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 학령전기 손자녀를 양육하는 조부모의 양육 스트레스, 양육 보상감, 삶의 만족도

        박혜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손자녀를 양육하는 조부모의 양육 스트레스, 양육 보상감과 삶의 만족도를 파악하고, 맞벌이 자녀를 위해 손자녀를 양육하는 공동양육자인 조부모를 이해하기 위해 시행된 서술적 상관관계 조사연구이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자녀의 맞벌이로 인하여 손자녀를 양육하고 있는 조부모이며, 서울 및 경기권에 위치한 12개의 보육시설(어린이집, 유치원, 가정보육시설)의 협조를 받아 대상자를 모집하였다. 총 연구 대상자는 143명으로 자료수집 기간은 2018년 10월 20일부터 11월 30일까지이다. 양육 스트레스는 김은정(2012)의 양육 스트레스 도구를 사용하여 측정하였고, 양육 보상감은 박경애(2007)의 조부모 양육 보상감 도구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그리고 삶의 만족도는 안종철, 임완규(2014)의 노인 삶의 만족도 도구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21.0 program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기술통계,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으로 평균 연령은 64.27±3.90세이며, 조부가 13.3%(19명), 조모가 86.7%(124명)이다. 대상자 본인이 인식하는 주관적인 경제상태를 보통 이상으로 인식하는 경우가 91.6%(131)명이며, 주관적인 건강상태를 자신의 건강을 보통 이상이라고 인식하는 경우가 74.2%(106명)였다. 2. 대상자의 손자녀 양육과 관련된 특성으로 손자녀의 평균 연령은 3.67±1.21세이며, 조부모의 손자녀 평균 양육 기간은 26.08±14.05개월이다. 3. 대상자의 양육 스트레스의 평균은 3.21±0.72점, 양육 보상감의 평균은 3.35±0.66점, 삶의 만족도의 평균은 3.45±0.53점이다. 4. 대상자의 양육 스트레스는 주관적 건강수준, 손자녀 연령, 손자녀 양육기간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대상자의 양육 보상감은 성별,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대상자의 삶의 만족도는 월 평균 수입, 주관적 경제수준, 주관적 건강수준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5. 대상자의 삶의 만족도는 양육 스트레스와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를 나타냈고, 또한 삶의 만족도는 양육 스트레스의 하위 영역인 역할부담 스트레스와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6. 대상자의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로는 주관적 경제상태, 주관적 건강상태, 양육 스트레스로 나타났고 변수의 설명력은 36.4%이었다. 본 연구 결과에 따르면 주관적 건강상태, 주관적 경제상태, 양육 스트레스가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이들의 건강을 지속적으로 관리하고 손자녀 양육을 하면서 발생할 수 있는 양육 스트레스를 조절해 줄 수 있는 방안이 필요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underst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atisfaction with life in grandparent caregiver and the associated factors, parental stress and caregiving reward, to increase the understanding of co-parenting grandparents who were alienated in the transitional era of parenting.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grandparents who were raising their grandchildren because of their parents' double income and recruited them with the cooperation of 12 childcare facilities located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The total number of people subject to research was 150. Data had been collected from October 1 to November 1, 2018. The parental stress scale was used by Kim Eun-jung (2012). The caregiving reward scale was used by Park Kyung-ae (2007), who reconstructed the scale of the parenting compensation developed by Lee Sang-hyun (2005). And with respect to the satisfaction with life, the scale, which was made by Ahn Jong-chul & Lim Wan-gyu (2014) in the way of modifying the scale developed by Lee Hyung-suk (2003), Yang Min-hee (2009), and Kim Nam-hee & Choi Soo-il (2011). For data processing, SPSS/WIN 21.0 program was utilized to conduct frequenc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VONA,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presented as follows: 1. Regarding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tudy subjects, their average age was 64.27±3.90, 86.7% were women; 95.1% were currently unemployed. 91.6% of subjects perceived the subjective economic condition as above moderate and 74.2% of the subjects perceived the subjective state of health as above moderate. 2. Regarding the parenting of grandchildren characteristics of the study subjects, their grandchildren average age was 3.67±1.21. Average raising period was 26.08±13.95 month. 3. Parenting stress in grandparent caregivers was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subjective health condition state of health, caregiving period of grandchildren. Caregiving reward in grandparent caregivers was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gender. Satisfaction with life in grandparent caregivers was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subjective health condition, subjective economic condition. 4. Satisfaction with life was significantly negatively correlated with parenting stress and role burden stress, sub-domain of parenting stress. 5. The variables affecting the satisfaction with life of the subjects were perceived the subjective state of health, perceived the subjective state of economic level, number of caregiving grandchildren, and parenting stress. The explanatory power of the variables was 36.4%. This study showed that the better perceived the subjective state of economic level, the better perceived the subjective state of health, the lower the parental stress, the caregiving of two, the more satisfied the life of the grandparents.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it is necessary to develop an intervention to improve health management and stress management.

      • 복합적 요인에 의한 의존 수명분포 하에서의 생명보험에 관한 연구

        박혜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In this study, the dependent joint lifetime distribution is proposed. The classes of bivariate distribution from the advance research by Lee, was used to consider the influence of his/her spouse’s death on the residual lifetime. Using conditional failure rate function, one’s mortality rate affected by his/her spouse’s death was stochastically modelled. When both are alive, the effect of common environment on their initial lifetime distribution was also considered. In addition, the suggested bivariate distribution was applied to the life insurance area. The premium and risk of the joint life insurance and pension could be calculated based on the proposed dependent lifetime distribution. Also, the influence of such lifetime dependency and the environmental effect on premium and risk is analyzed. Finally the summary of the result of this study and future research were covered. 최근 빠른 속도로 고령화가 진행됨에 따라 보험 산업 분야에서는 다양한 연금 및 보험 상품을 출시하며 이러한 사회적 변화에 적극적으로 대응하고 있다. 이러한 보험 상품 중에서 부부 또는 가족을 대상으로 하는 연생보험은 2인 이상의 피보험자 수명을 결합하여 그 생사에 관련된 일정한 조건을 정하고, 이에 따라 보험금을 지급하는 상품이다. 이 경우, 2인 이상의 피보험자는 주로 부부 또는 가족으로 구성되는데, 이러한 경우 각 구성원의 수명이 서로 독립적이라기보다는 상호 연관되어 있는 것이 현실적이다. 이는 경제적 수준, 거주지, 생활 습관 등 여러 가지 요인을 공유하고 있기 때문이라고 볼 수 있다. 따라서 많은 경우 보험가입자의 수명이 이들이 공유하는 환경적 요인에 의해 동시에 영향을 받는 것이 일반적이라고 할 수 있다. 또한 구성원 중 어떠한 한 사람의 사망은 수명과 관련하여 나머지 사람들에게 부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이 일반적이다. 특히 부부의 경우 한 사람의 사망으로 인하여 나머지 사람의 스트레스가 증가하는 것이 일반적이며, 결과적으로 나머지 사람의 수명을 단축시키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영향력 역시 연생보험에서 부부의 수명 분포를 모델링 하는데 반영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본 논문에서는 부부 수명의 상호 연관성을 모델링함에 있어 두 가지 요인을 동시에 고려하고자 한다. 첫째 요인으로, 환경적 요인이 남녀의 수명에 동시에 미치는 영향력을 고려하고자 한다. 그리고 두 번째 요인으로, 주어진 환경 하에서, 한 사람의 사망 이 그 이후 나머지 사람의 장래 수명 분포에 미치는 영향력을 고려하게 될 것이다. 이러한 두 가지 요인을 동시에 고려한 상호 의존적 수명 분포를 생명 보험 분야에 적용하여 부부를 대상으로 하는 연생 보험 및 연생 연금을 다루고, 이에 대한 보험료와 리스크를 산출하고자 한다. 또한 부부가 공유하는 환경의 영향력이나 배우자의 사망으로 인한 부정적 영향력의 정도가 보험료와 리스크에 미치는 영향력을 분석하고 이를 해석해 보고자 한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 결과의 요약을 제시하고, 향후 보다 확장된 연구에 대하여 간단히 소개하고자 한다.

