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초등학교도서관의 자료 선정 중 나타나는 자기 검열 영향 요인 연구

        박혜선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초등학교도서관의 자료 선정 과정 중 나타나는 사서(교사)의 자기 검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여 자기 검열 행위를 줄일 수 있는 구조적 방안을 모색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를 위하여 국내외 문헌 연구를 통해 자기 검열의 개념을 살펴보고 심층 면담을 통해 설문지를 개발하여 설문조사를 시행 후 통계적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장서 개발 정책과 학교도서관운영위원회 및 도서관 장서 관련 민원 요소에서 집단 간 유의한 자기 검열 차이가 발견되었고, 이용자 및 도서관 장서에 대한 사서(교사)의 인식에서 자기 검열에 대한 영향 요인을 확인하였다.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아래와 같다. 첫째, 장서 개발 정책 요소 중 희망도서 요구의 거절 경험에 따라 집단 간 자기 검열 경향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존재한다. 둘째, 학교도서관운영위원회 요소 중 회의를 형식적으로 운영하는 이유에 따라 집단 간 자기 검열 경향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존재한다. 셋째, 도서관 장서 관련 민원 요소 중 항의 자료 처리 방식에 따라 집단 간 자기 검열 경향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존재한다. 넷째, 이용자에 대한 사서(교사)의 인식 요소 중 별치 자료 유형 및 이용자의 지위는 자기 검열 경향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친다. 다섯 째, 도서관 장서에 대한 사서(교사)의 인식 요소 중 독서의 효과에 대한 인식은 자기 검열 경향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친다. 이상의 결과를 토대로 학교도서관 사서(교사)의 자기 검열 경향을 감소시킬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학교도서관운영위원회의 심의 기능을 강화시켜 사서(교사)가 지닌 장서 선정의 최종 책임을 학교도서관운영위원회에 두는 제도적 방안이 필요하다. 둘째, 학교도서관 소장 자료에 대한 이용자 항의에 대응할 수 있는 지침이 포함된 장서 개발 정책을 마련하고 이는 학교장이나 학교운영위원회의 승인을 받도록 할 필요가 있다. 셋째, 학교도서관에 부적합한 장서의 경우 학교장과 상의 후 제적할 수 있도록 학교도서관운영규정에 명문화하고 사서(교사)에게 충분히 홍보·권장할 필요가 있다. 그 외에도 자료 선정 시 자료를 직접 확인할 수 있도록 현장 수서를 제도화하고, 어린이책과 학교교육과정에 대한 연수를 시행하여 사서(교사)의 전문성 향상 방안을 마련하고, 학교도서관운영위원회가 정상적으로 운영될 수 있도록 교육지원청이 정기적으로 점검을 실시할 필요가 있으며, 한국도서관협회 등을 주축으로 학교도서관의 자기 검열 실태 전수 조사를 실시하는 등 사서(교사)의 자기 검열 경향을 감소시킬 수 있는 제도적 방안에 대한 다각도의 논의가 이루어지기를 희망한다. This study aims to explore ways to improve self-censorship tendency in teacher librarians by identifying factors that influence the self-censorship which appears during collection development in elementary school libraries. For this purpose, first, we have examined the concept of self-censorship through a review of related literature, then carried out a series of in-depth interviews as a pilot study to develop a questionnaire, which has been used for a questionnaire survey. Finally, the survey data has been analyzed statistically with SPSS 21.0, a statistical package. As a result, we have discovered statistically significant relationships between self-censorship and characteristics in collection development policies, school library committees, and the complaints related with the library collections. Based on these results, the factors on the self-censorship have been identified in the perception of the school librarians. The research result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re is a significant effect of the librarians’ experience to disapprove users’ requests for book purchase on self-censorship. Second, there is a significant effect of characteristics in school library committees on self censorship. Third, there is a significant effect of ways to deal with the complaints related with the library collections on self-censorship. Fourth, there is a significant effect of the types to locate books on a separate place on self-censorship. Fifth, there is a significant effect of the teacher librarians’ perception on the effect of reading, which is one of the aspects in the perception on self-censorship. Based on these results, there are several ways proposed to improve the tendency of self-censorship in the teacher librarians as follows: First, the function of review and approval of book selection in the school library committee should be reinforced so that the burden of teacher librarians to select books can be alleviated. Second, a collection development policy should be developed and approved which should include guidelines for dealing with users’ complaints related to library collection. Third, a regulation for school library operation should be stipulated which should include a guideline to remove inappropriate books from the library collection with principals’ approval. In addition to these proposed ways to implove, other means that can enhance specialty of teacher librarians, such as institutionalization of on-site acquisition and training on children’s books and school curriculum. Also, regular inspection by the local education authority needs to be implemented so as to ensure appropriate activities of the school library committee. It is hoped that diverse discussions will be carried out on institutional improvements that can reduce self-censorship tendency of teacher librarians with introduction of total survey, among others, of self-censorship conditions by Korea Library Association with an emphasis on school libraries.

