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수직·수평적 구조를 가진 조형가구 연구

        박은총 건국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8639

        가구는 본래 인간이 생활함에 있어서 가구의 사용목적을 수행하는 것에 그 의미가 있다. 앉거나 일하고 또는 물건을 정리하는 등의 행위를 위하여 존재하는 것인데, 시대가 변하고 사회구조가 변화함에 따라 가구의 의미와 역할 또한 점차 변화하고 다양해지고 있다. 즉, 본래의 목적에 맞게 사용하는 것뿐만 아니라 공간을 꾸미거나 개인의 개성을 표현하는 도구로 사용하기도 하는 등 가구의 조형적인 측면이 주목받고 있는 것이다. 조형가구는 대량생산되는 상업가구와 달리 가구로써의 기능성뿐만 아니라 여러 가지 형태의 심미적인 조형성을 가지는데, 이것은 기능성과 조형성을 동시에 충족시키면서 궁극적으로는 제작자와 사용자사이에 원활한 소통을 가능하게 하는 역할을 하는 바, 본 연구에서는 그 중 수직·수평적 구조를 활용한 조형성과 그로 인해 생기는 공간과 기능을 소통의 주된 매개체로 설정하였다. 특히 두 개의 선, 혹은 면들이 수직·수평적 교차로 인해 나누어지고 가둬지는 공간의 느낌을 가구 속에서 표현하여 사용자와의 직접적인 소통을 의도하고자 한다. 평면, 혹은 입체적 구성에 있어서 선과 면의 수직·수평의 반복적 교차는 임의의 면을 형성하며 나아가 입체적인 공간을 구성하기도 한다. 이는 우리주변에 있는 각종 인공물에서 흔히 볼 수 있는 것으로 이들이 가진 수직·수평적 교차에 의한 변화는 공간을 형성하는 것뿐만 아니라 때로는 교차된 이미지에 의해 보여 지는 시각적 효과로 인해 의도치 않은 조형적 공간이 드러나기도 한다. 본 연구자는 이러한 수직·수평적 구조가 가지는 시각적 효과와 이로 인해 형성 되는 공간과 기능에 주목하여 사용자와 제작자가 원활하게 소통 할 수 있는 가구를 제작하고 그 가구 조형의 활용성과 기능성을 높이는 것에 연구의 목적을 둔다. 기본적으로 가구는 그 역할에 따라 공간을 구성하는 하나의 물체이지만 현대사회에서는 공간구성의 연속선상에 있으며 오히려 그 역할이 확장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즉 공간 구성의 요소이며 동시에 공간에 대한 다양한 해석이라 볼 수 있다. 이러한 공간에 대한 이해는 사용자의 기능적 욕구를 만족시킴과 동시에 사용자가 스스로 이러한 공간을 구성 할 수 있게끔 유도하기도 한다. 건축적 의미에서의 공간 구성 뿐만 아니라 가구로 인해 형성되는 또 다른 공간을 주목하는 것이며 결국 제작자의 의도에 사용자 임의의 의도가 더해지면서 제작자와 사용자와의 소통을 이루어지게 한다. Furniture is meaningful in the point that it is used for its purpose in human life. In other words, furniture exists for such actions as sitting, working, or arranging things. With the change in times and social structure, the meanings and roles of furniture also gradually change and vary. More specifically, not only is furniture used for its original purpose, but it is used as a tool to decorate a space or present an individual's personality. As such formative aspects of furniture draw attraction. Unlike commercially mass-produced furniture, formative furniture has various types of aesthetic formative characteristics as well as its functionality. By satisfying both functional and formative characteristics, it is ultimately possible to help a maker and a user to communicate smoothly. Therefore, this study set the formative characteristic using horizontal and vertical structure, space and function as the main media of communication. In particular, by presenting the feeling of a space divided and locked by the horizontal and vertical crossing of two lines or planes in furniture, it tries to intend to directly communicate with users. This study set the formative characteristic using horizontal and vertical structure, space and function as the main media of communication. In particular, by presenting the feeling of a space divided and locked by the horizontal and vertical crossing of two lines or planes in furniture, it tried to intend communication with users. Horizontally and vertically and repeatedly crossing lines and planes in order for a plane or cubic structure helps to create a certain plane or cubic space, which can frequently be found in various artifacts. The changes made by their horizontal and vertical crossing not only lead to spatial creation, but show an unintended formative space through the visual effect of the crossed image. This study tries to focus on the space and function created by the visual effect of horizontal and vertical