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한국 현대시에 나타난 기독교적 세계관 연구 : 김현승·박목월의 후기시를 중심으로

        박원미 강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47

        This study being a comparative research in the world of literary works religious poems in particular of Kim hyun-Seung and Park mok-wol, who influenced Korean literature significantly by their Christia-nity-oriented works. Kim hyun-Seung is known to be a symbolic character in our modern Christian society. From Kim hyun-Seung, a Christian poet, we can learn the way he expresses his view of the world around us. As a Christian, writer and reader of poems, similarly to Kim hyun-Seung, Park mok-wol is an important character which appears in the study of modern poems from the chrisitian perspective. Till now, past discussions have lead to the conclusion that like Kim hyun-Seung, it is a shame Park Mok-wol’s chrisitian views cannot be expressed through his poems. For that reason I have studied and organized the similar qualities of the two poets Kim hyun-Seung and Park Mok-Wol. It this time appeared a poet, Mr. Kim & Park as a writer who cultivated a religons literature. What a proud it is!

      • 차분방정식

        박원미 仁荷大學敎 敎育大學院 2002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논문에서는 차분방정식 정의 및 동차와 미동차 차분방정식의 차이를 알고 우선 1계 선형 차분방정식의 해를 구했다. 이를 확장하여 고계차분 방정식일 경우 일반적인 해를 구하는 방법을 살펴보았다. 또한 확률변수의 경우 차분방정식의 해를 반복대입법을 통해 구해보았다. 이를 통해 차분 방정식의 해를 구하는 방법을 알아보고 연립차분방정식으로 확장하여 해를 구하였다. In this paper, we acquired that the definition of a difference equation and the difference between homogeneous and nonhomogeneous difference equation. also we got a solution of the first linear difference equation. And we found the method for a common solution of difference equation of higher order. Through that, we studied how to get an answer the difference equation and simultaneous difference equations.

