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에너지 절감형 정수처리 공정 연구

        朴銀香 忠南大學校 大學院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conventional water treatment processes for drinking water such as rapid mixing, flocculation, sedimentation, filtration and membrane filtration are complicated in structure and consuming large amounts of energy due to the use of powerful pumps, stirrers and sludge collectors. so they are inconsistent with water treatment method of Green Growth concept.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determine design and operation conditions and to evaluate field application of drinking water treatment equipment with energy saving and gravitational flow system. The plant is composed of rapid mixing, flocculation, primary filtration(preliminary filtration), inclination plate sedimentation and secondary hybrid filtration basin. In order to enhance the filtration capabilities, a single filtration basin was separated into two stages and then the removal efficiency of pollutant, volume of thickened sludge and supernatant turbidity of backwashing water. The results obtained from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The turbidity that is important water quality parameter in conventional water treatment process was reduced from 1.75∼7.32NTU to 0.04∼0.22NTU in 45 minutes of HRT. The average turbidity of treated water was 0.07NTU. The result of simulation to prepare inflow of high turbidity water in flood, the turbidity of raw water, primary filtration water, final treated water were 204∼369NTU, 1.51~5.29NTU, below 0.1NTU, respectively. The turbidity load of secondary hybrid filtration basin was reduced by removing 98.5% turbidity in primary filtration basin. Therefore it was possible to produce water of stable quality in flood season. The turbidity of treated water satisfied the drinking water standards. Under the various operating conditions at 150m3/d of flow rate, KMnO4 consumption was reduced from 2.8~11.7mg/L to 1.0~4.4mg/L and which satisfied the standard of drinking water. TOC was reduced from 2.1~3.0mg/L to 0.9~1.6mg/L and UV254 Abs. was reduced from 0.04~0.22mg/L to 0.01~0.04mg/L. The volume of thickened sludgy was equivalent to 0.1% of treated water quantity. As the sludge of backwashing water settled rapidly, the average turbidity at the point 30cm from the bottom came lower than 0.5NTU within 1 hour after backwashing. It was enough to reuse in flocculation module(primary) by pumping. It was possible to save energy and increase efficiency of water use through this process. As the HRT and height of energy saving water treatment process was 45min and 3.6m, the construction and operation cost of this process is cheaper than other conventional one. All experiments were done in nonpressure flow so mechanical stirrer(rapidly mixing, coagulation), sludge collectors, backwashing pump were unnecessary. Consequently the energy consumption was very small by decreasing power cost significantly.

      • 경도인지장애 노인을 위한 인지·신체·정서 통합 발레 프로그램 개발 및 타당화 검증

        박은향 세종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박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경도인지장애 노인의 인지·신체·정서적 영역을 개선시킬 수 있는 통합 발레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타당성을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치매 발병 고위험군인 경도인지장애는 조기에 진단하면 치매를 예방할 수 있는 단계로 알려져 이를 위한 다양한 프로그램들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프로그램들은 비약물 치료라는 공통점을 가지고 있으나 단일 영역에 치중할 수밖에 없는 한계가 있어 경도인지장애 노인들에게 나타나는 증상들을 통합적으로 다루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경도인지장애 노인의 치매 예방 효과를 증진시키기 위해서는 통합 프로그램의 개발이 필요하고 신체적, 시각적, 연극적, 언어적, 음악적 요소 등을 포함하는 발레를 활용하여 경도인지장애 노인에게 적용하였다. 본 연구의 통합 발레 프로그램은 ‘바가노바 히스토리컬 댄스(Vaganova Historical Dance)’에 기반을 두고 프로그램의 성격과 목적 및 목표를 설정하였다. ‘바가노바 히스토리컬 댄스’는 러시아 바가노바 아카데미의 교과과정 중 하나로 중세부터 탄생된 궁정발레를 재구성하여 메소드화 한 것이며, 이를 통해 발레의 기원과 움직임의 기본 원리에 대해 이해하게 되는 학습과정이다. 본 연구의 대상은 경도인지장애 노인으로 참여자의 신체적 특성을 반영하여 바가노바 히스토리컬 댄스를 프로그램 개발 근거로 차용하였다. 개발한 통합 발레 프로그램의 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해 서울시 소재 치매안심센터에서 경도인지장애 노인 13명을 대상으로 주 2회, 50분, 16회기 실시하였다. 선정된 실험집단을 대상으로 프로그램 적용에 따른 인지적, 신체적, 정서적 영역에 변화가 있는지 살펴보기 위해 반복측정 분산분석과 대응 표본을 실시하였고, 타당화 검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통합 발레 프로그램에 참여한 경도인지장애 노인의 인지적 영역 중 언어기억 검사에서 단어목록기억과 단어목록재인 검사가 프로그램 중재 시기에 따라 유의미하게 개선되었고, 보스턴이름대기 검사는 프로그램 중재 후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개선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단어목록회상의 측정값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또한, 공간기억 검사인 TMT-A형 검사는 중재 시기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개선이 있었으며 동작기억 검사 또한 프로그램 중재 후 유의미한 변화를 보였다. 둘째, 통합 발레 프로그램에 참여한 경도인지장애 노인의 신체적 영역 중 TUG 검사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았으나 프로그램 후반에 갈수록 점진적으로 하락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BBS 검사는 프로그램 중재 시기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개선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셋째, 통합 발레 프로그램에 참여한 경도인지장애 노인의 정서적 영역 중 우울감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개선되었으나 자존감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변화가 없었다. 이상과 같이, 본 연구에서 제시한 경도인지장애 노인의 인지·신체·정서 개선을 위한 통합 발레 프로그램은 다양한 측면에서 실효적인 중재 프로그램으로서 가능성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경도인지장애 노인의 인지적, 신체적, 정서적 기능의 개선뿐만 아니라 치매 예방을 위한 대안적 치료 활동으로 발레 프로그램을 확장시킬 가능성이 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또한 본 연구에서 개발된 프로그램은 고령자의 실천적인 신체 활동으로 활용 가능하며, 추후 관련 연구를 지속적으로 실행한다면 고령자의 건강한 삶 영위에도 긍정적인 효과를 기대할 것으로 사료된다. The research aims to develop and validate an integrative ballet program to enhance the cognitive, physical, and emotional aspects of the elderly with a mild cognitive impairment. As dementia is known to be inhibited if the cognitive impairment is diagnosed early, a wide range of programs were developed and proposed for the elderly. Previously presented programs took advantage of non-drug treatments. Still, there exists a limit that they cannot treat  various symptoms together as they are specialized at a single aspect of the impairment. To enhance the dementia prevention effect, an integrative approach is significantly necessitated. This has become a motivation of this study. We developed ballet that encompasses physical, visual, linguistic, musical components to develop a program for the elderly with a mild cognitive impairment. The proposed integrative program is based on ‘Vaganova Historical Dance’, and the content is developed along with participants’ physical characteristics. ‘Vaganova Historical Dance’ is a course in the Russian Vaganova Method, and it has a close relationship with the origin of ballet. The Historical Dance originated from court ballet, and it helps the learner to easily understand the basic principles of movements and the origin of ballet. Considering the ages of the participants, we employed the Historical Dance as a basis of the program, including the basic classic ballet. To validate the program's effectiveness, it is applied to 13elderly patients with a mild cognitive impairment in Seoul Dementia Center. The program was conducted twice a week, 50 minutes per program and, 16 times in total. To scrutinize the difference in the physical, cognitive, and emotional aspects of the patient, Repeated Measures ANOVA and paired sample t-test were taken, and the result is presented below. First and foremost, in a cognitive aspect of the participants, significant improvements were identified in the Word List Memory and Word List Recognition test during the program, and statistically significant enhancement in the Boston Naming Test was also found after the program. However, there wer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changes seen in the Word List Recall test. Additionally, statistically significant enhancement during the program was found in a TMT-A test, which is a spatial memory test. A significant improvement in motion memory test was also found after the program. Second, a gradual decrease in a TUG test was identified in a physical aspect of the participants as the program progressed though it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For the BBS test, statistically significant enhancement was found during the program. Third, in an emotional aspect of the patient, there has been a significant enhancement in alleviating depression, but no significant change was found in self-esteem.  Through the described literature above, we figured out a possibility of  the integrative ballet program as an effective treatment to enhance patients' cognitive, physical, and emotional aspects with a mild cognitive impairment. The result suggests a further possibility of extending the ballet program as an alternative treatment program for the prevention of dementia. The program developed in this study also can be used as a practical bodily movement program for the elderly; thus, it can contribute to the overall healthy life for elderly people.

