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H2O2에 의한 clone-1-5c-4 결막세포주의 apoptosis에서 Catechin의 보호효과

        박수경 전남대학교 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7647

        A free radical causes a disfunction on the cell's anti-oxidation system. So it plays an very important role in the induction process of a cell's apoptosis. Hydrogen peroxide (H2O2) which is one of the reactive oxygen species has been seen to cause various diseases, various cellular disinfections, gene transformation and cell death. The green tea's extract, polyphenolic catechin has an effect on all sorts of physiologically active functions, anti-fungal, anti-inflammation and anti-allergic functions and it is known as a nature anti-oxidant agen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protective effect of EGCG on the cell death induced by oxygen free radical. We measured the removal ability of free radicals by DPPH free radical scavenging assay and evaluated the oxygen free radical's quantity in the cell by DCFH-DA assay. We measured cell viability by MTT assay, released LDH activity and analyzed DNA fragmentation to check up a distinctive feature in cell death. The mRNA expression in the cell were examined by RT-PCR. A processing of EGCG with each concentration after inducing cell death shows that a quantity of oxygen free radical in cell decreased as the concentration falls and the effect of scavenging DPPH free radical and cell survival rate increased as concentration rises. A ladder feature of DNA fragmentation decreased as a concentration falls. We examined mRNA expression related to cell death. The studies show that mRNA expression of bcl-2 and bcl-xL that control anti-apoptosis increased as a concentration was raised. bax mRNA expression that control pro-apoptosis decreased. Our results suggested that EGCG have an antioxidant effect in conjuctival cells induced cell death by H2O2. EGCG increased the expression of mRNA related to anti-apoptosis so that EGCG could be useful in the prevention of H2O2-induced conjunctival cells damaged through induction of the anti-apoptotic factor.

