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dihydroartemisinin 과 hemin의 항암효과

        박성훈 전북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47

        악성 흑색종은 가장 공격적이고 위험 종류의 암이며, 쉽게 치료되지 않고 발병 후 전신으로 쉽게 퍼지는 특성을 갖고 있다. 그로 인해 본 연구에서 dihydroartemisinin이 흑색종에 대한 새로운 치료제가 될 것으로 생각하였다. Artemisinin은 중국의 전통 약제로서 Artemesia annua L. 로부터 추출하여 항말리아 약제로 이용되고 있다. Artemisinin은 endoperoxide bridge를 갖고 있으며 그 결합이 2가 철 이온에 의해 끊어지고 자유라디칼을 형성한다. 말라리아 기생충은 헤모글로빈을 분해하고 섭취하기 때문에 다량의 철 이온을 함유하고 있다. 자유라디칼은 세포 내에서 세포 구성 성분에 대해 손상을 입히고 세포자살을 유도한다. 최근의 연구에 따르면 artemisinin과 그 파생 유도체들이 여러 종류의 암세포주에 대해 항암효과가 있다는 보고가 있다. 일반적으로 암세포는 세포 성장과 증식에 이용하기 위하여 정상세포에 비해 상대적으로 더 많은 양의 철 이온을 함유하고 있다. 홀로트렌스페린은 혈액으로부터 철 이온을 운반하여 세포에 수용체-매개 세포 내 유입(receptor-mediated endocytosis)을 통하여 철 이온을 공급한다. 또 다른 세포 내 철 이온 유입 기작으로는 헤민(hemin), 프로토포피린(protoporphyrin)과 같은 힘 분자들이 있다. 힘 분자는 홀로트렌스페린 수용체와 독립적으로 세포의 기작에 의해 매우 빠르고 강한 철 이온의 세포 내 유입의 기작이다. 이와 같은 이론을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dihydroartemisinin과 힘 분자의 혼합처리를 하여 생체 내·외에서의 항암효과를 측정해보고자 하였다. 항암효과를 측정하기 위해 실험에서 B16-F10(mouse melanoma cell line)의 암세포주를 이용하였으며, MTT assay와 LIVE/DEAD assay를 통하여 세포독성을 측정하였다. 각각 dihydroartemisinin, dihydroartemisinin + hemin, dihydroartemisinin + holo-trasferrin의 실험군 별로 처리하고 48시간 후 dihydroartemisinin + hemin의 혼합처리군이 dihydroartemisinin + holo-trasferrin 혼합처리군에 비해 약 10%이상의 항암효과를 나타내었다. 본 결과를 통하여 dihydroartemisinin과 헤민의 혼합처리가 흑색종과 그 밖의 피부암에 대한 새로운 화학치료제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Malignant melanoma is one of the most aggressive types of cancer with currently no chance of cure once the disease has spread to distant sites. We supposed that dihydroartemisinin is novel candidates for melanoma. Artemisinin is an anti-malarial drug isolated from the Chinese plant Artemesia annua L., or sweet worm wood. An artemisinin contains an endoperoxide bridge that cleaved by ferrous iron(Fe2+)to produce free radical. Malarial parasites contain a high amount of iron. Because they ingest or degrade hemoglobin. Free radical can cause intra cellular macro molecule damage and apoptosis. Recently, it was reported that artemisinin and its derivatives also have anti-cancer effect against several type of cancer cell lines. Generally most cancer cells has more iron amount than normal cells for growth and proliferation. Holo-transferrin transports iron from blood to cell. It is caused by transferrin receptor mediated endocytosis. And other mechanism of iron intake is heme molecule such as hemin, protoporphyrin and so on. Heme molecule is fast and strong iron intake by cell mechanism that is independent from holo-transferrin receptor. So in this study we designed to examine the anti-cancer effect of dihydroartemisinin and heme molecule combination in vitro and in vivo. The anti-cancer effect was demonstrated by mouse melanoma cell line; B16-F10. And we measured anti-cancer effect by MTT assay and LIVE/DEAD assay. After treatment with dihydroartemisinin, dihydroartemisinin + hemin or dihydroartemisinin + holo-trasferrin for 48-hours, indicating that dihydroartemisinin + hemin was more 10% effective than dihydroartemisinin + holo-transferrin in inhibiting mouse melanoma cell line. These results are clues that dihydroartemisinin and hemin combination may be promising novel candidates for melanoma and other skin cancer chemotherapy.

