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박현미 원광대학교 경영대학원 2014 국내석사
조직체의 목적을 효과적으로 달성하려면 조직을 구성하고 있는 개인과 집단의 협조가 매우 중요하다. 개인과 집단의 협조는 그들과 직접적으로 상호작용을 하는 리더의 역할이 없이는 실현될 수 없다. 그 중 리더의 의사결정은 조직의 결정권자가 여러 가지 대안 중에서 합리적 사고과정을 통해 비교, 분석, 검토를 한 후 조직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하여 최적의 안을 선택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Rowe의 의사결정유형 이론을 바탕으로 원불교 교무의 의사결정유형이 조직성과 관계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연구이다. 연구의 독립변수인 의사결정유형을 구성하는 변수로 지시형, 분석형, 관념형, 행위형을 설정하였고, 종속변수인 조직성과 관계성의 변수는 조직몰입과 직무만족으로 설정하였다. 마지막으로 인구통계학적 특성은 급수, 연령, 학력, 지역, 직종을 설정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리더의 의사결정유형이 조직몰입에 유의적인 차이가 있다’는 가설을 검증한 결과, 조직몰입은 지시형, 분석형, 관념형, 행위형 중 분석형, 행위형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를 나타냈다. 또한 두 요인 중 조직몰입과 가장 높은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행위형으로 나타났으며, 이와 같은 결과는 조직원들의 조직몰입을 유도하기 위해서는 리더는 먼저 실천(행동)하며, 문제상황을 파악할 수 있는 데이터로, 회의를 통해서 상대를 설득하며 의사소통을 해 나아가야 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둘째, ‘리더의 의사결정유형이 직무만족에 유의적인 차이가 있다’는 가설을 검증한 결과, 지시형, 분석형, 관념형, 행위형이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를 나타냈다. 또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인 네 가지 요인 중 분석형이 직무만족과 상호관계에 가장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으며, 이와 같은 결과는 조직원들의 직무만족을 유도하기 위해서는 리더는 임무와 기능을 중요시하여 다양함과 혁신적인 태도로 최고의 결론을 얻어 문제해결을 즐기도록 해야 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셋째, ‘인구통계학적 특성(급수, 연령, 학력, 지역, 직종)은 조직성과 관계성보다 리더의 의사결정유형에 유의적인 차이가 있을 것이다.’라는 가설을 검증한 결과, 리더의 의사결정유형은 조직성과와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인구통계학적 특성 중 조직성과 관계성은 학력 부분에서만 유의한 차이가 있을 뿐 나머지는 통계적 차이가 없었다. The cooperation between a group and its members is important to achieve the objective of an organization effectively. The cooperation doesn’t become a reality without the role of a leader who interacts directly with them. A leader’s decision-making can be said to choose an optimal item to achieve the objective of an organization after comparing, analyzing, and reviewing various alternatives through the rational processes of thinking. The research, based on Rowe’s theory of decision-making type, is a study of the effects of Won Buddhist ministers’ decision-making types on organizational performance relationship. A commanding type, an analytical type, a contemplative type, and an action type are used as independent variables of decision-making types, and organizational performance relationship are used as dependent variables. Finally, rank, age, education, region, and job are set up as demographic characteristics. The research was done under those condition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the verification of the hypothesis that ‘a leader’ decision-making type has a significant effect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 analytical type and an action type hav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of the two, an action type has the greater effect. This result means that a leader should take the lead to induce its members into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persuade and communicate with them through meetings to find out problematic situation. Second, as a result of the verification of the hypothesis that ‘a leader’ decision-making type has a significant effect on job satisfaction’, a commanding type, an analytical type, a contemplative type, and an action type all have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s. And of the four, an analytical type has the most important effects on job satisfaction and relationship. This result means that a leader should put emphasis on his or her own duty, come to the best conclusion with diversity and innovative attitudes, and enjoy solving problems to induce its members into job satisfaction. Third, as a result of the verification of the hypothesis that ‘demographic characteristics (rank, age, education, region, and job)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a leader’s decision-making rather than organizational performance relationship’, a leader’s decision-making shows a significant difference, while organizational performanc relationship doesn’t show any statistical difference except for education.
