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시스템 요구사항 분석을 위한 순환적-점진적 복합 분석방법

        박지성 서울시립대학교 일반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47

        현대 IT기술의 발전으로 데이터의 생성량과 속도, 그 다양성 또한 폭발적으로 증가하는 빅 데이터 시대에서 다양한 데이터의 분석을 위해 개발되는 서비스의 수가 증가하면서 이를 통합하는 과정에서 상충되는 요구사항의 수 또한 증가하고 있으며, 이 때문에 효과적인 시스템 요구사항 분석의 중요성 또한 점차 부각되고 있다. 효과적인 요구사항 분석을 위해서는 상충하는 요구사항들을 초기에 확인하고 이를 점진적으로 개선하며 요구사항을 구체화할 수 있어야 하지만, 기존의 순차적 요구사항 분석 방법은 이를 해결하기에 여러 제약사항이 존재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기존의 순차적 방법과 순환적-점진적 방법을 결합하여 대규모 시스템에서의 효과적인 요구사항 분석을 가능하게 하는 복합 요구사항 분석 방법을 제안한다. In the modern era of big data, there have been growing demands for the effective requirement analysis since there will be an increasing number of conflicting requirements as the number of services and data to be integrated increases. The effective requirement analysis involves early detection of conflicting requirements and iterative refinement and resolution of the requirements for which the traditional sequential methods have limitations. In this thesis, we propose an integrated requirement analysis method that blends the traditional sequential method and the iterative-incremental method to achieve an efficient requirement analysis for large scale systems.

      • 영산강 하구호 Network 유출해석을 위한 SSARR-SWMM 연계모형 개발

        박지성 충북대학교 2017 국내박사

        RANK : 247647

        The Streamflow Synthesis and Reservoir Regulation model(SSARR) is an computerized watershed model. Storm Water Management Model(SWMM) is used for analysis related to stormwater runoff in urban area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 integrated SSARR-SWMM model to simulate water level and discharge in the estuary lakes network, and examine the applicability of the model. The model was applied to estuary lakes network in Youngsan River watershed, which was recently redeveloped with increased drainage gates and widened connecting canals. The highest water levels in Youngsan Lake and Youngam Lake during flood season after redevelopment were much lower than those before redevelopment. The highest water levels in Youngsan Lake and Geumho Lake during flood season for lake-connected operation were much lower than those for individual operation. Those mean that floods in the lakes are greatly reduced by redevelopment or lake-connected operation. The water levels in Youngsan Lake and Youngam Lake for highly controlled water levels were much higher than those for current controlled water levels. The result shows that additional water use volume can be secured by heightening controlled water level. The model will be used for establishing integrated water management system of Youngsan River watershed.

