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국제특송 서비스품질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 물류안전성 연구분석을 중심으로

        박영아 경희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경제환경의 급속한 변화와 정보통신의 발달에 따라 국제특송업체는 경쟁전략을 치밀하게 분석, 수립하고 그에 따른 능동적 대응으로 시장상황에 선도적으로 대응하고 있다. 그러나 소비자 및 화주의 욕구가 급변함에 따라 물류업체간 경쟁우위확보를 위한 서비스 경쟁이 가속화되고 있어 우리나라 국제특송업체의 건전한 육성을 위한 방안의 제고가 필요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이러한 배경 하에서 국제특송 서비스 이용자를 대상으로 고객만족, 재이용의도, 구전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서비스품질 요소를 조사하고, 그 중에서도 기존에 많이 연구되지 않았던 서비스 품질요소, 특히 물류 안전성 요소가 소비자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과 그 중요성을 분석하고자 한다. 나아가 소비자들이 평가한 자료를 바탕으로, 국제특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업별 경쟁력을 분석, 이를 통해 각 국제특송업체의 육성을 위한 발전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가설 검증을 위한 실증분석의 결과로는 다음과 같다. 국제특송 서비스품질 요인 중 이용자의 전반적의 만족에는 신뢰성, 안전성, 친절성 요인이, 소비자의 전반적인 만족은 재이용 의도와 구전 의도에 모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기존에 많이 연구되지 않았던 안전성, 친절성 요인이 고객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연구의 필요성이 입증되었다. 국제특송 서비스품질에 대한 이용자의 IPA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국제특송 서비스 이용자가 생각하는 서비스 항목의 중요성, 기대치는 모든 항목에서 실제 실행도 보다 높은 값을 가져 전반적인 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그 중요도에 비해 소비자의 실제 만족도가 가장 크게 떨어지는 2사분면의 안전성 항목은 이용자가 생각하는 중요도가 가장 높은 항목인 것으로 조사되어 고객만족을 위해 집중적인 투자와 개선이 필요할 것으로 나타났다. 기업별 경쟁전략 도출을 위해 국제특송서비스를 제공하는 총 6개의 기업의 IPA분석을 실시한 결과로는 CJ GLS는 안전성, EMS는 주문절차, UPS는 친절성, 한진 택배는 주문절차와 안전성에 높은 점수를 받았으며 국제특송서비스는 국가를 넘나드는 장거리 배송이 대부분을 차지하는 만큼, 물품의 파손이나 변질 없이 안전 배송을 위해 기업들이 더 많은 자원을 투자, 배치하여 물류 안전성을 향상시킬 필요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물류 보안에 대해 국가적인 차원에서의 구체적 해결방법으로는 물류보안 산업에 대한 국가차원의 육성방안을 마련하고 당사자 및 업계의 인식 제고 및 물류 보안의 효율적인 관리를 위한 관리부서의 통일화로 일관성 있는 제도의 추진이 요구된다. 또한 고도의 검사 장비 지원 및 매뉴얼 작성 등 정부의 지원 강화로 공인제도에 대한 기업들의 대응력을 높이고 국가 경쟁력을 향상시켜야 한다. 현장에서 고객들과의 직접 소통을 통한 서비스 개발 등 기업 차원에서의 서비스 개선과 국가적인 차원에서의 제도수립 및 특송기업의 지원은 시너지효과를 발휘해 물류 안전을 도모하고 소비자의 만족도 높일 수 있을 것이다. 나아가 물류 안전에 대한 제도적, 인프라적 체계의 완벽한 구축은 사회 안전을 확보할 수 있을 것이며 이러한 대응방안 제시를 통해 물류 안전의 강화와 세계적 환경 변화에 효과적으로 대처함과 동시에 국제특송 업체들에게 앞으로 나아갈 방향을 제시하는 기회를 제공할 수 있으리라 생각된다. With the globalization of corporate business environment, information communication's development and rapid change of economic environment, strategic approached are being required for international express companies to correspond to the global market. Additionally, as customer's demands are increasing and changing rapidly, express companies need a future plan for maintaining its growth in market. This study is aimed at investigating and evaluating service quality factors which affects positively on customers' satisfaction, reuse intention and word-of-mouth. Service quality factors are divided into two groups, one has been researched a lot in previous studies and this study focus on another group and has purpose to emphasize logistic safety and its importance more on. This study also includes analysis of each express company's competitiveness into 4 quadrants by Importance - Performance Analysis and is aimed to give developmental direction. With Path analysis, reliability, safety and friendly factors are influencing general satisfaction and the satisfaction is influencing customers' reuse intention and word-of-mouth. IPA showed all factors' need to be improved since measured value of importance are all higher than their performance and especially in the factor of logistic safety, the gap between Importance and Performance is the biggest and also affects positively on general satisfaction, thus it is proved as the most importance factor. Express companys' IPA, each has different strong and weak factors and it also emphasize on logistic safety as requirement for companies to achieve a global express safety network. At the national level, government needs to place a new system for logistic safety industry and to make one unification division to increase effectiveness in overall control and carrying coherent business. Moreover, people in this industry should have more interest in and change awareness towards logistic safety. New system developments from Express companies at actual field and build new institution from national level at back side can create a synergy effect of logistics safety and customer satisfaction. Furthermore, establishing institutional and infra-structural system of logistic safety will be able to reinforce social safety, to response effectively to international environmental change and to give opportunity to have direction for future.

