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정일련의 가야금독주곡 "가야금과 장구, 징을 위한 <무:巫>" 분석연구

        박이슬 한국예술종합학교 2015 국내석사

        RANK : 248671

        정일련 작곡가는 해외거주 한인임에도 불구하고 모국의 소리에 큰 관심을 갖고 자신의 음악에 관한 정체성을 표현한 작곡가이다. 그는 서양음악을 전공한 자신의 음악적 성향을 바탕으로 모국인 한국전통음악에서 나타난 소리의 특성을 현대적으로 이해하고 재구성 하는 과정을 거쳐 작곡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정일련의 가야금독주곡 <가야금과 장구, 징을 위한 “무:巫”> 곡에 대해서 선율, 리듬, 연주기법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정일련 작곡가가 성금연류 가야금산조를 듣고 영감을 받아 처음 작곡하게 된 이 곡에서 가장 특징적인 것을 설명하자면 다음과 같다. 첫째, 선율의 진행이 순차적 진행보다 도약적 진행이 주를 이루고 있으며 가야금 현에서 저음부에 해당하는 제 1현, 2현, 3현이 지속적으로 반복되는 것을 알 수 있다. 둘째, 선율, 리듬, 셈여림에 있어서 음렬주의적인 기법을 많이 사용하였다. 12현의 모든 음을 특정한 반복이 없이 다양하게 사용하고 있으며, 리듬구조도 같은 박 안에서 다양한 변형을 주고 있으며 셈여림 또한 다양하게 표기하고 있다. 셋째, 특수한 리듬구조의 패턴이 처음부터 끝까지 일정하게 반복된다. 이것이 바로 ‘12(6)박 ? 12(6)박 ? 12(6)박 ? 14(7)박 ? 14(7)박 ? 17(8.5)박 ? 19(9.5)박 ? 20(10)박’의 패턴이다. 다스름에 해당하는 무장단(1마디부터 21마디)을 제외한 22부터 216마디까지 모두 이 패턴 안에서 선율 및 리듬유형이 변화하는 모습을 찾아볼 수 있었다. 넷째, 리듬효과에서 파생되는 다양한 음색선율기법 (Klangfarbenmelodie)을 사용하였다. 가야금은 전통음악에서 선율악기로써의 역할을 갖는 악기임에도 불구하고 이 곡에서는 부분적으로 장구와 함께 대칭되는 타악기로써의 역할을 하고 있다는 점이 특징적이다. 다섯째, 연주기법이 전통음악에서 사용되는 주법을 토대로 변형, 발전된 형태들이 많이 보인다. 도약진행과 빠른 템포에서 이루어지는 연속된 연주기법들은 상대적으로 전통음악의 연주기법보다 다소 어려움과 난해함을 보일 수 있지만 이러한 연주기법들이 국악기의 새로운 도전과 다양한 연주기법의 구현이라는 관점에서 본다면 상당히 의미 있고 신선한 시도이다. 작곡가 정일련은 독일에서 서양음악을 전공했음에도 불구하고 그에게 주는 심미적인 원천은 그의 모국인 한국의 전통음악이라는 점에서 큰 의미를 갖는다. 따라서 이 곡은 비록 타국이라는 한계성으로 인해 접근성이 용이하지 않지만 세계 보편적 소리로 재구성되어 창작되어진 곡이라는 점에서 특별한 의미를 갖는다.

