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몬테카를로 시뮬레이션을 이용한 스핀 모형의 임계 현상 연구

        박소정 조선대학교 2018 국내석사

        RANK : 248655

        몬테카를로 시뮬레이션은 통계 물리에서 상전이 및 임계 현상 연구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본 연구에서는 컴퓨터 시뮬레이션을 통해 강자성 및 반강자성 이징 모형과 블룸-카펠 모형의 임계점에서 상전이 현상과 물리적 특성을 이해하려고 한다. 2차원 사각 격자 위의 이징 모형은 몬테카를로 방법을 사용하여 상전이 현상을 쉽게 시뮬레이션하고 스핀 시스템의 물리적 특성을 연구할 수 있다. 케노니컬 시뮬레이션 방법인 메트로폴리스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히스토그램을 수집한 후, 히스토그램 리웨이팅 방법을 이용하여 스핀 모형의 시뮬레이션을 수행하면서 컴퓨터 시뮬레이션 기법을 자세히 습득하였다. 우리는 저온과 강한 외부장이 있는 경우에도 시뮬레이션이 완벽하게 수행되는 왕-란다우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상태 밀도를 측정하여 사각격자, 삼각격자, 그리고 카고메 격자와 같은 구조에서 스핀 모형의 임계 현상을 연구한다. 왕-란다우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제로 온도에서 정확한 임계 자기장을 얻고 스핀 모형에 대한 임계 선의 패턴을 보여준다. Monte Carlo simulation plays a major role in studying phase transitions and critical phenomena in statistical physics. In this study, we try to understand the phase transition phenomena and physical properties at the critical point of the ferromagnetic and anti-ferromagnetic Ising model and the Blume-Capel model in the lattice through computer simulation. Ising model on a two-dimensional square lattice can easily simulate the phase transition phenomena using Monte Carlo methods and study the physical properties of the spin systems. We acquire the histogram using the metropolis algorithm which is the canonical simulation method, and then learn the computer simulation technique while performing the simulation of spin model using the histogram re-weighting method. We study the critical phenomena of spin models in various lattice structures such as square, triangle, and kagomé by measuring the density of states using the Wang-Landau algorithm, which is fully simulated even in the presence of low temperature and high external fields. Using Wang-Landau algorithm, we obtain the exact critical magnetic fields at zero temperature and show the patterns of critical lines for the spin models.

      • 초등학교 방과 후 무용수업 참여에 따른 관여도, 만족도 및 참여지속의사에 관한 연구

        박소정 우석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8655

        <국문초록> 초등학교 방과 후 무용수업 참여에 따른 관여도, 만족도 및 참여지속의사에 관한 연구 박소정 우석대학교 교육대학원 무용교육전공 본 연구는 초등학교 방과 후 무용 수업 참가자들의 개인적 특성에 따른 관여도에 대한 차이를 살펴보고, 관여도와 만족도 및 참여지속의사와의 상호관련성 및 상대적 영향력에 대하여 관계를 규명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J지역 소재 초등학교 중 방과 후 무용 수업에 참여하고 있는 여학생들을 모집단으로 설정하였으며, 응답이 불성실한 10명을 제외하여 최종적으로 자료 분석에 사용된 인원은 290명이었다. 수집된 자료를 바탕으로 변인간의 관련성을 규명하기 위해, SPSS Window 18.0을 활용하였으며, 본 연구에 사용된 통계기법은 기술통계분석, 상관관계분석, 일원분산분석,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이상과 같은 연구의 목적과 연구 방법에 따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첫째, 학년, 무용수업 종목, 참여동기, 참여기간 등 4개영역의 일반적 특성에 따라 관여도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무용수업 종목, 참여동기, 참여기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관여도가 수업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무용수업 효과, 지도교사, 시설이 관여도에 부분적으로 유의한 정(+)의 상관관계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관여도가 참여지속의사에 미치는 영향에서 관여도는 참여지속의사에 유의한 정(+)의 상관관계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수업만족도가 참여지속의사에 미치는 영향에서 효과, 지도교사는 참여지속의사에 유의한 정(+)의 상관관계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론을 종합하여 보면 관여도는 개인적 특성에 따라 차이를 나타내었으며, 관여도는 수업만족도와 참여지속의사에 부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수업만족도는 참여지속의사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초등학교 방과 후 무용수업 참여자들의 특성에 따라 관여도에 영향을 주며, 관여도가 수업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며, 그 만족은 참여지속의사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의미한다. 이 연구 결과는 참여자의 심리적인 관여의 정도에 따라 수업만족도와 지속적 참여의사를 역설적으로 시사하고 있다. <Abstract> Study on Involvement, Satisfaction, and Continued Participation Intention in Connection with After-school Dance Class Participation in Elementary School Park, so-jeong Major in Dance Dept. Education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Woo Suk University Directed by Professor Sohn, Jeong-Ja This study is intended to explore the differences in involvement of after-school dance class participants in elementary school depending on personal characteristics, and clarify the correlation among involvement, satisfaction, and continued participation intention, along with their relative effects. In order to accomplish the objectives, female students participating in after-school dance class of elementary schools located in J area were selected as subjects, and a total of 290 of them, excluding 10 who gave insincere answers, were used for final data analysis. In order to clarify the correlation among variables based on the collected data, SPSS Window 18.0 was utilized, and the following statistical methods were used for the research: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one-way analysis of variance,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Based on the above objectives and methods, the followings results were obtained. First, when the differences in involvement were analyzed as to four categories of general characteristics, which are grade, dance class type, reason for participation and period of participation,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dance class type, reason for participation and period of participation. Second, in terms of effects of involvement on the class satisfaction, the effects of dance class, instructors and facilities had a partially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involvement. Third, in terms of effects of involvement on continued participation intention, the former ha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 latter. Fourth, in terms of effects of class satisfaction on continued participation intention, the effects of dance class and instructors ha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continued participation. The research findings suggest there are different levels of involvement depending on personal characteristics. In addition, involvement had partially significant effects on class satisfaction and continued participation intention, and class satisfaction had significant effects on continued participation intention. It implies the characteristics of dance class participants in elementary school affect the involvement, and it affects the class satisfaction, and the satisfaction affects the continued participation intention. The results paradoxically indicate the class satisfaction and continued participation intention, depending on the level of psychological involvement of class participants.