structure, to create furniture to communicate smoothly between users and makers, and to study the formative furniture. Basically, furniture is an object for organizing a space. In today's society, it is in the line of continuity of spacial organization, and its role tends to be expanded. In other words, beyond the elements of spatial organization, there seem to be various analyses on a space. Understanding a space helps to meet users' functional needs and induce users to organize such a space on their own. It focuses on another space created by furniture, as well as spatial organization in terms of architectural meaning. On balance, when an artist's intention is added in a user's certain intention, communication between the artist and the user comes to be achieved. In order to present furniture for communication and its role, this study explained the understanding of formative furniture as an independent space and the formative characteristic of the vertical and horizontal structure, and described the image as the motif of artwork and its making technique. And then, it explained the formative characteristic and concept of ‘crossing image’ as the main expression means of research artworks, looked into artworks, and finally made expressions with ten artworks. This study designed and made the furniture differentiated from existing commercial furniture, which not only meets basic functions of furniture, but organizes a creative space made by vertical and horizontal crossing of lines and planes and tries to contribute to developing the formative characteristic of metal furniture.

      • 감염병 대응 아파트 단위세대 계획을 위한 시선추적 기반 거주자의 관심영역 및 선호도 분석

        박은총 충북대학교 2023 국내석사

        RANK : 248639

        COVID-19 팬데믹 기간에 공공 및 민간 건설사들은 감염병으로부터 안전한 아파트 단위세대 계획을 제시하였다. 그러나 대부분의 경우 거주자의 의견을 반영하지 않은 채 많은 계획안들이 막연하게 제시하였다. 거주자의 의견이나 경험, 요구를 근거로 하여 감염병에 대응하기 위한 아파트 단위세대 계획을 제시할 때 거주자 중심의 디자인이 제시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 조사는 매우 중요하다. 본 연구는 감염병 대응 공동주거 계획을 위해 팬데믹 기간 아파트 단위세대 거주자의 관심영역을 파악하고자 하였으며, 이를 위한 연구방법으로 시선추적기법(Eye-Tracking)을 활용하였다. 시선추적기법은 주관적인 성향이나 기억의 왜곡을 받을 수 있는 설문조사와 다르게 공간 사용자의 비의식적인 지각을 측정하여 정량적인 데이터를 수집하고, 정확한 그들의 인식을 도출할 수 있다는 장점을 지닌다. 이러한 배경에서 본 연구의 목적은 COVID-19 팬데믹 기간 아파트 단위세대 계획에서 고려해야 할 사항을 문헌연구를 통해 파악하고, 아파트 단위세대 주요 공간별 대표적인 형용사 키워드를 도출 후, 그에 따라 제작된 주요 공간 이미지를 활용하여 시선추적실험을 통해 아파트 단위세대 계획에 대한 거주자의 관심영역과 선호도를 파악하는 데 있다. 이러한 연구는 감염병 대응이 가능한 아파트 단위세대 계획을 위한 기초연구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감염병 대응 아파트 단위세대 계획을 위해 시선추적실험을 실시하여 ‘위생적인’ 현관, ‘다기능적인’ LDK, ‘가변적인’ 부부침실, ‘자연친화적인’ 발코니에 대한 거주자의 관심영역과 선호도 분석결과를 종합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위생적인 현관’의 경우, 시선추적실험 결과 관심영역은 건식세면대가 가장 높게 나타났고, 다음으로 세탁기, 건조기, 의류관리기 등이 함께 배치된 클린존과 소독용품 수납장 순으로 나타났다. 선호도는 클린존, 건식세면대, 통풍이 가능한 창문 순으로 높게 나타나 관심영역과 선호도의 차이를 보였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외부영역에서 단위세대 내부 공간으로 진입하는 첫 공간인 현관의 경우, 외부의 바이러스를 신속하게 차단하고자 하는 거주자들의 무의식적인 경험의 축적으로, 건식세면대와 클린존 등의 위생현관 계획요소에 대한 높은 관심이 나타났으나, 현관의 건식세면대 계획 시 관리에 대한 문제, 신발수납공간이 충분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 등 선호도 측면에서는 다른 결과를 보여, 이러한 내용을 종합적으로 고려한 계획이 필요함을 파악하였다. 둘째, ‘다기능적인’ LDK 측면에서 관심영역은 LDK와 연계된 발코니, 주방과 거실 사이의 다기능 공간, 공간 분리 및 통합이 용이한 슬라이딩 도어 계획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그러나 선호도는 슬라이딩 도어 계획, 발코니, 다기능 공간 순으로 높게 나타나, 관심영역과 선호도 결과 또한 차이점이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팬데믹 기간 LDK 공간은 외부와 연계된 발코니, 다기능 공간으로의 활용에 대한 거주자들의 잠재적인 관심과 요구를 알 수 있었고, LDK 공간을 다양한 공간으로 분리하여 사용할 수 있는 슬라이딩 도어 계획에 대한 높은 선호를 통해 LDK와 외부와의 연계, 다기능성을 고려한 공간계획 요소의 필요성을 알 수 있었다. 