      • Effect of equol a metabolite of isoflavon on differentiation of human mesenchymal stem cells into osteoblasts in vitro

        박성훈 고려대학교 2009 국내박사

        RANK : 247647

        연구 목적: Isoflavon의 유도체인 equol이 인간 골수 줄기세포에서 조골세포로의 분화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 추가적으로 genistein에 대해 촉진제 (agonist)의 역할을 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인간 골수 줄기세포를 배양하여 조골세포분화용 배지에서 조골세포로의 분화를 유도하여 배양한다. 실험은 4군으로 분류하여 시행하였다. 1군은 대조군으로 어떠한 약물도 처리하지 않았으며, 2군은 equol을 10-5 M의 농도로 처리하였고, 3군은 genistein을 10-5 M의 농도로 처리하였으며, 4군은 equol+genistein을 10-5 M의 농도로 처리하였다. 1, 3, 7일 경과 후 total RNA를 추출한 후 real time RT-PCR을 시행하여 Runx-2, BMP-2 및 ALPL의 발현을 분석하였다. 결과: Runx-2의 발현은 equol, genistein, equol+genistein 세 군 모두 1, 3, 7일 후 대조군에 비해 감소하였다 (0.26~0.75). BMP-2의 발현은 1일 후 equol 군에서 2.67배, genistein 군에서 3.51배, equol+genistein 군에서 15.14배 증가하였으나, 3, 7일 후에는 대조군에 비해 감소하였다 (0.26~0.39). ALPL의 발현은 1일 후 equol 군에서 1.62배, genistein 군에서 2.70배, equol+genistein 군에서 2.92배 증가하였고, 3일 후에도 equol 군에서 4.67배, genistein 군에서 2.51배, equol+genistein 군에서 5.21배 증가하였으나, 7일 후에는 역시 대조군에 비해 감소하였다 (0.58~0.91). 결론: Equol은 인간 골수 줄기세포에서 조골세포로의 초기 분화를 촉진하고 이에 관여하는 유전자의 발현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보이며, genistein에 대해서는 촉진제로서의 역할도 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본 연구 결과로 보아 equol은 골형성을 촉진하는 인자가 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따라서 equol과 genistein이 향후 골다공증에 대한 새로운 치료제로 사용되기를 기대해 보나, 이에 대한 효과와 실효성에 대해서는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Objectives: Our objective is to evaluate the effect of equol on gene expression in differentiation of human mesenchymal-stem-cells (h-MSC) into osteoblasts in vitro, and to evaluate whether equol act as an agonist on the genistein. Materials and Methods: Human bone marrow stem cells were cultured in 8 well culture dishes at an initial density of 25,000 cells/well. Cells were cultured for 0~7 days in osteogenic differentiation medium and added equol, genistein, equol+genistein to the wells at final concentration of 10-5 M. Total RNA was extracted after 1, 3, 7 days, and the analysis of Runx-2, BMP-2, ALPL gene expression was done by real time PCR. Results: We found that equol and genistein had better enhancing effect on early stage of osteoblast proliferation as compared to those compared to those cultured in media without equol or genistein. In addition, equol+ genistein had better enhancing effect on early stage of osteoblast proliferation as compared to those cultured in media with equol or genistein. Equol, genistein, equol+genistein produced a 0.18~0.75-fold increase of Runx-2 expression at 1, 3, 7 days. Equol produced 2.67-fold increase, genistein 3.51-fold increase, and notably equol+genistein 15.14-fold increase of BMP-2 expression at 1 day. However, all produced 0.21~0.39-fold increase of BMP expression at 3, 7 day. Equol produced 1.62-, 4.67-fold increase, genistein 2.70-, 2.51-fold increase, and equol+genistein 2.92-, 5.21- fold increase of ALPL expression at 1, 3 day. However, all produced 0.58~0.91-fold increase of ALPL expression at 7 day. Conclusion: We suppose that equol is a potent stimulator of osteogenetic gene expression during early stage of osteoblast differentiation. Also, equol may act as an strong agonist on genistein to induce early osteoblast differentiation. We hope genistein and equol may come to be used for the treatment of osteoporosis in the future. These possibilities merits further testing.