      • 효과적인 독일어 수업을 위한 독일동화 활용 방안 연구

        박소정 조선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8655

        동화는 소설과 같은 다른 문학 작품들에 비해 작품 당 분량이 많지 않고 줄거리가 복잡하지 않기 때문에 전 연령층의 학습자들로 하여금 독일어 학습에 부담이 없고 흥미를 유발시킬 수 있는 장르이다. 동화의 이러한 장점들을 토대로 해당 언어를 단순히 반복하고 외워야하는 대상이 아닌 학습자 스스로 동화 속에서 자연스럽게 독일어를 습득할 수 있는 기회를 갖게 하고 기존의 문학텍스트를 통해 이루어져 왔던 해석(읽기) 및 작문(쓰기) 위주의 학습뿐만 아니라 듣기, 말하기 학습의 적용 방안을 논의해 보고자 한다. Immer weniger Leute in Südkorea wollen Deutsch lernen und die Sprache hat deutlich an Bedeutung verloren. Jedoch steigt die Zahl der Englischsprechenden immer weiter unter dem Einfluss der Globalisierung an. Und wenn die Leute noch Interesse an weiteren Fremdsprachen haben, lernen sie dann Chinesisch oder Japanisch. Der Hauptgrund liegt darin, dass man mit Deutschkenntnissen bei der Berufswahl weniger Vorteil hat als mit Englisch-, Chinesisch- oder Japanischkenntnissen. Auf der anderen Seite haben die Lernende das Gefühl und das Vorurteil, dass Deutsch schwierig zu lernen ist. Dadurch verlieren sie zunehmend das Interesse und es wird in Südkorea in der Zukunft immer weniger Leute geben, die gern Deutsch lernen würden. Aus diesem Grund hat der Verfasser in dieser Arbeit versucht vorzuschlagen, wie man die Motivation der Deutschlernende wecken kann und wie deutsche Märchen als eine pädagogische Methode im Deutschunterricht angewendet werden können. Die deutschen Märchen, die die Brüder Grimm für die Bevölkerung gesammelt und in der lebendigen Sprache zusammengestellt haben, enthalten deutsche Kultur, deutsche Sitten und deutsches Bewusstsein. Deshalb ist das Märchen ein gutes Bildungsmaterial, da die Lernende durch das Märchen die Ideale und Lebensgewohnheiten des deutschen Volkes kennen lernen können. Außderdem kann man mit den leicht geschriebenen Märchentexten auch Wörter, einfache Sätze und die entsprechenden Grammatikregeln lernen. Ein Vorteil ist, dass die Märchen der Brüder Grimm den Lernenden oft schon bekannt sind, weshalb sie die Bedeutungen der unbekannten Wörter und Sätze leichter erschließen können. Daher konzentriert sich diese Studie darauf, Lernende dazu zu bringen, deutsche Wörter und Satzausdrücke auf der Grundlage des Vorwissens, das die Lernenden bereits besitzen, besser zu erlernen. Spielerischen Aktivitäten und aktive Unterhaltung im Unterricht sind daher positiv und hilfsreich, die Teilnahme der Lernenden aktiver zu gestalten. Es ist zu hoffen, dass diese Studie ein Mittel wird, das den Lernenden die Motivation und das Interesse zum Lernen der deutschen Sprache und Kultur vermitteln kann.

