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Paul Verlaine의 시 「Mandoline」에 곡을 부친 두 작곡가의 비교 - G. Fauré, C. Debussy -

        박인영 전남대학교 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47

        19세기 프랑스의 상징파의 대표적인 시인 폴 베를렌느 (Paul Verlaine, 1844~1896)는 상투적인 시의 형식을 거부하고, 시어 그 자체에 음악적인 면을 강조하였고, 동시대의 많은 작곡가들이 그의 시를 창작의 대상으로 여겼다. 이러한 작곡가들 가운데서도 19세기 작곡가들의 작풍에 큰 영향을 준, 가브리엘 포레 (Gabriel Faure, 1845~1924)와 끌로드 드뷔시 (Claude Debussy, 1862~1918)는 베를렌느 시의 특성을 각각 자신만의 개성으로 되살려 자신의 음악에 표현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19세기 프랑스 음악, 그리고 시인 베를렌느의 생애 및 개인적, 문학적 삶에 대해 조사하였으며, 시 「만돌린 (Mandoline)」을 알아보고, 두 작곡가의 생애와 가곡의 특징 및 그들의 가곡 만돌린에 대하여 분석을 하였다. 이들 각각에 대한 연구로 하나의 시에 대해 다른 개성의 두 작곡가의 음악적 표현 방식을 알아봄으로써 실제의 가곡 연주에 있어 도움이 되고자 한다. A French poet of symbolism in the 19th century, Paul Verlaine (1844~1896) emphasized the musical aspect of the poetic diction itself, refusing to settle in the expression of prose style or the conventional poetic form. Due to this characteristic of Verlaine's poems, many contemporary impressionistic composers adopted his poems as the lyric of their works. Gabriel Faure (1845~1924) and Claude Debussy (1862~1918) among these composers, not only played leading roles by affecting the style of many other composers in the 19th century but also represented Verlaine's poems in their music with their own characteristics. In this thesis, feature of 19th France music, Verlaine's private and literary life were examined and his poems were analyzed in particular the analysis of 「Mandoline」. Lives and composing styles of Faure and Debussy were also briefly reviewed and a comparison was made on the two 「Mandoline」 composed by the composers.

      • 초등학교 업무부장교사와 학년부장교사의 역량 분석

        박인영 충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aim of this study is to provide implications for the efficient management of school curriculum by assuring confidence in the professionalism of a head teacher. This will be done by inquiring into the competencies and sub-competencies that are required of a head teacher, and also through analysis of their prioritization. The key ques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what are the priorities of competencies and sub-competencies required of a head teacher, and what is their relative importance in regards to curriculum management? Second, does an experienced head teacher value competency levels differently than one without experience? To answer the aforementioned questions, the notion of head teacher competence was clarified in regards to the management of school curriculum. Competencies and sub-competencies were analyzed based on the roles of a head teacher as well as their relative importance and prioritization. Based on the findings of previous studies and basic data investigation, the roles that a head teacher plays could be abstracted and determined. The competencies are classified in three categories: knowledge and understanding, technique function, and value attitude. The sub-competencies under knowledge and understanding are the understanding of national curriculum, understanding of school unit curriculum, expertise in management, and team management. Under the technique function sub-competency there is creating an environment for completing tasks, communication, inducing teamwork, and nurturing others. For value added, the sub- competencies are responsibility, fairness, sense of duty, and sociability. After constructing a hierarchy diagram of competencies and sub-competencies, AHP was conducted to 200 head teachers within the Daejeon Education Office. Among the 170 responses, only those who has less than 0.2 by evaluating consistency index: the responses of 76 a teacher and specialist; the responses of 83 a teacher and grade leader were analyzed for priority analysis and sensitivity analysis using ‘Expert Choice 2000’. The findings in regards to the importance and prioritization of competencies and sub-competencies for head teachers are as follows: First for a teacher and specialist, the relative competencies in order of importance are knowledge understanding, technique function, value added. For a teacher and grade leader, the order of relative competencies is technique function, value added, knowledge understanding. Within the knowledge understanding competency, the teacher and specialist values team management as the most important sub-competency. Under technique function, creating an expertise in management is valued highest, and under value added the sub-competency of responsibility is valued most. But for teacher and grade leaders the order of importance is slightly different. Under knowledge understanding the sub-competency of team management is valued highest, under technique function the sub- competency of environment for completing tasks is valued highest, and under value added the sub-competency of responsibility is valued highest. Second, there is no drastic difference in the way competencies are valued. However there is a difference when sub-competencies are analyzed, although subtle. Based on the findings above, the following conclusions can be drawn. First, a nurturing program that can enhance the competencies of a head teacher should be developed so as to function efficiently. Second, institutional standards for recruiting head teachers based on competencies should be established. Lastly, the adoption of a sustainable self-monitoring system is necessary.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부장교사에게 요구하는 역량과 세부역량을 탐색하고 그 우선순위를 분석함으로써 궁극적으로 초등학교 부장교사의 역량에 대한 신뢰성을 확보하여 학교교육과정 운영에 효율적으로 활용될 수 있도록 시사점을 제공하는 데 있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교 학년부장교사와 업무부장교사에게 요구되는 역량과 세부역량의 우선순위와 상대적 중요도는 각각 어떠한가? 둘째, 초등학교 부장교사에게 요구되는 역량의 상대적 중요도는 부장교사 경험 유무에 따라 인식 차이가 있는가? 이러한 연구문제 해결을 위해 먼저 선행 연구 및 문헌조사를 통해 초등학교 부장교사의 역량의 개념을 명료화하고, 초등학교 부장교사의 업무와 역할에 따라 초등학교 부장교사 역량과 세부역량을 추출하고 상대적 중요도와 우선순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문헌 연구 및 기초조사 결과를 토대로 초등학교 부장교사 역량을 도출하였다. 초등학교 부장교사의 역량으로 지식·이해 역량, 기술·기능 역량, 가치·태도 역량으로 도출되었다. 지식·이해 역량의 세부역량으로는 국가교육과정 이해, 학교교육과정 이해, 업무수행 전문지식, 업무 부서 운영 역량으로 도출하였고, 기술·기능 역량의 세부역량으로는 업무수행 여건조성, 의사소통, 협력 유도, 타인 육성 역량으로, 가치·태도 역량의 세부역량으로는 책임감, 공정성, 사명감, 친화력 역량으로 도출하였다. 초등학교 부장교사의 역량과 세부역량으로 계층도를 구성하고 대전광역시교육청 소속 초등교사 200명을 대상으로 AHP 방법에 의한 설문지를 작성하여 수집한 결과 170명의 응답 중 일관성 지수를 평가하여 그 값이 0.2 이하인 업무부장교사 대상 응답 76부와 학년부장교사 대상 응답 83부를 Expert Choice 200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우선순위 분석과 민감도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초등학교 부장교사에게 요구되는 역량과 세부역량의 우선순위와 상대적 중요도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교 부장교사의 역량 요소들 가운데 상대적 중요도에서 업무부장교사는 지식․이해, 기술․기능, 가치․태도 역량 순으로 나타났고, 학년부장교사는 기술․기능, 가치․태도, 지식․이해 역량 순으로 중요도가 높게 나타났다. 업무부장교사는 지식․이해 역량의 세부역량으로 업무 수행 전문지식, 기술․기능 역량의 세부역량으로는 업무수행 여건조성, 가치․태도 역량의 세부역량은 책임감이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학년부장교사는 지식·이해역량의 세부역량으로 업무 부서 운영, 기술·기능 역량의 세부역량은 업무수행 여건조성, 가치·태도 역량의 세부역량은 책임감이 상대적으로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부장교사 경험의 유무에 따른 우선순위 분석에서는 각 세부역량별로 약간의 순위 변동은 있으나, 전체적인 우선순위에는 업무부장교사와 학년부장교사 모두 큰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초등학교 부장교사의 역량을 강화할 수 있는 프로그램 개발 및 연수 체제 구축이 필요하다. 둘째, 초등학교 부장교사의 역량에 기준한 부장교사의 임용에 대한 제도적 준거 마련이 필요하다. 셋째, 초등학교 부장교사 스스로 자기 성과관리를 지속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시스템 도입이 필요하다.