      • System Dynamics를 활용한 벌크 화물 운임 지수 예측 연구 : 발틱 운임 지수를 중심으로

        박성훈 인천대학교 동북아물류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47631

        Ocean shipping covers 90% of international trade, and importantly operated as national industries of many countries. Ocean shipping is divided in two operation method, firstly, container linear shipping, secondly, tramp shipping for bulk cargo shipping. In this operating methods have each freight index and the index reflets the market. Among them, BDI, is made for bullk cargo shipping, is the index which aggregated represents bulk fleet size Supramax, Panamax and Capesize. BDI is freght index justifed as weighted average of daily present price of cargo. BDI is dry bulk freight index offered since 1985 by Baltic Exchange. BDI is importantly considered from shipping market steak holder and financial investors and plays a key role as a economic indicators. This study forecasts this important index BDI. Previously many studies handled forecast analysis, these are conducted just only time series analysis, not considering ambient factors, or only considered demand factors. It has limitation to help understanding shipping market. In addition, it was judged that it would be difficult to apply it into practice because the existing studies did not analyze each componented fleet size of BDI. Therefore, this study forecasts each fleet size index, which is a component of BDI, and analyzes considering of the effecting factors. Effecting factors were adopted by inserting the demand fators for each fleet size, and inserting supply factors and external factors. The analysis period is from January 2016 to December 2020, the simulation period is from January 2016 to June 2020, and the verification period is from July 2020 to December 2020. On the other hands, in existing system dynamics studies, it is common to derive optimized parameter values ​​by performing calibration on the final target observation value, but in this study, calibration is not performed for BDI, but for each fleet size, and BDI weights were applied to derive simulation values. As a result of verification of MAPE value, BCI belongs to a very reasonable forecast for the validation period value, BPI belongs to a relatively accurate forecasts, and BSI belongs to a very accurate forecasts. BDI was a relatively accurate forecasts. This study has great practical significance by predicting a separate index for each fleet size, and for a structural analysis, a more detailed analysis was performed by dividing the effecting factors of each fleet size into demand factors, supply factors, and external factors. Also, even