      • 논증구조 수업설계 프로그램을 통한 예비 지구과학 교사의 과학논증 PCK 발달 모델 연구

        박원미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247631

        논증은 과학이 가진 논리 체계이자 과학적 의사소통의 수단으로서, 과학교육에서 그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과학수업은 교사가 논증을 통해 학생을 대상으로 지식 주장을 설득하는 의사소통의 과정이기도 하다. 따라서 논증과 관련된 PCK는 과학교사가 반드시 갖추어야 할 전문성 중 하나이다. 일상의 논증활동을 분석하기 위해 많이 활용하는 논증 형식으로는 툴민(S. Toulmin)이 제안한 논증구조가 있다. 과학교육 연구에서도 교사나 학생의 논증활동 분석에 툴민의 논증구조가 많이 활용되고 있으며, 논증에 기반을 둔 과학교사의 PCK에 관한 연구도 양산되고 있다. 그러나 기존 연구들은 대부분 학생의 논증활동을 지원하는 데 초점을 맞추고 있으며, 과학교사의 PCK 개발 방법의 일환으로 논증 관련 PCK를 연구한 사례는 찾아보기 어렵다. 이러한 맥락에서 과학교사의 수업 전문성 함양을 위해 논증구조를 활용할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논증구조 수업설계 프로그램을 경험한 예비 지구과학 교사의 PCK 발달을 탐색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논증구조 수업설계 프로그램은 논증구조를 교수적 추론 도구로 활용하여 수업을 설계하고 반성하는 과정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논증구조 수업설계 프로그램에서 예비 지구과학 교사가 작성한 교수학습지도안에 나타난 논증 수준은 어떠한가? 둘째, 논증구조 수업설계 프로그램을 경험한 예비 지구과학 교사가 보여준 PCK 구성요소의 특성은 어떠한가? 셋째, 예비 지구과학 교사들이 나타낸 PCK 발달 양태로부터 도출한 과학논증 PCK 발달 모델은 어떤 특징을 지니는가? 연구 방법으로는 논증구조 수업설계 프로그램에 참여한 20명의 예비 지구과학 교사들이 개발한 교수학습지도안을 분석하고, 예비교사들과 대상으로 개별 심층 면담을 진행하였다. 본 연구는 근거이론에 기반을 둔 질적연구로, 교수학습지도안과 면담 자료는 각각 내용분석방법과 근거이론에 따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 번째 연구 문제인 교수학습지도안에 나타난 논증 수준 분석 결과를 살펴보면, 예비교사들은 1차 교수학습지도안에 비해 최종 교수학습지도안에서는 더 많은 논증요소를 반영함으로써 논리적으로 짜임새를 갖춘 수업을 설계하였다. 또한, 교과서나 교육과정에서 모든 논증요소들이 명시적으로 제시되지 않은 수업주제의 경우에는 예비교사들이 일부 논증요소를 교수학습지도안에 명확하게 반영하지 못하였다. 두 번째 연구 문제인 논증구조 수업설계 프로그램을 경험한 예비 지구과학 교사가 보여준 PCK 구성요소별 특성을 살펴보면, 기존 연구에서 제시된 다양한 PCK 구성요소들과 함께 ‘과학논증 PCK’가 특징적으로 나타났다. 