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崔仁勳의 『廣場』 硏究 : 巡禮의 길을 통한 유토피아 志向

        박순아 단국대학교 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고는 최인훈의 『광장』 에서 이명준의 행동과 사고의 추이가 순례의 과정으로 이어지고 있는 것임을 살펴보고, 이쪽과 저쪽의 기로에 놓인 중간적 존재를 연구하여 『광장』 이 1960년대 최인훈의 시대 인식을 담아내고 있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음을 밝힌다. 그 연구 내용은 다음과 같다. I장에서는 기존의 연구사를 검토하여 긍정과 부정의 평가를 낳았던 최인훈의 『광장』 에 대한 연구 방법을 실명한다. Ⅱ장에서는 작품 외적인 측면으로 현실의 소설적 형상화를 이루어낸 4.19 문학으로의 『광장』 이 1960년대 자유의 문제에 치우쳤던 문단에서 자유와 평등의 문제를 동시에 드러내어 이전의 문학과는 다른 세계인식을 보여주었다는 것과 현실 응전 도구로써의 '방법적 환상' 즉 관념을 통해 시대로부터 안전망을 확보할 수 있었다는 것을 최인훈이 밝힌 견해에 입각해 검토한다. Ⅲ장에서는 작품 내적인 측면으로 현실의 소설적 형상화를 이루어낸 『광장』 의 이분된 구조가 순환의 구조로 아우러지는 과정을 살펴본다. 남과 북, 윤애와 은혜, 과거와 현재를 따라 육체적·정신적 이동을 하는 과정을 순례의 길로 보고, 그 길을 순례하는 이명준을 따라 두 개의 혹은 그 이상의 의미의 대립항이 한 방향으로 흐르면서 마침내 母性의 바다에로 귀결됨으로써 유토피아를 지향하고 있음을 검토한다. 또한 그것은 소설의 처음과 마지막이 유사한 장면으로 연결되어 시작이 끝이고 끝이 시작이라는 원적인 시간관에 의거해 전체가 순환 구조로 이루어져 있음을 밝힌다. Ⅳ장에서는 순례의 길에서 이쪽 세계와 저쪽 세계의 중간적 존재로 위치했던 '이명준'과 '창'과 '배'에 대해 살펴본다. 이것들은 모두 회색지대에 놓인 중간적 존재라는 점에서 회색으로 비유될 수 있으며 당시를 살아야 했던 보편적 인간의 인식 체계를 대변한다. Ⅴ장에서는 위에서 검토한 내용을 토대로 본고가 이항 대립적 도식화에 그쳤던 기존의 연구 논문과는 달리, 여러 가지 가능성이 유동하던 1960년대 시점과 맞물려 지리적·심리적 순례의 과정을 거쳐야 했던 지식인의 고뇌하는 면모를 정체가 아닌 움직임으로 제시했다는 결론을 도출한다. While This thesis studies that the change in Lee, Myung Jun's act and thought directs to the process of the pilgrimage, 'Open Square' is revealed as a structure of disclosing the contemporary cognition of Choi, In Hun in 1960s by the investigation of interim being stucked between them and us. The following is the contents of the study. In first chapter, The method of investigating 'Open Square' by Choi In Hun, which brought both affirmative and negative evaluation will be explained by looking into history of existing investigations. The second chapter will review that 'Open Square' as a 4.19 literature which stood on story forming in real world as a term of external text shows another cognition on the world by uncovering both freedom and equality escaped from matter of freedom that literary circles cling to in 1960s and delivers safety zone from the contemporary by methodological illusion as a striking tool against real world in aspect of view of Choi. The third chapter looks into the process of mixing the structure of divided into two-parts on 'Open Square' which story forming in real world as a term of internal text to one of circulation . Followed by the series of coordinate concepts, North and South, Yoon-Ae and Eun-Hye, Past and Present, physical and mental shift is viewed as a passage of the pilgrim characterized as Lee, Myung-Jun, one or more than that coordinate concepts flows into one direction and finally heading for Utopia by getting at Motherly ocean. In addition, the whole structure is construed as a circulative one in which the start and the end is connected with similar scene in aspect of circular time view start is end and viceversa. In fourth chapter, 'Lee, Myung-Jun' and 'Chang(Window)' and 'Bae(ship)' will be studied who stationed in interim being between here and there in the passage of pilgrim. Those all should be compared as color of grey in that interim being stationed in grey area and be spoken as cognition system of ordinary person who should lives on the earth. The fifth chapter concludes that the thesis unlike the existing thesis which stalled at binomial confrontation, could present the aspects of suffering intellectuals who should walk in the passage of geographic and mental pilgrim in gear with 1960s of fluctuating possibility into not stagnation but mobile one.