      • 열플라즈마에 의한 이산화탄소의 분해시 합성한 산화아연 나노입자에 관한 연구

        박지성 인하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이산화탄소는 온실가스로써 지구상에 존재하는 모든 생물에 의해 배출되며 산업화 이후 급격한 농도 증가에 의해 다양한 환경문제를 초래하고 있다. 각종 기후 협약 및 탄소배출권 등에 의한 규제로 인해 이산화탄소를 처리하는 다양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 중이다. 본 연구는 열플라즈마를 이용하여 이산화탄소를 분해하고 분해 시 생성되는 산소를 원료로 하여 산화아연 나노입자를 합성하는 실험을 수행하였다. 열플라즈마를 이용한 이산화탄소의 분해 시 생성되는 물질을 확인하기 위하여 온도에 따른 이산화탄소의 열역학적 평형을 계산하였다. 또한 이산화탄소의 분해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하여 플라즈마 발생 전력, 플라즈마 발생 가스, 분해가스인 이산화탄소의 유량 그리고 반응관의 내경을 변수로 하여 실험을 수행하였다. 플라즈마 발생 전력의 양이 증가할수록 이산화탄소의 전환율이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이산화탄소의 유량이 증가할수록 전환율은 감소하였다. 플라즈마 발생 가스로 아르곤을 사용한 경우와 아르곤에 질소를 소량 첨가한 경우, 이원자 분자인 질소를 첨가한 경우 동일한 전력에서 더 높은 이산화탄소 전환율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하였다. 급냉이 이산화탄소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하여 반응관의 내경을 다르게 하여 실험을 수행한 결과 반응관 내경이 증가할수록 이산화탄소의 전환율이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산화탄소가 분해 될 때 발생하는 산소를 이용하여 산화아연을 합성한 결과, 산소를 이용하여 합성한 산화아연과 마찬가지로 높은 결정성을 갖는 산화아연이 합성된 것을 확인하였다. 합성된 산화아연을 X-ray 회절분석(XRD)을 통해 분석한 결과, 이산화탄소의 유량이 증가할수록 미 반응된 아연의 peak intensity가 감소함을 확인하였다. 원료 물질인 아연분말을 운반하는 운반가스로 아르곤, 이산화탄소, 산소를 각각 사용한 결과, 아르곤과 이산화탄소를 이용해 합성한 경우와 다르게 산소를 이용하여 합성한 산화아연의 XRD결과는 거의 모든 아연이 산화아연으로 합성된 것이 확인되었다. 반응관 내경을 변화하여 산화아연을 합성한 결과, FE-SEM과 FE-TEM에서 확인한 산화아연 나노 입자의 형태는 구형에서 점차 입자의 길이가 증가하여 막대형, 하나의 중심에서부터 여러 개의 다리가 자라는 multi-pod형 또는 네 개의 다리가 자라는 tetra-pod형의 산화아연이 관찰되었다. 또한 합성된 산화아연의 자외선과 가시광선 영역에서의 광흡수량을 확인한 결과 구형 입자보다 막대형이나 multi-pod 형 혹은 tetra-pod형의 산화아연이 더 높은 흡광도를 나타내었고 장파장 영역으로의 이동이 관찰되었다. 한편 150W Xenon lamp를 이용하여 모델 오염물질인 Methylene blue 수용액을 분해하였다. 시간에 따른 용액의 색을 관찰한 후 산화아연이 광촉매로 작용하여 methylene blue를 분해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 발바닥 내재근에 지각 및 근력강화 중재가 만성 뇌졸중 환자의 균형과 보행에 미치는 영향

        박지성 호남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내재근 자극 방법에 따른 중재가 만성 뇌졸중 환자의 지각기능 균형능력, 근 활성도, 보행요소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았다. 뇌졸중 진단을 받고 6개월이 지난 뇌졸중 환자 34명 중 선정기준에 따라 20명을 선발하고 각 군당 10명씩을 무작위로 배치하였다. 발바닥 내재근 지각강화 중재군(N=10), 발바닥 내재근 근력강화 중재군(N=10)으로 구분 하였다. 치료는 주 3회 30분씩 실시하였고 모든 중재 프로그램은 총 4주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지각기능의 평가로는 Semmes-Weinstein monofilament와 두 점 구별 검사를 수행하였다. 균형능력에서 선 자세에서의 정적균형, 안정성 한계, 마비측의 체중분포율을 분석하였고, 하지의 근 활성도는 앞정강근, 장딴지근, 가자미근, 짧은발가락폄근의 근육에 전극을 부착하여 표면 근전도 값을 수집하였다. 보행요소에서는 보행률 및 입각기와 유각기 비율을 분석하였고 보행속도 측정을 위해 10MWT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수집된 자료는 분석 절차의 결정을 위해 정규성을 검정 하였고, 각 그룹 내 중재 전·후를 차이를 비교분석 하기 위해 Paired t-test를 사용하였고, 각 그룹 간 변화량을 비교하기 위해 Independent t-test를 사용하였다. 지각 기능을 비교한 결과, 두 점 구분능력 검사의 군 내 비교에서 발바닥 내재근 지각강화 중재군에서 유의한 감소를 보였다(p<.05). 균형능력을 비교한 결과, 선 자세에서의 정적 균형능력은 군 내 비교에서 발바닥 내재근 지각강화 중재군과 발바닥 내재근 근력강화 중재군에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p<.05). 안정성 한계능력과 마비측의 체중분포율의 결과를 비교한 결과, 발바닥 내재근 지각강화 중재군과 발바닥 내재근 근력강화 중재군에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p<.05). 하지의 근 활성도를 비교한 결과, 군 내 비교에서 발바닥 내재근 지각강화 중재군과 발바닥 내재근 근력강화 중재군에서 앞정강근과 장딴지근 그리고 짧은발가락폄근에서 유의한 증가를 보였다(p<.05). 보행요소를 비교한 결과, 보행률의 군 내 비교는 발바닥 내재근 지각강화 중재군과 발바닥 내재근 근력강화 중재군에서 유의한 증가를 보였다(p<.05). 10MWT를 비교한 결과, 군내 비교에서는 발바닥 내재근 지각강화 중재군과 발바닥 내재근 근력강화 중재군에서 유의한 감소를 보였다(p<.05). 따라서, 본 연구결과를 통해 발바닥 내재근 지각 강화 중재와 발바닥 내재근 강화 중재는 만성 뇌졸중 환자에게 고유수용성능력을 향상시켜 균형능력 증가와 하지의 근 활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생각된다.