과학논증 PCK란 본 연구에서 새롭게 도출한 것으로 논증구조를 적용한 수업 설계와 실행 과정에서 논증요소 및 지식 주장의 정당화 과정을 고려하고 반영하는 등과 관련된 PCK를 뜻한다. 과학논증 PCK는 기존 연구에서 제안된 논변특이적 PCK, 과학 논증활동에 관한 PCK 등과는 구별된다. 세 번째 연구 문제인 예비 지구과학 교사들이 나타낸 PCK 발달 양태와 관련하여 ‘과학논증 PCK 발달 모델’을 근거이론을 통해 도출하였다. 과학논증 PCK 발달 모델은 과학논증 PCK, PCK 생태계, 반성적 실천 등 세 가지 차원으로 구성된다. 과학논증 PCK는 논증구조를 교수적 추론 도구로 활용하여 수업을 설계하거나 실행하는 과정에서 발휘된다. PCK 생태계는 기존의 통상적인 PCK 구성요소로 이루어지며, 과학논증 PCK를 둘러싸고 있는 차원으로, 이들 두 차원은 서로 상호작용하며 발달한다. 반성적 실천 차원은 과학논증 PCK와 PCK 생태계라는, 두 차원을 매개함으로써 각각의 차원을 조절하고 다양한 양태로 발달시킨다. 연구 결과를 토대로 도출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수업설계에 논증구조를 활용함으로써 예비 과학교사들이 작성한 교수학습지도안의 논증 수준이 높아졌으므로, 논리적인 과학수업 설계를 위한 도구로 논증구조를 활용할 필요가 있다. 둘째, 예비 과학교사가 작성한 교수학습지도안의 논증 수준은 교과서 및 교육과정에 제시된 논증요소를 벗어나지 못하므로, 논증구조를 활용한 과학수업 설계를 위해 예비 과학교사의 교육과정 재구성 역량을 함양할 필요가 있다. 셋째, 예비 과학교사들은 논증구조를 교수적 추론 도구로 활용하여 수업을 설계하거나 실행하는 과정에서 논증요소 및 지식 주장의 정당화 과정을 고려하고 반영하는 등과 관련된 과학논증 PCK를 발휘한다. 넷째, 예비 과학교사들이 논증구조를 활용한 수업설계 과정에서 다양한 PCK 구성요소들을 고려하고 있는 것을 볼 때, 수업을 설계하고 준비하는 단계에서부터 예비 과학교사들이 관련 PCK를 개발할 수 있도록 논증구조 수업설계 프로그램 등을 개발・보급할 필요가 있다. 다섯째, 과학논증 PCK를 통해 다양한 PCK 생태계 구성요소들이 발달할 수 있으므로, 과학교사의 PCK 개발을 위해 과학논증 PCK와 같은 교수적 추론 도구와 관련된 PCK 개발이 선행될 필요가 있다. 끝으로, 과학논증 PCK는 반성적 실천을 유발하여 PCK 생태계 구성요소의 발달을 촉진하므로, 예비 과학교사의 반성적 실천을 지원하기 위해 과학논증 PCK를 활용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과학교사의 교수적 추론 도구로 논증구조를 활용할 때 나타나는 과학논증 PCK 발달 모델을 도출한 점에서 기존 연구와 차별화된다. 향후 과학논증 PCK 발달 모델이 수업 실천에서 어떻게 구현되는지를 포함하여 과학논증 PCK에 관한 다양한 후속 연구와 과학논증 PCK 함양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 연구가 필요하다.