      • 영화 <미녀와 야수(2017)>에 나타난 영화음악 연출 방식에 대한 연구

        박이슬 상명대학교 일반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8655

        영화 <미녀와 야수(2017)>에 나타난 영화음악 연출 방식에 대한 연구 영화에서 연출의 영역은 감독의 장면 편집으로만 진행되지 않는다. 영화음악도 연출 방식의 하나로 여겨지고 있다. 음악의 삽입이 장면 편집 으로 이루어진 영화연출에 도움을 주거나 새로운 방향을 제시해 줄 수 있 기 때문이다. 영화음악 연출에 관해서 연구한 부분은 내러티브에 근거한 전통적인 방식으로 진행되고 있지만, 다양한 영화연출에 실제로 적용하기 엔 한계점이 보인다. 영화음악의 기능적인 효과에 관한 연구는 아론 코플란드, 한상준, 래 리 팀, 클라우디아 고르브만 등의 이론학자들에 의해 진행됐지만, 음악으 로 연출하는 방식에 초점을 맞추지 않고 그 외적인 요소들에 대한 내용도 같이 얘기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영화음악 연출의 기능적인 부 분에 초점을 맞춰 총 10가지 연출 방식으로 정리하여 제시하였다. 기능적 연출 방식의 10가지는 암시적 사용, 모순적 사용, 주제 표현, 인물·사건 상징, 시간·공간 표현, 배경음악, 장면 연결, 장면 일치, 통일감, 속도감으 로 정리할 수 있었다. 암시적 사용 연출 방식은 장면보다 선행한 음악의 삽입으로 장면이 자연스럽게 연결되고 곧 음악의 분위기와 맞는 장면이 나올 것을 암시해 준다. 모순적 사용 연출 방식은 장면과 다른 분위기의 음악 사용으로 장면 을 더 강조해주고 있다. 주제 표현 연출 방식은 인물의 심리나 장면의 내 용 전달을 강조해준다. 인물·사건 상징 연출 방식은 특정 인물과 사건의 등장마다 같은 테마나 곡의 사용으로 장면에 등장하지 않아도 음악만으로 나올 것을 암시한다. 시간·공간 표현 연출 방식은 악기의 특징을 이용해 시간과 공간을 표현해준다. 배경음악 연출 방식은 비어 있는 느낌을 주지 않기 위해 음악을 삽입하는 방식이다. 장면 연결 연출 방식은 미쟝센과 같은 장면에서 흐름이 끊기지 않게 도와주는 연출 방식이다. 장면 일치 연출 방식은 장면의 상황과 음악이 같은 타이밍에 등장해 생동감이나 코 믹함을 느껴지게 해준다. 통일감 부여 연출 방식은 전혀 다른 느낌의 장 면들이 연관성이 있음을 음악으로 표현해준다. 속도감 연출 방식은 장면 내의 속도감과 일치하거나 반대되는 음악의 사용으로 긴장감을 표현해주 는 연출 방식이다. 영화 <미녀와 야수>를 중심으로 기존의 내러티브 연출 방식과 본 논 문에서 제시하고 있는 기능적 연출 방식으로 분석을 진행해 비교하여 어 떤 연출 방식이 현장에서 실제로 적용하기 적절한지 연구했다. 이를 통해 기능적 연출 방식이 내러티브 연출 방식보다 실제로 현장에서 사용하기에 확실한 지침을 제시하는지, 연출 방식으로 인한 효과가 명확하게 나타나 는지에 대해 입증하고자 한다. 주제어 : 영화음악, 영화음악 기능, 영화음악 연출, 음악 연출 A Study on the Directing Method of Film Music in the Movie <Beauty and the Beast (2017)> In filmmaking, the realm of direction extends beyond the director's scene editing. Film music is also considered one of the directing techniques, as it can aid scene editing in films or suggest new directions. Although research on cinematic music directing has traditionally been based on narrative-oriented approaches, its application to diverse filmmaking scenarios has revealed limitations. While scholars such as Aaron Copland, Han Sang-jun, Larry Timm, and Claudia Gorbman have explored the functional effects of film music, their focus often extends beyond the musical directing approach to encompass other external elements. Therefore, this study focuses on the functional aspects of cinematic music directing, presenting a total of ten directing techniques. These ten functional directing techniques can be categorized as implicit use, contradictory use, theme expression, character-event symbolism, time-space representation, background music, scene transition, scene matching, coherence, and pace. Implicit use directing implies a smooth connection between scenes through the insertion of music before the scene, hinting at the upcoming scene's mood that aligns with the music. Contradictory use directing emphasizes scenes by employing music with a different atmosphere. Theme expression directing highlights the psychological aspects of characters or conveys the content of scenes. Character-event symbolism directing implies the use of the same theme or song for specific characters or events, suggesting the music's presence even if the scene does not feature them. Time-space representation directing utilizes the characteristics of instruments to express time and space. Background music directing involves inserting music to avoid an empty feeling. Scene transition directing helps maintain the flow in scenes like those in mise-en-scène. Scene matching directing creates a dynamic or comedic effect by synchronizing the situation and music timing. Coherence directing uses music to express the relationship between entirely different scenes. Pace directing involves using music that matches or contrasts with the speed within a scene to convey tension. Analyzing the film "Beauty and the Beast," this paper compares traditional narrative directing techniques with the proposed functional directing techniques to determine which approach is more suitable for practical application. Through this, the study aims to provide evidence of whether functional directing techniques offer clearer guidelines for practical use than narrative directing techniques and whether the effects of directing are evident in practice. Keywords: Film Music, Functions of Film Music, Cinematic Music Directing, Music Directing

