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비수계 유기 콜로이드 기반 반사형 전기영동 디스플레이 소자 제작

        박은선 세종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47

        고성능 디스플레이에 대한 소비자들의 니즈가 늘어나면서, 최근 광결정을 기반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광결정 디스플레이는 BLU(Back light unit)과 컬러필터 없이 광결정의 구조색으로 디스플레이를 구현하기 때문에 LCD(Liquid crystal display)와 LED(Light emitting diode) 디스플레이보다 주목받고 있으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또는 투명 디스플레이 같은 차세대 디스플레이로 응용 가능하다. 광결정 디스플레이는 저전력으로 광결정 구조의 체적이 변하여 Bragg 법칙에 의해 반사하는 파장이 변하는 성질을 이용한다. 따라서 야외나 형광등 아래에서 선명한 디스플레이를 볼 수 있고, 직접광이 아닌 간접광을 인식하므로 눈에 피로가 적은 장점이 있어, 전자종이(E-paper), 전광판 등에 사용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에멀젼 중합으로 표면에 전하를 갖는 유기 콜로이드를 합성하고, 이를 유체에 분산시켜 3차원 구조로 자기조립되는 광결정 소재로 사용한다. 광결정을 유체에 분산시켜 광결정 분산액을 제조하고, 이를 ITO glass로 구성된 디스플레이 셀에 주입하여 저전력으로 full-color를 구현하는 광결정 전기영동 디스플레이 소자를 제작했다. 수계의 높은 유전율(ε≈80)에 의해 발생하는 전기적 결함을 해결하고자, 저 유전율(ε≈2)을 갖는 비수계 분산매(IPG/HC)를 이용했고, 비수계 분산매에서 입자들이 뭉치지않고, 안정한 분산을 위해 계면활성제 Aerosol-OT(AOT)를 사용했다. 비수계에서 AOT는 역 마이셀을 형성하고, 역 마이셀 내부로 이온들이 출입하면서 일부는 전하를 띈다. AOT는 입자 표면에 흡착되어 입자의 표면 전하 세기를 높여주는 charge control agent(CCA)의 역할을 하며, AOT 이온에 의해 입자 표면에서 charge screening이 발생한다. AOT의 두 역할이 서로 경쟁하며 입자 표면에 전하 세기를 조절해 IPG/HC 내에서 입자의 분산 안정도를 결정한다. 비수계 분산매에 첨가된AOT의 농도는 용액의 유전율(ε)과 입자의 표면 전하 세기인 제타 포텐셜(ξ)에 영향을 주었고, 또 입자의 Bjjerum length (λB)와 Debye length(κ-1)에도 영향을 주었다. AOT농도가 다른 디스플레이 셀에 전압을 인가해 반사 파장을 측정했고, 이를 이용해 광결정 용액 내에서 입자들의 거동을 수식으로 파악했다. 광결정 전기영동 디스플레이 소자는 계면활성제인 AOT 영향 이외에도 콜로이드 입자크기, 입자 농도, 각도 의존성 등 다양한 요소가 미치는 영향에 대해 연구했으며, 투명디스플레이와 패턴 디스플레이같은 차세대 디스플레이로 광결정 전기영동 디스플레이의 응용 가능성 연구도 진행했다. With increasing needs for high quality and low power consuming display, reflective display based on photonic crystal has been actively studied. Reflective photonic crystal display operates without back light unit (BLU) and color filter, but by means of structural color of photonic crystal. So it has received larger attention than LCD(Liquid crystal display) or LED(Light emitting diode) display and can be applied to the next generation display like flexible display or transparent display. The photonic crystal follows Bragg’s law in which the increase in unit distance between particles makes reflective wavelength long(red shift) or the decrease in that distance shortens reflective wavelength (blue shift). The photonic crystal display utilizes such phenomenon by controlling particle distance via voltage bias. It can display bright color at outside or under any lights and can make bare eyes feel less fatigue because eyes receive indirect light as we read books. So, many photonic crystal displays have been developed to the E-paper, electronic board and etc.. In this study, we synthesized charged organic colloids by emulsion polymerization and engineered the particles to form the photonic crystal. Then, we fabricated full-color electrophoretic display device using the photonic crystal solution in which the colloidal particles are dispersed in solvent. To overcome the problems in aqueous solvent, non-aqueous medium having low dielectric constant(ε≈2) was used. The surfactant, Aerosol-OT(AOT), was also used to stabilize the particle dispersion free from the aggregation. AOT in non-aqueous solvent also functions as a charge control agent (CCA) that generates the charges on the particle surface through adsorption. Variation of AOT concentration in non-aqueous solution affects the zeta potential(ξ) of particle and also the changes in reflective wavelength, and we theoretically studied such effects. We checked many factors that influence on the operation of the photonic crystal display; particle size, particle concentration, angular dependence, response time and so on. Moreover, we utilized the photonic crystal display as a transparent display and a patterned display.

