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초상사진의 문화적 가치연구 : '박정근의 이웃' 전을 중심으로 한 작품론

        박정근 중앙대학교 예술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759

        본연구자는 지난 2007년 10월24일부터 30일까지 인사동 인사아트센터에서 전시된 - 박정근의 이웃- 전(展)은 초상사진이 가지는 사회적, 문화적 가치를 재조명하기 위하여 본인의 고향이며 부모님이 살고계시는 상계동에서 30년이상 거주한 이웃주민을 촬영하였다. 굳이 상계동을 선택한 이유는 나의 이웃이자 우리의 이웃을 나타내려 했으며, 조금 더 가까이 가려고 바로 본연구자의 고향을 선택한 것이다. 그리고 초상사진이 가지는 문화적 가치를 세계적인 초상사진가의 사진을 비교분석하여, 시대와 국가의 문화적 관점에서 재조명하여 가치를 분석 , 연구하였다. 문화적인 관점에서 인간이 자신을 기록하고자 하는 목적에서부터 사진가가 인물을 통하여 바라보는 시각적 차원과, 특수한 사회적 목적에서 초상사진에 이어 현재를 살아가는 우리의 사진문화를 다시 한번 재조명하여 미래가치가 있는 초상사진을 정립해 나아가야할 과제가 우리에게 주어져 있다. 이번 -박정근의이웃-전(展)에서 인물촬영을 위하여 많은 시간을 가지게 되었다. 인물들과의 교감을 갖기 위하여 보통 한달이 넘게 걸린 경우도 있었다. 촬영은 최대한 인물이 가지고 있는 특징을 표현하기 위해 배경을 흰색면으로 정리하고, 포맷 또한 대형카메라로 그들의 표정부터 손자세, 의상세부 까지 극명하게 표현하려 하였다. 바로 그들의 자연스러운 모습에서 지금을 살고 있는 우리의 모습을 문화적 기록으로서 가치를 발견할 수 있다. 향년81세의 아버지를 카메라에 담았고, 두손을 꼭잡은 어머니를 함께하였다. 어쩌면 두분은 카메라를 바라본 것이 아닌 사진가인 아들을 바라보고 있었고, 지금도 우리 모두 곁에 함께 한다. 어쩌면 인물촬영은 참 어려운 작업임에는 틀림없다. 하지만 거기에는 묘한 매력이 있다. 왜냐하면 사람이 사람을 상대로 기록을 하거나 사진으로 표현함에는 자기자신과 인물의 상호교감이 이루어지기 때문이다. 본 논문을 통해서 초상사진의 가치를 인식함과 동시에 문화적, 사회적 관점에서 계속적인 형식과 내용의 의미를 연구하고 분석하여, 초상의 정체성을 확립해 나가고자 하였다. The purpose of the Exhibition was to reappraise the social and cultural values that portraits possess. The portraits were of the residents of Sanggye-dong who have been living there for over thirty years with my parents. The cultural values that the portraits possess have been compared and studied with those of some world renowned photographers in order to reappraise and study the values from the cultural perspective of the time period and the country. There is the man's objective/desire to make a record of himself from a cultural point of view. The photographer takes portrait pictures in a visual dimension and with a particular objective. We have the obligation to probe the photographic culture and define the portrait that has a future value. It took me countless hours in taking the portrait pictures for the Exhibition, Park Jung Keun's Neighbors. In many instances it took more than a month to establish rapport with the person whom I was to photograph. In order to display the characteristics of the person at maximum, the backdrop was treated white. In order to format the portrait, I used a large camera to show the position of the hands and details of the clothing. When photographing a eighty-one year old man, he was photographed with his wife who was tightly holding his hands. Perhaps this couple were not looking at the camera but looking at their son. And they are still being right next to us. Taking portraits is undoubtedly a difficult job but has peculiar attractions. The reason is that a person makes a record of another and in expressing it in a photograph, both persons mutually feel rapport. This study has recognized the value of portraits, and at the same time, from the cultural and social viewpoints it will attempt to continuously study the form and the meaning, establishing its true character.