      • 배우의 신체 훈련을 통한 장면 창조 연구 : 그로토프스키, 미카엘 체홉, 박탄고프, 우타하겐을 중심으로

        박이슬 청주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48655

        This study aims to construct the scenes through training processes in Grotowski, Michael Chekhov, Vakthangov, and Uta Hagen with the specific methods of role creation utilizing an actor’s body and to check the actual effect of role creation and the effectiveness on various training methodologies. The contemporary plays continue attempts to knock down the boundaries of play in combination with various fields to expand to get out of the limitations of representation of texts. For the birth of a creative actor for the flow of play, it is necessary to rediscover the actor’s body and explore it as a new style to call ‘the being’ on stage. The methodologies by Jerzy Grotowski, Michael Chekhov, Vakthangov, and Uta Hagen discussed in this study propose specific methodologies for actor training and focus on drawing psycho-physical behaviors. For a smooth understanding of them, this study would explore the formation process, main concepts, and practical training methods of each methodology and create roles through each of the training. Based on this, this study would create each scene to bind them as Experiment Gaze Ver. 4, check its effectiveness through a survey with an audience and promote the value of research based on the experimenters’ training methods and interviews. In the experiment, the actors participating in the performance became experimenters while training themselves according to each actor’s role. The scope set up by the author includes the concepts for training the actor's body as follows: Grotowski’s sacred actor through Via Negativa and Actuant (actor) in art as a means of delivery, Michael Chekhov’s creation and discovery of psychological gestures through imagination and image, Vakthangov’s grotesque acting in fantastic realism and narrative attitude, the representative element of his thought, and lastly, Uta Hagen’s memory of emotions, outdoor training, and conditional factors. As for the research method of this study, it was conducted through all processes from theory research through the selection and conception of works and training process to practice and performance, and the practice logs, training materials, and observation contents of the researcher and the participants as actors, and experimental results through an audience survey were used as research materials. In addition, in scene creation through training, this study would contain contemporariness by concretizing the scene from the eye of the present beyond simply following the theories. From a lot of preceding studies, the present studies of actor training are predominantly in an experimentation form through one methodology. However, this study would check the effectiveness of grafting more than one training and reveal the specific methods for complementary parts between methodologies. In other words, in the researcher’s opinion on actor training, a contemporary methodology is needed for the birth of a new actor. The contemporary methodology here refers to the process in which actors and acting training find their methodologies and create training methods and routines in an active and creative collaborative relationship, instead of something epoch-making and special coming from another dimension. This means that it is necessary to conduct studies of multifaceted acting and physical training methods based on the self-awareness about the body with which the actor himself appears on the stage while there have been sufficient discussions on the methodologies for the actor. The form of training of acting should, most of all, be diverse and focus on the ‘process.’ If it is possible to graft various methods with a more comprehensive form of training, like an actor finds and wears his clothes himself, it would be possible to lead to a new paradigm by transforming and combining each methodology. In this sense, this study would ask for the actor’s active and spontaneous attitudes, proposing various methods for physical training of actors and help as an effective solution for the need for a flexible body and the extension of its scope. 본 연구는 배우의 신체 훈련을 통한 장면 창조의 구체적인 방법으로 그로토프스키, 미카엘 체홉, 박탄고프, 우타하겐의 훈련 과정을 통해 장면을 구축해보고 역할 창조의 실제적 효과와 다양한 훈련 방법론에 대한 효용성을 확인하는데 목적을 둔다. 동시대 연극은 텍스트의 재현이라는 한계에서 벗어나고자 다양한 분야와의 결합으로 연극의 경계를 허물고 확장하고자 하는 시도로 이어지고 있다. 현재 연극의 흐름에 걸맞는 창조적 배우의 탄생을 위해 배우의 신체를 재발견하고 무대 위의 ‘현존’ 을 불러오기 위한 새로운 양식으로서 탐구되어야 하는 것이다. 본고에서 논의하는 그로토프스키, 미카엘 체홉, 박탄고프, 우타하겐의 방법론은 배우 훈련에 대한 구체적 방법론을 제시하며 각각의 시선을 통해 심리-신체적 행동 도출에 초점을 맞춘다. 이의 원활한 이해를 위해 각 방법론의 형성 과정과 주요 개념, 실제적 훈련 방법을 탐구하며 각 훈련을 통해 역할을 창조한다. 이를 기반으로 장면을 만들어 실험 < 시선ver.4 >으로 엮었으며 관객의 설문을 통해 그 효과를 확인하고 실험자들의 훈련 방법과 인터뷰를 기반으로 연구의 가치를 재고했다. 실험은 공연에 참여하는 배우들이 실험자가 되어 각자의 역할을 기반으로 훈련하며 진행되었다. 본 연구에서 설정한 연구 범위는 배우의 신체 훈련을 위한 개념들이며 다음과 같다. 그로토프스키의 부정의 길을 통한 성스러운 배우와 운반수단으로서의 예술에서의 악튀앙(행동하는 사람), 미카엘 체홉의 상상과 이미지를 통한 역할 창조와 심리제스처의 발견, 박탄고프의 환상적 사실주의에서의 그로테스크 연기와 그의 사조의 대표적 요소인 서사적 에튜드. 마지막으로 우타 하겐의 감정기억법과 야외 훈련, 조건요소들이 그것이다. 본 논문의 연구 방법은 이론연구에서부터 작품 선정과 구상, 훈련 과정, 연습과 공연까지 모든 과정을 통하여 진행되었으며 본 연구자와 배우로 참여한 실험자들의 연습일지와 훈련 자료, 관찰 내용, 관객의 설문을 통한 실험 결과들이 연구 자료로 사용되었다. 또한, 훈련을 통한 장면 창조에 있어서는 단지 이론을 답습하는 것을 넘어 현재의 시선으로 바라보며 장면을 구체화함으로써 동시대성을 담고자 했다. 선행되어진 많은 연구들로 미루어볼 때 현재의 배우 훈련에 대한 연구는 한 가지의 방법론을 통한 실험의 형태가 지배적이다. 하지만 본 연구는 하나 이상의 훈련을 접목하는 것의 효용성 확인과 각 방법론 간의 상호 보완적인 부분의 구체적 방법을 밝히고자 한다. 다시 말해 새로운 배우의 탄생을 위한 동시대의 방법론이 필요한 것이다. 여기서 말하는 동시대의 방법론은 다른 차원에서 오는 특별한 것이 아니라 능동적인 창조적 협업 관계로서 자신만의 방법론을 찾아 훈련 방법과 루틴을 만드는 것을 말한다. 이는 배우를 위한 방법론에 대한 논의가 충분히 이루어진 상태에서 배우 스스로 어떤 신체로서 무대에 설 것인가에 대한 자각을 기반으로 다각적인 연기, 신체 훈련 방법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져야 하는 것이다. 연기를 훈련하는 형태는 무엇보다 다양해야 하며 그 ‘과정’에 초점을 이루어야 한다. 더 포괄적인 형태의 훈련으로 배우가 스스로 본인의 옷을 찾아 입는 것과 같이 다양한 방법을 접목할 수 있다면 각각의 방법론을 변형하고 결합하여 새로운 패러다임으로 인도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신체 훈련을 위한 다양한 방법을 제시하여 배우의 능동적이고 자발적인 태도를 요구하고 유연한 신체에 대한 필요성과 그 범위의 확장에 효과적인 대안으로서 도움이 되고자 한다.