      • 중국어 문법 교재의 조동사 단원 및 내용구성에 대한 연구

        박소정 韓國外國語大學校 敎育大學院 2015 국내석사

        RANK : 248639

        ???法?材中的助???元?究: 以?五?初中????法?材的分析?例 目前,在??作?第二?言的???系中,表示??者的意志、能力、??或推?的助?????系被普遍???不完善,有待加强。因此本文?取???法?材中的助???元??究?象,首先?代表性?者??于理??法和?育?法中助??的名?、??、性?、范?、?量和情?等方面?行分???,然后???三大?店中??量?前的初中?水平?法?材中,?取???助??作?一??立?元的五本?法?材,?行分析??,以期改?、完善?????法中的助?????系的?排。 具???,本文的?究?容分?以下五部分: 第一章,?述?究意?,?究目的,?究?象以及?究方法,??前人?究作出系?的整理。 第二章,?目前存在分?的助??名?、??、句法特征、范?、?量、下?分?等方面的???行??,?察???出助??的?法特征,?而得到助???法??的基准。 第三章,通????市?上??的???法?的考察整理,以情?理??依据,重新?助???行下?分?,?以此?其中五本???法?中的助???元的?成?行分析。 第四章,以抽?的方式,?取其中一部分常用的助??重新?成???元。具??看,首先依据助??的?法特征和情?理?,?助??作?行四分,??其中各自的代表性助??逐一作出?明。接着??利用??助???目,??法?材中的助???元?行?整重?,以期得到最佳的助?????元。 第五章,通??五????法?材中助???元的重新整理,?合助????的重点和?点,提出今后??作?第二?言??中???材的助?????元的?成方案。 ?得??,通?以上?究,本文??了目前???法?中助???元所存在的一些??,比如?有展?出否定形式、?易混淆?目之?的比??明不足、缺少相?的活用???等。?于?些??,本文提出了以下四点建?:首先,?然助??的?性?强,但在??中?是????性中??共性,根据其?法特征整理出大?的助???法???系??;其次,在?材??中?充分理解?利用其下?分?做好助???元的?排;?外,助??的????繁多,?住其常用??,根据??交??景??例句是提高??效果的??;最后,?于易混淆的近?助??,???其主要差?,在活用???中??比出?,??出其??情景?用中的??。

      • 저비용항공사 객실승무원의 직무역량이 직무몰입과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박소정 한서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8639