      • 조선후기 毛髮管理法에 관한 문헌적 고찰 : <閨閤叢書>를 중심으로

        박은향 東亞大學校 大學院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조선후기 여성 실학자 빙허각 이씨에 의해 저술된 여성백과대사전인 <규합총서>에는 모발관리법뿐 아니라 모발의 상태를 통해 여성의 貴賤, 吉凶 등의 女性相을 판단하는 내용이 기록되어 있다. 본 연구에서는 빙허각 이씨의 생애와 <閨閤叢書>에 대하여 알아보고, 이 책에 기록된 모발관리법을 중심으로, 사용된 재료를 발췌하여, 예로부터 전해져온 本草學 및 傳統醫書 등 관련 문헌을 통해 재료가 지닌 藥理的 效能 및 모발관리법, 모발상태에 따른 貴賤, 吉凶을 판단하던 관점과 의의를 고찰, 규명하였다. <규합총서>에 기록된 모발관리법의 기록을 18-19세기 빙허각 이씨가 생존하던 조선후기 사회상을 비롯해 모발관리를 위해 사용되던 재료적 효능과 모발관리가 필요한 시대적 요구 및 관점을 문헌을 통해 고찰해 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규합총서>를 저술한 빙허각 이씨 생애는 청의 문물을 많이 접하고 이를 조선사회와 실제적 삶에 적용 실천해나가려던 실학자, 고증학자들에 둘러쌓여 성장하였으므로, 그의 진보적 시각 역시 이 저술에 그대로 반영되어 있었다고 본다. <규합총서>는 저술목적과 의도가 당시 사회를 주도하고 있던 남성이 아닌 여성 독자를 염두에 둔 백과사전으로서, 고대부터 전해진 중국을 비롯한 동양문헌의 다양하고 전문적인 지식이 남성들의 전유물이었다면, 빙허각은 이를 당시 여성들도 전문지식을 쉽게 접할 수 있도록 한글로 기록하였다는 점에서 진보적인 시각이었다고 본다. 빙허각이 영향을 많이 받은 가학과 여자임에도 불구하고 당시에는 보기드물게 그의 총명을 살려준 가문의 사람들로 인해서, 당시 여성들의 주생활이었던 의식주와 관련된 실생활의 지식과 지혜가 학문적으로 정립되었으니, 본 연구의 주 분석대상이 되는 모발 관리법 역시 이의 결실이었다고 본다. 둘째, <규합총서>에 기록된 모발관리법에는 이용후생의 실학사상이 깊이 반영되어 있다고 본다. 모발관리법에 사용된 재료를 보면 주변에서 쉽게 구할 수 있어서 신분과 빈부차이 없이 누구나 쉽게 채취해서 응용할 수 있는 재료로 구성되어 있고, 빙허각의 실제적으로 임상체험을 거치고 검증된 방법을 소개하고 있다. 그뿐 아니라 모발관리법에 소개된 재료인 구기주를 비롯한 기타 모든 재료는 모두 고대부터 각종 의서에 기록된 藥理작용이 강한 재료로서, 주 효능을 보면 解毒․解熱․排毒․血液循環, 頭瘡, 惡瘡, 皮膚病, 부스럼 등에 탁월한 효과가 있고, 이를 바르거나 복용하기도 하였으니, 이상적 모발뿐 아니라 몸을 건강하게 만들어 주는 효능을 가지고 있었으니, 단순히 모발관리법을 뛰어 넘어서 의약학적 지식을 실생활 활용의 실학적으로 접근하고 있음을 볼 수 있었다. 셋째, <규합총서>에 기록된 모발관리법에는 조선후기 사회가 추구하던 북학사상이 깊이 반영되어 있다고 본다. 빙허각의 가문은 연행을 다녀온 자들이 많아 淸 文物에 일찍이 눈을 열고 있었고, 청에서 서적 수입도 많이 해서 조선후기 사회를 대표하는 장서가들이 많았는데, 북학을 적극 수용하던 정조는 조선의 기존 체는 지키되 북학을 용으로 적극 받아들이자는 관점을 가지고 있었으니, 정조의 스승이었던 시조부 서명응은 초대 규장각의 제학을 지내면서 조선후기 북학사상의 사회적 확산과 방향성에 절대적인 영향력을 키쳤고, 중국농서를 바탕으로 조선실정에 맞는 백과사전을 저술한 자로 유명하다. <규합총서>에서 모발관리법 부분을 보면, 소개된 재료와 방제법이 거의 대부분 관련 내용과 효능이 중국문헌과 일치하고 있고, <규합총서>란 서명도 중국서명을 본받아 지은 것이며, 당시 청에서 유행하던 고증학적 저술태도를 그대로 본받았음을 알 수 있다. 그러나 모발관리법의 재료를 사용하던 방제법을 보면 약간의 차이점을 볼 수 있는데, 빙허각의 저술배경과 태도를 보면 반드시 실제로 체험한 것을, 꼭 소개해야 할 내용만 선별하여 기록하였다고 볼 때, 이는 중국문헌을 참조하였지만 조선실정에 맞는 것만 선별하여 소개했다는 것을 볼 때, 북학을 체가 아닌 용으로 받아들이던 시조부 서명응의 저술태도와 같은 맥락을 보이고 있었다. 넷째, <규합총서>에 기록된 모발관리법과 모발상태에 관한 기록에는 조선 후기 사회가 가지고 있었던 여성에 대한 유교적 관점인 남존여비사상이 잘 반영되어 있었다. 조선후기는 유교가 강화되면서 사회제도 전체가 변화되자 여성생활에도 많은 변화가 있었으니, 제도적 측면에서 여성의 신분이 비하되었던 것은 물론, 결혼한 여성은 가문의 혈통을 잇는 아들 생산이 최고의 업무였다. 따라서 귀천길흉의 구분을 모발상태로 본다는 것은 단순히 관상학적 접근은 아닌 것이, <동의보감>등의 의서에는 인체 내부기관의 건강여부가 모발에 그대로 드러나서, 건강한 모발을 가진 여성이 아들을 잘 낳을 확률이 크다는 관점이 성립되므로, 건강하고 이상적인 모발을 갖기 위하여 동원된 모발관리법은 아름다움에 앞서 건강한 여성상으로 만들기 위함에 그 의의가 더 큰 비중을 두고 있었음을 알 수 있었다. 이상과 같이 <규합총서>에 기록된 모발관리법은 조선후기 사회가 직면하고 있었던 국내외 상황에 따른 정치적․경제적, 이에 따른 가치관의 변화와 깊은 연관성을 가지고 있었으며, 모발관리법이 보기에 아름다운 모발로 변화시키기 보다는 재료가 가진 약리적 작용을 이용해서 건강한 몸을 회복시켜 나가는데 더 큰 의의를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Most dominating the cosmetic market of this country are functional and hair cosmetics. The former goods are used to make the skin finer by giving whitening and wrinkle-free effects. While, the latter are used to make hairs healthier, darker, shinier and thicker by preventing hair loss and managing hairs and the scalp in a clinical way. Keeping pace with the trends of well-being, recently, traditional cosmetic methods and materials, which are safe and