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上脘(CV13)에 시술한 大豆黃卷 藥鍼이 高脂肪 食餌로 誘發된 비만 白鼠에 미치는 영향

        박재은 동신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Objectives : This research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Glycine Semen Germinatum herbal acupuncture at acupoint Shangwan( CV13) on weight gain, food intake, food efficiency, serum of lipid concentrations and liver function of high fat diet for 8 weeks. Methods : Experimental groups were divided into high fat diet group(Control), high fat diet and Glycine Semen Germinatum-herbal acupuncture in Shangwan(CV13) treated group (EPX-A, 0.26 mg/kg), high fat diet and Glycine Semen Germinatum-herbal acupuncture in Shangwan(CV13) treated group (EPX-B, 0.65 mg/kg), high fat diet and Glycine Semen Germinatum-herbal acupuncture in Shangwan(CV13) treated group (EPX-C, 1.3 mg/kg). Herbal acpuncture was treated at Glycine Semen Germinatum-herbal acupuncture in Shangwan(CV13) 2 times (each time 0.1ml) in a week, total 16 times during 56 days. Results : Food intake was significantly decreased in EXP-A at 2 week, EXP-B at 7 week, EXP-C at 4 week and food efficiency was decreased in EXP-A, EXP-C at 1 week. While the level of serum total cholesterol was significantly decreased in EXP-A, EXP-B, EXP-C, the level of serum HDL-cholesterol was increased in EXP-C. The level of triglyceride was significantly decreased in EXP-A, EXP-B. Conclusion : Glycine Semen Germinatum-herbal acupuncture in CV13 can control the food intake, food efficiency, total cholesterol, HDL-cholesterol, triglyceride. 고지방식이로 유발된 肥滿 白鼠의 上脘에 시술된 大豆黃卷藥鍼이 체중, 식이섭취량, 식이효율, 지질대사 및 간 기능에 미치는 영향을 한 바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식이섭취량은 대조군에 비하여 EXP-A군은 2주째와 7주째, EXP-B군은 7주째, EXP-C군은 4주째에 각각 유의한 감소를 보였으며, 식이효율은 EXP-C군에서 1주째에 유의한 감소를 나타내었다. 2. Total cholesterol는 대조군에 비하여 EXP-A군, B군, C군이 유의성 있는 감소를 보였으며 HDL-cholesterol은 EXP-C군이 유의성 있는 증가를 보였다. 3. Triglyceride는 대조군에 비하여 EXP-A군, EXP-B군이 유의성 있는 감소를 보였다. 4. GOT, GPT 및 total Bilirubin은 대조군에 비하여 모든 실험군에서 유의성은 없었으나 EXP-B군에서 가장 낮은 감소의 경향을 보였다.

      • 한의사 약침 사용 실태 및 급여화 인식도 연구

        박재은 경희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한의사들의 약침사용현황과 관련 정책에 대한 인식을 조사함으로써 약침의 급여화의 타당성을 탐색하기 위해 기획되었다. 이를 위해 2018년 4월 25일부터 5월 7일까지 총12일간 대한한의사협회 메일링 리스트에 포함된 전체 한의사에게 이메일을 통한 자기기입식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응답자 중 최종 393명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한의사들은 약침을 활발히 사용하고 있으며 효과와 만족도는 높은 반면 부작용은 비교적 경미한 것으로 나타난다. 따라서 한의사들은 우수한 치료수단으로써 약침의 발전 및 활성화를 원하고 있다고 해석할 수 있다. 이를 위한 정책적 방안으로는 급여화를 통한 보장성 확대를 가장 우선시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 외 조제 및 품질관리기준 설정, GLP급 기관에서 약리작용 및 독성 검증, 약침 사용방법에 대한 지침 마련, 제약화를 통한 산업화, GMP급 시설 확대, 공인된 약침 교육 제도 마련과 같은 표준화 및 규격화 정책들을 통해 안전성이 보완되어야한다고 응답하였다. This study was designed to examine the feasibility of the benefits of Pharmacopuncture by investigating the current status of Pharmacopuncture and the perception of related policies. To do this, we conducted an online questionnaire survey by e-mail to all Korean medical doctors included in the Korean Medical Doctor Association mailing list for a total of 12 days from April 25 to May 7, 2018. The final 393 respondents were analyzed. As a result, Korean medical doctors are actively using Pharmacopuncture, and their effects and satisfaction are high, while side effects are relatively mild. Therefore, it can be interpreted that Korean medical doctors want to develop and activate Pharmacopuncture as an excellent treatment. As a policy measure for this, the respondents answered that priority is given to extending the national health insurance coverage. In addition, the respondents answered that safety should be complemented through establishment of standards for dispensation and quality control, verification of pharmacokinetics and toxicity at GLP level institutions, Providing guidelines on how to use Pharmacopuncture, industrialization through pharmaceutical companyization, expansion of GMP class facilities, and the establishment of a licensed Pharmacopuncture education system.