      • <국어의 로마자 표기법>의 국어교육적 활용 연구 : 고등학교 <문법> 영역을 중심으로

        박은선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aims to illuminate how Romanization of Korean language has been featured in national education specifically in high school from the Seventh National Curriculum through the revised one in 2015, and to suggest the teaching guidance in a practical manner. Romanization of Korean is an essential part of linguistic norms including Orthography of Korean Language, Standard Language Regulations and Orthography of Loanwords yet its importance has not been risen in prominence than the others. I suggested thus in the first chapter the scope of the research to current Romanization system revised on 2000 and is followed by its analysis of how it is applied in the curriculum. In the second chapter, I outlined the issues raised in the transcriptions in order of consonants, vowels, special punctuation marks, personal names and geographic features. Extended research is conducted as well on both formally and informally proclaimed revision of Romanization and on prior studies in transcription principles which includes Transliteration of Korean Alphabets and Transcription of Korean Pronunciation. Chapter 3 is where the study advances our understanding of revised Romanization that is implemented in the current Language Curriculum in high school based on the Seventh National Curriculum and the 2015 National Curriculum. As a result, I discovered that while our curriculum at school emphasizes the observance of 「Linguistic Rules」and 「Usage of Correct Words」, the gap between what is written in the textbooks and the real usage is far from being narrowed as it excluded some of the exceptions as Korean surnames for instance. Besides, as the detailed content of the 「Usage of Correct Words」 is limited to the technical transcription of Korean word to a roman letter which can be seen as a standardized scheme without taking account of proper characteristics of Romanization. What’s more, despite that the 2015 revised National Curriculum has shown the efforts and approaches to put better regulations proposing the adequate observance and creativity, Romanization was not addressed in a significant way in both curriculum and textbook and the latter was limited to introducing practices that are insufficient to grasp the system. Student workbook in overall though, contains various examples, that is to say, unlike the curriculum objectives, but then again, the in-depth study of Romanization has been scaled down in 2015 revised National Curriculum compared to the revision in 2007 which is left a lot to be desired. In the fourth chapter, based on the facts and assumptions studied as above, I propose alternatives that would correspond better to the real use. In this perspective, three exemplary practices are introduced; in practice(1) we will confirm the gap between the current curriculum and learner’s perception through the exercise of Romanization of family and given names; in practice(2), social and institutional constraints in making passport; in the last practice, how the Romanization of Korean language is carried out in real situations. Thus, above practices will provide a basis for the better understanding of Romanization of Korean language in practical use as well as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letter and its transcription is adaptable and adjustable within society. 본 연구는 7차 교육과정부터 2015 개정 교육과정에 이르기까지의 국어의 로마자 표기법이 고등학교 문법 영역 속에서 교육되어온 방향을 확인하고 이를 바탕으로 현 실적 언어생활에 초점을 맞춘 로마자 표기법 교육 내용을 제안하는데 저술의 목적이 있다. 국어의 로마자 표기법은 한글맞춤법, 표준어규정, 외래어 표기법과 함께 국어 기본법에 속한 어문 규범의 한 종류이나 규범 내에서의 위상이나 교육적 비중은 크지 않은 것이 현실이다. 1장에서는 이러한 연구의 목적과 배경을 바탕으로 연구의 범위 와 방법을 제시하였는데 범위는 현행 2000년 국어의 로마자 표기법을 대상으로 하며 이와 관련한 언어학적 논의들과 이를 교육적 제재로 반영한 교육과정 내용과 교과서 학습활동을 문헌 연구의 방식으로 분석하였다. 2장에서는 로마자 표기법을 둘러싼 언 어학적 세부 논점들을 자음 표기, 모음 표기, 특수 부호의 표기, 인·지명 표기의 순 으로 제시하였다. 이를 위해 로마자 표기법의 공식적, 비공식적 개정을 통시적으로 살폈으며, 로마자 표기법의 표기 원리인 전자법과 전사법뿐만 아니라 표기의 원리와 관련한 다양한 연구를 소개하였다. 3장은 본 연구의 본격 논의가 시작되는 부분이며 현행 2000년 로마자 표기법이 교육 내용으로 포함된 7차 교육과정부터 2015 개정 교 육과정에 이르는 고등학교 국어과 교육과정 속에서 국어의 로마자 표기법과 관련된 내용을 확인하였다. 그 결과 ‘어문 규범의 준수’와‘올바른 단어 사용’을 목표로 교육과정이 기술되어 있었으나 학습자의 현실 언어생활과 직결된 성씨의 표기와 같은 예외적 방식의 표기를 인정하는 경우 규범과 현실 사용의 차이를 고려하지 않은 교육 목표를 문제점으로 지적하였다. 또한 올바른 단어 표기의 하위 내용으로 제시되어 단 어 수준에서의 표기 변환에 머물고 있음을 확인하였는데 이와 같은 목표들은 자칫 국 어의 로마자 표기법이 갖는 고유한 특성을 고려하지 않은 획일적인 목표 설정으로 비 춰질 수 있어 문제로 지적하였다. 다만 2015 개정 교육과정의 성취기준에 따른 해설 에서는 규범 준수의 적절성과 창의성을 내세우며 종전의 교육 내용의 목표와는 변화 된 방향을 보여주었음에도 국어의 로마자 표기법이 교유과정 상에 직접적으로 명시되 지 않았고 이를 구현한 교과서에서는 단편적인 규정의 적용에 그치고 있어 내용적으 로 축소된 모습을 보이고 있음을 아쉬움으로 지적하였다. 전반적으로 교과서 학습활 동의 경우 교육과정 상의 목표와 다르게 규범에 관한 다양한 문제들을 학습활동으로 구성하고 있었으나 국어의 로마자 표기법에 관한 깊이 있는 내용적 목표를 제시한 2007 개정 교육과정은 교과서화 되지 못하였으며 2015 개정 교육과정에 이르러 학습 활동 내용이 대폭 축소된 점은 아쉬움으로 지적하였다. 4장에서는 이와 같은 교육적 현실을 바탕으로 규범과 현실 언어 생활과의 차이점을 인식하고 그것의 원인과 대안 을 찾는 새로운 교육 내용을 제안하였다. 국어의 로마자 표기법을 인식하는 활동과 더불어 실생활에서의 문제점을 인식하고 나아갈 방향을 모색하는 목표 아래 활동(1) 에서는 성씨와 이름 표기를 통해 현행 규범과 학습자의 표기상의 차이를 인식하게 하 고, 활동(2)에서는 여권 만들기 상황을 제시하여 규범적 표기를 가로막는 사회적, 제 도적 문제들을 깨닫고 개선 방안을 모색하게 하였으며, 활동(3)에서는 국어의 로마자 표기법이 실제 현실에서 다양하게 사용되고 있는 양상을 제시함으로서 규범의 여러 방향을 모색하였다. 이러한 학습활동은 학습자의 언어 현실 속에서의 국어의 로마자 표기법을 인식하고 더 나아가 학습자로 하여금 문자와 표기와의 관계는 그것이 속한 사회 속에서 얼마든지 변화 가능한 유기체적 존재라는 것을 깨닫는데 그 목표가 있 다.

      • 일상적 공간을 바탕으로한 체험 공간 표현

        박은선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47631

        우리는 항상 공간 속에 존재하며, 그러한 환경이나 공간에 의해 다른 사람과의 관계 속에서 중요한 부분을 공유한다. 각 공간들은 그 나름대로의 의미를 가지고 있지만 사람들의 선험적 경험에 의해 다른 해석을 하게 된다. 본 연구는 각 사물이 그것을 보는 사람의 관점에 의해 주관적으로 의미가 부여된다는 것을 전제로 하였으며, 우리의 일상적인 공간이 갖고 있는 다양한 의미를 함축한 절제된 공간을 연출함으로 인해 일상적으로 살고 있는 공간을 각자의 의식과 결합하여 주체적으로 해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일상적인 공간을 단순화시켜서 직접 체험을 하게 함으로서, 일상적인 공간에서 느꼈던 것을 직접 체험함으로 인해 그 공간을 인식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론적 배경에서는 인간이 살아가면서 체험하고 있는 공간에 대한 지각 방식이나 환경에 대한 인식 체계에 대해 알아보았고, 체험을 바탕으로 공간의 요소를 들여온 작가들의 작품에 대해 알아보았다. 표현내용은 우리를 둘러싸고 있는 일상적 공간들에 의미를 부여하고 그 공간 사이에 심리적으로 느껴지는 개인적인 공간을 시각적으로 표현하였다. 개인적인 공간은 사람들과의 관계에서 발생하는 자신만의 사적인 공간으로 심리적으로 우리를 둘러싸고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외부와 소통은 하고 있지만, 투명한 막과 같은 것으로 구분되어 있다. 일상적 공간을 미술작품으로 표현하여 사람들로 하여금 그들이 일상에서 느끼지 못하는 것들을 작품을 통해 인식하고 다시 일상으로 돌아가서 그것들을 재인식하게 하는 것이다. 작품을 통과하면서 자신이 가지고 있는 선험적인 경험과 실존적 경험을 통해 공간을 재인식하게 되는 것이다. 작품 표현에 있어서 일상적 공간의 요소들을 단순화 시켜서 기하학적 형태로 표현하여 경험을 통해 얻어질 수 있는 다양한 의미의 가능성을 추구하였다. 이런 일상적인 공간을 표현함에 있어 통로, 기둥, 바닥과 같은 것을 만들어서 관객들이 직접 체험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함으로서 그들이 우리를 둘러싼 공간들을 재인식하도록 표현하였다. 단일한 형태는 그것들의 배치를 통해 전체와의 관계를 유지하고 조화를 이루고 분위기를 만들어 나가는 것이다. 작품은 동일한 크기를 가지고 있는 사물들을 모아 이를 배열함으로서 사물들이 합쳐지는 순간에 의미가 나타나는 것이다. 파라핀으로 만들어진 개체들은 내부의 비워짐을 통해 적절한 투명성을 유지하도록 하였으며, 표면을 매끄럽게 하여서 투명함과 반짝임을 표현하였다. 이런 파라핀의 반투명성으로 인해 다양한 심상을 느낄 수 있다. 파라핀으로 떠진 형태는 블록의 크기나 같은 형태를 반복 한 것들을 쌓아가면서 공간을 만들어 나갔다. 또한 건축 요소인 통로, 기둥, 바닥, 계단 등을 연상시킬 수 있는 구조를 구성해 줌으로서 우리가 일상적으로 생활하는 공간을 새롭게 바라볼 수 있게 하였다. 기본적으로 이런 요소들이 가지고 있는 성격은 단순하다. 하지만 시각적으로 보여지는 것 말고 심리적으로 느껴지는 것은 다양하며 그것은 작품을 직접적으로 체험하면서 느낄 수 있다. 본 작품은 일상적인 공간이 제시됨으로 인해 그동안 인식하지 않았던 공간에 대해 의미를 부여하고 사람들은 그 공간을 새롭게 인식하는 계기를 마련하였다. 심리적으로 우리를 둘러싸고 있는 개인적인 공간을 시각화하여 다른 사람과의 관계에서 자신이 가지고 있는 사적인 공간에 대해 인식하도록 하였다. 사람들은 자신이 들어가기 좁은 공간이라고 느끼게 되면 몸을 움츠리게 되고 그런 상태에서 들어가게 되면 불안한 심리를 가지게 되며 빠르게 통과하려고 한다. 이런 심리적인 상황을 만들어주어 그곳에 들어가는 사람들이 다양한 심상을 하도록 하였다. Human beings have always been existing within the space and it has been a very important part of our lives. Each space has its meaning of its own but people interpret it by their transcendental cognition and thus each person has different interpretations on the space. This study is conducted on the assumption that each object is differently interpreted by each people with different views. This study aims to give a new recognition of the space in our daily lives by presenting the new space which implies various meaning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meaningful space through simplification and reconstruction of the constructive or functional space or by giving a new meaning to the space. People can experience the space that is different from what they have encountered in their general lives and that will help people to recognize the new meaning of the space. Theoretically, this study analyzes the meaning of the space that we live in and experience. This study also deals with interpretation of space and artworks by artists with phenomenological experiences of the space and artworks of those artists who designed both the artwork and people to exist within the same space. The content of the work is to give a meaning to the architectural space surrounding us in our daily lives and preset it as a artwork. This will help people to have new viewpoints about the space and when they return to their daily lives they will be able to recognize those meanings. By passing through the artwork, people may perceive the space in a different way by transcendental and existential experience which they might have. In the representation of the work the space we see daily as an architectural structure is simplified into geometric form. Possibility of various meaning that can be gained by experience of the structure is expected. For expressing these daily spaces, casted object in identical geometric form(like a brick) is built into passage, pillar, floor. And the people go through these structure, they experience the space personally and the space of our daily life surrounded is recognize. These solid forms do not make itself one object but in the placement of these forms the relation with the whole is maintained and the harmony is made. The part is a unit of the whole and the extention is the continuation of the part. The meaning of the work appears when the similar sized objects are gathered and reconstructed. The individual form made with paraffin, the inside is emptied and the surface is made to be sleek so that the transparency and shining texture is expressed. The properties of matter of paraffin has the translucency so it gives the mystique atmosphere. In addition, through organizing a structure that reminds of architectural elements such as pathway, pillar, floor and stairs, the work intended to provide people with fresh pair of eyes to view the space in our daily lives with a different angle. Basically, characteristics of these elements are simple. However, excluding visual aspects, people have different thoughts about the space in terms of psychological aspects. These psychological aspects can be obtained by personally experiencing the space and the work. The work borrowed different forms from the space in our daily lives so as not to let people feel unfamiliar with the work. By turning daily space into artistic space, people can have an opportunity to recognize the space in a different manner and give meaning to the space. Experience within the genre of art offers a chance to contemplate the space and enables people to connect realistic and physical space to a space where you can speculate. In other words, independent objects and forms which share general similarities imply meanings of both art and ordinary lives, thus, providing an opportunity for an artwork to communicate with daily lives and experiences through the artwork to be continued in ordinary days of our lives.