though the final BDI forecast was performed by reflecting the BDI composition ratio without calibration, the simulation value came out as a relatively accurate forecast, so it can be said that a valid study divided by fleet size was performed. In addition, the sensitivity analysis for each fleet size was performed to suggest changes in the forecasted values, and thus the usability was increased by configuring it to respond to the changes in the forecasted values ​​for the changes in the factor values. A limitation of this study is that it did not reflect social factors such as international situation, shipping accidents, and port delays, and it is necessary to reflect social factors into future research. Also, if insert more secondary factors for forecast of each demand factors, it would be more accurated analysis. And, by adding of used in this study, verifyed factors in literature review, more extended modeling will be available. 해상 운송은 전 세계 교역의 90%를 차지하고 있으며, 많은 국가에서 매우 중요하게 운영되고 있는 국가산업이다. 해상 운송은 두 가지 방식으로 운영되는데, 첫 번째는 컨테이너를 이용한 정기선 항로이며, 두 번째는 벌크 화물 운송을 위한 부정기선 항로이다. 두 운영방식에는 운임 지수라는 것이 존재하며, 시장을 대표하는 역할을 한다. 그 중 벌크 화물 시장을 대표하는 BDI(Baltic Dry Index)는 벌크 화물을 운송하는 선급인 Supramax, Panamax, Capesize의 지수를 종합하여 나타내는 수치이며, 화물 가격의 일일 가중 평균으로 정의되는 운임 지수이다. BDI는 발틱 해운 거래소(Baltic Exchange)에서 개발된 지수로써 1985년부터 제공되고 있는 건식 벌크 화물 운임 지수이다. BDI는 해운 시장 참여자와 금융 투자자들에 의해 매우 중요한 지표로 여겨지며, 경제 주요 지표 역할을 하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중요성을 가진 BDI를 예측하고자 한다. 기존에도 BDI를 주제로 많은 예측 문제들이 다루어졌지만, 시계열 분석으로만 진행되어 주변 변수를 고려하지 않거나, 수요 요인만을 고려하여 해운 시장의 이해를 돕는 데 한계를 가지고 있다. 아울러, 기존 연구들은 BDI를 이루는 각각의 선형에 대한 분석은 수행하지 않아, 실무에 적용하기에 무리가 있을 것으로 판단했다. 따라서, 본 연구는 BDI의 구성 요소인 선형별 지수를 각각 예측하며, 영향 요인을 고려하여 분석했다. 영향 요인은 각 선형에 대한 주종 화물의 수요를 대변하는 화물의 가격, 공급 요인, 외부 요인을 삽입하여 분석했다. 분석 기간은 2016년 1월부터 2020년 12월까지이며, 2016년 1월부터 2020년 6월까지를 시뮬레이션 기간, 2020년 7월부터 12월까지를 검증 기간으로 설정했다. MAPE 값으로 검증한 결과 검증 기간 값에 대해 BCI는 매우 합리적인 예측에 속하며, BPI는 비교적 정확한 예측, BSI는 매우 정확한 예측에 속했다. BDI는 비교적 정확한 예측에 속했다. 본 연구는 선형별로 분리된 지수를 예측하여 실무적으로 큰 의미가 있으며, 구조적인 분석을 위해 각 선형에 대한 영향 요인을 화물 가격, 공급 요인 그리고 외부 요인으로 구분하여, 더욱 세밀한 분석을 진행했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최종적으로 BDI에 대해 캘리브레이션을 하지 않고, 선형별 지수를 토대로 BDI 구성 비율을 반영한 BDI 예측을 수행했음에도, 검증 값이 비교적 정확한 예측으로 나와 선형별로 구분된 타당한 연구를 수행했다고 할 수 있다. 추가로 각 선형에 대한 민감도 분석을 진행하여, 예측값 변동에 대해 시사함으로, 향후 발생하는 변동하는 요인에 대한 예측값 변동에 대응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 활용성을 높였다. 본 연구의 한계점으로는, 국제 정세, 해운 사고, 항만의 지연 현상 등 사회적 요인을 반영하지 못했다는 점이 있으며, 향후 연구 시에 사회적 요인을 반영하여 연구할 필요가 있다. 또한, 2차 변수를 고려하여 각 수요 요인에 대한 예측을 추가하면 보다 정밀한 분석이 될 수 있을 것이며, 본 연구에서 사용된 요인에 더하여 선행연구에서 검증된 금융 변수들을 사용하여 분석하면 더욱 확장된 모델링을 구현할 수 있을 것이다.