      • 중학교 영어교육에서 영문학 작품을 활용한 쓰기 활동 방안에 관한 연구

        박재은 경성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영문학 작품을 활용한 영어 수업이 학습자에게 효과적이라는 것을 보여주는 이론적 배경을 살펴보고 영어 쓰기 능력 향상을 위하여 영문학 작품을 활용한 구체적인 쓰기 수업 활동을 제시하는 것이다. 영어의 네 기술 중 듣기, 말하기, 읽기 영역은 문학 텍스트를 활용하는 방안에 관한 연구가 많이 나와 있지만, 아직 까지 쓰기 영역에서는 영문학 작품을 활용한 구체적인 방안이 부족하다고 여겨진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영문학 작품을 활용하여 쓰기 활동들을 모색하였다. 영문학 작품은 언어적, 문화적, 교육적 측면에서 많은 이점을 지니고 있다. 문학 작품을 통하여 어휘, 문법, 문체, 구조, 작가의 다양한 표현법 등을 익힐 수 있다. 문학의 배경이 되는 문화를 접하며 해당 문화를 배울 수 있는 기회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다양한 장르와 주제로 학습자의 흥미를 이끌 수 있으며, 다양한 활동으로 연계시켜 학습에 박차를 가하는 자극제가 될 수 있다. 효과적인 수업이 되기 위해서는 학습자의 어학적 능력과 흥미를 기준으로 영문학 작품과 장르가 선택되어야 한다. 중학생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한 결과, 다양한 문학 장르 중 단편소설을 가장 선호하였다. 단편소설은 작품의 길이가 짧으므로 수업시간에 작품 전체를 학습할 수 있으며, 텍스트의 길이는 짧지만 학습자가 문학 작품의 언어적, 문화적 요소를 학습할 수 있으므로 교육적 가치를 지닌다고 볼 수 있다. 단편 소설을 활용한 수업은 읽기 전 활동, 읽기 중 활동, 읽기 후 활동으로 제시 된다. 읽기 전 활동에서는 학습자가 수업에 흥미를 지니고 학습 동기를 가질 수 있는 활동으로 구성된다. 읽기 중 활동에서는 텍스트를 이해하고 작가의 의도를 파악할 수 있도록 텍스트 중심으로 이루어진다. 읽기 후 활동에서는 학습자가 중심이 되어 다양한 쓰기 활동으로 연계시켜 쓰기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다양한 활동들이 고안된다. 따라서 학습자들의 어학적 수준에 맞추어 O. Henry의 단편소설 Witches' Loaves를 활용하여 다양한 쓰기 활동 모형을 제시하였다. 이는 현재 교육과학기술부에서 제시하는 쓰기 영역 성취 기준에 중점을 두고 고안하였으며, 영문학 작품을 활용하여 다양한 활동으로 연계시킬 수 있음을 볼 수 있다. 결론적으로 말하자면, 영문학 작품을 활용하여 다양한 영어 수업 활동을 모색하는 것은 학습자가 적극적으로 수업에 참여하여 학습할 수 있는 좋은 방안이라 여겨진다. 문학을 통한 다양한 영어 수업 활동 모색은 통합적인 영어 능력 향상을 위한 진정성 있는 학습 자료가 될 것이라 기대된다. 또한 교사는 학습자에 대한 이해와 학습 목표에 대한 인식 후, 영문학 작품이 영어 교육 자료로서 충분한 효과를 얻도록 다양한 측면에서 학생들의 요구를 분석하고, 분석한 결과를 바탕으로 다양한 장르의 교재 개발이 필요할 것이다.