suitable for body characteristics of Korean people, are being actively researched and developed. Accordingly, cosmetic goods whose main ingredients are from herbs of Oriental medicine, natural, vegetable or fermented are being actually and actively developed. In this study, this researcher identified materials for hair-care which are described in <Gyuhapchongseo>, an encyclopedia for women written based on the practical science of the late Joseon period. Then the researcher examined pharmacological effects of the materials by reviewing some ancient botanical and medical books, which still remained, and investigated the hair -care method of the late Joseon period and how people of the same period judged others' present social position and fortune of the future in accordance with hair state. Presumedly, the method of hair Clinic used in the late Joseon period, or 18th and 19th century is closely related with social situations of that time. Findings from the researcher's investigation and analysis of the above mentioned method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Bingheogak Lee referred to lots of books published in Ch'ing in writing <Gyhapcheongseo>. For example, Cosmetic materials and the methods and effects of their use which are described in the encylopedia are same as those which are introduced by medicinal prescriptions contained in <Bonchogangmok>, Thus, it can be said that the hair clinic method of the late Joseon period was probably affected by that of the chinese nation. Fourth, Binheogak Lee wrote <Gyuhapcheongseo> in such way as in documental archeology, While drawing lots of contents from related literatures released in Joseon and Ch'ing, in other words, the author made tests to determine whether the contents were true before publishing them in the encylopedia. Second, the method of hair Clinic used in the late Joseon period was much influenced by one of the ideologies pursued based on the practical science of that time, or "yiyonghusaeng' which means the promotion of public welfare. <Gyujhapchongseo> was written in the Korean alphabet, or Hangeul, so it could make even women easily obtain their wanted knowledge. Materials for hair treatment introduced by the encylopedia were things which were easily found and obtained by even grassroots people of the late Joseon period. Those materials were all effective in improving the health of the scalp and the body, indicating that they were chosen according to pursuits by the practical science of that time, especially "yiyonghusaeng". Third, the fact that in the late Joseon period, women's present social position and fortune of the future were judged based on their hair state suggests that at that time, healthy women were seen as a better candidate of wife. In the late Joseon period, delivering a son who can carry on his family line was the top priority of women. At that time, women who were healthy enough to deliver lots of children, especially son were considered as the best candidate of wife. In the late Joseon period, thus, the use of women's hair state as a primary criteria for their social position and fortune was not a phrenological approach, but a move to determine whether women were healthy or not.