      • 대학도서관 사서의 계속교육에 관한 연구 : 광주․전남․북 지역을 중심으로

        박원미 전남대학교 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7631

        도서관 환경의 변화 속에서 대학도서관 역할 수행을 위한 서비스의 질적 향상은 사서의 계속교육을 통해서 성취될 수 있다. 이 연구는 사서의 계속교육에 대한 중요성을 인식하여 광주·전남·북 지역 대학에 근무하는 사서들에 대한 계속교육 실태에 대한 조사를 통해 대학도서관 사서의 계속교육의 문제점을 파악하여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문헌연구와 사례조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문헌연구에서는 계속교육에 대한 선행연구와 정보화사회의 정의, 특성, 대학도서관 기능, 사서의 역할 그리고 계속교육의 필요성과 계속교육이 나아갈 방향을 고찰하였다. 사례조사에서는 미국과 한국에서의 도서관 전문단체에서 실시하고 있는 계속교육 활동에 대해 소개하였다. 설문조사는 광주·전남·북 지역 도서관 30개교에 재직중인 관리자, 실무자들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설문지는 계속교육에 대한 사서의 인지도, 계속교육의 저해요인 및 개선점 그리고 계속교육을 활성화시킬 수 있는 요인을 살펴봄으로서, 대학도서관 사서의 계속교육이 어떻게 변화되어야 하는지를 제시해 보고자 하였다. 조사가 완료된 설문지는 SPSS/PC+ Window 12.0 팩키지를 이용하여 기술통계, 빈도분석, t-검정 그리고 일원변량분석(Oneway-ANOVA)을 이용하였다. 이 연구의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광주·전남·북 지역 대학도서관 사서들은 계속교육의 필요성에 인지도는 높으나, 실제 참여율은 58.5%로 저조한 수준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2000년 이전까지의 국내 선행 연구에서 밝힌 3년에 1회 정도의 참여율 보다는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계속교육의 참여율이 높아진 이유는 계속교육을 통해 업무 추진 능력이 향상되었다는 응답이 77.7%에 이르는 조사 결과에서 찾을 수 있다. 계속교육의 참여 프로그램은 협(학)회에서 실시하는 세미나 및 워크숍의 참여율이 높게 나타났으며, 계속교육에 참여하는데 장애요인으로는 시간·거리상의 제약, 행정 및 정책상의 문제, 경영자의 인식 부족 순으로 나타났다. 이는 대다수의 계속교육이 조사지역과 거리가 먼 수도권에 집중되어 있고, 아직까지도 많은 소속기관의 계속교육 정책과 행정적인 지원이 매우 부실하다고 할 수 있다. 또한, 국·공립대학도서관보다는 사립대학도서관의 조직 환경(사서 인력 부족)및 행정적인 지원이 미흡함을 알 수 있다. 대학도서관 사서들은 이용자 교육, 정보검색, 가상 디지털 참고봉사, 전자저널, 라이선스 등의 도서관 패러다임의 변화를 반영할 수 있는 교육 프로그램 주제에 관한 선호도가 높게 나타났으며, 이는 이용자중심의 정보, 전자서비스 정보 항목이 중요시 되고 있기 때문이라고 하겠다. 이상의 분석과정에서 도출된 문제점을 바탕으로 국내 대학도서관 사서들을 위한 계속교육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도서관은 계속적이고 체계적인 지원체제가 이루어져야 한다. 둘째, 대학도서관 특성에 따른 요구 사항을 충분히 반영하여 시행할 수 있는 국가적인 차원에서 계속교육 전담기구가 설치되어야 한다. 셋째, 계속교육 활성화를 위해서는 대학도서관 사서들이 실제로 관심을 두고 있는 교육 주제의 선정이 가장 중요하다. 넷째, 계속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적극적인 홍보가 필요하다. 다섯째, 온라인 교육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며, 이를 적극적으로 활용해야 한다. 여섯째, 계속교육에 참여할 수 있는 환경 조성을 위해서는 경영자의 계속교육에 대한 인식의 제고와 함께 제도개혁 및 행정 지원을 통해 사서들이 계속교육에 참가할 수 있도록 하는 법적인 강제성을 둘 필요가 있다. This study is the investigation for the continuing education of librarians who are at the university library placed in Gwangju, Chonnam, Chonbuk area. this study has the object of proposing the revitalization of continuing education for the librarians and finding the problems with this education. To accomplish the purpose, literature studies and research surveys were carried out. It was considered with precedent cases about continuing education, a definition of information society, functions of university library, a role of librarians and needs of continuing education in literature studies. It is made a description of operations about continuing education of the library organizations in America and Korea. The survey was conducted with librarians worked at 30 university libraries in Gwangju, Chonnam, Chonbuk area. For the survey, It is made an analysis of recognition proportions of librarians about continuing education and obstacles of that. It is come up with an answer about revitalization of that. The questionnaire completed were processed with the SPSS Window 12.0 program to find descriptive statistics, frequency analysis, T-test, and One-way ANOVA. The results are as follows; It shows that librarians in Gwangju, Chonnam, Chonbuk area have a need of continuing education like a lot but it appears that the participating proportion is a low as 58.5% . However, it shows that the participating proportion is higher than the domestic studies before 2000 that respondents said to participate in that once per three years . The reason is found in 77.7% of respondents said the ability of affairs is improved. They have highly participated in a seminar and a workshop of continuing education programs. The obstacles when they participate in continuing education are a restriction of time and distant, a matter of policy and a lack of executive's recognition about continuing education in order. Also, a support of policy is more weaken in a private university than in a national university. The plans for revitalizing continuing education are as follows; First, the library must be gotten to make a systematic supporting system in continuing education. Second, an agency fully committed to continuing education has to be launched by the government. Third, it is important that educational contents what librarians have a interest in are selected to revitalize continuing education. Fourth, it is necessary for continuing education to showcase actively. Fifth, it is necessary to develop online education programs and it has to be gotten the most out of. Sixth, to make the circumstances that librarians participate in continuing education, the executives must have a mind for it and continuing education has to be considered to enforce it on librarians by the law.