      • Therapeutic effect and safety of Pharmacopuncture : systematic reviews

        박재은 경희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247631

        서론: 약침은 한약과 침이 결합된 요법으로, 한국에서 보편적으로 다용되는 한방 치료술기이다. 이러한 약침의 치료효과 및 안전성에 대하여 살펴보고, 관련 연구들을 평가하기 위해 첫 번째 파트에서는 그동안 시행된 모든 종류의 약침에 대한 체계적 논문 고찰을 보는 개관을, 두 번째 파트에서는 한국에서 시행된 약침 치료로 인한 이상 반응이 보고된 모든 임상 논문들에 대하여 체계적 논문 고찰을 실시하였다. 방법: 우선, PubMed, EMBASE, CENTRAL, CNKI와 한국 서지를 대상으로 2020년 1월까지 출판된 모든 종류의 약침에 대한 체계적 논문 고찰을 선정하여 질환 및 약침별로 구분하여 효과 및 그 근거 수준을 GRADE를 사용하여 평가하였다. 또한 PubMed, EMBASE, CENTRAL와 한국 서지를 대상으로 2019년 12월까지 출판된 한국에서 시행된 모든 종류의 약침에 대한 부작용이 보고된 임상 연구를 선정하여 이상반응의 특성 및 강도, 빈도, 인과성 그리고 보고 품질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결과: 첫번째 분석에는 19개의 체계적 논문고찰들이 포함되었으며, 발목통증과 COPD에 대한 두 건의 논문(10.5%)을 제외한 나머지 논문들(89.5%)은 약침의 효과에 대하여 긍정적, 또는 일부 긍정적으로 결론지었다. 이는 근골격계질환, 통증 질환, 경부 척추증, 무릎 골관절염, 목과 어깨의 근막염, 발목 염좌, 외상성 부상, 신경질환, 급성 말초성 안면마비, 천식, COPD, 순환계질환, 비만, 2형 당뇨, 당뇨병성 말초신경병증, 암 관련 증상, 소화기질환, 월경질환, 산후증후군, 임신오저 등 다양한 질환에 대한 약침의 효과를 시사한다. 그러나, 57개 중 45개의 항목(78.9%)에서 GRADE를 사용한 근거 수준 평가는 낮음 또는 매우 낮음으로 나타나 해당 결론의 해석에는 주의를 요한다. 두번째 분석에는 10 개의 RCT, 5개의 CCT, 16개의 증례 보고 및 6개의 후향적 차트 리뷰가 포함되었다. 포함된 논문들에서 나타난 이상반응의 특성을 살펴보면, 통증, 발적, 부종, 가려움증과 같은 피부국소증상과 몸살, 열, 두통, 현기증, 피로와 같은 전신증상이 많았다. 이는 약침액으로 인해 발생하는 문제라기보다는 약침의 바늘을 이용하여 주입되는 침습적 특성으로 인한 것으로 보인다. 나타난 이상반응의 중증도는 대부분이 경증에서 중등도 수준으로 정도가 심하지 않고 소실되었다. 이상반응의 발생률은 RCT에서 보고된 바에 따르면 봉독의 경우 9.09%에서 22.22%로, 봉독이 아닌 다른 약침(유근피,어혈)은 각각 6.67%, 6.25%였다. 이를 종합하면, 약침으로 인한 이상반응은 대부분 경미하며 지속시간이 길지 않은 것이 대부분으로, 중등도 이상의 이상반응은 발생율이 낮음을 알 수 있다. 약침 용액 종류 중에서는 봉독이 이상반응 보고도 가장 많이 되었으며 양상도 아나필락시스 증상을 포함하여 좀더 중증의 반응이 많았다. 그러나 이와 같은 결과는 RCT와 CCT 중 하나의 논문을 제외한 93.3%의 논문들이 이상반응 보고시 CONSORT 기준을 사용하지 않았으며, 또한 부작용의 개념 및 정도에 대한 사전정의와 부작용 보고 기준을 준수여부에 대한 Mcharm의 항목에서 50% 미만의 통과율을 보여, 그 신뢰성에 있어서 주의를 요한다. 결론: 본 논문은 약침에 대한 최초의 개관이자, 약침의 부작용에 대한 최초의 체계적 논문 고찰으로써, 약침의 잠재적인 효과 및 안전성을 유추하고 후속 연구자에게 지침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논문 고찰 결과, 대부분의 논문에서 약침은 다양한 질병에 대해 잠재적인 이점이 있으며 부작용은 대부분 경미한 안전한 치료 도구인 것으로 보고되었다. 그러나 그 효과에 대한 평가의 근거 수준은 낮으며 포함된 연구들 또한 비뚤림 위험이 높다. 부작용과 관련된 논문들 역시 안전성 보고 기준을 따르지 않고, 내적타당도 문제를 내재하고 있는 경우가 많고 비뚤림 위험이 높다. 따라서 약침의 치료적 가치와 안전성은 아직 불확실하며 좀더 확실한 평가를 위해서는 다수의 양질의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 『子平眞詮』傷官格 成敗의 활용 연구