      • 도덕교육방법의 질적 변화에 대한 필요와 마음공부

        박영아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논문은 도덕교육의 중요성을 말하고, 실효성있는 도덕교육의 방향과 방법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물질만능주의가 팽배한 사회, 입시위주의 교육현실에서 도덕성에 대한 관심은 낮으며, 다원화된 세상에서 도덕은 진부한 가치가 되기도 하였다. 도덕성은 개인의 삶과 성장에 매우 중요하며 건강한 사회의 유지와 발전에도 필수적인데 반해 그 중요성이 간과되고 있다. 이러한 때 도덕교육의 제 역할은 중요하다. 질적인 변화의 방향성을 모색하기 위하여 나딩스, 길리건의 배려윤리와 콜버그의 정의윤리 관점에서 우리 도덕교육현장에 대한 반성과 도덕교육을 위한 시사점을 살펴보았다. 배려윤리에서는 교육현장이 보살핌이라는 교육의 본연적 역할을 다 해야함, 도덕공동체속에서 살아가도록 학교문화를 조성해야하는 점, 맥락적이고 상황적인 도덕교육이 되어야함을 말하였다. 정의윤리적 관점에서는 도덕발달 단계를 통하여 보다 발전 방향을 구체적으로 제시할 수 있는 이점, 도덕교과에 정의와 공정과 같은 제재가 늘어야 하는 점, 도덕적 딜레마를 통하여 도덕적 민감성을 키워야 하는 점을 제시하였다. 또, 새로운 교육내용으로 자신의 감정조절과 타인이해를 돕는 정서교육의 관점, 자기 인식, 자기관리등의 사회 정서적 유능함을 획득하는데 필요한 기술을 계발하는 SEL을 소개하였다. 더불어 방법적인 측면으로, J.Wilson이 직접교수법의 중요성과 이점를 강조한 내용을 붙였다. 마음공부는 이러한 관점이 고루 반영된 도덕교육의 방법이다. 도덕적으로 행동하기 어려움을 공감하는데에서 시작하여, 도덕적 사고와 행동을 쉽게 할 수 있도록 돕는 다양한 방법을 사용하였다. 생활 속에서 많이 사용하면서 비가시적인 가치들을 체화하게 하였고, 반례와 문제 사태에서 어떠한 점이 도덕적으로 문제가 있는지 명시적으로 안내하였다. 또, 습관적이고 반사적으로 도덕적 사고와 행동을 하게 할 수 있도록 받아쓰고 외우는 방법들을 사용하여 도덕적 사고와 행동을 연습하였다. 도덕적 갈등상황을 실제적으로 제시하여 그 상황에 몰입할 수 있도록 도왔으며, 도덕적 이상과 현실의 괴리를 느끼게 하여 반성이 일어나게 하였다. 아동은 발달적 특성상 비합리적으로 상황을 인지하거나 자기중심적인 사고로 타인이해 능력이 부족하다. 그런 점에서 자신의 감정 인지, 주변 상황인지, 타인 이해의 기술을 알려주어 도덕적으로 행동하기 쉽게 도왔다. 이러한 활동들은 학급사회가 정의롭고 서로 배려를 주고 받는 가운데 더욱 큰 효과를 발휘한다. 교사는 일관적인 태도로 아이들을 대해야하며, 전 교육과정을 통하여 보호받고 배려받고 있음을 느껴 감화를 이끌어내야 할 것이다. 우리의 교육은 개인 내적으로는 자신의 삶을 꾸려나가며, 사회의 공동선에 대한 책임을 다하고 사회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역량을 갖춘 사회 구성원을 길러내야 한다. 도덕적인 사람이 되고 싶지 않아서 비도덕적인 행동을 하는 것은 아니다. 참되게 알지 못하거나, 상황이나 타인에 대한 이해가 부족하였거나, 인내나 절제가 부족할 때 비도덕적인 행동이 나타난다. 도덕교육은 도덕적 가치의 의미와 당위를 가르치는 교육에서, 도덕적으로 사고하고 행동할 수 있도록 돕는 교육으로 질적인 변화가 일어나야 하며 도덕공동체 속에서 생활할 수 있도록 학교와 사회의 문화풍토를 개선해나가야 할 것이다.