        The Influence of Low cost Carrier Cabin Crew’s Job Competency on Job commitment and Turnover Intention. With the Open Sky from the United States, as well as rapid economic growth and active governmental support in Korea, the air transport industry has entered into a new wave of innovation. As the large domestic airlines increased airfare, low-cost airlines began to appear in the air transportation market. These low-cost carriers have intensified competition in the airline industry, presenting more choices for consumers, which in turn have translated to rapid growth for the low-cost carriers. As both domestic and foreign airline industry relies heavily on human resources, the role of cabin crew, who come directly face-to-face with customers, are of vital importance. The cabin crew is in charge of on-air services, helps the customers to travel to their destinations in an amicable and safe manner, and has a direct impact on the airline image. Leading corporations have recently been identifying the competencies of organizational members and engaging in human resources management. The importance of the capabilities of organizational members is being emphasized today; the competencies of cabin crew are also important as they can influence customer satisfaction in airlin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influence of job competencies of airline cabin crew, playing an important role in the rapid-growing low-cost carriers, on their job engagement and turnover intention, and the influence of job engagement of the cabin crew of low-cost carriers on turnover intention. For the purposes of empirical analysis, this study has conducted surveys in the arrival customs of Gimpo International Airport with cabin crew employed by domestic low-cost carriers. A total of 300 surveys were distributed, and excluding 18 survey sets with unanswered questions and responses that were deemed insincere, 282 samples of significance were utilized in the empirical analysis. SPSS 18.0 was utilized to analyze the collected surveys, and reliability analysis was conducted to measure the consistency of the measured items and variable reliability. Exploratory factor analysis to verify the validity of the factors and regression analysis to identify the inter-variable influence were conducted. Additionally, analysis of variance (ANOVA) was conducted. The findings of the empirical analysi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mong the job competency factors of low-cost carrier cabin crew, personal characteristics competency, interpersonal relationships competency, and situation handling ability were found to have a significant positive (+) influence on job engagement. On the other hand, self-management ability did not have a significant influence on job engagement. Second, the job engagement of low-cost carrier cabin crew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negative (-) influence on turnover intention. These results indicate that higher job engagement for low-cost carriers’ cabin crews lead to lower turnover intention. Third, among the job competencies of the low-cost carrier cabin crew, self-management ability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s competency had a significant negative (-) influence on turnover intention. On the other hand, personal characteristics competencies and situation handling ability did not have a significant influence on turnover intention. As such,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 the following practical considerations on improving job engagement to enable development of job competency factors and lower turnover intention for low-cost carriers’ cabin crew members. First, low-cost carriers should develop hiring guidelines to hire candidates with personal characteristics competency, self-management ability, interpersonal relationships competency and situation handling ability when hiring for new cabin crew members. They should also develop educational programs for the enhancement of individual competencies of the hired crew members to be implemented on a regular basis. Second, the airlines should provide more decision-making ability for new hires to improve job engagement; their superiors should trust and encourage the new hires, creating an environment that furthers job engagement through creating a comfortable atmosphere. Third, the airlines should engage in various role-plays to respond to sudden situations of crises, and further the understanding of these situations through creating videos or providing existing audiovisual material. As foreign language skills are necessary to carry out job requirements and are closely related to personal growth, the employees should be supported to develop these skills through educational programs or program cost reimbursements. Fourth, the airlines should install health management facilities and develop related programs, as well as recreational programs and psychological programs for the cabin crew to manage their personal health and their stress levels. Moreover, they should provide support for professional image consulting programs as well as books and magazines on managing personal image for the professional image development of the cabin crew. Fifth, team-level education should be provided to develop relationships and sense of belonging in cabin crew members, as well as discourses or seminars where the cabin crew may share opinions and engage in conversation. Through surveys for the cabin crew, programs to advance interpersonal relationships should be developed. Low-cost carriers should strive to consistently develop, improve and maintain the job competencies of their cabin crew, and actively seek out methods to improve their job engagement and lower their turnover intention. 미국의 Open sky와 한국의 급속적인 경제성장 그리고 정부의 적극적인 지원의 영향으로 항공운송업계는 새로운 도약과 혁신의 문에 들어서게 되었으며, 국내 기존 대형항공사에서 항공요금을 인상함으로 보다 저렴한 운임을 제공하는 저비용항공사가 항공시장에 등장하게 되었다. 저비용항공사의 출현으로 인하여 항공업계의 경쟁은 심화되었고 고객들의 선택의 폭은 넓어지게 되었으며 저비용항공사의 성장은 급속도로 이루어지고 있다. 국내외 항공 산업은 인적서비스에 많은 부분을 의존하고 있기에 고객들을 직접적으로 응대하는 객실승무원의 역할은 매우 중요시된다. 항공사 객실승무원은 기내서비스를 담당하고 있으며 승객들을 쾌적하고 안전하게 목적지까지 무사히 도착할 수 있도록 돕는 역할을 하고 항공사의 이미지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 최근 선진 기업에서도 조직 구성원의 역량을 파악하고 이를 활용하여 인적자원관리를 실시하고 있다. 이처럼 현재 조직 구성원의 역량의 중요성은 강조되고 있으며 항공사 객실승무원의 역량 또한 항공사에 대한 만족도에 영향을 미칠 수 있기에 중요하게 나타난다. 본 연구는 최근 급속도로 성장하고 있는 저비용항공사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는 객실승무원의 직무역량이 직무몰입과 이직의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또한 저비용항공사 객실승무원의 직무몰입이 이직의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실증분석을 위하여 국내 저비용항공사에서 근무하는 객실승무원들을 대상으로 김포공항 입국장에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총 300부를 배포하여 미응답 항목이 존재하거나 불성실하다고 판단되는 설문지 18부를 제외하고 유의한 282부의 표본을 실증분석에 사용하였다. 수집된 설문지를 분석하기 위하여 통계프로그램 SPSS 18.0을 사용하였으며, 측정 항목의 일관성과 변수의 신뢰도를 분석하기 위한 신뢰도 분석과 요인의 타당성 검증을 위한 탐색적 요인분석 그리고 변수간의 영향력 파악을 위한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실증분석 결과를 정리하면 아래와 같다. 첫째, 저비용항공사 객실승무원의 직무역량 요인 중 개인적특성역량, 대인관계역량, 상황대처능력은 직무몰입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반면에 자기관리능력은 직무몰입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저비용항공사 객실승무원의 직무몰입은 이직의도에 유의한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결과에 따르면 저비용항공사 객실승무원의 직무몰입도가 높아질수록 이직의도가 낮아진 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셋째, 저비용항공사 객실승무원의 직무역량 중 자기관리능력과 대인관계역량은 이직의도에 유의한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개인적특성역량과 상황대처능력은 이직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밝혀졌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 저비용항공사 객실승무원의 직무역량의 요인개발과 이직의도를 낮추기 위한 방안으로 직무몰입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에 대한 실무적 시사점을 아래와 같이 제시하고 있다. 첫째, 저비용항공사에서는 신입 객실승무원을 채용할 때 개인적특성역량, 자기관리능력, 대인관계역량, 상황대처능력을 갖춘 지원자를 채용할 수 있는 선발기준을 설정하여 채용하고 선발된 객실승무원들을 대상으로 개인의 역량을 강화할 수 있는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정기적으로 실시하도록 한다. 둘째, 항공사에서는 직무몰입도의 향상을 위해 신입승무원들에게 보다 많은 의사결정권을 부여하고 상급자는 신입승무원들을 신뢰하고 격려하며 편안한 분위기 형성을 통하여 직무에 더 몰입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할 수 있도록 한다. 셋째, 갑작스런 위기상황에 대처하기 위하여 다양한 롤플레잉을 실시하고 이에 대한 이해를 위해 동영상 제작 혹은 기존의 영상자료들을 제공한다. 그리고 외국어 능력은 직무수행 시 필요시 되는 능력으로 개인적인 성장과 관련이 있기에 교육프로그램을 진행하거나 교육비 지원을 하도록 한다. 넷째, 객실승무원들의 신체적 건강관리와 스트레스 관리를 위한 체력단련시설 혹은 프로그램 개발 및 레크리에이션 프로그램, 심리프로그램을 개발한다. 그리고 객실승무원의 단정한 이미지를 위하여 전문적인 이미지 컨설턴팅 프로그램 지원 및 이미지 관리와 연관된 서적 혹은 잡지를 정기적으로 제공한다. 다섯째, 팀 단위로 교육을 실시하여 친목을 도모하고 소속감을 높이며 객실승무원들이 서로 의견을 이야기하고 대화할 수 있는 간담회 혹은 세미나 등을 실시하도록 하며 객실승무원을 대상으로 한 설문을 통해 수집된 정보로 대인관계를 위한 프로그램을 개발하도록 한다. 저비용항공사는 객실승무원의 직무역량을 지속적으로 개발, 발전, 유지시키려고 노력해야 하며 객실승무원의 직무몰입을 향상 시키고 이직의도를 낮출 수 있는 방안을 적극적으로 모색하여야 한다.

