 묵종적인 태도를 보이고 있다. 이는 권위주의적 정치문화의 영향이 아직까지 남아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또한 민주주의 절차원리에 대한 태도에서는 중․고등학생의 상당한 정도가 비타협적이고 자기중심적인 정치의식의 특성을 지니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로 볼 때, 중․고등학생은 정보사회에서 매우 능동적이고 적극적인 정치참여 성향을 지니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정치사회화 매체가 인쇄매체에서 전파매체로 바뀜에 따라 교과서 중심의 정치교육을 지양하고 다양한 시청각자료를 이용하여 생활속에서 정치시민의 자질을 함양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아울러 올바른 정보교육을 통하여 네티즌의 군중심리에 편승하지 않는 객관적 안목과 판단을 가질 수 있는 정보시민교육이 필요하다. 또한 자기중심적인 정치의식은 자칫 정치에 대한 무관심이나 특정세력을 지지하는 경향으로 흐를 수 있다. 이에 미래의 중․고등학교의 정치교육의 방향은 더불어 살아가는 정치공동체 의식의 함양에 더욱 박차를 가해야 하며 적극적이고 능동적인 시민의 자질을 갖출 수 있도록 세워져야 할 필요가 있다.

      • 초등학생의 자기주도적 학습능력 증진을 위한 진로교육 연계 미술수업 사례 연구

        박혜원 국민대학교 교육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47

        국문초록 초등학생의 자기주도적 학습능력 증진을 위한 진로교육 연계 미술수업 사례 연구 박혜원 미술교육전공 국민대학교 교육대학원 최근 몇 년 사이에 진로교육은 학교 교육과정 전반에서 이루어지는 중요한 교과로 여겨지고 있다. 초등 진로교육에서는 자신에 대한 이해와 직업 세계에 대한 이해를 강조한다. 자신에 대해 긍정적인 인식을 가지며 일과 직업에 대한 편견을 없애고 바람직한 가치관을 가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현대의 교육 또한 학생들의 창의력이나 인성을 중요시하는 교육으로 변화해가고 있다. 이에 따라 정보화 시대에 대비하여 자기주도적 학습에 대한 사회적인 필요성은 더욱 커지고 있다. 본 연구는 자신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진로를 탐색하고 표현하는 데에 적합한 교과인 미술교과를 중심으로 미술 교과 연계 진로교육 프로그램을 설계하였다. 미술 교과의 특징을 활용하여 진로 탐색에서 더 나아가 표현 활동을 하는 과정 안에서 차별화된 진로교육을 진행하였다. 학습 과정에서 학습자가 교육의 중심이 되어 능동적으로 참여하고 스스로 주도하여 학습하는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의 증진에 목적을 두었다. ‘나’에 대한 주제로 자신에 대해 탐색하고 이해하면서 미술교육 안에서의 진로교육을 통해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을 증진시킬 수 있다고 보았다. 수업 후 활동지와 작품을 분석하고 인터뷰를 한 결과 학생들은 자신에 대한 주제로 한 수업에서 흥미를 가지고 주도하여 수업에 참여하였다. 또한 새로운 재료나 방법으로 학습하는 것에 대해 호기심을 가지고 적극적이고 개방적인 태도를 보였다. 학생들은 차시별 작품을 완성한 후 자신의 결과물에 만족감을 느끼고 미래의 꿈에 대해 구체적인 목표를 가질 수 있었다. 학생들 스스로 진로를 탐색하는 데 있어 개인의 특성을 탐구하고 이해하면서 학습하는 과정 속에서 주도적으로 계획하고 미술로 표현하는 활동을 통해 능동적으로 참여함과 함께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이 증진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학생들에게 직업을 탐색하는 것에서 더 나아가 자신을 탐색하고 그 정보들을 미술교육을 통해 자기주도적 학습 능력이 증진시킬 수 있는 계기가 되었다. 앞으로도 미술교육 안에서 미술 교과의 특성을 살려 진로에 대해서 알아갈 수 있는 다양한 수업모형을 개발하고, 진로 탐색과 함께 자기주도적인 학습능력을 증진시킬 수 있는 수업에 대해 모색해야 할 것이다. 주제어(키워드, 핵심어) 자기주도적 학습능력, 진로교육, 진로 탐색, 초등 미술교육 ABSTRACT and Keywords A Case Study on Art Classes Connected with Career Education for Enhancing Elementary School Students' Self-Directed Learning Skills Park, Hye won Major in Art Education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Kookmin University Seoul, Korea In recent years, career education has been considered to be an important part of the whole school curriculum. Elementary career education emphasizes an understanding of oneself and understanding of the world of work. It is important to have a positive perception of yourself and to eliminate prejudice against work and jobs and to ensure that you have a desirable value. Modern education is also becoming an education that values students' creativity and personality. Accordingly, the social need for self-directed learning is growing in preparation for the information age. Based on students’ understanding of themselves, this study is designed for a career education program incorporated to art subjects, focusing on an art which is a subject suitable for exploring and expressing their career paths. Using the characteristics of art classes, the differentiated career education was carried out withen the process of further expression activities in the search for career path. In the process, the emphasis was placed on the enhancement of self-directed learning skills in which learners become a center of the classes, actively participate and learn on their own initiative. While exploring and understanding about myself under the theme of "I", I believed that career education in art education can improve self-directed learning skills. After analyzing and interviewing activities and works after class, the students participated in the class with an interest in leading the class. They also showed an active and open attitude with curiosity about learning in new materials or methods. After completing their work by the hour, students were able to feel satisfied with their results and have specific goals for their future dreams. In the course of learning by exploring and understanding individual traits in exploring and understanding their own careers, students were able to identify active participation and enhanced self-directed learning skills along with active participation. In this study, students were encouraged to explore themselves further from exploring their careers and to improve their self-directed learning skills through art education. From now on, it can be said that schools need to develop diverse teaching models to learn about the career path by using the characteristics of art classes in art education and seek classes to develop self-directed learning skills along with career exploration. Keywords Self-directed learning skills, career education, job exploration, art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