      • 외식메뉴 선택속성에 따른 전통주 페어링 메뉴개발 방향 조사

        박은향 숙명여자대학교 문화예술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외식메뉴 선택속성에 따른 외식 소비자들의 메뉴선택 유형을 파악하고 전통주와 어울리는 메뉴의 선호도를 조사하여 전통주 페어링 메뉴개발을 위한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수도권에 거주하고 전통주와 한식에 관심이 있는 관련 전공자 중 만 19세 이상의 알코올 섭취에 문제가 없는 신체 건강한 성인 남녀를 대상으로 총 470명에게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외식메뉴 선택속성에 대한 유형별 요인분석을 통해 유행성, 기능성, 사회성, 취향 충족의 4가지의 요인으로 나눈 후에 취향·사회성, 기능성, 유행성의 3가지의 군집으로 분류하였다. 전통주 페어링메뉴 인식현황에서 메뉴선택 시 중요사항을 분석한 결과, 기호도 부분에서는 맛(4.39%), 독창성 부분에서는 가심비(3.93%), 환경 부분에서는 위생(4.63%)을 가장 중요하게 인식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전통주 페어링 메뉴개발 시 조리법 선호도 순위 결과, 전(41.7%), 찌개나 탕(18.8%), 찜이나 볶음(13.5%) 순서로 조사되었다. 주재료는 육류(38.8%)가 가장 높았고, 어패류(19.0%), 두류(17.3%) 순으로 조사되었다. 양념은 전통장류(46.3%)를 이용한 양념이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매운 양념(20.3%), 싱거운 양념(20.2%) 순으로 조사되었다. 메뉴 활성화 방안에서 환경·서비스 부분은 위생상태(4.51), 홍보 부분은 지속적인 메뉴관리(4.26), 트랜드 반영 부분은 계절 메뉴(4.05) 적용을 가장 중요하게 인식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전통주 페어링 메뉴개발 방향 조사에서 외식메뉴 선택속성 중 기호와 독창성 부분에서는 메뉴의 맛, 식재료, 메뉴제공(시각효과) 및 가심비, 트랜드와 정통성은 취향·사회성 추구속성이 기능성, 유행성 추구속성보다 더 중요하게 인식하였다. 환경 부분에서는 매장의 접근성, 위생, 지역 등을 기능성 추구속성이 취향·사회성 추구속성 및 유행성 추구속성보다 더 중요하게 인식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전통주 페어링 메뉴개발 방향조사 중 메뉴 활성화 방안에서는 환경 및 서비스 부분은 식기사용, 친절 정도, 외국인 전용 메뉴 등이 취향·사회성 및 기능성 추구속성이 유행성 추구속성보다 더 중요하게 인식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트랜드 반영 부분은 SNS 홍보, 지속적인 메뉴관리, 메뉴 품평회 등의 홍보 부분과 1인 메뉴개발, 배달 메뉴개발, 계절 메뉴 적용은 취향·사회성 추구속성 및 기능성 추구속성이, 유행성 추구속성보다 더 중요하게 인식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전통주 페어링 메뉴개발 방향의 중요도와 실행도 조사(IPA)에서 중요도는 높으나 중요도에 비해 실행 도가 낮아 개선과 노력을 집중해야 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항목으로는 다양한 세트 메뉴, 칼로리가 적은 메뉴, 전통적인 주안상 메뉴, 속이 편안한 메뉴, 숙취 해소에 좋은 메뉴, 짜지 않은 메뉴에 대한 요구도가 높은 것으로 조사 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외식 소비자의 특성을 반영한 전통주 페어링에 대한 메뉴개발의 방향 제시의 필요성을 알 수 있었고, 전통주 전문점의 메뉴개발 및 마케팅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 된다. This study is purposed to identify a menu selection type of dining-out consumers according to dining-out menu selection attributes, and investigate preference for menus that go well with traditional liquor, in order to propose a direction of development for traditional liquor pairing menus. A survey was carried out on 470 people including healthy females and males of 19 years or older residing in the metropolitan area and having no problem in taking alcohol, and who are interested in Korean traditional liquor and Korean food. Through analysis of type-specific factors with respect to the selection attributes of the dining-out menu, the factors are classified into four including sensitivity to trends; functionality; sociality; and satisfaction to preference, and then into three including preference and sociality; functionality; and sensitivity to trends. With respect to the traditional liquor pairing menu recognition state, upon analyzing important matters when selecting menus, the taste (4.39) was recognized as most important in terms of level of flavor, the mental satisfaction in view of cost (3.93) in terms of the originality, and the hygiene (4.63) in terms of environment. With respect to level of preference for a cooking method in developing the traditional liquor pairing menu, the Korean pancake (41.7%) topped the list, followed by stew or casserole (18.8%), and steamed or fried dish (13.5%). As for the main ingredient, meat (38.8%) was the top followed by fish and shellfish (19.0%), and bean and tofu (17.3%). In terms of seasoning, seasoning using traditional paste (46.3%) was found to be preferred most, followed by spicy seasoning (20.3%) and mild seasoning (20.2%). With respect to a menu activation scheme, the sanitary state (4.51) in the environment/service section, continued menu management (4.26) in the PR section, and application of seasonal menus (4.05) in the trend section were found to be most important. With respect to the survey regarding the traditional liquor pairing menu development direction, in terms of preference and originality part among the dining-out menu selection attributes, it was found that in the taste of menu, ingredients, the menu provision (visual effects) and mental satisfaction in view of cost-effectiveness, trend, and authenticity, pursuit of preference and sociality was recognized more important than pursuit of functionality and sensitivity to trends. And in terms of environment, in accessibility to a restaurant, hygiene, and locality of a store, pursuit of functionality was recognized to be more important than pursuit of preference, sociality, and sensitivity to trends. With respect to the survey regarding traditional paring menu development direction, as to environment and service section associated with menu activation scheme, in use of tableware, degree of kindness, exclusive menu for foreigners, etc., pursuit of preference, sociality, and functionality was recognized more important than sensitivity to trends. With respect to the trend reflection, in SNS promotion, continuous menu management, menu tasting, etc., menu development for single person, delivery menu development, and seasonal menu application, pursuit of preference, sociality, and functionality was recognized to be more important than pursuit of sensitivity to trends. With respect to the importance performance analysis (IPA) of the traditional liquor pairing menu development direction, the items with high importance but with lower performance and thus require improvement and efforts are found to be various set menus, low-calorie menus, traditional side dishes, menus for settling stomach, menus to overcome hangover, and not salty menus. Through the present study, it is possible to come up with the necessity of developing a menu for traditional liquor pairing reflecting characteristics of dining-out consumers, and the present study can be used as a basic material for developing a menu and marketing of a shop exclusive for traditional liquor.