      • K-WAIS-IV로 측정한 조현병 환자의 인지적 특성

        박이슬 대구대학교 2014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 연구의 목적은 K-WAIS-IV의 임상적 유용성을 알아보기 위해 인지적 결함이 발견된 임상군 중 조현병 환자 집단을 선택하여 정상 대조 집단과 K-WAIS-IV 수행을 비교하여 조현병 환자의 인지적 특성을 알아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경북 및 대구광역시에 위치한 정신건강증진센터 4곳과 사회복귀시설 1곳에 조현병으로 진단받은 20∼60세의 환자 3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비교 집단은 조현병 환자 집단의 성별, 연령, 학력에 맞게 한 20명의 정상집단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 도구는 한국판 웩슬러 성인용 지능검사(K-WAIS-IV)를 사용하였다.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조현병 환자 집단은 정상 대조 집단에 비해 전반적인 지능에 현저한 차이가 있었다. 둘째, 두 집단의 4개의 조합점수를 비교해보았을 때, 특히 언어이해 지수와 작업기억 지수보다 지각추론 지수와 처리속도 지수에서 큰 차이를 보였다. 셋째, 두 집단의 핵심 소검사별 환산점수와 과정점수에서 차이를 보였다. 소검사별 환산점수에서는 특히 토막짜기, 퍼즐, 동형찾기, 기호쓰기 소검사에서 큰 차이를 보였다. 과정점수에서는 숫자 순서대로 따라하기에서 높은 효과를 보였다. 이상의 결과에서 조현병 환자는 K-WAIS-IV 검사 수행에 있어서 전반적으로 저조하였으며, 특히 지각추론 지수와 처리속도 지수에 해당하는 인지기능에 있어서 결손이 있음을 시사한다. 본 연구는 ‘K-WAIS-IV’ 검사로 조현병 환자의 인지적 특성을 밝혔으며, 이를 통해서 이 검사가 인지적 결함에서의 임상적 측정에 유용하게 적용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ee clinical utility of K-WAIS-IV. In order to determine schizophrenic patients group's cognitive characteristics, this study performed K-WAIS-IV and compared each other. The study involved, 30 schizophrenia patients of ages between 20 and 60, The research also involved one group of 20 normal people. All groups participated for the research. normal group matched by similar age, sex, education background compared to schizophrenic patients group. Korean Wechsler Adult Intelligence Test (K-WAIS-IV) was used as the research tool. The major findings were as follows. Fist, the schizophrenic patients group was inferior to the comparison group in general intelligence. Second, compared index scale of two groups, the group difference in PRI(Perceptual Reasoning Index), PSI(Processing Speed index) were larger than the group difference in VCI(Verbal Comprehension Index), WMI(Working Memory Index). Third, There are difference in scaled scores of testlets, process scores. In scaled sores of testlets, the group differences were larger in block design, visual puzzles, coding than others. In processing scores, the group effects was largest in digit span sequencing. The above results indicate that schizophrenic patients performed K-WAIS-IV poorly, Especially imply deficit of cognitive function appertaining to PRI, PSI. This study determines cognitive characteristics of schizophrenic patient and shows that K-WAIS-IV is a useful clinical tool for investigating cognitive deficits.