셋째, ‘가변적인’ 부부침실에 대한 관심영역은 부부침실 내 운동과 취미활동 영역을 구분하는 슬라이딩 도어 및 이동 가능한 파티션 계획, 홈오피스 계획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선호도는 부부침실 내 재택근무 영역에 대한 가변성 확보를 위한 슬라이딩 도어 계획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다음으로 운동 및 취미활동 영역을 구분하는 슬라이딩도어 및 이동가능한 파티션 계획 순으로 높은 선호를 보여, 이 또한 관심영역과는 차이를 보였으나, 슬라이딩 도어 계획에 대한 관심영역과 선호도는 상당히 높았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부부침실 계획 시 슬라이딩 도어로 수면, 휴식 이외의 다른 영역을 구분하는 계획이 필요하지만, 운동영역은 침실영역과 인접하지 않도록 욕실과 연계한 조닝이 필요하고, 홈오피스 계획은 드레스룸이나 부부침실 영역과 인접하지 않도록 계획하는 것이 필요함을 파악하였다. 넷째, ‘자연친화적인’ 발코니에 대한 관심영역은 홈 카페, 쾌적한 전망과 바람을 제공하는 발코니 계획 순으로 높게 나타났고, 선호도는 홈 카페, 전망과 바람을 제공하는 발코니 계획 순으로 파악되어 관심영역과 선호도가 일치함을 알 수 있었다. 이를 통해 팬데믹 기간 자가격리와 사회적 거리두기로 단위세대 내에 장기간 고립되어 지내면서, 외기와 접한 발코니에 홈 카페 계획의 필요성을 파악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된 결과를 기반으로 건설사의 특화상품개발을 위한 가이드 역할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되고, 시선추적이라는 과학적 방법을 통해 팬데믹 기간 거주자들의 무의식적인 경험을 도출하여 근거기반을 통한 아파트 단위세대 계획방향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 During the COVID-19 pandemic, public and private construction companies presented plans to keep apartment units safe from infectious diseases. However, in most cases, the plans were vaguely presented without reflecting residents’ opinions. User research is very important because resident-centered design considerations based on residents’ opinions, experiences, and demands can be suggested when an apartment unit household plan to combat infectious diseases is developed.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areas of interest of apartment unit household residents in co-housing plans to combat infectious diseases during the pandemic using eye-tracking, which has the advantage of collecting quantitative data by measuring the unconscious perception of space users, allowing their perceptions to be identified accurately, unlike surveys, which can have subjective tendencies or distortions of memory. Against this background,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considerations in apartment unit household planning during the COVID-19 pandemic through a literature review and to determine residents’ areas of interest and preferences for apartment unit plans through an eye-tracking experiment using the images of major spaces produced after representative adjective keywords were identified for each major space of apartment unit households. This study can thus serve as basic research data for an apartment unit household plan capable of responding to infectious diseases. The residents’ areas of interest and preferences for a “sanitary” entrance hall, “multifunctional” LDK(Living-Dining-Kitchen), “variable” master bedroom, and “nature-friendly” balcony were analyzed through an eye-tracking experiment for apartment unit household planning in response to infectious disease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may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n the case of a “sanitary entrance,” the eye-tracking experiment found interest to be the highest for a dry washbasin, followed by a clean zone with a washing machine, dryer, and clothes care machine, and a storage