      • 사회문화적 압력 및 사회부과 완벽주의와 폭식 행동 간의 관계 : 신체 불만족과 부정 정동의 매개 효과

        박혜선 아주대학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사회문화적 압력 및 사회부과 완벽주의와 폭식 행동의 관계에서 신체 불만족과 부정 정동이 순차적으로 매개하는지를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289명의 대학생들이 삼자 영향 척도 개정판, 다차원적 완벽주의 척도, 신체 불만족 척도, 정적 및 부적 정서 척도, 신경성 폭식증 검사 개정판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사회문화적 압력 및 사회부과 완벽주의는 신체 불만족에 직접 영향을 미쳤으며, 신체 불만족은 부정 정동을 부분 매개하여 폭식 행동에 직·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쳤다. 이러한 결과는 사회문화적 압력과 사회부과 완벽주의가 신체 불만족을 유발하며, 신체 불만족이 직접적으로 폭식 행동을 유발하거나 또는 부정 정동을 거쳐 폭식 행동을 유발시킨다는 것을 시사한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제한점과 향후 연구 방향에 대해 논의하였다.

      • 초등학교 음악수업의 실태조사 : 특별활동을 중심으로

        박혜선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1998 국내석사

        RANK : 247631

        음악교육의 목적은 단순히 신호(信號)나 의사전달의 차원을 넘어서 인간의 본능적인 음악적 감수성을 발달시키고, 개개인의 자아실현(自我實現)을 이룰 수 있도록 정서순화(情緖純化), 창조성(創造性) 개발과 같은 음악외적 가치(音樂外的 價値)를 동시에 가지며 교육전체의 근본적 사명 - 인간성의 교양고취(敎養高趣) - 을 다하는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토대(土臺)로 학교에서의 음악 교육은 학생들에게 잠재(潛在)된 음악성 개발과 조화로운 인격형성에 필수적인 것으로 요약할 수 있다. 초등학생은 예민한 감수성을 가지고 있어 무엇이든 쉽게 수용할 태도가 형성되어 있다. 특히 음악 등의 예능분야(藝能分野)를 쉽게 받아들일 수 있으므로 음악적 소질(素質)을 개발하며 발전시킬 수 있는 무한한 가능성을 지니고 있다. 따라서 학교에서의 음악교육은 균형(均衡)있는 감성발전(感性發展)을 위해 한쪽으로 치우치지 않도록 창작(創作), 가창(歌唱), 감상(感想), 연주(演奏) 등 각 분야에 알맞게 지도되어야 할 것이다. 하지만 현행 초등학교 수업은 예전에 비해선 연주나 창작부문이 많이 활용되고있지만 여전히 많은 이유로 인해 합창과 가창 위주로 수업이 진행되고 있다. 본 연구는 초등학교 음악교육에서의 음악수업시간과 특별활동시간(特別活動 時間)의 실태(實態)와 음악시설(音樂施設) 및 설비(設備) 등을 설문지를 통하여 알아보고 문제점과 효과적인 발전방향을 찾아보고자 하였다. 설문지는 서울 강남구와 강서구에 위치한 48개 고등학교(공립·사립)를 대상으로 교사와 학부형들에게 1998년 8월 1일, 총 350부(교사 150부, 학부형 200부)를 반송우편으로 발송하였으며, 본 논문은 회수된 교사용 설문지 45부(회수율 30%)와 학부형용 설문지 100부(회수율 50%)의 통계를 통해 작성되었다. 설문 결과는 음악교육에 대한 학부형들의 높은 관심을 충족시키지 못하는 형식적이고 편향된 음악수업이 진행되고 있음을 확산시키고 있었다. 그 이유는 일반적인 음악교육의 문제점으로 가창위주의 수업진행과 전문적인 음악교육능력을 지닌 교사의 부족, 정책적인 지원의 곤란 등이 다시금 지적되었다. 