Grundprobleme der Strakturalen Textsemantik : 박현미
박현미 Freie Univ. Berlin 1994 해외박사
1966년 A. J.Greimas에 의해 처음으로 언어학에 도입된 Isotopie 개념은 특히 택스트의 의미적 결속 관계를 과학적으로 분석, 기술 가능케하는 방법을 제시 하여 줌으로써 언어학, 특히 텍스트 언어학의 의미 기술에 결정적인 계기를 마련하였다 할 수 있다. 구조주의에 입각한 어휘 의미론의 이론적 토대와 방 법을 바탕으로 텍스트의 의미 관계를 분석, 기술하는 Isotopie는 일련의 어휘 소들이 통일적인, 그리고 문맥적인 의미를 가질 수 있게 하는 의미구조 기술 을 목표로 함으로써 언어학 뿐만 아니라 문예학에서도 흔히 사용되어온 개념 이며, 특히 문학 작품들의 의미의 모호성 내지는 다의성, 혹은 상징(특히 은 유), 그리고 테마 구조를 과학적으로 설명, 해결할 수 있는 유일한 언어학적 수단으로 평가되어왔다. 본 논문은 이에 언어학과 문예학에서 종종 사용되어 온 Greimas의 Isotopie-concept의 테스트 응용에 있어 그 근본적인 문제점들 과 이러한 근본적인 문제점들이 어디에서 연유하는 가를 구조주의 의미론의 이론적, 가정적 원칙들을 상세히 논함으로써 밝히고자 하였다. 특히 문학 작품들의 경우 그 의미가 종종 직접적으로 표현되기 보다 오히려 함축적이고 상징적으로 시사됨으로써 의미 해석에 있어서의 여러 형태들에 의한 Konnotation 의미 파악이 결정적인 역할을 한다 할 수 있다. 본 논문은 따라서 한편으로는 Greimas의 구조주의 의미론의 문학 작품 분석에 있어서의 언급된 원칙적인 문제점들과 한계를, 다른 한편으로는 작품에서 표현되는 Konnotation의 작품 의미 분석에서 가지는 의미와 중요성, 그리고 이들의 출현 형태의 다양함으로 인한 기술상의 한계점들을 설명하는 데 역점을 두었다.
미사전례 안에서의 성가의 즉흥연주(J.S.Bach의 오르간 코랄형식에 의한)
박현미 가톨릭대학교 교회음악대학원 2007 국내석사
Improvisation was grown up in the history of western music, which resulted in a variety of musical formation and development for many works. Initially, choral was monophonic texture, which didn't have fixed accompaniment. Therefore, organists performed improvisation during mass and it was generalized. They improvised through new attempts based on contemporary musical formation. Accordingly, improvisation was taught to organists as an important part, which is continued until now. As Catholicism was settled down in Korea, there has been big improvement in Korean church music. Many sorts of choral like Catholic choral, Gugak choral, authentic choral were generated and developed. Among them, Catholic choral generally used for mass gradually developed and now 4 voicing was settled down. This study was intended to understand improvisation, which developed in the history of church music and suggest improvision of choral to be used for mass, focusing on organ choral formation by Johann Sebastian Bach (1685-1750). The paper generally classified the formations of choral into those which can be used during mass and those which can be played before or after mass. In addition, accompaniment and introduction of choral were suggested for organists to play them for mass. Organists should always make efforts for mass and play new and progressed accompaniment. Furthermore, it is expected that rituals can be more bountiful as organ improvisation is used for mass. 즉흥연주는 서양음악사속에서 성장 하였다. 그 결과 많은 음악형식이 나타나고 발전하면서 여러 곡이 남겨졌다. 처음에 성가는 정해진 반주 없이 단선율 이었다. 이에 오르가니스트들이 미사 중에 즉흥연주를 함으로서 즉흥연주는 통상화 되었다. 그들은 그 시대의 음악형식을 바탕으로 또는 새로운 시도를 통해 즉흥연주를 하였다. 따라서 오르가니스트들에게 즉흥연주는 중요한 부분으로 교육되었고 지금까지 이어지고 있다. 한국에 천주교가 정착하면서 우리의 교회음악도 많은 발전을 하였다. 가톨릭성가, 국악성가, 생활성가등 여러 장르의 성가들이 생겨나고 발전하고 있다. 그중 대표적으로 미사에 사용되는 가톨릭성가는 점차 발전되어 4성부로 정착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교회음악 역사 속에서 나타나고 발전되어온 즉흥연주를 알아보고, 그중 바흐(Johann Sebastian Bach, 1685~1750)의 오르간 코랄형식을 중심으로 미사에 사용할 수 있는 성가의 즉흥연주를 만들어 제시한다. 본 논문에서는 크게 미사 중 사용할 수 있는 형식과 미사 전·후로 사용할 수 있는 형식으로 나누어 보았다. 또한 성가의 반주와 전주의 실제를 제시하여 오르가니스트들이 직접 미사에 활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에 오르가니스트들은 미사를 위해 항상 노력해야하며 새롭고 발전된 성가의 반주를 연주할 수 있어야 한다. 더 나아가 오르간 즉흥연주가 미사 안에서 사용됨으로서 전례가 더욱 풍요로워지기를 바라는 바이다.
Highly Functionalized Furan 유도체 합성을 위한 팔라듐 촉매하에 고리화환원의 새로운 방법
Furans have attracted increasing attention as synthetic target compounds due to their widespread occurrence in nature and wide range of biological activities. In this dissertation, we wish to report the synthesis of highly functionalized furan derivatives via Pd-catalyzed cycloreduction.