      • 고등학교 『중국어Ⅰ』한자 지도 방안 : 제7차 2015 개정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박소정 충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8639

        汉字是汉语的书写符号,拥有约3500多年的悠久历史。汉字是汉语学习中非常重要的要素,但是现在的汉语教育大部分以口语与听力学习为主,而疏忽与汉字有主要关联的写作或阅读学习的情况很多,而且学习汉字的方法仍旧是以反复练习为主流。汉字为什么只能以这种方法学习呢?究其原因可以说是因为汉字所具备的特征。 汉字不是像韩文一样结合子音和母音而创造的表音文字,它属于表意文字,即一个汉字由形,音,义等三要素构成,只有理解了这三要素才能理解汉字,也正因为这个缘故,与包含24个子母音的韩文,或是包含24个字母音的英语相比,汉字的数量更多,因此,对于学习者来说,只是使用单纯背诵的方法,要想全部记住这些汉字的形、音、义是很吃力的。 再者,简化字是汉语学习者在汉语学习过程中遇到的又一难关,从学习者的角度来看,要掌握和之前学习的汉字不同的、陌生而又新的文字, 这无疑是增加了他们的负担。 纵观韩国现行教科书,大部分都不重视汉字学习,现在所使用的高中『汉语Ⅰ(以下都是根据第7次2015修订教程编纂的)』的教科书中大部分没有单独的汉字学习板块,所以汉语学习者只能使用一边写一边记忆的单纯学习法。 基于此原因,为减轻学习者的负担,本论文将纵览汉字教学实施方案,根据第7次2015修订教程编纂的高中『汉语Ⅰ』5种教科书中的所有词语为对象,旨在设计出汉字的教学实施方案。 首先通过汉字的特点及字体的变迁过程,理解与汉字相关的基本理论知识及汉字的造字原理,然后根据汉字字形的发展,分析并总结了简化字的制定背景及与简化原理相关的内容。 其次,把高中『汉语Ⅰ』5种的汉字分为形声字与非形声字,并依据其特点探索合适的教学方案,并以考察内容为基础,选择5种教科书中的一种来编写实际教学教案。 本论文旨在补充并完善现行教科书中汉字学习部分的不足,希望通过作者所给出的教学实施方案,帮助更多的学习者更有效且有趣地学习汉字。

      • 말하기 상호평가 방안 연구

        박소정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 연구는 국어과 교과서에서 제시하고 있는 상호평가 방법을 비판적으로 검토하고 구체적인 말하기 상호평가 방법을 구안하는 데 목적이 있다. 실제 국어 수업에서 교사가 아동 모두의 말하기 활동 내용을 평가하는 데에는 시간적인 한계가 있으므로 아동 상호간에 평가하는 방법을 흔히 사용하고 있으며, 교과서에서도 그러한 방법이 자주 사용되고 있다. 현행 7차 국어과 교과서는 워크북 형태로 아동들이 쓰고, 말할 수 있는 내용이 안내되어 있지만 평가 방법에 있어서만큼은 교사에게 막대한 부담을 주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교사용 지도서나 교육과정에는 상호평가를 적절하게 활용하라고 되어 있지만, 구체적인 평가 방법에 있어서는 평가 기준조차도 제대로 제시하고 있지 않아서 교사 스스로 평가지를 만들거나 아동을 지도할 때에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다. 또한 국어 교과서 평가 학습이 보충·심화 학습을 위한 형성평가 단계에 머무르고 있어서 단원 학습이 끝난 뒤에 아동에게 도움이 되는 평가라기보다는 학습 활동을 서열화하기 위한, 평가를 위한 평가로 끝나게 되는 경우가 많다. 상호평가지를 만들고, 대상이 되는 아동들이 활동하는 과정을 통해 말하기 평가는 이루어질 수 있으나, 그 평가 내용이 평가 대상이 된 아동에게 돌아가서 자신의 말하기 내용을 반성하고, 다음 말하기에 반영하여 말할 수 있는 경우는 드물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말하기 교육에서 사용할 수 있는 상호평가 방안을 마련하고, 이를 평가 대상이 된 아동에게 돌려줄 수 있도록 교과서를 재구성하는 방법을 마련하고자 한다. 학습이 이루어지는 과정에서 평가의 본래 목적인 아동의 발달에 영향을 끼칠 수 있는 평가가 되기 위해서는 활동 그 자체로 평가가 되는 동시에 아동에게 평가 결과가 피드백 될 수 있는 것이어야 한다. 교육과정이나 지도서에 제시된 것과는 다르게 현행 교과서에 제시 되어 있는 ‘상호평가’ 방법은 적절하지 못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말하기 학습에 있어서 활용할 수 있는 상호평가 방법을 구안하고 이를 교육 활동에 적용해보았다. Ⅱ장에서는 상호평가 방법의 이론적 기반을 마련하기 위해 말하기 영역에서의 평가 방법을 아동 상호간의 상호작용과 현재 국어과에서 새롭게 부각되고 있는 생태학적 관점과 연결시켜 논의하였다. 언어의 특성상 말하기와 듣기는 떼려야 뗄 수 없는 관계이므로 아동 상호간에 언어 표현과 이해 과정에서 일어나는 상호작용과 이러한 언어 현상을 생태학적인 관점으로 살펴보고, 이를 바탕으로 국어과에서의 상호평가의 필요성을 살펴보았다. 또한 현행 교과서에 제시된 상호평가 방법을 비판적으로 검토하고, 수업 현상 분석 및 아동과의 면담을 통하여 교수-학습 상황에서 상호평가가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는지 실태를 분석하고 문제점을 파악하였다. Ⅲ장에서는 Ⅱ장의 이론적 기반을 바탕으로 하여 상호평가의 준거와 틀을 만들고 그 구체적인 구성 방안을 구안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상호평가 방법을 구안하여 적용한 뒤 상호평가 방법의 실현 현장을 기술하였다. 구체적인 방안으로 4학년 말하기·듣기·쓰기 교과서를 재구성하여 제시하였다. 현행 7차 국어 교과서에서는 되돌아보기를 평가학습을 위한 내용으로 구성하고 있으나 본 연구에서는 평가와 교수·학습을 통합되어 운영되어야 할 하나의 과정으로 보고, 교수·학습 방법이면서 평가가 되는 방법을 구안하였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교과서에 있는 면을 새롭게 활용하고, 따로 학습지나 평가지를 마련하지 않고도 교과서를 활용하는 것만으로도 상호평가를 효율적으로 할 수 있으며, 상호평가가 아동 상호간의 평가에서 끝나는 것이 아니라, 학습자의 태도 및 지적 발달에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기대한다.