      • Étude sur la théorie du signe linguistique dans le Cours de linguistique générale et les Écrits de linguistique générale de Ferdinand De Saussure : 소쉬르의 『일반언어학 강의』와 『일반언어학 노트』속 언어기호 이론에 관한 연구

        박혜리 서강대학교 일반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L'objectif de notre étude est d'examiner attentivement les pensées sémiologiques de Saussure à travers ces deux œuvres : le Cours de linguistique générale et les Écrits de linguistique générale. Pour ce faire, nous passons des caractéristiques générales sur la linguistique et la sémiologie chez Saussure et voyons les notions essentielles de la sémiologie. À travers ces caractéristiques et ces notions, nous trouvons des éléments contradictoire dans la relation entre la sémiologie et la linguistique dans le Cours de linguistique générale et les Écrits de linguistique générale. Saussure propose d'étudier la langue dans une approche synchronique alors qu'à son époque l'approche diachronique était dominante. Il fait prévaloir la synchronie sur la diachronie. Ses pensées insiste sur la synchronie pour étudier la langue et il arriven enfin à trouver des axiomes pour qu'il puisse établir la sémiologie comme une science. Dans ce mémoire, nous allons traiter de notions importantes pour comprendre la linguistique-sémiologique de Saussure : la linguistique synchronique/diachronique, le rapport syntagmatique/associatif, les caractère social/psychologique, l'immutabilité/la mutabilité. Par ailleurs, pour Saussure, il y a quelques notions importantes dans la sémiologie. Nous pouvons voir la notion de valeur différemment dans le CLG et les ELG. Et nous avons besoin de la distinction entre la langue/la parole/le langage pour définir l'objet de recherche de la linguistique. Nous allons faire la comparaison terminologique de ces trois concepts avec d'autres chercheurs : Chomsky et Von der Gabelentz. En ajoutant la comparaison des représentations du signe, à la fin de ce mémoire, nous allons examiner ses pensées contradictoires sur la relation entre la linguistique et la sémiologie. Saussure a essayé de proposer plusieurs concepts et caractèristiques pour la sémiologie. Même s'il n’a écrit aucun livre pour montrer ses idées, nous pouvons estimer qu'il nous a laissé des indices pour mieux comprendre ses principes sur les signes linguistiques à travers ses cours pour s'approcher d’une sémiologie à caractère scientifique. 구조라는 용어가 어느 시기에, 누구로부터 사용되었는지 알기 위해 시간을 거슬러본다면 우리는 고대 그리스의 철학자인 아리스토텔레스에 이르를 것이다. 하지만 구조는 학자 개개인의 필요에 따라 다르게 수정되고 이해되어 왔고, 실제로 많은 학자들이 프랑스 언어학자인 소쉬르(1857~1913)를 구조주의의 창시자로 보고있다. 그가 일반 언어학 이론으로 근대 언어학의 모델을 제시하였으며 통시언어학이 지배적이던 당시에, 언어를 공시적으로 접근하여 연구할 것을 강조하였기 때문이다. 학계에서는 일반적으로 소쉬르의『일반언어학 강의』를 구조주의의 시작점으로 보고 있으며, 따라서 우리는 그의 사상을 통해 어떠한 점에서 그가 구조주의 기호학의 시작점으로 여겨지며, 그가 현대 기호학에 얼마나 기여하였는지 알 수 있다. 그러나, 소쉬르는 그의 사상을 드러낸 단 한 권의 책도 저술하지 않았다. 우리가 소쉬르의 사상이라고 접하고 있는 『일반언어학 강의』는 이미 우리가 알고있는 것처럼, 소쉬르가 1907년부터 1911년까지 세차례에 걸쳐 학생들에게 가르쳤던 일반언어학 강의의 내용을 제자들이 편집•출판한 것이다. 그리고2002년에 소쉬르의 자필노트, 메모, 편지와 같은 자료들을 묶은 『일반언어학 노트』가 학계에 알려지기 전까지, 우리는 소쉬르의 사상을 오로지 『일반언어학 강의』를 통해서만 이해해왔다. 따라서 본 논문은 『일반언어학 강의』와 『일반언어학 노트』속 소쉬르의 언어기호 이론을 파악하고, 그 안에서 발견되는 모순점들에 대해 탐구하고자 한다. 제1장에서 우리는 소쉬르의 언어학과 기호학의 기본 사상들와 그의 언어이론의 특성들을 살펴볼 것이다. 소쉬르는 그의 사상 속에서 다양한 이항대립을 제시하는데 그 중 첫번째로, 언어를 연구하는데 있어서는 통시적 접근법이 아닌 공시적 접근법이 우위에 있음을 역설하였으며, 두번째로 연합(계열)관계를 제시하여 구조주의 언어학에 큰 영향을 끼쳤다. 이에 덧붙여 그의 언어이론의 특성들(사회적 특성/심리적 특성, 불변성/가변성)을 살펴봄으로써, 소쉬르의 일반 원리들을 전반적으로 이해할 것이다. 제2장에서는 소쉬르 기호학의 필수 개념들을 검토하였다. 가치는 소쉬르가 이야기한 여러 개념들 중에서도 중요한 개념이다. 그는 『일반언어학 강의』에서는 가치의 개념을 단순히 교환관계로 파악하였으나, 『일반언어학 노트』에서는 ‘교환관계’와 ‘소리의 구별’로 가치를 이해하고 있으며, 또한 개념적 측면에서의 가치, 차이와 부정을 통해 파악되는 가치에 대해서도 언급하고 있다. 우리는 가치의 개념을 이해한 뒤, 언어학의 대상으로서의 언어를 파악하기 위해, 그의 랑그와 빠롤, 랑가주 개념을 살펴보고 미국 언어학자인 촘스키와 독일 언어학자인 가벨렌츠의 개념들과의 유사점 혹은 차이점이 있는지에 대해 용어 상의 비교 작업을 수행할 것이다. 또한, 학자마다 기호의 구성요소를 보는 관점과 이를 일컫는 명칭들이 어떻게 다르며, 어떤 차이가 있는지 도식을 통해 살펴본 후, 언어기호의 내재적 원리인 자의성과 선조성에 대해 논의할 것이다. 제3장은 본 논문에서 강조하고자 하는 바를 담은 부분으로, 소쉬르의 기호학에 대한 문헌학적 고찰을 비롯하여, 소쉬르에게서의 기호학과 언어학의 관계, 그 안에서 발견되는 모순점, 소쉬르 기호학의 연역적 특성에 대해 분석하고자 한다. 『일반언어학 강의』와 『일반언어학 노트』를 통해 소쉬르 언어기호 이론을 탐구하는 과정을 통해 우리는, 그의 사상들이 전부 분별있게 파악되지는 않는다는 점을 이끌어 낼 수 있다. 왜냐하면 모순점이 발견되는 그 원인이 편집자의 의도 및 관점 개입 혹은 소쉬르 스스로가 모순된 생각을 가지고 있었을 가능성의 여부와 같이 다양하기 때문이다. 하지만『일반언어학 강의』가 편집된 방법과는 상관없이, 그 안에서 발견되는 소쉬르의 사상은 늘 재해석된, 재구성된 사상일 것이다. 『일반언어학 강의』에서 발견되는 이론들이 사실상 『일반언어학 노트』에서 반복적으로 드러나고 있고, 『일반언어학 노트』가 기존 학계에서 연구한 소쉬르의 기호언어학에 대해 아주 새로운 관점을 제시하고 있지는 않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일반언어학 노트』는 소쉬르가 기호학이라는 학문을 만들기 위해 한 노력을 우리에게 보여준다. 즉, 그가 기호학의 공리를 찾기 위해 어떤 일련의 사고 과정 속에 있었는지를 보여주고, 그 사고의 복잡성과 명확성을 드러내주는 역할을 한다는 점에서 진정성 있는 자료라 할 수 있다. 『일반언어학 강의』와 『일반언어학 노트』에서 보여지는 모순점들과 질문들은 완전히 해소되지 않았기 때문에 현재까지도 많은 학자들에게 연구할 과제를 남겨주고 있다.