전기안전관리대행사업체의 점검기록표 분석을 통한 전기안전관리 개선 방안
본 논문에서는 민간 전기안전관리대행사업체가 관리하고 있는 수용가를 대상으로 매년 300개 업체를 선정하여 점검기록표를 중점으로 분석대상기간(2011~2015년), 5년치 평균 분석결과를 통해 수용가 측면, 대행사업자 측면, 법·제도적 측면에서 문제점과 개선방안을 제시 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락 책임자 선정유무에 있어서는 118건(39.5%)가 선정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고 둘째, 비상연락망 구축 여부에 있어서는 51건(16.9%)이 미구축 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전기점검 지적사항 개보수 여부 분석에서 저압수용가의 경우 누전(절연불량)이 49건(71.6%)으로 가장 높았고 개보수 미완료 건수는 6건(8.4%)이었으며 고압 및 특고압 수용가에서는 누전(절연불량)이 102건(50%) 다음으로 접속부 열화 53건(27%)순으로 나타났고 개보수 미완료 건수는 18건(18.3%)이었다. 넷째, 설비 용량에 따른 점검횟수 누락여부에 있어서는 법정 점검횟수 미달 건수가 6건(0.1%)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전기안전관리자 해임사유 및 해임건수에 있어서는 타 대행업체 선임으로 인한 해임건수는 13건(50%), 대행업체 단독해임 건수는 11건(42.3%), 수용가 요구에 의한 해임건수는 2건(7.7%)로 나타났다. 여섯째, 전기안전관리대행 계약 수수료에 있어서는 한국전기안전공사 대행수수료 대비 저압수용가 분석 결과 70%이하(23.2%), 80%이하(35.7%), 90%이하(33.2%)로 나타났고 고압 및 특고압 수용가에서는 60% 이하(12.4%), 70%이하(41.5%), 80%이하(25.9%), 90%이하(19.12%)로 한국전기안전공사 대행수수료에 비해 저가에 계약되었다. 마지막으로 2015년도 300업체에 대한 전기안전관리대행 계약서 작성 및 누락사항 분석에 있어서는 작성일자나 계약기간 불분명, 계약서 미작성 건수가 66건(22%)가 미비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분석 결과를 통한 문제점 및 개선 방안으로 첫째, 수용가측면에서 연락책임자 미선정 및 비상연락망 미구축, 전기점검 지적사항 개보수를 하지 않는 것은 전기화재 및 감전재해 위험이 있으므로 전기담당 연락 책임자를 선정하고 비상연락망을 구축하여 비상대응 체계를 높이고 지적사항 개보수건에 대하여는 행정 처분 강화를 제시하였다. 둘째, 대행사업자 측면에서는 점검횟수 누락 및 부실점검은 업무태만으로 인한 전기사고로 이어질 수 있으므로 월간점검계획을 수립하여 계획적인 점검이 이루어지도록 하여야 하며 관리 감독을 철저히 할 필요가 있고 대행사업자의 경영 및 운영상의 한계는 지나친 대행수수료의 저가수주로 인한 대행사업자간의 과열 경쟁을 피하고 적정 수수료를 유지해 부실경영 및 부실관리가 되지 않도록 하여야 하며 자본금 및 기술인력 확충으로 기술진단 업무 등의 보완으로 수익을 창출하는 경영의 대형화, 전문화, 건실화 모색 방안을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법·제도적 측면에서는 미선임 수용가에 대한 벌금 부과 철저 이행, 전기안전관리대행사업자에 대한 점검 대가 기준 마련 필요, 표준화된 전기안전관리대행계약서 마련 필요성을 개선 방안으로 제시하였다.
초등 과학 영재 학생과 일반 학생의 천체 운동 관련 개념 분석
박현미 공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21 국내석사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과학 영재 학생과 일반 학생의 천체 운동 관련 개념의 이해 정도를 비교·분석하고 오개념 유형을 파악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학습자의 특성에 따라 효과적으로 천체 운동에 대한 과학적인 개념을 학습할 수 있는 다양한 방법이 연구될 수 있을 것이다.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세종특별자치시 소재의 초등학교 6학년 과학 영재 학생 27명과 일반 학생 30명을 대상으로 천체 운동 관련 개념 검사지를 투입하여 응답하도록 하였다. 개념 검사지는 2015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 분석을 바탕으로 선정한 초등학교 지구와 우주 영역에서 학습하게 되는 14개의 주요 개념을 기준으로 개발하였으며 기존의 천체 운동 관련 개념 검사지를 수정·보완하였다. 개념 검사지의 응답 결과를 바탕으로 과학 영재 학생과 일반 학생의 개념을 비교하여 분석하였으며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과학 영재 학생과 일반 학생의 천체 운동 관련 개념 이해도를 분석한 결과 과학 영재 학생은 일반 학생에 비해 오답을 응답한 학생의 비율이 낮으며 과학적 개념을 가진 학생이 많았다. 특히 지구의 자전축과 자전 방향, 낮과 밤이 생기는 까닭, 계절별 보이는 별자리가 달라지는 까닭, 태양의 고도와 그림자와의 관계, 고도에 따른 태양에너지 양에 대한 개념에서 그 차이가 유의미했다. 둘째, 과학 영재 학생과 일반 학생의 오개념 유형을 분석한 결과 대부분의 문항에서 응답 비율이 높은 오개념 유형은 서로 비슷하였으며 일반 학생이 과학 영재 학생에 비해 다양한 유형의 오개념을 가지고 있었다. 이는 일반 학생을 위한 수업에서 학생들의 개념 변화를 위하여 교사가 보다 다양한 유형의 오개념을 고려해야 할 것으로 해석된다. 또한 과학 영재 학생이 일반 학생에 비하여 오개념 유형이 단순하기 때문에 개념 변화를 위한 수업 후 쉽게 오개념을 과학적 개념으로 변화시킬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준다. 셋째, 2015 개정 초등학교 과학과 교육과정에서 다루는 천체 운동 관련 개념 중 과학 영재 학생과 일반 학생 모두 여러 날 동안 달의 모양·위치 변화에 대해 낮은 개념 이해도를 보이며 일반 학생의 경우 지구의 자전축과 자전 방향, 태양 고도의 정의, 태양 고도와 그림자 사이의 관계, 계절의 변화가 생기는 까닭에도 낮은 개념 이해도를 보인다. 달의 모양·위치 변화, 지구의 자전, 태양의 고도 등에 대한 개념은 특성 상 학생들이 간접적으로 현상을 관찰하거나 모형을 통하여 개념을 이해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오개념이 형성되기 쉬운 것으로 해석된다. 이와 같은 결과에 따라 일반 학생 뿐만 아니라 과학 영재 학생에게도 발견되는 다양한 유형의 오개념을 과학적 개념으로 바꾸기 위한 교수·학습 자료의 개발이 필요하다. 