      • 지역문화를 활용한 한국 문화교육 방안 연구 : 강릉 단오제를 중심으로

        박정근 가톨릭관동대학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이 논문은 한국 문화교육 범주에서 지역문화 교육의 필요성과 의의를 고찰하고, 강릉 단오제를 중심으로 유학생에게 지역문화를 교육했을 때 나타나는 효과와 활용 방안에 대해 논의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설문 조사를 실시하여 학습자가 관심 있는 문화에 관한 조사, 문화 및 지역문화 교육의 필요성 등을 조사하여 학습의 목적 및 학습자의 요구를 도출하였다. 다음으로 지역문화 중 강릉 단오제를 학습 제재로 선정하여 강릉 단오를 활용한 학습 방안을 제시하였다. 수업의 설계는 한국어(KSL) 교육과정과 국제 통용 한국어교육 표준 모형을 통하여 학습의 목표 및 내용을 설정하였고 강릉 단오제를 활용한 수업을 위한 내용 구성 및 문화 체험 학습 과정의 절차를 제시하였다. 설계한 내용을 바탕으로 강원도 C대학에서 수학하는 학습자에게 실제 수업을 진행하였다. 학습 결과 학습자는 지역문화에 대해 관심이 있었고 지역문화를 활용한 교육을 했을 때 언어 활동, 문화 활동, 태도 측면에서 효과가 나타났다. 그러므로 지역문화에 대한 교육의 지속적인 연구와 발전이 필요하다.

      • 유지보수 계약 지속 의도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분석 -외산 ERP S/W를 중심으로

        박정근 숭실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박사

        RANK : 247631

        Many companies have been introducing and operating ERP software as part of their strategy to strengthen competitiveness and sustainable innovation through securing efficiency and visibility of internal resources management. In this study, I analyzed the factors influencing the intention level to keep ERP software maintenance contract focusing on companies that introduced and operated foreign ERP software. Based on the migration theory through previous research, I extracted the performance risk, time delay risk, and psychological anxiety risk as the attributes of push factors and extracted reliability, responsiveness, assurance from SERVQUAL as the attributes of pull factors and extracted price level as the attributes of mooring factors. Also, I made a research model about major factors affecting intention level to keep existing ERP software maintenance contract through perceived usefulness of the maintenance service and conducted empirical analysis based on the questionnaires conducted by companies that purchased and operated ERP software, the 3rd IT companies, ERP vendor, and ERP vendor‘s business partners and I summarized meaning and implication of the analysis result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performance risk and time delay risk of Push Factors did not affect the perceived usefulness of maintenance service, but the psychological anxiety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perceived