      • 꼴라주 집단미술치료가 교대근무 직장여성의 스트레스 감소에 미치는 효과

        박이슬 인하대학교 교육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 연구에서는 교대근무 중인 직장 여성들에게 꼴라주 미술치료를 실시하고, 미술치료 참여경험이 이들의 스트레스 감소 효과와 자기표현의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는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참여자들은 교대근무 직장여성으로 불규칙한 근무 형태와 생체리듬을 유지하기 힘든 상황으로 스트레스를 호소하였다. 교대근무는 수면 부족과 스트레스를 초래하며, 이는 심리적 안정감과 건강한 생활유지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스트레스에 취약성을 가지고 있는 교대근무 직장여성에게 꼴라주 미술치료경험은 감정을 인식하고 감정해소에 도움을 주어 스트레스 완화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는 효과를 기대 할 수 있다. 연구문제를 달성하기 위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꼴라주 미술치료는 교대근무 직장여성의 스트레스감소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둘째, 꼴라주 미술치료는 교대근무 직장여성의 자기표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이를 위하여 참여자들에게 미술치료 프로그램을 주1회, 회기별 70분씩 사전ㆍ사후 검사 포함 총12회기로 진행하였다. 본 프로그램의 구성은 초기단계(1회기~3회기)에는 라포형성과 자기탐색을 위한 작품 활동으로 진행하였고, 중기단계(4회기~7회기)에는 자기인식 및 스트레스 인식을 통해 참여자의 욕구를 확인하였고, 후기단계(8회기~10회기)에는 자기성장단계로 긍 정적인 미래에 대한 희망과 소망을 기대 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꼴라주미술치료프로그램 경험의 사전ㆍ사후의 변화를 알아보기 위하여 스트레스 반응 검사를 실시하여 스트레스 정도를 측정하였고, 자기표현의 변화를 알아보기 위하여 K-HTP 검사를 실시하여 참여자의 심리ㆍ정서적 변화를 살펴보았다. 본 연구를 보완하기 위하여 작품에 나타나는 그림의 상징, 표현과 작품설명, 소감문, 행동관찰일지, 녹음을 바탕으로 연구 참여자의 변화에 대한 내용분석을 병행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자면 다음과 같다. 첫째, 꼴라주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 경험은 교대근무 직장여성의 스트레스를 감소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꼴라주 집단미술치료는 교대근무 직장여성의 자기표현의 변화의 영향을 미쳤다. 꼴라주 미술치료 활동을 통하여 작품의 의미와 상징을 언어로 표현하는 과정은 참여자의 심리ㆍ정서적 변화를 나타내어 자기표현의 변화를 보여주었다. 이와 같이 꼴라주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은 교대근무 여성의 스트레스 감소와 자기표현 변화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이는 꼴라주 집단미술치료가 스트레스에 취약한 교대근무 직장여성에게 건강한 삶을 제공할 수 있는 방안으로 볼 수 있다.

      • 치료적 기능을 강화한 영화교육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연구 : 중등 영화교육의 치료적 접근