또한 과학 영재 학생과 일반 학생의 수업 전과 수업 후 개념 변화 과정을 구체적으로 비교할 수 있는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 This study establishes a basis for how to effectively learn scientific concepts about celestial motion by comparing and analyzing the understanding of scientifically-gifted and non-gifted elementary students. To this end, 27 scientifically-gifted students and 30 non-gifted students in 6th grade of elementary school in Sejong City were required to respond with conceptual examination papers related to celestial motion. Based on the 2015 revised scientific curriculum analysis, the concept examination paper was developed based on 14 major concepts that will be learned in elementary school earth and space area. Based on the results of the response in this paper, the concepts of scientifically-gifted students and non-gifted students were compared and analyzed, and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scientifically-gifted students had a lower proportion of misconceptions than non-gifted students and many students had scientific concepts. In particular, the difference was significant in the concept of the Earth’s rotation axis and direction, the reason why the day and night occur, the reason why the constellations change by seas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un’s elevation and shadow length, and the amount of solar energy according to its elevation. Second, in most questions, scientifically-gifted and non-gifted students showed that the types of misconceptions with high response rates were similar to each other. And non-gifted students had various types of misconceptions compared to scientifically-gifted students. This is likely to require teachers to consider more different types of misconceptions for conceptual change in classes for non-gifted students. Third, both scientifically-gifted and non-gifted students show low understanding of the moon’s shape and location changes over many days. Even non-gifted students show a low understanding of the concepts of the Earth’s rotation axis and direction, the definition of solar altitude, the relationship between solar altitude and shadow length, and the reason for the seasonal changes. Accordingly, it is necessary to develop various teaching and learning materials to turn various types of misconceptions found not only for non-gifted but also for scientifically-gifted students into scientific concepts. Furthermore, follow-up studies are needed to specifically compare the conceptual change process between scientifically-gifted and non-gifted students before and after class.
XML Schema를 이용한 스키마 통합에서 충돌 문제의 포괄적 분류와 해결
웹을 통해 얻을 수 있는 데이터의 양이 방대해 지면서, 이질적이고 분산된 웹상의 데이터들을 통합하여 이용하려는 요구가 커지고 있다. 데이터의 통합은, 각 데이터의 스키마를 통합하여 단일화된 스키마를 만들고 통합된 스키마에 질의를 하여 원하는 결과를 얻는 것으로 이룰 수 있다. XML은 웹 데이터의 표준이다. 기존의 XML의 스키마 언어로 주로 DTD가 사용되었으나 스키마로써 여러 한계점을 인해 많은 사용자와 응용프로그램의 요구를 만족시키지 못하였다. 이에, W3C는 새로운 스키마 언어로 XML Schema를 표준화 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XML Schema 통합시에 발생하는 스키마 충돌의 포괄적인 분류와, 이때 발생하는 충돌을 해결하고 통합 스키마를 작성하기 위한 기법을 제안한다. XML Schema 언어에 기초하여 모든 가능한 충돌의 목록으로부터 스키마 충돌의 분류를 유도하였다. 또한, 각각의 충돌을 해결하기 위한 기법을 제안하였다. 이러한 방법의 적용으로 스키마 통합시 충돌의 요소를 정확히 찾아내어 해결할 수 있다. 또한, 존재하는 도메인 온톨로지의 공통 어휘집를 사용하여, 의미적으로 풍부하고 재사용 가능한 통합 스키마를 구축할 수 있다. As the quantity of data obtainable from the Web increases, the demand for integrating the large quantity of heterogeneous and distributed data scattered around the Web is accordingly rising. Data integration is achieved as the activities of integration the schemas of existing data into a global schema and of asking a query over the global schema and get the requested data. XML is the standard data on the web. Although DTD was mainly used as the schema of XML, it failed to satisfy the demand of many users and applications. Hence, XML Schema is recommended as the standard schema language by W3C to represent XML schema. In this thesis, we first provided a comprehensive classification of schema conflicts that may arise when integrating XML Schema. We then proposed the techniques for resolving schema conflicts and procedure for constituting integrated global schema. This classification is derived a classification of schema conflicts from an enumeration of all possible conflict sources based on the XML Schema language. Also, we proposed resolution techniques of each conflicts. As an application of this method, almost schema conflicts are detected and resolved. In addition to, we can constitute reusable and semantic-rich global schema using common vocabulary of existing domain ontology.