      • 부모의 방임이 청소년의 음주에 미치는 영향 : 공격성과 우울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박혜리 이화여자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ffects of parents' neglect on adolescent drinking and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s of the external problem of aggression and the internal problem of depression with respect to the relationship between these two factors, so as to explore practical intervention measures designed to ensure healthy adolescent growth and to prevent adolescent drinking. Research problems were set as follows: First, ‘Does parents' neglect have direct effects on adolescent drinking?’, second, ‘Does aggression have mediating effects in the path of parents' neglect leading to adolescent drinking?’, and third, ‘Does depression have mediating effects in the parents of parents' neglect leading to adolescent drinking?’ Subjects targeted 2,009 third graders of high school who responded to panel 1's year 6 survey among ‘Korea's Children / adolescent Panel Survey ("KCYPS") data. For the analysis method, regress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using the SPSS Statistics 22.0 program. For the analysis of mediating effects, the phased analysis method of Baron and Kenny(1986) was used, and for the verification of the significance of mediating effects, the Sobel test was conducted. The analysis results are outlined below. First, parents' neglect had positive effects on adolescent drinking. That is, the more adolescents experienced neglect, the more they had drinking experience. Second, adolescent aggression had complete mediating effect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s' neglect and adolescent drinking. This suggests that adolescents that feel neglected worsen their aggression, thus leading to drinking. Third, adolescent depression had also complete mediating effect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s' neglect and adolescent drinking. This suggests that adolescents that feel neglected worsen their depression, thus leading to drinking. In other words, in the course of neglected children leading to drinking, their aggression and depression had all complete mediating effects, thus suggesting that such aggression and depression problems should be tackled in resolving adolescent drinking with more focus on these problems.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outlined below. For theoretical implications, third graders of high school among adolescents were closely monitored before they reached adulthood so that grounds for social welfare intervention were established. Further, as a method of preventing adolescent drinking hampering a healthy growth into adults, in the home environment, parenting attitudes with neglect and adolescent aggression and depression were examined so multiple effects on adolescent were reviewed, making this study significant. For practical implications, parents' neglect had effects on children's drinking and on their internal and external problems, so the negative effects of parenting attitudes with neglect were determined, and a need was presented to correct such attitudes and to educate on parenting attitudes. Further, adolescent aggression and depression had complete mediating effects in the path of parenting attitude with neglect leading to adolescent drinking, so a need was presented to secure counseling and the development of programs and manuals designed to ease and reduce adolescent aggression and depression, as a strategy of resolving adolescent drinking. Lastly, for policy implications, adolescents who feel neglected are expected to suffer not only internal and external problems and drinking problems but also other various vulnerabilities, so a need was presented to construct public safety nets for adolescents and to positively get involved.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although people are more exposed to drinking as they approach adulthood, parenting attitudes with neglect are related to high-school third graders' drinking problems, and that parents' neglect, in the path of leading to adolescent drinking, worsens adolescent external aggression and internal depression, leading to drinking, and thus that a need to intervene in resolving such adolescent problems was presented. 본 연구는 부모의 방임이 청소년의 음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이 둘의 관계에 있어 외현화 문제인 공격성과 내현화 문제인 우울의 매개효과를 검증함으로써 청소년의 건강한 성장을 도모하고, 청소년 음주예방을 위한 실천적 개입 방안을 모색하려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문제로는 첫째,‘부모의 방임이 청소년의 음주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가?’, 둘째,‘부모의 방임이 청소년의 음주에 이르는 경로에서 공격성은 매개효과를 갖는가?’, 셋째,‘부모의 방임이 청소년의 음주에 이르는 경로에서 우울은 매개효과를 갖는가?’이다. 분석대상은‘한국 아동・청소년패널조사(이하 KCYPS)’의 데이터 중1패널 6차년도 설문에 응답한 고등학교 3학년 학생 2,009명이다. 분석방법은 SPSS Statistics 22.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로지스틱 회귀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매개효과 분석을 위해 Baron and Kenny(1986)의 단계적 분석방법을 사용하였으며 매개효과의 유의도 검증을 위해 Sobel Test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부모의 방임은 청소년의 음주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방임을 많이 경험한 청소년일수록 음주경험이 증가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방임과 청소년의 음주와의 관계에서 공격성은 완전매개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방임을 받고 있다고 느끼는 청소년은 공격성이 악화되며, 이를 통해 음주에 이르게 된다는 의미로 해석된다. 셋째, 방임과 청소년의 음주와의 관계에서 또한 우울이 완전매개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방임을 받고 있다고 느끼는 청소년은 우울이 악화되며, 이를 통해 음주에 이르는 된다는 의미로 해석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방임된 자녀들이 음주를 하게 되는 과정에서 외현화 문제인 공격성과 내현화 문제인 우울이 모두 완전매개효과를 가짐으로써, 방임된 청소년들의 음주문제 해결에 있어 공격성과 우울과 같은 외현화문제, 내현화문제는 배제할 수 없는 요인임이 확인 되었고, 이러한 문제들에 더 초점을 두고 개입하는 것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이와 같은 분석결과에 따른 연구의 함의는 다음과 같다. 이론적 함의로는, 청소년 중에서도 고등학교 3학년을 중심으로 성인기 이전의 청소년을 대상으로 심도 있게 살펴봄으로써 이들을 대상으로 하는 사회복지적 개입 근거를 마련하였다. 또한, 건강한 성인으로써의 성장을 저해하는 음주를 예방하기 위한 방법으로 가정 내 환경으로써 부모의 방임적 양육태도, 청소년의 외현화 문제로써 공격성, 내현화 문제로써 우울을 설정하여 살펴봄으로써 청소년 음주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다각적인 시각을 적용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실천적 함의로는, 가정 내 방임은 청소년 자녀의 음주문제 뿐 아니라, 외현화문제, 내현화문제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어, 부모의 방임적 양육태도의 방임적 양육태도의 부정적 영향을 확인 한 바, 이에 대한 교정과 양육태도에 대한 교육이 필요함을 제시하였다. 