      • 광반응성 사다리구조형 지방족 폴리실세스퀴옥산을 이용한 유기발광다이오드용 저유전율 박막 봉지 기술 연구

        박지성 숭실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31

        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OLEDs) are receiving the most attention in the display industry due to various advantages such as high color purity due to self-luminous properties and wide viewing angles. Accordingly, the display market is rapidly changing from liquid crystal displays (LCDs) to OLEDs. The self-luminous property of OLED does not require a color filter, so it has a great advantage in that it has a lightweight and simple structure that can minimize components compared to conventional LCDs. However, OLED is vulnerable to moisture and oxygen, and when exposed to moisture and oxygen, it leads to oxidation and deterioration of organic matter, which can have a fatal effect on the performance of display products. In addition, as the industry develops, the distance between the touch screen panel (TSP) and the OLED panel becomes closer and closer, resulting in signal interference. Such signal generation may lead to device performance deterioration such as touch malfunction and decrease in touch sensitivity.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prevent moisture, oxygen, and signal interference by introducing an organic/inorganic hybrid material having low dielectric properties into the thin film encapsulation layer. In this paper, polysilsesquioxane (PSSQ), well known as a low dielectric material, was introduced into the thin film encapsulation layer to perform encapsulation of OLED. PSSQ was synthesized as a ladder structure having fluidity through hydrolysis and polycondensation reactions. This material has a copolymeric composition of Alkyl functional groups (Ethyl, Hexyl, Decyl, Dodecyl) and UV curable methacryloyloxypropyl groups. Methacrtylate functional group is exposed to UV to form a cross-linked structure to form a dense structure of a thin film. In general, an encapsulation material is introduced into the encapsulation layer using a high-temperature, high-pressure deposition process. This high-temperature, high-pressure deposition process causes damage to organic materials. However, since the PSSQ of this paper has solvent-free processability, thin films can be easily manufactured without using high-temperature, high-pressure deposition processes or organic solvents. The synthesized PSSQ has a hydroxyl group (O-H) at the end. In order to increase the resistance to moisture, the hydrophobicity was increased by performing an end-capping process in which the terminal O-H group was capped with Si-(CH3)3. In all PSSQs, the contact angle increased by 7-10˚ after endcapping. Ladder-like End-capped Decyl PSSQ (LEDPSSQ) and Ladder-like End-capped Dodecyl PSSQ (LEDOPSSQ) showed high hydrophobicity at 94.3˚ and 94,9˚. Next, in optical transmittance, all PSSQs showed a high transmittance of over 90%. After end-capping, the transmittance decreased as the end was changed, but all end-capped PSSQs