      • 대학입학시험 자연계열 논술고사의 수리논술에 관한 연구

        박인영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우리는 현재 넘쳐나는 정보의 홍수 속에서 자신에게 필요한 지식을 선별하여 활용하는 능력이 필요하게 되었다. 이에 발맞추어 대학입학시험에서도 논술고사의 비중이 커지게 되었다. 특히 자연계열 논술고사는 논술의 중요성과 함께 인문계열의 것과는 다른 형태의 것이 필요하게 되었고 그 대안으로 2004년에 수리논술이 처음 등장하게 되었다. 그리고 대학에서 선발요소로서 논술고사의 반영비율이 높아 수리논술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었다. 교사들 또한 수리논술의 필요성과 의미에 대해서는 잘 알고 있다. 하지만 교사들이 학교현장에서 수리논술교육을 시행함에 대해 부담스러워 하고 방법을 모르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각 대학교의 자연계열 논술고사와 수리논술 기출문제를 분석하여 논술고사의 시행현황과 출제경향을 자세히 분석해본 후 수리논술교육의 방향을 제시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 학업적 자기효능감의 구인 및 측정에 관한 연구

        박인영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1998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에서는 전반적인 자기효능감 이론 및 학업적 자기효능감에 대한 문헌고찰을 통해 학업적 자기효능감의 이론적 배경, 구성요인 및 척도개발의 필요성에 대해 살펴보았다. 그리고 이론에 근거한 잠정적 구성요인을 측정하는 문항들을 제작·분석하여 총 28문항의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를 개발하고, 이에 대한 타당성 검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는 서울 및 서울 근교에 위치한 고등학교 1학년 학생 711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우선 학업적 자기효능감 예비척도를 3개 학교, 8학급에 해당되는 406명의 학생들에게 시행하였으며, 그 중 395명(남학생 158명, 여학생 237명)의 자료를 통계적 분석에 사용하였다. 예비척도의 분석을 통해 수정된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는 예비시행 때와는 다른 305명(2개 학교, 6학급)의 학생들에게 시행되었으며, 그 중 291명(남학생 138명, 여학생 153명)의 자료가 통계적 분석에 사용되었다. 본시행에 할당된 291명의 학생들에게는 일반적 자기효능감 척도와 학과목에 대한 효능기대 척도를 함께 시행하였으며, 그들의 중간고사 성적도 수집되었다. 문헌고찰을 통해 자신감, 자기조절효능감, 과제난이도 선호, 귀인을 학업적 자기효능감의 잠정적 구성요인으로 결정하였으며, 교육과 관련된 국내외 자기효능감 척도 문항들을 참고로 하여 각각의 구성요인을 측정하는 문항들을 제작하였다. 제작된 문항들은 여러 차례의 소집단 토론을 통한 검토과정을 거쳤으며, 총 61문항(자신감 15문항, 자기조절효능감 18문항, 과제난이도 선호 15문항, 귀인 13문항)의 학업적 자기효능감 예비척도가 완성되었다. 예비척도의 시행 결과에 대한 분석 결과, 과제난이도 선호, 자기조절효능감, 자신감으로 명명할 수 있는 세 개의 요인이 산출되었으며, 33문항이 선별되었다. 귀인 문항들은 하나의 독립된 요인을 구성하지 못하고 다른 세 요인들에 분산되었으며, 귀인 문항들에 대해 대략적인 귀인경향 분석을 실시한 결과, 귀인은 다양한 상황 및 과제에 일관되게 적용되는 동기적 특성이라기보다는 주어진 상황이나 과제에 따라 가변적임을 알 수 있었다. 예비척도의 분석을 통해 선정된 33문항의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는 예비시행 때와는 다른 집단에 시행되었으며, 시행 결과에 대한 분석을 통해 28문항의 학업적 자기효능감 최종척도가 완성되었다. 총 28문항 중 과제난이도 선호는 10문항, 자기조절효능감은 10문항, 자신감은 8문항이었으며, 구성요인별 내적합치도(Cronbach‘s α)는 과제난이도 선호가 .84, 자기조절효능감이 .76, 자신감이 .74였다. 학업적 자기효능감 최종척도의 타당성 검증은 다음과 같은 일련의 분석과정에 의해 이루어졌다. 1.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동일한 이론적 구성요인을 포함하며 대단위 연구를 통해 교차타당도와 구인타당도가 확보된 일반적 자기효능감 척도(김아영, 1997b)와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의 구성요인 간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두 척도의 구성요인 간 상관을 살펴본 결과, 일반적 자기효능감 척도와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에서 대응되는 구성요인 간 상관은 .62­.74로 다른 상관값에 비해 높은 편이었으며, 이를 통해 두 척도의 구인이 서로 동일한 심리적 속성을 측정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2.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는 다양한 학습 상황에서 학습자의 학문적 수행에 긍정적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되는 학업적 자기효능감을 측정하기 위해 제작되었으므로, 이 척도에 의해 측정된 학업적 자기효능감은 학업성취도를 잘 예측할 수 있어야 한다. 이를 확인하기 위해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학업성취도 간의 상관 및 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일반적 자기효능감에 대해서도 동일한 방법을 적용하여 분석을 실시하였다. 상관분석 결과, 학업적 자기효능감의 세 가지 구인 모두가 학업성취도와 유의한 정적 상관을 갖는 반면, 일반적 자기효능감의 구인 중에서는 과제난이도 선호만이 학업성취도와 유의한 정적 상관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회귀분석을 통해 학업적 자기효능감이 학업성취도의 12%를 설명하는데 반해, 일반적 자기효능감은 학업성취도의 3%만을 설명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학업적 자기효능감의 구성요인 중에서는 과제난이도 선호가 학업성취도를 가장 잘 예측하며, 자기조절효능감도 유의한 예측변수였다. 