      • 수술실 간호사의 환자안전에 대한 인식과 안전관리활동

        박소정 영남대학교 환경보건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8639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awareness of patient safety and the performance of safety management activity with nurses in operating room and to determine factors affecting the safety management activity. Its subjects were 161 nurses in operating room of eight general hospitals located in Daegu metropolitan city and Gyeongsangbuk-do. The data of this study were collected through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from 21 December 2010 to 5 January 2011. The questionnaire consisted of questions about general characteristics, work properties, perception of patient safety and safety management activity. The data were analyzed with SPSS ver. 18.0 statistical program and t-test, oneway ANOVA,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Their perception of patient safety scored 3.33 out of 5 points. The awareness of ‘hospital environment' among items of the awareness of patient safety recorded the highest score or 3.76 points and the awareness of ‘work environment' was the lowest by recording 3.15 points. The score of safety management activity for patients in operating room recorded 4.28 out of 5 points. Among items of safety management activity, ‘fall' showed the highest score or 4.52 points while 'fire' did the lowest one or 3.92 points. As the perception of patient safety in nurses of operating room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their safety management activity(p<0.01), the nurses with higher awareness of patient safety were found to have higher degree of performance of safety management activity. According to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o determine factors influencing the safety management activity, the group receiving over 12 times of training about patient safety and hospitals preparing healthcare accreditation and showing positive communication and procedure among staffs showed higher degree of performance of safety management activity. In conclusion, to improve safety management activity staffs' open discussion about patient safety is important and a periodic education about patient safety for nurses and the standardization of nursing to meet standards of healthcare accreditation are necessary. In addition, the improvement of work environment through personnel supplementation and a realistic training to cope with fire considering work circumstances are needed. 이 연구는 수술실 간호사의 수술환자 안전에 대한 인식 수준과 안전관리활동 수행 정도를 분석하고 안전관리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파악하여 수술환자 안전관리를 위한 교육 프로그램 개발과 안전한 수술실 환경 조성을 위한 자료를 제공하고자 시행하였다. 연구 대상은 대구광역시와 경상북도에 소재한 8개 종합병원 수술실 간호사 161명이었고 자료수집 기간은 2010년 12월 21일부터 2011년 1월 5일까지였다. 설문은 일반적 특성 관련 3문항, 근무특성 관련 6문항, 환자안전 인식 관련 25문항, 환자 안전관리활동 관련 29문항을 조사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 ver. 18.0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t-검정, 일원배치 분산분석, 상관관계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고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수술실 간호사의 환자안전에 대한 인식 점수는 5점 만점에 3.33점이었다. 하위영역 중 병원환경에 대한 인식이 3.76점으로 가장 높았고 부서 근무환경에 대한 인식이 3.15점으로 가장 낮았다. 수술실 간호사의 수술환자 안전관리활동 점수는 5점 만점에 4.28점이었다. 하위영역 중 낙상이 4.52점으로 가장 높았고 화재가 3.92점으로 가장 낮았다. 수술실 간호사의 환자안전에 대한 인식과 안전관리활동 사이에는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r=0.301, p<0.01)가 있어 환자안전에 대한 인식이 높을수록 안전관리활동 정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안전관리활동 정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알아보기 위해 다중회귀 분석한 결과 안전교육을 12회 받는 경우와 인증평가를 준비하는 경우 그리고 직원간의 의사소통과 절차가 긍정적인 경우 안전관리활동 수행 정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 안전관리활동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환자안전에 대한 직원간의 개방적인 논의가 필요하고 인증평가 때와 같은 환자안전에 관한 병원의 지원과 주기적인 교육, 평가기준에 맞는 간호업무의 표준화가 요구된다. 또한 인력 충원 등을 통한 부서 근무환경개선과 부서 근무 상황에 맞는 실질적인 화재 대비 훈련이 필요하다. 이 연구에서 수술실 간호사의 안전관리활동 수행 정도를 자기기입식으로 조사하여 실제 수행 정도와 일치하지 않을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연구결과를 일반화하기에 어려움이 있고 향후 객관적인 평가에 의한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 환경친화적인 공정을 이용한 술폰화된 poly(GMA-co-EGDMA)/Ag 나노입자 복합체의 제조 및 촉매 특성 평가