      • 앤더슨의 미술비평이론을 적용한 중학교 미술감상 교육연구 : 르네 마그리트의 작품 감상을 중심으로

        박은선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A rapidly changing society requires a flexible and diverse view of the world and an understanding of new values. It is necessary to have an education that can enhance expansive thinking by thinking about various answers, rather than an education that answers fixed answers. For this, in art appreciation education, efforts are required to interpret art works in various contexts, rather than a fixed work-oriented interpretation, and furthermore, active efforts are required to approach and interpret works from the learner's own perspective. In this study, the learner himself becomes the subject and has a new level of perspective and an understanding of art works of art. In addition, I would like to present a teaching-learning method applicable to the educational field, taking advantage of the purpose of the free semester system, and the aim is to conduct actual classes to analyze art appreciation classes and ultimately to lead students to expand their new thinking. The followings are the contents covered in this study. The introduction presented the necessity and purpose of research and covered the content and methods of the study and then discussed the scope and limitations of the study. The theoretical background looked at the main content of the 2015 revised curriculum after considering the concept of art appreciation, and the necessity and educational significance of middle school art appreciation were presented. Based on the educational value of art appreciation, this study proposes an art appreciation class plan that applies Anderson’s ‘educational art criticism.’ Appreciation consists of a learner-centered rather than a work-oriented one. The first step is free to talk about the first feeling. The next critical processes continue the process of concluding a work with reasonable grounds. This exploratory process will allow self-growth by cultivating self-directed competence in the structure of presenting and solving problems on its own, away from learning to get the fixed answers. In addition, an appreciation class that applies Anderson’s theory helps learners enjoy art in life and understand visual culture by encouraging them to understand visual creature. An aesthetic sensibility can be nurtured by understanding about learning of the principles of sculpture in the situation surrounding the artwork and speculating and studying the artist's intentions, The thesis of the art appreciation lesson plan is set as the work of a surrealist painter, René Magritte. René Magritte is a surrealist painter who gives a fresh shock by using the ‘depaysement ’technique to make familiar objects look unfamiliar in everyday life. The artworks of Magritte inspire the learner's imagination by asking questions and inquiries about everyday things. The learner answers the questions that the work throws and gets out of the ordinary thinking and new and varied answers will lead them to varied thinking. Based on this, the study designed a teaching-learning lesson plan for art appreciation. A total of six classes were planned according to the process of 'response-technique-interpretation-evaluation' of the Anderson’s educational art criticism. At this time, The learners will participate in art appreciation voluntarily and proactively, share their opinions with their fellow peers, interpret the artwork, and get his own conclusions. The evaluation of this class consists of a process-oriented evaluation using artpropel. The assessment also includes writings and sketchbooks in which students write their thoughts in the course of thinking and uses the activity paper used in the class as the main evaluation tool. In this study, the lesson plan for art appreciation was actually applied and results of the class were analyzed. In conclusion, Anderson's educational art criticism gave middle school learners the opportunity to think from various perspectives. The process of giving one’s own answers to the work of Magritte and talking with friends is useful in that it has transformed the learning method in which the learner answers the fixed answers, leading to varied and free thinking. Also the process by which learners set up their own responses to the work and examine its validity is meaningful in that it has led to the cultivation of the learners' self-directed competence.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The lesson plan of this study was based on the purpose of the free-semester system in middle school, and was designed to provide classes using creative experience activities, club activities, and self-regulated activities. However, there is a limit to verifying the effectiveness of school education based on the purpose of the free-semester system, as classes were not conducted at the actual school site but were conducted at private institution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follow up on the verification process of the effectiveness of the art appreciation education method within school education, taking advantage of the purpose of the free-semester system. In the field of future art education, it is hoped that programs for learner-centered art appreciation classes will be used in various ways to provide meaningful learning experiences to learners. 급변하는 사회는 세상을 바라보는 유연하고 다양한 관점과 새로운 가치들에 대한 이해를 요구한다. 이에 정해진 정답을 맞히는 교육이 아니라 다양한 답에 대한 생각을 통해 확장적 사고를 고양시킬 수 있는 교육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미술 감상교육에서도 고정적인 작품중심 해석이 아닌 다양한 맥락에서 미술작품을 해석하고, 더 나아가 학습자 본인의 시각으로 작품에 접근하여 작품을 해석하는 적극적인 노력이 요구되고 있다. 본 연구는 학습자 스스로가 주체가 되어 새로운 차원의 시각을 가지고 미술작품에 대해 이해하도록 한다. 또한 자유학기제의 취지를 살려 교육 현장에서 적용 가능한 교수-학습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며, 실제 수업을 진행하여 미술감상 수업을 분석하고 궁극적으로는 학생들의 새로운 사고의 확장을 이끌어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에서 다룬 내용은 다음과 같다. 서론에서는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을 제시하고 연구의 내용과 방법에 대해 다룬 후 연구의 범위와 제한점에 대해 다루었다. 이론적 배경에서는 미술감상의 개념에 대해 고찰한 후 2015 개정 교육과정의 주요내용에 대해 알아보고 중학교 미술감상의 필요성과 교육적 의의에 대해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미술감상의 교육적 가치를 바탕으로 앤더슨의 ‘교육적 미술비평’을 적용한 감상수업방안을 제안한다. 앤더슨의 교육적 미술비평은 감상자의 역할을 중요시하며, 회귀적 구조를 띄고 있어 자기주도적 역량을 키우는데 도움이 된다. 감상은 작품중심이 아닌 학습자중심으로 감상이 이루어진다. 첫 단계에서는 자유롭게 첫 느낌에 대해 이야기한다. 다음 비평의 과정들에서는 타당한 근거를 제시하여 작품의 결론을 내리는 과정을 이어나간다. 이러한 탐구과정은 정해진 답을 맞히는 학습에서 벗어나 스스로 문제를 제시하고 해결하는 구조에서 자기주도적 학습역량을 함양하며 스스로를 성장하도록 할 것이다. 또한 앤더슨의 이론을 적용한 감상수업은 학습자들이 시각적인 산물에 대한 이해를 고취시킴으로써 삶에서 미술을 향유하고 시각문화를 이해하는데 도움을 준다. ‘기술’단계에서의 조형원리에 대한 학습과 미술작품을 둘러싼 상황에 대해 이해하고 작가의 의도를 추측하고 공부함으로써 미적감수성을 기를 수 있는 것이다. 본 미술감상 수업안의 제재는 초현실주의 작가 르네 마그리트의 작품으로 설정하였다. 르네 마그리트는 초현실주의 작가로 ‘데페이즈망’기법을 활용하여 일상속에서 익숙한 오브제들을 낯설게 보이게 함으로써 신선한 충격을 준다. 마그리트의 미술작품은 학습자가 일상적인 것들에 대해 의문과 물음을 던지며 학습자들에서 상상력을 고취시켜 준다. 학습자는 작품이 던지는 물음들에 답하며 일상적인 사고에서 벗어나 새롭고 다양한 답을 내리도록 하여 학습자를 다채로운 사고로 이끌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이를 바탕으로 미술감상 교수-학습지도안을 설계하였다. 앤더슨의 교육적 미술비평의 ‘반응-기술-해석-평가’의 과정에 따라 총 6차시의 수업을 계획하였다. 이때 학습자는 자발적이고 주도적으로 미술감상에 참여하며, 동료 친구들과 본인의 의견을 나누며 미술작품을 해석하며 본인만의 결론을 얻게 된다. 본 수업의 평가는 포트폴리오를 활용한 과정중심평가로 구성된다. 학생들이 사고과정에서 본인의 생각을 적인 글, 스케치북 등도 평가사항에 포함되며, 수업에서 사용되는 활동지를 주 평가도구로 사용한다. 본 연구에서는 설계한 미술감상 수업지도안을 실제 수업에 적용하여 도출된 수업결과를 분석하였다. 결론적으로 앤더슨의 교육적 미술비평은 중학교 학습자들이 다양한 관점에서 사고하는 기회를 주었다. 마그리트 작품에 본인만의 답을 내려보고 친구들과 이야기 하는 과정은 학습자가 정해진 답을 맞히는 학습방식을 전환하였다. 이는 활동지에 학습자 본인의 다양한 의견과 함께 타당한 근거를 제시한 것으로 나타나며, 학습자의 다채롭고 자유로운 사고로 이끌었다는 효용성을 확인 할 수 있었다. 그리고 작품에 대해 학습자가 스스로 반응을 설정하고 그에 대한 타당성을 검토하는 과정 또한 활동지에 나타나 학습자가 학습자의 자기주도적 역량의 함양으로 이끌었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었다. 본 연구의 한계점은 다음과 같다. 본 연구의 수업지도안은 중학교의 자유학년제의 취지를 바탕으로 창의적 체험활동, 동아리 활동, 자율활동 시간을 활용하여 수업을 진행하도록 계획하였다. 그러나 실제 학교현장에서 수업이 이루어지지 못하고 사설교육기관에서 수업을 시행하였기 때문에 자유학기제의 취지를 바탕으로 학교교육 안에서의 효용성을 검증하기에는 한계점이 있었다. 따라서 자유학기제의 취지를 살려 학교교육 내에서 미술감상 교육방안의 효용성에 대한 검증과정에 대한 후속연구가 필요하다. 앞으로 미술교육의 현장에서 학습자를 중심으로 한 미술 감상 수업을 위한 프로그램들이 다양하게 활용되어 학습자에게 유의미한 학습경험을 제공하기를 바란다.