또한 공격성과 우울이 부모의 방임적 양육태도와 음주문제의 경로에서 완전매개 효과를 가짐으로써, 청소년 음주문제 해결을 위한 전략으로써 공격성 완화 및 우울의 감소에 대한 상담, 프로그램, 매뉴얼 개발 등의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정책적 함의로는‘방임’을 느끼는 청소년들은 내현화문제, 외현화문제, 음주문제 이외에도 여러 가지 취약점이 예상되는 만큼, 이들에 대한 공적인 안전망 구축과 적극적인 개입이 필요함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는 성인기에 가까워 음주문제에 더 쉽게 노출될 수 있지만, 그 중요성이 경시되어 오던 고등학교 3학년의 음주문제와 부모의 양육태도와의 관련성이라는 측면에 좀 더 초점을 맞춰 청소년 음주와의 관계를 연구 했다는 점과, 방임이 청소년 음주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에서 외현화문제로써 공격성, 내현화문제로써 우울이 악화되고, 이를 통해 음주문제로 이어지고 있음을 밝혀내고, 이에 대한 개입의 필요성을 제시한 점에서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 J. S. Bach <Partita No. 1, BWV. 825>, R. A. Schumann <6 Intermezzi, Op. 4>, N. G. Kapustin <24 Prelude in Jazz Style, Op. 53> 연구

        박혜리 忠南大學校 大學院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atively analyze J. S. Bach’s <Partita No. 1, BWV 825>, R. A. Schumann’s <6 Intermezzi, Op. 4> and N. G. Kapustin’s <24 Prelude in Jazz Style, Op. 52) in terms of structure, forms, melodies, rhythms and techniques. J. S. Bach who represents the Baroque age accommodated and fused not only the German counterpoint but also the Italian rich harmony and the French keyboard techniques into his own music, conducing much to the perfection of the Baroque music. His ‘Partita’ starts with the 17th century variation form and ends up almost with the dance music. His <Partita No. 1, BWV 825> is the shortest and lightest among his 6 keyboard music Partitas. It starts elegantly with the preludium, progressing in the soft allemande, two pleasant and calm minuet and vital zig. This work is well characterized by its composer’s music and dance suite form. Hence, it can well be performed when Bach’s keyboard grammar and dance suite are well understood. The composer Schumann who represents the 19th century Romanticism pursued his emotion and inside world through music, using a variety of composing techniques. <6 Intermezzi, Op. 4> among his earlier piano works was an interlude of an opera in the 18th century but would be a suite consisting of 6 Intermezzi in an independent form in the 19th century. It shows a technique imitating Bach’s style, while each piece shows different characteristics and moods. It would well be possible to understand Schumann’s earlier piano works by analyzing this work. N. G. Kapustin is one of the famous contemporary composer, who combines the elements of Jazz with the Classical music to compose a sophisticated music work. He used various techniques to compose many works: tension, modal interchange changing the melody into the same principal key, such Jazz scales as blues and Be-Bop scales, diverse rhythms such as polyrhythms and swing rhythm, fresh Jazz techniques such as accompanying elements, etc. His <24 Prelude in Jazz Style, Op. 53> combines such Jazz elements with the Classical sonata form, Rondo form and variation form to demonstrate a new musical attempt. Composers perfect their own composing techniques through diverse trials and experiments. Hence, performers are obliged to understand such techniques, while analyzing their music works, for a higher-level performance.

      • L929 세포에서 비소에 의한 세포사멸 유도 및 작용기전

        박혜리 계명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Unlike necrotic cell death, necroptosis or programmed necrosis is induced via formation of recreptor interacting protein 1 (RIP1)-RIP3 complex with subsequent signaling pathway by tumor necrosis factor alpha (TNF-α) stimulation under caspase-compromised conditions. Typically, it can be protected by a RIP1 specific inhibitor necrostatin-1 (Nec-1). Necroptosis has been initially considered as a form of cell demise triggered by ligation of TNF-α to its cognate receptor. However, it has been a growing body of reports that some chemicals and heavy metals can activate nonreceptor-mediated necroptosis. Accordingly, this study is aimed at understanding cell death modality and its mechanism by which arsenite (SA) can induce. Primarily, there were no biochemical hallmarks of apoptosis such as caspase activation and PARP cleavage when cells were treated with SA. However, SA-mediated cell death was considerably rescued by Nec-1, suggesting that SA causes not apoptotic but necroptotic cell death. Furthermore, other biochemical parameters including ROS generation and mitochondrial membrane permeabilization (MMP) depolarization were observed upon SA exposure. As inferred from ROS production, SA-mediated cytotoxicity was effectively protected by ROS scavengers NAC and BHA. When either RIP1 or RIP3 was downregulated by RNA interference, RIP3 knocked-down significantly rescued cells from SA toxicity, suggesting that RIP3 is involved in mediating SA cytotoxicity. Instead, RIP1 silencing potentiated SA-mediated cytotoxicity more noticeably. In conclusion, this result provides a basis for the development of necroptosis-based drugs against apoptosis-resistant cancer cells. Necroptosis는 기존에 알려진 세포괴사와 다르게 TNF-α에 의해 RIP1-RIP3라는 복합체를 형성하여 신호전달 경로를 통해 세포사멸을 유도하며 RIP1 저해제인 necrostatin-1(Nec-1)에 의해 세포사멸이 억제된다. necroptosis는 TNF-α의 수용체 결합에 의해 유도되는 것을 알려져 있으나 최근 화합물과 중금속에 의한 비수용체 매개의 necroptosis 유도가 가능하다는 보고가 있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비소화합물인 아비산나트륨(sodium arsenite, SA)을 이용하여 L929 세포에서 necroptosis 유도여부와 그 작용 기전을 연구하였다. 먼저, SA처리 후 apoptosis의 hallmark인 caspase-3,7의 활성화, PARP의 분절이 유도되지 않는 것을 확인했으며, Nec-1 처리 시 세포사멸이 보호됨으로써 necroptosis 임을 확인하였다. SA 처리 시 ROS의 증가, GSH 감소, MMP 탈분극과 그에 따른 ATP 감소가 일어났으며, ROS scavenger인 NAC, BHA가 ROS뿐 아니라 SA 유도의 necroptosis를 억제함으로써 세포사멸에 ROS가 관여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RIP1, RIP3를 각각 억제했을 때, RIP를 억제한 경우만 SA 유도의 necroptosis가 억제되어 RIP3 의존적인 necroptosis임을 확인하였다. 세포주기 조절에서도 SA에 의해 G2/M기 정지가 일어났으며, 이 과정에 RIP1, RIP3가 관여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SA에 의한 비수용체 매개 necroptosis의 기전을 생화학 및 분자생물학적 수준에서 확인하였고 necroptosis의 기전 규명은 caspase 활성억제에 의한 약제 내성 항암치료 개발에 기초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 닫힌 힘 사슬(Closed Kinetic Chain)과 열린 힘 사슬(Open Kinetic Chain)통합기능체력운동(Integrated Functional Physical Fitness Exercise)이 발레 훈련 시 어린이의 근력, 균형, 정렬 및 뇌 기능에 미치는 영향