cabinet for disinfectants. The expressed preferences were highest for the clean zone, followed by the dry washbasin and ventilation windows. Accordingly, there were differences in areas of interest and preferences. Thus, in the case of the front door area, the first space upon entering the unit household interior space from the exterior, the unconscious experiences of residents who want to quickly block external viruses caused the high interest noted in sanitary entrance planning elements such as dry washbasins and clean zones. However, different results were observed in the expressed preferences, such as problems in planning a dry sink at the entrance and insufficient storage space for shoes. A plan that comprehensively considers these contents is necessary. Second, in terms of a “multifunctional” LDK, interest was the highest in a balcony connected to the LDK, followed by a multifunctional space between the kitchen and living room, and a sliding door plan that facilitates the separation and integration of space. However, the preference levels were in the order sliding door plan, balcony, and multifunctional space. The area of interest and preference results thus showed differences. We note the potential interest and demand of residents for the use of the LDK space as a balcony connected to the outside and as a multifunctional space during the pandemic. Moreover, the high preference for sliding door plans to split up the LDK space into various spaces indicates the need for space planning that gives consideration to a linkage between LDK and the outside and to multifunctionality. Third, the areas of interest for the “variable” master bedroom were highest for a sliding door and movable partition plan that separates exercise and hobby areas in the master bedroom, and a home office plan. Preference was the highest for the sliding door plan to ensure variability for the telecommuting area in the master bedroom, followed by a sliding door and movable partition plan to create separate areas for sports and hobbies. This was different from the results for the area of interest, but the area of interest and preference for the sliding door plan were both significantly high. These results indicate that a sliding door to separate off areas besides those for sleep and relaxation is needed when planning a master bedroom, but that an exercise area should connect with the bathroom without adjoining the bedroom area, while a home office should be planned so that it is not adjacent to the dressing room or the master bedroom area. Fourth, the areas of interest for the “nature-friendly” balcony were a home café, followed by a balcony providing pleasant views and a breeze, which was consistent with the expressed preferences for a home café and then a balcony plan that provides a view and a breeze. Thus, plans for a home café on a balcony in contact with outdoor air were identified as necessary during long-term isolation within a unit household due to self-isolation and social distancing in a pandemic. The study results will serve as a guideline for the development of specialized products for construction companies. This study has a significance in indicating desirable directions of apartment unit household planning based on evidence of the unconscious experiences of residents during the pandemic through eye tracking.