      • 이버멕틴(ivermectin) 구충제의 피부도포 후 원유중의 잔류실태 조사

        박혜원 강원대학교 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47

        Ivermectin 구충제의 잔류량을 정성정량 분석하기 위하여 복잡한 추출 및 정제과정을 단순화시켜 HPLC 형광검출기와 LC/MS로 쉽게 분석할 수 있도록 분석조건을 확립하고 피부투과도를 증진시켜 차별화된 약효 운반체를 개발하여 생산된 ivermectin 도포제를 착유하는 소의 등위에 도포하는 방법으로 투여하여 매일 잔류량을 측정하여 안전휴약기간 설정에 근거를 마련하고 원유위생관리의 지표자료로 제시하고자 실시하였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modify the analytical methods(conditions) by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 fluorescence detector for the detection of residual ivermectin in raw milk and provide basic information for the evaluation of standard of the residual ivermectin in raw milk. It could be considerable that negative ion spectra can be better method in the LC/MS analysis for the detection of residues. Characteristic daughter ions were observed in negative ion spectra, however, linear line was not formed in positive ion one. Three Holstein cows (500±10kg) were applied to commercial ointment of ivermectin just one time at the first day of test, and residues in raw milk were examined for 20 days after skin administration. The limit of detection (LOD) was 0.65ng/㎖ (n=5) by HPLC/FLD, and recovery rates were 87.85%~99.47%. The peak was observed at the 4th day, and residues were lasted to the end of experiment. Thus the use of ivermectin should be prohibited during lactating.