      • 성과상여금이 교원의 성취동기에 미치는 영향

        박수경 경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이 연구는 교원의 성과상여금에 대한 인식과 성취동기의 관계를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교원의 성과급에 대한 인식이 성취동기에 영향을 미치고, 이것이 질 높은 교육활동을 전개하도록 하는 유인책이 될 것이라는 가정 하에 연구를 시작한 것이다.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원 성과상여금제도에 대한 교사의 인식은 어떠한가? 둘째, 교사의 성취동기는 어떠한가? 셋째, 성과상여금에 대한 인식이 교원의 성취동기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이상의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이 연구에서는 인천광역시에 소재한 초등학교 가운데 학교의 규모를 고려하여 16개 초등학교를 임의적으로 선정하여 재직 중인 교사 300명을 표집 하였다. 설문지는 300부를 배부하여 262부(87.3%)를 회수하였고, 유효자료는 256부(83.3%)였다. 질문지는 I-STATistics 프로그램을 통해 통계처리 하였다. 응답자의 일반적인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기술적 통계치를 산출하였으며, 교원의 배경변인에 따른 성과급에 대한 인식과 성취동기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일원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성과상여금과 교원의 성취동기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상관관계분석과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이 연구를 통해 도출된 주요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배경 변인에 따라 성과급에 대한 교원의 인식의 차이를 살펴 본 결과 교직경력, 학교규모, 사유재산에 따라서는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교사의 성별, 직급, 전년도 성과급에 따라서는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경력에 따른 차이가 없는 것은 경력과는 무관하게 성과에 따라 지급되어 모든 교사가 비슷하게 인식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반면 일반교사보다는 부장교사가, 여자보다는 남자가 긍정적으로 인식한 것은 직급이 높은 교사, 남자교사가 성과급 지급을 위한 성과 평가에서 더 유리한 입장에 있으며 좋은 점수를 받을 것이라고 기대하기 때문으로 생각된다. 전년도 성과급에 따라서는 상위등급일수록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낮을수록 부정적으로 인식하였는데, 이는 상위등급의 경우 자신의 업무에 대해 적절한 보상을 받았다고 여겨 만족도와 평가 절차 및 결과의 공정성을 높게 인식했기 때문으로 보인다. 반면 낮은 등급을 받았던 교원의 경우 만족도가 낮고 평가기준이 적절하지 못하다고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교원의 성취동기를 살펴보면 전체성취동기는 보통 이상 수준으로 나타났다. 배경변인에 따른 교원의 성취동기는 교육경력, 학교규모, 개인재산에 따른 성취동기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성별, 직급, 전년도 성과급에 따라 분류 항목별로 차이가 있었다. 이는 교원의 개인 특성은 성취동기에 영향을 미치지 않으며, 교원의 성취동기에 개인특성보다는 외부요인이 큰 영향을 미친 것이라고 생각된다. 셋째, 성과상여금에 대한 인식 요인 중 성취동기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교원의 참여도”로 나타났다. 각각의 성취동기에 미친 영향력을 살펴보면, 과업지향성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교원의 참여도”였으며, 교원의 적절한 모험성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평가 기준의 적절성”이었다. 교원의 자신감에 가장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교원의 참여도”였으며, 미래지향성에 가장 영향을 미치는 요인 또한 “교원의 참여도”였다. 이는 성과상여금 지급에 대한 정보를 충분히 알고 있으며 지급 기준에 대해 충분히 협의가 되었을 때 교원은 자신감을 가지고, 업무를 추진할 수 있기 때문인 것으로 생각된다. 교원성과상여금이 시행된 지 10년이 지났다. 높은 수준의 성과를 낸 우수한 교사를 인정하고 보상해주어야 한다는 것에 대해서는 많은 교사가 인정하고 받아들여 긍정적 인식이 많아지고 있다. 성과급이 현재보다 더 교원의 사기 진작과 성취동기 제고에 영향을 미치기 위해서는 성과상여금 지급 기준에 대한 충분한 협의와 함께 성과상여금 심사위원을 민주적 절차를 거쳐 선출하는 것이 반드시 필요하다. 교육청이나 관리자보다는 지급대상인 교사가 적극 참여하여 기준을 정한다면 교원 성과급 제도의 운영에 대해 긍정적인 생각이 높아질 것이고, 교원의 성취동기에도 긍정적으로 작용하게 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of a merit pay system to teacher's achievement motivation. The assumption that teachers' perception of the merit pay system(MPS) might affect their achievement motivation which might eventually determine the quality of education. If teachers do not look at the merit pay system in a positive way, that system will not have any significant impact on their performance. the problems of the research are as following: First, how do the elementary school teachers think about the MPS? Second, what is the teacher's achievement motivation? Third, how does the MPS exert on teacher's achievement motivation. In order to solve the above research problems, I have sampled 16 public schools located in Incheon which are executed an investigation research subjecting 300 teachers currently held in those schools. The survey's target amount was a total of 300 copies in which the recovery rate was of 262 copies (87.3%) and the valid material is of 256 copies(83.3%). In order to calculate the related variable we used the existing tools or used partial extracting to fit in the current research. The recovered survey was used to calculate the technical statistics and correlation coefficient using I-statistic program, one-way ANOVA and correlation analysis. We summarize the results analyzed through this research is as following: First, the result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every background of the merit-based system. The results are not significantly varied with their career, the scale of a school or properties. But it is significantly varied with their gender, position and the rating of merit-based pay last year. The career mad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cause the merit-based system is rated by ability rather than seniority or career. On the other hand, a higher position and male took more positive views on the operating conditions of the merit-based system than their situation who had a higher position and male. By the merit-based pay rating of last year, higher rate had more positive responses to the operating conditions than the lower rate. Second,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achievement motivation research, their career, the scale of a school or properties made no significant differences to their achievement motivation. And no significantly differences according to their gender, position or the rating of merit-based pay last year. Third, concerning research problems 3, there were various factors to affect their outlook on the operating conditions of the merit-based system, and what had the biggest impact on that was teacher satisfaction with the merit-based system and the teacher's participation in it. As to the influence of those variables, teacher's participation in that system impacted on their task orientation the most and their challenging spirits were mostly affected by the teacher's participation. Teacher's participation exerted the greatest influence on their future orientation, and their confidence was most impacted by evaluation criteria aptness.

