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역사극 콘텐츠 창작 방향성 연구

        박윤희 청주대학교 대학원 2024 국내박사

        RANK : 24766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tudy the direction of historical drama creation by analyzing the characteristics and functions of historical dramas that are different from general theater and examining the meaning of historical content creation accordingly. A historical drama is a play that is set in the past or is based on historical events or historical figures. In the era of modern historical drama from the 1920s to the 1980s, stories centered on grand discourses that remain as historical records were used as the central subject of historical dramas, but in the era of post-modern historical drama since the 1990s, factions based on historical events or characters, or fiction created by fictional imagination based only on past times, are recognized as historical works. In historical drama, both historical and theatrical aspects should be considered. This is the particularity of historical drama to theater in general. History reflects the present and constitutes the flow of time as a past future. Accordingly, the reflection of ideology in the narration of history inevitably follows. Historical drama as a platform of discourse struggle has different characteristics depending on the social issues of the time in which it is created. When we classify the history of Korean historical drama into three periods, we can divide the period of Japanese colonial rule from the 1920s, when historical dramas first began to appear on the page, to the period before liberation, as the second period, and the period from the 1990s to the present, which opened the era of post-modern historical dramas, into the third period. The reason why historical dramas have been steadily produced and accepted for more than a hundred years in the history of Korean theater is because of the functional characteristics of historical dramas. First of all, if we look at history in the sense of a projection of the present, the historical drama can mimesis the social discourse of the present. Through this process of microsis, we can find a direction to overcome the problems of the present and pioneer the future from the past. On the other hand, historical drama also has the function of meta-history. As the philosophical concept of history began to emerge as a major discussion in historiography, the literary elements of historical narration and the epic have existed as interactions. In other words, deciding what to focus on in a historical narrative, whose story to begin with, and whether the ending of the story is a tragedy or a comedy can only be based on a philosophical view of history. In the same vein, the composition of a historical drama also takes center stage from the artist's perspective on history. If historical drama plays the role of mimesizing the present and constructing a meta-narrative, then