      • 거북선 선형의 저항 및 조종성능에 관한 연구

        박원미 조선대학교 2003 국내석사

        RANK : 247631

        In this paper, the results of feasibility study on the application of turtle boat hull form to the incinerating vessel has been presented concentrating on the experiential study. The scope of model tests were resistance, trim and sinkage and wave observation. If the turtle boat hull form is applied in actual incinerating vessel hull form, it will contribute not only to sea pollution prevention but also to attract tourist by its outstanding shape of hull form.

      • 국가연구개발사업의 공동연구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산업융합원천기술개발사업을 중심으로

        박원미 과학기술연합대학원대학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Since 2000's, basic research and fundamental technology research have been emphasised in Korean national R&D programme. Basic research and fundamental technology research have lots of uncertainty. In resource-based view, each actor has heterogeneous resource and they overcome uncertainty by collaborative R&D that is a kind of alliance. Therefore importance of collaborative R&D is growing. This study aims to analyse factors affecting performance of national collaborative R&D project for fundamental technology especially focusing on project characteristics and research actors' characteristics. Data collected from 262 'Industrial Convergence Core Technology R&D Programme' is analysed using ANOVA, ANCOVA and Negative Binomial Regression. The empirical results summarised as follows. First, performance of fundamental research depend on government's policy of R&D. R&D expenditure affects the performance of fundamental research. Technological characteristics of R&D project isn't statistically significant factor. Second, the ratio of private investment makes negative effect to performance of R&D. Investing fundamental research is the risk of firms because It has uncertainty and time lag to commercialise fundamental technology. Third, R&D performance hav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y the type of research managing organisation. Following the ANCOVA results, university and research institute have much more papers and university also has much more patents than firms. It means that each type of research actor has capabilities of making different type of performance. Fourth, number of actors and diversity of actors are effect factors of performance of R&D. Following the regression result, number of actors has positive effect to number of papers. ANCOVA results show that number of papers hav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y diversity of actors. In resource-based view, each actors have heterogeneous R&D resource and they can make scientific knowledge using complementary resources. Publication of papers is the way to diffuse of new knowledge and it is reason that number of actors has positive effect to number of papers. This study gives policy implications to policy makers and research actors. The policy makers need to choose the strategic field and make concentrated investment portfolios for fundamental R&D. And they need to design appropriate performance type and ratio of private investment to the purpose of each project. It gives information to actors for making suitable collaborative R&D consortium: to choose a type of research managing organisation, the number of actors, the diversity of actors and so on. 