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중등학교 수학과 교육과정에서 실생활적용 수업시간 도입의 필요성과 운영방안

        박예성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8639

        This thesis presents a necessity and management plan for the introduction of application class of real-life on the secondary school mathematics curriculum. Application class of real-life is defined by the author. This is a class for applying theoretical mathematic subjects to real-life situations around the student for an hour. Expected effect as it follows: First, students will recognize the value of mathematics, and so motivation will be enhanced. Second, mathematical discovery ability of students will improve in real-life. Third, creativity, problem-solving, critical thinking ability of students can be developed. Fourth, through cooperative learning, communication skills of students will be improved.

      • 원불교 학생회의 상시훈련 프로그램 개발 : 상시응용주의사항을 중심으로

        박예성 원광대학교 원불교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8639

        앞으로 미래 사회를 살아갈 주역인 청소년들에게 시급한 것은 시간의 가치를 알고 생활에 활용하는 방법이다. 시간 관리와 생활 관리라고 하는 것은 개인의 가치관, 정체성, 계획과 실천 능력 등이 총체적으로 반영되는 것이며 이를 통해 인간은 자신이 원하는 삶을 결정하고 추구할 수 있는 동력을 얻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시간의 원리를 터득하고, 시간을 운용하여 생활 관리를 하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니다. 이에 청소년들에게 원불교 교리를 통해 실질적으로 도움이 되는 시간, 생활 관리 방법을 제시하고, 그것을 활용하여 각자의 삶을 주체적으로 살아갈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진리적 안목과 비전을 설정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원불교의 상시훈련법 가운데 ‘상시 응용 주의사항’이라는 주제로 본 프로그램을 구상하였다. ‘상시응용 주의사항’은 6가지 조목으로 동과 정으로 나눌 수 있으며, 정신수 양· 사리연구· 작업취사의 삼학을 골고루 단련하게 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무슨 일이든지 일이 있을 때에는 그 일을 성공시켜 가는 능력을 키우게 하고, 일이 없을 때에는 일이 있을 때를 준비하는 것으로 정신과 육신의 휴식과 안정, 지혜가 밝아지도록 하는 방법을 계속 반복하게 하여 허송시간을 줄이고 소비되는 에너 지를 충전할 수 있는 원리가 ‘상시 응용 주의사항’에 담겨있다. 이를 청소년들이 이해하고 자신의 생활에 활용함으로써 생활의 향상을 가져오고 진취적 삶으로 나아가도록 하는 목적을 가지고 본 프로그램을 진행하였다. 원불교 대종경 변의품 26장의 내용을 바탕으로 총 4회기로 구성하였으며, 익산 모현교당 중학생 4명(학년은 3학년 3명, 1학년 1명이며, 성별은 남학생 2명, 여학생2명)을 대상으로 2016년 5월 21일부터 6월 11일까지 매주 일요일 오후 2시간씩(시간 유동적) 4회기를 시연하였다. 