      • 리얼리즘 표현방식의 실험 애니메이션을 통한 자아의 고찰 : <자화상> <휴일> <비> <문>을 중심으로

        박성훈 홍익대학교 산업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작 <자화상Self-portrait>, <휴일Holiday>, <비Rain> 그리고 <문Door>은 각각 3분 내외의 애니메이션으로 현실에서의 '나' 라는 존재를 찾아가기 위한 연작이다. 공통된 주제를 가진 이들 작품들은 제작 방식에 있어서는 각각의 차이점을 가지고 있다. 첫 번째 작품인 <자화상>은 페이퍼 애니메이션을, <휴일>은 2D 컴퓨터 프로그램을 이용한 컴퓨터 애니메이션, 그리고 <비>는 펜을 이용한 드로잉 애니메이션이다. 때문에 연작이라 할지라도 세 작품의 화면상의 마띠에르 matiere는 분명한 개성을 지닌다. 하지만 이러한 재료상의 차별에도 불구하고 기법상의 공통점이 있다. 그것이 '로토스코프Rotoscope'란 제작기법이다. 이 기법은 연작 내내 주 제작 기법으로 사용된다. 작품 <문>은 형식에서부터 차이점을 보이는 작품으로 로토스코핑 이라는 공통의 제작 기법과도 무관하며 이전에 보여 졌던 회화적인 선의 터치나 묘사는 모두 제거된다. 오히려 디지털의 단순화된 칼라링과 창조된 캐릭터와 계산된 원동화의 움직임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문> 역시도 다른 연작들과 연결된 고리를 가지고 있다. 본 논문은 일련의 애니메이션 작업의 과정을 보여주는 글이면서, 동시에 현실에서의 '존재'찾기가 주제와 제작 기법적인 면에서 더욱 분명한 리얼리티를 가지고 구체화될 수 있음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작품은 삶에서의 자신의 존재에 대한 궁금증을 찾기 위해 제작되었다. 수작업 애니메이션을 통한 현존재로서, 현실 세계의 일탈을 꿈꾸기 보단 현실을 직시하고자 로토스코핑과 같은 묘사에 충실한 작업들을 통해 자아를 표현했다. 이러한 물음의 끝은 결국 태생적인 세계였다. 이러한 작업들은 늘 현실세계에서의 끝없는 탐구와 도전을 의미하고 그것이 원초적 세계로 돌아갔다고는 하나 종결된 것은 아니다. 본 작품에서는 이와 같은 사상을 어린아이의 울음, 청각적인 메시지로 승화시켜 보고자 시도하였다. As an animation less or more than three minutes, each of <Self-portrait>, <Holiday>, <Rain> and <Door>, these works of study, is a consecutive work for seeking for the existence called 'I' in reality. These works with a common subject have individual differences in their manufacturing methods. <Self-portrait>, the first work, is paper animation, <Holiday> computer animation using 2D computer program, and <Rain> drawing animation using a pen. Thus, even though they are consecutive works, the matieres on the pictures of the three works have clear personality. However, they have a technique in common despite such discrimination on matiere. It is the manufacturing technique called 'Rotoscope'. This technique is used as a main manufacturing technique throughout consecutive works. As the one showing differences even in forms, the work <Door> is unrelated also to the common manufacturing technique called 'Rotoscoping' and touches or descriptions of pictorial lines shown previously are all removed. Rather, it has motivated movement calculated with simplified coloring and created character of digital. But it also has links connected with other consecutive works. This thesis is the text showing the process of a series of animation works, and, at the same time, is aimed at presenting the possibility that seeking for 'existence' in reality is concretized with clearer reality in the aspects of a theme and a manufacturing technique. This work has been manufactured for the purpose of looking for the curiosity about one's own existence in life. As the present existence through the animation of manual work, I expressed an ego through the workings faithful to the depiction like Rotoscoping so as to look straight at reality rather than dream of deviating from real world. The end of such a question was finally the viviparous world. Such workings always mean endless exploration and challenge in real world and it is said that they returned to the original world, but they are not concluded. It is the beginning of a newer ego like children's cries.

      • IDC(Internet Data Center)에서 CDC(Cloud Data Center)로 전환을 위한 네트워크 적용 방안

        박성훈 전남대학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클라우드 컴퓨팅을 제대로 구현하는 데 있어서는, 가상화 서버와 물리적 서버의 설계, 스토리지의 올바른 선택과 디자인을 많이들 떠올리게 마련이다. 하지만 또 하나의 중요한 근간이자 축이 바로 네트워크 설계이다. 데이터센터 네트워크는 큰 변화를 맞이하고 있다. 그 핵심에는 클라우드 컴퓨팅이 자리잡고 있으며, 이러한 큰 흐름 속에서 네트워크 역시 진화를 하고 있다. 이제 데이터센터의 네트워크도 더 이상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를 위한 최적의 네트워크 환경으로 전환하지 않고는 살아남지 못하는 시대로 진입하게 된 것이다. 실제 향후 데이터센터 네트워크 최적화를 위해, 네트워크 가상화, Unified Network, 가상화 기반의 네트워킹 기술들을 적용하는 다양한 벤더들이 등장하고 있다. 또한 표준화에 대한 진행도 그 속도와 현실화가 이뤄지고 있다. 그 대표적인 예가 802.1BR 기반의 네트워크 I/O 가상화 기술, FCoE 기반의 Unified IO, TRILL 기반의 Layer2 기반의 Flat 네트워크 구성, VxLAN와 OTV 같은 가상화 기반 이동성 보장 등의 기술들이다. 본 논문에서는 기존 데이터센터(IDC) 네트워크에서 향후 클라우드 환경을 위한 데이터센터(CDC) 네트워크 기술의 적용 방안을 제시하였다.