      • 식용곤충에 대한 소비자 인식과 영양성분 및 항산화능 평가

        박은선 공주대학교 일반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Globally, edible insects are forecasted to be a major potential food source, and considered to be environmentally sustainable, rich in minerals and vitamins as well as protein, and thus highly nutritious. In order to develop and disseminate edible insects and their products, it is necessary to evaluate the nutrition and functionality of edible insects as well as consumer’s awareness of them. Therefore this study was designed to provide basic data necessary for the production and consumption of related products and for the recognition and availability of food insects through the assessment of consumers’ perception of edible insects, their nutritional composition and antioxidant activity. Those who've ever heard of edible insects accounted for 87.0%, while those who knew more than average were 75.8%, suggesting the awareness was relatively high. Men had more experience than women in purchasing or consuming edible insects and related products(45.9% vs. 31.0%) and in terms of age, the experience was 22.5% in 20-30s, 44.6% in 40-50s, and 63.1% in 60s and older, showing it significantly grows as the age increases. The satisfaction level of edible insects was highest in flavor(3.4 points) and especially when it comes to the shape and appearance, it decreased as the age reduced. The reason for being not willing to use edible insects was highest in feeling repulsive(4.1 points), particularly the main one, in which women were higher than men(4.3 vs. 3.9), and the lower the age was, the more the figure significantly decreased. The most needed information display for using edible insects was the country of origin(63.8%), the main nutrient in edible insects was protein(93.6%), and the most preferred form of products was powder(39.5%). The general composition analysis showed that Bombyx batryticus had the highest water level of 2.4-11.3%, while Oxya chinensis sinuosa had the highest solid protein level of 40.2-66.0 g/100 g dry weight excluding moisture content. Allomyrina dichotoma had the most lipids of 2.5-37.5 g/100 g dry weight, Protaetia brevitarsis had the most ash of 1.5-5.7 g/100 g dry weight, while Bombyx mori had the most carbohydrates of 11.2-44.5 g/100 g dry weight. For the mineral content per dried edible insects, calcium was 41.9-224.0 mg/100 g dry weight, sodium 16.4-423.9 mg/100 g dry weight, zinc 2.6-22.4 mg/100 g dry weight, and copper was 0.2-3.1 mg/100 dry weight, which were all highest in Gryllus bimaculatus. Phosphorus was 279.2-1073.2 mg/100 g dry weight, magnesium 124.0-401.3 mg/100 g dry weight, which were all highest in Bombyx mori. Potassium was 303.0-1136.8 mg/100 g dry weight, and iron 5.3-11.4 mg/ g dry weight, all highest in Protaetia brevitarsis. Manganese was the highest in Allomyrina dichotoma with 0.7–12.1 mg/100 g dry weight. When comparing the mineral INQ by types of edible insects, calcium(1.3), sodium(1.3), and zinc(10.6) were highest in Gryllus bimaculatus. Copper(18.3) and manganese(13.1) were highest in Oxya chinensis sinuosa, phosphorus(8.1) and magnesium(6.1) highest in Bombyx mori. Potassium(1.8) and iron(6.3) were highest in Protaetia brevitarsis. all the mineral INQ except for manganese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depending on edible insects of it. When comparing the antioxidant activity of each antioxidant index in DMSO extract, total phenol contents were followed by Protaetia brevitarsis(1.0 mg/g), Tenebrio molitor L.(1.0 mg/g), and Oxya chinensis sinuosa(1.0 mg/g). Total flavonoid contents were followed by Bombyx batryticus(0.1 mg/g), Oxya chinensis sinuosa(0.1 mg/g), and Allomyrina dichotoma(0.1 mg/g). DPPH radical activity was followed by Bombyx batryticus(80.1%), Oxya chinensis sinuosa(74.5%) and Bombyx mori(62.4%). SOD-like activity was followed by Protaetia brevitarsis(97.2%), Allomyrina dichotoma(96.8%) and Gryllus bimaculatus(96.6%).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y was followed by Bombyx batryticus(97.6%), Bombyx mori(96.3%), and Oxya chinensis sinuosa(96.1%). Reducing power was followed by Protaetia brevitarsis(1.0 mg/g), Oxya chinensis sinuosa(0.9 mg/g), and Bombyx batryticus(0.9 mg/g). As a result of this study, it was conducted to provide the basic data for evaluating the nutritional components and antioxidant activity of edible insects and to provide the information necessary for expanding the production and consumption of edible insects and related products in the future.

