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車前子藥鍼이 Cisplatin에 의해 유발된 급성 신부전에 미치는 영향

        박춘하 東新大學校 大學院 2004 국내박사

        RANK : 247631

        The present study was carried out to determine if Semen Plantaginis Herbal-Acupuncture exerts beneficial effect against the cisplatin-induced acute renal failure in rabbits. Semen Plantaginis was selected in the basis of invigorating kidney-QI which can eliminate pathogens. The oxidative stability determined by the Rancimat technique showed higher antioxidative index when compared with control. Rabbits were treated with Semen Plantaginis Herbal-Acupuncture on Shin-shu point for 3 days, followed by cisplatin injection(5㎎/㎏ body weight). Cisplatin injection caused an increase in serum creatinine level, which was accompanied by a reduction in GFR. The fractional excretion of Na+, K+, glucose and phosphate increased in cisplatin-induced animals, which was partially prevented by Semen Plantaginis Herbal-Acupuncture treatment. Cisplatin injection increased lipid peroxidation, which was not prevented by Semen Plantaginis Herbal-Acupuncture. These results indicate that lipid peroxidation plays a critical role in cisplatin-induced acute renal failure. Semen Plantaginis Herbal-Acupuncture exerts the protective effect against acute renal failure induced by cisplatin, and its effect may be attributed to an antioxidant action.

      • (광주 아시아문화중심도시 아시아문화연구소 운영 프로그램 제안을 위한) 문화아시아와 전통예술 정책의 새로운 방향

        박춘하 한국예술종합학교 전통예술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논문 연구를 통하여 알고자 하고 논하고자 했던 것은 첫째로 동아시아가 어떻게 형성된 개념이며 , 동아시아라는 지역에 지정학적으로 위치해 있는 한국의 전통문화가 민족의 문화로 구성되는 과정에서, 사회적 조건에 의해 변형되기도 하고 정치적 역학관계에 의해 왜곡되거나 배제되었던 그 시간과 공간을 맞딱뜨려보는 것이었다. 그러고 나서 그 구성 논리와 원리를 다시 해체하여 현재의 문화현상에 접목해보고자 하는 것이었다. 그 문화현상이 바로 (흐트러진 의미의) 아시아적 문화공동체였다. 그러나 아시아라는 비균질적인 지역성을 ‘공동체’라는 이름만으로 도말(塗抹)해 버린다면, 동아시아 내부에 여전히 웅크리고 있는 식민적 무의식이 표출의 기제들을 통해 환부를 드러내고 치료되지 않은 채, 또 하나의 문화적 제국으로서 ‘상상의 공동체’를 만들어낼 가능성이 있다. 이에 대한 우려의 작은 표출과 대안제시로서, 차이를 경제적인 효율로 바꾸는 문화의 장 속에서 아시아 각국의 전통이 가진 정체성의 정치(政治)가 기능하는 것이 가능한지 살피는 것이었다. 본론이 시작하는 2장에서 문화아시아를 실체화하기 위하여 동아시아라는 개념의 생성과 함께 동아시아의 근대성, 동아시아 근대성의 적극적 극복을 위한 동아시아 문화연구의 갈래들, 문화아시아론의 형성을 위해 동아시아가가 걸어온 역사적 궤적을 살펴보았다. 3장에서는 아시아에서 전통문화의 역할과 이론적, 정책적 쟁점들을 살펴봄으로써 보다 구체적으로 문화아시아에 접근해 보았고 또한 문화아시아가 나아가야할 방향성을 가늠해보았다. 4장에서는 그러한 방향성을 실제로 적용하기 위해 광주 아시아문화중심도시를 사례로 삼아, 아시아문화전당 내 아시아문화정보원에서 기능하는 아시아문화연구소의 세부 운영프로그램을 제안하는 것으로 논문을 마쳤다. 결론적으로 도달하게 된 것은 문화산업 시스템이라는 정치 경제적인 막강한 세계적 흐름을 거스를 수는 없다하더라도, 작게나마 아시아 각국의 차이를 받아들이고 새로움을 추구하고자하는 문화의 생성소멸 및 모방을 통한 재창조, 결합과 융합은 계속되고 있고 또한 그것 자체로 하나의 유효한 문화적 자본이 될 수 있다는 것이다. 또한 그러한 결합과 융합을 보다 세분화하고 내면화하여 새로운 의미의 문화를 만들어 내는 원동력으로 삼고자 하는 시도들이 있다는 것이다. 비록, 자본이라는 막강한 권력과 문화라는 비가시적, 비물질적 실체를 한데 놓고 동시에 떠올릴 수밖에 없는 현실을 감안할 때, 광주 아시아문화중심도시의 목표와 비전, 준비과정 및 현 시행영역에 대해, 온전히 확신하거나 완전히 찬동할 수는 없다. 