      • 미세다륜침(MTS)과 줄기세포 배양액을 이용한 관리가 중년여성의 눈가주름개선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박은향 건국대학교 산업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에서는 중년의 여성들이 피부에서 가장 관심을 많이 갖는 부분인 눈가 주름에 초점을 맞추고 주름 개선에 효과적인 방안으로 MTS와 줄기세포 배양액을 선정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화장품의 효율적인 흡수를 위해 물리적 자극 방법으로 이용되는 MTS를 사용하여 줄기세포 배양액과 수분 에센스를 각각 도포 하였을 경우 피부 노화에 따른 주름에 어떠한 변화가 있는지 분석하고 검증하고자 한 것이다. 연구의 진행을 위해 육안으로 보이는 눈가 주름이 있는 30대에서 60대 여성 11명을 선정하여 연구 목적과 방법을 안내하고 동의서 작성과 함께 일반적인 피부 관련 사항을 설문조사 하였다. 실험 대상자의 오른쪽 눈가를 실험군으로 왼쪽 눈가를 대조군으로 설정하여 실험을 진행하였다. 실험은 주 1회 간격으로 모두 4회를 실시 하였으며 실험군과 대조군 모두 클렌징을 5분간 실시하고 실험군에는 MTS를 3분간 적용한 후 줄기세포 배양액을 2 ml 도포하고, 대조군은 MTS를 3분간 적용한 후 수분 에센스 2 ml 도포하여 양쪽 모두 동일하게 진정 모델링 마스크를 20분간 적용하였다. 실험 대상자의 피부 상태를 실험 전(0주)과 실험 후(4주), 실험 종료 2주 후(6주)로 나누어 측정하였으며 이때 수분도, 유분도, 각질, 홍반, 멜라닌 수치를 측정하고 육안으로 확인이 가능한 카메라 촬영도 실시하여 주름이 개선된 차이를 살펴보았다. 측정 결과 실험군의 각질 수치는 1.14% 감소, 수분도는 4.64 A.U 증가, 유분도는 4.91 μg 증가, 멜라닌 수치는 29.19 A.U 감소, 홍반 수치는 47.27 A.U 감소하여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p<.05). 대조군의 각질 수치는 1.16% 감소, 수분도는 1.56 A.U 증가, 멜라닌 수치는 3.18 A.U 감소, 홍반은 11.64 A.U 감소하여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고(p>.05), 유분도에서만 2.91 μg 증가하여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p<.05). 본 연구를 통해 MTS를 이용하여 줄기세포 배양액을 적용했을 때가 MTS와 수분 에센스를 적용했을 때 보다 각질량, 수분도, 유분도, 멜라닌 수치, 홍반 수치 변화량에서 주름 개선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주관적인 만족도 조사에서도 MTS와 줄기세포 배양액을 이용한 관리에 만족하며 추후에도 관리를 받을 의향이 있는 것으로 조사 되어 MTS와 줄기세포 배양액을 이용한 관리가 주름개선을 위한 효율적인 피부 관리 프로그램으로 적용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 비상장 중소기업의 은행의존도와 이익의 질