      • 배드민턴 동호인의 경쟁상태불안이 운동수행에 미치는 영향

        박은총 부산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8639

        배드민턴 동호인들은 저마다 시합에 대한 크고 작은 경쟁상태불안을 느끼고 있다. 따라서 배드민턴 동호인들이 느끼는 경쟁상태불안이 운동수행에 미치는 영향이 무엇인지 심층적으로 분석하고, 경기 시 경쟁상태불안에 대해 이해하고 최상의 운동수행을 하게 함으로써 배드민턴을 평생체육으로 즐겁게 참여하는 데 본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이 있다. 배드민턴 동호인의 경쟁상태불안이 운동수행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기 위해 실시한 본 연구의 대상은 부산광역시 배드민턴 생활체육협회 소속된 동호인 472명이다. 설문조사에서 한 줄로 응답하거나 지그재그 형태로 기입하고 불성실하게 응답한 10명을 제외한 462명을 최종 분석대상으로, 비확률적 표집방법의 하나인 유목적적표집 방법을 활용하였다. 경쟁상태불안의 하위 요인은 인지적불안, 신체적불안, 상태자신감이며 운동수행의 하위 변인은 심리적운동수행, 신체적운동수행으로 나누어 측정하였다. 경쟁상태불안의 측정도구로 Martens, Burton, Vealey, Bump, Smith(1990)가 개발하고 고광형(2013)이 사용한 경쟁상태불안 검사지(Competitive State Anxiety Inventory-2 : CSAI-2)를 3개 유형의 측정항목을 바탕으로 수정, 보완하여 사용하였으며 총 22문항으로 구성하였다. 운동수행에 대한 조사는 Loehr(1982)가 개발하고, 김지윤(2011), 고영웅(2014)이 사용한 설문지를 수정, 보완하여 사용하였고 총 10문항으로 구성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토대로 이 연구에서 설정한 가설을 검증하기 위하여 통계프로그램 SPSS version 24.0 Package를 이용하여 빈도분석, 탐색적 요인분석, 독립표본 T-검증, 일원배치분산분석(one-way ANOVA)을 실시하였으며 사후분석 방법으로 Scheffe와 다중회귀분석(multiple regression) 실시하였다. 이를 통해 얻어진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배드민턴 동호인의 성별에 따른 경쟁상태불안의 하위 요인 중 인지적불안의 경우 남자가 여자보다 높게 인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신체적불안의 경우 여자가 남자보다 더 높게 인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상태자심감은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배드민턴 동호인의 성별에 따른 운동수행의 하위 요인 중 심리적운동수행의 경우 남자가 여자보다 운동수행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신체적운동수행은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배드민턴 동호인의 연령에 따른 운동수행의 하위 요인 중 신체적운동수행의 경우 50대 이상이 20대보다 운동수행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심리적운동수행은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배드민턴 동호인의 경력에 따른 운동수행의 하위 요인 중 신체적운동수행의 경우 10년~15년의 경력을 가진 동호인들이 5년 이하의 경력을 가진 동호인보다 운동수행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심리적운동수행은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배드민턴 동호인의 참가종목에 따른 경쟁상태불안은 인지적불안의 경우 남자복식이 혼합복식보다 높게 나왔다. 반대로 신체적불안의 경우 혼합복식이 남자복식보다 높게 나왔다. 상태자신감은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배드민턴 동호인의 경쟁상태불안이 운동수행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분석하기 위해 다중회귀 분석을 실시한 결과 경쟁상태불안의 하위요소 3가지 모두 운동수행의 2가지 변인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곱째, 경쟁상태불안 요인 중 심리적운동수행에 영향을 주는 요소는 신체적불안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다음으로 인지적불안, 상태자신감 순으로 나타났다. 여덟째, 경쟁상태불안 요인 중 신체적운동수행에 영향을 주는 요소로는 신체적불안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다음으로 상태자신감, 인지적불안 순으로 나타났다. 각 지역마다 경기진행방식과 승급방식의 차이가 있기 때문에 전국의 배드민턴 동호인을 대상으로 한 연구도 이루어져야 할 것이며 실제 시합장에서 경기 전, 후에 실시된 설문조사를 기초로 한 연구도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 청소년의 자아개념이 일상적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기조절능력의 조절효과

        박은총 성균관대학교 2016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 연구에서는 청소년의 자아개념이 일상적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에서 청소년의 자기조절능력의 조절효과를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부정적인 자아개념을 지닌 청소년의 일상적 스트레스에 대한 중재와 문제예방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기여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청소년의 자아개념과 자기조절능력 및 일상적 스트레스는 성별과 학년에 따라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 2. 청소년의 자아개념과 자기조절능력 및 일상적 스트레스에는 어떠한 관계가 있는가? 3. 청소년의 자아개념과 자기조절능력 하위요인이 일상적 스트레스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4. 