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기업교육에 있어 문화예술교육인력 역량강화 교육의 필요성 및 방법에 대한 연구

        박청실 추계예술대학교 문화예술경영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8655

        기업은 급변하는 사회와 예측할 수 없는 미래를 바라보며 기업 경쟁력을 갖추고 지속 성장을 위한 방법으로 인적자원개발(Human Resource Development)을 기업의 중요한 사안으로 보고 있다. 기업 내 HRD 담당자는 끊임없이 새롭고 효과적인 교육을 찾으며 그 일환으로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의 수요가 점차 늘어나고 문화예술교육의 효과성이 검증되어 가고 있다. 이에 기업교육에서 활용되는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은 점차 다양해지고 있으며, 문화예술교육을 전문으로 하는 기업교육회사도 함께 늘어나고 있는 추세이다. 그러나 문화예술교육인력은 기업교육 담당자로서 전문적인 역량을 보유하고 있는가, 활발한 기업교육 활동이 이뤄지고 있는가에 대한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기업교육에서의 문화예술교육인력의 현황과 특성을 살펴보고 문화예술교육인력이 기업교육 전문가로 성장하기 위해 요구되는 역량을 파악하고자 한다. 이를 바탕으로 역량강화 교육의 필요성과 역량강화 교육 방법에 대해 제시한다. 이를 위해 기업의 인적자원개발과 문화예술교육에 관한 학술적 개념 및 특성을 선행연구 하였으며 기업교육 내 문화예술교육인력의 현황을 살펴보았다. 또한 HRD전문가와 심층인터뷰를 진행하였으며 국내에 이뤄지고 있는 문화예술교육인력 대상 교육 현황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문화예술교육인력에게 필요한 역량을 파악할 수 있었으며, 이들의 역량 강화가 현재의 교육 시스템으로 가능할지에 대한 여부를 확인하였다. 본 연구를 통한 결론 및 제언은 다음과 같다. 문화예술교육인력에게 요구되는 역량은 다섯 가지로 정리할 수 있었다. 기업교육의 이해, 교육 역량, 조직에 대한 이해, 고객 중심 태도, 커뮤니케이션 능력이었으며 조직 경험이 없거나 적은 문화예술교육인력에게 해당 역량을 단기간에 습득하는 것은 어려울 것이라고 보았다. 하지만 마치 예비창업자가 창업교육을 수강하는 열정과 태도처럼 예술인들이 기업교육 전문가가 되기 위해서 열의와 노력을 쏟는다면 더 빠른 교육 결과가 실현될 것으로 보았다. 또한 문화예술교육인력 대상 교육 과정을 살펴 본 결과 기업교육을 위한 역량강화 과정은 찾을 수 없었다. 문화예술교육과 문화예술교육인력에 대한 제도와 교육 복지가 잘 갖추어져 있다고 보았지만 교육 영역이 공공·사회 방면으로 치우쳐져 있어 민간·기업으로의 확대는 크지 않은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다음과 같이 제언한다. 먼저 기업교육에 특화된 역량 개발 교육을 제공하는 것이다. 첫째, 앞서 도출된 역량을 바탕으로 기업교육 전문가가 되기 위한 단기적·장기적 역량 개발 과정을 개설한다. 둘째, 문화예술교육사의 정규 교육 과정 중 문화예술교육인력에게 필요한 교육 과정을 개설하고 선택하여 수강할 수 있는 시스템을 개발한다. 문화예술교육인력을 위한 교육과정 개발은 꼭 필요한 단계이며 그 어떤 조치보다 우선적으로 이루어 져야 한다. 다음으로 공공 및 민간에서의 지원 및 연계하는 방법이다. 첫째, 한국예술인복지재단에서 예술인경력정보에 강의/교육을 경력으로 인정해주는 것이다. 예술인의 경력정보에 강의/교육활동을 포함시켜 문화예술교육인력이 기업교육에 더욱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게 하고 경력 개발을 용이하게 만들어주어야 한다. 둘째, 기업과 문화예술 전문인력 간의 연계를 맡고 있는 한국메세나협회의 교육 지원이다. 기업과 예술인을 연계한 프로젝트에서 프로젝트 초기와 단계별로 역량 개발 과정을 실시하여 기업과 문화예술교육인력 모두에게 긍정적인 결과를 가져올 수 있도록 한다. 마지막으로는 기업과 문화예술교육인력 간의 코워크(Co-Work)를 실행하는 방법이다. 실제 기업 교육 현장에서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을 기획하고 운영하는 프로젝트를 만들어 역량 개발 과정에서 습득한 역량을 현업에 즉시 적용해 봄으로써 그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도록 한다. 본 연구를 통해 문화예술교육인력이 기업교육 분야의 전문가가 되기 위해 필요한 역량을 파악하였다. 본 연구를 바탕으로 문화예술교육인력의 역량이 개발되고 기업교육에서의 활동을 지원함으로써 기업교육에 있어 문화예술교육 전문인력이 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Companies regard their human resource development as their important issue as a method to be competitive and sustainable while preparing for a rapidly changing society and unpredictable future. HRD representatives in companies are constantly looking for new and effective education, and as a result, there is a growing demand for culture and arts education programs, and moreover, the effectiveness of education on culture and arts has also been proven. Therefore, culture and arts education programs used in corporate training are becoming more diverse, and the number of companies specializing in culture and arts education that educate other companies is on the rise. However, there are currently insufficient studies on whether culture and arts education personnel have professional competency as a person in charge of corporate education and are active in corporate education. Therefore, in this study, it has a purpose of examining the current status and characteristics of culture and arts education personnel in corporate education and of figuring out the competencies required for culture and arts education personnel to grow as an expert for corporate education. Based on this, it presents the need for training to strengthen competencies and its methods. To do this, it first studied academic concepts and roles in corporate education and culture and arts education and then examined the current status of culture and arts education