      • 장르 중심 학문 목적 한국어 쓰기 교수의 실행연구 : 대학원 보고서를 중심으로

        박은선 이화여자대학교 국제대학원 2014 국내박사

        RANK : 247631

        한국 대학 내에 석사 혹은 박사 과정에 재학 중인 유학생이 많아짐에 따라 대학원생을 대상으로 한 학문 목적 한국어 교육은 매우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게 되었다. 그런데 대학원에서 성공적으로 학업을 마치기 위해 가장 중요한 것은 평가에 있어서 절대적 우위를 차지하는 보고서 작성이라고 할 수 있다. 보고서는 학문적 규범에 맞게 써야 하는 어려움이 따르기에 대학원에 재학 중인 유학생들의 보고서 쓰기 능력의 향상을 위한 학문 목적 쓰기 교수의 필요성이 대두된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장르 중심 쓰기 교수(genre-based writing instruction)가 대학원생들의 보고서 쓰기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법으로 보고, 장르 중심 쓰기 교수를 적용하여 대학원생을 대상으로 쓰기 수업을 실시하여 이의 효과를 밝히고 교수의 실행에서 나타난 문제점을 살펴 더 나은 장르 중심 쓰기 교수의 교수모형 및 과제 활동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대학원 수준의 보고서의 전형을 소논문 혹은 학술논문으로 상정하고, 이를 학위논문의 내용과 구조의 축소판으로 보았다. 이에 따라 기존의 연구인 학위논문의 각 하위 장르에 대한 분석 결과를 실제로 수업에 적용하여 보고서의 장르 중심 쓰기 수업을 구성하였다. 그러나 기존의 장르 분석 연구에서는 학위논문의 서론, 연구 방법, 연구 결과, 결론 및 초록 장르에 대한 분석만이 이루어져, 연구의 배경을 설명하고 연구의 당위성을 획득하기 위해 사용되는 선행연구 고찰에 대한 분석이 이루어지지 않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보고서 장르의 전체 구성을 완성하기 위하여 선행연구 고찰에 대한 장르 분석을 실시하였는데, IMRD(Introduction-Method-Result-Discussion) 구조를 띠는 한국어교육 관련 전공의 석사학위논문 20편을 추출하고 Kwan(2006)과 Bitchener(2010)의 문헌연구(literature review, 이하 LR로 약칭) 장르 모형을 도입하여 LR 모형을 완성, 이를 분석의 모델로 하여 장르 분석을 실시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한국어 석사학위논문의 선행연구 고찰의 이동마디(move) 구조는 Kwan(2006)과 Bichener(2010)가 제시한 응용언어학 학위논문의 LR 구조와 비슷하지만 똑같은 구조를 띠는 것은 아니었다. 선행연구에 대한 설명의 부분인 이동마디 선행연구 요약하여 제시하기(이하 1C로 약칭)를 선행연구의 주제 제시, 선행연구의 연구방법 제시, 선행연구의 결과 제시 및 선행연구자의 결과에 대한 해석 및 논의 제시의 네 가지 하위 이동마디로 세분화하고 기존 연구에 대한 연구자의 해석 및 평가의 부분인 선행연구 평가하기 이동마디(이하 2A로 약칭) 또한 선행연구 높이 평가하기, 선행연구 문제점 지적하기, 선행연구 종합하여 정리하기, 선행연구에 대한 자신의 해석 밝히기로 세분화할 수 있었다. 또한 Kwan(2006)과 Bitchener(2010)의 이동마디 모형에서는 등장하지 않지만 한국어 석사학위논문의 이동마디 구조에는 등장하는 메타담화적 이동마디(meta-discourse move)도 다수 발견되었다. 둘째, 선행연구 고찰 장르를 구성하는 필수적인 이동마디는 주제와 관련 있는 일반 현상 및 연구 소개하기 이동마디(이하, 1A로 약칭)와 1C, 이동마디 2A및 기존 연구의 공백 밝혀 연구의 필요성 나타내기(이하, 2C로 약칭) 이동마디였다. 셋째, 분석 자료에서 자주 사용되는 패턴이 있었는데 이는 필수 이동마디인 1A 이후 1C가 등장하고, 1C의 등장 이후 2A가 등장하는 것이었다. 또한 2A에 이어 2C가 출현하는 패턴도 자주 발견되었다. 자신이 수행할 연구의 위치를 선점하고 연구의 정당성을 획득하기 위해서 사용하는 이동마디가 바로 기존 연구의 공백을 밝혀 자신의 연구가 필요함을 밝히는 2C이다. 이에 따라 연구의 정당성을 획득하기 위해 사용되는 선행연구 고찰 장르의 역할을 생각해 볼 때 1A-1C-2A-2C의 이동마디의 패턴은 자연스럽다고 하겠다. 넷째, 선행연구 고찰 부분에서 자주 사용되는 정형화된 표현이 있었는데, 이는 각 이동마디의 내용에 따라 달라짐을 알 수 있었다. 특히 출현 빈도가 높은 필수 이동마디인 1C, 2A 및 2C에서 자주 사용되는 정형화된 표현을 발견할 수 있었다. 위와 같은 장르 분석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한국어 석사학위논문 선행연구 고찰 장르의 일반화된 모형과 자주 사용되는 정형화된 표현을 제시하였고 이러한 장르 분석 결과를 기존의 장르 분석 결과에 더해 보고서 장르 중심 쓰기 수업을 구성하였다. 이후 보고서의 장르 중심 쓰기 교수의 효과 및 진행상의 문제점을 확인하는 실행연구가 진행되었다. 실행연구 수업은 주 1회, 1회 당 150분의 수업으로 2013년 9월 6일부터 12월 13일까지 총 15주에 걸쳐 이화여자대학교 국제대학원에 재학 중인 대학원생을 대상으로 진행되었다. 본 실행연구에서는 보고서 장르 중심 쓰기 교수가 대학원생 한국어 학습자의 쓰기 내용, 구성 및 언어적 사용 능력 향상에 미치는 영향, 보고서 장르에 대한 인식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교수 시 발생하는 문제점을 밝혀 개선 방안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이와 같은 실행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장르 중심 쓰기 교수는 학습자의 보고서의 내용, 구성 및 언어적 사용 능력을 향상시키는 데 기여하였다. 수업 전·후의 과제 분석 결과를 보면 수업 전 과제에서 학습자들은 대체로 선행연구의 논문 내용을 그대로 옮겨서 요약하는 형태로 과제를 완수하였으며 필수 이동마디인 2A의 출현 빈도가 높지 않았다. 그러나 수업 후 과제에서는 학습자들이 이동마디의 순서를 바꾸어 글의 구조를 조정하거나 수업 전에는 사용하지 않았던 이동마디를 추가하여 더 많은 이동마디를 사용하였으며 필수 이동마디인 2A의 사용도 더 많아졌다. 특히 수업 전·후 과제에서 정형화된 표현의 사용이 가장 뚜렷한 변화를 보였다. 둘째, 사전·사후 설문지의 분석 결과를 살펴보면 장르 중심 쓰기 교수는 대학원생 한국어 학습자의 보고서 장르에 대한 인식을 변화시켰으며 장르 지식을 향상시켰다. 학습자들은 수업 전에 보고서 장르에 대해서 부분적인 선지식을 내재하고 있었으나 수업 후에는 18명의 학습자 중 1명을 제외한 17명의 학습자에게 기존에는 없었던 장르 지식의 함양과 수업 전에 희미하게 가지고 있었던 장르에 대한 인식이 상향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수업 후에 학습자들은 보고서가 학문적인 글임을 인식하고 자신의 학문적 담화공동체가 인정할 만한 수준의 글을 쓰기 위한 방법, 글의 내용, 언어적 특질에 대한 인식이 생성되거나 강화되었다. 셋째, 장르 중심 쓰기 교수의 실행에 있어 발생한 문제점은 수업 후반부에 들어서 교실 활동이 활발히 이루어지지 않았던 것이다. 사후 설문지, 수업 녹취록, 학습일지 및 심층 면접을 분석한 결과를 통해 이러한 문제점이 발생한 원인을 교사 설명 중심의 수업 방식, 비슷한 형태의 과제 활동의 반복 및 한국어교육 전공 중심의 읽기 자료 선정에서 찾을 수 있었다. 그러므로 학습자 중심의 수업 방식, 다양한 쓰기 활동의 개발 및 학습자의 전공을 고려한 과제 활동 구성을 통해 본 수업을 개선할 수 있다고 판단하였다. 이에 따라 제 5장에서는 수정된 보고서 장르 중심 쓰기 수업의 교수요목, 수업 모형, 수업 계획 및 수업 시 사용되는 과제 활동의 실례를 보였다. 지금까지 학문 목적 한국어 교육 분야에서 연구되어 온 장르에 대한 연구는 주로 담화 혹은 텍스트를 분석하여 장르의 특성을 밝히는 장르 분석 연구가 주를 이루었다. 장르 분석은 텍스트의 특성만을 추출한 것이었기에 한국어 교육에 바로 적용하기는 어려운 점이 있었으나 본 연구에서는 이전에 이루어진 학위논문의 하위 장르에 대한 연구 결과를 쓰기 교수에 도입하여 장르 중심 쓰기 교수의 유효성을 확인하였다. The present study is an action research study that aims (1) to investigate effects of genre-based writing instruction on academic paper writing skills and related genre knowledge of learners of Korean for Academic Purposes (hereafter called KAP) at the graduate level, and (2) to identify problems occurring frequently in the process of instruction in the classroom context. This study is divided into two parts: one is a genre analysis, and the other is an action research study. In general, graduate students are encouraged to write term papers built upon conventions of academic articles, which have been traditionally considered as an authoritative source of rhetorical and linguistic norms for master’s theses and doctoral dissertations. To date, however, there has been no genre analysis study in Korean which pays attention to the literature review section of previous studies (hereafter called RPS) as an independent segment from the theoretical background, despite its pivotal role to play in justifying the purpose of the writer’s study in the literature review section. Thus, I analyzed RPS segments collected from 20 samples of master’s theses in field of Teaching Korean as a Second Language (hereafter called TKSL) written by native writers of Korean. In doing so, a special focus was put on examining typical attributes of rhetorical, functional and textual structure in the collated RPSs on the basis of the model