청소년의 성별 간 차이에 따라 자아개념이 일상적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기조절능력 하위요인의 조절효과는 어떠한가? 본 연구는 중학교 2, 3학년과 고등학교 1, 2학년 청소년 431부의 자료가 분석에 사용되었다. 청소년의 자아개념을 측정하기 위해 고진영(2004)이 Marsh(1990)의 SDQ-2(Self-Description Questionnaire-2)을 번역, 수정 및 타당화한 64문항으로 구성된 중·고등학생 자아개념 측정도구를 사용하였다. 청소년이 지각한 일상적 스트레스를 측정하기 위하여 한미현과 유안진(1995)이 제작한 일상적 스트레스 척도를 사용하였다. 청소년의 자기조절능력을 측정하기 위해 Kuhl과 Fuhrmann(1998)이 개발한 의지구성목록(Volitional Components Inventory ; VCI)을 사용해 영어판 VCI-short version을 번안, 수정한 윤영신(2007)의 자기조절능력 척도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의 분석을 위해 기술통계 분석, 상관분석, 단계적 중다회귀분석,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의 자아개념, 일상적 스트레스, 자기조절능력은 연령과 성별에 따른 차이를 나타냈다. 둘째, 자아개념, 청소년의 일상적 스트레스, 자기조절능력 간에는 모두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셋째, 자아개념과 자기조절능력은 성별에 따라 청소년의 일상적 스트레스에 다르게 영향을 미쳤다. 또한 성별에 따른 상대적 영향력이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청소년의 자기조절능력은 자아개념과 일상적 스트레스의 관계에서 여학생의 경우에 조절효과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 서울시 생활물류 출발지 및 도착지의 공간적 분포 특성과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박은총 한양대학교 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8639

        Abstract A Study of Spatial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and Influencing Factors of the Origin and Destination of Consumer Logistics in Seoul, Korea Park, Eunchong Dept. of Urban Planning The Graduate School Hanyang University The demand for delivery in cities continues to increase as online consumption and delivery become routine. More than 70% of the total logistic volume is concentrated in the metropolitan area, and the demand for logistics has increased more rapidly since COVID-19. Logistics facilities are becoming larger to handle the rapid increase in logistics, and logistics sprawl is occurring, with logistics moving to the outskirts of cities due to regulatory and cost issues. The location of logistics facilities on the outskirts of the city makes it hard to quickly respond to logistics demands within the city. Also, the distance and time are increasing, causing external effects such as traffic congestion, traffic safety, and carbon emissions. Micro fulfillment centers have emerged to manage increasing logistics. Small logistics centers are near consumers in the city and provide quick response. However, since there is no regulation regarding it, indiscriminate infiltration into residential area occured . However, in terms of urban planning, research on these customer logistics activities and customer logistics facilities are lack. Accordingly,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spatial characteristics of customer logistics in Seoul and analyze urban environmental factors and logistics facilities factors that affect customer logistics. In addition, we categorize the types of newly emerging micro fulfillment centers and understand their differences from existing logistics facilities. The analysis methodologies used in this study are as follows. To conduct an empirical study on customer logistics in Seoul, we will obtain data on customer logistics. We visualize it to examine its spatial characteristics. Next, we classify micro fulfilment centers, analyze their spatial distribution and location pattern, and compare with existing logistics facilities. Lastly, we analyze determining factor of customer logistics using socioeconomic factors, urban planning factors, accessibility factors and