3. 학업적 자기효능감은 일반적 자기효능감과 마찬가지로 장기간에 걸쳐 확립된, 비교적 안정적인 동기적 특성이므로, 다양한 학습 영역에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은 생각에서 일반적인 학업적 자기효능감이 영역-특수적인 학업적 자기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학업적 자기효능감의 위계구조모형을 설정하고, 이를 검증하기 위해 공분산구조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모형의 부합도 지수(GFI, AGFI, NFI)가 모두 .95 이상으로 높게 나와 이론적 모형의 적합성이 검증되었다. 본 연구에서 제작된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는 전반적인 학업적 상황에서 비교적 안정적인 개인차 변수로서의 학업적 자기효능감을 측정하는 도구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며, 측정된 학업적 자기효능감은 다른 동기적 변인 및 학업성취도와의 상호관련성을 연구하는데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학습자의 능력과 수행을 매개하는 동기원으로서의 학업적 자기효능감을 증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의 개발 및 적용을 위해서는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의 개발 및 타당화가 선행되어야 하므로 본 연구가 중요한 역할을 하리라고 본다. 단, 본 연구에서 제작된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는 아직 완성된 것이 아니므로, 다양한 집단을 대상으로 한 연구를 통해 척도의 수정 및 보완이 계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construct and validate academic self-efficacy scale. The subjects were 686 high school students in Seoul area. The preliminary academic self-efficacy scale was administered to 395 students(158 boys, 237 girls). The modified academic self-efficacy scale, general self-efficacy scale, and subject-specific efficacy scale were administered to 291 students(138 boys, 153 girls), and the scores of their midsemester tests were collected. Literature review on preceeding research indicated that there were 4 subcomponents of academic self-efficacy: self-confidence, self-regulatory efficacy, task difficulty preference, and attribution. On the basis of these subcomponents, 61 items were constructed. The responses of 395 students on the preliminary academic self-efficacy scale were analysed. Item analysis was conducted to select appropriate items and common factor analysis was done to identify the subcomponents of academic self-efficacy scale. In result, 33 items were selected and 3 factors were identified as the construct of academic self-efficacy scale, namely, self-confidence, self-regulatory efficacy, task difficulty preference. Attribution was not revealed as a separate factor. The modified academic self-efficacy scale was administered to 291 students and their responses were analysed. In result, 28 final items were selected through common factor analysis and item-total correlations. The internal consistency of each factor was proved to be acceptable (self-confidence: .74, self-regulatory efficacy: .76, task difficulty preference: .84). Correlation analysis among the subscores of academic self-efficacy scale and general self-efficacy scale was conducted for the convergent validity. The results indicated that both scales were composed of the same subcomponents. Regression analysis for the criterion-related validity showed that academic self-efficacy was more useful predictor of academic performance than general self-efficacy. LISREL analysis was conducted to conform a hierarchical model of academic self-efficacy. The results indicated that general academic self-efficacy affected domain-specific academic self-efficacy. Finally,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suggestions for following studies were discussed.