      • 중학생의 스마트러닝에 대한 인식과 만족도가 학습태도와 성적향상에 미치는 영향

        박영아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understand the perception and satisfaction of smart learning targeting the middle school students participating in class with smart learning method, and also to understand the effects of perception and satisfaction of smart learning on their learning attitude and improvement of grades. This study aimed to contribute to the increase of effectiveness of smart learning by judging the developmental possibility of smart learning and also seeking for the measures for improving the learning attitude and grades of middle school students. To achieve this objective, this study considered the preceding researches related to smart learning, and then performed the literature research to review the books and literature related to pedagogy in order to establish the theoretical basis related to learning attitude and improvement of grades. On top of drawing a research model based on the literature research, an empirical research was performed through a survey to verify the research model. The questionnaire was based on a research by Son, Ja-Yeong(2017) and Wi, Sam-Yeop(2014) for the perception and satisfaction of smart learning, a research by Hwang, Hye-Jeong et al(1992) for the learning attitude, and a research by Lee, Hui-Jae(2017) for the improvement of grades. After conducting a preliminary research targeting middle school students, the contents were complemented. The data was collected from July 15th to August 10th 2018, and the questionnaire was distributed through direct visit or internet. Out of the distributed 550 questionnaires, total 478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After excluding 53 questionnaires with insincere responses, total 425 questionnaires(88.9%) were used for the analysis. The verification was performed in the significance level(p<.05), and the IBM SPSS Statistics 24 Program was used for the statistical data process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n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middle school students' perception of smart learning, the convenience(Mean 4.33) was the highest, which was followed by usefulness(Mean 4.15) and ease of use(Mean 4.13) in order. And regarding the satisfaction of smart learning, the self-direction of learners(Mean 4.14) was the highest, which was followed by interactivity(Mean 3.95) and use of smart devices(Mean 3.77) in order. Second, in the results of analyzing differences in the perception and satisfaction of smart learning in accordance with the personal background and the actual use status of smart learning, in case of personal background, male students showed the higher perception of ease of use than female students. The first graders of middle school showed the higher usefulness, self-direction of learners, and use of smart devices than the second and third graders. When the grades were higher, the perception and satisfaction of smart learning were also high. In the actual use status of smart learning, when the period of taking the course was in six months-one year, the perception of interactivity was high. When the place for taking the course was home, the interactivity and use of smart devices were high. When the daily average hours of taking the course were two hours or more, the convenience, usefulness, self-direction of learners, and interactivity were high. Also, when two subjects were taken, the perception and satisfaction of smart learning were high. When the proportion of smart learning and offline class was 70:30, the interactivity was high. When it was 50:50, the use of smart devices was high. Third, in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middle school students' perception of learning attitude and improvement of grades, the self-concept of subjects(Mean 4.0), attitude toward subjects(Mean 3.97), learning habits of subjects(Mean 4.03), and the improvement of grades(Mean 4.03) were generally high. It is good to say that the smart learning is helpful for the learning attitude and improvement of grades of middle school students. Fourth, in the results of analyzing differences in the learning attitude