it is natural to include discourse in it. Then, in developing the contents of historical dramas, we need to think about the narrative of what kind of discourse to unravel from what perspective. For this study, historical dramas from the 2000s onwards were analyzed, and historical dramas that reflected political discourse were < Yi >, < The Writing of Shimcheongjeon > and < Elegant Playing Drama >, <1945>, < Ddilbburi >, < The Story of Baesogoji > were studied respectively. If we are to discuss the national discourse, it is possible to create a dramatic effect by approaching it not from the corresponding "The History" but rather from the concept of "histories" shrouded in absolute truth. On the other hand, if we want to capture the ideology of the people, if we lead the story from the individual characters who represent the people in front of "The History", we will be able to grasp the ideology by observing the outcome of overcoming or being frustrated according to the choices and actions of the characters, and by witnessing the final feature of the people that the artist wanted to show through history. 본 연구는 역사극이 지닌 연극 일반과 다른 특징과 기능을 분석하고 그에 따라 역사 콘텐츠 창작이 갖는 의미를 살펴봄으로써 역사극 창작의 방향성을 연구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역사극이란 과거의 시간을 배경으로 하거나 역사적 사건 또는 역사적 인물을 소재로 창작된 극을 의미한다. 1920년대부터 1980년대까지의 근대적 역사극 시대에는 역사적 기록으로 남아있는 거대담론 중심의 이야기들이 역사극의 중심 소재로 활용되었지만 1990년대 이후인 탈근대 역사극의 시대에 이르러서는 역사적 사건이나 인물을 바탕으로 한 팩션이나 과거의 시간만을 배경으로 하여 허구의 상상력으로 창작된 픽션 등 까지도 역사물의 범주로 인정한다. 역사극은 역사학적 측면과 연극예술학적 측면이 모두 고려의 대상이 되어야 한다. 이것이 역사극이 갖는 연극 일반에 대한 특수성이다. 역사라는 것은 현재를 투영하고 지나간 미래로서 시간의 흐름을 구성한다. 이에 따라 역사를 서술함에 있어서 이데올로기를 반영하는 것은 필연적으로 따라올 수밖에 없다. 담론 투쟁의 장으로서의 역사극은 그것이 창작되는 당대의 사회적 이슈에 따라 그 특성을 달리한다. 한국 역사극사를 총 3기로 분류할 때, 역사극이 처음 지면에 등장하기 시작한 1920년대부터 해방 전까지의 일제강점기를 제1기 역사극으로, 해방 이후 민주화를 이뤄낸 1980년대까지의 시기를 제2기 역사극으로, 탈근대 역사극으로서의 시대를 열었던 1990년대부터 현재까지를 제3기 역사극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역사극이 한국 연극사에서 백여 년의 시간동안 꾸준히 생산되고 수용되었던 이유는 역사극의 기능적 특징이 있기 때문이다. 먼저 역사를 현재에 대한 투영의 의미로 볼 때, 역사극은 현재의 사회적 담론을 미메시스할 수 있다. 이러한 미세시스의 과정을 통해 현재의 문제를 극복하고 과거로부터 이어지는 미래를 개척해나갈 방향성을 찾을 수 있다. 한편 역사극은 메타역사로서의 기능도 가지고 있다. 역사학에서 역사철학적 개념이 주요한 논의로 등장하기 시작하면서, 역사서술과 서사라는 문학적 요소가 상호작용으로 존재해 왔다. 역사서술에 있어서 무엇을 중점 사건으로 할 것인가, 누구의 이야기로 시작할 것인가, 이 이야기의 결말은 비극인가 희극인가를 결정하는 것은 역사를 바라보는 철학적 관점을 토대로 할 수밖에 없다는 의미이다. 이과 같은 맥락으로 역사극을 구성하는 것 역시 역사를 바라보는 작가의 관점이 중심을 이루게 되는 것이다. 역사극이 현재를 미메시스하고 메타적으로 서사를 구성하는 역할을 한다면 그 안에 담론을 담아내는 것은 자연스럽게 따라오는 일이다. 그렇다면 역사극의 콘텐츠를 개발함에 있어서 어떠한 담론을 어떤 시각으로 풀어나가느냐 하는 서사에 대한 고민을 해야 할 것이다. 이 연구를 위해 2000년대 이후의 역사극을 분석 대상으로 하여, 정치담론을 투영한 역사극으로는 <이(爾)>, <심청전을 짓다>, <풍류극>을 민중이데올로기를 투영한 역사극으로는 <1945>, <띨뿌리>, <배소고지 이야기>를 각각 연구하였다. 만약 국가담론을 논하고자 한다면 그와 상응하는 대문자역사로부터 시작할 것이 아니라 오히려 절대적 진리 속에 가려진 소문자역사들의 개념으로부터 접근하는 것이 극적 효과를 만들어낼 수 있다. 반대로 민중이데올로기를 담아내고자 한다면 민중을 대표하는 개별적인 인물이 대문자역사 앞에 놓이는 것으로부터 이야기를 이끌어나간다면 인물의 선택과 행동에 따라서 그것을 극복하느냐 좌절하느냐의 결말을 지켜보고 작가가 역사를 통해서 보여주고자 했던 민중의 최종적인 모습을 목격함으로 인해 이데올로기를 파악할 수 있을 것이다.