      • 관계상실경험 대학생의 인지적 유연성과 심리적 안녕감의 관계 : 의미 재구성의 매개효과

        박인영 한양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examine a mediation effect of meaning reconstruc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ognitive flexibility and psychological well-being of college students. For this purpose, thequestionnaires were administered to 320 college students. For data analysis, correlation coefficients were calculated among relational loss experience, cognitive flexibility, meaning reconstruction, psychological Well-being. A mediation effect of meaning reconstruc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ognitive flexibility and psychological Well-being was tested by the procedure of Baron and Kenny(1986).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n term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cognitive flexibility and meaning reconstruction, affected positive correlation and the relationship meaning reconstruction and psychological well-being, also affected positive correlation and the relationship cognitive flexibility and psychological well-being, affected positive correlation and the relationship meaning reconstruction and psychological well-being also affected positive correlation. Second, the pathway between cognitive flexibility and psychological well-being was partially mediated by meaning reconstruction. Lastly,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suggestion for future studies were discussed. 본 연구의 목적은 관계 상실을 경험한 대학생의 인지적 유연성이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인지적 유연성과 심리적 안녕감과의 관계에서 의미 재구성의 매개효과가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대학생을 대상으로 의미 재구성, 심리적 안녕감, 인지적 유연성 척도로 구성된 설문지를 사용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310개의 응답 중 연구에 적합하다고 판단된 285명의 자료를 SPSS 21.00 프로그램과 Hayes의 Process를 사용하여 빈도분석, 상관분석, t-test, 일원분산분석, Baron과 Kenny(1986)의 3단계 매개회귀 분석을 실시하여 통계처리 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인지적 유연성, 의미 재구성, 심리적 안녕감의 관계는 모두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인지적 유연성, 의미 재구성, 심리적 안녕감 세변인간 모두 유의미한 정적(+)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의미재구성이 높을수록 인지적 유연성이 높고, 심리적 안녕감이 높아짐을 의미한다. 둘째, 의미재구성이 인지적 유연성과 심리적 안녕감과의 관계에서 매개효과를 가지는지 살펴본 결과 의미재구성이 인지적유연성과 심리적 안녕감 관계를 부분적으로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대학생의 인지적 유연성이 심리적 안녕감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주기도 하지만 의미재구성을 매개로 간접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결과는 실제 상담 장면에서 인지적 유연성이 낮아 심리적 부적응을 경험하는 관계상실 경험 대학생에게 의미 재구성 훈련의 인지적 대안활동을 모색하게 함으로써 심리적인 적응력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본 연구의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인지적 유연성, 의미재구성, 심리적 안녕감 간에 어떠한 관계성을 가지는지 검증하였다. 이 연구를 토대로 인지적 유연성과 심리적 안녕감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데 있어서 의미 재구성이라는 긍정적 변인이 영향이 미침을 시사하였다. 둘째, 상담 장면에서 관계상실경험으로 인해 심리적 부적응을 경험하는 대학생들을 이해하고, 개입 하는데 에 더 도움이 될 것이다. 셋째, 인지적 유연성의 훈련 및 개입과 관련된 치료적 제언을 얻을 수 있다. 의미 재구성은 다른 선천적으로 형성되는 성격 특성에 비해 후천적인 변화 가능성이 큰 능력이기 때문에 이를 함양하도록 하는 개입이 상실 이후의 심리적 적응을 촉진시키는 실증적이고, 효과적인 방법이 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제한점, 후속 연구의 방향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 L. v. Beethoven Piano Sonata Op. 2, No. 2 4악장 분석 및 연주기법 연구 : 죠르지 샨도르의 다섯 가지 테크닉 중심으로