        박재은 공주대학교 일반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사람들은 동서고금을 막론하고 불확실한 미래에 대한 불안감의 해소와 현실에 직면한 문제의 해결방법을 찾고자 하는 것은 큰 관심사였다. 이에 현실세계에서 만족할 수 없는 부분을 동양에서는 사주명리학을 통해 찾고자 했다. 명리학이 심화되고 발전하던 사회는 유교를 중심으로 농업이 경제의 중심이었고 경제와 금융은 크게 발달되지 않았기에 벼슬이나 관직의 획득 여부에 의해 재물의 취함이 생길 수 있는 사회이다. 이러한 사회에서 상관은 법과 질서를 혼란하게 만드는 흉신이다. 그러나 『자평진전』 「논상관」에서 비록 길신은 아니지만 실제로 기를 빼어나게 하는 것으로 문인이나 학자들이 많으며 격국도 다른 격에 비하여 많고 변화는 더욱 많아서 그 기후를 조사하고 그 강약을 헤아리고 그 희기를 살피고 그 순잡을 관찰하는데 달려 있으므로 미묘하다고 나와 있다. 이는 단순히 흉신으로 볼 것이 아니라 도 같이 생각해 볼 필요가 있다. 산업의 발달과 과학문명의 발달로 정치, 경제, 사회, 문화에 걸쳐 많은 변화가 이뤄졌고 이로 인해 가치관의 변화 및 생활환경 방식이 새로이 정립되었다. 또한 다양한 직업군이 형성되었고 자신의 능력 발휘를 통해 사회적 위치를 변화시키고 있다. 이러한 시대에서 상관은 현대적 관점에서 새로운 재해석이 필요하며 간명의 변화가 있어야 한다고 본다. 자평명리학의 역사는 존중되어야 하며 중심적인 기본 이론은 변할 수 없다. 상관격 역시 기본 이론을 바탕으로 성패를 구분하는 것은 중요한 것이고 이를 바탕으로 편협적인 시각의 해석보다는 변화하는 시대 속에서 상관을 새롭게 해석 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된다. It was of great concern that people, from all walks of life, sought to resolve their anxiety about the uncertain future and find a solution to the problems facing reality. Therefore, he wanted to find areas in the real world that could not be satisfied in the real world through saju Myungriology in the East. A society where fame was deepened and developed is a society where agriculture was the center of the economy centered on Confucianism, and the economy and finance were not developed much, so the acquisition of government posts or government posts can lead to the exploitation of wealth. In this society, the boss is a scoundrel that confuses law and order. However, "Japyeongjinjeon" and "Nonsanggwan" say that although they are not auspicious, they are more literati and scholars than other countries, and that there are more changes than other countries, so it is subtle because it depends on examining the climate, examining the strength of the book, and observing its purity. It is not just a disgrace, but it is also necessary to consider the good side. With the development of industry and scientific civilization, many changes have been made across politics, economy, society, and culture, which has led to changes in values and new ways of living environment. Various occupational groups have also been formed and are changing their social position through their own display of competence. In this era, the boss believes that a new reinterpretation is needed from a modern perspective and that there should be a change in the span of life. The history of self-pacification should be respected and the central basic theory cannot be changed. It is also important to distinguish between success and failure based on the basic theory, and based on this, it is necessary to interpret it anew in a changing era rather than a narrow-minded interpretation of the view.