        박혜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박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differences between the effects of closed kinetic chain and open kinetic chain integrated functional physical fitness exercises on muscle strength, static and dynamic balance, alignment, and the brain for children in ballet training. 16 elementary school students practicing ballet were subjects for this study. Eight of the students performed closed kinetic chain exercises with an elastic band twice a week for two hours a session over a period of ten weeks. The other eight students performed open kinetic chain exercises for the same amount of time. Dependent variables were muscle strength , static and dynamic balance, foot restitution, and brain for children in ballet training. Core muscle strength and balance was evaluated in 5 directions at different angles (0 degrees, 45, 90, 135, 180) via Centaur, 3-D Spatial Rotation Device (Germany). Toe dorsiflexion and plantar flexion was used to evaluate toe muscle strength via a self-manufactured toe strength gauge equipped with a Curiousity Technologies strain gauge model CBCA-50L. Different ballet movements were used to gauge both static balance and dynamic balance on the force platform (Kistler Type 9281B), and the pressure platform (Gaitview alfoots). The passé balance was used to measure static balance, while the pirouette-arabesque and the turn out jump -side balance was used to measure dynamic balance on the force platform. Both a turn out from 1st position and a demi plié from 1st position (held for 30 seconds with both open and closed eyes) were used to measure static balance on a pressure plate. The MFT (My Fitness Trainer V1.7) was used to measure visual proprioceptive static balance. Subjects stood on the MFT with arms crossed at the chest (to eliminate arm sway) for 30 seconds. Posture was measure in the sagittal and coronal plane via photograph. Three areas were tested to gauge lower extremity misalignment: the pelvis, the subtalar joint, and the calcanus. Pelvic level, pelvic elevation, and pelvic rotation were evaluated via angulometer. Subtalar joint range of motion was evaluated via tractograph, and resting calcaneal stance position (RCSP) was measured by gravity goniometer. There were three tests of brain function. The first was the Grid Test of concentration. The second test measured success quotient intelligence (SQI) and the third measured the brain quotient (Clinical Cognitative Neuroscience Center, Seoul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There wer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open kinetic chain control group and the closed kinetic chain test group at the beginning of the test period. A. Core Muscle Strength and Balance Both groups significantly increased their core muscle strength and balance by the end of the test period, but the closed kinetic chain test group showed a significantly greater improvement compared to the open kinetic chain control group. B. Toe Muscle Strength Both groups significantly increased their toe muscle strength by the end of the test period, but the closed kinetic chain test group showed a significantly greater improvement in dorsi-plantar flexion compared to the open kinetic chain control group. C. Static Balance (passé balance) 1. At the end of the test period, both groups improved their static balance (pressure trajectory range in the x y axis) but neither improvement resulted in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static balance. The closed kinetic chain test group did improve more than the open kinetic chain control group, but again, this difference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D. Dynamic Balance 1. Pirouette-Arabesque At the end of the test period, the closed kinetic chain test group significantly decreased the time between pirouette and arabesque. The open kinetic chain control group had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ime. 2. Turn out Jump-Side Balance Both groups significantly improved ground reaction force variables by the end of the test period, but there was a significantly greater improvement for the closed kinetic chain test group. E. Proprioceptive Static Balance Both groups significantly improved proprioceptive static balance in every category by the end of the test period, but the closed kinectic chain test group had significantly greater improvement in the right / left, forefoot / rearfoot, eyes open / closed, total length, direction of sway, and stability score than the open kinetic chain control group. F. Visual Proprioceptive Static Balance Both groups significantly increased their visual proprioceptive static balance by the end of the test period, but the closed kinetic chain test group (anterior / posterior, lateral direction with both feet on the MFT, and with only the right or left foot on the MFT) had a significantly great improvement compared to the open kinetic chain control group. G. Posture 1. Both groups significantly improved their posture by the end of the test period in both the sagittal and coronal plane. However, the closed kinetic chain group had significantly more improvement than the open kinetic chain group in both planes. This demonstrates that closed-loop exercises are more effective for correcting posture than open kinetic chain exercises. H. Lower alignment Both groups significantly decreased their lower alignment by the end of the test period, but the closed kinetic chain test group showed a significantly greater improvement external rotation of the foot, dorsi-flexion, knee flexion / extension, squat, right and left leg trendelen compared to the open kinetic chain control group. I. Brain Function Both groups significantly increased their grid test scores, SQI, and BQ by the end of the test period. The closed kinetic chain test group showed a significantly greater improvement in the Grid