        박이슬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 논문은 영화예술교육의 치료적 기능을 강화한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학교현장에 적용해 그 효과를 검증함으로써, 치료로서의 영화교육의 가능성을 타진하고 생산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새로운 방향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에 청소년의 신체적, 심리·사회적 특수성을 알아보고, 청소년이 가지는 결핍을 해소하기 위한 효과적인 접근으로서 예술치료의 가치를 살펴보았다. 또한 영화교육을 치료적 관점에서 접근하여 영화교육과 영화치료가 가지는 장점과 효과에 대해 논의하고 그것을 극대화 할 수 있는 방안을 탐색하였다. 치료적 기능을 강화하기 위하여 다양한 예술치료의 기법을 연구하여 영화교육현장에 맞게 적용하였으며, 학습자가 감상과 표현을 통해 자아를 탐색하고 긍정적 정서와 자아를 확립 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는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프로그램은 총 17차시로 1학기에 걸쳐 중등 영화교육현장에 적용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개발된 프로그램의 적용은 서울 소재의 H고등학교 1학년 1개 학급의 16명의 학생을 대상으로 진행되었으며, 학교 환경에 맞추어 8명씩 2그룹으로 나누어 한 달 간 총 4회차의 수업으로 실시되었다. 프로그램은 영화 감상영역과 영화 창작 영역으로 구분되어, 영화 감상 – 시나리오 개발 – 영화 제작의 순서로 진행되었다. 각 단계마다 활동 결과물 분석, 수업 태도 및 반응 분석, 학습자 인터뷰를 통한 질적 분석 방법이 사용되었으며 분석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상상력과 몰입하는 능력이 형성되어 감수성이 향상되었으며, 감상과 활동 시에 느끼는 긍정적·부정적 정서가 자기성찰에 도움을 주었다. 둘째, 프로그램에서의 토론은 새로운 시각을 가질 수 있는 기회를 제공했다. 셋째, 영화 언어와 비언어적 소통능력이 향상되었으며 시네리터러시 능력이 향상되었다. 넷째, 자아탐색을 통해 자기의식이 고양되었으며 긍정적 자아개념 확립의 발판이 되었다. 다섯째, 영화제작 활동을 통해 대인관계능력이 향상되며 자아효능감과 자긍심이 향상되었다. 이상과 같이 본 연구에서 개발된 영화치료교육프로그램은 청소년의 자아개념 확립에 긍정적 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지·덕·체의 균형 있는 발달을 유도할 수 있으며 긍정적 정서 형성과 자아효능감 향상에 유의미한 효과가 있음이 확인 되었다. 따라서 치료적 기능을 강화한 영화교육프로그램은 중등 영화교육현장에서 효과적인 영화치료교육프로그램의 한 사례로써 활용될 수 있을 것이라 사료된다.

      • 미카엘 체홉의 테크닉 연기 훈련 방법 연구 : <Noraism> 공연에서 노라의 역할 창조를 중심으로

        박이슬 청주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 연구는 현대 연기 방법론의 발전에 큰 영향을 끼친 미카엘 체홉의 연기 테크닉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한 실제적 연구에 그 목적을 둔다. 이를 위해 테크닉 연기의 이론적 원리와 실제 훈련 방법들을 고찰해보며 배우의 역할 창조에 종합적인 이해를 돕고자 한다. 특히 헨릭 입센의 <인형의 집>을 각색한 <Noraism>의 노라 역할을 통하여 테크닉 연기를 접목시킨 인물 구축에 대하여 연구해보고 과정에 대해 탐구 하고자 한다. 미카엘 체홉은 스타니슬랍스키와 박탄코프 등 유명한 연출가 아래 연기를 배워왔지만 경험과 기억을 토대로 한 인물 구축에서는 더 이상 새로운 연기를 기대할 수 없다고 생각했다. 이에 개인의 상상과 이미지를 통한 인물 구축을 위하여 직접 스튜디오를 열어 여러 작업자들과 함께 훈련하며 독자적인 연기 방법론을 구축해 나갔다. 테크닉 연기의 핵심은 배우의 상상력과 이미지를 통해 상상의 신체를 만들어내는 심리-신체의 유기적인 연관성에 대한 인식을 기반으로 한다. 체홉은 인물 창조의 답은 신체에 있다고 말했으며 신체를 이용한 상상력의 표현이 새로운 연기 창조의 원천이 될 것이라 주장했다. 이는 심리와 신체의 밀접한 관련을 상상력을 통해 표현하고 감정기억에 의존하지 않고 몸을 통해 즉각적인 자극을 경험할 수 있는 것이다. 실제 사례 연구를 위해 <Noraism>의 노라 역할 구축에 적용하여 상상력과 이미지, 연출자의 인도 질문, 심리제스처, 즉흥과 앙상블 과정으로 진행하였다. 궁극적으로 상상의 신체를 통한 인물의 섬세한 표현과 배역의 목적을 드러내고자 하였으며 공연의 여러 요소들과 결합하여 어떤 효과를 불러오는지 연구하고자 하였다. 심리-신체의 조화를 강조한 체홉의 테크닉은 배우의 실제 적용을 통해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특성을 가졌다. 배우들로 하여금 정답을 제시하는 것이 아닌 인간의 무의식과 자아, 상상력과 이미지의 중요성을 깨닫게 하며 역할 구축에 있어 배우의 온전한 선택과 권한을 가지게 한다. 이러한 의미에서 본 연구는 다양성을 요구하는 오늘날의 연기 창조 발전에 실제적인 방안으로써 도움이 되고자 한다. This study aims to conduct a practical study based on the understanding of the acting technique of Michael Chekhov, who had a great influence on the development of modern acting methodology. For this purpose, this study would help a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the creation of the role of an actor, discussing the theoretical principles and practical training methods of the technique of acting. Especially, this study would investigate the construction of a character by combining the technique of acting through the role of Nora in Noraism that adapted Henrik Ibsen’s A Doll’s House. Michael Chekhov has learned acting under famous directors like Constantin Stanislavski and Eugene Vakhtangov but thought that he could expect new acting any more from the construction of a character based on experience and memory. Thus, he opened a studio himself to create characters through individual imagination and images and constructed an original acting methodology, training together with several workers. The core of the technique of acting is based on the perception about the organic correlation between the psychology that creates an imaginary body and the body through the actor’s imagination and image. Michael Chekhov said that the answer to the creation of a character is in the body and argued that the expression of imagination using the body would be a source of the creation of new acting. This means the expression of a close relationship between psychology and the body through imagination and the ability to experience immediate stimulation through the body, not depending on emotional memory. Thus, this study investigated the properties of the technique of acting based on the construction of an image utilizing the actor’s imagination emphasized by Michael Chekhov and applied the core principles to the construction a real character. This study proceeded with the courses, including imagination and image, the director’s guiding question, psychological gestures, and impromptu and ensemble, applying the principles to the construction of the role of Nora in Noraism. Ultimately, this study would reveal the delicate expression of a character and the purpose of the role through the imaginary body and investigate the effect it brings about in combination with various elements of performance. Michael Chekhov’s technique that emphasized the psychology-body harmony is characterized by the possibility of diverse variations through the actor’s actual application. It enables actors to realize the importance of the human unconsciousness, self, imagination, and image, rather than presenting the right answer to them and to have their whole choice and authority in building the role. In this sense, this study would be helpful as a practical plan for the creation and development of acting today, which requires diversity.