        박은향 한양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국문요지 본 연구는 2000년부터 2009년까지 총 10개년간 우리나라 비상장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은행자금 의존도와 이익의 질의 관계를 검증하였다. 은행중심국가들을 대상으로 한 대부분의 연구들은 상장기업을 중심으로 연구해 왔고 기업-은행관계가 보수주의 또는 주가에 미치는 영향에 중점을 두고 있으며, 이익의 질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실증연구는 수행된 바 없다. 회계이익의 구성요소인 발생액은 회계거래로 인한 경제적 효익시기와 회계상의 인식시기를 일치시킴으로써 보고이익이 기업성과를 보다 적절하게 나타내도록 한다. 그러나 발생액에는 미래에 대한 경영자의 예측이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불확실성과 오류를 포함하여 오히려 이익을 왜곡하여 보고할 가능성이 존재한다. 이러한 관점에서 Dechow and Dichev(2002) 는 발생액 중 현금흐름으로 실현되지 못하는 발생액의 예측오차의 크기가 이익의 질을 결정한다고 주장하였다. Dechow and Dichev(2002) 모형에 의해 측정된 발생액의 예측오차를 이익의 질의 대용치로 보아 은행자금 의존도가 높은 기업일수록 발생액의 예측오차가 작아지는 검정하였다. 검정결과, 전반적으로 우리나라의 비상장 중소기업은 높은 이익의 질을 나타내고 있으며, 은행자금 의존도가 높을수록 이러한 이익의 질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상장기업을 중심으로 주가, 보수주의를 대상으로 한 기존의 연구들과는 달리, 은행중심국가인 우리나라에서도 은행의 이익의 질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본 연구의 공헌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자본시장중심경제를 대상으로 한 기존의 연구를 은행시장중심경제인 우리나라에 적용하여, 자금조달시스템 차이에 따라 은행의 역할이 이익의 질에 미치는 영향이 달라지는지를 검정하였다. 둘째, 비상장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기업-은행관계가 이익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검정함으로써, 비상장 중소기업에 관련해 보다 다양한 관점에서의 검정을 수행하였다.

      • Targeted sequencing analysis of pulmonary adenocarcinoma with multiple synchronous ground-glass/lepidic nodules

        박은향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박사

        RANK : 247631

        서론: 폐선암 및 그에 동반된 다발성 간유리음영/비늘모양 결절은 다발성 폐암 중에서 독립적인 질병군으로 간주되고 있다. 이들에 대해 차세대 염기서열 분석을 수행한 연구는 아직까지 매우 적으며, 또한 간유리음영/비늘모양 결절의 유전자 변이에 대해서는 더 연구가 필요한 실정이다. 방법: 이 연구는 폐선암에 동반하여 비전형 선종성 증식, 제자리 선암, 최소 침습성 선암을 가진 16명의 환자들을 대상으로 표적 염기서열 분석을 수행하였다. 염기서열 분석은 암 관련 유전자 154개를 포함한 맞춤 유전자 패널을 사용하였다. 결과: 같은 환자에서 동시성 병변들은 서로 다른 유전자 프로필을 가지고 있어 서로 독립적인 병변임이 확인되었으나 일부 병변에서는 부분적으로 공통 변이가 관찰되었다. EGFR 변이 선암을 보유한 환자 중 다섯 명의 환자에서 선암에 동반된 다발성 간유리음영/비늘모양 결절에서도 EGFR 변이가 발견되었다. 반면 EGFR 변이가 없는 선암을 가진 환자에서는 동반된 다발성 간유리음영/비늘모양 결절에서도 EGFR 변이가 관찰되지 않았다. 변이율의 병변 유형별 평균은 비전형 선종성 증식, 제자리 선암, 최소 침습성 선암 및 선암 에서 각각 4.2, 5.4, 4.0 및 5.4였다. 각 병변 유형별 그룹에서 보았을 때, 비전형 선종성 증식에서는 LRP1B, KRAS, EGFR 및 BRAF 등을 포함하는 여러 유전자들의 변이가 흔하게 관찰되었으며, 선암에서는 EGFR 변이가 특히 빈번하게 관찰되었다. 비전형 선종성 증식, 제자리 선암, 최소 침습성 선암 및 선암에서 평균 변형 대립 유전자 빈도는 각각 6.2%, 6.8%, 9.8% 및 15.5%였다. 변형 대립 유전자 빈도가 20% 이상인 변이들의 상당수가 드라이버 유전자의 변이였으며, 이들 중 80%가 선암에서 확인되었다. 한 선암 내에서 침습성 부분과 비침습성 부분을 비교했을 때 종양 내 유전적 이질성이 존재하였지만, 주요 드라이버 유전자의 변이는 균일한 양상을 보였다. 결론: 폐선암 및 그에 동반된 다발성 간유리음영/비늘모양 결절은 유전적으로 독립적인 종양으로 확인되었다. 선암에서 종양 내 유전적 이질성은 존재하나 드라이버 유전자의 변이는 균일한 분포를 보였다. 또한 침윤성 종양에서 드라이버 유전자 변이가 높은 변형 대립 유전자 빈도를 보이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와 같은 결과는 폐선암 및 다발성 간유리음영/비늘모양 결절에서 유전적 특성을 확인하는 것이 유효함을 시사한다. Background: Lung adenocarcinoma (ADC) and synchronous ground-glass/lepidic (GG/L) nodules are considered a distinct disease entity in multiple synchronous lung cancers. Few studies have performed next-generation sequencing (NGS) analysis on these synchronous sequential lesions, and genetic alterations of GG/L nodules must be further investigated. Methods: We performed targeted sequencing in ADC with synchronous atypical adenomatous hyperplasia (AAH), adenocarcinoma in situ (AIS), or minimally invasive adenocarcinoma (MIA) from 16 patients. NGS was performed using a customized panel including 154 cancer-associated genes. Results: Multiple synchronous lesions in the same patient showed different mutation profiles, and some shared identically mutated genes. In five patients harboring EGFR-mutant ADC, their synchronous GG/L nodules had EGFR mutation. In patients with EGFR-wild type ADC, none of the synchronous GG/L nodule had EGFR mutation. The average number of exonic mutations was 4.2, 5.4, 4.0, and 5.4 in AAH, AIS, MIA, and ADC, respectively. In each lesion type, various mutations including LRP1B, KRAS, EGFR, and BRAF were observed in AAH, and EGFR mutations were the most frequently observed in ADC. Average variant allele frequency (VAF) was 6.2%, 6.8%, 9.8%, and 15.5% in AAH, AIS, MIA, and ADC, respectively. 80% of mutations with variant allele frequency (VAF) ≥ 20%, including driver gene mutations, were identified in ADC. Intratumoral heterogeneity of the genetic profile was found between the lepidic and invasive areas of ADC, but driver gene mutations were similar. Conclusions: This study suggested that ADC and synchronous GG/L nodules are genetically independent tumors. Intratumoral genetic heterogeneity of ADC was present, but driver gene mutations were homogeneously distributed. Driver gene mutations with high VAF were identified in the invasive tumor. These findings support the relevance of molecular characterization of lung ADC and synchronous GG/L nodules.