      • 독서치료 프로그램이 결손가정 초등학교 저학년 아동의 우울과 불안 감소에 미치는 효과

        박혜원 강원대학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47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effect of bibliotherapy program on depression and anxiety of lower graders(age of 8 through 11)in elementary school from broken homes. The subjects of experimental group were sampled from Hoengseong Social Welfare Center and those of control group from Community Center for children of the Hoengseong county. Each group had consisted of 15 members at the pretest, but three of them were dropped off from each group during experimental treatment. The experiments were conducted from January 3rd of 2008 to 1st of February(five weeks). Ten experimental treatments, which lasted 60 minute long for each session, were given to the experimental group twice a week. "Children's Depression Inventory" and Reynold's "Revised children's Manifest Anxiety Scale" were repeatedly used at three time points of pre, post, and follow-up tests. Paired t-test was used to test the significance of differences in each dependent variables between control and experimental groups. The levels of depression and anxiety of experimental group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those of control group at the post-test after controlling the differences between two groups in pre-test. In addition, the experimental effects lasted to follow-up test. Findings of the study were discussed in terms of remedy for depression and anxiety of elementary students. 본 연구는 결손가정 초등학교 저학년 아동의 우울과 불안을 감소시키기 위한 독서치료 프로그램의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8~11세의 결손가정 아동을 대상으로 횡성군에 소재한 종합복지관 공부방에 출석하는 아동 15명을 선정하여 실험 집단으로 구성하였으며, 지역아동센터 공부방에 출석하는 아동 15명을 선정하여 통제 집단으로 구성하였다. 하지만 실험 집단과 통제 집단 모두 각 3명씩 중도에 탈락함으로써 총 24명이 본 연구에 참여하였다. 독서치료 프로그램은 매 회 60분씩 매주 2회, 총 10회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아동우울과 불안을 측정하기 위하여 아동 우울척도(Children's Depression Inventory; CDI)와 레이놀즈 아동 불안척도(Revised Children's Manifest Anxiety Scale; RCMAS, Reynolds & Richmondu, 1978, 1985)를 사용하였다. 실험 설계는 실험 집단과 통제 집단에 사전-사후 검사를 채택하였다. 실험 집단과 통제 집단에 사전 검사를 실시한 후, 실험 집단에만 프로그램을 실시하고, 프로그램 종료 후 실험 집단과 통제 집단에 사후 검사를 실시하였다. 또한 프로그램의 지속적인 효과를 알아보기 프로그램 종료 40일 후 실험 집단과 통제 집단에 추후검사를 실시하였다. 실험 집단과 통제 집단 간의 차이를 비교하기 위해 SPSS 12.0을 이용하여 사전-사후 평균 차에 대한 t검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로 독서치료 프로그램 실시 후 실험 집단과 통제 집단의 결과 차이에서 우울과 불안 모두 유의한 수치의 변화를 보였다. 따라서 본 독서치료 프로그램이 결손가정 초등학교 저학년 아동이 가지고 있는 우울과 불안을 감소시키는데 효과적임을 알 수 있다. 본 연구를 토대로 독서치료 프로그램이 결손가정 아동의 부정적 정서치료에 효과적인 집단상담 방법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아동정신 건강문제에 도움을 주는 자료로써 상담현장에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본다.