showed a high transmittance of about 90%. In dielectric constant evaluation using MIM (metal-insulator-metal) structure, the dielectric constant of Ladder-like End-capped Ethyl PSSQ (LEEPSSQ) was 2.414, Ladder-like End-capped Hexyl PSSQ (LEHPSSQ) was 2.235, LEDPSSQ was 2.179, Finally, the dielectric constant of LEDOPSSQ is 2.409. Lastly, Lifetime was measured to evaluate the encapsulation performance of PSSQ. As a result of the measurement, 2 minutes in LEEPSSQ, 2.3 minutes in LEHPSSQ, 16 minutes in LEDPSSQ, and 1.2 minutes in LEDOPSSQ showed the best performance in LEDPSSQ, showing 8000% performance improvement compared to non-encapsulation OLED. This is because it exhibits high hydrophobicity due to an appropriate cross-linking structure and an increase in alkyl chains. As described above, by introducing PSSQ into the encapsulation layer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low dielectric properties, light transmittance, and device lifetime were greatly improved. PSSQ used in this paper is a low-k optical coating material and has high value in various coating industries. 유기발광 다이오드(OLED)는 자체 발광 특성으로 인한 높은 색 순도, 넓은 시야각 등 다양한 장점으로 인해 디스플레이 산업에서 가장 큰 주목을 받고 있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 시장은 액정표시장치(LCD)에서 OLED로 빠르게 변환되고 있는 추세이다. OLED의 자체 발광 특성은 컬러필터를 필요로 하지 않아 기존 LCD에 비해 구성요소를 최소화 시킬수있어 가볍고 간단한 구조를 구성하고 있다는 큰 장점이 있다. 하지만 OLED는 수분과 산소에 취약한데 수분과 산소에 노출이 되면 유기물의 산화, 열화로 이어져 디스플레이 제품 성능에 치명적인 영향을 끼칠수 있다. 또한 산업이 발전함에 따라 터치스크린 패널(TSP)과 OLED 패널 사이에 거리가 점점 가까워져 신호 간섭이 발생한다. 이러한 신호 발생은 터치 오작동 및 터치 민감도 하락 등 기기 성능 저하로 이어질수 있다. 따라서 유전 특성이 낮은 유/무기 하이브리드 물질을 박막 봉지층에 도입하여 수분, 산소 및 신호간섭을 방지할 필요가 있다. 본 논문에서는 저 유전물질로 잘 알려진 Polysilsesquioxane(PSSQ)를 박막 봉지층에 도입하여 OLED의 봉지역활을 수행하였다. PSSQ는 가수분해 및 중축합 반응을 통해 유동성을 갖는 사다리 구조로 합성되었다. 이 물질은 Alkyl 작용기 유형 (Ethyl, Hexyl, Decyl, Dodecyl)과 UV 경화 가능한 Methacryloyloxypropyl 그룹의 공중합 구성을 가지고 있다. Methacrtylate 작용기는 UV에 노출되어 가교 구조를 형성하여 박막의 치밀한 구조를 형성한다. 일반적으로 봉지재료는 고온, 고압의 증착과정을 이용하여 봉지층으로 도입된다. 이러한 고온, 고압의 증착과정은 유기물의 손상을 초래한다 하지만 본 논문의 PSSQ는 무용제 가공성을 갖기 때문에 고온 고압의 증착 과정이나 유기 용매를 사용하지 않고도 용이하게 박막을 제조할 수 있다. 합성된 PSSQ는 말단에 하이드록시기(O-H)를 가지고 있다. 수분에 대한 저항성을 높이기 위하여 말단의 O-H기를 Si-(CH3)3으로 캡핑화 하는 앤드캡핑 과정을 진행하여 소수성을 증가시켰다. 모든 PSSQ에서 앤드캡핑이후 Contact angle이 7-10˚증가함을 보였다. Ladder-like End-capped Decyl PSSQ(LEDPSSQ)와 Ladder-like End-capped Dodecyl PSSQ(LEDOPSSQ)에서 94.3˚, 94,9˚로 높은 소수성을 보였다. 다음으로 광학적 투과도에서도 모든 PSSQ에서 90%가 넘는 높은 투과율을 보였다. 앤드캡핑 이후에 말단이 변화하면서 투과율의 감소하였지만 모든 End-capped PSSQ에서 약 90%의 높은 투과율을 보였다. MIM(metal-insulator-metal)구조를 이용한 유전상수 평가에서 Ladder-like End-capped Ethyl PSSQ(LEEPSSQ)의 유전상수는 2.414, Ladder-like End-capped Hexyl PSSQ(LEHPSSQ)는 2.235, LEDPSSQ는 2.179, 마지막으로 LEDOPSSQ의 유전상수는 2.409이다. 마지막으로 PSSQ의 봉지성능평가를 위하여 Lifetime을 측정하였다. 측정결과 LEEPSSQ에서 2분, LEHPSSQ에서 2.3분, LEDPSSQ에서 16분, LEDOPSSQ에서 1.2분으로 LEDPSSQ에서 가장 우수한 성능을 보여 non-encapsulation OLED 대비 8000% 성능 향상을 보였다. 이는 적절한 가교 구조와 Alkyl 사슬의 증가로 높은 소수성을 나타내기 때문이다. 이처럼 유기 발광 소자의 봉지층에 PSSQ를 도입하여 저유전 특성, 광투과율, 소자 수명을 크게 향상시켰다. 본 논문에서 사용된 PSSQ는 low-k 광학 코팅 소재로 다양한 코팅 산업에서 높은 가치를 지니고 있다.