and improvement of grades in accordance with the personal background and the actual use status of smart learning, in the personal background, female students showed the higher perception of learning habits of subjects and improvement of grades than male students. The first graders of middle school showed the higher sub-areas of learning attitude than the second and third graders. When the grades were in the upper ranks, the perception of learning attitude and improvement of grades was high. In the actual use status of smart learning, the students who took the course at home, average 1-2 hours a day, for a year or more, and took the smart learning everyday or frequently showed the high perception of learning attitude and improvement of grades. When the number of subjects taken was two or more, the self-concept of subjects was high. When it was three, the perception of learning attitude toward subjects, learning habits of subjects, and improvement of grades was high. When the proportion of smart learning and offline class was 30:70, the perception of all the sub-areas of learning attitude and the improvement of grades was high. Fifth, in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factors having effects on the learning attitude and improvement of grades of middle school students, the self-concept of subjects was influenced when the usefulness, self-direction, interactivity, hours of use, school year, and grades were higher. When the number of subjects and the percentage of class were less, the influence was increased. The attitude toward subjects was influenced when the usefulness, interactivity, school year, and grades were higher. When taking the course at home rather than private institutes, the learning attitude toward subjects was increased. When the number of subjects and the percentage of class were less, the influence was increased. The learning habits of subjects were influenced when the self-direction, period of use, and grades were higher. When the class percentage of smart learning was lower, the learning habits of subjects were increased. The female students were more influenced than male students. In conclusion, to increase the effectiveness of smart learning, it would be necessary to establish the programs for increasing the satisfaction with the use of smart devices and also overcoming the limitations of online-based lesson. Moreover, the measures for reinforcing the motivation and students management considering the personal background of middle school students should be established. In order to improve the learning attitude and grades of middle school students, on top of programs, it would be needed to take the course in the harmony of learning environment at home, regular learning habits, moderate amount of learning, and offline-based direct lesson. 본 연구는 스마트러닝 방식으로 수업에 참여하고 있는 중학생을 대상으로 스마트러닝에 대한 인식과 만족도를 알아보고, 스마트러닝에 대한 인식과 만족도가 학생들의 학습태도와 성적향상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통해서 스마트러닝의 발전 가능성을 가늠해보고, 중학생들의 학습태도와 성적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해 봄으로써 스마트러닝의 효과성을 높이는데 기여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스마트러닝과 관련하여 수행된 선행연구를 고찰하였고, 학습태도, 성적향상과 관련된 이론적 토대를 구축하고자 교육학 관련 서적과 문헌을 검토하는 문헌연구를 수행하였다. 문헌연구를 바탕으로 연구모형을 도출하였으며, 연구모형을 검증하고자 설문조사를 통하여 실증연구를 수행하였다. 설문지는 스마트러닝에 대한 인식과 만족도는 손자영(2017)과 위삼엽(2014)의 연구, 학습태도는 황혜정 외(1992)의 연구, 성적향상은 이휘재(2017)연구를 토대로 하였다. 중학생을 대상으로 예비조사를 실시한 후 내용을 수정‧보완하여 완성하였다. 본 연구의 자료 수집은 2018년 7월 15일부터 8월 10일 사이에 이루어 졌으며, 설문지는 직접 방문하거나 인터넷을 활용하는 방법을 사용하였다. 배포된 550부의 설문지중 478부가 회수 되었다. 이중 무성의한 응답지 53부를 제외한 425부(88.9%)를 연구 분석에 사용하였다. 