      • 나운영의 부활절 칸타타 분석연구 : 한국적인 음악에 관한 15가지 제안을 중심으로

        박은향 대신대학교 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47631

        비판 없이 밀려오는 서구음악문화 속에서 작곡가 나운영은 한국적 음악특징을 가진 곡이 불려져야 한다고 주장하셨다. 1956년에 이미 선각자적인 안목으로 한국인의 정서를 고려한 [부활절 칸타타]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첫째, 리듬에 있어서는 장구의 리듬 활용, 당김음의 사용과 잦은 박자의 변화가 있다. 둘째, 선율에 있어서는 민속조의 선율, 유구음계 사용, 판소리풍 선율을 사용 하였다. 셋째, 우리나라 전통음악에서는 원래 화성체계가 없으나 4도 화성과 5도 화성을 사용하고 병행법과 투영법을 사용하였다. 따라서, 우리음악의 정체성을 찾는 당연한 과제를 실천한 나운영의 업적은 한국적인 교회음악의 새로운 방향을 제시하는데 충분하다. 열린 마음과 연구하는 자세를 가지고 한국적인 교회음악이 창작되어 연주되기를 기대한다 The Analysis of Easter Cantata by Na Un Young: In the focus of fifteen suggestions about the Korean style music Park, Un Hyang Department of Voice The Graduate School, Taeshin Christian University (Supervised by Professor Kim, Sung Bin) (Abstract) While flowing of the Western Music, Na Un Young insisted on the importance of Korean Music that has traditional characteristics. His Easter Cantata which has pioneer’s mind of Korean style music, composed in 1956 has several characteristics. First, the use of JangGoo’s rhythm, the use of syncopation, frequent change of meter makes the beauty and the quality of Korean music. Second, traditional Korean melody, Ryukyu scale, Pansori style melody makes the Korean traditional music more traditional. Third, the use of 4th and 5th open harmony and the use of parallel motion and mirror method emphasizes the traditional Korean style of music. It is enough to say that the works of Na Un Young provide the new way to compose Korean style-church music because of his enthusiastic mind finding the identity of Korean style music. I expect that the flourishing use of our traditional music in our church music.