그러나 아시아 각국의 전통이라는 문화적 배경과 아시아적 현재와 미래의 가치가 서로 교직하며 침투함으로써, 비판적 혼합의 방식으로 번역된다면, 아시아문화중심도시 내에서 전통은 전통으로만 머무르지 않고 동시대성을 가진 문화로서 아시아인을 비롯한 그 누구의 삶에도 의미를 만들어낼 수 있는 문화 교류의 촉매가 될 것이고, 광주는 그러한 가치들이 공명하는 장이 될 것이다. What I firstly intended to know through this research was the concept of how East Asia was formed. Then I purposed to find times and spaces that were modified by social conditions and distorted or excluded by political dynamics while the traditional arts of Korea, which is geopolitically situated in East Asia was being formed and constructed as national culture. Lastly, I aimed to deconstruct the constructing theories and principles and graft present cultural phenomena onto those times and spaces. The cultural phenomena were Asian culture communities (as a meaning of being disordered). However, if, in the name of "community," we blot out the parts of Asia that have heterogeneous regional characteristics, mainly parts of East Asia which have lingering a colonial subconsciousness, showing the diseased area and being not healed could make "a feigned community" as another cultural empire. To express concerns for this and to present alternatives, I have tried to search if politics of the identities that each national tradition holds can function in the place of culture where a difference can be transformed to economic efficiency. In chapter two where the body of the thesis begins, in order to substantiate cultural Asia I've researched the modernity of East Asia along with the formation of the concept of East Asia, the branches of culture studies on East Asia to overcome its modernity, and the traces of wheels that East Asia has passed to form cultural Asia theory. In chapter three I've approached cultural Asia more specifically by researching roles of traditional arts and issues regarding theories and policies in Asia, and judged directions toward which cultural Asia can proceed. In chapter four, to apply those directions practically, I suggested a detailed management program in the Asian Culture Institute that functions in Asian Culture Information Agency attached to Asia Culture Complex as my concluding words. I've reached a conclusion that though we can not resist the cultural industrial system that is an economical and political world trend, the recreation, combination and fusion continuing through culture comes and goes and imitations which seek newness are accepting the differences of each Asian country, and those can be great cultural capital themselves. There are also attempts to make those combinations and fusions into a motive to create a new culture by segmentalizing and internalizing them. Although we take into consideration powerful capital and culture which is neither visible nor material, we can not be sure nor consent on the goal, vision, preparation process and implementation areas of Hub City of Asian Culture. However, if the Asian culture that is made up of each country's traditions and values of Asian presence and future are mixed and permeated and they are translated in measures of critical mixture, tradition in Asian cultural center city will not remain as a mere tradition but become a catalyst of cultural exchange, and Gwangju will become a place to declare those values.