      • 공감훈련이 여중생의 공감능력과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효과

        박혜원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공감훈련이 여자중학생의 공감 능력과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한 연구로써, 여중생들을 대상으로 공감훈련을 실시한 후, 공감 훈련의 효과로 공감 능력 및 자아존중감이 향상되었는지 확인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방법은 다음과 같다. 연구 설계로는 먼저 공감 훈련이 공감 능력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경기도 파주시 P여자중학교 3학년 중 두 학급을 선택하여, 실험집단과 통제 집단으로 설정하고, 실험 집단과 통제 집단에 프로그램 시행전과 후에 각각 사전, 사후 검사를 실시하였다. 실험 집단에는 사전 검사로서 공감 반응 수준 평가 질문지와 자아존중감 검사를 실시하였으며, 공감훈련 프로그램을 13회 실시한 후 동일한 사후 검사를 실시하였다. 통제 집단에는 사전, 사후에 공감반응수준 평가 질문지를 실시하였고, 아무런 처치도 하지 않았다. 공감 능력측정 도구는 기존에 번안된 Carkhuff의 공감적 이해 척도를 권정안이 수정한 것을 사용하였다. 측정 도구의 신뢰도를 검토하기 위하여 Cronbach‘s α를 구해본바, .81이었다. 검사 결과의 평정은 세 명의 상담전문가가 Carkhuff의 공감적 이해의 척도(1 - 5 수준)에 준거하여 평정한 후, 연구대상들의 반응을 세 명의 평정자가 평정한 값의 평균치를 자료로 사용하였다. 자아존중감 검사는 Coopersmith가 제작한 ‘Self-Esteem Invertory'를 최윤희(1993)가 우리 나라의 문화권과 실정에 맞게 번안한 것을 사용하였다. 번안한 검사의 재검사는 첫 검사를 실시하고 나서 5주 후에 이루어졌으며 검사-재검사 신뢰도 계수는 .88이었다. 이연구의 자료 분석으로는 공감 훈련이 공감 능력에 미친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실험 집단과 통제 집단에 공감 반응 검사 득점의 평균과 표준 편차를 알아보고, 그에 따른 집단 간 차이는 사전 - 사후 반복 측정 분산분석을 하였다. 공감 훈련이 자아존중감 향상에 효과가 있었는지 확인하기 위해, 실험 집단의 자아존중감 점수의 사전-사후 변화를 paired t-test로 확인하였다.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공감훈련 프로그램을 실시한 후의 검증된 결과를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공감 반응 수준 검사에서 나타난 실험 집단과 통제 집단간의 반복측정 분산분석에서는 공감 능력 수준 변화 정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측정과 집단 상호작용 효과 F=420.66, p <0.01). 즉, 실험 집단이 공감 반응 사후 검사 득점이 통제 집단보다 유의하게 더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즉, 공감훈련에 참가한 실험 집단이 참가하지 않은 통제 집단에 비해 공감 능력이 향상된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실험집단의 자아존중감 검사의 paired t-test에서는 사전- 사후 검사 간에 자아존중감 변화 정도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p=0.003 < 0.05). 자아존중감 검사 사후 득점이 사전 득점 보다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즉, 실험 집단은 공감 훈련을 통해 자아존중감이 향상되었다. 이와 같은 결과를 통해, 첫째, 공감훈련은 여중생들의 공감 능력을 향상시키며, 둘째, 공감훈련은 여중생들의 자아존중감을 향상시킨다는 결론을 도출할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iveness of empathy training on the empathic ability of junior high school students and its effect upon their self-esteem. The research questions were as follows: First, would the degree of empathy be improved in the participant group compared to the non-participant group as the result of empathy training program intervention? Second, would the degree of self-esteem be improved in the participant group as the result of empathy training program intervention? The empathy training program was based on the existing Carkhuff's Didactic-Experiential Training Model and Egan's Interpersonal Living Laboratory. In addition, the important elements of the programs were integrated systematically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junior high school students and their school conditions. It was carried out in 13 sessions during 5 weeks. The empathy training program consisted of five steps: Introduction (sessions 1,2), Understanding of Empathy (sessions 3-5), Practice of Empathy I (sessions 6-8), Practice of Empathy II (sessions 9-12), and Conclusion (session 13). The major contents of each step were as follows: Step 1 (Introduction) included identifying the objectives and expectations of the group and establishing a rapport between the group members; Step 2 (Understanding of Empathy) included explaining the meaning of empathy and participants' practice of empathic behavioral responses to the prepared simple activating statements based on the didactic-experiential training model; Step 3 (Practice of Empathy I) included practicing empathic behaviors using prepared worksheets based on structural group format ; Step 4 (Practice of Empathy II) included practicing empathic behaviors based on an experiential nonstructural group format; Step 5 (Conclusion) included summarizing the major points of the previous sessions and encouraging the participants' commitment to maintaining their empathic behaviors. The methodology used to examine the effects of the empathy training was as follows: First, to examine the effectiveness of empathy training for the junior high school students, the research was designed using the pre-test/post-test control group design. The participants of the study were 74 junior high school students (all females) in Paju City. They were assigned equally by their own classes into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The instrument of the study was developed by revising the translated version of the Carkhuff Empathic Understanding Scale to make it suitable for junior high school students. Its Cronbachs' α was .81. The responses of the participants were rated by three professional counselors following the Carkhuff's criteria of scoring the Empathic Understanding Scale (the range of score for each item was 1-5) and each participant's score was obtained by calculating the mean of the three raters' scores. The statistical method employed was an analysis of two-factor experiments with repeated measurements on one factor. Also the means and standard deviations were calculated using SPSS10.0. Second, to examine the effect of the empathy training on their self-esteem, the 'Self-Esteem Inventory' was administered to the participant group before and after the training . The instrument of the study was developed by revising the translated version of Coopersmith's 'Self-Esteem Inventory' to make it suitable for Korean culture and students. The test-retest reliability coefficient (Cronbachs' α) was .88. It consisted of 50 questions and the range of scores for each item was 1-5. Each participant's score was obtained by calculating the answers of 50 items. The statistics employed was the paired t - test.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main effect of the group was founded to be significant (F=420.66) at the level of .001. After the empathy training program intervention, the degree of empathy in the participant group compared to the non-participant group increased significantly. Second, after the empathy training program intervention, the degree of self-esteem in the participant group increased significantly(p=0.003<0.05). These results indicated that the empathy training was effective not only for the increase of junior high school students' ability to empathize but also for the improvement of their self-esteem. Some suggestions were made for future studies. They were the necessity of a follow-up study, the diversification of subjects such as sex, age and region and further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empathy and self esteem.