Test, Creativity Quotient (within SQI) and spatial awareness (within BQ). Meanwhile, the open kinetic chain control group showed significant improvement in the Grid Test, Analytical and Practical Quotient (within SQI) and total BQ. Both test groups showed improvement in all test areas by the end of the test period. However, closed chain integrated functional physical fitness exercises demonstrated greater increases compared to open chain integrated functional physical fitness exercises. Thus, the use of elastic bands enhances not only physical development but also requires proper form and body alignment to apply force against resistance. This, in turn may recruit more muscle activation -not only to apply force to the elastic band, but also to stabilize the joints applying pressure. These increased neuromuscular connections may, in turn result in greater brain stimulation and improved brain function. In conclusion the incorporation of an elastic band into integrated functional physical fitness exercises can have a variety of postive effects, from improved posture, to better brain functioning. Further study should be pursued to determine the exact nature of these benefits as well as how to maximize these benefits in a integrated functional physical fitness program. 본 연구의 목적은 어린이 발레전공자들에게 닫힌 힘 사슬(Closed Kinetic Chain)과 열린 힘 사슬(Open Kinetic Chain)통합기능체력운동이 근력, 균형, 정렬 및 뇌 기능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것이다. 닫힌 힘 사슬 통합기능체력운동은 열린 힘 사슬 통합기능체력 운동에 비해 손과 다리를 연결시키므로 코어를 중심으로 상지와 하지의 근육 간, 근육 내 협응(inter/ intra muscular coordination)을 향상시키므로, 코어 근육과 균형능력을 향상시키는데 효과적임은 물론, 다양한 근육들의 상호작용을 통해 많은 수의 근육이 동원되므로 신경계도 활성화시켜 궁극적으로는 뇌의 활성화에도 기여할 것이라는 가정하에 시행되었다. 연구 대상은 초등학교 발레전공자 16명으로, 8명은 탄성줄을 이용한 닫힌 힘 사슬 통합기능체력운동집단으로, 나머지 8명은 맨손으로 열린 힘 사슬 통합기능체력운동집단으로 하였다. 닫힌 힘 사슬과 열린 힘 사슬 통합기능체력운동은 공기가 들어간 높이 20cm의 에어돔을 사용하는 점은 같으나, 손에 탄성줄을 잡고 훈련한 것을 닫힌 힘 사슬운동으로, 탄성줄을 사용하지 않고 손을 자유롭게 사용한 훈련은 열린 힘 사슬 운동으로 규정하였다. 닫힌 힘 사슬 운동과 열린 힘 사슬 운동은 클래식 발레동작을 주 2회, 120분씩, 10주간 실시하였다. 독립변인은 닫힌 힘 사슬과 열린 힘 사슬 통합기능체력운동이다. 종속변인은 근력, 균형, 정렬, 그리고 뇌 기능이다. 근력은 코어근력, 발가락 배굴력과 저굴력, 엄지발가락 배굴력으로 나누어 측정하였다. 균형은 정적, 동적균형, 체성 감각 정적 균형, 목표 시지각 체성 감각 균형으로 구분하였다. 정적 균형은 발레전공자들의 기본동작인 팟세 발란스로 동적균형은 삐루엣(Pirouette)-아라베스크(Arabesque)연결 동작과 수직점프 후 균형을 잡는 턴 아웃 점프(Turn out jump)-사이드 발란스(Side balance)의 연결동작을 지면 반력기를 이용하여 운동역학적으로 분석하였다. 지면 반력 변인은 수직(z)방향의 최대값, 시간차, 증가율, 감소율, 증가역적, 감소역적 등을 분석하였고, 압력중심의 x,y방향의 궤적과 이동범위를 분석하였다. 체성 감각 정적 균형은 족압측정기를 사용하여 30초동안 드미쁠리에(demi plié)제1번 포지션을 차안, 개안 상태로 측정하였다. 목표 시지각 체성 감각 균형을 측정하기 위하여 발레 동작의 특성을 고려한 균형 검사를 실시하였다. 또한 하지 정렬과 뇌 기능을 측정하였다. 정렬은 자세와 하지 정렬로 구분하였다. 자세는 정면과 측면에서 측정하였다. 측면자세는 복사뼈를 중심으로 연결한 수직선을 그어 귀불, 어깨, 팔꿈치, 손목, 무릎의 거리(cm)를 구하였고, 몸 전체의 기울기와 허리만곡의 정도를 측정하였다. 후면자세는 귀불, 어깨, 견갑골, 무릎, 종아리, 발목의 좌우 기울임(°) 자세의 균형 정도를 파악하였다. 뇌 기능은 집중력, 성공지능진단검사, 브레인테스트로 구분하였다. 자료처리는 Window용 SPSS 18.0 통계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집단 간 대응 표본T-검정을, 운동 프로그램에 따른 집단 간 처치 전후의 각 요인별 변화는 반복측정 독립 표본 T-검정을 실시하였다. 유의 수준은 p<.05로 설정하였다. 결과 및 논의는 다음과 같다. A. 근력 1. 코어 근력 1. 닫힌 힘 사슬 통합기능체력운동 집단은 훈련 후 모든 각도( 0˚, 45˚(L), 90˚(L),135˚(L), 180˚, 45˚(R), 90˚ (R), 135˚(R)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들은 공기압을 이용한 에어돔 위에서 이루어진 모든 훈련들은 항상 코어근육을 동원시키므로 코어근력에 도움을 준 결과라고 볼 수 있다. 닫힌 힘 사슬 통합기능체력운동은 기존의 앞뒤방향으로 집중되는 훈련에 비해 다양한 방향으로 이루어졌으며, 공기압을 이용한 에어돔 위에서 탄성줄을 이용하여 이루어진 훈련들은 공기압력의 특성에 따라 반작용력이 다양한 방향에서 나타나므로 코어근력을 좀 더 향상시켰다고 볼 수 있다. 2. 발가락 근력 1. 닫힌 힘 사슬과 열린 힘 사슬 통합기능체력운동 집단 모두 발가락 근력이 증가하였으나 닫힌 힘 사슬 통합기능체력운동 집단은 오른쪽 발가락 배굴력, 왼쪽 발가락 배굴력, 오른쪽 발가락 저굴력, 왼쪽 발가락 저굴력이 증가하였다. 2. 열린 힘 사슬 통합기능체력운동 집단은 오른쪽 발가락 저굴력, 왼쪽 발가락 저굴력만이 증가하였다. 열린 힘 사슬 통합기능체력운동 집단은 공기압을 이용한 에어돔 훈련으로 인해 발가락으로 내리누르는 저굴력이 증가하였으나 닫힌 힘 사슬 통합기능체력운동과 같이 배굴력과 저굴력 모두 증가하지 않았다. 발가락 배굴력의 증가는 발가락으로 들어올리는 힘이 증가함을 의미하고, 저굴력의 증가는 발가락으로 내리누르는 힘이 증가함을 의미하므로 닫힌 힘 사슬 통합기능체력운동이 발가락 운동에도 더 많은 영향을 주었으며 긍정적인 효과가 있다고 할 수 있다. B 균형 1. 정적균형(팟세 발란스) 팟세 발란스는 두 집단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으나 닫힌 힘 사슬 통합기능체력운동 집단이 열린 힘 사슬 통합기능체력운동 집단보다 압력중심의 x, y방향의 궤적, 이동범위가 감소하여 좌우, 전후 움직임의 범위가 줄어들어 균형을 유지하는데 필요한 근육들이 강화된 결과라고 할 수 있다. 2. 동적 균형(회전 균형;삐루엣–아라베스크 연결동작) 닫힌 힘 사슬 통합기능체력운동 집단에서 훈련 후 시간차에서만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삐루엣 회전동작 구간 시 회전속도가 감소하여 더욱 빠르게 회전한 것을 알 수 있다. 3. 동적 균형(턴 아웃 점프-사이드 발란스 연결동작) 닫힌 힘 사슬 통합기능체력운동 집단이 수직 지면 반력 최대값, 시간차, 범위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수직 지면 반력의 최대값이 감소하여 내리누르는 힘의 감소로 같은 몸무게를 가지고 내리누르는 힘이 감소하였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시간차가 감소하여 빠르게 도약하고 착지하는 것을 볼 수 있으며, 범위가 감소하여 좌우, 전후 움직임이 감소하였다. 4. 체성 감각 정적 균형(proprioceptive static balance) 1. 닫힌 힘 사슬 통합기능체력운동 집단의 정적균형은 왼발 전체, 오른발 전체, 오른발의 전족부, 후족부와 차안 시 전체 움직임 길이, 흔들린 방향, 안정성 점수에 유의하게 향상되었다. 훈련 전, 왼발과 오른발이 고르게 압력을 받는 것이 아니라, 오른발에 전체적으로 치우쳐 있던 것이 양 발에 고르게 분포되는 것을 알 수 있으며, 후족부에 치우쳐 있던 것이 고르게 분포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차안의 경우 전체 움직임 길이, 최대 흔들림 방향, 최소 흔들림 방향, 안정성 점수가 감소되어 닫힌 힘 사슬 통합기능체력운동이 체성 감각 정적 균형 발달에 효과적이라고 할 수 있다. 2. 열린 힘 사슬 통합기능체력운동 집단에서는 정적 균형 검사사에서 왼발 전체, 오른발 전체, 오른발의 전족부, 후족부, 압력과 차안시 전체 움직임 길이에서 유의하게 향상되었다. 이러한 결과들은 공기압을 이용한 에어돔 훈련이 체성 감각 정적 균형에 영향을 주는 것임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차안 시 최대/최소 흔들림 방향, 안정성 점수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아 닫힌 힘 사슬 통합기능체력운동 훈련이 체성 감각 정적 균형을 발달시키는데 더욱 효과적이라 할 수 있다. 5. 목표 시지각 체성 감각 균형(visual proprioceptive static balance) 1. 닫힌 힘 사슬 통합기능체력운동 집단은 훈련 후 양발 좌우∙전후, 한발 좌우∙전후 모든 균형 변인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점수의 감소는 반응력이 우수하고 근육 협응력이 뛰어나고, 근육의 협응력과 움직임의 반응력이 제한적임을 의미하므로 닫힌 힘 사슬 통합기능체력운동 집단 훈련 후 좌우∙전후 균형 능력이 향상됨을 시사한다. 2. 열린 힘 사슬 통합기능체력운동 집단은 좌우 왼발과 전후 오른발과 왼발에서만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들은 닫힌 힘 사슬 통합기능체력운동 훈련이 양발 좌우∙전후 균형능력과 한발 좌우∙전후 균형능력 모두를 발달시키는데 효과적이라 할 수 있다. C. 정렬 1. 자세 닫힌 힘 사슬과 열린 힘 사슬 통합기능체력운동 후 두 집단 모두 측면, 후면에서 자세가 유의하게 향상되었으나 닫힌 힘 사슬 통합기능체력운동 집단이 열린 힘 사슬 통합기능체력운동 집단보다 많은 부위에서 향상되었다. 2. 하지 정렬 1. 닫힌 힘 사슬 통합기능체력운동 집단은 오른발 외회전, 배측굴곡 시 왼발 무릎굴곡, 오른발 무릎굴곡, 왼발 무릎신전, 오른발 무릎신전, 스쿼트, 왼발 한 다리 들기 자세, 오른발 한 다리 들기 자세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2. 열린 힘 사슬 통합기능체력운동 집단은 왼발 외회전, 오른발 외회전, 왼발 내회전, 오른발 내회전, 배측굴곡 시 왼발 무릎신전, 골반기울기, 오른발 한 다리 들기 자세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들은 공기압을 이용한 에어돔 위에서의 훈련이 발, 발목, 무릎, 골반 등 하지에 영향을 주는 것이라고 볼 수 있다. 