      • 연산군을 소재로 한 시나리오의 시대별 변화 연구

        박윤희 세종대학교 융합예술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47

        한국 대중영화에서 사극 장르의 성장은 꾸준한 발전을 이룩해 나가고 있다. 사극이 과거의 이야기를 재현하고 있지만 그 안에 숨겨진 주제의식과 사회 이데올로기는 대단히 동시대적이기 때문에 매우 특별하게 여겨진다. 사극영화와 시나리오에서 담아내는 시대의 문화적 정체성은 현대극에서의 그것과 다르지 않기 때문이다. 같은 역사적 소재를 배경으로 한 사극이라고 하더라도 그 영화가 제작되는 시기에 따라서 인물과 배경, 사건의 묘사 등은 다르게 나타날 수밖에 없다. 이러한 현상이 일어나는 첫 번째 이유는 역사관의 변화에 있다. 그러나 역사관은 사회·문화를 기반으로 완성되는 것이기 때문에 정치와 철학, 대중적 유행 등이 전반적으로 해석의 재료가 될 수 있다. 영화의 근본은 시나리오에서부터 시작된다. 따라서 영화의 시대별 변화 연구를 위해서는 시나리오 분석 단계부터 이루어져야 하는 것이다. 시나리오는 인물과 배경을 구축하고 이야기를 풀어가는 방식을 정립하는 기본 바탕이기 때문이다. 본 연구는 연산군을 소재로 한 시나리오 여섯 편을 선정하여 인물, 구성, 대사 등이 시대에 따라서 어떠한 특징을 보이고 있는가를 분석해 보고 이러한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사극 영화의 발전 가능성과 방향성을 짐작해보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에 따라 1960년대부터 2000년대 이후까지 약 20년을 간격으로 하여 <연산군-장한사모>, <연산군-복수쾌거>, <연산일기>, <연산군>, <왕의 남자>, <간신> 등 총 여섯 편을 분석의 대상으로 하였다. 정치적 성향을 포함하여 극중 인물로서의 연산군의 캐릭터는 시대에 따라서 변화를 거쳐 왔다. 연산군은 1960년대, 1980년대, 2000년대를 지나면서 각각 평면적, 입체적, 다시 평면적 인물로 묘사된다. 2000년대 이후의 연산군이 평면적인 인물로 그려지게 된 이유는 연산군이 더 이상 영화에서 주인공이 아닌 주인공의 시선을 통해 바라보는 권력자의 이미지로 묘사되었기 때문이다. 연산군을 서브플롯의 주인공 정도로 내세우기 시작한 2000년대 이후의 시나리오에서는 연산군을 조종하는 주변인물들의 역할이 커졌다는 것 또한 특징이다. 인물의 성격 변화와 함께 인물의 목표 역시 시대에 따라서 다르게 나타난다. 인물의 목표가 변한다는 것은 시나리오의 중심질문과 주제에 차이를 보인다는 것을 뜻한다. 중심질문을 담고 있는 도입부가 달라짐에 따라 전개부와 결말부를 포함한 플롯 전반이 다른 구성을 따르게 된다. 사극이 현대극과 다른 가장 큰 특징은 시대 언어를 사용한다는 점에 있다. 따라서 사극 시나리오에서 대사는 매우 중요한 분석 요소 중 하나라고 할 수 있다. 사극 대사는 문법과 어휘 등에서 시대별 특징이 두드러지게 나타나는데, 1960년대에서 현대로 올수록 시대언어의 복원이 아닌 현대국어에 가까운 언어를 사용하고 있다는 것이 특징이다. 2000년대 이전에는 신분의 계급에 따른 존대어의 사용이 비교적 도식화된 경향을 보였다면 2000년대 이후에는 인물의 성격을 부여하고 인물간의 관계를 드라마틱하게 설정해주기 위해서 상대경어법의 활용을 자유롭게 넘나든다. 연산군을 소재로 한 시나리오는 인물, 구성, 대사의 측면에서 모두 현대로 올수록 미시적이면서도 복잡한 구조를 갖게 된다. 이러한 연구는 연산군을 소재로 한 시나리오뿐만 아니라 한국 사극영화의 향후 발전 방향을 예측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의의를 두고 있다. 주요어 : 사극, 시나리오, 연산군, 캐릭터, 시대언어, 중심질문 Among the most popular films in South Korea, historical genre is making a steady progress. Although the historical play reproduces the story of the past, the theme’s hidden consciousness and social ideology are very special because they are contemporary. The cultural identity of the era in the dramas and scenarios is not different from that in the contemporary plays. Even if a historical drama is based on the same historical source, its details in character, background and situation are varied depending on when and how the film is produced. The first reason for this is in the change in the view of history. However, since historical view is a socio-cultural based, politics, philosophy, and populism could generally be used as a interpreted materials. The origin of the film begins with the scenario. Therefore, to study the chronological change in film, it should be done from the scenario analysis stage. Scenarios are the basis for building a character, background and how to unravel the story. In this study, six scenarios based on Yeonsan were selected to analyze the different aspects of characters, structure, and dialogue in different periods of tim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tilize the result of the analysis into establishing a direction to predict the development of historical genre films. Thus, from 1960s to the 2000s in increment of 20 years, six films that were analyzed are: <Prince Yeonsan>, <TyrantYeonsan>, <The Diary of KingYeonsan>, <Yeonsan-gun>, <King and the Clown>, and <The Treacherous>. Yeonsan’s character has changed according to time and political frame. In 1960s, 1980s, and 2000s, Yeonsan was described in flat character, round character, flat character, respectively. After 2000s, Yeonsan was redrawn as a flat figure because Yeonsan was no longer the main character of the movie, but only portrayed by the protagonist’s view as a man with power. Another interesting point is that the scenarios after 2000s began to emphasize Yeonsan only in a subplot, and increased covering the role of the surrounding characters that manipulated Yeonsan. Along with time, character’s personality changes with its goals. These changes in the character's goal entail difference in the scenario's core issue and subjects. As the introductory part containing the central issue and premise changes, so does the entire plot’s format, including the development and the conclusion. The most distinguished between the historical drama and a modern drama is that historical plays use the language at that time. Therefore, dialogue can be considered as one of the most important analytical factors in the historical genre scenario. The language especially characterizes the historical timeline by its use of grammar and vocabulary. Since 1960s, rather than restoring the era’s old dialogue, similar language to the modern Korean has been utilized more so today. While before 2000s, use of “honorific language” according to the rank of status showed a tendency to be relatively schematic, the dialogue instead frees this language usage to enhance the characters’ personality and dramatic set up of relationships among characters since 2000s. The scenarios based on the Yeonsan consist of a more microscopic but complex structures in terms of character, structure, and dialogue with time. This study is meaningful not only for scenarios to be based on Yeonsan, but also for predicting the future development of Korean historical dramas. Keywords : historical drama, scenario, Yeonsan, character, language of the era, core issue