      • 장애인거주시설 생활재활교사의 회복탄력성과 사회적 지지가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 충남지역을 중심으로

        박춘하 공주대학교 일반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장애인거주시설은 24시간 함께 생활하며 복합적인 서비스가 이루어지는 곳으로 장애인에게 직접적인 서비스를 제공한다. 즉, 다른 사회복지 분야보다도 전문적인 기술과 자질을 소유한 전문사회복지사가 절실히 요구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장애인거주시설에 재직하고 있는 생활재활교사의 일반적 특성과 근로 특성에 따른 회복탄력성 그리고 사회적 지지의 전반적인 수준을 알아보고, 생활재활교사의 회복탄력성과 사회적 지지가 조직몰입의 관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는 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자료 수집은 충남지역에 소재하고 있는 장애인거주시설의 생활재활교사를 대상으로 2020년 8월 21일부터 9월 7일까지 총 200부의 설문지를 배부 후 수거하여 총 191부의 설문지를 최종분석에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6.0 통계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빈도분석, 기술통계, t검정, 일원배치분산분석, 상관관계분석, 회귀분석 등을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회복탄력성, 사회적 지지, 조직몰입에 대한 수준을 분석한 결과, 5점 기준 중 회복탄력성 3.63점, 사회적 지지 3.40점, 조직몰입 3.40점으로 모두 보통 이상으로 나타났다. 둘째, 일반적 특성 및 기관 특성에 따른 회복탄력성, 사회적 지지, 조직몰입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조직몰입은 연령과 혼인상태가 높을수록, 평균근로시간이 낮을수록 높았다. 셋째, 일반적 특성 및 기관 특성, 회복탄력성의 하위요인, 사회적 지지의 하위요인, 조직몰입의 하위요인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회복탄력성의 하위요인은 사회적 지지의 하위요인, 조직몰입의 하위요인과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를 나타내었고, 사회적 지지의 하위요인은 조직몰입의 하위요인과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넷째, 조직몰입 전체에 미치는 요인을 살펴본 결과 성별 및 연령, 평균근로시간, 회복탄력성의 하위요인인 긍정성, 사회적 지지의 하위요인인 상사지지, 동료지지 등이 통계적으로 정적(+) 유의성이 나타났다. 즉, 조직몰입은 남성이거나 연령 및 최종학력이 높을수록, 평균근로시간이 낮을수록, 회복탄력성의 긍정성과 사회적 지지의 상사지지, 동료지지가 높을수록 높게 나타났다. 다섯째, 조직몰입의 하위요인인 정서적 몰입에 미치는 요인을 살펴본 결과 연령 및 평균근로시간, 회복탄력성 하위요인인 긍정성, 사회적 지지의 하위요인인 상사지지와 동료지지 등이 통계적으로 정적(+) 유의성이 나타났다. 즉, 조직몰입의 하위요인인 정서적 몰입은 연령이 높을수록, 평균근로시간이 낮을수록, 긍정성에 대한 회복탄력성이 높을수록, 상사지지 및 동료지지의 사회적 지지가 높을수록 높게 나타났다. 여섯째, 조직몰입의 하위요인인 지속적 몰입에 미치는 요인을 살펴본 결과 성별 및 연령, 평균근로시간이 통계적으로 정적(+) 유의성이 나타났으나, 최종학력은 부적(-) 유의성이 나타났다. 또한, 사회적 지지의 하위요인인 상사지지 및 동료지지가 통계적으로 유의성이 나타났다. 즉, 조직몰입의 하위요인인 지속적 몰입은 남성이거나 연령과 학력이 높을수록, 상사지지 및 동료지지의 사회적 지지가 높을수록 높게 나타났다. 일곱째, 조직몰입의 하위요인인 규범적 몰입에 미치는 요인을 살펴본 결과 연령과 평균근로시간, 회복탄력성의 하위요인인 통제력, 사회적 지지의 하위요인인 상사지지 및 동료지지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조직몰입의 하위요인인 규범적 몰입은 연령이 높을수록, 평균근로시간이 낮을수록, 통제력과 긍정성에 대한 회복탄력성이 높을수록, 상사지지 및 동료지지에 대한 사회적 지지가 높을수록 높게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로 볼 때, 회복탄력성과 사회적 지지가 높을수록 조직몰입이 높아 두 변수간에는 상관관계가 있으며 장애인거주시설에서 근무하는 생활재활교사들의 조직몰입을 높이기 위하여 회복탄력성과 사회적 지지를 높이는 방법을 연구하는 것이 효과적이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의 함의와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에서는 장애인거주시설에서 근무하는 생활재활교사의 회복탄력성과 사회적 지지, 조직몰입의 전반적인 수준을 살펴봄으로써 생활재활교사의 업무를 유지하는 능력을 이해하고 이들의 회복탄력성, 사회적 지지, 조직몰입의 특징을 파악할 수 있었다. 또한, 대부분 영유아 교사, 유아교사, 간호사, 기업 종사자, 초·중·고 교사, 청소년, 소방공무원, 노인, 항공사 승무원에게 주로 적용해왔던 회복탄력성, 사회적 지지, 조직몰입의 개념을 장애인거주시설 생활재활교사에게 적용시켰다는 것이다. 즉, 장애인거주시설의 서비스 질과 직결되는 생활재활교사의 삶의 질적 향상을 위한 긍정적인 심리적 기저를 강화하는 요인을 생활재활교사에게 적용시켰다는 점은 의미가 있다고 볼 수 있다. 둘째, 충청남도 장애인거주시설에 근무하는 생활재활교사는 성별, 연령, 결혼여부, 시설규모, 근무시간에 따라 조직몰입의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즉, 남성일수록, 연령이 많을수록, 기혼일수록, 시설규모가 작을수록, 근무시간이 적을수록 조직몰입의 차이가 나타났다. 보통의 경우 여성들은 남성들보다 직업의식이 취약해 남성이 여성보다 조직에 몰입할 경향이 높다(Durick, 1988). 따라서 시설은 생활재활교사 중 남성뿐 아니라 여성도 경력 유지를 잘할 수 있도록 사회적인 인식과 경제적인 보상, 출산 휴가, 육아 휴직 등의 제도적인 지원이 필요할 것이다. 또한, 시설의 소규모화를 위한 노력과 생활재활교사의 근로시간 단축을 위해 노력해야 하며 이들이 열정을 갖고 업무를 할 수 있도록 해외연수프로그램, 자기개발 및 취미활동 강화, 안식년제도, 연구일 활성화, 상급자와 동료 간의 대화 등 선택의 자율성을 높여주는 것이 중요하다. 자율성이 부여됨을 통해 생활재활교사 스스로 외적인 보상이나 압력이 아니라 일에 대한 사명감과 가치에 보다 충실하면서 내부적으로 동기화되어 조직에 몰입될 것이다(장혁란, 김헌주, 2015). 셋째, 회복탄력성의 하위요인인 긍정성은 장애인거주시설 생활재활교사의 조직몰입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인으로 나타났다. 긍정성은 회복탄력성을 구성하는 요소로 회복탄력성을 높여주는 원동력이다. 후천적 노력을 통해 회복탄력성을 높이려 한다면 사회성과 통제력을 함께 향상시켜야 한다. 사회성과 통제력을 향상시키는 것이 긍정성이기 때문이다. 