usefulness of maintenance service. Reliability and assurance of Pull Factors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perceived usefulness of maintenance service, but the experienced responsiveness of maintenance service had no significant effect on the perceived usefulness of maintenance service. And the perceived usefulness of maintenance services had a positive impact on the intention level to keep maintenance contracts. The price level which is an attribute of the Mooring Factors has a negative impact on both the perceived usefulness of maintenance services and the intention level to keep maintenance contracts. This paper describes the major factors affecting the maintenance intention level to keep existing maintenance contract of the companies that operate the ERP software. Also, this paper is meaningful in that it has attempted a new approach for ERP vendors and ERP maintenance business parties to understand and refer to factors and mechanism about the intention level to keep the existing maintenance contract. 기업의 내부자원 관리 효율성 및 가시성 확보를 통해 경쟁력 강화와 지속가능한 혁신발전 전략의 일환으로 많은 기업들이 ERP 소프트웨어를 도입, 운영하고 있다. 본 연구는 외산 ERP를 도입, 운영하고 있는 기업들의 ERP 소프트웨어 유지보수 계약 지속 유지 의도수준이 어떠한 요인에 의해 영향을 받을 것인지를 분석하였다. 선행연구를 통해 이주이론을 바탕으로 Push Factors의 속성으로 성능위험, 시간지연 위험, 심리적 불안위험을 추출하였고, Pull Factors의 속성으로 SERVQUAL의 신뢰성, 대응성, 확신성을 추출하였으며, Mooring Factors의 속성으로 가격 수준을 추출했다. 유지보수 서비스에 대한 지각된 유용성을 통해 유지보수 계약 지속 유지 의도수준에 미치는 요인에 대한 제안 분석모형을 만들고 외산 ERP 소프트웨어를 도입, 운영하고 있는 기업들, 제 3의 IT 전문 관련기업들, ERP 벤더사, ERP 벤더사의 비즈니스 파트너 사들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을 토대로 실증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분석결과의 의미와 시사점을 정리하였다. 분석결과 Push Factors의 속성 중 성능 위험과 시간지연 위험은 유지보수 서비스에 대한 지각된 유용성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나, 심리적 불안은 유지보수 서비스에 대한 지각된 유용성에 정(+)의 영향을 미쳤다. Pull Factors의 속성 중 신뢰성과 확신성은 유지보수 서비스에 대한 지각된 유용성에 모두 정(+)의 영향을 미쳤으나 경험된 대응성은 유지보수 서비스에 대한 지각된 유용성에 유의한 영향이 없었다. 그리고 유지보수 서비스에 대한 지각된 유용성은 유지보수 계약 지속유지 의도수준에 정(+)의 영향을 미쳤다. Mooring Factors의 속성인 가격 수준은 유지보수 서비스에 대한 지각된 유용성과 유지보수 계약 지속유지 의도수준에 모두 부(-)의 영향을 미쳤다. 본 논문은 ERP 소프트웨어를 운영하는 기업들의 유지보수 계약 지속 의도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을 설명하고, 기업고객이 유지보수 계약을 지속코자 하는 요인과 메커니즘을 ERP 소프트웨어 제작 기업 및 ERP 소프트웨어 유지보수 비즈니스를 하는 관련 기업들로 하여금 이해 및 참조할 수 있도록 새로운 접근을 시도한 점에 의의가 있다.