본 논문은 상기(上記)의 내용을 포함한 교육 현장에서 교사들이 생각하는 초등학생들에 대한 음악교육의 실질적인 문제점들에 대해 알아보고, 학부형들의 음악교육에 대한 의견과 제언을 수렴하여 초등학교 음악교육의 합리적인 방향을 제시함으로써 조금이나마 교육발전에 기여하는데 목적이 있다. The goal of music education is simply to surpass the level of basic message signal transmission to develop the instinctive musical sensitivity in human beings. Furthermore, musical training aims to facilitate self-actualization through the refinement of feeling and imagination. If all these qualities are developed, then the mission of instilling culture in humanity is carried out. Using this goal as a foundation, music education in schools can be condensed to just the importance of developing musical abilities and improving personalities. Elementary school students are more susceptible to anything because they possess a human instinct extremely sensitive to receptivity. More specifically, students have the potential to develop and enhance their musical talents through arts studies such as music. Therefore, music education in schools must teach a variety of musical fields including creativity, vocal ability, listening skills, and technical skills keeping balance and development of receptivity in mind. Despite the enhancement of creativity and technical skills from past years, current music classes in elementary schools are still basing education in the form of concerted singing or vocal skills. This study is to analyze problems and devise a plan for the improvement of music education in schools. The investigation took place through surveys on music classes and extra-curricular activities, such so actual conditions, musical instruments and facilities. A total of 350 surveys (150 to teachers, 200 to parents) were passed out to teachers and parents in Kangnam-gu and Kangsuh-gu on August 8, 1398 via mail. Out of the 350 surveys, a total of 145 surveys were fully answered and returned; and, out of the 145, 45 (30% return rate) and 100 surveys (50% return rate) were returned by parents and teachers, respectively. The critiques from the surveys were: 1) too much of an emphasis on vocal ability; 2) the lack of teachers specializing in music; 3) inadequate funds from the government; 4) classes inclined toward formal methods of training. The thesis paper, which includes the aforementioned information, more in depth, teachers and parents' comments about problems in music classes, is aimed at developing the right direction for music education; thereby, improving education in general.

      • 일반 청소년들의 다문화수용성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 다문화가정 청소년들에 대한 고정관념과 편견, 사회적 거리감 및 다문화효능감을 중심으로