logistics facility factors. In this study, we used QGIS, ArcGIS, and Python to create variables and performed statistical analysis using GeoDa and STATA 17. The following are the results of the analysis. First, micro fulfillment centers are concentrated at the urban center and are located in residential areas. They have distinct characteristics from existing logistics facilities. People do not want logistics facilities to be located in residential areas, and there are regulations. However, we found that micro fulfillment centers were located in residential facilities. Urban planning regulations for micro fulfillment centers are necessary. Next, we found that main roads are not important for customer logistics activities. To manage the external effects caused by the increase in customer logistics, we require a transportation plan. Referring to previous research, urban logistics centers were divided into online platform type, sharing economy type, and dark store type. The online platform type starts with an application and has an offline store, while the sharing economy type expands delivery services to convenience stores and gas stations or shares space and uses it as a logistics center. The dark store type is a method of installing an additional logistics processing space separate from the place where goods are purchased in a large supermarket or using some of the space as a logistics center. To this end, we need to identify important roads in customer logistics and analyze their characteristics in future studies. Finally, the sharing economy type (convenience store and gas station) and dark store type of micro fulfillment centers were related to customer logistics activities. There are two options: expanding services or sharing space in facilities within existing cities. There appears to be a need to provide policy support for utilizing existing facilities instead of installing new ones. This study can provide implications for future urban logistics planning. Keywords: Customer Logistics, Logistics Facility, Micro Fulfillment Center, Location Characteristic, Logistic Volume 국문 요지 온라인 중심의 소비가 증가하고 택배가 일상화 되면서 도시에서 택배의 수요는 지속해서 증가하고 있다. 특히, 수도권은 전체 물동량의 70% 이상이 집중되어 있으며, COVID-19 이후 물류의 수요는 더욱 급격히 증가하였다. 급증하는 물류를 감당하기 위해 물류시설은 대형화되고 있으며, 규제와 비용적인 문제로 도시 외곽으로 밀려나는 물류스프롤 현상이 발생하고 있다. 물류시설이 도시 외곽이 위치하면서 도시 내 물류 수요를 신속하게 대처하기 어려울 뿐 아니라 이용거리와 시간이 증가하여 교통혼잡, 교통안전, 탄소배출 등의 외부효과를 발생시키고 있다. 한편, 기존의 물류시설로 감당이 되지 않는 물류를 처리하기 위해 도심형 물류센터가 등장하였다. 도심형 물류센터는 작은 규모로 도시 내부에서 소비자와 가까이에 위치하여 신속한 대응을 하고 있다. 그러나 물류 창고업으로 구분이 되지 않고 규제를 받지 않아, 주택으로 무분별하게 침투하는 문제 등이 발생하고 있다. 한편 도시계획 측면에서 이러한 생활물류 활동과 생활물류시설에 관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서울시의 생활물류의 공간적 특성을 분석하고, 생활물류에 영향을 미치는 도시환경요인과 물류시설요인을 분석하고자 한다. 또한, 새롭게 등장하는 도심형 물류센터의 유형을 구분하고 기존 물류시설과의 차이를 이해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분석방법은 다음과 같다. 먼저 서울시를 대상으로 생활물류에 관한 실증연구를 위해 서울시 생활물류 데이터를 구득하고 이를 시각화하여 공간적 특성을 살펴본다. 다음으로, 도심형 물류센터를 유형화하고 공간 분포 분석과 용도지역별 입지 패턴을 분석하여 기존 물류시설과 비교분석한다. 선행연구를 참고하여 도심형 물류센터를 온라인 플랫폼형, 공유경제형, 다크스토어형으로 구분하였다. 온라인 플랫폼형은 어플리케이션에서 시작되어 오프라인 매장을 갖는 형태이며, 공유경제형은 편의점과 주유소에 택배서비스를 확장하거나 공간을 공유하여 물류센터로 활용하는 방식이다. 다크스토어형은 대형마트에 물품을 구매하는 장소와 분리된 물류처리하는 공간을 추가 설치하거나 일부 공간을 물류센터로 활용하는 방식이다. 마지막으로 선행연구 고찰을 통해 선정한 사회경제적요인, 도시계획요인, 물류시설요인이 생활물류 출발지 물동량 백분율과 도착지 물동량 백분율에 미치는 영향을 공간통계모형을 활용하여 도출한다. 