      • 행복증진집단상담이 결혼이주여성의 행복, 자아존중감 및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효과

        박수경 경성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국문초록 본 연구는 행복증진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결혼이주여성에게 실시하여 결혼이주여성의 행복, 자아존중감 및 결혼만족도를 향상시키는 데 효과가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위의 연구목적을 검증하기 위하여 경남 창원시에 있는 마산대학교와 경남이주민지원센터에서 한글교실과 ‘한국사회의 이해’ 수업을 듣는 결혼이주여성 20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실험집단은 2011년 1월 7일부터 2011년 3월 18일까지, 1회기에 60분씩 10회기를 진행하였다. 실험집단이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동안 통제집단에는 아무런 조치도 취하지 않았다. 이 프로그램의 효과검증을 위해 프로그램 실시 전과 실시 직후에 행복, 자아존중감 및 결혼만족도 척도검사를 실시하였다. 실험의 효과성을 검증하기 위해 각 집단의 사전점수를 공변인으로 하여 두 집단의 사후점수에 대해 공변량분석(ANCOVA)을 하였다. 이러한 절차를 통하여 나타난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행복증진집단상담 프로그램에 참여한 결혼이주여성들은 프로그램에 참여하지 않은 결혼이주여성들보다 사후검사에서 행복 수준이 향상되었다. 둘째, 행복증진 집단상담 프로그램에 참여한 결혼이주여성들은 프로그램에 참여하지 않은 결혼이주여성들보다 사후검사에서 자아존중감 수준이 향상되었다. 셋째, 행복증진집단상담 프로그램에 참여한 결혼이주여성들은 프로그램에 참여하지 않은 결혼이주여성들보다 사후검사에서 결혼만족도 수준은 부분적으로 향상되었다. 결론적으로 행복증진집단상담 훈련은 결혼이주여성의 행복, 자아존중감을 증진시키는 데 효과적임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프로그램은 결혼이주여성의 행복, 자아존중감 향상에 효과가 크다는 것을 시사한다. 그러므로 본 프로그램은 결혼이주여성의 행복, 자아존중감 및 결혼만족도를 향상하여 한국사회 적응을 돕기 위한 도구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고등학교 기술·가정 '부모됨'영역의 교수·학습 과정안 개발 및 적용 : 실천적 추론 수업 중심으로