      • 우에다법을 응용한 체위의 유지가 관절가동범위 및 활력징후에 미치는 효과

        박정근 대구한의대학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우에다법은 근육의 과도한 긴장을 완화시키고 신체의 기능을 향상시키는 치료법이다. 우에다법의 치료수기는 5가지의 기본수기와 4가지의 보조수기가 있으며 치료목적에 따라 다양하게 적용한다. 이 연구의 목적은 우에다법의 5가지 기본수기 중 하나인 견-골반법(Shoulder-Pelvis법 : S-P법)을 우에다 웨지(UEDA wedges)로 체위를 유지하도록 하는 중재를 적용하여 장기간 침상생활을 하는 환자의 관절가동범위 및 활력징후(체온, 호흡수, 수축기혈압, 이완기혈압, 맥박수)에 미치는 효과를 규명함에 있다. 연구에 대한 타당성을 높이고 환자 간의 변이를 최소화하여 단기간의 중재 효과를 검정하기 위해 교차설계(crossover design)를 적용하였다. 장기 침상생활 환자 40명을 대상으로 연구 설계에 따라 Period 1과 Period 2로 구분하여 중재를 적용하였으며 종속변수에 대한 중재 전·후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연구기간은 임상시험심사위원회(IRB)의 승인을 받은 2018년 07월 16일부터 2018년 08월 19일까지였으며, 5명의 탈락자를 제외한 35명의 자료를 수집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 22.0 program을 이용하여 Wilcoxon signed-ranks test를 수행하였고, 이에 따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1) Period 1과 Period 2 모두에서 우에다법을 응용한 체위의 유지를 적용한 실험군의 관절가동범위가 증가되었으며 통계적(p<0.05)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2) Period 1과 Period 2 모두에서 우에다법을 응용한 체위의 유지가 체온 상승에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지 못하였다. 3) Period 1과 Period 2 모두에서 우에다법을 응용한 체위의 유지를 적용한 실험군의 호흡수가 감소하였으며 통계적(p<0.05)으로 유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4) Period 1과 Period 2 모두에서 우에다법을 응용한 체위의 유지가 수축기혈압의 감소에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지 못하였다. 5) Period 1과 Period 2 모두에서 우에다법을 응용한 체위의 유지가 이완기혈압의 감소에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지 못하였다. 6) Period 1과 Period 2 모두에서 우에다법을 응용한 체위의 유지를 적용한 실험군의 맥박수가 감소하였으며 통계적(p<0.05)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우에다법을 응용한 체위의 유지는 장기간 침상생활을 하는 환자의 관절가동범위 증진 및 호흡수와 심박수의 감소에 효과가 있음을 입증하였다. 그러므로 비교적 간단한 치료수기를 통한 우에다법의 다양한 활용은 환자의 과긴장된 근육을 완화시키고 치료에 대한 거부감을 최소화하여 편안함을 줄 수가 있다. 또한 장기간 침상생활을 하는 환자의 이차적 합병증을 예방하고 신체 건강 증진에 도움이 될 것이라 생각한다. The UEDA therapy is treatment that reduce hypertonicity of muscle and improve the function of whole body. According to purpose of treatment, the five basic techniques and four supplemental techniques are applie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which affects a long term care bed patients' range of motion(ROM) and vital signs(body temperature, respiratory rate, systolic blood pressure, diastolic blood pressure, and pulse rate) by using the shoulder-pelvis technique(S-P technique) which is one of five basic techniques in the UEDA therapy with UEDA wedges. The crossover design was applied to verify the short-term intervention effect by increasing the validity of the study and minimizing the inter-patient variation. According to the study design, the intervention was applied to the period 1 and the period 2, and the change of the dependent variable was measured before and after the intervention as the object of 40 patients. The study period was from July 16, 2018 to August 19, 2018, which was approved by the IRB, and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35 patients, excluding five dropouts. The data were analyzed through an Wilcoxon signed-ranks test using a SPSS 22.0 statistical program.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1) Significant increase in the ROM(p<0.05). 2) No significant change in the body temperature. 3) Significant decrease in the respiratory rate(p<0.05). 4) No significant change in the systolic blood pressure. 5) No significant change in the diastolic blood pressure. 6) Significant decrease in the pulse rate(p<0.05). In conclusion, maintaining position applied by UEDA therapy proved to be effective in improving the range of motion and decreasing respiratory rate and heart rate in a long term care bed patients. Therefore, various uses of the UEDA therapy through a relatively simple treatment technique can reduce hypertonicity of muscle and provide comfort to patients by minimizing resistance to treatment. It will also help prevent secondary complications and improve physical health to a long term care bed patients.

      • 근접장 광학 현미경 제작 및 미세구조의 근접장 특성평가

        박정근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47631

        근접장 광학 현미경 헤드부, 비례 적분 제어기(proportional integral contoller), 및 PZT 드라이버를 제작하였고, 제작된 근접장 광학 현미경 시스템을 이용하여 근접장 광학 현미경 공명 주파수 특성, 시료 표면으로의 접근특성, 그리고 근접거리 유지 안정성 등을 조사하였으며 테스트용 gold 시료의 표면형상을 측정하였다. 또한, 제작된 근접장 광학 현미경에 근접장 조사부, 동기식 광자 계수부, 디지털 보조 현미경부를 부착하여 근접장 분광계를 구성하였으며, GaAs/AlGaAs MQW 표면 접근 시 근접장 형광 변화를 측정하였다. A head, proportional integral controller, and PZT driver for a near field scanning optical microscope (NSOM) are constructed. In particular the resonance curve characteristics, approach characteristics to sample surface, stability of the distance regulation in near field, and topography of test sample are measured by this constructed NSOM. The photoluminescence spectrum and PL approach curve of GaAs/AlGaAs MQW in near field are also measured by NSOM spectroscopy system comprised of single photon counting system, digital microscopy system, and collection mode NSOM.