This thesis is to study the spiritual and historical aspect of Bek Su˘k's poem in 1930. I focused a change of internality in some poems as well as paid attention to selecting his valuable work. In this thesis, I considered the world of Bek Su˘k's poem in three aspects. First is the relation between his poem and modernism, second the consciousness of loss and last the perception of reality, which item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when we consider Korean history under the colonial rule of Japanese in 1930's, it seems to be right that Bek Su˘k's was influenced by modernism in respect of method of creation rather than a world view. As it can be seen in his early poem, this is because he chose non-modernistic material as a poetic object. Second, in Bek Su˘k's poem's where the consciousness of loss is expressed there are <There is a white wind wall>, <I, Natasha and White donkey>, <When I turn away ma face like it> and so on. These works show passive life or nostalgia. Therefore Bek Su˘k's poems represent the consciousness of loss as not a confrontative consciousness against reality hut an acceptance of a pain in reality. His poems show a tenacious attitude of life as we pull our ways through the reality. In this point, it makes us understand the aspect of Korean typical life. Third, Bek Su˘k's who lived in 1930's saw and felt so sad, grievous and depressed lives that we can find them from other people in his early work. In his late, this is, 1940's, he let the phase of perception of reality adhere to his problem. Bek Su˘k's was a poet, who recognized the reality and honest attitude under the colonial situation where our future would not he prosperous. Moreover,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find out that he reproached himself with the internalized cognition of history and tried to keep his pure soul.
박현미 아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국내석사
본 연구에서는 경기도 수원 및 용인, 화성에 위치하고 있는 3개의 중학교 1, 2, 3학년을 대상으로 흡연에 대한 실태를 조사하고, 이와 관련이 있다고 문헌에서 밝혀진 요인들에 따른 흡연여부를 조사하여 파악하고자 하였다. 연구기간은 2003년 4월 2일부터 2003년 4월 9일까지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회수된 설문지 중 성실하게 응답하지 않은 32부를 제외한 508부를 분석자료로 사용하였다. 연구도구는 관련 문헌을 참고하여 연구자가 수정을 하여 이용하였고,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10.0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본 조사의 응답자는 508명으로 흡연 경험이 있는 경우는 28.7%로 나타났으며, 그중 남학생 18.1%, 여학생이 10.6%이었다. 흡연 경험 정도는 호기심에서 한 번 정도의 경험이 가장 높았고, 흡연시작 시기는 중학교 2학년이 56.6%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흡연기간은 1년 미만이 58.5%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흡연동기로는 담배 피우는 모습이 멋있어 보여서 35.8%로 높았으며 그 다음이 호기심에서 34%로 나타났고, 하루 흡연량은 3-5개피가 52.8%로 가장 높았다. 흡연장소는 친구 집 41.5%, 흡연지속 이유로는 친구들과 어울리기 위해서 54.7%로 가장 높았으며, 가족의 흡연에 대한 생각은 사실을 모른다 71.7%로 높았다. 금연시도는 예 89.8%로, 금연교육의 도움은 그저 그렇다 41.5%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가정 환경별 요인에 대해서는 부모님에 대한 만족도가 높을수록 흡연경험이 낮고, 만족도가 낮을수록 흡연 경험이 높아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또한 부모님의 기대감에 따른 흡연 여부는 영향이 없었고, 부모님과의 대화에 따른 흡연 여부는 대화가 많을수록 흡연 경험이 낮게 나타났으며 통계적으로 흡연 여부와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부모님, 어른들의 흡연 모습에 따라서도 흡연 여부가 유의한 차이를 보여 영향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학교 환경별 요인에 대해서는 선생님의 흡연 모습에 따라 영향이 있음을 알 수 있었고, 선생님과의 관계의 만족도에 따라서도 만족도가 높을수록 흡연경험이 없는 것으로 나타나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그리고 학교 생활의 만족도에 대해서도 만족도가 높을수록 흡연경험이 낮게 나타나 영향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p<.001) 또한 친구들의 흡연 여부에 따른 흡연 여부도 영향력이 있게 나타나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p<.05) 사회 환경에 따라서는 미성년자 담배 구입 금지 규정의 준수 여부에 따라서는 흡연경험이 있는 학생이 없는 학생보다 잘 지켜진다고 인식하여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 영화나 TV드라마 장면에 따른 흡연 여부는 흡연경험학생이 영향을 미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미성년자의 흡연 처벌에 대해서도 흡연학생이 비흡연 학생보다 처벌에 대한 인식이 낮게 나타나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p<.01) 이상의 연구 결과를 토대로 하여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할 수 있겠다. 