즉, 생활재활교사의 긍정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교육 및 정책적 측면의 접근이 필요하며, 또한 양질의 전문적인 서비스의 제공을 위해서는 전문교육을 위한 지원체계가 구축되어야 할 것이다. 장애인거주시설에 종사하는 생활재활교사는 20대~50대까지 다양한 연령대로 구성되어 있다. 학력 또한 다양하게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같은 공간에서 동일한 교육을 제공하더라도 개인별 편차에 따라 습득하는 능력은 다를 수밖에 없다. 즉, 시설은 생활재활교사의 긍정성을 높이기 위하여 정확한 직무분석을 통해 자신에게 맞는 역할을 부여하고 강점을 더욱 극대화할 수 있는 직무 맞춤형 전문교육이 필요할 것이다. 회복탄력성은 스스로 훈련하고 노력하면 회복탄력성은 얼마든지 높아질 수 있으며 체계적인 훈련을 통하여 가능하다고 하였다. 생활재활교사의 개별 직무분석에 따른 특화된 전문교육은 전문직으로 마인드를 갖추고 업무 수행에 있어 장애인에게 양질의 전문적인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될 것이다. 넷째, 장애인거주시설 생활재활교사들은 상사나 동료로부터 완충 역할과 피드백을 통해 지지를 받았으며, 상사지지는 생활재활교사의 조직몰입에 가장 큰 영향을 준 요인으로 나타났다. 상사지지는 사회적 지지를 구성하는 요소로 구성원에 대한 직무권한을 갖고 공식적인 통제력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생활재활교사에게는 더욱 효과적인 지지이다. 즉, 상사는 생활재활교사가 직면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조언과 도움을 주며 칭찬과 격려는 가장 강력한 효과를 줄 수 있다. 따라서 시설은 생활재활교사의 사회적 지지를 높이기 위해 생활재활교사의 업무를 잘 파악하고 함께 상호 이해가 가능한 동료 또는 상사로부터 상호적인 지원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공식적, 비공적인 활동의 기회를 제공하는 것이 필요하다. 상사의 지속적인 관심과 피드백은 생활재활교사의 동기를 높이고 바람직한 태도 형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게 되기 때문에 상사지지가 높아지게 되고 결국 조직몰입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 또한, 시설의 최고관리자는 중간관리자 이상의 전문성 강화를 위해 체계적이고 과학적인 슈퍼비전 제공을 위한 의무적인 직무교육 제공을 위해 노력해야 할 것이다. Resident facilities for the disabled are places where they live together for 24 hours and provide complex services, providing direct services to the disabled. In other words, professional social workers with specialized skills and qualities are desperately required than other social welfare fields.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rehabilitation teachers who are working in residential facilities for the disabled, resilience according to the working characteristics and the overall level of social support and to examine the effects of resilience and social support of the rehabilitation teacher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organizational commitment. The data of this study were collected from August 21 to September 7, 2020 with a total of 200 questionnaires distributed to the rehabilitation teachers of residential facilities for the disabled located in Chungnam area. A total of 191 questionnaires were used for the final analysi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26.0 statistical program, frequenc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one-way ANOVA, correlation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analysis of levels of resilience social support and organizational immersion showed that among the five points, recovery elasticity was 3.63 points social support 3.40 points and tissue immersion were all above normal. Secon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difference in resilience social support and organizational immersion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and institutional characteristics, organizational immersion was higher in age, marriage status and lower average working hours. Third, we analyzed the correlation between general and institutional characteristics, sub-factors of resilience, sub-factors of social support, sub-factors of organizational immersion and sub-factors of social support showed significant static(+) correlation with sub-factors of organizational immersion. Fourth,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factors affecting the overall organizational commitment, gender and age, average working hours, positivity as a sub-factor of resilience superior support and peer support as sub-factors of social support showed statistically positive(+) significance. In other words, organizational commitment was higher as male or older, higher age and final education lower average working hours and higher resilience positivity and superior support for social support and higher support