      • 체르니 30 Etudes de Mecanisme op.849와 베토벤 초기 피아노 소나타 연주기법에 대한 연관성 연구

        박이슬 경성대학교 일반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8639

        체르니는 베토벤과의 사제관계였기 때문에 스승인 베토벤의 작품을 자연스럽게 익히고 공부할 수 있었다. 그래서 체르니는 베토벤의 피아노 작품을 연주하기 위해 꼭 필요한 어려운 테크닉들을 마스터할 수 있게 하려고 ‘피아노 연습곡’을 작곡하였다. 이 연습곡들의 핵심은 악곡 안에 아름다운 음악적인 표현을 가지고 있으면서, 단순히 테크닉을 발전시키기 위한 주된 목적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체르니 연습곡은 베토벤의 피아노 음악을 자유롭게 쳐낼 수 있는 능력을 익힐 수 있게 도와주는 연주기교의 기초 훈련이라 할 수 있다. 이렇듯 체르니와 베토벤의 사제지간의 인연은 체르니 연습곡 까지도 영향을 끼쳤다고 볼 수 있는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체르니의 많은 연습곡들 중 중급정도의 수준에서 쉽게 접할 수 있는 체르니 30번의 연습곡으로 교재를 선택하여 연주기법 별로 분석, 분류하였다. 그리고 분류한 연주기법들과 연관성 있는 베토벤 초기 피아노 소나타에 나타난 악구들을 찾아보았다. 체르니 30번 연습곡에 나타나는 연주기법으로는 레가토, 음계, 아르페지오, 슬러와 스타카토, 점음표 리듬, 꾸밈음, 양손을 나누어지는 주법, 연타음, 반복되는 음 사이에 변화되는 음이 끼어 있는 음형, 다섯손가락의 강한 터치와 민첩성, 프랄트릴러, 트릴, 보조음이 사용된 음형, 반음계, 싱코페이션, 양손의 교차, 왼손의 선율, 양손의 유니즌 등이 포함되었다. 이와 같이 체르니 30번 연습곡은 베토벤의 피아노 소나타 작품에서 나타나 있는 중요한 연주기법을 포함하고 있었다. 그리고 그 연주기법에 연관되어 있다고 보여지는 베토벤 초기 피아노 소나타 작품들을 찾아 악보를 첨부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 분류표로 제시한 체르니 30번 연습곡의 연주기법들이 모두 베토벤 초기 피아노 소나타 작품 속에 나타나 있음을 알 수 있었고, 체르니 30번 연습곡과 유사한 베토벤 초기 피아노 소나타의 악구들도 많이 발견 되었다. 당시 베토벤이 많이 사용하였던 스케일이나 양손을 분할해서 연주하는 주법, 양손이 서로 엇갈려 연주하는 주법 등이 체르니 30번 연습곡의 연습목적이 되어 각 악곡에 나타나 있었다. 또 체르니 30번 연습곡에서는 베토벤 초기 피아노 소나타에 많이 등장하는 음형들 또한 도돌이표를 써서 여러 번 반복하여 그 운지와 움직임에 익숙해 질 수 있도록 하였다. 따라서 체르니 30번 연습곡은 베토벤 초기 피아노 소나타의 기교 훈련에 실제로 도움이 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연주자들이 베토벤 피아노 소나타 작품을 연주하기 전, 작품에 사용되어진 연주기법을 포함한 체르니 연습곡을 선택하여 자신에게 부족한 연주기교를 훈련한다면 많은 도움이 될 것이다. 마지막으로, 이 연구결과로 인해 체르니 30번 연습곡의 연습목적을 확실하게 알게 되고 학생들에게 테크닉 훈련의 필요성을 느끼게 해준다면 체르니 연습곡이 고전 피아노 작품을 배우는 뿐 아니라, 아주 중요한 테크닉 훈련 연습곡으로서의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되어 체르니 연습곡의 가치를 재인식하게 될것이다.

