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초상사진의 문화적 가치연구 : '박정근의 이웃' 전을 중심으로 한 작품론

        박정근 중앙대학교 예술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759

        본연구자는 지난 2007년 10월24일부터 30일까지 인사동 인사아트센터에서 전시된 - 박정근의 이웃- 전(展)은 초상사진이 가지는 사회적, 문화적 가치를 재조명하기 위하여 본인의 고향이며 부모님이 살고계시는 상계동에서 30년이상 거주한 이웃주민을 촬영하였다. 굳이 상계동을 선택한 이유는 나의 이웃이자 우리의 이웃을 나타내려 했으며, 조금 더 가까이 가려고 바로 본연구자의 고향을 선택한 것이다. 그리고 초상사진이 가지는 문화적 가치를 세계적인 초상사진가의 사진을 비교분석하여, 시대와 국가의 문화적 관점에서 재조명하여 가치를 분석 , 연구하였다. 문화적인 관점에서 인간이 자신을 기록하고자 하는 목적에서부터 사진가가 인물을 통하여 바라보는 시각적 차원과, 특수한 사회적 목적에서 초상사진에 이어 현재를 살아가는 우리의 사진문화를 다시 한번 재조명하여 미래가치가 있는 초상사진을 정립해 나아가야할 과제가 우리에게 주어져 있다. 이번 -박정근의이웃-전(展)에서 인물촬영을 위하여 많은 시간을 가지게 되었다. 인물들과의 교감을 갖기 위하여 보통 한달이 넘게 걸린 경우도 있었다. 촬영은 최대한 인물이 가지고 있는 특징을 표현하기 위해 배경을 흰색면으로 정리하고, 포맷 또한 대형카메라로 그들의 표정부터 손자세, 의상세부 까지 극명하게 표현하려 하였다. 바로 그들의 자연스러운 모습에서 지금을 살고 있는 우리의 모습을 문화적 기록으로서 가치를 발견할 수 있다. 향년81세의 아버지를 카메라에 담았고, 두손을 꼭잡은 어머니를 함께하였다. 어쩌면 두분은 카메라를 바라본 것이 아닌 사진가인 아들을 바라보고 있었고, 지금도 우리 모두 곁에 함께 한다. 어쩌면 인물촬영은 참 어려운 작업임에는 틀림없다. 하지만 거기에는 묘한 매력이 있다. 왜냐하면 사람이 사람을 상대로 기록을 하거나 사진으로 표현함에는 자기자신과 인물의 상호교감이 이루어지기 때문이다. 본 논문을 통해서 초상사진의 가치를 인식함과 동시에 문화적, 사회적 관점에서 계속적인 형식과 내용의 의미를 연구하고 분석하여, 초상의 정체성을 확립해 나가고자 하였다. The purpose of the Exhibition was to reappraise the social and cultural values that portraits possess. The portraits were of the residents of Sanggye-dong who have been living there for over thirty years with my parents. The cultural values that the portraits possess have been compared and studied with those of some world renowned photographers in order to reappraise and study the values from the cultural perspective of the time period and the country. There is the man's objective/desire to make a record of himself from a cultural point of view. The photographer takes portrait pictures in a visual dimension and with a particular objective. We have the obligation to probe the photographic culture and define the portrait that has a future value. It took me countless hours in taking the portrait pictures for the Exhibition, Park Jung Keun's Neighbors. In many instances it took more than a month to establish rapport with the person whom I was to photograph. In order to display the characteristics of the person at maximum, the backdrop was treated white. In order to format the portrait, I used a large camera to show the position of the hands and details of the clothing. When photographing a eighty-one year old man, he was photographed with his wife who was tightly holding his hands. Perhaps this couple were not looking at the camera but looking at their son. And they are still being right next to us. Taking portraits is undoubtedly a difficult job but has peculiar attractions. The reason is that a person makes a record of another and in expressing it in a photograph, both persons mutually feel rapport. This study has recognized the value of portraits, and at the same time, from the cultural and social viewpoints it will attempt to continuously study the form and the meaning, establishing its true character.