        박수경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epare an applicable practical inference instruction program for the 'being parents' category, part of the unit 'marriage and child rearing' of high school first-grade technology & home economics based on the objectives of instruction selected from 11 different kinds of textbooks, and to examine the effects of the program. In the analysis stage, learning objectives and contents were selected, and a practical inference teaching program of six sessions was developed in the stage of design and development. In the acting stage, the program was implemented in class.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students in five coed first-year classes in a high school located in the city of Icheon, Gyeonggi province, who were grouped into an experimental group to which the program was applied. In the evaluation stage, a survey was conducted on the learners after the experiment was completed. The major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learning object of the program was to assist parents to be aware of the meaning of being parents, to be ready for that, to make a rational and moral decision in view of the impact of the decision on themselves, families and society, and to become ideal parents who could properly respond to future society. Second, a practical inference instruction was designed about the first-year unit 'being parents' of high school technology & home economics, and a teaching program of six sessions was developed according to the selected practical problems. Third, the students were asked to evaluate the program after it was conducted. The experimental group that received instruction according to the program underwent a significantly positive change, as they got better cognizant of the meaning of being parents and how to be ready for that. It showed that the practical inference teaching program, one of teaching- learning methods geared toward fostering practical problem-solving skills, was effective at improving the values of the high schoolers and their problem-solving skills as future parents, which is expected to let them lead a more independent life. In home economic education, practical reasoning instruction is one of teaching-learning methods suitable for today's information society, and this study was meaningful in that it developed a feasible practical inference teaching program by applying a variety of learning activities to boost the class participation of learners and provide them with more efficient instruction instead of merely having them exposed to knowledge-centered expository lessons. 본 연구는 고등학교 1학년 기술·가정 교과의 ‘결혼과 육아’ 단원에서 ‘부모됨’에 대한 수업 내용을 중심으로 기존의 11종 교과서와 관련 자료를 분석하여 추출한 수업 목표를 가지고 ‘부모됨’ 인식과 가치관 변화를 위한 실천적 추론 수업 과정으로 재구성한 후 구체적인 진행절차를 설계하고, 이를 토대로 실제 수업에 적용 가능한 교수-학습 과정안을 개발하여 실제로 교실 수업에 실행하여 실천적 추론 수업 방식의 효과를 평가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분석 단계, 설계 및 개발 단계, 실행 단계, 평가 단계를 거쳤다. 분석 단계에서는 부모됨 프로그램과 관련된 선행연구와 문헌, 제7차 기술·가정 교육과정에서 제시하고 있는 교과 교육의 목표, 제7차 교육과정의 기술·가정 11종 교과서의 ‘부모됨’ 관련 단원의 내용, 부모됨 교육 내용에 대한 요구도 및 교육 내용을 분석하여 고등학교 1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교육에 적합한 학습 목표와 내용을 추출하였다. 설계 및 개발 단계에서는 분석 결과를 토대로 고등학교 1학년 ‘부모됨’ 단원을 실천적 문제 중심으로 재구성하고, 실천적 추론 수업을 위한 총 6차시의 교수-학습 과정안을 개발하였다. 실행 단계에서는 개발된 6차시 교수-학습 과정안은 실천적 문제 ‘부모가 된다는 것이 나에게 의미하는 것이 무엇인가?’로 1,2차시를, ‘좋은 부모가 되기 위해 나는 무엇을 준비해야 하는가?’로 3,4,5차시를, ‘바람직한 부모역할을 위해 나는 무엇을 해야 하는가?’로 6차시 교수-학습 과정안을 학교 수업에 적용하였다. 적용 대상은 경기도 이천시 소재의 고등학교 1학년 남녀 합반의 5개 학급을 대상으로 실험집단을 구성하였다. 평가 단계에서는 모든 수업이 끝난 후 수업에 참여한 학습자를 대상으로 설문지를 이용하여 알아보았다. 미 응답이나 부실 기재한 설문지를 제외한 사전 검사 180부, 사후 검사 180부 총360부를 SPSS/ WIN 12.0을 이용하여 부모됨 단원의 하위 요소인 부모됨의 의미와 동기, 부모됨의 준비, 부모됨의 역할로 나누어 대응표본 t-검정을 통해 학습자의 부모됨에 대한 인식의 향상을 가져오는지 그 효과에 대해 결과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부모됨 교육 내용에 대한 요구도 및 교육 내용을 분석하여 고등학교 1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교육에 적합한 학습 목표와 내용을 추출하였다. ‘부모됨’ 단원의 총괄 학습목표는 “부모됨의 의미와 동기를 인식하고 부모 역할을 위한 준비를 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여 미래 사회에 맞는 바람직한 부모가 되기 위해 자신과, 가족, 더 나아가 사회에 미칠 제반의 영향을 고려할 수 있는 합리적이고 도덕적인 의사결정을 내릴 수 있다.”로 정의하였다. 둘째, 고등학교 1학년 ‘부모됨’ 단원을 실천적 추론 수업으로 재구성하였다. 개발된 교수-학습 과정안의 내용은 3개의 실천적 문제 즉, 부모됨의 의미와 동기를 추론하는 ‘부모가 된다는 것이 나에게 의미하는 것이 무엇인가?’, 부모됨의 준비를 추론하는 ‘좋은 부모가 되기 위해 나는 무엇을 준비해야 하는가?’, 부모됨의 역할을 추론하는 ‘바람직한 부모역할을 위해 나는 무엇을 해야 하는가?’로 정하고 실천적 문제에 따른 각 하위 주제로 총 6차시의 교수-학습 과정안을 개발하였다. 셋째, 개발된 교수-학습 과정안을 적용 후 학생들의 평가를 알아보았다. 학생들의 평가를 살펴보면 수업에 흥미가 있어 수업에 대한 참여가 촉진되며, 수업 내용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될 뿐만 아니라 가정과 수업에 만족을 주어 그들의 부모됨에 대한 수업 태도에 긍정적인 변화를 주는 것으로 평가하였다. 하지만 수업시간에 비해 학습량이 많아 적절하지 못하였으며, 아직 부모가 된다는 것이 먼 미래의 일이라는 생각들이 많은 청소년이 학습자이다 보니 내용이 학습자에게 실생활에 많은 도움이 되지 못한다라는 평가를 한 것으로 여겨졌다. 부모됨의 의미와 동기에 대한 인식 향상과 부모됨의 준비에 대한 인식 향상 면에서 실천적 추론 수업 방식으로 수업한 실험집단은 수업 후 인식의 변화에 긍정적인 유의미한 영향을 주었다. 이는 고등학생 대상의 부모됨 교육의 가치관 향상과 부모됨에 따른 문제해결 능력 향상은 학습자가 주도적인 삶을 영위하는데 필요한 가치관과 다양한 능력을 기르는데 도움을 줄 수 있는 실천적 문제해결력을 위한 교수·학습 방법인 실천적 추론 수업 과정이 적절다고 보여졌다. 부모됨 단원의 수업을 한 후 학생들의 평가에서 ‘태교·임신·피임·출산에 대한 이해에 대한 이해’에 대한 부분에 많은 도움이 되었다고 하였고 ‘저출산에 대한 인식 변화 정도’와 ‘부모됨의 어려움 극복에 대한 대처’ 내용이 학습자들에게 큰 도움이 되지 못한다는 평가를 보였다. 이와 같은 평가 결과를 종합해 보면, 부모됨 단원을 실천적 추론 수업 방식으로 적용하였을 경우 학습자들의 인식 변화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실천적 추론 수업 방식은 학습자들의 흥미와 참여, 이해를 높일 수 있는 긍정적인 결과를 가져 오며 부모됨 단원을 수업하고 나서 학습자들에게 태교·임신·피임·출산에 대한 이해 영역이 가장 크게 도움이 된다고 보여진다. 본 연구는 가정과교육에서 지식정보화 사회에 적합한 교수-학습 방법인 실천적 추론 수업을 효과적으로 학교 현장에 적용시킬 수 있는 구체적인 교수-학습 과정안을 개발하여 기존의 단순 지식 위주의 교과서 수업에서 벗어나 다양한 학습내용과 학습활동으로 학생들의 흥미와 수업 참여도를 증대시켜 효과적인 수업이 가능하다는 점에서 교육적 의의를 가진다고 할 수 있다.