      • 아이트래커를 활용한 발레 연구 가능성

        박은향 세종대학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발레 공연 감상 시 관객의 시선을 집중시키는 요소가 무엇인지 진단하고 이를 통해 발레를 발전시킬 방안을 모색하는 데 목적을 둔다. 발레는 시각예술로서 관객의 시선에 영향을 미치는 시각적 특징을 중요한 자료로 참고할 수 있다. 특히 최근에는 이러한 시각 정보를 데이터화 해주는 장치인 아이트래커(Eye-Tracker)가 크게 발달하여 다양한 분야에서 시각 연구를 전개하고 있으나, 상대적으로 발레와 관련된 연구는 이제 본격적인 시작 단계라고 할 수 있다. 시각에 대한 이 글의 연구는 시선 추적 장치인 아이트래커와 이를 이용한 아이트래킹(Eye-Tracking)을 중심으로 이루어진다. 그래서 우선적인 배경논의로 아이트래커의 개념과 발달 과정을 상세히 검토했다. 여기서는 그간 아이트래커가 적용되어 온 대표적인 사례를 최대한 충실히 살피는 가운데, 특히 아이트래커를 적극적으로 활용했던 외국의 연구 현황에 무게를 두고 탐색했다. 이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발레 분야에 아이트래커를 도입하여 활용할 가능성을 타진하였다. 시각예술로서 발레가 아이트래커를 가치 있게 활용할 수 있을 시각적 특징 혹은 요소로 이 글에서는 무용수, 음악, 무대장치, 의상의 네 가지를 제안한다. 첫째, 아이트래커는 관객이 무용수에 대해 갖는 이상적인 신체상, 무용수의 성별에 따른 관객의 인식 차이, 무용수의 감정 파악 여부 등을 추적하는 데 활용될 수 있다. 둘째, 아이트래커는 발레의 핵심 구성요소인 음악이 관객에게 주는 신체적인 효과를 추적하는 데 활용될 수 있다. 셋째, 아이트래커는 무대장치가 관객의 무용 감상에 미치는 영향을 추적하는 데 활용될 수 있다. 넷째, 아이트래커는 역사적 흐름에 따른 발레 의상의 변화가 관객의 무용 감상에 미치는 영향을 추적하는 데 활용될 수 있다. 아이트래커를 이용한 시선 추적은 신뢰할 만한 과학적 방법으로 인정되어 이미 다방면으로 적지 않은 역할을 하고 있다. 아직 아이트래킹 연구가 일천한 발레 분야에도 앞서 타진한 네 가지 가능성을 초석으로 삼을 수 있을 것이다. 이후 이 연구 기반으로 실제 실험 결과를 도출할 수 있다면 관객의 눈으로 보는 발레의 이미지를 보다 온전히 이해할 수 있게 될 것이며, 이는 궁극적으로 발레의 심미적 가치를 증진하는 데 적지 않은 기여를 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aims to find the factors which concentrate the audience’s eyes, and the ways to improve ballet with these factors. Visual features of ballet which affect the audience’s eyes are important sources to consider, as ballet is one of the visual art forms. A method to study the audience’s eyes is with the Eye-Tracker, a device which turns visual sources into numerical data. It has been recently developed and is leading to visual studies in diverse fields. But the research performance in the field of ballet has just begun. The study of vision in this thesis mainly focuses on the Eye-Tracker as an eye tracking device and its application. Thus, the definition and the history of the Eye-Tracker is needed first as a background discussion. The typical cases where the Eye-Tracker was applied were carefully examined. In particular, overseas reports which actively discussed the Eye-Tracker were considered. Based on the literature review, the possibilities of applying the Eye-Tracker in the field of ballet were proposed. It is suggested that four factors in which ballet as a visual art form can meaningfully apply the Eye-Tracker are the following: dancer, music, stage setting, and costume. (1) The Eye-Tracker can be used to track the audience’s ideal body image of dancers, the audience’s cognition affected by the dancer’s gender, and the audience’s understanding of the dancer’s emotions. (2) The Eye-Tracker can be used to track the audience’s and dancer’s reaction to various musical effects, one of the core components in ballet. (3) The Eye-Tracker can be used to track the effect of the stage setting on the audience. (4) The Eye-Tracker can be used to track the effect of the costumes on the audience. Eye tracking with the Eye-Tracker has been acknowledged as a trust-worthy scientific method, and plays a considerable role in a number of fields. Researchers of ballet may consider the above four factors as a foundation stone. Henceforward, if we can draw the same result as the suggested four factors, we may more fully understand the image of ballet in the eyes of the audience, and contribute to promote aesthetic values of ballet.

      • 취재경로 시스템 변화에 따른 보도행태연구 : 주요일간지 신문보도내용을 중심으로

        박은향 고려대학교 언론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기자실제도 도입 변화시기에 취재경로가 변화함에 따라 신문보도 내용이 어떻게 변화하였는지, 또 언론 유형별로 어떤 차이를 보였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주요 일간지를 보수언론과 진보언론사 각각 2개사를 선택하여 전체 분석기간인 제도 도입시기 전후 5개월간에 걸쳐 꾸준히 이슈화 되고 있었던 ‘사교육’이라는 키워드로 기사를 검색하였다. 검색된 기사는 컬럼이나 독자 기고글을 제외한 총 466건이 선정되었고, 6가지 분석유목을 선정한 후 내용분석 방법으로 결과를 도출하였다. 그리고 기자실 제도의 영향 유무는 2003년 기자실제도가 폐지된 시기의 변화율과2007년의 제도변화 시기의 변화율을 동시에 접근하여 차이점을 알아보았다. 연구결과, 예측한대로 총 6가지 유목의 19개 항목의 결과가 모두 같은 흐름의 변화양상을 보이지는 않았다. 전반적으로 변화를 확인할 수 있는 결과로는 2003년 제도 변화 이후 취재방식에서 공식 이벤트의 증가와 자체 취재보도가 감소했던 것이 2007년도에 두 항목 모두 증가하는 추이를 보였다. 정보원의 이용형태는 2003년 공식발표 인용과 출처명언급이 감소하였고 출처명부정확은 오히려 증가하였던 것이 2007년도에 출처명언급이 증가하였고 출처명부정확이 감소하였다. 또, 뉴스 구성형식에서는 2003년에만 단순사실이 감소, 심층해설 보도가 증가하는 추세를 보였다. 기사 작성시 인용된 정보원의 수가 1인 경우는 감소, 4인 이상인 경우가 증가하였는데, 뉴스 구성형식과 마찬가지로 2007년도에는 특징적으로 변화된 부분은 없었다. 2003년에는 제목과 본문의 논조에서 긍정이 감소하였고 부정이 증가하였다가, 2007년도에 긍정과 부정이 모두 감소하였고 중립이 증가하였다. 기사제목의 형식에서는 2003년에 단순사실이 감소하였고 단순가치 판단이 증가하였던 것이 2007년에는 거의 변화가 없었다. 유형별로 차이를 보였던 유목은 2003년의 뉴스구성형식에서 보수언론은 단순사실이 감소하였고 심층해설이 증가하였으나, 진보 언론은 단순사실이 증가하였고, 심층해설이 감소하는 등 반대양상을 보였다. 또한, 제목과 본문의 논조에서 진보언론이 거의 변화를 보이지 않은 반면 보수언론은 부정항목이 두드러지게 증가하였고, 2007년에는 부정항목의 변화율이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출입기자들이 여전히 관행을 유지하였으나, 처음에 제도도입에 대한 갑작스런 제도적 환경변화에 의한 혼란으로 내적으로 혹은 외적인 변화를 모색하였던 것이 확인되었으며, 이는 특정 항목의 불안정한 빈도 변화율로 나타났다. 추후 제도가 완전히 자리잡은 이후에는 뉴스의 본질인 사실성이나 객관성 등에서 안정세를 보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