      • 수질관리 정책효과 분석 및 유역관리 방안에 대한 연구

        박윤희 청주대학교 2020 국내박사

        RANK : 247647

        수질관리 정책효과 분석 및 유역관리방안에 대한 연구 본 연구는 팔당호 특별대책지역을 대상으로 수질관리정책의 시행 효과를 분석하였고, 이를 토대로 향후 수질관리의 방향성을 제시함을 목표로 하였다. 수질관리의 시행효과는 1990년부터 2016년까지 특별대책지역 내 오염원과 수질 변화를 통해 평가하였고, 수질관리정책의 방향성을 검토하기 위해 한강권역 내 지류하천들의 수질 특성, 개인하수처리시설의 배출실태 및 비점오염원이 수질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1990년 이후 팔당호 수질은 오염원의 증가와 더불어 악화되었으나 공공하수처리시설 방류수 수질기준이 강화된 1999년 이후부터 팔당호 수질이 개선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2016년 기준 특별대책지역 내 공공하수처리시설(500톤/일 이상)의 BOD 및 TP 평균 방류수질농도는 각각 1.7±0.7㎎/L, 0.06±0.02㎎/L을 유지하고 있으며 공공하수처리시설 방류수 수질기준 강화로 특별 대책지역 내 공공하수처리시설 방류부하량은 2016년 기준으로 BOD 3,190.4→ 572.1㎏/일, TP는 636.7→2.6 ㎏/일로 감소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러한 결과들은 환경기초시설에 대한 방류수 기준강화에 따른 농도관리는 특별대책지역 내 배출원 총량 관리에 효과적인 수단이며 팔당호 개선에 상당부분 기여했음을 의미한다. 팔당호 특별대책지역에서 배출되는 오염물질의 양은 방류수 농도관리로 감소한 반면 토지계와 축산계 등 비점오염원의 총 배출부하량에 대한 기여율은 70%로 증가하였고, 점오염원 중 개인하수처리시설등과 같은 개별처리시설의 기여율도 80%로 증가하였다. 한강 권역 내 분포하고 있는 하천의 TP 수질오염도가 유기물 오염도 보다 높았고, 31개 지류 하천에서 측정된 979개 유량 자료 중 87 %에 해당하는 자료의 유량은 0.10 cms 이하였으며, 유량구간 중 90% 빈도 이상의 유량조건에서 수질오염도가 증가하였다. 유역 내 오염물질 배출량과 수질과의 상관성은 적었으며, 일부하천에서 유달부하량이 유역에서 배출되는 부하량보다 많아 배출원으로부터 적정처리 되지 않은 오염물질이 하천으로 유입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오수처리시설의 방류수는 BOD(31.0%)보다는 TP(66.9%)농도의 법적기준 초과율이 높았다. 규모와 지역 그리고 업종에 따른 오수처리시설 방류수 수질은 규모가 작고, 수변지역에 위치고 있으며 가정용 시설이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관리 형태에 따른 오수처리시설 방류수 수질은 위탁관리시설의 방류수 수질이 양호함에 따라 적정관리만으로도 수질이 상당부분 개선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강우 시 도시 및 농촌유역 하천에서 BOD, COD, TP 및 SS 유량가중평균농도는 현저히 증가하였으나 TN 유량가중평균 농도는 큰 변화가 없었다. 강우 시 유역특성에 따른 유량가중평균농도의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으나 도시유역의 하천에서 유기물 오염도 증가가 상대적으로 높은 반면 농촌유역의 하천에서는 총인농도의 오염도가 증가하는 유출특성을 보였다. This study was to assess the effect of water quality management policies and to aim at presenting the direction of water quality management in the future. The effect of water quality management policies was assessed through changes in pollutants and water quality in the Special Water Preservation Area(SWPA) of Lake Paldang watershed from 1990 to 2016. Also, the water quality characteristics of tributary in the Han River region, the discharge status of individual sewage treatment facilities(ISTF), and the effects of non-point pollutants on water quality were investigated. Since 1990, the water quality of Lake Paldang has deteriorated due to the increase of pollutants, but since 1999, the water quality has improved as the water quality criteria for public sewage treatment facility is strengthened. The averaged concentrations of BOD and TP for STP effluent(≥500㎥/day) in the SWPA were maintained at 11.7±0.7 ㎎/L and 0.06±0.02 ㎎/L, respectively in 2016. And as of 2016 the BOD discharge load of STP was decreased from 3,190.4 to 572.1 ㎏/day and TP decreased from 636.7 to 2.6 ㎏/day.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water quality of Lake Paldang was improved by strengthening the water quality criteria of environmentally-based facilities in SWPA, and it is an effective means to manage the pollutants in the area. The total discharge load in the SWPA decreased overall due to the management of effluent water quality in sewage treatment plants, but the contribution rate of non-point sources such as landuse and livestock increased to 70%, and the contribution rate of individual wastewater treatment facilities such as ISTF among point sources increased by 80%. The TP concentration of streams in the Han River region was relatively higher than that of organic matter. The flow rate corresponding to 87% frequency was 0.10 CMS in the 979 flow data measured at 31 tributaries of the Han River, and the water pollution increased under the condition of more than 90% frequency. The correlation between BOD concentration and discharge load in the watershed was low, the delivery load in several rivers was higher than the discharge load. This means that untreated pollutants are flowing into the stream. The excess rate TP(66.9%) for the ISTF effluent water quality criteria was higher than BOD(31.0%). The ISTF with high discharge concentration was found that the domestic facilities with small facility capacity which is located in the buffer area. It has been shown that water quality can be substantially improved by just proper management as the discharge water quality of consigned management facilities was better than that of self-care facilities. This results indicate that proper management for ISTF could be applied as available means for point source control. EMC of BOD, COD, TP and SS in both urban and rural watershed increased significantly in the event rainfall compared to dry period, EMC of BOD and COD increased significantly in the urban watershed, but EMC of TP increased in the rural watershed. The strong first-flush effect showed in an urban watershed and is found to be more reproducible for time than the strength of first-flush. These results indicate that source management is important for non-point sources in rural watersheds, and for urban watershed, not only source management, but also the collection and treatment of initial runoff in discharge pathways.