경제·산업의 구조가 지식기반으로 변화하면서 연구개발을 통한 국가경쟁력 확보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다. 한국은 국가연구개발사업에 적극적으로 투자하고 있으며, 2000년대 이후 국가연구개발사업의 성격은 선진국 추격형 연구개발에서 기초·원천기술개발을 중심으로 변화하고 있다. 기술과 시장 환경의 불확실성이 높은 기초·원천연구를 수행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혁신주체가 보유한 지식의 통합능력이 중요하다. 이에 따라 공동연구의 중요성이 증가하고 있으나 공동연구의 성과 제고를 위한 구체적인 방법을 제시하는 실증분석은 미비한 실정이다. 본 논문은 원천기술 개발을 목표로 하는 국가연구개발사업의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객관적 자료를 통하여 실증분석 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특히 과제 특성과 공동연구 협력체계에 초점을 맞추어 성과요인을 확인하였다. 우선, 문헌연구를 통해 국가연구개발사업, 공동연구, 연구개발의 성과에 대한 개념 및 이론적 배경을 확인하고 연구개발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크게 과제특성과 연구수행주체특성으로 제시하였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연구개발성과는 1차적 성과인 논문수와 특허수로 나타내었으며, 과제특성을 나타내는 변수로 대상기술의 산업분야 및 기술수명주기, 과제계약 시 민간투자비중을 사용하였다. 연구수행 주체특성을 나타내는 변수로는 주관기관 유형, 연구수행주체의 수, 연구수행주체 다양성을 선택하여 국가연구개발사업을 공동연구로 수행하는 경우 협력체계 구성이 연구개발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실증분석은 ‘산업융합원천기술개발사업’의 세부사업인 ‘로봇융합 원천기술개발사업’, ‘바이오·의료기기융합원천기술개발사업’, ‘산업소재융합원천기술개발사업’을 통해 2011년 지원받은 378개 과제 중 2011년에 성과가 발생한 262개 과제를 대상으로 분산분석, 공분산분석 및 음이항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산업분야, 기술수명주기와 같은 기술적 특성은 원천기술개발을 목적으로 하는 연구개발성과에 유의한 차이를 주지 않으며, 총 연구개발비 규모에 영향을 받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 다른 과제특성인 민간투자비율은 연구개발성과에 부정적 영향을 미침을 확인하였다. 주관기관유형별로 살펴보면 기업 보다 대학, 연구기관이 더 많은 연구개발성과를 보였으며, 연구수행 주체의 다양성에 따라 논문성과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확인하였다. 그러나 특허성과에서는 연구수행주체 다양성에 따른 유의미한 차이를 확인할 수 없었으며, 음이항 회귀분석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인과관계를 확인하지 못하였다. 연구수행주체 수는 논문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으며, 특허성과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원천기술 개발을 목적으로 하는 국가연구개발 사업의 성과가 기술의 특성 보다는 국가의 전략기술 선택과 연구개발 자원의 집중 투자와 같은 과학기술 정책적인 측면에 더 큰 영향을 받으며, 시장에 적용되기 까지 오랜 시간이 걸리는 특성으로 인해 기업체 보다는 대학 또는 연구기관이 주관할 때 더 많은 성과를 낼 수 있음을 보여준다. 그러나 공동연구 협력체계의 영향은 성과의 종류에 따라 다른 양상을 보이고 있다. 성과의 전유성보다 확산에 초점을 둔 논문성과의 경우, 다양하고 많은 연구수행 주체가 연구에 참여할 때 더 많은 성과를 낼 수 있다는 결과를 보였다. 그러나 성과의 전유성에 초점을 둔 특허성과의 경우, 다수의 연구수행주체가 연구개발에 참여하여 특허성과를 공유하게 되면 각 주체의 ‘전유성’이 감소하는 문제가 발생하여 성과제고에 영향을 주지 않는 것을 보여준다. 본 연구결과는 학술적, 실무적 시사점을 제공한다. 학문적 시사점으로는 첫째, 연구공백이 존재하던 원천연구 분야의 연구개발 성과 영향요인을 실증분석을 실시하였다. 둘째, 연구수행주체 다양성을 국가연구개발 조사·분석 자료를 활용하여 측정 가능한 변수로 정의하고 연구에 사용하였다. 셋째, 원천기술 개발을 위한 공동연구 파트너 선택시 선호도를 확인하였다. 실무적으로는 국가과학기술연구개발사업을 기획하는 정책입안자 또는 연구개발과제를 수행하고자하는 연구자에게 원천연구개발을 위한 국가연구개발사업 기획의 방법과 공동연구 협력체계 구축전략의 구체적인 방법을 제시하는데 그 의의가 있다. 그러나 본 연구는 단년도 및 한정적인 성과측정 데이터를 사용하여 연구를 수행하였다는 한계를 가지며, ‘연구수행주체 다양성’이라는 변수의 영향이 일관된 결과를 보이지 않아 변수측정의 적절성에 한계가 있다. 향후 장기간에 걸쳐 확보한 데이터를 통한 종단연구 (Longitudinal study)를 통해 원천기술 연구개발에 시간이 미치는 영향을 고려한 후속연구가 필요하며, 객관적인 자료를 활용하여 연구수행주체의 다양성을 더욱 적절하게 측정할 수 있는 지표개발에 대한 후속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 전남 신안군 사옥도와 송도 지역에서 산출된 후기 백악기 척추동물 발자국 화석과 생흔 다양성