        박혜선 성결대학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일반가정 청소년들의 다문화가정 청소년들에 대한 고정관념, 편견, 사회적 거리감과 다문화효능감 및 다문화수용성의 관계를 살펴보았으며, 연구문제별로 주요결과를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조사대상자 특성을 적용하여 일반가정 청소년들의 다문화가정 청소년들에 대한 고정관념, 편견, 사회적 거리감, 다문화효능감 및 다문화수용성을 살펴본 결과, 성별에서는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사회적 거리감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다문화효능감 중 수업기능측면과 다문화수용성 구성개념인 다문화관계형성능력, 다문화적 인식, 다문화적 개방성에서는 여학생이 남학생에 비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일반 청소년의 다문화친구 여부에 따른 차이를 검증한 결과, 사회적 거리감은 ‘다문화친구 있음’보다는 ‘다문화친구 없음’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다문화효능감 중 일반기능측면과 다문화수용성 구성개념인 다문화관계형성능력은 ‘다문화친구 없음’보다는 ‘다문화친구 있음’이 모두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일반가정 청소년의 다문화가정 청소년을 친구로 알고 지낸 시기에 따른 차이를 살펴본 결과, 2년 미만이 2년 이상보다 편견과 사회적 거리감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일반가정 청소년들의 다문화가정 청소년들과의 친밀 정도에 따른 차이를 살펴본 결과, 고정관념은 ‘친밀’보다는 ‘보통’이 높았고, 다문화적 공감은 ‘보통’보다는 ‘친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일반가정 청소년들의 다문화가정 청소년들에 대한 고정관점, 편견, 사회적 거리감과 다문화효능감 및 다문화수용성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먼저 고정관념이 다문화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고정관념은 다문화효능감 구성개념 중 수업기능측면과 인간관계증진측면, 그리고 다문화가정배력측면에 각각 통계적으로 유의한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편견이 다문화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편견은 다문화효능감 구성개념 중 일반기능측면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적 거리감이 다문화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사회적 거리감은 다문화효능감 구성개념인 일반기능측면, 수업기능측면, 인간관계증진측면, 다문화가정배려측면에 모두 유의한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고정관념이 다문화수용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고정관념은 다문화수용성 구성개념 중 다문화관계형성능력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편견이 다문화수용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다문화적 개방성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사회적 거리감이 다문화수용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사회적 거리감은 다문화관계형성능력, 다문화적 인식, 다문화적 개방성, 다문화적 공감에 각각 통계적으로 유의한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다문화효능감이 다문화수용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다문화효능감 구성개념 중 일반기능측면이 다문화수용성 구성개념 중 다문화적 인식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쳤으며, 수업기능측면이 다문화적 공감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relationship of stereotype, prejudice, social distance and multicultural efficacy about teenagers from multicultural family among general teenagers and below is the major founding of this study by subject. The result from analyzing stereotype, prejudice, social distance and multicultural efficacy about teenagers from multicultural family among general teenagers showed male teenagers had higher social distance than female teenagers while female teenagers presented higher instructional function in multicultural efficacy, higher multicultural relationship formative as well as higher multicultural awareness and higher multicultural openness which are constructs of acceptability. Concerning the analysis on difference between having a friend from multicultural family and not having one, higher result in social distance was shown among the teenagers not having a friend from multicultural family while teenagers having a friend from multicultural family showed higher results in general function of multicultural efficacy and multicultural relationship formative which is a construct of multicultural acceptability. According to the analysis on the period of having a friend from multicultural family, higher prejudice and social distance were shown among the teenagers having a friend from multicultural family for less than 2 years. Lastly, the analysis on the degree of intimacy with the teenagers from multicultural family among general teenagers, stereotype showed higher result in ‘average’ than ‘intimate’ while multicultural sympathy showed higher result in ‘intimate’ than ‘average’. In addition, the relation with stereotype, prejudice, social distance, multicultural efficacy and multicultural acceptability about the teenagers from multicultural family were analyzed among general teenagers. The result from analyzing the influence of stereotype on multicultural efficacy showed that stereotype had a statistically negative relationship with instructional function, human relationship developmental function and multicultural family considering function. According to the analysis on the influence of stereotype on multicultural efficacy, stereotype had a statistically negative relationship with general function of multicultural efficacy. In addition, social distance showed negative relationship with general function, instructional function, human relationship developmental function and multicultural family considering function. Result from analyzing the influence of stereotype on multicultural acceptability showed that stereotype had a statistically negative relationship with multicultural relationship formative of multicultural acceptability. Result from analyzing the influence of stereotype on multicultural acceptability, it showed a statistically negative relationship with multicultural openness. Social distance showed statistically negative relationships with multicultural relationship formative, multicultural awareness, multicultural openness and multicultural sympathy. Lastly, statistically positive relationship was presented between general function of multicultural efficacy and multicultural awareness and instructional function showed a statistically positive relationship with multicultural sympathy. Key words: multicultural family, teenager, stereotype, prejudice, social distance, multicultural efficacy, multicultural acceptability.