        박인영 명지대학교 문화예술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Ludwig van Beethoven(1770-1827) is the representative musician of the Classical period, and he worked with Joseph Haydn(1732-1809) and Wolfgang Amadeus Mozart(1756-1791). Classical music is concise and uses beautiful melody along with distinct tonality. The contrasting composition of melodies is used to create balance. Also, the Classical period was an era of development of the sonata form. Beethoven opened up Romantic music through the development of the sonata form that was completed by Haydn and Mozart. Beethoven composed 32 pieces of piano sonatas throughout his life. By the structure and musical diction of the pieces, Beethoven’s piano sonatas can be divided into early, middle, and late sonatas. His early sonata was influenced by Haydn and Mozart, using concise melody and stable tonality while following the typical structure of the Classical period, but also started to show his individuality and originality. This paper will explore Beethoven’s early sonata 「Piano Sonata Op. 2, No. 2」 4th mov. through the analysis of the characteristics of Beethoven’s early sonata. 「Piano Sonata Op. 2, No. 2」 is consisted of four movements, the first movement being in the sonata form, the second movement in a slow movement ternary form, the third movement in the scherzo form, and the fourth movement in the rondo form. The new form of the movement structures of the third and fourth movements presents Beethoven’s uniqueness. This paper will analyze 「Piano Sonata Op. 2, No. 2」 4th mov. and its piano techniques by applying pianist Gyorgy Sandor’s(1912-2005) five fundamental methods explained within his book, 『On Piano Playing』. The five methods are Free Fall, Arpeggio, which is Scale used by five fingers, Rotation, Staccato and Thrust. The most frequently used methods in 「Piano Sonata Op. 2, No. 2」 4th mov. will be analysed first. The reason why this paper’s analysis is based on Sandor’s methods is because Sandor’s opinion on how to play to solve technical problems is an interesting approach, although Sandor’s five methods cannot be applied to all composers’ pieces, and in hope that this paper will help students who are learning the techniques for the first time, or others whom are having a hard time applying the methods onto other pieces. Also, it is anticipated that this paper will be of help to those who are studying or performing this piece as an example of the appliance of the methods. 루드비히 반 베토벤(Ludwig van Beethoven, 1770-1827)은 고전주의를 대표하는 음악가이며, 하이든(Joseph Haydn, 1732-1809), 모차르트(Wolfgang Amadeus Mozart, 1756-1791)와 함께 활동하였다. 고전주의 음악은 간결하고 아름다운 멜로디를 사용하며 조성이 뚜렷하다. 서로 대조되는 멜로디의 구성은 균형을 이루기 위해 사용하였다. 또한, 고전주의는 소나타 형식이 발전하는 시기였다. 하이든과 모차르트가 완성을 이룬 소나타 형식에서 베토벤은 이를 더욱 발전시켜 낭만주의의 길을 열어주었다. 그리하여 베토벤은 생애 전반을 걸쳐 총 32곡의 피아노 소나타를 작곡하였다. 작품의 구조나 음악적 어법에 따라 시기를 나누어 초기(1782-1801), 중기(1802-1814), 후기(1816-1826)로 구분하였다. 특히, 베토벤의 초기 소나타는 하이든과 모차르트의 영향으로 간결한 선율과 안정적인 조성을 사용하고, 고전주의의 정형적인 구조를 따랐지만, 그만의 개성과 독창성이 나타나기 시작하였다. 필자는 베토벤의 초기 소나타인「피아노 소나타 Op. 2, No. 2」의 4악장 작품을 연구하기 위해 초기 소나타의 특징을 살펴보려고 한다. 「피아노 소나타 Op. 2, No. 2」작품은 모두 네 개의 악장으로 구성되어있으며, 1악장은 소나타 형식, 2악장은 느린 악장의 3부 형식, 3악장은 스케르초 형식이며, 4악장은 론도 형식이다. 3악장과 4악장은 악장 구성의 형식을 새롭게 하여 베토벤의 개성이 나타난다. 본 논문에서는 「피아노 소나타 Op. 2, No. 2」의 4악장을 연구하며, 피아니스트인 죠르지 샨도르(Gyorgy Sandor, 1912-2005)의 저서인 『온 피아노 플레잉』의 다섯 가지 기본 테크닉 패턴을 적용하여 연주기법을 논하려고 한다. 다섯 가지 테크닉은 자연낙하(Free Fall), 다섯 손가락을 이용한 스케일, 아르페지오(Scale, Arpeggio), 로테이션(Rotation), 스타카토(Staccato), 순간 밀기(Thrust)로 「피아노 소나타 Op. 2, No. 2」의 4악장에서 가장 많이 적용되는 테크닉 순서부터 설명하려고 한다. 샨도르의 다섯 가지 테크닉으로 모든 작곡가의 곡에 적용할 수 없지만, 기교적인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어떻게 연주되어야 하고, 적용되는지 논하는 샨도르의 의견이 흥미롭게 느껴져 테크닉을 처음으로 배우는 학생이나 테크닉을 작품 안에서 어떻게 적용해야 하는지 어려워하는 학생들에게 도움이 되고자 테크닉을 중점으로 연구하였다. 또한, 테크닉을 적용하는 하나의 예시로써 이 작품을 공부하고 연주하는 학생들에게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기를 바란다.