        박소정 忠南大學校 大學院 2016 국내석사

        RANK : 248639

        The catalytic activities of polymer/Ag nanoparticles(AgNPs) composites in various reaction systems has attracted great attentions in recent years. Although many synthetic methods that enable the deposition of Ag nanoparticles on the polymer have been developed, the need for much safer and greener process is increasing. Easy recovery after use and prolonged performance are also important issues should be considered in the utilization of polymer/AgNPs composites as a catalys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duce the recyclable polymer/AgNPs composite particles, which can be easily separated from the reaction system, via an environmentally-friendly process that does not require toxic additives such as a reducing agent and stabilizer. In order to do that, sulfonated poly(glycidyl methacrylate-co-ethylene glycol dimethacrylate) (SPGMA) microspheres were prepared by sulfonation of epoxy groups in glycidyl methacrylate monomer units. Sulfonic acid groups in SPGMA microspheres played both roles of increasing the adsorption of Ag+ ions and reducing the Ag+ ions to zero-valent silver, Ag0. Effects of several experimental conditions such as degree of sulfonation of SPGMA, the reaction temperature, and concentration of AgNO3 on the changes in size, distribution, and the amount of deposition of AgNPs were examined. After establishing an optimal condition for polymer/AgNPs composites, their catalytic performance was evaluated using the reduction of various organic dyes such as 4-nitrophenol(4-NP), methylene blue(MB) and eosin Y(EY) as model reactions. In batch-wise experiments, it was observed that the dye molecules reduced rapidly in the presence of polymer/AgNPs composites in all cases, but the reduction kinetics were different depending on the electrostatic charges of dye molecules. In contrast to the reduction of neutral 4-NP, the reduction kinetics of anionic EY or cationic MB were deviated from pseudo-first order kinetics, which is probably resulted from electrostatic interaction between dye molecules and sulfonic acid groups in polymer/AgNPs composites. It was also confirmed that the developed polymer/AgNP composite particles possessed high stability and catalytic activities over prolonged operation time and easily recovered from reaction system through a continuous reduction of 4-NP in packed column. In summary, sulfonic acid groups of SPGMA exhibit a major role in the preparation of polymer/AgNPs composites and the resulting composite particles are advantageous in the viewpoint of recycle of AgNPs as a catalyst and applicability in continuous operations.