      • AHP를 적용한 데이터 활용역량 진단모델에 관한 연구

        박혜선 숭실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코로나19로 불거진 언택트 시대가 장기화 되면서 불확실한 미래에 대한 우려가 증가되고 있지만, 한편으로는 위기는 또 다른 기회라는 말처럼 국내외 경제는 디지털 환경에 가속도를 붙여 더욱 진화하고 있다. 즉 디지털 경제(Digital Economy) 시대는 더욱 친숙해 졌고,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비즈니스는 모든 산업에서 핵심적인 경제 활동이 되었다. 디지털 환경에서 모든 인간과 기계의 행위는 데이터로 축적되고 있고, 이 엄청난 양의 데이터는 더 나은 미래를 위해 활용해야 할 중요한 자원이 되고 있다. 데이터를 어떻게 잘 활용하느냐에 따라 조직과 기업 성장의 성패가 결정된다고 해도 과언이 아닌 만큼 데이터는 소중한 자원이며, 이를 효율적으로 다룰 수 있는 지식(Knowledge)과 스킬(Skill)은 광범위하고 깊이 있게 요구되어지고 있다. 하버드 비즈니스 리뷰에서 21세기 가장 매력적인 직업으로 데이터과학자를 선정한바 있듯이 데이터를 잘 활용할 수 있는 역량을 보유한 인적자원에 대한 수요는 앞으로도 크게 증폭할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기대와는 다르게 데이터를 활용하는 역량을 보유한 인적자원은 턱없이 부족한 실정이다. 데이터과학이라는 용어가 사용 된지 오래되지 않았고, 데이터 과학에서 다루는 커리큘럼에 대한 기준이 다양해서 데이터 과학자를 양성하는 기관이 적기 때문이다. 본 연구에서는 빅데이터, 데이터과학, 데이터직무 등 데이터를 활용하는 역량에 대한 다양한 선행연구 자료를 참고하여 데이터 활용역량을 진단함에 있어 가중치가 큰 역량은 무엇인지 살펴보고, 가중치가 반영된 데이터 활용역량 진단모델을 통해 데이터 활용역량에 대한 자가진단을 진행해 보았다. 진단결과에 따라 효율적인 인력양성과 인사관리를 위해 기업과 조직에 필요한 전략은 무엇인지, 4차 산업혁명의 핵심 인적자원으로 성장하기 위해서 어떤 방향으로 자기개발을 하면 좋을지에 대한 기준을 제시한다. As the contactless era caused by Covid-19 is prolonged, concerns about the uncertain future are increasing, but on the one hand, as it is said that crisis is another opportunity, domestic and foreign economies are accelerating and evolving further in the digital environment. That is, the digital economy era has become more familiar, and data-based business has become a key economic activity in all industries. In a digital environment, the behavior of all humans and machines is accumulating into data, and this enormous amount of data is becoming an important resource to be utilized for a better future. It is no exaggeration to say that the success or failure of organizational and corporate growth depends on data utilization competency, and data is a valuable resource, and knowledge and skills that can be handled efficiently are required in a broad and in depth. As the Harvard Business Review selected data scientists as the most attractive profession in the 21st century, the demand for human resources with data utilization competency will continue to increase significantly. Contrary to these expectations, however, human resources with data utilization competency are far from sufficient. This is because the term data science has not long been used, and there are few institutions that train data scientists because of the diverse standards for curricula covered by data science. In this study, a literature review was conducted on the data utilization competency, such as big data, data science, and data occupation. In diagnosing data utilization competency by referring to the previous study, the weighted diagnostic model was developed after examining what the heavy weighting capability was. After that I conducted a self-diagnosis of data utilization competency for IT and data-related worker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diagnosis, it was intended to present a guide on what strategies companies and organizations need for efficient manpower training and personnel management, and in what direction to self-develop in order to grow into the core human resources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 주택용 전기요금 제도 개편에 따른 정책효과 분석 : 주택용 누진제를 중심으로