      • 불교 수행에 있어서 우뻬카(Upekkhā)에 관한 연구 : 초기·상좌부 불교를 중심으로

        박재은 서울불교대학원대학교 2016 국내박사

        RANK : 247631

        Buddhism is composed of a theoretical doctrine system and a fulfillment system meaning the practice of clear and pure doings. While the theoretical doctrine is to promote the understanding of intellectual aspects of phenomenon, clear and pure doings emphasizes practical behaviour based on these understandings. To put this simply, this is a matter of realization and cultivation. Representative practices in early Buddhism present a parallel practice of the Jhāna of Samatha, based on the religious precepts, and the insight of Vipassanā. This system including all precepts, Jhāna, and añña are accompanied by a series of methods leading to the ultimate destination by gradual cultivation. Also, in the process of this gradual improvement, Sati is introduces as a key method of practice essential in the practice of the Jhāna of Samatha and insight of Vipassanā. Sati is not only emphasized in Samatha and Vipassanā, but is also always required in the bearing of the precepts. However, there are no performative advantages of found Upekkhā in the unique functions of Sati. Also, the unique functions of Sati cannot be found in Upekkhā as well. Therefore, the two practically need each other. Upekkhā and Sati can be peacefully carried out only when they maintain a complementary relationship together rather than acting independently. In terms of the practice of Buddhism, compared to Sati, which has received quite attention up until now, Upekkhā, despite its practial importance and weight, has not been well known and it's a fact that is has been out of interest. However, in practice, Upekkhā has much of an important weight as Sati does. Since Upekkhā possesses important factors essential for practice, its importance cannot be emphasized enough. The key functions of Upekkhā are fair observation and calm composure based on sense of balance. This allows one to make fair observations when viewing a phenomenon without prejudice or other thoughts and maintains balance of the mind so that one’s thought do not lean to a certain direction due to preference, hatred, and so on. Also, since preventing agitation, this maintains inner calmness as well. Above all, balance works as the key property of Upekkhā. A break in balance leads to agitation, and agitation cannot ensure fair observation or calm composure. In addition, is Sati is not supported by Upekkhā, it can be said that peaceful practice cannot be carried out, and in terms of actual practice, Upekkhā and Sati show characteristics of accompanying each other which indicates that Upekkhā is as important in performace as Sati. In fact, Upekkhā plays an important role in the practice of Samatha and Vipassanā, and shows participation throughout the entire process of practice. Not only in the entire process of practice, but it is also described as a complete state of mind of the meditator the religion who has achieved complete añña as well. So to speak, it implies ambiguous values such as playing the role of a tool and including the inner stage of total realization. In this study, the following have been discovered in detail through research of Upekkhā in terms of the practice of Early Buddhism and Theravāda Buddhism. First of all, according to the origin and definition of the word, Upekkhā meant fair observation, balance, calm composure, and such, but in modern literature, there are attempts to understand Upekkhā using the words skillful, force, energy, penetration, altruism, and so on. Especially, these studies regarded ‘Tatramajjhattatā’ and Upekkhā to be the same, and in the process of translation the ‘tatra’ in ‘Tatramajjhattatā’ changed to ‘specific’ then to ‘specific neutrality’, which is expressed differently than the origin of the term. Also, Upekkhā is only known in ten types. The main reason why Upekkhā and ‘Tatramajjhattatā’ are being regarded as the same, and discussions of the ten types of Upekkhā are ongoing was found out to be the result of following the contents of the Visuddhimagga, a literature of Theravāda Buddhism from the 5th century, as is. Visuddhimagga does inherit the traditions of early Buddhism, but since there are contents that seems to be added in later generations, relying only on this literature has the risk of narrowing the conceptual understanding of Upekkhā or leaving partial misunderstandings. Secondly, among the predicates modifying Upekkhā, only fragmentary parts have been included or known such as neutrality, indifference, physically indifferent feeling, and so on. However, when examining the examples set in Nikāya, an early scripture, these predicates have been confirmed to be far from Upekkhā and more colorful types of Upekkhās than actually known have been discovered. Also, all Upekkhās were considered to be in complete balance, but actually Upekkhās applied in Supermundane and Mundane are clearly distinguished and in some cases even show differences in qualitative levels as well. Thirdly, in Vibhaṅga, a treatise of Abhidhamma, ‘Majjhattatā’ modifies Upekkhā, which initially was used alone. However, in Visuddhimagga, ‘tatra’ was added and as a result, it has unfolded to the form of ‘Tatramajjhattatā’ of today and became to mean ‘complete neutrality’. This predicate is difficult to find in Early Buddhist scriptures and has been taken root as a unique expression method of Visuddhimagga, and most Pāli related literature after Visuddhimagga uses Upekkhā and ‘Tatramajjhattatā’ as synonyms. The reason why regarding ‘Tatramajjhattatā’ and Upekkhā as the same is irrational is because all Upekkhā are not considered to be of a complete balanced state. Fourthly, when examining the classification methods on Upekkhā in Visuddhimagga based on Early Buddhist scriptures, changes of the Upekkhā in the Early Buddhist scriptures were shown in forms such as disappearing in Visuddhimagga or going through transformations and even turning into something new, and there even has been some discoveries of differences along with similarities in terms of functions and characteristics. Upekkhās are all the same as explained by Visuddhimagga, but rather than the expression method being different in accordance with the context, there are cases where it possesses a different characteristic to start with and show qualitative differences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Fifthly,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s of Visuddhimagga, a classification method based on functions and characteristics is presented as an alternative plan that can be differentiated with Visuddhimagga. Due to these attempts, an emphasis can be made on the plural aspects of Upekkhā. However, since each Upekkhā possesses two or more functional characteristics, a flexibility must be kept in mind that various classification methods can be derived in accordance with the perspective of the observer. Therefore, the optimum way to guarantee the uniqueness of Upekkhā is to not categorize them in a certain frame. Sixthly, Upekkhā-cetovimutti has only been known as a noble quality that treats all existences equally, but in the practice of the Jhāna of Samatha, it was found out that it plays the role of the subject of practice that can demonstrate concentration as high as to reach the base of nothingness. Also, Upekkhā measures strengths with the other factors of Jhāna and helps stabilize Jhāna, which except for the immaterial sphere, especially the Upekkhā most solid in the fourth Jhāna plays the role of the practical factor of Jhāna that is the basis for the optimal Vipassanā. Also, in this process, it was found out that Upekkhā portrays Sati while Sati supports Upekkhā, which are usually accompanied by each other. On the other hand, according to Visuddhimagga, Upekkhā is described to only exist in the material sphere, but according to Early Buddhist scriptures, it was confirmed that it also appears continuously in the immaterial sphere as well. Then again, in achieving perception-feeling-cessation, along with Upekkhā, Sati as well ceases to exist and so it can be said that the basic precondition of Jhāna, ‘mindfulness right here’ is not fulfilled. Hence, it is considered that there is a need for reviewing the meaning of the practical status of perception-feeling-cessation which is at the top of the 9 revel meditative attainment of the practice of Jhāna. Seventhly, when practicing the four foundations of indfulness in Jhāna, it allows the meditator to keep balance of the mind and to see things fairly, and not only in Jhāna but also in the everyday life, when Sati does not lose its target, Upekkhā provides a fair observation based on the balance that does not agitate. Also, after Buddha was introduced in the fourth Jhāna, the reason why he reached complete nirvana was inferred to be because all pains that are accompanied in complete nirvana are viewed with insight as añña and the peace of Upekkhā was maintained that does not view them as neither something painful nor enjoyable, all due to Upekkhā and Sati which are the most solid in the fourth Jhāna. Eightly, in the process of removing the gradual fetter of the noble ones, most Upekkhās can be viewed as possessing a useful tool to remove the fetter and participating in the entire process. Then, Upekkhā Pārami is an important factor that must be cultivated in order to become a noble one, and at the same time a inner quality a noble one possesses like Buddha. Ninthly, it was found out that although Arahant, being complete does not mean that all activities of the mind stop, but rather means living by maintaining Upekkhā at all times. Also, in order to develop Upekkhā, Sati must be maintained, and above all, it was learnt that it is important to constantly concentrate on developing Upekkhā to enhance gradually. As the functions of Sati are required in terms of practice, Upekkhā as well can be seen as having the same weight. This is because it must be maintained in the entire process of practice, as well as after achieving the destination, and it possesses a key practical capability that has to remain to the very last moment. If Upekkhā is developed and maintained, negative emotions that exist can be shut off and while one leans one’s minds to Upekkhā, his or her mind becomes and remains clean. While this happens, new wrong thoughts or emotions do not form during the process and even when negative emotions suddenly occurs in a conscious level, one is able not to react sensitively to them. Also, since one is able to live without meaningless arguing of right and wrong by being overly involved in others’ matter in the sundry world and even if such occurs inevitably, one is able not to be too excited or too depressed and rather maintain a balanced view, a comparatively mature decision can be made. So to speak, one becomes equipped with a proficient mental power. Since Upekkhā possesses the usefulness of being utilized to develop not only Supermundane but also Mundane that hopes to lead a more stable, peaceful and carefree life, it will newly be established as a helpful physical and mental quality for all regardless of Supermundane or Mundane.