      • 황진이 시조의 교수.학습 방안 연구

        박윤희 성신여자대학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논문은 황진이 시조의 교육적 가치를 심화시키고, 황진이 시조의 독자적인 문학적 특징을 알 수 있도록 효율적인 교수 · 학습 방안을 마련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황진이 시조는 사대부 시조와는 달리 기녀라는 특수한 신분으로 인간의 욕망에 대한 긍정적인 의식을 드러내며 자신의 정서를 서정적 표현하였다. 황진이의 시조도 근본적으로는 애정과 그리움이라는 주제에서는 벗어나지 않으나 그 표현 방식 면에서는 일반 기녀 시조와 황진이 시조의 뚜렷한 차별성이 있다. 이러한 황진이 시조의 문학사적 의의와 교육적 가치는 현행 7차 『문학』 교육 과정에도 그대로 반영되어 높은 수록 빈도를 보이며, 중요하게 학습되고 있다. 그러나 현행 교육 과정에서 황진이의 시조는 사대부 시조와의 비교를 통한 기녀 시조의 특징을 학습하는 데 중점을 두고 있으므로 황진이 시조의 독자적인 특징을 학습하기 위해서는 새로운 교수 · 학습 방안의 제안이 필요하다. 그리하여 황진이의 시조의 효율적 교수 · 학습을 위해 현행 교육 과정의 긍정적 가치를 수렴하여 작품론적 관점의 교육 방안을 제시하였고, 황진이 시조의 독자적인 특징을 학습하는 새로운 교육 방안을 작가론적 관점과 수용론적 관점으로 나누어 모색해 보았다. 작품론적 관점에서 바라본 황진이 시조의 교육 방안은 사대부 시조와 비교하여 내용적 측면의 차별성을 강조하였고, 일반 기녀 시조와의 비교를 통한 교육 방안에서는 황진이의 표현적 측면의 차별성에 대해 중점을 두었다. 이는 현행 교육 과정에서 황진이 시조를 교수 · 학습하는 방법의 긍정적인 가치를 인정하고 심화하여 제시한 것이다. 작가론적 관점과 수용론적 관점에서 바라 본 황진이 시조의 교육 방안은 현행 교육 과정에서 다루어지지 않은 새로운 교육 방안으로서 황진이의 독자적인 시조 문학의 특성을 알 수 있도록 하였다. 황진이의 기녀로서의 모습과 여성 작가로서의 모습을 일화와 한시 작품으로 제시하여 삶과 문학과의 관계를 알 수 있도록 하고, 이것을 바탕으로 대중 매체에서 그려지고 있는 황진이의 모습을 비판적으로 분석해 보는 내면화 단계에 이르도록 하였다. 이러한 황진이 시조의 효율적인 교수 · 학습 방안의 모색은 황진이의 기녀 시조로서의 독자적인 시조 문학을 수용하고 창작하는 데 있어 심층적이고 다각적인 학습 활동을 제시한다. This study shows educational value of Hwang jin-yi's poem and contributes to offer effective teaching methods to make students understand the original feature of literature, the poem of Hwang's. In this poem, Hwang jin-yi, as a prostitute, expressed her emotion with positive view of people's desire, unlike many other high official poems. To be sure, the Hwang's poem reveals affection and nostalgia as a topic. However this poem is different from others in the aspect of the ways to display the feelings. I in these reasons, Hwang's poem is learned frequently by many students. And the literature 7th curriculum considers it important and valuable work. Now, we need to have new methodology in order to study the character of this creative poem. It is because that present curriculum deals with this poem compared to other poems of harlot's life. This study shows teaching method in the work itself according to the recent 7th curriculum. Furthermore, we study the poem in the face of the point of view writer and reader. Firstly, in the view of the work, we stress the difference of its contents through comparison to other high birth poems. That is to say, we focused the Hwang's expressional ways. This means that we discuss the poem which is considered well in now curriculum in positive. Secondly, the method of Hwang's poem in the view of writer and reader can help students know the original feature in her poem. For example, students can understand the relation both people's life and literature by studying an anecdote of the work, through the life of Hwang jin-yi as both a prostitute and a female writer. After that, students can also come to internalization by critically analyzing the life of Hwang jin-yi which described in mass media. To conclude, the studying of teaching method with Hwang jin-yi's poem can contribute to make profound and various activities in learning and creating the original literature as the poem of story of life as a prostitute.