      • 고려후기 향리층의 피역

        박순아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1996 국내석사

        RANK : 247631

        高麗時代 지방사회 운영의 직접 담당자인 鄕吏는 고려왕조가 국가의 기반을 잡고 성장해 나가는 데에 적지 않은 역할을 수행했다. 고려초 국가의 통치기반이 확립되지 않은 단계에서 地方社會에 대한 중앙의 통제는 용이한 일이 아니었다. 이러한 상황속에서 지방사회에 직접적인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는 鄕吏層의 존재는 對民統治에 큰 몫을 담당하고 있었다. 그러나 成宗 2년 地方官의 파견, 顯宗 9년의 鄕吏 定員制 실시, 文宗 5년 鄕吏 昇進 9段階 規定 등의 地方制度實施와 鄕吏制의 정비과정을 통해 鄕吏層의 역할은 변화를 겪게 되었다. 중앙의 지방에 대한 통치체제가 확립되어 가는 것과는 상대적으로 鄕吏層의 역할은 약화되는 방향으로 진행되었다. 지방통치체제의 확립은 鄕吏層이 지방사회 내에서 차지하는 위치가 점차 축소되어감을 의미하는 것이기도 하였다. 향리층은 高麗前期에는 지방 사회의 中間支配層으로 존재하였으나 高麗後期에는 前期의 地位를 상실하고 단순히 職役擔當者의 위치에 놓여진 것이다. 고려후기에 들어서 鄕役이 苦役으로 인식됨에 따라 향리층은 避役을 도모하게 되었고, 그들의 避役은 지방행정의 공백을 초래하게 되었다. 高麗後期의 鄕吏層 避役의 배경은 사회경제적 변동과 정치적 혼란, 在地 品官層의 성장, 鄕吏의 地位變化, 鄕役의 性格變化라고 하겠다. 高麗前期의 농업발달의 결과 얻어진 농민가계의 안정은 國家와 支配層에 의한 收取가 강화되면서 위협받게 되었다. 귀족문화를 누리던 지배층에 의한 수탈에 대해 民은 流亡 등의 형태로 저항하였다. 민들의 投托行爲에 의한 농장편입과 함께 鄕吏도 權勢家에 依託하여 役을 기피하는 현상이 일어났다. 武人執權期의 정치양태는 이전의 予盾을 더욱 확대시켰고 蒙古와의 오랜 전쟁은 鄕村社會를 손상시키고 기존의 질서를 와해시키는 要因이 되었다. 고려 후기에 지방세력으로 등장한 在地品官層의 성장은 고려전기 이래로 地方社會에서 支配的 位置에 존재하던 鄕吏層의 地位에 변화를 초래하였다. 鄕吏制度의 변화는 지방사회에 대한 향리의 영향력을 축소시키는 것을 의미하였다. 仁宗代에 설치된 上戶長制와 高宗代에 설치된 詔文記官制는 戶長·詔文·都領이라는 3人을 首位로 하는 三班體制를 이루었다. 향리직임을 분화시키고 지방세력의 약화를 도모하게 하기 위한 삼반체제의 성립으로 향리는 분화된 직임을 수행하는 鄕役負擔者의 위치에 놓이게 되었다. 또한 中央의 地方支配權 强化政策으로 실시된 監務와 事審官의 派遺은 지방사회 내에서의 鄕吏의 영향력을 더욱 축소시켜 향리의 지위가 하락되는 배경으로 작용하였다. 鄕吏는 고려 전시기를 거쳐 租稅徵收와 責賊徵收, 力役動員, 軍隊指揮 등의 實質的인 對民業務를 수행하고 地方民에 대한 敎化의 책임자, 裁判權의 실제행사자로서 존재하였다. 그러나 고려후기의 향리가 고려전기 中間支配層으로서의 위상을 잃게됨에 따라 그들의 地方支配力을 바탕으로 한 鄕役의 수행은 더 이상 유지될 수 없었다. 鄕役의 性格도 단순한 職役의 성격으로 변화하여 鄕役은 苦役으로 인식되기에 이르렀고, 鄕役負擔者의 위치에 놓인 향리층은 避役을 도모하게 된 것이다. 鄕吏里의 本役에서의 이탈은 鄕吏 上層部와 下層部의 두가지 유형으로 분류하여 이해할 수 있다.在地的 基盤올 소유한 상층부 향리는 適法하거나 혹은 不法한 방법으로 官職올 얻어 免投을 꾀하였으며, 말단에 속하는 하층 향리는 役의 부담을 견디지 못하여 權勢家에 投托 하거나 流移·流亡하는 방법으로 避投하였다. 鄕吏 上層部의 避役은 나머지 鄕吏層의 役 부담을 증가시켰으며, 末端 鄕吏層의 避投現狀을 촉진시키는 요인이 되기도 하였다. 지방행정의 업무를 수행해야 할 향리층의 避役은 지방사회의 운영을 어렵게 하는 결과를 낳았다. 國家의 입장에서는 本役에서 벗어나려는 향리층을 職役에 묶어놓기 위한 조치를 강구해야 하였다. 국가는 流移한 民들 중 특히 鄕吏 등 특수한 役 부담층에 대해서는 本貫으로의 刷還을 추구하였다. 鄕吏層을 지방행정체계안에서 本役에 묶어 놓고자 하는 정책은 鮮初에도 지속되어 조선시대의 향리는 中間支配層으로서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지방행정기관의 말단소임을 담당하는 층으로서 위치하게 되었다. 高麗後期 鄕吏層의 避役은 中央의 地方統治力 彈化를 意味하고 地方行政業務의 공백을 초래하여 地方行政運營의 곤란을 가져왔으며, 鄕吏의 地位變化로 인한 鄕役의 性格變化를 반영하는 것으로 高麗後期 地方社會 變化의 일면을 보여준다고 하겠다. Hyang-ri(鄕吏), who directly control the management of local society, played a great role in basic development of Koryo kingdom. When the national rules didn't established in early period of Koryo, it was not easy for the central government to control the local society. In these situations Hyang-ri took charge of great parts of local management. But their role changed through the process of adjustment; the sending local governor at 2'nd year in Sungjong(成宗), the institution of the fixed number of Hyang-ri at 9'th year in hyoenjong (顯宗), the prescribing Hyang-ri's promotion by nine-levels at 5'th munjong(文宗). Because of establishing local rule's system, the central power for local management was getting bigger and bigger, on the contrary the power of Hyang-ri was getting smaller and smaller. The establishment of local rule's system meant the reduction of Hyang-ri's power and role. In the early period of Koryo their position was the middle ruler of local society, but later they lost their position and had only duties by the name of hyangyeok(鄕役). In the later period of Koryo, they started to think that their Hyang-yeok was very hard load, so they wanted to change their service to government and it's effect caused