      • 한국 유소년 축구의 발전을 위한 방향제시 : 문헌조사와 사례분석에 기초하여

        박지성 명지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이 연구는 한국 유소년 축구의 발전을 위한 방향을 제시하는데 목적을 두고, 유소년 축구에 관련된 국내·외 문헌들의 고찰을 통하여 한국 유소년 축구의 문제점과 개선과제를 비교, 정리하였다. 특히 한국 유소년 축구의 발전을 위한 방향을 제시하는데 필요한 문제점을 3가지로 나누어 발전 방향을 유소년 축구 클럽의 구조적인 문제점, 교육프로그램과 지도자에 대한 문제점, 그리고 한국 유소년 축구의 기반과 재정확보에 관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향을 다음과 같이 제시하였다. 첫째, 한국 유소년 축구 클럽의 구조적인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향으로써, 학원축구와 클럽축구의 통합적 운영, 세분화된 업무분장 체계의 확립, 문화적 사회집단으로써의 의식변화를 발전방향으로 제시하였다. 둘째, 한국 유소년 축구의 교육프로그램과 지도자에 대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향으로써, 연령별 맞춤식 교육프로그램의 개발, 지도자의 안정된 지위확보, 재미와 흥미의 프로그램 개발, 연령간 교차 프로그램의 확충을 발전방향으로 제시하였다. 셋째, 한국 유소년 축구의 기반 및 재정확보에 관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향으로써, 유소년 축구 전용구장의 시설확충, 기존 시설의 유소년 이용시간 확보, 유소년 축구 클럽의 기업형 및 일반형 이분화 발전추진 설계를 발전방향으로 제시하였다.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pose optimal structures for advanced development models of Korean youth football. Mainly, the literature reviews and analysis of cases relevant to youth development in football. Especially, 3 categories of problems were selected that it intended to propose the optimal structures for advanced development models of Korean youth football with systematic approaches. The categories were its structures, education system & coaching, and fundamental statement & finance. Firstly, the proposal for structural problems contained the operational combination of football in schools and in clubs, separated operating in the clubs and revised consciousness toward cultural society. Secondly, the proposal of solving education system & coaching problems included a development of optimal education programme for different age groups, a stability of coaches' status, a development of fun and joyful programme and a cross-programme of youth by level of performance. Thirdly, the proposal of fundamental statement and financial support contained an extended placement for youth football, a secured usage time for youth in football pitches, and a divided developing structure for industrial clubs and general clubs.