of LR section proposed by Kwan (2006) and Bitchener (2010), and making sure if the LR model could be applied to genre analysis of the RPSs in theses written by native Korean students majoring in TKSL. Additionally, characteristic linguistic features such as discourse markers displaying the movement of each move and step of the RPSs were also examined. The move structure of the RPSs in the sample of Korean theses had many things in common with the LR model suggested by Kwan (2006) and Bitchener (2010), but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also noticed. The three most important disparities among them were as follows: First, the RPSs obtained from Korean theses tended to have 4 sub-moves in the move 1C (a summary of previous studies) consisting of (1) presenting the theme, (2) presenting the methods, (3) presenting the results, and (4) presenting the discussion of a single given previous study. Second, they by and large included 4 sub-moves in move 2A (evaluation of previous studies), such as indicating unique values of given previous studies, locating problems of them, synthesizing common findings, and offering the writer’s own interpretation of them. Finally, meta-discourse moves, which did not appear in the LR model, were discovered in the mini-corpus of RPSs as well. Among many generic moves comprising the RPSs analyzed, the most frequently found were Move 1A (a survey of the non-research related phenomena or knowledge claims), Move 1C (a summary of previous studies), Move 2A (evaluation of previous studies) and Move 2C (presentation of the necessity of the writer’s study by gap-indicating). The move sequence of 1A-1C-2A-2C was a typical pattern detected in the RPS segments of Korean theses. Besides, it was also revealed that frequently used discourse markers differed depending on what function the move performed. In the present study, a corpus-based analysis of the textlinguistic patterning of the collected RPSs resulted in detailed identification of discourse markers which were most frequently used in Moves 1C, 2A and 2C, respectively. Based on the results from the genre analysis of the RPS data and related findings of previous genre research into thesis writing, I designed a fifteen-week genre-based academic paper writing course for graduate students who were nonnative writers of Korean before conducting an action research study. The goal of the study was to examine effects of genre-based writing instruction ranging from teaching what to write, how to organize the text and how to apply appropriate usage to developing genre perception and awareness on nonnative Korean graduate writers of academic papers. A variety of practical problems facing a genre-based classroom for academic paper writing were also investigated to offer guidance and solutions for more effective writing instruction. According to close observation on the process of instruction and rigorous evaluation on participants’ development as writers, it was turned out that the genre-based writing instruction indeed contributed to improvement of academic writing skills in various ways. The majority of students demonstrated a significant rise in the use of moves and markers in drafts of their writing compared to their performance at the early phase of the course. The results of the questionnaire surveyed at the end of the semester also indicated that the genre-based writing course did certainly help nonnative Korean graduate writers develop genre awareness and genre knowledge about academic paper writing. Most of them showed increased interest in the importance of writing academic papers meeting rhetorical and texlinguistic expectations of the Korean academic discourse community, and greatly appreciated the usefulness of genre-specific knowledge of academic paper writing facilitated by the course. However, it was not that there was no difficulty in running the genre-based writing course. The most unexpected and serious setback was the evident decrease in productivity and efficiency of engagement in classroom activities which had prevailed since the latter half of the course. Based on a result of examination of students’ learning logs, in-depth the-end-of-course interviews with them and transcripts of classroom interactions, I determined that this was largely due to a lack of autonomous learning brought about by heavily teacher-centered classes, a loss of interest caused by repetition of similar activities, and inappropriate choices of reading materials. Accordingly, quickly taken were a series of follow-up measures to amend the situation: revision of the syllabus, change in pedagogical methods, variation of lesson plans, and addition of new interesting activities. In spite of the growing voice of the importance of genre-based instruction in the field of KAP education, focal attention in the KAP genre literature has still been paid to genre analysis of separate sections of related written texts. In an effort to redress the severe imbalance between inclination toward scrutiny of textlinguistic characteristics of specific genre texts and unfulfilled needs for genre-based instructional programs, I tried to bring together theory and practice by validating genre-based instruction of academic paper writing for nonnative Korean graduate writers on the basis of achievements of previous studies of genre analysis on theses. The findings of the present study, therefore, have significant implications for better understanding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LR genre in Korean theses. Hopefully, they would also contribute to providing KAP practitioners with knowledgeable advice and practical help for designing and implementing genre-based writing instruction in the classroom.