중학생의 경우 호기심으로 한 번 정도 시작한 흡연이 습관적으로 이행될 수 있는 시기임을 인식하여 학생 지도에 임해야겠고, 학교 생활에서의 또래 집단의 영향을 많이 받을 수 있는 시기이므로 친구들의 압력에 대처하는 방법과 올바른 가치관 확립을 도울 수 있는 다차원적 접근이 필요하겠다. 청소년의 흡연 문제는 가정교육 차원에서 적극적으로 실시되어 차츰 학교, 사회, 국가 차원에서 적극적으로 대처하여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alities of smoking among middle school students in Gyeonggi province and to identify smoking-related factors by reviewing literature concerned. After a survey was conducted from April 2 to April 9,2003, on the students in the first, second and third year from three different middle schools in Suwon, Yongin and Hwaseong, Gyeonggi province, the responses from 508 students were chosen' for analysis, except 32 incomplete answer sheets. An instrument, which was mentioned in literature concerned and modified by this researcher, was utilized, and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win 10.0 program. The major findings of the study are as follow : 508 respondents, of the survey were 18.1 percents, in male and 10.1 percents, in female. 28.7 percents had experience to smoke The largest group of the smokers smoked about once out of curiosity, and 56.5 percents, the greatest group, started to smoke in their second year. Concerning smoking period, the students who had smoked for less than a year made up the largest group with 58.5 percents. The most common smoking motive was that smoking people looked nice (35.8%), and the second most frequent motivation was curiosity(34%). And 52.8 percents, the greatest group, had three to five smokes a day. 41.5 percents, of the largest group, smoked at the residences of their friends, and the highest reason to keep smoking was to mingle with friends(54.7%). As for how their families felt about that, 71.7 percents didn t let their families know the fact. 89.9 percents attempted to quit smoking, and 41.5 percents, the greatest group, found smoking prohibition education to be moderately helpful. Regarding family environment factors, those who had more satisfactory relationship with parents had less smoking experience, and the others who were less contented with their parents had more such an experience. And the disparity between the two was significant. Their parents expectation for them gave no impact on smoking, and conversation with parents made a significant difference, as those who had a frequent talk with parents had less smoking experience. parents and adult smoking behavior were influential, as it made a significant difference. As to school environment factors, teachers smoking behavior exercised an influence, and their relationship with teachers also made a significant difference, since those who fared with them better had no smoking experience. And their satisfaction with school life also gave an effect, since those who found it more satisfactory had less smoking experience(p<.001). Concerning peer group factors, friend s smoking behavior made a significant difference to their experience as well. In regard to social relations, the students with smoking experience considered the rule of prohibiting cigarette purchase by minors to be better observed than the others with no such an experience did, and the difference between the two was significant. And movies or TV dramas exerted an influence on the former students, and the former was significantly less aware of punishments against underage smoking than the latter(p<.01). There are some suggestions about underage smoking in association with the above-mentioned findings: These findings indicated that middle school students can smoke habitually after they have ever smoked once out of curiosity and can be influenced by peer groups in school life. Therefore it could be said that the smoking preventive education would surely be needed in order to help students deal with peer group pressure and establish their righteous value. The smoking education should be carried out first by home and then be positively expanded into school, society and a nation.