      • 소조활동을 통한 미술치료프로그램이 결손가정아동의 자아존중감 향상에 미치는 영향

        박수경 대전대학교 보건스포츠 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7631

        Home is a social environment for the first time in one's life. So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s and their children at home is an important factor for children's character building. But parentless families trends to be brought more and more in modern societies. We know that most parentless children have a low self-esteem by lots of former studies. Self-esteem which an individual happiness can depend on should be more important thing. Therefore it is certainly thought that a study for improving parentless children's self-esteem may be necessary. In this study, art therapy may be a good method which can improve parentless children's self-esteem because it is easy to derive from children's feelings with less control zone than languages. A modeling activity is one of several art therapy. It is a efficient method capable of having an positive effect on improving children's self-esteem. Until now, this is never studied. The aim of this study is to improve parentless children's self-esteem by art therapy of a modeling activity. For this study, the two parentless children of first glade students in A elementary school had been tested by art therapy of a modeling activity for 60 minutes every week, total 12 times from June to August in 2005. So they tested self-perception inventory and self-esteem inventory before doing art therapy of a modeling activity and after it. And then coupled sample T-test was calculated, and detail activities by art therapy's step of a modeling activity were described. The conclusion of this study is positively to improving parentless children's self-esteem by art therapy of a modeling activity. It can solve a problem about their lack of affection. And their self-esteem can be improved from their models and they have an positive image of the future. So it may be good for improving parentless children's self-esteem by art therapy of a modeling activ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