      • S. Prokofiev의 피아노 소나타 제2번 d단조, Op. 14에 관한 연구

        박윤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1998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논문은 필자의 석사 과정 이수를 위한 졸업연주 곡목 중 프로코피에프(Sergey Prokofiev:1891-1953 )의 피아노 소나타 제 2번, 4 단조, Op. 14에 관한 연구이다. 프로코피에프는 20세기 현대 음악에 있어서 러시아를 대표하는 작곡자이자 뛰어난 피아니스트이다. 프로코피에프의 음악의 특성은 신고전주의와 그 자신의 독특한 현대적 음악언어의 조화라고 할 수 있다. 그의 창작의 방향을 제시하는 5가지 요소는 고전적인 요소, 혁신성, 동력적 요소, 서정성, 그리고 기괴함이다. 이러한 요소들은 그의 작품 전반에 걸쳐 나타난다. 피아노 소나타 제 2번, d 단조, Op.14는 그의 초기 작품이다. 본 작품은 전체 4악장 구조로 되어있는데, 제 1악장과 4악장은 제시부, 발전부, 재현부와 종결구를 갖는 전통적인 소나타형식을 취하고 있으며, 제 2악장은 복합 3부 형식을, 그리고 제 3악장은 복합 2부 형식을 취하고 있다. 이 곡의 특징으로는 제 4악장의 발전부에서 제 1악장의 2주제가 다시 사용되는 순환형식을 보여주고 있으며, 선율에서의 도약진행, 불협화음, 갑작스런 전조, 동형진행, 잦은 박자의 교체, 복조성, 복박자, 그리고 리듬에서의 당김음이 프로코피에프의 음악적 특징들을 보여주고 있다. 그리고 프로코피에프의 다른 작품에서와 마찬가지로 화성이 조성음악을 완전하게 벗어나지는 않았으며, 작품 전반에 그의 5가지 요소들을 잘 나타내고 있다. 본 연구를 통하여 프로코피에프가 고전소나타 형식을 계승하고 자신의 새로운 음악적 요소를 첨가하여 새로운 가능성을 제시했음을 알 수 있다. This thesis is written to study analytically the repertoire performed by the author at the required as a partial fulfillment for the Master's degree is S. Prokofiev's Piano sonata in d minor, Op. 14. representative Russian composers and pianists in features of his work are the coordination between Neoclassicism and his own unique modem musical language. His lines of compositions comprise of five elements. These are classical factors, innovations, motor elements, lyricism and grotesqueness. This piano sonata in d minor, composed in his earlier period, was based on the form of traditional classical sonata. However. it has his own characteristic musical innovations in some aspects. It has four movements. The first and the fourth movement are in the traditional sonata form _ which comprises an exposition, a development, a recapitulation and a coda. The second is in compound ternary form, the third in compound binary form The development of the fourth movement uses the subordinate theme of the first movement, which shows a cyclic relation and results in an organic unity. Frequent uses of wide leaps in the melodies, diatonic and chromatic scales, the strong dissonance the sudden modulation, the sequence, and highly syncopated rhythmic pattern are here utilized in most effective and expressive manner in his distinguished work of art. Through this study, I find that Prokofiev succeeded to classical sonata, created new sound and made his new musical features by adding his originality to the classical tradition and made a great contribution in expanding the capability of the piano.