      • 고학력 여성결혼이민자의 한국문화 인식과 갈등

        박인영 서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에서는 고학력 여성결혼이민자들의 한국 문화 인식과 갈등을 이해하고 살펴봄으로써 다문화사회라는 사회적 상황에 맞게 한국 문화가 재창조될 수 있도록 새로운 패러다임의 가족 문화와 사회 문화를 모색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일본, 중국, 필리핀, 베트남, 몽골 등 13개 국가 출신의 서울과 서울 근교에 거주하는 대졸 이상의 고학력 이주여성으로 2009년 서울교육대학교 다문화교육연구원에서 모집하여 수행한 이중언어강사 양성사업 참여자들을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연구 방법은 한국생활문화 인식과 갈등을 묻는 설문 조사와 <한국의 가정생활문화> 강좌 수강 후 문화 영역별로 한국 문화 인식과 갈등에 대하여 서술한 과제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본 연구의 조사대상자들이 한국 생활에서 느끼는 이질문화는 자녀 양육 방법, 가족생활 문화, 음식 문화, 주거 문화, 소비 문화 순으로 나타났고 문화 갈등은 가족관계, 자녀양육, 주거문화, 음식문화, 소비문화, 기타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한국 생활문화를 가족생활문화와 사회생활문화로 범주화한 후 가족생활문화는 자녀양육, 부모와 자식 관계, 가부장적 사고, 식문화, 주거문화로, 사회생활문화는 소비문화와 양성평등으로 세분화하여 살펴보았다. 그 결과 고학력 여성결혼이민자들은 한국의 자녀 양육 문화를 지나친 사교육과 과잉보호 문화로 보았다. 조사대상자들에 의하면 한국은 부모와 자식 간 강한 밀착 관계가 형성되어 있으며 가부장적 사고가 강한 가족 문화로 인식되었다. 이들이 인식하고 있는 한국의 식문화는 맵고 짠 맛이 강하지만 웰빙 음식이라는 긍정적 반응을 보였다. 마지막으로 주거문화에서 온돌 문화는 우수하고 긍정적으로 인식된 반면 방의 다목적 활용 문화는 분리 유형에 속하였다. 한국 사회생활문화면에서 조사대상자들에게 한국은 체면 차리기 과시 소비가 강한 나라로 인식되었다. 또한 세계 수준에 견주어 보았을 때 한국의 양성평등 수준은 낮은 편으로 여성의 사회적 진출이 어렵고 가사 업무가 여성에게 과중되어 있다고 인식하였다. 조사대상자들의 한국생활 문화 갈등과 인식을 Berry의 동화, 통합, 분리, 주변화 문화 적응 유형으로 분석한 결과 주변화 유형은 거의 나타나지 않았다. 한국 문화에서 나타난 조사대상자들의 분리적 성향은 부모와 자식 사이의 관계, 가부장적 사고, 소비문화, 양성평등에서 나타났다. 조사대상자들은 한국인 배우자와 시부모와의 강한 밀착 관계 때문에 심리적, 정신적으로 스트레스를 받았고 한국인의 체면 중시, 과시 욕구의 소비 행태를 비판하고 소비에 대한 자신의 가치관과 태도를 유지하였다. 전통적 가부장적 문화는 조사대상자들이 가족 구성원들과 가정생활에서 가장 빈번하게 마찰을 일으키는 문화였다. 조사대상자들의 통합 유형은 사교육, 좌식, 음식 문화에서 나타났다. 먼저 과도한 사교육에는 반대하지만 자녀의 교육을 위해 진지하게 사교육을 고려하고 있거나 사교육을 시키고 있었다. 대부분의 조사대상자들은 온돌 문화에 동화되거나 좌식 문화와 입식 문화를 통합하는 등 주거 문화에서는 큰 갈등을 보이지 않았다. 음식 문화는 동화 유형이 강하였으나 여성이 주체가 되어 두 나라의 문화 통합이 이루어지는 문화이기도 하였다. 결과적으로 여성결혼이민자들의 한국 문화 인식과 갈등을 이해하는 것은 우리가 미처 인식하지 못하고 있던 한국생활문화의 장점과 단점을 파악하게 하여 한국 문화 발전을 모색하는데 기반이 될 것이다. 또한 본 연구 자료는 이들의 한국생활문화 인식과 비판을 통해 한국인의 의식 개선이 이루어져야 할 부분과 개선 방안을 모색하는 데 기초 자료가 될 것이다. 주요어 : 고학력 여성결혼이민자, 한국 문화 인식과 갈등, 문화적응유형, 가정생활문화, 사회생활문화 * 본 논문은 2010 년 6 월 서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위원회에 제출된 석사학위 논문임.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awareness of well- educated female marriage immigrants about Korean culture and their conflicts with it in an effort to seek ways of creating new family culture, new social culture and ultimately new Korean culture in line with the emergence of multicultural society.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well-educated immigrant women from 13 different countries involving Japan, China, the Philippines, Vietnam and Mongolia. They received college or higher education and resided in and around Seoul. They were selected from among those who participated in a program at the Multicultural Education Research Institute of Seoul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in 2009. The program aimed at nurturing bilingual instructors. A survey was conducted to find out their awareness of Korean living culture and their conflicts with it, and they were asked to write about Korean culture and their own conflicts with it after they attended a lecture on Korean culture of family life. And then their writing was analyzed.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type of Korean culture that the women investigated felt most different from their native culture was the way of child rearing, followed by family life, food culture, housing culture and consumer culture. In terms of cultural conflicts, what caused the largest cultural conflicts was family relations, followed by child rearing, housing culture, food culture, consumer culture, and the others. Second, after Korean living culture was categorized into family culture and social culture, family culture were classified into child rearing, parent-child relationship, patriarchal thinking, food culture and housing culture, and social culture was classified into consumer culture and gender-equity culture. As a result of investigating their view of each kind of culture, the well-educated female marriage immigrants defined excessive private education and overprotection as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child-rearing culture. According to them, there was a strong attachment between parents and their children in Korea, and Korean family culture was mainly characterized by patriarchal thinking. As to food culture, they favorably viewed Korean food as spicy, salty yet well-being food. In terms of housing culture, they looked upon the under-floor heating system as excellent, whereas they had a separative disposition in relation to the multipurpose use of rooms. In social Korean culture, the women felt that face saving and conspicuous consumption were prevailing in Korea. And they thought the level of gender equity was lower in Korea in comparison with global standard. They considered it difficult for women to work, and felt that household chores put a heavy strain on women. When their awareness and conflicts with Korean culture were analyzed according to Berry's cultural adaptation types involving assimilation, integration, separation and marginalization, few were categorized into the marginalization type. They had a separative disposition in association with parent-child relationship, patriarchal thinking, consumer culture and gender equity. They underwent physical and mental stress due to the strong attachment between their Korean spouses and parents-in-law, and they were critical of face saving and conspicuous consumption. They still continued to stick to their own values and attitude to consumption. The traditional patriarchal culture was a primary cause that triggered their conflicts with family members and family life most often. They had an integrative disposition in terms of private education, floor-seating culture and food culture. They took a stand against excessive private education but seriously thinking about having their children receive private education or already let their children do that. Most of them were assimilated to the under-floor heating culture or integrated floor-seating with Western-style seating. Thus, they experienced little conflicts with the housing culture. The assimilative type was rampant in the food culture, but they integrated the Korean food culture with the food culture of their own countries at the same time. In conclusion, an excellent understanding of the awareness of the female marriage immigrants about Korean culture and their conflicts with it makes it possible to grasp character of Korean living culture that Koreans didn't yet notice, and that will make a contribution to the development of Korean culture. The findings of the study about their awareness and criticism of Korean living culture are expected to help determine what improvements should be done in Korean people's mind-set and how to do that. Keywords : educated married migrant women, family culture, social culture, awareness and conflicts with Korean culture, cultural adaptation types. * A thesis submitted in partial fulfillment of the requirements for the degree of Master of Education.