      • 학습자수준에 따른 어휘, 문법, 주제친숙도와 영어 듣기와의 상관관계 연구

        박소정 한국외국어대학교 교육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8639

        학습자수준에 따른 어휘, 문법, 주제친숙도와 영어 듣기와의 상관관계 연구 본 연구는 한국 고등학생들을 대상으로 어휘, 문법, 주제친숙도가 영어 듣기에 미치는 영향을 학습자 수준에 따라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더불어 학습자의 듣기이해도를 문항 난이도와 상향식, 하향식 문항의 정답률로 나누고 어휘, 문법, 주제친숙도가 문항 난이도 그리고 상향식, 하향식 문항의 정답률과 어떤 상관관계를 가지는지에 대해서 연구하고자 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첫 번째 연구문제는 학습자의 수준에 따라 어휘, 문법, 주제친숙도와 영어 듣기 점수가 어떤 상관관계를 갖는지 알아보는 것이었다. 그 결과 학습자 수준이 높은 학생들의 듣기 총점과 어휘, 문법, 주제친숙도 사이에는 어느 것과도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있지 않은 것으로 밝혀졌다. 학습자 수준이 중간인 학생들의 듣기 총점과 어휘, 문법, 주제친숙도 사이에는 어휘만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학습자 수준이 낮은 학생들의 듣기 총점과 어휘, 문법, 주제친숙도 사이에는 어휘, 주제친숙도와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두 번째 연구문제는 학습자의 수준에 따라 문항난이도와 어휘, 문법, 주제친숙도가 어떤 상관관계를 가지는가에 대해서 살펴보는 것이었다. 그 결과 학습자 수준이 높을 때는 난이도가 상, 중, 하인 문제를 풀 때 어휘, 문법, 주제친숙도 중에서 어느 것과도 상관관계가 없었지만, 학습자 수준이 중간일 때는 난이도가 상, 하인 문제를 풀 때에만 어휘와 상관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학습자 수준이 낮을 때는 난이도가 상, 중, 하인 문제를 풀 때 어휘와 주제친숙도와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마지막 연구문제는 학습자 수준에 따라 상향식, 하향식 문항의 정답률과 어휘, 문법, 주제친숙도가 어떤 상관관계를 가지는가에 대해서 살펴보는 것이었다. 그 결과 학습자 수준이 높을 때는 어휘, 문법, 주제친숙도 중 어느 것도 상향식 문항의 정답률과 상관관계를 가지지 않았지만, 하향식 문항의 정답률과 어휘는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습자 수준이 중간일 때는 상향식 문항의 정답률과 어휘 사이에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하향식 문항의 정답률에는 어휘, 문법, 주제친숙도 중 어느 것과도 상관관계가 나타나지 않았다. 마지막으로 학습자 수준이 낮을 때는 상향식 문항의 정답률, 하향식 문항의 정답률과 어휘, 주제친숙도 사이에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체적으로 살펴보면 학습자의 수준이 높을 때는 영어 듣기 문항의 난이도나 유형에 관계없이 어휘, 문법, 주제친숙도와 영어 듣기 사이에 상관관계가 없었지만, 학습자 수준이 중간이거나 낮을 때는 공통적으로 어휘와 영어 듣기 사이에 상관관계가 있었다. 주제친숙도는 학습자 수준이 낮을 때에만 영어 듣기와 상관관계가 있었다. 학습자의 수준에 따라 어휘, 문법, 주제친숙도는 학습자의 영어 듣기 능력에 각각 다르게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영어 듣기 교육에서 학습자의 수준을 고려하여 영어 듣기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과 학습자의 듣기이해도 사이의 관계를 연구해보고, 이러한 연구 내용을 학습자의 수준별 듣기 지도에 적용해 볼 수 있을 것이다. A Correlation Study of English Vocabularies, Grammar and Topic Familiarities with Listening Comprehension on Various Levels of Student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correlation of vocabulary, grammar and topic familiarities with high school students' English listening comprehension, depending on various levels of the students. Also, listening comprehension consists of the difficulty of the test and the percentage of correct answers of both bottom-up and top-down questions. The test and survey were conducted with 102 high school students. The survey consisted of questions regarding students' preference of English subject, private education and English listening study etc. Then, students took three tests. First, English listening test with 18 questions was carried out. The questions were finding details and finding topic from 2016 mock test of Korea Institute for Curriculum and Evaluation. The questions were divided into high, middle and low level of difficulty according to the standardized criterion from KICE. After taking a listening test, students were asked to check the familiarity of each listening contents. Second, vocabulary test was conducted with 10 questions from listening script and 10 from vocabulary list (Neungyule, 2013). Students were asked to write the meaning of the words after listening to the words. Lastly, grammar test was done with 34 questions from 17 English grammar structure (Ellis, 2005). Listening each sentence, students checked whether the sentence was grammatically correct or not. The first research question is to identify the correlation of vocabulary, grammar and topic familiarity with listening comprehension depending on various levels of students. As a result, when the students’ level is high there is not any correlation with them, when the students’ level is middle there is correlation with vocabulary and when the students’ level is low there is correlation with vocabulary and topic familiarity. It means that high level of students have correlation with other factors affecting listening comprehension except for vocabulary, grammar and topic familiarity. Also, middle and low level of students have correlation with vocabulary in common but don’t have any correlation with grammar. The second research question is to identify the correlation with the difficulty of questions, vocabulary, grammar and topic familiarity depending on various levels of students. As a result, when students’ level is high, with high, middle and low level of difficulty of questions, there is not any correlation with vocabulary, grammar and topic familiarity. But, when students’ level is middle, with high and low level of difficulty of questions, there is correlation with vocabulary in common. When students' level is low, with high, middle and low level of difficulty of questions, there is correlation with vocabulary and topic familiarity in common. The last research question is to identify the correlation of vocabulary, grammar and topic familiarity with the percentage of correct answers in both bottom-up and top-down questions. The result is that when students’ level is high, any of them don't affect the bottom-up questions, but vocabulary affects the percentage of correct answers in top-down questions. When students’ level is middle, vocabulary highly affects the percentage of correct answers in bottom-up questions and there is no correlation with any of them with the percentage of correct top-down answers. Lastly, when students’ level is low, vocabulary and topic familiarity affects the percentage of correct answers in both top-down and bottom-up questions. Overall, when students’ level is high, vocabulary, grammar and topic familiarity don’t affect the listening comprehension regardless of level of difficulty and types of questions. When students’ level is middle and low, vocabulary is the important factor to listening comprehension, and topic familiarity is important factor when students' level is low. Depending on various levels of students, vocabulary, grammar and topic familiarity affects listening comprehension differently. Therefore, English listening education considering various levels of students is necessar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