유의수준 p<.05에서 검증하였으며, 통계처리는 IBM SPSS Statistics 24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위와 같은 연구절차를 거쳐 얻은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학생의 스마트러닝에 대한 인식을 분석한 결과, 편리성(평균값 4.33)이 가장 높고, 유용성(평균값 4.15), 사용용이성(평균값 4.13)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그리고 스마트러닝의 만족도는 학습자 주도성(평균값 4.14)이 가장 높고, 상호작용성(평균값 3.95), 스마트기기 활용(평균값 3.77)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둘째, 개인배경 및 스마트러닝 이용실태에 따른 스마트러닝에 대한 인식과 만족도에 대한 차이를 분석한 결과, 개인배경에서는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사용용이성에 대한 인식이 높고, 중학교 1학년이 2, 3학년보다 유용성, 학습자 주도성, 스마트기기 활용이 높으며, 성적이 높을수록 스마트러닝에 대한 인식과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스마트러닝 이용실태에서는 수강기간이 6개월-1년 일 때 상호작용성에 대한 인식이 높고, 수강 장소가 집일 때 상호작용성과 스마트기기 활용이 높으며, 일일 평균 수강시간이 2시간 이상일 때 편리성, 유용성, 학습자 주도성, 상호작용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수강과목이 2과목일 때 스마트러닝에 대한 인식과 만족도가 높고, 스마트러닝과 오프라인 수업의 비중이 70:30일 때 상호작용성이 높으며, 50:50일 때 스마트기기 활용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중학생의 학습태도와 성적향상에 대한 인식을 분석한 결과, 교과에 대한 자아개념(평균값 4.0), 교과에 대한 태도(평균값 3.97), 교과에 대한 학습습관(평균값 4.03), 성적향상(평균값 4.03)은 대체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스마트러닝이 중학생의 학습태도와 성적향상에 도움이 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넷째, 개인배경 및 스마트러닝 이용실태에 따른 학습태도와 성적향상에 대한 차이를 분석한 결과, 개인배경에서는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교과에 대한 학습습관과 성적향상에 대한 인식이 높고, 중학교 1학년이 2, 3학년보다 학습태도에 대한 하위영역 모두 높으며, 성적이 상위권일수록 학습태도와 성적향상에 대한 인식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스마트러닝 이용실태에서는 1년 이상 수강한 학생, 집에서 수강한 학생, 일일 평균 수강시간이 1-2시간 이상인 학생, 스마트러닝을 매일 또는 자주 수강하는 학생이 학습태도와 성적향상에 대한 인식이 전반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수강과목은 2과목이상일 때 교과에 대한 자아개념이 높고, 3과목일 때 교과에 대한 학습태도, 교과에 대한 학습습관, 성적향상에 대한 인식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스마트러닝과 오프라인 수업의 비중이 30:70일 때 학습태도의 하위영역 모두와 성적향상에 대한 인식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중학생의 학습태도와 성적향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한 결과, 교과에 대한 자아개념에는 유용성, 주도성, 상호작용성, 이용시간, 학년, 성적이 높을수록 영향을 미치고, 과목수와 수업비중이 적을수록 영향력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과에 대한 태도에는 유용성, 상호작용성, 학년, 성적이 높을수록 영향을 미치고, 학원보다 집에서 수강할수록 교과에 대한 학습태도는 증가하며, 과목수와 수업비중이 적을수록 영향력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과에 대한 학습습관에는 주도성, 이용기간, 성적이 높을수록 영향을 미치고, 스마트러닝의 수업비중이 낮을수록 교과에 대한 학습습관이 증가하며, 남학생보다 여학생이 영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스마트러닝의 효과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온라인방식의 수업이 갖는 소통의 한계점을 극복하고, 스마트기기 활용의 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프로그램 및 시스템을 구축하여야 한다. 더불어 중학생의 개인배경을 고려한 학생관리와 동기부여를 강화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 중학생의 학습태도와 성적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프로그램뿐만 아니라 가정의 학습환경, 규칙적인 학습습관, 과중하지 않은 학습량, 오프라인 방식의 직접적인 교습 등이 조화를 이루어서 수강을 하는 것이 필요하다.

      • 부정적 감정 해소를 위한 시편 활용 영성 지도에 관한 연구 : 자기심리학과 영성 신학적 접근을 중심으로

        박영아 계명대학교 연합신학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시편을 활용한 영성 지도가 부정적 감정을 효과적으로 치유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제시하여 교회가 시편을 활용하여 교인들의 심리적 상처를 치유할 뿐 아니라 영적 성장까지 도모할 수 있음을 제안하려는 것이다. 또한 본 연구는 에바그리오스와 카시아누스와 같은 초대 기독교 교부들이 시편을 활용하여 영적 성장을 도왔던 것처럼 기도와 묵상에 시편을 활용해 볼 것을 제안하려는 것이다. 따라서 시편이 찬양의 모델, 기도와 묵상의 교훈, 그리고 경건을 추구하는 영감이 될 수 있음을 보여주는 구체적 실제를 제시할 것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부정적 감정으로 힘들어 하는 사람들을 치유하고 회복하도록 돕는 방법으로 공예배나 소그룹 그리고 일대일 만남에서 다양한 시편 적용을 제안할 것이다. 이를 위해 렉시오 디비나와 구심기도와 같은 기독교 전통의 기도훈련법과 영성 일기를 적용해 보았다. 시편을 통한 영성 지도의 실제들은 한국교회의 제자훈련 프로그램이 갖고 있는 제한점을 많이 보완해 줄 수 있으며 이는 본 연구의 활용의의라고 할 수 있다. This research examines how Psalms can engage and help those who are struggling with pessimism and negative emotions. Psalms has the potential possibility not only to heal one’s psychological wounds that are caused by pessimism, but also restore one’s spiritual health. Moreover, this research promotes the usage of Psalms in meditation and prayer to help one’s spiritual growth, as it was intended by the early church leaders, such as Evagrius and Cassianus. Some of the practical applications of how mediation and prayer of Psalms can help one’s spiritual life will be suggested. The research will also encourage various applications of Psalms in corporate worship, small groups, and individual encounters, with specific focus on how they can bring restoration and healing to those who struggle with pessimism and negative emotions. Traditionally, Lectio Divina, Centering prayers, and spiritual journals have been encouraged as tools to help one cope with such problems. This research argues that Psalms can also be a useful tool in a similar manner, with the hope that Korean churches and discipleship programs will adopt some of the suggestions made in this research.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