        박혜선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전기는 우리 산업 전반을 걸쳐 실생활에서도 없어서는 안될 주요 에너지원으로 우리나라에서는 전기요금이 국민 생활과 물가에 미치는 영향을 고려하여 정부의 규제하에 요금제도를 운영하고 있다. 우리나라의 전기요금 제도는 기본적인 전압별 요금 외에 용도별로 큰 구분을 하지 않는 해외사례에 비해 전압별, 용도별로 복잡한 요금체계를 운영하고 있다. 주택용 요금제의 경우 전기소비 절약을 유도하고 서민층 보호를 위해 전기 사용량에 따라 요율이 증가하는 누진제를 운영하고 있다. 1973년 석유파동으로 인해 최초로 누진제가 적용된 이후 총 22차례의 제도조정을 거쳐 지난 2005년 6단계 11.7배수의 누진체계를 약 11년간 유지해 오다 지난 2016년 기록적인 폭염으로 인해 여름철 전기요금 인하 요구가 거세지면서 그 해 12월 3단계 3배수로 누진단계와 누진배율의 조정이 이루어 졌다. 주택용 전기요금 제도 개편으로 인해 저소득층의 요금부담이 증가하고 전기 과소비를 부추길 것이라는 우려가 있었으나 해당 효과에 대한 검증이 충분히 이루어지지 않은 채 지난 요금개편 이후로도 누진제 폐지, 주택용 전기요금 인하 등의 요구가 계속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는 주택용 누진 요금제의 개편 전후 가구들의 전력소비와 전기요금 부담을 실제 전력사용 데이터를 기반으로 비교 분석하여 에너지 절약과 저소득층 배려라는 정책목표가 실제 의도한 바 대로 작동되고 있는 지를 알아보았다. 이를 위해 먼저 공공요금의 개념과 전기요금 체계의 전반적인 개요와 특징들을 살펴보고, 2012년부터 2017년까지의 한국전력의 주택용 개별고객 전력사용량과 요금데이터를 활용하여 확률효과 패널회귀분석을 시행하였다. 먼저 전체 고객의 주택용 전기요금 제도 개편 전후의 전력사용량과 전기요금, 단위당 전기요금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 살펴보고, 사회 취약계층 배려 측면을 검증하기 위해 복지할인을 받고 있는 고객의 전력사용량, 전기요금, 단위당 전기요금과 주택용 전기요금 제도 개편과의 조절효과를 살펴보았다. 또한 에너지 다소비 계층의 전기절약 유도 효과가 어떻게 변화하였는지 검증하기 위해 개편 전 최고요율 단계인 월 500kW 이상의 전기를 소비하는 계층의 전력사용량, 전기요금, 단위당 전기요금의 변화에 대한 조절효과도 검증하였다. 통계분석 결과 주택용 전기요금제 개편이 전체적인 주택용 전기 고객의 전력사용량과 전기요금, 단위당 전기요금에 모두 부(-)의 영향을 미쳤다. 이는 누진단계와 누진배율의 축소가 일반적으로 각 가정의 전기요금에 대한 부담을 완화하지만, 전력사용량의 증가를 가져올 것이라는 우려와는 대치되는 결과를 보여주었다. 주택용 전기요금제도 개편과 사회취약 계층의 전력사용량과의 조절효과는 유의하지 않은 결과가 도출되었고, 전기요금과 단위당 전기요금에 대하여는 모두 부(-)의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나 주택용 전기요금제도의 개편 시 누진단계와 누진배율의 축소에도 불구하고 복지할인을 강화한 것이 사회취약계층의 전기요금이 감소하는 결과를 가져온 것으로 해석된다. 마지막으로 기존 월 500kW 이상의 전기를 사용하는 에너지다소비 계층의 전력사용량과 주택용 전기요금제도 개편과의 조절효과는 미세하게 부(-)의 영향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나 누진단계와 누진배율의 축소 시 에너지다소비 계층의 전력 과소비를 부추길 것이라는 우려와는 다른 결과를 나타내었다. 그간 주택용 전기에 적용되는 누진제의 누진단계와 누진율 완화에 대한 논의 시 전력사용량의 증가와 저소득층에 대한 부담이 증가할 것이라는 우려로 인해 개편 반대의 목소리가 제기되어 왔으나 본 연구결과 주택용 누진제의 누진단계와 누진율을 축소하더라도 전력소비 증가에 영향을 미치지 않으며, 사회취약계층에 대한 선택적 복지할인의 확대를 통해 저소득층의 전기요금 부담을 완화할 수 있다는 실증 데이터를 확보할 수 있었다.