      • 法門寺 石室 출토 捧眞身菩薩像 연구 : 晩唐期 만다라의 중국적 전개

        박은선 명지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논문은 중국 陝西省 扶風縣에 위치한 法門寺 탑 아래 石室의 中室에서 출토된 <捧眞身菩薩像>을 통해 晩唐期에 제작된 曼茶羅와 舍利信仰의 한 측면을 살펴본 것이다. <봉진신보살상>은 삼단으로 이루어진 대좌 위에 오른쪽 무릎을 꿇고 앉아 명문이 새겨진 직사각형의 판을 양손으로 받들고 있다. 명문을 통해 咸通 12년(871) 11월 14일 懿宗(재위. 859-873)의 39번째 생일을 기념하기 위해 조성되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봉진신보살상>의 대좌에는 다양한 존상과 종자가 새겨져 있어 발굴 직후부터 唐代에 제작된 만다라의 작례로 제시되어왔지만 학계의 주목을 많이 받지는 못했다. 그러나 <봉진신보살상>은 당대 만다라 제작의 다양성을 보여주는 사례로서 매우 중요하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봉진신보살상>에 구현된 만다라를 밝히고, 더 나아가 만다라와 사리와의 관계는 무엇인지 고찰해보았다. <봉진신보살상>에 표현된 만다라를 알아보기 위해 먼저 만다라의 경전적 정의와 7-9세기 인도와 唐代 중국에서 시각화 된 만다라의 작례들을 알아보았다. 이를 검토한 결과 경전에서의 만다라의 의미와 용례는 매우 다양하며, 제작된 만다라 또한 정해진 형식 없이 다양하게 시각화 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비록 동아시아에서 보편적인 만다라의 형태로 흔히 인식되는 것은 9세기 구카이(空海)에 의해 중국에서 일본으로 전해진 소위 兩部曼茶羅이지만, 이 채색된 회화식의 만다라가 중국의 만다라를 파악하는데 기준이 될 수 없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또한 <봉진신보살상>을 살펴보기에 앞서 만다라에 대한 논의가 많이 이루어진 後室과 後室秘龕에서 출토된 사리장엄구와 관련 선행연구들을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당대 만다라에 대한 연구가 일본학계의 전제와 결론으로부터 역추적 하여 파생된 것으로서 문제가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이와 같은 문제점을 바탕으로, 그동안 학계의 주목을 많이 받지 못한 <봉진신보살상>을 중심으로 중국 당대 만다라에 대한 비판적 고찰을 시도했다. 우선 대좌에 새겨진 존상과 종자를 파악했다. <봉진신보살상> 대좌에 표현된 존상과 종자들은 량쯔(梁子)와 라이이만(Lai I-mann)에 의해 『金剛峰樓閣一切瑜伽瑜祇經』「金剛吉祥大成就品」을 기반으로 조사된 바가 있다. 그 중 라이이만의 연구에서 처음으로 모든 존상과 종자가 꼼꼼하게 분석되었기 때문에 본 논문에서도 이에 따라 도상분석을 진행했다. 라이이만의 경우 존상과 종자들의 분석을 통해 <봉진신보살상>에 표현된 만다라는 상이 받들고 있었을 佛指舍利가 주존이 되는 ‘비로자나 불정 삼차원 만다라’라고 주장했다. 그러나 그는 대좌 위 봉진신보살 자체의 존명이 무엇인지, 그리고 그것이 만다라 내에서 어떤 존격을 담당하는 지에 대해서는 심도 있게 논의하지 못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라이이만의 의견에서 더 나아가 『금강봉누각일체유가유기경』「금강길상대성취품」의 내용과 그것에 설해진 佛眼曼茶羅를 제작하는 방법인 曼茶羅法, 그리고 의식수행지침인 成就法을 면밀히 분석해, 봉진신보살을 金剛薩埵이자 佛眼佛母로 비정하고 <봉진신보살상> 전체가 ‘佛眼曼茶羅’라고 주장하였다. 또한 <봉진신보살상>은 하나의 존상에 만다라가 표현된 매우 독특한 사례일 뿐 아니라 만다라와 사리와의 관계를 보여주는 작례로서 중요하다. <봉진신보살상>에 표현된 수많은 권속들과 봉진신보살은 사리를 갖추어야만 불안만다라라는 만다라로서 완성이 되며, 사리도 마찬가지로 대좌에 새겨진 권속들과 진언 등을 통해 정당성을 부여받는다. 즉, 만다라와 사리는 상호보완적인 관계를 가진다. 더 나아가 상 자체에 표현된 만다라, 주존으로서 역할을 한 사리, 그리고 성취법에 해당하는 허공장의 종자는 <봉진신보살상>이라는 하나의 상에 밀교 의례를 개념적으로 구현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이처럼 만당기 <봉진신보살상>에 표현된 만다라는 그동안 身舍利로 여겨졌던 불지사리의 의미를 밀교적으로 변화시키는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고 할 수 있다. 그리고 이는 그동안 단순히 밀교 의례 내에서 관상수행의 보조도구라고 이해되었던 만다라의 기능을 재고하게 한다. 만당기 법문사에 구현된 밀교, 만다라, 그리고 불사리의 밀접한 관계는 11세기 제작된 遼 朝陽北塔 사리공이나, 9-10세기 일본에서 행해진 後七日御修法, 그리고 12세기 이후 일본에서 불안불모와 사리와의 관계를 설명하는 문헌 등을 통해 확인된다. 이를 통해 9세기 당 황실을 중심으로 시각화된 만다라와 사리의 결합이 이후 요와 일본에서 전개된 밀교 미술 및 의례의 선례가 되었을 가능성을 생각해 볼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논문에서는 <봉진신보살상>을 통해 만다라의 중국적 전개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 비록 현존하는 당대에 제작된 만다라의 작례는 매우 적지만 회화로 제작된 만다라 외에도 다양한 방식의 만다라가 만들어졌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봉진신보살상>이 그러한 예 중 하나이며, 이 상의 경우 만다라가 사리의 개념을 변화시키는 기능을 했다는 것, 더 나아가 밀교에서 사리가 적극적으로 활용되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 중요하지만 국내에서는 크게 주목받지 못한 만당기의 밀교 미술과 만다라, 그리고 밀교 내에서의 사리신앙의 한 측면이 조명되었길 바란다. This study examines one aspect of the maṇḍala that were produced during the Late Tang Period through the Statue of the Bodhisattva Holding the True Body that was excavated in the middle chamber of the Relic Crypt underneath Famen Monastery Pagoda located in Fufeng, Shaanxi Province in China. The Statue of the Bodhisattva Holding the True Body sits on a three-stage pedestal, falling on his right knee and holding a rectangular plaque with inscriptions in both hands. The inscriptions tell that the statue was built in order for the purpose of celebrating emperor Yizong’s thirty-ninth birthday in the year 871. Various images and seed-syllables are inscribed on the pedestal of the Statue of the Bodhisattva Holding the True Body. Immediately after its excavation, it was presented as an example of a maṇḍala created during the Tang Period, but it did not garner much attention in the academic world. However, the Statue of the Bodhisattva Holding the True Body is extremely important as a case that shows the diversity of maṇḍala creation in those times. Therefore, this study revealed maṇḍalas that were implemented on the Statue of the Bodhisattva Holding the True Body, and considered the relationship between maṇḍalas and relics. To understand the maṇḍalas expressed on the Statue of the Bodhisattva Holding the True Body, I first examined the scriptural definition of maṇḍalas and fabricated examples of maṇḍalas that were visualized in 7-9th century India and Tang China. Upon review, the significance and examples of maṇḍalas in scriptures were extremely diverse, and the maṇḍalas that were fabricated were also diversely visualized without any fixed format. While the most common type of maṇḍala in East Asia is the dual set of maṇḍalas that was passed from China to Japan in the 9th century by Kūkai, it was found that this colored painting style maṇḍala did not become the standard for understanding Chinese maṇḍalas. Moreover, before examining the Statue of the Bodhisattva Holding the True Body, I also reviewed previous studies on the reliquary that was excavated from the innermost chamber and the niche underneath the rear wall of the innermost chamber that were the topic of much discussion regarding maṇḍalas. This showed that research on maṇḍalas at the time was problematic because it was derived by back-tracking from premise to conclusion in the Japanese academic world. Therefore, this study attempted a consideration of Chinese maṇḍalas of that time from a critical perspective by focusing on the Statue of the Bodhisattva Holding the True Body that has been largely overlooked in the academic world thus far, based on this issue. First, I assessed the images and seed-syllables inscribed on the pedestal. The images and seed-syllables expressed on the pedestal of the Statue of the Bodhisattva Holding the True Body have been surveyed as being based on the “The chapter of Vajraśrī Mahā-siddhi, Vajraśrī, the Grand Accomplishment (ch. jixiang da chengjiu pin)” of The Sūtra Pavilion of Vajra Peak and all its Yogas and Yogins (ch. Jingangfeng louge yiqie yuqijing) through Liangzi and Lai I-mann. Because Lai I-mann’s own research was the first to thoroughly analyze all the images and seed-syllables, this study also analyzed the iconography in the same fashion. Through an analysis on the images and seed-syllables, Lai argued that the maṇḍala expressed on the Bodhisattva Holding the True Body is the “Three-dimensional Vairocana Buddhoṣṇīṣa Cakravartin Maṇḍala” where the main deity is finger-bone relic of the Buddha (ch. Fozhisheli) held by the statue. However, there is no in-depth discussion on which deity the Bodhisattva Holding the True Body itself represents above the pedestal and what kinds of role it plays in the maṇḍala. Hence, this study went beyond the opinions of Lai and closely analyzed the content of “The chapter of Vajraśrī Mahā-siddhi, Vajraśrī, the Grand Accomplishment (ch. jixiang da chengjiu pin)” of The sūtra Pavilion of Vajra Peak and all its Yogas and Yogins (ch. Jingangfeng louge yiqie yuqijing), and provided instructions on the composition of the maṇḍala and the performance of rites, and argued that the Bodhisattva Holding the True Body is identified as Vajrasattva and simultaneously Buddhalocanī, and that the entire Statue of the Bodhisattva Holding the True Body is the “Buddhalocanī maṇḍala.” Moreover, the Statue of the Bodhisattva Holding the True Body is not just a very unique case that expresses maṇḍalas in a statue, but it is also an important example that shows the relationship between maṇḍalas and relics. The Bodhisattva Holding the True Body and the countless deities expressed on the pedestal can only be a Buddhalocanī maṇḍala if it has a relic, and relics are also only legitimized through the deities and mantras inscribed on the pedestal. In other words, the maṇḍala and relics have a complementary relationship with each other. Moreover, the maṇḍala shown on the statue itself, the Buddhas finger bone relic as the main deity, and the seed-syllable of Ākāśagarbha that is subject to the achievement law may be regarded as conceptually composing the esoteric ritual on one statue called the Statue of the Bodhisattva Holding the True Body. As such, the maṇḍala shown on the Statue of the Bodhisattva Holding the True Body during the Late Tang Period played an important role in esoterically changing the meaning of the finger-bone relic of the Buddha, which was regarded as corporeal relics thus far. It also enables the reinterpretation of the functions of maṇḍalas, which were understood as a simple supportive tool for visualization within esoteric rituals. The close relationship between esoteric Buddhism, maṇḍalas, and Buddha's relics are verified in Japanese literature after the 10th Century that describe the relationship between Buddhalocanī and Buddhist relics, and in the Relic Crypt of Chaoyang North Pagoda of Liao that were created in the 11th Century. Through this, we may consider the possibility that the combination of relics and maṇḍalas found in the series of reliquaries of the Famen Monastery Pagoda which was patronized by the Tang court of the 9th century may have been a precedent for esoteric Buddhist images and ceremonies that unfolded in Japan and Liao thereafter. Hence, this study examined the history of maṇḍalas from the Chinese perspective through the Statue of the Bodhisattva Holding the True Body. The results showed that while there remain very few examples of maṇḍalas today that were created at the time, it was confirmed that there were many maṇḍalas with various styles in addition to the maṇḍalas created through painting. The Statue of the Bodhisattva Holding the True Body is one such example, and for this statue, maṇḍalas changed the concept of relics, which were actively used in esoteric Buddhism. I hope that this study will shed light on esoteric Buddhist art and maṇḍalas in the Late Tang Period, and one aspect of relic veneration within esoteric Buddhism, which are all important but have been largely overlooked in Korea.