매 회기 시나리오를 바탕으로 PPT와 활동자료를 통해 이론소개, 회화, 연습시간의 시간을 가지며 회별 주제에 대해 심도 있게 이해하고 습득하는 활동을 진행하였으며, 회기별 피드백을 통해 내용을 수정, 보완하며 사전·사후 설문지를 통해 프로그램에 대한 효과성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결과적으로 참여자와 진행자 모두에게 유익한 결과를 얻었으며, 그내용을 본론에 기재하였다. 필자는 이와 같은 프로그램 개발 과정을 통해 본 연구가 가지는 몇 가지 의미를 제시하고자 한다. 첫째, 청소년들에게 원불교 교리 이해에 대한 가능성을 체험하였다. 청소년 교화를 함에 있어 쉽고 단순한 내용만을 전달하는 것이 아니라, 체계적 교리 전달이 가능하다는 것이다. 청소년들의 눈높이에 맞는 전달 방법만 있다면 경전 원문을 그대로 사용하는 것이 장기적으로 보았을 때 더 유용하다고 사료된다. 그 이유는 청소년들이 교리의 내용에 호감을 느끼기도 하고, 필요성을 느끼는 모습을 보였던 점과 교리에 대한 많은 정보를 전달하기 보다 받아들일 정도로 전달을해 주되, 앞으로 교당 활동을 통해 그리고 삶의 체험을 통해 그 의미가 확장될 가능성이 매우 크다는 점을 확인했기 때문이다. 일반 성인들에 비해 청소년들이 이해하는 정도가 결코 낮지 않고, 오히려 전달하는 그대로 왜곡 없이 받아들인다 는 장점을 발견하였다. 원불교 교리 용어가 낯설고 어려워 할 수 있지만, 최대한 그것을 쉽게 설명해주는 방식으로 접근하는 것이 장기적으로 볼 때에 교화 발전 가능성이 크다고 사료된다. 둘째, 프로그램의 사후 관리에 대해 다양한 방향으로 생각해 볼 수 있다. 정기 훈련을 포함하는 등의 심화 과정을 구성할 수 있는 방법이 있고, 교화단을 활용 하는 방법으로 단장, 중앙들을 대상으로 시범적으로 프로그램을 진행한 후 단원 들에 이어지도록 하거나, 본 프로그램 4회기 내용 이해가 부족하거나, 프로그램 자체에 관심이 없는 학생들에게 순차적으로 이해를 돕고 관심을 유도하는 방안을 마련할 수 있다. 본 프로그램은 생활과 교리를 접목시키기 때문에 바로 효과를 검증할 수 있다는 장점과 학생회 회원들 간 서로 소통할 수 있는 소재를 제공할 수 있는 여지가 있으므로 학생들 누구나 자신의 수준에 맞게 프로그램을 활용할 수 있다. 셋째, 필자가 본 프로그램 진행을 함에 있어서 주위의 인적, 물적 지원과 개인적 자원들(시간, 노력, 비용 등)이 많이 투입되었다. 교화 현장에서 교무가 본 프로그램을 활용할 때, 시나리오가 나와 있다 하더라도 그것을 실제 적용하기 위한 준비과정이 필요하다. 필자의 경우 내용구상과 PPT 작성만 5~6시간이 걸리고, 그 내용을 전달하는 연습, 준비물, 간식 준비 등에 또한 여러 시간이 투자 되었 다. 이는 진행자의 개인차에 따라 다를 것이다. 그러나 일정 시간은 반드시 필요 하고, 진행자가 더욱 연마할수록 프로그램의 질이 높아지는 것은 당연하다. 그러한 자원 활용과 준비 상황이 현장에 갖추어져 있는가에 대해서 반문해본다. 또한본 프로그램의 주제인 상시응용주의사항은 진행자가 함께 해 나가야 하며, 참여 자의 다양한 수준에 맞추어 줄 수 있는 정도의 역량이 필요하다. 그러나 상시응 용주의사항은 원불교 전무출신이라면 누구든 실천할 수 있는 핵심 교리이므로 어떤 학생이 어떤 교무를 만나더라도 이해시키고 알려줄 수 있는 여지가 있다는 것은 긍정적으로 보이며, 그것이 이 프로그램이 학생회를 거쳐 청년회, 일반 교도층으로 이어갈 수 있는 장기적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부분이라고 보아진다. 넷째, 본 프로그램의 개발과 적용과정을 통해 상시훈련법의 중요성을 살펴 볼수 있었다. 상시훈련법은 상시로 수행을 훈련시키는 법이다. 매일 이루어질 수있고, 어느 장소에서든 진행할 수 있다. 따라서 이를 잘 활용한다면, 상시훈련법은 원불교 교도의 생활 속에 하나의 가치관으로 자리 잡아 그 효과가 전방위로 각자에게 직접 나타날 것이며, 개인은 자신의 생활 속에서 스스로 힘을 얻게 할수 있다. 또한 재가, 출가, 남녀, 노소 누구든 자신의 수준에 맞게 진행할 수 있기 때문에 교단 전체를 소통시키고, 관통하는 틀이 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필자의 본 논문은 상시훈련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하나의 제언이며, 더욱 다양한 방법과 여러 대상들에게 적용되면서 상시훈련의 대의를 놓치지 않는 많은 연구 들이 진행되고, 축적되어 완성도를 높여주기를 바라는 바이다.