        박원미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Diverse vertebrate tracks were discovered from the Cretaceous unnamed strata, dated as 79-84 Ma, Saok and Song Islands, Shinan County, Jeollanma-do, Korea. Totally six kinds vertebrate tracks at the level of the inferred track-maker’s order/suborder such as pterosaur, anuran (frog and unidentified tetrapod), sauropod, ornithopod, theropod, and bird tracks have been discovered from the Upper Cretaceous strata in the study area. Small-sized pterosaur track and Pteraichnus ichnosp. were newly discovered and described from three measured sections. The frog tracks were first discovered in Asia. Ranipes saokensis ichnosp. nov., Ranipes ichnosp. indet. type 1 and type 2 were described here. These three types of frog tracks represent the third fossil example in the world and second from Mesozoic. In addition, these represent the oldest, most abundant and diverse frog tracksite in the world. An unidentified tetrapod trackway, which may have been made by a walking anuran, was also found and described from the same horizon of R. saokensis ichnosp. nov. Moreover, bird tracks belonging to five ichnogenera, Uhangrichnus chuni, Ignotornis ichnosp., Jindongornipes ichnosp., Goseongornipes ichnosp., and Koreanaornis ichnosp., were found from the study area along with sauropod, ornithopod, and theropod tracks previously reported. The vertebrate ichnodiversity of the study area is the second highest when comparing it with the National Natural Monument Cretaceous vertebrate tracksites; Jinju, Haman, Namhae, Sacheon, Goseong, Hwasun, Haenam, Gunsan, and Yeosu in Korea. The vertebrate ichnodiversity of the study area is one of the highest when comparing it with the globally-famous Cretaceous vertebrate tracksites and the track-bearing formations, in China, USA, Canada, Spain, Portugal, Australia, England, and Germany. 전남 신안군 지도읍 사옥도와 송도의 후기 백악기 지층(79-84 Ma)에서 다양한 척추동물 발자국 화석이 발견되었다. 발자국을 남긴 것으로 추정되는 동물의 종류를 목(Order) 또는 아목(Suborder)을 기준으로 하면, 모두 6종류의 척추동물 발자국 화석이 연구 지역의 후기 백악기 지층에서 발견되었다; 익룡, 무미류 (개구리 및 정체불명의 사족동물), 용각류, 조각류, 수각류, 조류. 모두 4곳의 조사 구역 중 3개의 구역에서 소형 익룡 발자국과 중형의 Pteraichnus ichnosp.이 새로 발견되어 기재하였다. 개구리 발자국 화석은 아시아에서는 최초의 발견이며, 신종 Ranipes saokensis ichnosp. nov., Ranipes ichnosp. indet. type 1과 type 2로 기재하였다. 이 연구에서 기재한 이들 세 가지 유형의 개구리 발자국은 화석 기록으로는 세계적으로 세 번째이며, 중생대에서는 두 번째 기록이다. 뿐만 아니라, 이곳의 개구리 발자국 화석은 세계에서 가장 다양하고 풍부하며, 가장 오래된 것이다. 걷는 무미류에 의해 남겨졌을 것으로 추정되는 사족동물 보행렬도 R. saokensis ichnosp. nov.와 같은 층준에서 발견하여 이를 기재하였다. 또한, 기존에 보고된 용각류, 조각류, 수각류 발자국과 함께, Uhangrichnus chuni, Ignotornis ichnosp., Jindongornipes ichnosp., Goseongornipes ichnosp., 그리고 Koreanaornis ichnosp. 등 5개의 생흔속에 속하는 새 발자국 화석이 연구 지역에서 발견되었다. 천연기념물로 지정된 백악기 척추동물 발자국 화석 산지인 진주, 함안, 남해, 사천, 고성, 화순, 해남, 군산, 그리고 여수와 비교할 때, 연구 지역의 척추동물 생흔 다양성은 두 번째로 높게 평가되었다. 중국, 미국, 캐나다, 스페인, 포르투갈, 오스트레일리아, 영국, 그리고 독일 등의 세계적으로 유명한 백악기 척추동물 화석 산지 및 화석을 포함한 지층들과 비교할 때, 연구 지역은 척추동물 생흔 다양성이 가장 높은 곳 중 하나이다.