for colleagues. Fifth, looking at the factors affecting emotional immersion which are sub-factors of organizational immersion, statistically showed static(+) significance in age and average working hours, positiveness, sub-factors of resilience and support for bosses and colleagues which are sub-factors of social support. In other words, emotional immersion a sub-factor of organizational immersion showed higher age, lower average working hours, higher resilience to positivity and higher social support for boss and peer support. Sixth, looking at the factors affecting continuous immersion which is a sub-factor of organizational immersion we found that gender age and average working hours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effect with final academic background having a negative(-). Furthermore, statistically significant were shown to be the sub-factors of social support such as superior support and peer support. In other words, continuous immersion a sub-factor of organizational immersion was higher for men higher age and educational background and higher social support for bosses and colleagues. Seventh, looking at the factors affecting normative immersion which are sub-factors of organizational immersion shows that age and average working hours, control and co-operative support, sub-factors of social support, have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effects. In other words, normative immersion a sub-factor of organizational immersion was higher in age, lower average working hours, higher resilience to control and positivity and higher social support for boss and peer support. As a result of the above, the higher the resilience and social support the higher the organizational immersion the more correlative the two variables are and it was effective to study how to increase resilience and social support to increase the organizational immersion of living rehabilitation teachers working in disabled residential facilities. Based on these findings, the implications and sugges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by looking at the resilience social support and overall level of organizational immersion of living rehabilitation teachers in disabled residential facilities this study understood the ability of living rehabilitation teachers to maintain their work and identified their resilience, social support and organizational immersion. In addition, the concept of resilience social support and organizational immersion which has mostly been applied to infant teachers, infant teachers, nurses,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teachers, youth, fire officials, senior citizens and airline attendants was applied to rehabilitation teachers. In other words, it seems to be influential that factors that strengthen positive psychological bases for improving the quality of life of living rehabilitation teachers which are directly related to the quality of service in disabled residential facilities have been applied to living rehabilitation teachers. Second, living rehabilitation teachers working at residential facilities for the disabled in Chungcheongnam-do province showed that there were differences in organizational immersion depending on gender, age, marital status, size of facilities and working hours. In other words, the older men, the older married, the smaller the facility and the shorter the working hours the difference in organizational immersion occurred. In the normal case women are more vulnerable to occupational awareness than men so men are more likely to be immersed in the organization than women(Durick, 1988). Therefore, facilities will need social awareness and institutional support such as economic compensation, maternity leave and paternity leave so that not only men but also women can maintain their careers well. In