      • 일상을 주제로한 산문적(散文的) 시각표현 : 작품제작을 중심으로

        박혜선 이화여자대학교 2000 국내석사

        RANK : 247631

        예술이란 자기의 표현이다. 예술 활동을 하는 예술가는 자기 자신의 내면이 예술이란 도구에 의해 순수하게 드러나 보여졌을 때 살아있는 생명력과 감동을 교감하게 된다. ‘나’(The I)라는 존재에 대한 참구가 예술의 시작이며 끝이다. 나는 자연의 한 부분으로 태어나 살아오면서 복잡하고 인위적인 현대도시라는 생활환경 속에서 자연스럽고 ‘나’(The I)다운 삶의 태도를 잃어가면서 수많은 익명의 대중에 발맞춰 살아가려고 해왔는지도 모르겠다. 이 논문을 준비하고 연구하는 과정은 ‘나’(The I)에 대한 끊임없는 탐구와 고민의 과정이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나는 언제 무슨 일로 기뻐하며, 슬퍼하며 즐거워하며, 화가 나는가? 내가 사랑하고 좋아하는 것은 무엇인가? 나는 왜 표현하는가? 나에게 아름다움(美)란 무엇일까? 나는 어떤 존재로서 살아 나아가길 원하는가? 등등의 물음을 나 자신에게 던져 왔다. 이러한 고찰(考察)들은 내 안에 있고 나의 일상의 삶 안에 내재하고 있는 것이다. 우선 나 자신이 일상생활 속에서 보고 느끼고 생각해 온 크고 작은 일들, 주위의 여러 사람들과 나눴던 이야기들, 내 자신에게 고백하고 반성했던 일기장 속의 나날들...... 이러한 것들은 나를 드러내게 하고 표현하게 하는 소재였다. 언젠가 간단하고 명료하게 말하지 못하고 갖은 미사여구(美辭麗句)와 자세하고도 친절한 상황 설명부터 시작되는 나의 이야기처럼 그림에서도 나의 감성과 정서를 쏟아내려는 마음에서 함축적이고 정형화 된 시(時)적인 표현이 아닌 열거와 나열의 수식적이고 장식적이며 때로는 소박하고 풋풋한 만연(蔓延)한 문제로 쓴 산문이라는 형식으로 시각적 표현을 하게 되었다. 이론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 먼저 일상의 의미와 예술에 있어서의 일상에 대하여 고찰하였고, 시각 표현의 방법으로서 산문이라는 형식과 산문적 예술 표현의 예를 들어 설명하였다. 이 논문 연구는 나(The I) 자신의 고찰을 통해 나아가서는 현대인의 일상에 대한 태도와 무미건조하게 흘러가는 삶에 대해서, 일상의 의미를 되짚어보는 계기가 되기를 바란다. 또한 본인의 시각 표현이 보는 이로 하여금 잊혀져 산 자신의 일상에서 경험했던 특별하고 소중했던 기억이나 느낌, 흥미로운 이야기들, 숭수한 생각들을 재인식 시켜 무의식적으로 행동하며 습관적으로 반복되는 삶이 사실을 얼마나 소중하고 귀한 순간들의 연속이었는지를 깨닫고 미래에 대한 희망과 소망을 갖게 하는 표현이 되기를 바라며 표현 연구에 임했다. 예술의 세계는 대중에게로 다가가는 노력을 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아직도 예술은 일반인들에게는 접근하기 어려운 경계를 갖고 있는 것 같다. 대중 예술을 표방한 많은 사조와 이념에 의한 현대의 예술 작품들은 다양한 난해함을 제공하고 있어 보인다. 본 시각 표현 연구는 어렵고 무거운 표현이 아닌 가벼운 마음으로 대할 수 있고 알기 쉬우며 어디선가 보았거나 느꼈던 솔직한 감성과 감정을 바탕으로, 즐거운 분위기에서 나누는 아기자기한 이야기처럼 표현하였다. 소녀적 혹은 여성적 감성을 밝고 가볍고 명랑하게 나타내고자 하였고 따뜻하고 순진하게 느껴지는 색채와 구성으로 그림일기나 편지 혹은 경수필을 읽는 듯 한 느낌을 갖게 하는 표현의 시도였다. 이러한 연구, 제작의 과정은 나(The I)라는 존재를 알게 하며 회복시켜 가는 깨달음을 갖게 하였고, 순수하고 진실한 마음으로 작업을 해나가는 점이 무엇보다 표현의 세계에 중요하다는 것을 실감하게 했다. 이러한 연구, 제작은 내 마음의 반영이고 독창적인 나(The I)를 발견하며 자기 순수에서 비롯된 탐구과정으로서, 앞으로의 삶 속에서도 지속적인 탐구와 고찰이 필요한 표현 발견의 시작이라고 하겠다. Art is expressing oneself. An artist engages in artistic activities feels alive and experienced emotions only when his or her soul is expressed in its purest orm though art. Art beings and ends with the study of myself. I was born part of the nature. along the way, however, I may have lost my way of life, trying to keep up with the crowd living in a busy and artificial modern city. Preparation and writing of the dissertation was an endless journey in search of myself. What makes me happy, sad, and angry? What an I fond of? Why do I express myself in the first place? what is beauty to me? hoe