      • 1 次診療機關(醫院)의 連繫的 集團化를 위한 建築空間 構成에 關한 硏究

        박정근 建國大學校 産業大學院 1991 국내석사

        RANK : 247631

        Since July in 1989, the importance of clinic of primary medical facilitys was more increased with the enforcement of a national medical insurance. Clinic, which is medical facilities that patient is accessible first of all, carries out the outpatient treatment, preventing the disease and the functional connection with second and third medical facilities. But most of clinic is, under the present condition, a single opening clinic. So a lack of convinience of user, inefficient medical treatment, the want of equipment and the economical inefficiency of clinic management has been discussed, the purpose of this study, therefore, is to consist of the integration of clinic as a new direction of clinic architecture. First, the treatment feature, the composition of room, the frequency of using medical equipment, the public use frequency of room, the connection in medical examination and treatment in each department study theoretically to consist of the integration of clinic. Second, the survey about the integration of clinic is carried out. Third, a theoretical study and a survey are analysized synthetically, and then a type that can be integrated is made. Seeing each stage, types are as follows: 1) the lst stage a) Model - 1, type (two department) A = Internal Medicine + General Surgery B = Pediatrics + Obstetrics & Gynecology C = Ophthalmology + Oto-Aryngology D = Dermatology + Urology E = General Surgery + Orthopedic b) Model - 2, type(three department) F = Internal Medicine + General Surgery + Orthopedic G = Pediatrics + Obstetrics & Gynecology + Oto-Aryngology c) Model - 3, type(four department) H = Internal Medicine + General Surgery + Pediatrics + Obstetrics & Gynecology I = Pediatrics + Obstetrics & Gynecology + Ophthalmology + Oto-Aryngology d) Model - 4, type(five department) J = Internal Medicine + General Surgery + Pediatrics + Obstetrics & Gynecology + Orthopedic K = Pediatrics + Obstetrics & Gynecology + Ophthalmology + Oto-Aryngology + Dental e) Model - 5, type(six department) L = Internal Medicine + General Surgery + Pediatrics + Obstetrics & Gynecology + Ophthalmology + Oto-Aryngology The composition of architecture space in each type of integrated clinic have a common feature as follows; 1) a clinical examination room, diagnosis radiology room can use together because of the high frequency of the public use. 2) business office, nurse room, medicine room heighten the economical efficiency as the public use for medical operation and management. 3) medical examination & treatment room organize separately for the medical feature. 4) the composition of architectural space of the department which relative importance of patient is high, among the waiting room, organizes a special play space. 5) recovery rooms of the department which is in need of a surgical operation heighten the efficiendy of room with the public use. The connective integration of clinic will be able to suggest a new direction of clinic architecture.

      • 지역별 특성에 따른 초등학교 학생의 체육활동 실태 및 만족도 비교 : 서울시 강남과 강북지역의 초등학생을 중심으로

        박정근 국민대학교 교육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교육적 가치가 큰 체육활동을 현채 초등학생들에게 얼마나 많은 시간과 투자가 이뤄지고, 전반적인 실태 및 만족도를 사회·경제적으로 비교적 수준이 높은 서울 강남과 비교적 수준이 낮은 서울 강북지역으로 나누어 알아보고 비교·분석하여 앞으로의 초등학교 학생들의 체육 활성화 방향을 제시하는 기초적 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조사대상은 2006년 현재 서울시내 소재 초등학교 5, 6학년 중 체육활동에 참여하고 있는 학생들을 모집단으로 설정 하였고, 서울 강남 지역은 강남구에 위치한 K초등학교, 서울 강북지역은 도봉구에 위치한 C초등학교와 K초등학교에서 참여 실태 및 만족도 조사를 하였다. 설문지의 구성은 크게 인구·사회학적특성, 참여 실태, 만족도의 문항들로 이뤄졌다. SPSS 12.0k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강남과 강북지역 간 체육활동에 대한 학생들의 인구 사회학적 특성 및 참여 실태를 각각 파악하기 위해 교차분석을 실시하였고, 강남과 강북지역 간 체육활동에 대한 학생들의 만족도의 평균차이(5점 척도)를 각각 비교하기 위하여 T-test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서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첫째, 체육활동에 참여한 학생들의 인구 사회학적 특성을 강남과 강북지역으로 나누어 비교 분석한 결과, 학생들의 부모님의 교육수준, 가계의 한 달 수입정도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체육활동에 대한 학생들의 참여 실태와 만족도를 강남과 강북으로 나누어 비교 분석한 결과 학생들의 참여 실태 중 '참가 결정 시 문제가 되었던 점'과 '참가 시 부모님의 반응' 에서만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학생들의 만족도에서는 유의한 차이를 찾아 볼 수 없었다. 강남과 강북 두 지역 모두 학생들의 만족도가 모두 긍정적 결과를 남은 것은 앞으로 균형적이고 효율적인 체육활동의 활성화를 기대할 수 있는 기초적 자료를 제시하여주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 LEAP모형을 이용한 태양광 주택보급의 환경성 및 경제성 평가