      • 인공지능 수업이 학습 동기와 인공지능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효과 : 언플러그드 학습 중심으로

        박원미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언플러그드 학습을 적용한 인공지능 교수-학습 방법을 개발, 적용하여 학생들의 학습 동기와 인공지능에 대한 태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가설은 다음과 같다. 첫째, 언플러그드 학습법을 활용한 ARCS 전략 수업이 학습자의 학습 동기 유발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 둘째, 언플러그드 학습법을 활용한 ARCS 전략 수업이 학습자의 인공지능에 대한 태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 본 연구는 교수-학습 방법은 총 5차시로 개발되었으며 중학교 2학년 학생 269명을 대상으로 적용하였다. 수업의 주제로 다양한 인공지능의 개념 중 인공지능의 이미지 학습 및 분류를 이해하는 활동을 선택하였다. 이는 언플러그드 학습을 구성하기에 좋은 요소를 가지고 있다고 판단하여 의사결정트리를 활용한 수업을 개발하였다. 또한 모든 교수-학습 과정에서 학습 동기를 향상할 수 있는 요소들을 추가하였다. 언플러그드 학습자료는 CCL이 적용된 수업 자료를 사용하여 학습자의 특성에 맞게 재구성하여 사용하였다. 효과성 측정을 위해 교수-학습 방법을 적용 후 단일집단 사전-사후검사를 실시하여 학습 동기와 인공지능에 대한 태도를 측정하고 JAMOVI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신뢰도 분석과 대응 표본 t-검정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언플러그드 학습을 활용한 ARCS 전략 수업이 중학생의 학습 동기에 유의미한 향상을 보였다. 하위 범주인 주의집중, 관련성, 자신감, 만족감 4가지 영역에서 모두 유의미한 향상을 보였다. 둘째, 언플러그드 학습을 활용한 ARCS 전략 수업이 중학생의 인공지능에 대한 태도에 유의미한 향상을 보였다. 하위 범주인 인공지능 기술 관련 진로 의향, 인공지능 기술에 대한 흥미, 인공지능 기술로 인한 결과 3가지 영역에서 유의미한 향상을 보였으며 인공지능 기술의 지루함, 인공지능 기술의 어려움 2가지 영역에서 모두 유의미한 감소를 보였다. 본 연구는 언플러그드 학습을 활용한 인공지능 교수-학습 방법이 중학교 2학년 학생들의 학습 동기와 인공지능에 대한 태도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학습 동기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는 결과를 통해 시사하는 바는 다음과 같다. 학생들은 언플러그드 학습을 통해 인공지능을 흥미롭게 바라보게 되고, 삶에 관련이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또한 인공지능을 어려운 기술로 인지하지 않고 인공지능에 대해 자신감이 생겼으며 이에 따라 학습의 내재적 만족감을 얻게 되었다. 인공지능에 대한 태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는 결과를 통해 시사하는 바는 다음과 같다. 학생들은 언플러그드 학습을 통해 인공지능 관련 직업의 가치와 인공지능 기술에 대한 흥미 그리고 인공지능이 삶에 있어 얼마나 중요한지 중요성에 대해 높게 인지하게 되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인공지능 교육 관련 언플러그드 수업 자료가 부족한 상황에서 교수-학습 방법을 개발했다는 것과 인공지능 수업과 언플러그드 학습의 효과성 분석이 초등학생 대상 연구가 많은 현재, 중학생을 대상으로 진행한 연구라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is study attempts to find out how the artificial intelligence teaching-learning method applied with unplugged learning affects students' learning motivation and attitudes toward artificial intelligence. The hypothesis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ARCS strategy classes using the unplugged learning method will have a positive effect on learners' motivation to learn. Second, ARCS strategy classes using the unplugged learning method will have a positive effect on learners' attitudes toward artificial intelligence. The teaching-learning method was developed over a total of 5 sessions and applied to 269 students in the 2nd grade of middle school. As the theme of the class, activities to understand the image learning and classification of artificial intelligence among various concepts of artificial intelligence were selected. It was judged that this had good elements to construct unplugged learning, and classes were developed using decision trees. In addition, elements that can improve learning motivation in all teaching-learning processes were added. The unplugged learning materials were reconstructed and used according to the learner's characteristics using class data to which CCL was applied. After applying the teaching-learning method to measure effectiveness, a single group pre-post test was conducted to measure learning motivation and attitude toward artificial intelligence and a reliability analysis and response sample t-test were performed using the JAMOVI program. The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ARCS strategy class using unplugged learning showed a significant increase in the improvement of middle school students' learning motivation. All four subcategories of Attention, Relevance, Confidence, and Satisfaction showed significant improvement. Second, ARCS strategy classes using unplugged learning showed a significant improvement in middle school students' attitudes toward artificial intelligence. There were significant improvements in three areas: job aspirations related to artificial intelligence technology, interest in artificial intelligence technology, and results from artificial intelligence technology, and significant reduction in both areas. This study confirmed that the artificial intelligence teaching-learning method using unplugged learning has a positive effect on improving the learning motivation and attitude toward artificial intelligence of second-year middle school students. Through the results that had a positive effect on learning motivation, the implications are as follows. Through unplugged learning, students were able to look at artificial intelligence interestingly and learned that it was related to life. In addition, rather than looking at artificial intelligence as a difficult technology, I gained confidence in artificial intelligence and thus gained an intrinsic satisfaction of learning. The following are implications from the results that it had a positive effect on attitudes toward artificial intelligence. Through unplugged learning, students became highly aware of the value of artificial intelligence-related jobs, interest in artificial intelligence technology, and the importance of artificial intelligence in life. This is meaningful in that it is a study targeting middle school studen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