      • 무용전공대학생의 취업환경변화에 따른 교과과정의 개선방안

        박윤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4년제대학 무용학과 졸업생들의 진로선택에 있어서 어떠한 교육과정이 도움이 되었고, 또한 어떠한 교육과정을 필요로 하는지 설문조사를 통하여 알아봄으로써 현행 대학무용교육과정의 문제점을 살펴보고, 무용전공대학생들의 취업환경변화에 따른 교과과정의 개선방안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무용학과를 졸업한 졸업생 2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는데, 설문조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무용학과 졸업 후 현재 활동분야는 무용교육자(교수, 교사, 학원강사 등. 51.9%)가 가장 높았으며, 무용수(무용단 단원 등. 11.6%), 대학원진학(7.5%)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취업준비의 장애요인으로는 취업에 관한 정보부족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전공실기부족, 학점저조, 신체조건 순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취업준비의 정보원으로는 주위의 선배나 동료, 교수추천 순으로 나타났으며, 취업준비를 위해 대학교육 이외의 사교육의 비율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무용학과 교과과정의 만족도 및 취업관련성과 기여도에서는 무용학과 졸업생들은 무용학과를 전공한 것에는 만족하지만, 사회진출과 관련된 인접과목의 부족 등 교과과정의 개선을 필요로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무용학과의 진로 및 취업선택에 있어 교과과정의 문제점으로 직업선택의 제한성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그리고 이론과목의 만족도에서도 무용작품 및 안무과정에 관한 교과목이 다양한 진로선택에 별 도움이 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새로운 진로를 희망하는 직종으로 안무가, 무용수트레이너, 연출자 등의 무용지도자와 무용경영·기획·마케팅, 무대장치·의상 등의 공연관련 전문인으로 무용전공과목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았다. 여섯째, 전공실기 외 취업경향에 대해서는 전체 응답자 70%의 응답이 활발하지 않다는 의견으로 이것은 전공과목 외에 무용과 관련된 새로운 정보가 미비하며 대학 내의 전공과목에만 치중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상의 설문조사결과를 종합하면 각 대학들은 무용전공대학생의 취업환경변화에 따라 다음과 같이 교과과정을 개선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로 생각한다. 첫째, 취업준비의 가장 큰 장애요인이 취업에 관한 정보부족이므로 저학년 때부터 졸업 후 진로에 대한 설명회 등을 개최하거나 지도교수의 진로상담 등을 통해 학생들에게 취업에 필요한 정보를 적극적으로 제공해야 한다. 둘째, 급변하는 사회속에서 무용과 관련되어 이 사회가 필요로 하는 인력을 배출할 수 있도록 교과과정을 탄력적으로 운영해야 한다. 예를 들면, 최근들어 사회적으로 이슈가 되고 있는 째즈, 요가, 필라테스, 댄스스포츠 등 사회무용분야에 대한 인력을 배출할 수 있도록 이에 필요한 교과목을 신설해야 한다. 셋째, 무용학과 내의 전공과 타 학과와 연결된 교과목을 개설하여 학문의 장을 넓힘으로써 무용학과 졸업생들이 다양한 분야에 진출할 수 있는 역량을 강화해야 한다. 예를 들면, 최근에는 무용경영·기획·마케팅과 무대기술·의상 등 공연관련 전문인력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기 때문에 경영학과 등 타 학과와 연결된 교과목을 개설할 필요가 있다.