      • Characterization of an endolysin, LysBPS13 from a Bacillus cereus bacteriophage BPS13

        박재은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Use of bacteriophages as biocontrol agents is promising tool to control pathogenic bacteria including antibiotics-resistant bacteria. Not only bacteriophages but also endolysins, which are the peptidoglycan hydrolyzing enzymes encoded by bacteriophages, have high potential for applications as biocontrol agents for foodborne pathogens. In this study, a putative endolysin gene was identified from the genome of the bacteriophage BPS13, which infects Bacillus cereus. In silico analysis of this endolysin, designated LysBPS13 showed that LysBPS13 consists with N-terminal catalytic domain (PRGP domain) and C-terminal cell wall binding domain (SH3_5 domain). Further characterization with the purified LysBPS13 revealed that this endolysin is an N-acetylmuramyl-L-alanine amidase, whose activity was not dependent on metal ions. Especially LysBPS13 has remarkable thermostability in the presence of glycerol as LysBPS13 showed lytic activity even after boiling for 30 min. Taken together, LysBPS13 can be considered as a favorable candidate as a new antimicrobial agent to control B. cereus in food products. 최근 항생제 내성 균주의 출현빈도가 높아지고 병원균을 제어하기 위한 친환경 소재에 대한 관심이 급증함에 따라 이에 대한 연구가 중요시 되고 있다. 박테리오파지는 높은 특이성을 가지고 특정 미생물에만 작용하여 용균작용을 일으키는 바이러스로, 박테리오파지와 파지에 의해 발현되는 펩티도글리칸 가수분해효소인 엔돌라이신이 식중독균을 제어하기 위한 바이오컨트롤 제재로 각광 받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바실러스 세레우스을 특이적으로 저해하는 박테리오파지 BPS13을 분리, BPS13 유래 엔돌라이신, LysBPS13의 특성을 규명하였다. 바이오인포메틱스 프로그램을 통한 분석 결과, 834 염기쌍의 LysBPS13은 N-acetylmuramyl-L-alanine amidase과 높은 상동성을 보였으며, 각각 N말단과 C말단 부분에 효소 활성 도메인과 세포벽 결합 도메인을 갖고 있었다. 그 숙주 범위는 독소를 생성하는 바실러스 세레우스와 써린지언시스에 국한되었으며 효소 활성 나타낼 때 조효소를 필요로 하지 않았다. 특히 LysBPS13은 글리세롤과 함께 있을 때 30분 동안 열을 가하고 난 후에도 안정된 항균활성을 보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LysBPS13의 특성을 통해 새로운 항균물질로서의 가능성을 제시 할 수 있다.