본 연구에서는 QGIS, ArcGIS, Python을 활용하여 변수를 구축하였으며, GeoDa, STATA 17을 활용하여 통계 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도심형 물류센터는 도심을 포함한 서울시 전역에 분포하고 있으며, 주로 주거지역에 위치하여 기존 물류시설과 다른 특성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존 물류시설은 혐오시설로 규제로 인해 주거시설에 입지할 수 없었지만, 도심형 물류센터는 주거지역에 주로 위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도심형 물류센터에 대한 도시계획적 규제가 필요함을 보여준다. 다음으로, 생활물류 활동에서 간선도로는 중요한 물류도가 아닌 것으로 나타났다. 생활물류가 증가로 인한 외부효과 발생을 제어할 수 있는 교통계획을 해야 한다. 이를 위해서 생활물류의 중요도로를 식별하고 특성을 분석하는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이는 비즈니스적으로도 배차계획 최적화를 위해서도 고려할 필요가 있다. 마지막으로, 도심형 물류센터의 공유경제형(편의점, 주유소)와 다크스토어형은 생활물류 활동과 연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두 가지 유형은 주로 기존의 도시내에 위치한 시설에 서비스를 확장하거나 공간을 공유하는 방식이다. 물류시설을 새로 설치하기 보다 기존 시설을 활용하는 방안을 정책적으로 지원할 필요가 있을 것으로 보인다. 또한, 기업에서도 도시 내 물류센터 공간 확보를 위해 유휴부지를 확보하는 방식이 향후에도 유리할 것으로 보인다. 본 연구는 향후 도시물류 계획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한다. 키워드: 생활물류, 물류시설, 도심형 물류센터, 입지특성, 물동량

      • Mst1 is a molecular brake for CD4+ T cell-mediated B cell activation

        박은총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8623

        The involvement of CD40L on activated CD4+ T cells is required for B cells to be fully activated and to undergo antibody production. However, as an uncontrolled level of B cell activation increases the susceptibility to autoimmune diseases by producing autoantibodies, CD40L should be tightly regulated at posttranslational level by endocytosis or ectodomain shedding. Mst1-deficient patients develop immunodeficiency characterized by reduced number of T cells, but they also show increased level of immunoglobulin and detectable amount of autoantibodies, which implies the excessive activation of B cells. Since the coexistence of immunodeficiency and hypergammaglobulinemia in Mst1-deficient patients is quite unusual and contradictory, how reduced number of T cells could induce increased production of antibodies from B cells was not fully understood. In this study, I investigated the role of Mst1 in CD4+ T cells in terms of regulating B cell activation in order to understand the atypical phenotype shown in the patients and to reveal the mechanism of how Mst1 is related with autoimmunity. I demonstrated that activated Mst1−/− CD4+ T cells, when compared with wild type (WT) CD4+ T cells, could induce B cell activation and proliferation in a greater extent while they presented fewer molecules of surface CD40L which activates B cells in a contact-dependent manner. The underlying mechanism in which Mst1−/− CD4+ T cells could overcome the shortage of surface CD40L was producing soluble factors in a greater quantity, especially IL-4, which help B cell activation. In addition, the up-regulated release of soluble CD40 from Mst1−/− CD4+ T cells is suspected as another mechanism of synergistic enhancement of B cell activation when it’s considered that Mst1−/− CD4+ T cells expressed as high amount of CD40L mRNA as WT CD4+ T cells did while they expressed reduced protein level of CD40L on the surface. Collectively, I suggest the increased production of IL-4 and soluble CD40L from CD4+ T cells in the absence of Mst1 as a cause of hypergammaglobulinemia and autoantibody production observed in the patients. Hence, the role of Mst1 in CD4+ T cells is likely to regulate T cell-mediated B cell activation by limiting the production of soluble factors engaged in B cell activation in order to prevent the spontaneous occurrence of autoimmun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