      • 베르디 오페라의 연극적 변용과 그 의미 : 『맥베스』와 『오텔로』를 중심으로

        박정근 대진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셰익스피어 비극 『맥베스』와 『오델로』와 베르디 오페라 『맥베스』와 『오텔로』 사이의 장르의 차이에도 불구하고 베르디는 자신의 독창적인 창작물에 대한 영감의 원천으로 셰익스피어 원작을 소화하고 있다. 베르디가 셰익스피어 원작으로부터 오페라의 플롯과 음악적 영감으로 빌어왔다는 것은 잘 알려져있다. 특히, 위 두 작품에서 셰익스피어와 베르디는 『맥베스』에서 권력에 대한 인간의 극단적인 추구와 그 결과로서 피할 수 없는 파멸, 『오텔로』에서는 폭발적인 사랑과 동반되는 파괴적인 질투를 주제로서 나타내고 있다. 베르디는 로시니와 도니제티가 기여한 아름다운 선율에 초점을 두는 오페라의 전통을 극복하였다. 그는 오페라에 새로운 전략을 시도하였다. 그는 성악가들이 아름다운 아리아만을 부르려고 하는 오페라의 관행에 만족하지 않았다. 오히려 그는 작품 속에 강력한 연극성을 주입하고자 하였다. 베르디는 『맥베스』에서 원작을 모방하기 보다는 오페라으로서 강력한 작품을 만들기 위해서 희극적인 요소를 제거함으로써 비극의 열정이나 단순성을 심화시켰다. 오페라는 복잡한 구조보다는 단순하고 과격한 파괴를 이용함으로써 더 효과적으로 만들 수 있다고 생각하였다. 그는 인물들을 극명하게 대조시키기 위해서 성격을 변용하였다. 그는 원작에서 보다 맥베스는 좀 더 파리하게 맥베스 부인은 더 잔인하게 만들었다. 인물의 극단적인 변용은 작품의 사실성을 감소시키는 반면에 관객들에게 강력한 극적 충격을 더해주었다. 베르디는 맥베스보다는 맥베스 부인에게 초점을 더 줌으로써 원작을 새로운 관점에서 즐길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할 수 있었던 것이다. 베르디는 오페라에 연극성을 가미하기 위한 전략으로서 음악의 음조에 상징적인 의미를 부여하였다. 초자연적인 힘과 악을 응징하는 최고의 권력에는 Bb로 처리하고, 살인과 죽음에는 C, 죄의식에는 Db 등을 이용하였다. 이러한 방법은 관객들로 하여금 오페라의 아름다운 선율뿐만 아니라 연극적 상징 또한 즐길 수 있는 중요한 전략으로 평가할 수 있다. 전기적인 자료에 의하면 베르디는 성악가들로 하여금 줄기찬 연극적 훈련을 하도록 요청하였다는 것을 발견할 수 있는데, 이는 셰익스피어처럼 오페라의 연극성을 발전시키고자 하는 그의 의지로 해석할 수 있다. 베르디는 『오텔로』에서 첨가와 생략의 전략을 이용하여 셰익스피어 원작을 독창적인 작품으로 변용하고 있다. 그는 오페라를 단순하고 강력하게 만들기 위해서 원작의 일막을 생략한다. 베르디는 첫 장면을 오텔로의 안전을 걱정하는 섬주민들의 떠들썩한 아우성소리로 시작하게 함으로써 작품을 더 강력하게 만든다. 이러한 전략을 통해서 베르디는 오페라를 더 단순하게 하면서도 더 효과적인 음악을 창작하는데 성공한다. 특히 그는 셰익스피어 원작의 내용에 없는 창의적이고 아름다운 아리아를 첨가함으로써 음악적으로 더 풍부한 오페라를 만들었다. 베르디는 악마적인 이아고와 천사적인 데스데모나를 알레고리적으로 대조시킴으로써 관객들의 충격을 심화시키는 전략을 구사하고 있는 것이다. In spite of the difference of genre between Shakespeare's tragedies: Macbeth and Othello and Verdi's operas: Macbeth and Otello, Verdi absorbed Shakespeare's works as the fountain of his inspiration for his original creation. It is well known that Verdi borrowed the plot of the opera and musical inspiration from the original of Shakespeare. Especially, in two works, Shakespeare and Verdi represented the theme of human-beings' extreme quest for power and their inescapable destruction as its result in Macbeth and explosive love and accompanying destructive jealousy in Otello. Verdi overcame the convention of opera focusing on beautiful melody to which Rossini and Donizetti had contributed. He performed a new strategy into the opera. Verdi was never satisfied with the opera in which singers tried to sing only their sweet arias. Rather, he tried to inject powerful theatricality into the work. Verdi, in Macbeth, deepened the passion and the simplicity of tragedy by eradicating the comic elements to make his work powerful as the opera without imitating the original. He thought that opera could be more effective by using simple and radical destruction rather than complex structure. He transformed the characters in order to make clear the contrast of characters. He made the character of Macbeth paler and made that of Lady Macbeth more cruel than those of the original. These extreme transformation of character reduced the reality of the work, but could add the strong theatrical impact toward the audience. By doing so, Verdi offered the opportunity to enjoy the original in the new point of view by giving the more focus to Lady Macbeth than to Macbeth. Verdi gives symbolic significance to the musical keys as the strategy to inject the theatricality into the opera; supernatural forces and the ultimate powers punishing the evil to Bb; murder and death to C; guilt to Db etc. This method can be evaluated as his important strategy to let the audience enjoy theatrical symbols as well as beautiful melodies of the opera. According to his biographical materials, we can find that he asked the singers to do consistent theatrical training, which can be interpreted as his recognition to develop the opera theatricality as Shakespeare did. Verdi, in Otello, transform Shakespeare's original work into his own opera by using the strategy of adding and omitting. He omits Act 1 of Shakespeare's version to make his opera simple and powerful. Verdi's first scene starts from thundering crying of the islanders who worries about the safety of Otello, which makes this work more powerful. Through this kind of theatrical strategy, Verdi succeeds in simplifying his opera and creating more effective music. Especially, he adds his creative and beautiful arias different from Shakespeare's works in contents, which makes his opera more fruitful in music. Verdi in three arias, contrasts satanic Iago and angelic Desdemona in character, which lets the audience feel more shocking by means of allegorical character.