      • DNA damage and repair in fibroblast cells of mammals with different life span

        朴聖勳 翰林大學校 2003 국내석사

        RANK : 247631

        세포배양상에서 정상적인 동물세포는 일정한 세포분열횟수를 거친 후, 더 이상 세포분열을 하지 못하고 성장이 정지하게 되는 복제적 노화 (세포수준의 노화) 단계에 이르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수명이 다른 포유동물들의 복제적 노화와 연관된 최대 수명에 관해서는 아직까지 그 원인이 명확하게 밝혀져 있지 않다. 수명이 다른 포유동물들의 세포수준의 노화 메커니즘을 규명하기 위해 DNA 손상제제인 H_(2)O_(2), cisplatin, camptothecin, etoposide를 처리하여 각각의 섬유아세포에서의 DNA 손상정도를 조사하였다. 먼저, 인간 섬유아세포에서 DNA 손상정도를 조사하기 위해 MTT 환원 능력 측정과 DNA 손상시에 발현되는 단백질 p53과 apoptosis 때에 cleavage 되는 단백질인 PARP, 그리고 세포주기를 조절하는 단백질인 p21의 발현양상과 세포모양을 관찰하였다. 같은 조건으로 포유동물 섬유아세포에도 적용하여 세포수준과 분자적 수준에서의 차이를 인간섬유아세포와 현상학적으로 비교하였다. 또한 직접적인 DNA 손상정도를 모니터 하기 위해 comet assay와 AP site assay를 수행하였다. 그 결과 각각의 DNA 손상제에서 손상 받는 정도가 사람에서 가장 적고, 개, 쥐, 생쥐의 순으로 적은 것을 관찰하였다. 그러나 손상 받는 정도의 차이는 상당하지는 않았다. 따라서 DNA 손상정도 보다는 DNA 복구능력에서의 차이가 큰가를 알아보기 위해 HCR (Host Cell Reactivation) assay를 통해 복구 능력을 조사한 결과, 인간 섬유아세포에서의 복구능력이 다른 포유동물 섬유아세포 보다 뛰어나다는 것을 확인 하였다. 이러한 결과들을 통해 수명이 다른 포유동물 섬유아세포의 DNA 손상정도와 복구능력의 차이가 복제적 노화에서의 차이와 밀접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DNA damage와 repair에 대한 더 자세한 분자생물학적기전의 연구는 포유동물섬유아세포의 복제적 노화의 기전을 이해하는데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Normal mammalian fibroblasts in culture have a limited life span and the maximum number of population doubling is dependent on individual species. However, the mechanism of replicative senescence has not been elucidated clearly. We attempted to explore the mechanism of cellular senescence among mammalian fibroblasts through investigation on responses of cells to DNA damage agents: H^(2)O^(2), cisplatin, camptothecin, etoposide. First, the conditions (concentrations and treated times of DNA-damaging agents) that produce 50% cell viability were determined in human embryonic fibroblasts. The same conditions were applied to animal embryonic fibroblasts to compare the cellular and molecular responses. In addition to cell viability, expressions of various cellular marker proteins such as p21, P53, and PARP cleavage were monitored. The result showed that cell viability after treatment of DNA-damaging agents was decreasing in the order of human, dog, rat and mouse fibroblasts. Levels and activities of molecular markers were well correlated with the cell viability results. We also measure DNA fragmentation in mammalian fibroblasts by using comet assay and apurinic/apyrimidinic sites by using ASB assay, the result showed as expected that the fibroblast cells longer-living mammals had less DNA fragmentation and AP sites by treatment of DNA-damaging agent. Next, we measured the cellular DNA repair capacity (DRC), by using the host-cell reactivation assay for various mammalian fibroblasts.The cellular DNA repair capacity in human embryonic fibroblasts was shown higher than other mammalian fibroblasts. These results suggest that differences in sensitivity and repair activity among animal fibroblasts are closely related with the differences in replicative senescen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