하지 전체의 좌우 비대칭적인 움직임은 골반의 움직임까지도 비대칭화시키게 되며 골반의 비대칭적인 회전은 골반 위에 놓여있는 척추의 정렬도 나쁘게 만들어 불안정한 자세를 만든다. 특히 발레동작은 골반의 움직임이 무엇보다도 중요하며 골반의 비틀림 현상은 발레동작의 기술 난이도에 한계를 가져오며 부상의 위험이 따르게 된다. 닫힌 힘 사슬 통합기능체력운동 후, 발과 발목, 무릎의 굴곡•신전, 골반 등의 균형이 발달하여 자세, 균형, 발의 안정성을 증가시킨 것이라고 볼 수 있다. D. 뇌 기능 1. 닫힌 힘 사슬 통합기능체력운동 집단은 집중력, 성공지능진단검사의 창의지능, 브레인 테스트의 공간지각력에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2. 열린 힘 사슬 통합기능체력운동 집단은 집중력, 성공지능진단검사의 분석지능, 실천지능, 브레인 테스트의 최저 브레인지수가 유의하게 높아졌다. 닫힌 힘 사슬 통합기능체력운동은 탄성줄을 이용하여 새로운 동작을 학습하여 창의지능이 향상된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닫힌 힘 사슬 통합기능체력운동은 공간지각력을 발달시키는데 도움이 된 것을 볼 수 있다. 10주 동안의 닫힌 힘 사슬 통합기능체력운동 집단은 훈련 후 측면과 후면에서 바른 정렬 자세로 변화하였고, 코어근육의 강화와 발가락 근력, 하지 정렬, 뇌 기능의 향상으로 발레 균형기술 난이도에 있어서 정적균형 능력과 동적균형 능력이 안정적이게 되었다. 또한 발가락 사용의 증가로 정적•동적 균형능력에서 흔들림의 범위가 감소하였다. 그러므로 열린 힘 사슬 통합기능체력운동에 비해 닫힌 힘 사슬 통합기능체력운동 프로그램이 균형능력 향상 뿐만 아니라 근육간 협응력의 증가와 전정계에 효과를 가져왔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연구는 무용 시 기술향상 뿐만 아니라 정적∙동적 균형과 관련된 바른 신체 정렬 및 상해예방을 위한 훈련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 자료로 유용할 것이다. 공기압과 탄성을 이용한 닫힌 힘 사슬 통합기능체력운동은 흔들리는 중심축을 이용하며, 다양한 무게중심, 다양한 방향, 압력, 속도, 지지기저면적을 이용하여 큰 근육과 작은 근육을 통합적으로 함께 사용하기 때문에 일반적인 운동보다 근육을 더 많이 사용하게 되고, 이것이 더 많은 신경계를 동원하게 되므로 근력증가, 균형능력의 향상, 자세교정 뿐만 아니라 신경계의 활성화를 통해 뇌기능을 향상시키는데 효과적이었다는 결론을 내릴 수 있다. 균형능력과 협응력은 체력요인 중에 가장 상위에 있는 체력이다. 균형과 협응력을 좋게 하는 데는 근력만 좋아서도 안되고 근력, 유연성, 반응시간, 민첩성 등 체력뿐만 아니라 체성 감각, 전정계, 반사작용 등의 많은 감각 요인들이 통합적으로 균형을 이루어야 가능한 것이다. 공기압과 탄성 줄을 이용한 닫힌 힘 사슬 통합기능체력 운동은 또한 발목 전략 운동뿐만 아니라 발가락 운동에도 효과적이어서 족압을 고르게 분산시키는 역할도 하였다. 여기에 시각, 전정계, 체성 감각 등 감각운동을 첨가한 것이 균형능력 향상과 고유수용감각 및 뇌 활성화에 더욱 기여하였다고 평가할 수 있겠다. 이러한 닫힌 힘 사슬 통합기능체력운동 훈련은 닫힌 사슬 안에서 모든 동작이 이루어 져야 하므로 관절 내/ 관절 간/ 그리고 근육 간, 근육 내 협응이 이루어지게 유도하므로 몸 전체의 미세한 근육까지도 조절하게 하여 상해 예방 및 치료에 효과적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연구는 추후 연구과제로 한다. 또한 본 연구는 뇌기능의 활성화를 설문형식을 이용하여 간접적으로 입증하였다. fMRI, BDNF 등의 뇌기능의 직접적인 변인에 대한 연구 역시 추후 과제로 한다.

      • 악취 및 VOC 처리를 위한 폐가스처리시스템

        박혜리 대구대학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실험 A : 광촉매반응기의 충전제로서 glass bead-광촉매담체를 control로 하고 다공성의 silica-based 광촉매담체를 사용하였을 때의 악취 및 VOC를 함유한 폐가스의 광촉매 처리효율에 대한 광촉매담체 다공성의 영향평가를 수행하였다. 다공성의 silica-based-광촉매담체의 광촉매 코팅량은 1,716.3 μg/cm2로서 nonporous glass bead(control)에 담지된 광촉매 코팅량인 670 μg/cm2 값의 약 50%이었다. Porous silica-based 담체가 충전된 광촉매반응기의 황화수소 및 톨루엔 제거효율은 각각 22% 및 82%로서, glass-bead 담체가 충전된 UV/광촉매반응기의 경우의 황화수소 및 톨루엔 제거효율인 각각 19% 및 53%와 비교하였을 때에 황화수소의 경우는 약 16% 증가하였고 톨루엔의 경우는 약 55% 증가하였다. 따라서 다공성의 silica-based 광촉매담체를 사용함으로써 황화수소와 톨루엔의 동시처리효율을 각각 제고하였고, 처리효율의 제거율은 황화수소보다 톨루엔의 경우가 3.4배 높았다. 실험 B : 퇴비공장 또는 공공시설에서 발생되는 악취폐가스의 대표적인 제거대상 오염원인 황화수소와 암모니아를 포함한 악취폐가스를 처리하기 위하여 여러 운전 조건 하에서의 Thiobacillus sp. IW 및 반송슬러지를 고정한 담체를 충전한 semi-pilot 바이오필터 시스템을 운전하였다. Semi-pilot 바이오필터 운전 초반 및 중반에서는 황화수소 제거효율은 암모니아 부하와 무관하였으나, 암모니아 제거효율은 황화수소 부하가 커짐에 따라서 감소하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semi-pilot 바이오필터 운전 후반에서는 황화수소 부하가 커짐에도 불구하고 암모니아 제거효율이 영향을 받지 않았다. 이것은 semi-pilot 바이오필터 운전 후반의 buffer solution의 지속적 투입으로 인하여 semi-pilot 바이오필터담체의 산성화가 크지 않음에 기인한다고 간주된다. Semi-pilot 바이오필터시스템으로 황화수소와 암모니아의 동시제거를 할 때에 황화수소와 암모니아의 최대 elimination capacity 값은 각각 약 58 및 30 g/m3/h이었다. 이와 같이 semi-pilot 바이오필터 운전에 의하여 황화수소와 암모니아를 동시 제거한 경우에는 실험실규모 바이오필터의 유사한 운전조건 하에서 둘 중의 하나만을 함유한 경우보다 제거용량이 각각 약 39%와 46% 만큼 감소하여서, 황화수소와 암모니아를 동시 제거한 경우에 암모니아 최대제거용량이 황화수소 최대제거용량보다 7% 만큼 더 감소하였다. Experiment A : The effect of photocatalyst-carrying media porosity on the photocatalytic removal efficiency of malodor and VOC of waste air was evaluated when the photocatalytic removal efficiency of porous silica-based media was compared with that of glass bead as control. The amount of photocatalyst coated on the surface of porous silica-based media was observed to be 1,716.3 μg/cm2, which was 250% as much as that of nonporous glass bead (control) of 670 μg/cm2. The removal efficiencies of hydrogen sulfide and toluene in case of porous silica-based media were observed to be 22% and 82%, respectively, while the removal efficiencies of hydrogen sulfide and toluene in case of nonporous glass bead media were observed to be 19% and 53%, respectively. Therefore, the removal efficiencies of hydrogen sulfide and toluene increased by 16% and 55%, respectively, when the removal efficiencies of porous silica-based media were compared with those of nonporous glass bead media. Thus the increment ratio of the removal efficiency of toluene was observed to be 3.4 times higher than that of hydrogen sulfide. Experiment B : A semi-pilot biofilter packed with media with immobilized Thiobacillus sp. IW and return sludge, was operated under various operating conditions in order to treat malodorous waste air containing both hydrogen sulfide and ammonia which are major air pollutants emitted from composting factories and many publicly owned treatment works (POTW). At the incipient and middle stages of a semi-pilot biofilter operation, the hydrogen sulfide-removal efficiency behaves regardless of an inlet-load of ammonia. However, the ammonia-removal efficiency decreased as an inlet-load of hydrogen sulfide increased. Nevertheless, at the final stage of the semi-pilot biofilter operation, the ammonia-removal efficiency was not affected by the increase of hydrogen sulfide-inlet load. It is attributed to that a serious acidification of semi-pilot biofilter-media did not occur due to continuous injection of buffer solution at the final stage of the semi-pilot biofilter operation. When both hydrogen sulfide and ammonia contained in malodorous waste air were treated simultaneously by semi-pilot biofilter, the maximum elimination capacities of hydrogen sulfide and ammonia turned out to be ca. 58 and 30 g/m3/h, respectively. These maximum elimination capacities were estimated to be ca. 39 and 46% less than those for lab-scaled biofilter-separate elimination of hydrogen sulfide and ammonia, respectively. Thus, for the simultaneous biofilter-treatment of hydrogen sulfide and ammonia, the maximum elimination capacity of ammonia decreased by 7% more than that of hydrogen sulfide.