      • 지역별 특성에 따른 초등학교 학생의 체육활동 실태 및 만족도 비교 : 서울시 강남과 강북지역의 초등학생을 중심으로

        박정근 국민대학교 교육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교육적 가치가 큰 체육활동을 현채 초등학생들에게 얼마나 많은 시간과 투자가 이뤄지고, 전반적인 실태 및 만족도를 사회·경제적으로 비교적 수준이 높은 서울 강남과 비교적 수준이 낮은 서울 강북지역으로 나누어 알아보고 비교·분석하여 앞으로의 초등학교 학생들의 체육 활성화 방향을 제시하는 기초적 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조사대상은 2006년 현재 서울시내 소재 초등학교 5, 6학년 중 체육활동에 참여하고 있는 학생들을 모집단으로 설정 하였고, 서울 강남 지역은 강남구에 위치한 K초등학교, 서울 강북지역은 도봉구에 위치한 C초등학교와 K초등학교에서 참여 실태 및 만족도 조사를 하였다. 설문지의 구성은 크게 인구·사회학적특성, 참여 실태, 만족도의 문항들로 이뤄졌다. SPSS 12.0k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강남과 강북지역 간 체육활동에 대한 학생들의 인구 사회학적 특성 및 참여 실태를 각각 파악하기 위해 교차분석을 실시하였고, 강남과 강북지역 간 체육활동에 대한 학생들의 만족도의 평균차이(5점 척도)를 각각 비교하기 위하여 T-test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서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첫째, 체육활동에 참여한 학생들의 인구 사회학적 특성을 강남과 강북지역으로 나누어 비교 분석한 결과, 학생들의 부모님의 교육수준, 가계의 한 달 수입정도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체육활동에 대한 학생들의 참여 실태와 만족도를 강남과 강북으로 나누어 비교 분석한 결과 학생들의 참여 실태 중 '참가 결정 시 문제가 되었던 점'과 '참가 시 부모님의 반응' 에서만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학생들의 만족도에서는 유의한 차이를 찾아 볼 수 없었다. 강남과 강북 두 지역 모두 학생들의 만족도가 모두 긍정적 결과를 남은 것은 앞으로 균형적이고 효율적인 체육활동의 활성화를 기대할 수 있는 기초적 자료를 제시하여주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 LEAP모형을 이용한 태양광 주택보급의 환경성 및 경제성 평가