      • Development of flexible lithium-ion batteries based on conductive fabric current collector

        박혜원 한양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With the widespread of wearable devices in various fields such as smart watches, healthcare, and military industries, demand for wearable devices with advanced technologies has increased. At the moment, batteries, which are the major power source for wearable electronics, are being considered to be one of the causes of slowing the development of wearable devices, because of the restricted shape of the batterie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battery that has enough flexibility and safety required for wearable electronics and can operate for a long time. In this study, we developed flexible batteries with high areal capacity by employing conductive fabrics as current collectors. The conductive fabrics are advantageous in that they have high electronic conductivity and weaved structure just like normal fabrics, which is beneficial for integrating with the active layer as well as their flexibility. The study has been divided into two concepts of high safety and high energy density. As a high-safety concept of flexible battery, LFP and LTO, which have low toxicity and high stability, are synthesized in nano-size and hybridized with 2D graphene template to further increase conductivity and flexibility. In the concept of high energy density targets, NMC and natural graphite were used to enhance energy density by increasing capacity and working voltage. The high-safety targeted batteries showed an areal capacity of 1.2 mAh cm-2 and stably operated even after subjected to repeated bending at a radius of 10 mm. The high-energy-density targeted cells not only had flexibility up to 30 mm, but also delivered high areal capacity of 1.96 mAh cm-2 and the energy density of 2.86 times higher than that of high-safety targeted cells.

      • 대학생 성인애착의 불안-회피 차원과 대인관계문제의 관계 : 정서인식 명확성과 자기자비의 이중매개효과

        박혜원 서울여자대학교 일반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Double Mediating Effects of Emotional Clarity and Self-Compassion in the The Relationship Between Anxiety-Avoidance Dimensions of Adult Attachment of college students and Interpersonal Problems. The participants in the study were 371 college undergraduates, and the Short form of the Korean Inventory of Interpersonal Problems Circumplex Scale: KIIP-SC, Experience of Close Relationship-Revised: ECR-R, Trait Meta Mood Scale: TTMS, Korean-version of the Self-Compassion Scale: K-SCS were also used for the study. To analyze the data, SPSS 23.0 program and PROCESS macro were used as well as statistical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and bootstrapping method. The study may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s to the Anxiety Attachment and the Interpersonal Problems, Emotional Clarity and Self-Compassion had complete mediating effect for each. Second, Emotional Clarity and Self-Compassion had complete double mediating effect between Anxiety Attachment and Interpersonal Problems. Third, in the Avoidance Attachment and Interpersonal Problems, Emotional Clarity and Self-Compassion had complete mediating effect for each. Forth, Emotional Clarity and Self-Compassion had complete double mediating effect between Avoidance Attachment and Interpersonal Problems. Based on these results,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with the suggestions for the further stud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