      • 저항성 운동 후의 압박의류 처치가 지연성 근육통(DOMS)과 근 기능부전에 미치는 영향

        박지성 경희대학교 체육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압박의류 처치가 저항성 운동 후 나타난 지연성 근육통에 미치는 규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0대 남자 대학(원)생을 압박의류 집단 15명, 통제 집단 15명으로 구분하여 참가하였다. 모든 대상자는 최대 근력 1RM의 120%를 산출하고 중량을 측정하여, 10RM을 들어 올릴 수 있는 무게로 5세트의 저항성 운동을 실시하였다. 압박의류 집단에서는 운동 직후 2일 간에 걸쳐 하지에 매일 착용하도록 하였고, 통제 집단에서는 동일한 기간 동안 아무런 처치를 하지 않았다. 두 집단의 측정 기간 중 운동 전, 운동 직후, 24시간 후, 그리고 48시간 후 DOMS 관련된 변인으로 판단되는 주관적 통증 척도, 무릎 ROM, 그리고 제자리멀리뛰기를 측정하였다. 이러한 변인들의 평균을 분석하기 위하여 두 집단 간, 그리고 시기 간 반복이 있는 이원변량분석 (two-way ANOVA with repeated measures)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1) 주관적 통증척도는 운동직후 압박의류 착용한 집단이 통제 집단 보다 모든 시기 간에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2) 무릎ROM은 집단과 시기 간에 상호작용이 나타났으며, 통제집단 보다 압박의류 착용한 집단은 24시간 후, 48시간 후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압박의류 착용에 의하여 근육통 유발 시 관련된 통증과 근 기능부전을 향상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하고 있다. 그리고 압박의류의 처치가 근육통을 회복하는데 있어서 향후 생리학적 기전과 복합 응용 프로그램 연구에 기초자료를 제공할 것으로 사료된다. The aim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 of compression clothing after resistance exercise on DOMS. For this purpose, university and graduate school students in their 20s were collected with the experimental group of 15 and the control group of 15. 120% of maximum muscular strength of 1RM were calculated and measured to all subjects and resistance exercise of 5 sets with 10RM to be lifted was performed. For the compression clothing group, the clothing was worn to the lower limb for two days after exercise and there was no treatment given to the control group during the same period. During the measurement period, subjective soreness scale that was a DOMS variable, knee ROM and standing long-jump were measured before exercise, after exercise, in 24 hours and in 48 hours. To analyze average such variables, two-way ANOVA with repeated measures was performed. As a result, 1) subjective soreness scale decreased significantly to all periods in the experimental group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 2) Knee ROM had interaction between groups and periods and the experimental group increased significantly in 24 hours and in 48 hours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 In conclusion, this study suggested a possibility that compression clothing could improve soreness and muscle dysfunction in event of muscle soreness. And, it is expected that this study could be a basic resource to study a physiological mechanism and application program study in the recovery of muscle soreness by means of compression clothing.

      • (An) experimental implementation of the 90° compton scattering inspection method for identifying explosive materials using dual energy X-ray

        박지성 한양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박사

        RANK : 247631

        In order to obtain the physical properties of an inspection object using an X-ray source, the energy-resolving X-ray method, reflecting the characteristic of continuous energy, is a very useful tool. In this study, the effective atomic number (Zeff) and normal density (ρ) obtained by the source weighting method on a dual energy X-ray inspection system are presented and demonstrated by experimental implementation. Two X-ray beams of the suggested method were designed using the XCOMP5r code. The filter design of a high energy X-ray source was fixed as 3.5 mm Sn at 150 kVp tube voltage, and the new high energy X-ray beam was named as IN150. The filter design of a low energy X-ray source was also fixed as 0.5 mm Sn at 90 kVp tube voltage, and the new beam was named as IN90. Benchmark calculations by MCNP simulation experiments were performed using four different materials, i.e., Polyethylene, Acetal, Urethane, and TNT. The results of the benchmark calculation showed that the new method can estimate the effective atomic number and the normal density of a scattered object accurately, even when the object was arbitrarily located in samples. Finally to verify the proposed new method, scattering experiments using various polymerized compounds were carried out. The effective attenuation coefficients ( , ) of the experiment objects at the source energies E1 and E2, were calculated using scattered spectra. The effective atomic number and the normal density were then calculated by using the ratio of to . As a result in case of all sample geometries, the relative differences between the calculation value and the reference value for the effective atomic numbers of each material were within 14 %, and the relative differences for the normal densities were within 12 %. This observation led us to the conclusion that the new 90° Compton scattering method for identifying explosive materials using a dual-energy X-ray is valid for calculating effective attenuation coefficients, effective atomic numbers, and normal densities in the X-ray inspection system.