the blank of local management. The background of their avoiding duties was that the original character of duties was turned by change of economy and society, political confusion, growth of jaeji-pumkwancheng(在地品官層), arrangment of Hyang-ri's system and changing of Hyang-ri's status. Because the nation and the governing classes strengthened the receipt, the stablility of farming family was threatened that was owing to agricultural development in the later period of Koryo. The poeple resisted being exploited by the noble governing classes, for example Yu-mang(流亡). The people entered for collective farm ; so called Tu-tak(投托), but also Hyang-ri depended on the local governor instead of conducting duties. The political situation of period of Mu-in(武人執權期) made the contradiction worse, and the war against mong-go(蒙古) damaged the local society. The growth of Jaeji-Pumkwancheng(在地品官層), who appeared as the provincial powerful classes in the later period of Koryo, caused the change of the Hyang-ri's position that existed in the governing classes of provincial society. The change of Hyang-ri's system meant reduction of their power to local society. The chomun-kikwan(詔文記官) and the sang-hojang(上戶長) formed the samban(三班) system that was the chief of three people, hojang' chomunㆍdoryung(都領). The purpose of samban system was that divided the Hyang-ri's tasks and weakened as the local governor's position. The organization of samban system(三班體制) situated the Hyang-ri in the manager of gicyeok(職役) who conducted divided work of local society. Also the central government dispatched the gammu(監務) and sasimkwan(事審官) to strenghten the power of local. These systems were the background of weakening the Hyang-ri's position. During the whole period of Koryo, the Hyang-ri performed the actual work to people, for example the chosei-gingsu(租稅徵收), the kongpu-gingsu(貢賦徵收), the yeokyeok-dongwon(力役動員), kundae-jihui(軍隊指揮), and exsited as the conductor of provincial resident's moral education and the actual user of judgement. But in the later period, their performance of local management couldn't maintain no more, because they lost their position as the middle ruler of local society in the early period of Koryo. The character of hyangyeok turned into the simple character of gikyeok(職役), so they thought the hyangyeok was very hard load, they contrived to avoid their work. The piyeok(避役) of Hyang-ri was understood to divided the two types which was high classes and low classes. The Hyang-ri in the high classes, who had a base of land, attempted to avoid their duties through logal or illegal way to have the government official. The Hyang-ri in the low classes couldn't endure their duties so they avoided their duties through depending on the kwonsega(權勢家) or the way of yuyi(流移)·yumang(流亡). The piyeok of the Hyang-ri in the hish classes increased the duties of the others, and it was the reason that accelerated the phenomenon of the piyeok. The piyeok of the Hyang-ri who should perform as the local administrator brought on the difficulty of local management. The nation especially wanted the Hyang-ri to bring back their own position. The policy of Koryo which had the Hyang-ri classes come with the category of local administrative system, maintained the early period of Chosun(朝鮮). So the Hyang-ri of Chosun was not the local middle ruler but the lowest conductor of local administration. The piyeok of Hyang-ri reflected the change of the character of hyangyeok through change of their position, it showed an aspect that the local society was changing.