      • 정책네트워크모형에 의한 경기도 혁신학교 정책변동 분석

        박재은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analyzed the policies of the innovative schools in Gyeonggi-do based on the "Innovative School Promotion Plan" and "Innovative School Operation Plan" sent to schools from 2009 to 2018. This content analysis divides the policy into stages. What policy networks have been created in phases, Causes policy network formed were identified by the policy actor's book and in-depth interviews. A policy network model was intended to present policy trends of innovative schools in Gyeonggi-do. The research questions for this are as follows. First, can the policy of innovative schools by school years in Gyeonggi-do be divided into a certain level (time)? Second, what are the characteristics of policy networks at each stage? And what is the cause? Third, what is the policy change trend based on the policy network model of the Gyeonggi-do innovative school policy? To solve the research problem, the Innovative School Implementation Plan, the Innovative School Operating Plan, and the contents of Innovative School Basic Documents were analyzed by purpose of innovative school, definition of innovative school, philosophy of innovative school, task of innovative school, model of innovative school, outstanding characteristics from 2009 to 2018. In order to understand the changes and causes of the policy, eight books of policy actors were analyzed and extracted related to the policies of the innovative school in Gyeonggi-do. In addition, six formal and informal policy actors were interviewed in depth. As a result, it was the first phase of introduction of innovative schools from 2009 to 2011. From 2012 to 2014, it was the second phase of establishment of innovative schools. It was possible to classify the 2015 school year to the present as the third phase of generalization of innovative schools. The issue of the introduction of innovative schools was the election of the first and second superintendents by popular vote, the policy actor was an official actor, a team dedicated to the education superintendent and the provincial education office, and the informal actor were Good Teacher Movement and School Design 21. Along with the superintendent, the innovative school promotion committee was the most influential policy actor, and the education superintendent, innovative school promotion committee, innovative school promotion committee and school design 21 were strong cooperative relation. It was a closed structure in which the decision of the policy was centered on some actors. The issue of the phase of establishment of innovative schools was the establishment of the school innovation department in the education office. The official actors were the Gyeonggi Provincial Office of Education, the informal actors were New School Network, School Design 21, Good Teacher Movement, Participation Communication Education Group. They had strong or weak cooperative relations. The issue of phase of establishment of innovative school is the initiative between the 3rd superintendent and the school policy. The issue of phase of establishment of innovative schools is the initiative between the 3rd superintendent and the school policy department. The official actors are the education superintendent of the Gyeonggi Provincial Office of Education, school policy department, and innovative education support center. Informal actors are New School Gyeonggi Network, Good Teacher Movement, and Participation Communication Education Group, although maintaining weak cooperative relations with New School Gyeonggi Network, have become distant from Good Teacher Movement and Participation Communication Education Group. The trend of policy changes in Gyeonggi Innovative schools analyzed through policy network models has influenced policy by the movement of informal individual actors to formal actors, depending on policy timing. Policy actors ' interactions coexist strong and weak cooperative relations. The relationship structure of the policy actor was repeating the concentration/closure and distribution/open structures. The implications of policy network analysis on the change of innovative school policy are that policy objectives must be accurate and consistent in order to implement policies even in classrooms. It needs an open framework for policy makers to participate in policy decisions. 이 연구는 2009학년도부터 2018학년도까지 학교로 발송된혁신학교 추진 또는 운영 관련 공문서를 중심으로 경기도 혁신학교 정책 내용을 분석하고, 이러한 분석 내용을 바탕으로 경기도 혁신학교 정책을 단계(시기)로 구분한 후, 단계별로 어떤 정책네트워크가 형성되었는지를 분석한 연구이다. 또한 정책행위자의 저서와 심층면담을 통해 정책네트워크가 형성된 원인을 파악하고, 정책네트워크모형으로 경기도 혁신학교 정책변동 경향을 제시하였다. 이를 위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년도별 경기도 혁신학교 정책을 일정한 단계(시기)로 구분할 수 있는가? 둘째, 각 단계(시기)별 정책네트워크의 특징은 어떠하며, 그 원인은 무엇인가? 셋째, 경기도 혁신학교 정책을 정책네트워크모형으로 분석한 결과 정책변동 경향은 어떠한가? 이러한 연구 문제의 해결을 위해 2009학년도부터 2018학년도까지 ‘혁신학교 추진 계획’ 과 ‘혁신학교 운영 기본 계획’, ‘혁신학교 기본문서’를 혁신학교 추진 목적, 혁신학교 정의, 혁신학교 철학, 혁신학교 추진 과제, 혁신학교 추진 모델, 두드러진 특징 등을 기준으로 하여 분석하였고, 정책변동 내용 및 원인을 파악하기 위하여 정책행위자의 저서 8권을 분석하여 경기도 혁신학교 정책과 관련된 내용을 발췌하였다. 또한 공식적・비공식적 정책행위자 6명을 심층면담 하였다. 그 결과 2009학년도부터 2011학년도까지를 제 1단계 혁신학교 도입기로, 2012학년도부터 2014학년도까지를 제 2단계 혁신학교 정착기로, 2015학년도부터 현재까지의 시기를 제 3단계 혁신학교 일반화기로 구분할 수 있었다. 혁신학교 도입기의 쟁점은 민선 1, 2기 교육감 당선이었으며, 정책행위자는 공식적 행위자로 교육감과 도교육청 전담팀, 비공식적 행위자는 스쿨디자인21과 좋은교사운동이었다. 교육감과 더불어 혁신학교 추진위원회가 가장 큰 영향력을 발휘한 정책행위자였고, 교육감과 혁신학교 추진위원회, 혁신학교 추진위원회와 스쿨디자인21이 강한 협력이었으며, 정책의 결정이 일부 행위자에 집중되어 있는 폐쇄형 구조였다. 혁신학교 정착기기의 쟁점은 도교육청 내 학교혁신과의 신설이었고, 공식적 행위자는 경기도교육청, 비공식적 행위자는 새로운학교네트워크, 스쿨디자인21, 좋은교사운동, 참여소통 교육모임이었으며, 서로 강하거나 약한 협력관계를 유지하고 있었다. 정책행위자의 관계구조는 분산, 개방형이었다. 혁신학교 일반화기의 쟁점은 민선 3기 교육감과 학교정책과의 주도이고, 공식적 행위자는 경기도교육청의 교육감과 학교정책과, 혁신교육지원센터이고 비공식적 행위자는 새로운학교경기네트워크와 좋은교사운동, 참여소통 교육모임인데 새로운학교경기네트워크와는 약한 협력을 유지하지만 좋은교사운동과 참여소통교육모임과는 소원한 관계가 되었다. 정책행위자의 관계구조는 집중, 폐쇄 구조였다. 정책네트워크모형을 통해 분석한 경기도 혁신학교 정책변동 경향은 정책시기에 따라 비공식적 개인 행위자가 공식적 행위자로 이동하여 정책에 영향을 끼쳤고, 정책행위자의 상호작용은 강한 협력과 약한 협력이 공존하였으며, 정책행위자의 관계 구조는 집중/폐쇄 구조와 분산/개방 구조가 반복되고 있었다. 혁신학교 정책변동에 관한 정책네트워크 분석을 통한 시사점으로는 교실에서까지 실천되는 정책집행을 위하여 정책의 목표가 정확하고 일관적이어야 하며, 정책집행자들이 정책결정에 참여할 수 있는 개방적인 구조가 필요하다는 점이다.