do I want to live my life? I have been giving thought to these questions, which from a part of myself. The things I have seen, felt, and realized in life, the conversations I have had with the people around me, the confessions I made in my diary - all these are my motifs in revealing myself. As my writing tends to be long-winded, detailed, rhetorical, and mot to-the-point, so is the way I pour out my feelings and emotions on a canvas. I do It not in a poetic manner, which is implicit and disciplined. Rather I lean toward the prosaic manner, which enumerates words and uses flowery phrases, but is sometimes naive and feels like home. I first look a look at the meaning of every life and the bearing it has on art from a theoretical perspective. I then used the example of prosaic style and artistic expression as a means of visual expression. I hope this paper will provide an opportunity to look back on every life and think about myself, people attitude toward life, and somewhat dull life itself. I devoted myself to studying expression with the hope of making people realize hoe important life is. By reminding people of special and precious memories and feelings, interesting stories, and naive thoughts that might have been buried at the back of their mind, I wanted to deliver the message of we must cherish the dat-to-day life we are living unconsciously, habitually, and repetitiously I would like to instill hope and optimism about the future. Even though artists are reaching out to the general audience more and more, art still seems to be a difficult subject matter to the public. Modern art disguised in various types of pop art trend and ideology appears to add to the confusion. My study of visual expression is not too difficult or too heavy. Anyone would feel comfortable reading the thesis. It is structured like a story based on easy-to-understand, well-known, and honest feelings and emotions. I tried to express girlish or feminine emotions on a merry note using warm and naive colors and structure. It was an attempt at expressionism that would make the audience feel as if they were reading a diary, letter, or essay. Through the study, I personally become aware of my existence and the importance of self-healing. I gained the understanding that a pure and sincere heart in the most integral component in the world of expressionism. This study was a reflection of my current state of mind. It served its purpose of soul-searching and it will be a starting point for discovery of expression that requires continuous study and contempl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