      • 제로에너지건축물의 에너지자립률 제고와 탄소중립 달성 방안 연구

        박이슬 세종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8639

        우리나라는 기후변화 대응이라는 국제적인 노력에 동참하기 위해 2030 국가 온실가스 감축 목표를 수립하고 관련 정책들을 추진하고 있다. 그중 건물부문의 경우, 온실가스 배출량을 2018년 52.1백만 톤 대비 2030년 35.0백만 톤 감축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우리나라는 건물부문의 온실가스 저감을 위해 2016년 녹색건축물 조성 지원법 제정 및 제로에너지건축물 의무화 로드맵을 수립하는 등 다양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제로에너지건축물 의무화는 건물부문의 온실가스 저감을 위해 중요한 수단 중 하나이지만, 현재 우리나라에서 인증받은 주요 제로에너지건축물의 에너지자립률은 30% 이하로 조사되었다. 건물부문의 온실가스 감축 목표 달성을 위해서는 제로에너지건축물의 에너지자립률을 높일 수 있는 방안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제로에너지건축물을 대상으로 신재생에너지 추가 설치에 따른 에너지자립률 제고 방안에 대해 분석하였다. 에너지자립률 제고 방안 분석을 위해 태양광발전 추가 설치 위치에 따라 Case를 3가지로 나누었다.‘Case 1’은 남향 벽면의 태양광발전을 추가로 설치하는 것으로 설정하였으며,‘Case 2’는 서향 벽면에‘Case 3’은 남향 벽면과 서향 벽면에 모두 태양광발전을 추가 설치하는 경우로 설정하였다. Case에 따른 태양광 발전량과 온실가스 저감량, 경제성 분석은 RETScreen 모형을 활용하였다. 대상건물의 Case 별 태양광발전 추가의 발전량 및 온실가스 저감량 분석 결과, Case 1은 15.75㎾의 태양광발전을 설치하여 연간 12,456㎾h의 발전을 할 수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온실가스는 연간 5.95톤을 저감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Case 2는 28.35㎾의 태양광발전 설치를 통해 연간 17,563㎾h의 발전을 할 수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연간 8.39톤의 온실가스를 저감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Case 3는 Case 1과 Case 2를 모두 적용한 경우로서, 44.10㎾의 태양광발전 설치를 통해 연간 30,019㎾h의 발전을 할 수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온실가스는 연간 14.34톤을 저감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상건물에 태양광발전을 추가 설치한 경우 보조금 적용 여부에 따른 경제성을 분석하였다. 보조금이 적용되지 않을 경우 경제성을 분석한 결과, Case 1의 순현재가치는 12,522,320원, 자기자본 회수기간은 15년으로 분석되었다. Case 2의 경우, 순현재가치는 -5,015,296원, 자기자본 회수기간은 20년으로 나타났으며, Case 3의 순현재가치는 7,507,024원, 자기자본 회수기간은 18년으로 나타났다. 보조금 적용에 따른 경제성을 분석한 결과, Case 1의 순현재가치는 27,831,320원, 자기자본 회수기간은 9년으로 나타났으며, Case 2의 순현재가치는 22,540,904원, 자기자본 회수기간은 13년으로 분석되었다. Case 3의 순현재가치는 50,372,224원, 자기자본 회수기간은 11년으로 분석되었다. 보조금 적용 여부에 따른 경제성을 분석한 결과, 순현재가치와 자기자본 회수기간을 기준으로 하였을 때 Case 1이 가장 경제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보조금을 적용하면 자기자본 회수를 9년 이내에 할 수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의 대상 제로에너지건축물의 전력 사용량을 기반으로 신재생에너지 추가 설치에 따른 에너지자립률 분석결과, 신재생에너지를 추가 설치하였음에도 전체 전력 수요를 신재생에너지로 충당하지 못하는 한계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제로에너지건축물의 에너지자립률 제고와 탄소중립 달성을 위해서는 인근 유휴부지에 태양광발전 시설을 추가로 설치하고 태양광발전 시설의 안정적인 운영을 위해 정부의 보조금과 융자지원사업의 확대가 필요하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