        박정근 한양사이버대학교 경영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화석에너지 고갈과 환경 문제에 대해 신·재생에너지는 가장 획기적인 대안으로 인식되고 있다. 신·재생에너지 중 태양광 발전 부문은 전 세계적으로 가장 큰 시장성을 갖추어 보급이 가속화 될 잠재성이 많은 분야이다. 본 논문에서는 태양광발전의 주택부문 보급에 따른 환경적·경제적 영향을 평가하기 위해 Long-range Energy Alternative Planning(LEAP)모형을 이용하였다. LEAP모형을 통해 분석한 결과 2030년까지 주택부문의 온실가스 배출량과 에너지 소비량은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기후변화의 영향으로 실내공간의 냉난방 에너지사용량이 증가가 큰 부분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때, 신·재생에너지를 2015년 3.6%에서 2030년까지 11%로 확대 보급하겠다는 정부의 목표에 따라 2013년 0.2%의 태양광 주택 보급률을 2030년 0.4%로 증가는 것을 가정하면 2030년 온실가스 저감량은 BAU대비 약 1,021.8천톤CO2eq로 나타났다. 태양광 발전 설비의 주택부문 보급에 따른 온실가스 저감량과 타 신·재생에너지를 보급하였을 때의 온실가스 저감과도 비교하였다. 태양광 발전효율을 15%로 가정하고 에너지의 전환부문에서 발생하는 온실가스 저감량을 고려하였을 때 태양광발전설비의 주택부문보급이 타 신·재생에너지 대비 환경적·경제적으로 타당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정부의 신·재생에너지 확대를 위한 정책과 지원은 선택과집중을 통해 이루어져야 한다. 태양광발전설비의 주택부문보급으로 인한 효과는 태양광발전으로 인한 온실가스 저감효과와 발전설비의 초기투자비용 부문에서 타 신·재생에너지 대비 합리적인 것으로 판단된다. 국내의 전력요금 체계가 누진요금제인 것을 감안하면 민간주택부문의 태양광발전설비 투자에 따른 부담을 전력 사용요금 인하로 보상이 가능하여 진입장벽도 비교적 낮은 것으로 평가된다. 따라서 태양광발전설비의 주택부문 보급률을 확대하기 위한 그린홈100만호사업과 같은 제도적 지원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With the issues of the exploitation of fossil fuels and climate change, the importance of new and renewable energy increases. Among new and renewable energy sources, photovoltaic power generation is one of promising sources as photovoltaic business is more economic than other new and renewable energy sources are. The goal of this study is evaluates the environmental and economical effects when the number of photovoltaic systems for homes in Korea increased. The analysis is performed using the Long-range Energy Alternative Planning(LEAP) Model. Results indicate that the greenhouse gas emissions and energy consumption are expected to increase until 2030. The increase of energy consumption for heating and cooling in homes are apparent due to the climate changes. Assuming that the percentage of photovoltaic systems increased to 0.4% in 2030 from 0.2% in 2013, the greenhouse gas emissions are expected to decrease as much as 1,021.8×103 tonne co2eq, compared with those in business as usual(BAU). Results also showed that photovoltaic systems are environmentally and economically better than other renewable energy sources. Thus, various programs such as 1 million green home program should be performed to support the photovoltaic industries.

      • 공연콘텐츠 소재 개발을 위한 문화원형 활용사례에 관한 연구 : 의정부시 사례를 중심으로

        박정근 서경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ABSTRACT A Study on the Cultural Prototype Use Cases for the Performing Content Material Development (Focusing on the Case Uijeongbu) Jeoung-gun Park Department of Theater and Film The Graduate School of Seokyeong University Korea, as of 2015, evaluates culture contents industry as the core power that will lead Korean economy in the future and therefore concentrates all competences of both government and people into such. Total sales of contents industry in Korea exceeded 94.3 trillion won in 2014 and showed continuous growth for the last 15 years. Exports also shows growth by recording 3.19 billion won in 2010 and 5.41 billion won in 2014. despite such remarkable growth, the importance and position of performing art industry is at the very bottom of the list of 8 items representing culture contents industry and is even treated as one of other genres in various statistical researches. This proves that performance area takes only a small part in the entire contents industry. Actually, 670 billion won of performance sales in Korea are only 0.7% of exports of all culture businesses and the scale of oversea export of such is as bereft as it is unable to be presented statistically in exports. Therefore, this research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actual states of performance industry in various kinds of culture contents industry and to analyze problems of such, aiming for suggesting a future direction for performance industry. To do so, I focused on materials which were the most critical element necessary for commonly called 'killer contents' and tried to find a core element of such from the original cultural form. To reveal the fact that a central material was the most important element for a success in performance contents industry and that a truly valuable material that displayed the most powerful and fundamental power among all central materials was 'original cultural form', I analyzed the performances of business related to the development of original cultural form which had been progressed until present and looked for a solution for the utilization of materials in the original cultural form while creating performance contents and examined the cases of original cultural forms used for various genres of culture contents business thus far and also suggested a standard and a direction of the development of performance contents with the use of a creative material in the original cultural form henceforward. Ultimately, I performed a research to search for a solution for the invigoration of local culture industry, especially performance industry, using various original cultural forms scattered in each region and selected 『Original Play Collection Project for the Development of Folk Culture & Arts』by Uijeongbu City, 『Uisun Princess』, the original musical designed with Uisun Princess, which was a material in the original cultural form owned by Uijeongbu, and 『Guichun』, the original dance drama based on Chon Sang-pyong the poet among the cases of local government that had made continuous efforts for such invigoration as an example of utilization, which is the main point of this paper, in order to present a possibility of the utilization of original cultural form for the development of performance works and also analyzed various problems and thresholds of culture industry in Korea, especially performance industry, so as to suggest a solution for performance industry in Korea to produce global killer contents. Keyword : Culture Industry, Industry Performance, Cultural Original Form, Contents, Local Performances, Musical Princess UiSoon, Material of Creativity Uijeongbu, A dance drama Gwicheon, Storytell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