      • 역량강화 프로그램이 만성정신분열병 환자의 무기력과 회복에 미치는 영향

        박순아 경상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an empowering program for on helplessness and recovery in chronic schizophrenia. Methods: A nonequivalent control-group pretest - posttest design was used. The subjects consisted of 46 chronic schizophrenia (intervention group:23, control group: 23). The experimental group(n=23) participated in the program twelve 60-min sessions. To measure the helplessness and recovery of the subjects, self-reporting questionnaires and (Observer Rating Scale) nurse-reporting questionnaires were used. Data were collected between July 20, September 20 and October 20, 2011 and were analyzed using chi-square test, Repeated measure ANOVA and paired t-test with the SPSS 14.0 program. Results: The experimental group reported the average score of 2.5 in helplessness, 3.14 in recovery. The hypothesis that the helplessness of experimental group would be reduced more than that of the control group was supported(F=185.218, p<.001). The second hypothesis that the degree of recovery of the experimental group who used the empowering program would be reduced more than that of the control group was also supported: Subjective recovery (F=159.402, p<.001); Clinical recovery (F=34.154, p<.001). Conclusion: The empowering program for chronic schizophrenia was effective in reducing their helplessness and recovery level.

      • 정신분열증에 대한 정신분석적 사례 연구

        박순아 한신대학교 정신분석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정신분열증에 대한 정신분석적 사례연구이다. 정신분열증 환자들은 많은 경우 약물 복용과 끊기를 반복하고 이로 인해 입원과 퇴원을 반복하는 악순환을 하고 있다. 본 연구의 피분석자(P) 또한 여러 해 동안 이러한 반복적인 패턴을 하고 있었다. 변화를 보이기보다는 반복적인 악순환을 하고 있는 P에게 정신분석적 심리치료가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기 위해 본 연구는 이루어졌다. 분석은 P에게서 두드러지게 보여 지는 언어, 비언어적 특징을 중심으로 네 가지 측면에서 이루어졌다. 1) P에게 환상의 기능과 역할은 무엇인가? 2) P는 치료사에게 얼마만큼 접촉을 시도하고 유지할 수 있는가? 3) 주요 패턴과 행동화의 의미는 무엇인가? 4) 전이와 역전이는 무엇인가?

      • 그래프와 연관된 알고리즘에 대한 교재개발

        박순아 전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31

        NCTM에서 9-12학년 교육과정의 규준으로 설정한 바 있는 이산수학은 우리나라 제7차 수학과 교육과정에서 과목 선택형 교육과정으로 운영되고 있는 교과이다. 본 논문에서는 그래프와 연관된 알고리즘에 대한 교재를 개발하는 데 초점을 두었다. 특별히 그래프와 연관된 알고리즘 중 깊이 우선 알고리즘과 너비 우선 알고리즘, 그리고 크루스칼 알고리즘과 프림 알고리즘에 대한 교재를 개발하였다. 위의 알고리즘에 대한 4차시 분의 교수-학습 과정안을 구성해 보았고, 4차시 분의 실생활 활용 문제를 제시하여 네 개의 알고리즘을 통합·적용하도록 구성해 보았다. Discrete Mathematics was selected by NCTM as a standard of curriculum from the grade 9 to 12 and it is the subject that is operating as a optional curriculum in the 7th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 Mathematics Curriculum of Republic of Korea. This study is focus on the development of teaching materials about algorithm related to graphs. Specially, this study contains the teaching materials using depth first algorithm and breadth first algorithm, kruskal algorithm and prim algorithm. First the four hours' teaching plans consist of using these algorithm and following four more teaching plans consist of the practical applications to realistic mathematics problem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