      • 한국어 학위논문 서론의 장르 분석적 연구 : 한국어 모어화자와 한국어 학습자를 대상으로

        박은선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47631

        최근 석사 또는 박사 과정에 등록하는 외국인 학습자의 수가 날로 증가하고 있어 학문 목적을 위한 한국어 학습자들의 수가 늘고 있는 추세이다. 이에 따라 많은 한국어 학습자들이 한국어로 논문을 써야하는 상황에 놓여 있어 학문목적 한국어교육 중 학위논문 쓰기 교육이 매우 중요할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실제 논문 장르분석을 통한 쓰기 교육의 실제적인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특히 논문의 서론 부분을 장르분석 하였는데 이를 위해 Swales(1990)가 학술논문의 서론을 분석하여 제시한 Create a Research Space 모형(이하, CARS 모형)과 Lee(2001a)의 결과에 따른 세 개의 이동마디를 추가한 CARS+3 모형을 적용하고자 하였다. 이때, 장르분석이란 일종의 담화분석으로서 내용, 텍스트 구조, 문체, 예상 독자 등에서 비슷한 유형을 갖고, 같은 의사소통적 목적을 가진 구성원으로 이루어진 담화 공동체가 인정하는 텍스트들의 집합인 장르에 대한 분석이다. 이러한 장르분석을 통해서 우리는 그 장르의 특성을 발견할 수 있고, 이를 쓰기 교육에 반영할 수 있을 것이다. 이에 본 연구는 장르분석으로서 특히 한국어 논문의 서론이 CARS+3 모형을 따르는지 알아보았다. 그리고 분석 결과에 의한 한국어 학위논문 서론의 일반화된 모형을 제시하였다. 또한 한국어 모어화자와 한국어 학습자의 논문 서론의 구성은 어떠한지 살펴보고 그 차이점을 찾았으며 각 이동마디-단계에서 자주 등장하는 표지들을 분석했다. 이때, 분석의 객관성과 신뢰도를 높이기 위해서 텍스트 분석 시 평정자 집단을 사용하였다. 분석 자료로는 국내 한국어 교육 분야 석사학위논문으로 서울에 속한 4개 대학 교육대학원 및 일반대학원의 석사논문 중 한국어 모어화자의 학위논문 25편과 한국어 학습자의 학위논문 25편을 선정하였다. 분석 결과 한국어 학위논문 서론은 대체로 CARS+3 모형에 나타난 이동마디-단계로 구성되어 있었다. 이는 CARS+3 모형이 한국어 학위논문 서론에 적용 가능함을 보여준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많은 연구자들이 한국어 학위논문에서는 서론 부분을 몇 개의 장으로 나누어 쓰는 관례를 따라 서론을 썼기에 CARS 모형과 같이 이동마디 1-2-3의 순서를 정확히 따르는 것은 아니었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분석 결과에 따른 한국어 학위논문 서론의 일반화된 모형을 따로 제시하였다. 또한 한국어 모어화자와 한국어 학습자의 학위논문 서론에 나타나는 두드러진 차이점은 구별불능 이동마디의 사용에 있었다. 구별불능 이동마디의 전체에 대한 비율은 한국어 모어화자의 학위논문 서론의 경우 2.6%로 사용이 그리 빈번하지 않았음에 반해 한국어 학습자의 학위논문 서론의 경우는 약 7%로 한국어 모어화자 학위논문의 두 배가 넘는 사용 비율을 보였다. 마지막으로 각 이동마디-단계의 움직임을 알려주는 표지를 분석하였다. Swales와 Feak(2004)은 각 이동마디에서 자주 쓰이는 표현을 제시하고 있는데, 한국어 논문의 서론에서도 각각의 이동마디-단계에서 자주 쓰이는 표현을 발견할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 쓰인 장르분석과 같이 실제 언어사용의 분석은 한국어교육에 필요한 기초자료들을 구축하는 데에 크게 기여할 것이다. 또한 다양한 장르에 대한 분석은 한국어교육을 위한 풍부한 자료를 제공해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e present study aims to investigate what the differences and similarities are in the rhetorical organization of introductions of Korean theses written by native Korean speakers and Korean learners on the basis of Swales' (1990) Create a Research Space (CARS) model with three additional moves suggested by Lee (2001a) (hereafter called CARS+3 model) and whether the CARS+3 model can be applied to a genre analysis of introductions of Korean theses. Additionally, the markers of moves which show movement of each move and step of introductions were examined. 25 introductions in Korean master's theses in the field of Teaching Korean as a Foreign Language, each, written by native Korean speakers and Korean learners were selected and analysed. In this study, inter-rater reliability was reported in order to assure the objectivity of the result of analysis. The sharp difference between native Korean speakers' and Korean learners' introductions in Korean theses was in using the un-identifiable move. Native Korean speakers often did not use this un-identifiable move compared to Korean learners. Generally, introductions in Korean theses conformed to the CARS+3 model. This result showed the possibility of application of the CARS model to introductions in Korean theses. However, since most Korean researchers wrote introductions according to convention of dividing the introduction chapter of their thesis into several sections, introductions did not follow an exact sequence of the CARS model. Based on the result, this study presented a generalized model of introductions in Korean thes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the raw materials that can be utilized in the teaching of Korean writing for academic purposes. Genre analysis which was used for this research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advancing evidence-based pedagogy in teaching Korean as a foreign languag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