자가투여 바이오의약품의 안전사용 방안 연구 : 성호르몬 제제를 중심으로
박현미 이화여자대학교 임상보건과학대학원 2014 국내석사
There has been a dramatic increase in use of self-administering biomedicine with increment of patient convenience and cost benefits due to the saturation of synthetic medicine and the revitalization on the biosimilar after the expiration of international patents related to biomedicine. However, despite the increase usage of biomedicine as well as self-administration, few literatures are available that conduct on the safety management and systematic investigation that looks into drug abuse and misuse. Infertility treatment has been widely used due to social changes such as environmental condition, stress, late marriage, and late pregnancy. This research was specifically focused on methods for effective and safe usage of sex hormone products used in infertility treatment to do systematic investigation that looks into drug abuse, misuse, and safety management. It is required to perform accurate medical counseling in terms of the dose and duration of administration as sex hormone products used in infertility treatment by ovulation induction and hyperstimulation varies for each patient. Items for sex hormone product were investigated by Druginfo and KIMS online. The item list was reviewed by KFDA EZDrug and FDA label information item current permission. The item list was based on thirty four sex hormone products. The largest group among thirty four items was prefilled syringe. The total number of the prefilled syringe was eighteen out of thirty four. Survey was carried out for the present (in December, 2013) of usage and education of sex hormone products based on responses of clinics and hospitals. The survey was conducted from May 29 to July 26 in 2013. The response rate was 45.5% (i.e., 20 out of 44). It was found that sex hormone products were in-hospital prescription for all cases. Multi-frequency injections were follitrope○R prefilled syringe 150 IU/0.3ml (55%), follitrope○R prefilled syringe 225 IU/0.45ml (50%), Gonal-f ○Rpen 900 IU (50%), and Ovidrel○R liquid inj. 250μg/0.5ml (50%). The provision and administration department were analyzed based on the status of usage. The result was that the outpatient pharmacy was the highest frequency provision department and ‘the injection room’ (20%) and‘the patient for himself’ (20%) were the most administration department. The outpatient nurse (32%) was ranked first in ‘self-administering educator of hospitals. The reeducation after first education (55%) was at the top of the reeducation necessity time. Most popular answers for instructional materials of self-administrating sex hormone products were ‘handbook by pharmaceutical company (40%) and ‘medicine instruction’ (40%). Main contents for the instructional materials were ‘instruction’, ‘keeping method’, ‘dosage’, and ‘precaution’. After questionnaire result analysis general hospitals, interview survey was conducted on doctors and injection educators of hospitals specialized with infertility treatment regarding current situation of education. And then it was investigated education resource of each hospital and patients information on medication of pharmaceutical company. The information on the use and cope with side effect of sex hormone products were given to patients by medication instruction, audiovisual materials, and homepage for hospitals specialized with infertility treatment. Each pharmaceutical company provides patients information on medication through homepages in terms of each medicine. Homepages include explanation of instruction for both patients and professionals and other information related to disease. Result of this study also showed that the pharmaceutical company provides the method of self-administration of each injection, various audiovisual materials such as video display, and community service for patients. The medication errors were also investigated by interviewing each doctors, injection educator after selecting one of general hospitals, three hospitals specialized with infertility treatment based on multiple frequency of self-administering sex hormone products. The medication errors were collected for the cases of patients administered sex hormone products. And then they were grouped with