      • 논증 구조를 활용한 설득적 텍스트의 교육 방안 연구

        박혜리 서강대학교 교육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contents of argumentation education so far has been made focusing on a specific text. However, for a more systematical approach on the argumentation education, contents and methods of argumentation education that can overcome the type of specific text should be provided. Based on these perspectives, this paper will establish the contents and methods of argumentation education that can be utilized in the expressional education and for understanding of actual persuasive text. Here, the contents and methods of argumentation education are organized around the argumentation structure. This paper will discuss the problems of previous argumentation education through the curriculum and textbooks. As a result of critically reviewing the current argumentation education, the following problems were found. First, the contents of argumentation education are presented sporadically or secondarily focusing on the type of text. Second, the contents of knowledge related to the text structure are insufficient. Third, it deals with the structure that is irrelevant with the contents. Fourth, it lacks the contents of step-by-step educational method on how to prepare for a specific claim and basis. Based on these problems, the importance of argumentation structure can be verifie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demonstrative relationship targeting the persuasive text proposed by the type of text in the textbooks, the importance of argumentation structure can be verified. In the analysis of demonstrative relationship, the analysis of argumentation structure can prove to be a proper structure for understanding the contents of the text itself. Second, it can be seen that the argumentation structure is correlated with the demonstrative contents. Third, it can be seen that the argumentation structure can be proposed as a method for providing a specific claim and basis through phasing. Therefore, when designing the argumentation education centering on the argumentation structure, it is thought to be able to solve the problems of previous argumentation education. The design of argumentation education should provide a specific contents and methods centering on the argumentation structure and should include the contents that teach the patterns using the step-by-step variables of argumentation structure. The contents of argumentation education should be reconfigured centering on the argumentation structure and the foothold for teaching this should be provided. The contents of argumentation education are to examine the goals of argumentation education within the target layer and providing the layers of information systems. Teaching methods of argumentation education is configured in teaching model utilizing the argumentation structure, utilization method of argumentation structure and step-by-step teaching method of argumentation structure. This paper has its significance in that it has provided the contents of argumentation education as a general principle of the common area which was taught sporadically or secondarily and exploring a systematic teaching methods centering on the argumentation structure. It is thought to be able to contribute positively to a useful utilization of the argumentation structure and to a clear understanding and expression of contents and structure of persuasive text. 현재까지 논증 교육의 내용은 특정 텍스트를 중심으로 이루어져 왔다. 하지만 앞으로 논증 교육에 대해 좀 더 체계적으로 접근하기 위하여 특정 텍스트의 종류를 넘어설 수 있는 논증 교육의 내용과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 본고는 이러한 관점을 바탕으로 실제 설득적 텍스트의 이해와 표현 교육에 활용할 수 있는 논증 교육의 내용과 방안을 마련한다. 여기에서 논증 교육의 내용과 방안은 논증 구조를 중심으로 구성한다. 본고는 교육과정과 교과서를 통해 기존 논증 교육의 문제점을 논의한다. 현행 논증 교육을 비판적으로 고찰해 본 결과 다음과 같은 문제점을 찾아볼 수 있다. 첫째, 텍스트 종류를 중심으로 논증 교육의 내용을 산발적이거나 지엽적으로 제시하고 있다. 둘째, 텍스트 구조에 관한 지식의 내용이 부족하다. 셋째, 내용과 상관없는 구조를 다루고 있다. 넷째, 구체적으로 주장과 근거를 마련하는 방법에 관한 단계별 교육 방안의 내용이 결여되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토대로 논증 구조의 중요성을 확인할 수 있다. 교과서에 텍스트 종류별로 제시된 설득적 텍스트를 대상으로 논증 관계를 분석한 결과, 논증 구조의 중요성을 확인할 수 있다. 논증 관계의 분석에서 논증 구조의 분석이 첫째, 텍스트의 내용 자체를 이해하기에 적절한 구조임을 확인할 수 있다. 둘째, 논증 구조가 논증 내용과 상관있는 구조임을 확인할 수 있다. 셋째, 논증 구조가 구체적인 주장과 근거를 마련하는 방법으로 단계화하여 제시할 수 있는 구조임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논증 구조를 중심으로 논증 교육을 설계할 경우 기존 논증 교육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논증 교육의 설계는 논증 구조를 중심으로 구체적인 논증 교육의 내용과 방안을 마련해야 하며, 논증 구조의 단계별 변이 양상을 지도하는 내용을 포함해야 한다. 논증 구조를 중심으로 논증 교육의 내용을 재구성하고, 이를 지도하는 방안의 발판을 마련하는 것이다. 논증 교육의 내용은 목표 층위에서 논증 교육의 목표를 살펴보고, 이를 바탕으로 내용 체계의 층위를 마련한다. 논증 교육의 지도 방안은 논증 구조를 활용한 교수 모형, 3단 구성에 따른 논증 구조의 활용 방안, 논증 구조의 단계별 지도 방안으로 구성한다. 본고는 산발적이거나 지엽적으로 가르쳐온 논증 교육의 내용을 영역 공통적인 일반의 원리로서 논증 교육의 내용을 마련하고, 논증 구조를 중심으로 향후 체계적인 지도 방안을 모색한 데 의의가 있다. 논증 구조를 유용하게 활용하여 설득적 텍스트의 내용과 구조를 명확하게 이해하고 표현하는 데 긍정적으로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