personnel in corporate education. In addition, it conducted in-depth interviews with HRD experts and examined the current situation of education for culture and arts education personnel in Korea. As a result, it was able to understand the competencies needed for culture and arts education personnel and to confirm whether or not strengthening their capabilities could be achieved through the current education system. The conclusions and suggestions from this study are as follows. The competencies required for culture and arts education personnel were summarized in five factors. They were understanding of corporate education, educational competency, understanding of organization, customer-centered attitude, and lastly communication ability, and it assumed that it would be difficult for culture and arts education personnel with little or no experience in the organization to acquire those competencies in a short period of time. However, if artists make a lot of enthusiasm and efforts to become corporate education specialists just as would-be founders’ enthusiasm and attitude to take entrepreneurship education, it assumed that faster training results would be obtained. In addition,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curriculum for culture and arts education personnel, there was no curriculum for strengthening competencies for corporate education. It could be also found that it was originally thought that system and education welfare for culture and arts education and its personnel, but the expansion of the education sector to private and enterprise was not significant due to the bias toward the public and social sectors. Therefore, this paper suggests the following details. First of all, it provides education to develop competencies specialized in corporate education. First, it opens the short-and long-term processes to develop competencies to become corporate education specialists based on the previously mentioned competencies. Second, it opens up the curriculum required for culture and arts education personnel among the regular curriculum of culture and arts education instructors and develops a system that they can select and take classes freely. The development of curriculum for culture and arts education personnel is a necessary step and should take precedence over any measures. Next is the way to receive and link supports from the public and the private sector. First, Korean Artist Welfare Foundation recognizes lecture/education experiences as a career in the career information of artists. It should include lectures and educational activities in artists’ career information so that culture and arts education personnel can participate more actively in corporate education, facilitating the development of career. Second, it is the educational support of the Korea Mecenat Association in charge of linkage between companies and culture and arts professionals. Furthermore, it conducts the competency development process at the beginning and each stage of the project with companies, so that it ensures positive results for both companies and culture and arts education personnel. Finally, it is a method to implement the co-work between companies and culture and arts education personnel. In other words, it creates projects that plan and operate culture and arts education programs in the actual field of training companies and immediately apply the competencies acquired during the competency development process to the actual field to maximize the effect. In conclusion, it was available to examine the competencies required for culture and arts education personnel to become experts in corporate education through this study. The author of this study hopes that they will be able to become culture and arts education professionals in the field of corporate education by developing the competencies required for them and supporting their activities in corporate educ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