      • 가돌리늄의 첨가량에 따른 중성자 차폐용 철계 고붕소 비정질 리본의 기계적 특성, 부식특성과 이를 활용한 복합재료의 기계적 거동 분석

        박지성 경북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철계 비정질 합금은 높은 비강도와 탄성계수, 우수한 내식성 및 연자기적 특성을 가지고 있으며 이를 이용하여 다양한 산업분야에 적용 될 것으로 기대되는 금속 재료이다. 특히, 기존의 결정질 합금과는 다른 응고 기구를 가지고 있어 합금 설계시 목적에 맞는 특성 구현을 위한 특정 원소의 첨가량 조절에 매우 용이하다. 본 연구에서는 열 중성자 포집 능력이 우수한 보론이 다량 포함된 철계 비정질 합금에 가돌리늄을 미량 첨가하여 열 중성자 포집 능력을 배가 시킴과 동시에 구조물 보강재료로서의 적용성을 평가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X선회절법에 의한 상분석, 주사 열량 측정법 및 시차 열 분석법에 의해 비정질 형성능을 확인하였고 이후 리본의 인장시험과 부식 단면 확인을 통한 파괴 거동 분석, 해수(3.5wt.% NaCl용액) 부식 특성 평가 및 polyester hexahedron과 함께 배합하여 복합재료의 기계적 거동의 확인을 통해 보강재료로서의 적용성을 평가하였으며. 마지막으로 열 중성자 투과 시험을 통하여 열 중성자 차폐능을 평가하였다. 가돌리늄이 첨가 됨에 따라 비정질 형성능이 좋아짐을 α-parameter 를 통해 확인하였으며, 기계적 특성 또한 대체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내식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Cr을 포함하였을 때, 0.25 at.% 의 Gd를 포함한 시편에서 인장강도 열화가 발생하였음을 확인하였다. 침지 시험에서 Cr이 포함되지 않은 시편에서는 hydro hematite가 발생함을 확인하였으며, Cr이 10 at.% 일 때 부식이 되지 않았으며, 동전위 분극 시험을 통해 부동태 피막 형성이 확인되었다. 중성자 차폐 시험 결과 가돌리늄을 넣은 시편에서는 가돌리늄을 제외한 동일 조성의 시편보다 중성자 차폐율이 매우 우수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Neutrons has been widely used as medical and power plant applications though it has inherent toxicity and hazard in the living body. As a result, the problem of disposal of spent nuclear fuel from nuclear power plants is emerging, and social interest in the waste disposal site to be stored is increasing. For enhancing safety of the spent nuclear fuel facility, borated steel and gadolinium steel had been developed as the container material. However, these shielding materials had corrosion problem, and radioactive materials may leak out during long-term storage of the spent fuel, resulting in further damage. In this study, amorphous alloys which have good corrosion property and metalloid solubility were designed in order to increase radiation shielding and corrosion property. A large amount of boron and small gadolinium was added to the Fe-based amorphous alloy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Gd on its thermal neutron shielding ability and applicability for structural materials. XRD analysis and thermal analysis were conducted for the evaluation of GFA (Glass Forming Ability). For evaluation of good structural applicability, the potentiodyamic, immersion test and mechanical properties test were performed. Finally, thermal neutron shielding ability was analyzed. XRD result indicated that ribbon samples have amorphous microstructure. With the increase in the concentration of Gd, the GFA of the amorphous ribbon increases corresponded by the alpha-parameter, which is a phenomenon according to the sluggish atomic movement. The microstructure of tensile tests showed that fine fracture surface and shear band disappeared due to degraded atomic mobility of Gd and stable formation of molybdenum oxide was confirmed by corrosion test. The thermal neutron shielding behavior was analyzed, and the shielding ability of the thermal neutron was tested to be about twice that of the counterpart without gadolinium. The thermal neutron shielding Fe-based amorphous alloy were successfully produced by adding Gd. The addition of Gd enhanced its glass forming ability and mechanical proper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