addition, efforts should be made to reduce the working hours of small facilities and rehabilitation teachers and it is important to enhance the autonomy of overseas training programs, self-development and hobby activities, sabbatical systems, research days activation and dialogue between superiors and colleagues so that enable them to work with enthusiasm. With the autonomy granted the rehabilitation teacher himself will be immersed in the organization by being internally synchronized not by external compensation or pressure but more faithful to the mission and value of his work(Jang Hyuk-ran, Kim Heon-ju, 2015). Third, positivity a sub-factor of resilience was found to be the most important factor that has the greatest influence on the organizational commitment of life rehabilitation teachers in living facilities for the disabled. Positiveness is a component of resilience and is the driving force that increases resilience. If you want to increase your resilience through acquired endeavors you need to improve your social and control skills together. Because it is positivity that improves social performance and control. In other words, in order to increase the positiveness of life rehabilitation teachers an educational and policy-oriented approach is required and in order to provide quality professional services a support system for professional education should be established. Life rehabilitation teachers engaged in living facilities for the disabled are composed of various age groups from their 20s to 50s. Since the academic background is also diverse even if the same education is provided in the same space the ability to acquire according to individual differences is bound to be different. In other words, in order to increase the positiveness of life rehabilitation teachers the facility will need job-tailored professional training that can further maximize its strengths and assign a role that suits itself through accurate job analysis. Resilience is said to be possible through systematic training which can be increased by self-training and effort. Specialized professional education based on individual job analysis of life rehabilitation teachers will be able to provide a professional mindset and provide high-quality professional services to the disabled in the performance of their work. Fourth, life rehabilitation teachers at living facilities for the disabled received support from their supervisors and colleagues through buffering roles and feedback and the support of life rehabilitation teachers was found to have the greatest influence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Supervisor support is a component of social support and it is more effective support for life rehabilitation teachers because it has official control over members. In other words, the boss gives advice and help to solve the problems faced by the life rehabilitation teacher and praise and encouragement can have the most powerful effect. Therefore, in order to increase the social support of life rehabilitation teachers, it is necessary to provide opportunities for formal and unofficial activities so that they can better understand the work of life rehabilitation teachers and provide mutual support from colleagues or superiors who can understand each other. Since the supervisor's continuous interest and feedback increases the motivation of the life rehabilitation teacher and positively influences the formation of a desirable attitude the support of the supervisor increases which can have a positive effect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In addition, the facility's top manager should endeavor to provide compulsory job training to provide systematic and scientific supervision in order to strengthen the expertise of the middle manager or highe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