        박정근 한양사이버대학교 경영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화석에너지 고갈과 환경 문제에 대해 신·재생에너지는 가장 획기적인 대안으로 인식되고 있다. 신·재생에너지 중 태양광 발전 부문은 전 세계적으로 가장 큰 시장성을 갖추어 보급이 가속화 될 잠재성이 많은 분야이다. 본 논문에서는 태양광발전의 주택부문 보급에 따른 환경적·경제적 영향을 평가하기 위해 Long-range Energy Alternative Planning(LEAP)모형을 이용하였다. LEAP모형을 통해 분석한 결과 2030년까지 주택부문의 온실가스 배출량과 에너지 소비량은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기후변화의 영향으로 실내공간의 냉난방 에너지사용량이 증가가 큰 부분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때, 신·재생에너지를 2015년 3.6%에서 2030년까지 11%로 확대 보급하겠다는 정부의 목표에 따라 2013년 0.2%의 태양광 주택 보급률을 2030년 0.4%로 증가는 것을 가정하면 2030년 온실가스 저감량은 BAU대비 약 1,021.8천톤CO2eq로 나타났다. 태양광 발전 설비의 주택부문 보급에 따른 온실가스 저감량과 타 신·재생에너지를 보급하였을 때의 온실가스 저감과도 비교하였다. 태양광 발전효율을 15%로 가정하고 에너지의 전환부문에서 발생하는 온실가스 저감량을 고려하였을 때 태양광발전설비의 주택부문보급이 타 신·재생에너지 대비 환경적·경제적으로 타당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정부의 신·재생에너지 확대를 위한 정책과 지원은 선택과집중을 통해 이루어져야 한다. 태양광발전설비의 주택부문보급으로 인한 효과는 태양광발전으로 인한 온실가스 저감효과와 발전설비의 초기투자비용 부문에서 타 신·재생에너지 대비 합리적인 것으로 판단된다. 국내의 전력요금 체계가 누진요금제인 것을 감안하면 민간주택부문의 태양광발전설비 투자에 따른 부담을 전력 사용요금 인하로 보상이 가능하여 진입장벽도 비교적 낮은 것으로 평가된다. 따라서 태양광발전설비의 주택부문 보급률을 확대하기 위한 그린홈100만호사업과 같은 제도적 지원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With the issues of the exploitation of fossil fuels and climate change, the importance of new and renewable energy increases. Among new and renewable energy sources, photovoltaic power generation is one of promising sources as photovoltaic business is more economic than other new and renewable energy sources are. The goal of this study is evaluates the environmental and economical effects when the number of photovoltaic systems for homes in Korea increased. The analysis is performed using the Long-range Energy Alternative Planning(LEAP) Model. Results indicate that the greenhouse gas emissions and energy consumption are expected to increase until 2030. The increase of energy consumption for heating and cooling in homes are apparent due to the climate changes. Assuming that the percentage of photovoltaic systems increased to 0.4% in 2030 from 0.2% in 2013, the greenhouse gas emissions are expected to decrease as much as 1,021.8×103 tonne co2eq, compared with those in business as usual(BAU). Results also showed that photovoltaic systems are environmentally and economically better than other renewable energy sources. Thus, various programs such as 1 million green home program should be performed to support the photovoltaic industr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