dosage error, usage error, administrating method error, and keeping method error. There are multiple hurdles to guide medication in hospital since the standards of total information providing information on safe administration of self-administered sex hormone products were not rich in South Korea. In December 2013, each pharmaceutical company gives patients information on safe administration of self-administered sex hormone based on instruction of each injection. In this research, result shows that there is a shortage of standard information on many types of medicine although experts provide some instructional materials to patients. To overcome this situation, it is required to construct standardized and systematic medication guide enabling easy access to good quality of information. Standard medication guide by easily assessable and systematic contents is able to increase the safety level of biomedicine and then it will result in safe and effective medication treatment, less visit to hospital, and cost reduction. 합성의약품의 포화와 더불어 바이오의약품의 특허 만료에 따른 바이오시밀러 의약품 개발의 활성화에 의해 가격 경쟁력이 있으며 상대적으로 사용이 용이해지는 자가투여 바이오의약품의 사용이 더욱 활성화 될 것으로 예상된다. 급증하는 자가투여 바이오의약품 주사제의 사용량과 함께 사회적으로 약물이상 반응과 안전성이 대두되고 있음에도 바이오의약품의 자가 투여에 관한 사고 및 안전 관리에 관한 연구가 미흡하여 이에 따라 바이오의약품의 올바른 사용에 대한 교육과 잘못 사용된 바이오의약품에 대한 조사가 필요하다. 현재 자가투여 주사제로 처방되는 바이오의약품 중 환경, 스트레스, 결혼 및 임신 연령의 증가 등 사회적 여건의 변화로 증가 추세인 불임의 치료에 사용되는 성호르몬 제제에 대해서 체계적인 조사가 없을 뿐만 아니라 오남용에 관한 조사 및 안전 관리가 되고 있지 않아 본 연구에서는 성호르몬 제제의 안전하고 효과적인 사용에 관한 방안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배란 유도 및 과배란 유도를 통해 불임 치료에 사용되는 성호르몬 제제는 환자에 따라 사용되는 시기와 반응 정도가 달라서 환자별 투여 용량과 투여 기간을 파악하여 주의 깊고 정확한 복약 지도가 필요하다. 또한 성호르몬 제제의 투약 오류는 약가의 손실뿐만 아니라 불임 스케줄의 실패로 인한 환자의 정신적 고통, 시간과 비용 등의 추가적인 손실로 이어지므로 안전 관리가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드럭인포와 킴스온라인을 통하여 성호르몬 제제의 품목 조사를 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식약처 품목 허가현황을 검토하여 품목리스트를 보완하였다. 최종적으로 품목리스트에 선정된 성호르몬 제제는 34개였다. 제형별로 분류했을 때 가장 많은 제형 형태는 프리필드 시린지로 전체 34개 중 18개였다. 품목 조사에서 선정된 성호르몬 제제 34개 품목을 대상으로 국내외의 허가사항을 살펴보고자 식약처 ezdrug, 드럭인포, 미국 FDA label information을 조사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이후 2013년 5월29일부터 7월 26일까지 총 44개의 병원에 성호르몬 제제의 사용 및 교육 현황에 관한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고 20개의 병원이 설문에 응답하였으며 응답률은 45.5%였다. 설문 분석 결과 성호르몬 제제의 경우 모두 원내로 처방되었고 34개 품목 중 다빈도 처방되는 의약품은 폴리트롭 프리필드 시린지 150IU/0.3mL(55%), 폴리트롭 프리필드 시린지 225IU/0.45 mL(50%), 고날-에프펜 900IU(50%), 오비드렐 리퀴드 주 250ug/0.5 mL(50%) 순이었다. 사용 현황 조사항목을 투약담당부서와 투여담당부서로 나누어 분석하였으며 투약담당부서는 ‘외래약국’(60%)이 가장 많았으며 투여담당부서는 ‘주사실’(20%)과 ‘환자본인’(20%)이 가장 많았다. 원내에서의 성호르몬 주사제 교육담당자는 ‘외래간호사’(32%)로 답변이 가장 많았고 성호르몬 제제 자가 주사법에 대한 원내 교육 시점과 1회 교육 후 재교육 여부는 ‘처음 1회 실시 후 필요에 따른 재교육‘(55%) 답변이 가장 많았다. 성호르몬 주사제 원내 교육 시행 시 사용하고 있는 교육자료에 관한 질문에서 가장 많은 답변으로 ‘제약회사에서 제공한 자료’(40%)와 ‘약품설명서’(40%)가 선택되었고 주요 교육 내용은 ‘사용법’, ‘보관법’, ‘용량’, ‘주의사항’이었다. 설문에 응답한 20개의 상급 종합 병원의 자료 분석 이후 불임 시술 전문 기관의 자가투여 주사제 투약 및 교육 담당자를 대상으로 성호르몬 제제의 교육 현황 사례를 인터뷰 조사하였으며 해당 기관의 교육 자료와 제약회사에서 제공하는 제제별 투약 정보를 살펴보았다. 불임 시술을 전문으로 하는 민간 병원에서는 복약 안내문, 동영상 자료, 홈페이지를 통하여 환자들에게 성호르몬 제제 사용 및 부작용 대처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고 있었다. 각 제약회사에서는 제제별로 홈페이지를 만들어 환자를 위한 투약정보 등을 제공하고 있었으며 제제별로 만들어진 홈페이지는 환자를 위한 설명부터 전문가를 위한 설명, 그밖에 질병에 관한 정보도 제공하고 있었다. 또한 제제별 자가주사 방법에 관한 안내문을 제공하고 있었고 단순한 사용법 정보 외에 비디오 등 다양한 시청각 자료를 제공하기도 하며 환자들을 위한 커뮤니티 서비스도 제공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연구의 마지막 내용으로 자가투여 성호르몬 제제를 다빈도로 사용하는 상급종합병원 1곳, 불임 시술 전문 병원 3곳을 선정하여 각 기관의 의사, 자가투여 주사제 투약 및 교육 담당자를 대상으로 인터뷰 조사를 통해 투약 오류 사례를 조사하였다. 자가투여 성호르몬 제제를 투약하는 환자에게 발생한 투약 오류 사례를 수집하고 사례를 통한 투약 오류를 용량 오류, 용법 오류, 주사제 투여방법 오류, 보관상의 오류, 기타로 분류하였다 우리나라는 아직까지 자가투여 주사제의 안전한 사용에 관한 정보를 통합적으로 제공하는 자료의 기준이 부족하여 의료기관에서 복약지도 방향을 잡기에 어려움이 있다. 현재 성호르몬 제제의 사용에 관한 교육으로 각 제약회사에서 제제별로 투약정보 등을 제공하고 있으며 의료기관에서는 환자에게 제공하는 서비스로 홈페이지나 동영상을 통해 약물 관련한 컨텐츠를 자체 제작하여 배포하고 있다. 약을 실제로 접하는 전문가들이 만든 자료가 제공되고 있으나 다양한 제제에 대해 광범위한 정보를 망라하지 못하는 한계가 있다. 종합적으로 자가투여 성호르몬 제제의 일반적인 투여 원칙과 유해사례 정보 및 주의점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 시판되는 주사제에 대한 사용법을 결합하여 양질의 정보를 쉽게 접근할 수 있는 표준화되고 체계화되어 있는 복약 자료가 구축될 필요가 있다. 즉, 쉽게 접근할 수 있는 구조화된 컨텐츠를 통한 체계적인 복약지도가 자가투여 바이오의약품의 안전성을 높임으로써 안전하고 효과적인 약물 요법을 달성하고 병원 방문 감소 및 의료비 절감의 효과를 가져올 것으로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