      • (A) study on factors affecting AI speaker adoption of the elderly : focusing on the perspective of family's social support

        박인영 Graduate School, Yonsei University 2022 국내박사

        RANK : 247631

        고령자 대상 AI 스피커 수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 자녀의 사회적지지 관점에서 연세대학교 대학원 기술정책협동과정 박인영 COVID-19 이후 생활전반이 디지털 기반으로 전환되고 있는 가운데, 고령자들은 비 대면 서비스 사용에 어려움을 느끼면서 사회적 배제 현상이 발생하고 있다. 노인 단독가구의 증가로 자녀에게 디지털 활용에 대한 도움을 받기가 어려워지면서 이러한 문제는 더욱 심각해지고 있다. 낮은 디지털 정보활용 수준으로 인해 노인들이 생활 서비스 조차 받기 어려운 상황이 발생하였고, 이러한 정보격차는 또 다른 사회적 문제를 야기하고 있다. 배달 앱은 이미 보편화 되었고, 디지털치료제 등 의료 민주화 개념과 함께 의료 비 대면 서비스가 시작되었으며, 금융산업에서는 비용절감 차원의 오프라인 은행점포 지속적으로 축소되고 있다. 비 대면 서비스가 생활 전 영역으로 확산되고 있는 상황에서 고령층이 소외되지 않고 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는 사회적 지원체계가 필요하다. 이에 AI 스피커의 쉬운 음성명령 인터페이스와 사회적 지지 기능은 디지털역량이 낮은 고령자들의 이러한 문제에 해결책이 될 수 있을 것이다. 하지만 그 동안 AI 스피커 기술수용 관련 연구는 일반인 대상이 대부분이었고, 고령자 대상 AI 스피커 시장은 일부 지자체에서 취약계층 독거노인 돌봄 실증사업을 준비하며 초기 시장에 머무르고 있는 상황이다. 하지만, 고령자 케어 정책의 보편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민간시장에서 보다 적극적인 활성화 방안이 제시되어 할 것으로 생각한다. 고령자 IT 기기 구매과정에서 자녀의 의사가 많이 개입되고 있는 상황임에도 자녀 관점에서의 기술수용 연구가 부재한 실정이다. 본 연구의 특징은 가구단위 경험속성을 가지고 있는 AI 스피커 구매에 있어 상당한 의사결정권을 가지고 있고, 사회적 지지의 능동적 주체자인 자녀 관점에서 해결방안을 찾고자 한 것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사회적 지지의 주요 기능인 정서 조력, 정보 조력, 가족간 의사소통과 사회적 영향이 AI 스피커의 수용요인이 되는지 확인하고 자녀 및 부모특성의 조절 효과 분석을 통해 활성화 방안을 찾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 기술수용모델(Technology Acceptance Model: TAM) 이론을 활용하여 모형을 설정하였으며 구조방정식 분석을 통해 모형 검증 및 다중집단 분석을 통해 조절효과를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젊은 층에 비해 AI 스피커 도입율이 저조한 고령자 시장에서, AI 스피커 수용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자녀의 관점에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설문은 60세 이상 부모님을 둔 30세 이상의 자녀 300여명으로 진행하였으며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정서 조력, 정보 조력, 가족 소통, 사회적 영향은 모두 인지된 유용성을 매개로 추천의도에 영향을 미쳤다. 이는 AI 스피커가 제공하는 사회적 지지 특성은 자녀의 관점에서도 고령자 삶의 질을 높이고 독립적인 삶을 영위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인지하는 것을 의미한다. 자녀들이 스마트폰을 구매또는 구매대행 해주듯이, 기업들은 AI 스피커의 자녀대상 서비스 가입이나 마케팅을 준비할 필요가 있다. 둘째, 인지된 용이성은 유용성을 매개로 추천의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나 직접적으로 추천의도에 영향을 미쳤다. 기술수용에 요구되는 노력을 감수하더라도 사용 니즈가 있기 때문에, 사용촉진을 위한 디지털 조력 학습체계 등의 정책이 수반되어야 한다. 셋째, 정보 조력, 사회적 영향은 인지된 용이성을 매개로 추천의도에 영향을 미쳤으나 정서 조력은 인지된 용이성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정보 조력의 용이성을 강화하는 편리한 UX 기술, 다양한 비 대면 서비스를 수용하는 산업적 생태계가 마련되어야 한다. 또한, 용이성 사례를 기반으로 마케팅 전략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 넷째, 추천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에 있어 가족 동거가구와 노인가구간의 차이점은 유 의미 하였다. 가족 동거 가구에게는 유용성에 더 집중한 서비스 개발 및 마케팅 전략이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으며, 노인가구(배우자 동거 포함)에게는 유용성과 용이성을 동시 지원할 수 있는 학습교육서비스 패키징을 고려한다면 자녀의 추천 및 구매가능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의 의의는 AI스피커 수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기존 TAM에서 확장하여 자녀의 정서 조력, 정보 조력, 가족소통, 사회적영향 이라는 새로운 변수를 학문적으로 확인한 것이다. 또한, 본 연구결과는 기업의 마케팅 전략 뿐만 아니라 산업적 측면에서 기술시장 발전 및 정책에 기초자료로서 충분한 가치가 있다고 생각한다. 노인 단독가구가 보편화되고 있고, 비 대면 서비스의 일상생활 확산으로 인해 고령자 대상의 지속 가능한 디지털 에이징(Digital Ageing) 전략이 필요한 시점에서, AI 스피커를 통한 고령자 케어 정책에 대한 논의가 촉발될 것으로 기대한다. A Study on Factors Affecting AI Speaker Adoption by the Elderly: Focusing on the perspective of Family's Social Support Inyoung Park The Graduate Program on Technology Policy Yonsei University As the all areas of life is being converted to a digital basis after COVID-19, the elderly are experiencing difficulties in using non face-to-face services such that social exclusion is taking place. This problem is getting more serious as the number of elderly single-person households is increasing and they are unable to receive digital assistance from their family. Due to the low use of digital information by the elderly, it is difficult for them to receive even life services, and this information divide is causing another social problem. Delivery apps have already become common, and medical non face-to-face services have been launched along with the concept of medical democratization, such as digital therapeutics. In a situation where non face-to-face services are spreading to all areas of life, there is a need to have a social support system that allows the elderly to use the services without being alienated. Therefore, the easy voice command interface and social support function of the AI speaker could be a solution to these problems of the elderly with low digital competence. However, most of the research related to technology acceptance of AI speakers is for the benefit of the general public, and the AI speaker market for the elderly stays at the initial market like some local governments' demonstration projects for caring for the vulnerable elderly living alone. However, to secure the universality of the elderly care policy, the researcher thinks that a more active revitalization plan in the private market should be suggested. Although family's opinions are often involved in purchasing IT devices for the elderly, there is no study on technology acceptance from the viewpoint of family. This study's characteristic is finding a solution from the perspective of family, who have considerable decision-making power and are active agents of social support in purchasing AI speakers with household-level experience attribut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termine whether the main functions of social support, such as emotional support, information support, family communication, and social influence, are acceptance factors for AI speakers and to find a way to activate them by analyzing the moderating effect of family and parent characteristics. To this end, a model was established using the Technology Acceptance Model (TAM) theory, and the moderating effect was confirmed through model verification based on structural equation analysis and multi-group analysis. This study analyzed the factors affecting the acceptance of AI speakers from the viewpoint of family in the silver market, where the adoption rate of AI speakers is lower than that of young people. The survey of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about 300 adult children over 30 years old having parents over 60 years old, and the main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emotional support, information support, family communication, and social influence affected intention to recommend through perceived usefulness. This means that even from a family point of view, they perceive that the social support characteristics of AI speakers will improve the quality of life of the elderly and help them lead independent lives. Second, perceived ease of use did not affect intention to recommend through usefulness but directly affected intention to recommend. Third, information support and social influence affected intention to recommend through perceived ease of use, but emotional support did not affect perceived ease of use. Fourth, the difference between the households living together with the family and those living elderly alone(or with spouse) was significant in the path involving the intention to recommend.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o expand the factors influencing acceptance of AI speakers from the existing TAM and confirm variables such as family's emotional support, information support, family communication, and social influence. In addi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considered to be of sufficient value as basic data for the development in technology, policy, industry aspects as well as the company's marketing strategy. Through this, it will be helpful in solving the problem of the exponentially increasing elderly medical expenses by preparing to improve the life quality of the elderly and preventive care for the elderly who are independent and active. At a time when independent households of the elderly are becoming common and sustainable digital aging strategies and policies are needed for successful aging, it is expected that discussions on elderly care policies through AI speakers will be triggered.