      • 도메인 적응을 위한 이중 생성적 적대 신경망

        박예성 한양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8639

        Domain adaptation makes robot available to learn in real world after learning in simulation. In this paper, it tries to improve the performance of real-to-sim domain adaptation using two generative adversarial networks, sim-to-real adversarial networks and randomized-to-canonical adversarial networks (RCAN). The method proposed in this paper uses randomized data with fake-real data which come from sim-to-real adversarial networks. It provides a data efficiency and high performance for RCAN. Through experiments, we investigate the improvements of real-to-sim domain adaptation compared to existing methods. 로봇이 해결해야 할 문제의 난이도가 올라가자 학습을 통해 문제를 해결하는 로봇의 강화학습이 주목을 받고 있다. 현재 강화학습은 효율적인 학습을 위한 전이학습 및 도메인 적응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그 중 생성적 적대 신경망을 통한 영상 도메인 적응이 가장 큰 성과를 보이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기존 생성적 적대 신경망을 통한 도메인 적응 기술이 가지는 문제에 대해 이야기하고 이에 대한 해결책을 제시한다. 이를 통해 강화학습을 위한 도메인 적응 기술의 성능을 높이고자 한다.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방법은 도메인 적응을 위해 무작위로 변환된 영상에서 시뮬레이션 영상을 만들어내는 RCAN 모델을 사용하여 실제 환경의 영상을 시뮬레이션 환경의 영상으로 변환하는 Real-to-Sim 도메인 적응 기술을 사용하는 방법이다. 그리고 RCAN의 학습을 위한 추가적인 데이터 생성을 통해 기존 데이터의 비효율성을 해결한다. RCAN 학습을 위한 추가 데이터를 생성하기 위해 시뮬레이션 환경의 영상을 실제 환경의 영상으로 변환하는 Sim-to-Real 도메인 적응 모델을 먼저 학습한다. 학습이 완료된 생성자로부터 추가 데이터를 생성하여 RCAN을 학습한다. 이를 통해 비교적 적은 데이터로 Real-to-Sim 도메인 적응의 성능을 높일 수 있다. 각각의 모델을 학습 후 생성한 영상들을 정성적, 정량적으로 비교 및 평가하는 실험을 진행하였다. 이를 통해 제안한 방식으로 성능이 향상됨을 입증하였다.

      • The Impact of the earned income tax credit program on children's human capital formation

        박예성 KDI School of Public Policy and Management 2021 국내석사

        RANK : 248623

        The present study quantifies the impact of the Earned Income Tax Credit (EITC) program on children’s human capital formation and explores the channels that map the policy in question to the observed outcomes. Building on the existing studies, I hypothesize the existence of two channels at work. On the one hand, a rightward shift of the family’s budget constraint is likely to map to, ceteris paribus, a higher level of children’s human capital. On the other hand, the nature of the program in question positively affects parental working hours on both intensive and extensive margins. The implied reduction in hours spent with children at home speaks against the promise of observing a more sustainable human capital formation. Thus, the net reduced-form impact is an empirical question. My findings reveal a robust relationship between the EITC benefit and children’s self-reported health. I also show suggestive evidence on improvements in educational performance of children generated by the program. These findings suggest that the program in question serves as a sustainable safety net well-attuned for the purpose of providing basic living standards for children from poor household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