      • 유기 박막의 전기적인 쌍안정성과 이를 이용한 메모리 소자에 관한 연구

        박재은 건국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유기 박막의 전기적인 쌍안정성이 발견된 이후로 기존 실리콘 기반의 정보 저장 소자를 대체할 유기 메모리 소자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어 오고 있다. 유기물은 소자가 기계적인 유연성을 갖는 것을 가능하게 하며 특히 낮은 온도에서 스핀 코팅, 스크린 프린팅, 잉크젯 프린팅과 같은 방법으로 쉽게 박막을 형성할 수 있고 적층이 가능해 저장밀도를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어 유기 박막을 이용한 메모리 소자가 새로운 연구 분야로 각광받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여러 종류의 유기 메모리 소자 중에서도 단일층의 유기 메모리 소자에 대해 연구하였다. 고분자 매트릭스와 함께 전자 주개, 받개 물질을 블렌딩하여 스핀코팅 방법으로 박막을 성막 시켜 전기장 하에서 전자 주개 물질에서 받개 물질로의 전자 이동에 의한 쌍안정성을 구현하고 유기 메모리 소자로써의 활용 가능성에 대해 평가하였다. 하지만 이러한 블렌딩 시스템은 고분자 매트릭스, 전자 주개, 받개의 세 물질을 동시에 녹일 수 있는 적절한 용매를 필요로 한다는 점과 박막내에서 세 물질의 상분리가 일어나 소자의 성능을 저하시킬 수 있다는 점, 박막 내의 균일도가 떨어지는 등의 단점을 가진다.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소하기 위해 고분자 주쇄에 전자 주개, 받개 치환기가 함께 있는 공중합체를 합성하여 메모리 소자를 제작하였다. 공중합체 시스템은 블렌딩 시스템과 유사한 전기적 쌍안정성을 보였으며 대기 중에서와 전기장 하에서의 안정성이 뛰어남을 확인하였다. Since the demonstration of switching and its associated memory effect, there have been many studies about organic memory devices for the past few decades. One of the potential candidates for an active layer of organic memory devices is a blended thin-film of electron donor and acceptor in a polymer matrix. In this study, the active layer of organic memory device consisted of 2 wt% (20 mg/ 1 ml solvent) PS(polystyrene) as a polymer matrix and 0.1 wt% PPTZ (poly[10-(2’-ethylhexyl)-phenothiazine-3,7-diyl]), 0.1 wt% TCNQ (7,7,8,8-tetracyanoquinodimethane) as an electron donor and acceptor, respectively. When a strong electric field was applied, the charge transfer complex is formed so that the switching and memory effect can be observed. The device showed two different conductance states and there was no significant degradation of devices in both the OFF and ON states for 1000sec of continuous bias at 2 V. But the donor-acceptor system not only has the problem to find a proper solvent to solve the materials simultaneously but also can occur the phase separation that prevent the device from having a stable, long operating lifetime. Furthermore, it is not easy to form a uniform thin-film from solution. To avoid the problems, we synthesized the copolymer which have covalently bonded electron donors and acceptors. The devices which contain copolymer as its active layer show electrical stability compared with the devices which contain blended thin-fil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