      • 중⋅고등학교 Wee 클래스의 음악치료 현황 및 전문상담교사들의 음악과의 관계에 따른 음악치료 인식조사

        박인영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status of music therapy implementation in the Wee Class program and the perception of music therapy for school counselors based on their individual background and relationship with music. The study conducted survey analysis, targeting the 59 class 1 and 2 certified school counselors, who are currently associated with the Wee Class. First of all, through the survey, a remarkably low implementation rate of music therapy in the Wee class was explored, and low implementation mainly derived from the lack of information and recognition about music therapy. In addition, the majority of respondents selected professional certification as the standard for the provider of music therapy in the Wee Class. Secondly, school counselors with music therapy implementation experience recognize the effectiveness of music therapy positively. Also, most(88.9%) of these counselors desire to continuously provide or resume the provision of music therapy. The primary reason for counselors’ desire was students’ high preference and demand for music therapy. Thirdly, the Wee Class school counselors with music therapy implementation experience showed a higher degree of perception of the distinction between music subjects and music therapy compared to those counselors without experience. Lastly, school counselors currently involved in music activities evaluated the effectiveness of music therapy higher than uninvolved counselors. Through the research, the status of music therapy implementation in the middle and high school Wee Class, and school counselors’ music therapy perception based on the individual background and the relationship with music was examined, and the research is meaningful in that adolescents experiencing various types of psychological and emotional difficulties more easily involve in music therapy since, without obstacles, the investigation is applicable to the provision of music therapy in the Wee Class, which plays the very first safety net role. 본 연구는 최근 Wee 클래스의 음악치료 현황과 전문상담교사를 대상으로 개인의 음악과의 관계에 따른 음악치료 인식 차이를 알아보기 위한 목적으로 진행되었다. 연구 참여자는 전문상담교사 1, 2급을 소지한 중ㆍ고등학교 Wee 클래스에 소속된 전문상담교사이며, 총 59명의 전문상담교사가 응답한 설문지를 분석하였다. 첫째, Wee 클래스에서는 현재 기준 음악치료 시행률이 현저히 낮은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음악치료 미시행의 이유로는 음악치료에 대한 정보 및 인식 부족이 가장 큰 이유로 나타났다. 또한 Wee 클래스 음악치료를 제공하는 자의 기준은 전문가 자격 보유자가 가장 많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음악치료를 시행한 경험이 있는 전문상담교사들은 음악치료 효과성에 대해 긍정적으로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음악치료 시행 경험이 있는 전문상담교사의 대다수(88.9%)가 음악치료의 지속적 제공 및 재제공 의사가 있다고 응답하였다. 음악치료의 지속적인 제공에 대한 이유로는 학생들의 선호 및 수요가 가장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현재 음악치료를 시행하는 Wee 클래스의 전문상담교사가 음악치료 미시행 Wee 클래스의 전문상담교사 보다 음악교과와 음악치료 간의 차이를 인식하는 정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현재 음악 활동에 참여하고 있는 전문상담교사가 음악 활동에 참여하고 있지 않은 전문상담교사보다 음악치료에 대한 효과성 평가하는 정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하여 중ㆍ고등학교 Wee 클래스의 음악치료 실태와 전문상담교사들의 음악과의 관계에 따라 음악치료를 인식함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러한 결과들을 통해 다양한 심리ㆍ정서적 어려움을 겪고 있는 청소년들이 음악치료를 보다 쉽게 경험할 수 있도록 1차 안전망인 Wee 클래스 내의 원활한 음악치료 제공을 위한 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