      • 초등학교 2015 개정 교육과정의 통합교과에 나타난 다문화교육 내용 분석

        박윤희 광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이 연구는 초등학교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라 학교 현장에서 다문화교육이 어떻게 구성되어 실행되는지 알아보고, 문제점과 개선방향 제시를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하여 초등학교 2015 개정 교육과정의 1, 2학년 통합교과에 나타난 다문화교육 내용을 분석하고자 하였으며, 이 연구 목적에 따라 다음과 같은 두 가지의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첫 번째는 ‘초등학교 1, 2학년 통합교과에서 제시하고 있는 다문화교육 내용 요소는 어떠한가?’ 이며, 두 번째는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 제시된 핵심 역량에 관련하여 초등학교 1, 2학년 통합교과에 나타난 다문화교육 내용은 어떠한가?’ 이었다. 이를 위해 다문화교육 내용 요소를 문화, 협력, 반편견, 정체성, 평등, 다양성 등 6가지로 나누어 초등학교 2015 개정 교육과정 1, 2학년 통합교과의 내용과 삽화에 나타난 다문화교육 내용을 정리하고, 핵심역량에 따른 다문화교육 내용을 정리하여 결과를 분석하였다. 첫 번째 연구 결과에 의하면, 초등학교 2015 개정 교육과정의 통합교과에서 1학년에서는 ‘협력’이, 2학년에서는 ‘다양성’이 가장 중요한 요소로 분석되었다. 2009 교육과정에 비해 사회변화의 다양한 양상을 나타내고 있다. 두 번째 연구 결과에 의하면,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 제시된 핵심 역량의 평가 기준에 따른 다문화교육 내용을 살펴보면 ‘다양성’과 ‘협력’이 가장 높은 관련을 보였다. 협력 학습을 통한 공동체 역량 신장과 적절한 자기표현을 통한 자기관리 역량의 신장, 생각 나눔의 협의문화를 통한 의사소통 역량의 신장이 초등학교 저학년 학생들에게 꼭 필요한 역량으로 분석되었다. 이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교 1, 2학년 통합교과는 저학년 학생들의 특성상 주제 중심의 통합학습이 이루어지는데 교사는 ‘학교(나)’, ‘가족’, ‘이웃’, ‘나라’ 등의 주제에서 다문화적인 견해를 가지고 차별 없이 모든 학생을 지도해야 한다. 둘째, 초등학교 1, 2학년 교과 내용이지만, 다문화교육의 기본이 될 수 있는 ‘인권’과 ‘반편견’에 대한 내용 요소의 보충이 필요하다. 셋째, 초등학교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는 학생 개개인의 역량을 키워 스스로의 삶을 개척할 수 있도록 다문화교육 내용 요소 중 ‘다양성’과 ‘협력’의 중요성을 알고 수업 속에서 실천해 나가야 할 것이다. 이 연구의 후속 연구를 위해 제언을 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교 2015 개정 교육과정의 1, 2 학년 통합교과의 내용은 지역이나 학급의 실정에 알맞게 교육과정을 재구성할 필요가 있다. 특히 다른 나라의 문화를 받아들이고 이해하는 것에서 더 나아가 생활 속에서 나눔과 협력의 기회를 제공하고, 교실 수업 속에서 존중과 배려의 경험이 넘치도록 학급의 분위기를 유도해야 할 것이다. 둘째, 1, 2학년 통합교과 다문화교육 내용을 살펴보면 다문화아동이 점점 증가하고 있는 현재의 교육 현실에서 우리나라 전통문화만을 집중하는 다수의 정체성을 강조하는 것이 아닌 소수의 정체성에도 관심을 갖는 시각이 필요할 것이다. 셋째, 이 연구는 초등학교 2015 개정 교육과정의 1, 2학년 통합교과를 분석한 것으로 모든 교과를 분석한 것은 아니다. 2018년 보급된 3, 4학년 교육과정과 2019년에 보급될 예정인 5, 6학년의 교육과정과 분석을 통해 학습 장면에서 다문화교육 내용의 구성을 확인하는 것이 필요하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