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퍼지 PID 제어기를 이용한 항공기의 경로 추종 LOS 유도법칙과 비행제어에 관한 연구

        박성혁 한서대학교 일반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항공기의 자율비행기술과 자동비행기술은 무인항공기뿐만 아니라 포함한 모든 항공기에서 중요히 여겨지며 활발히 연구되고 있다. 현재 비행 상태를 유지하거나 정해진 경로를 따라가는 자동비행기술은 자율비행을 수행하기에 앞서 기본적으로 수행되어야 한다. 항공기가 정해진 경로를 따라 자동비행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항공기를 경로에 유도시키는 유도법칙이 필요하며, 일반적으로 현재 항공기 위치에서 목표점으로의 시선 벡터를 이용하는 LOS(Line-of-Sight) 유도법칙을 많이 사용한다. 기본 LOS 유도법칙은 바람과 같은 외란을 포함하는 문제점이 있는데, 이를 해결하기 위해 수정된 LOS 유도법칙과 항공기와 경로사이에 수직거리오차를 이용한 PID 제어기가 적용된 LOS 유도법칙이 연구되었다. PID LOS 유도법칙은 항공기의 현재 상태나 운용 환경의 변화에 따라 제어 이득을 재설계해야 하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항공기 상태나 운용 환경의 변화에 따라 경로 추종 성능을 개선할 수 있는 퍼지 PID LOS 유도법칙을 설계하였다. 수직거리오차와 접근속도를 입력으로 하고 PID 제어 이득의 가중치를 출력으로 하는 퍼지 논리를 이용하여 PID 제어기의 제어 이득을 조정하는 퍼지 PID 제어기를 설계하였다. MATLAB Simulink를 사용하여 일반 항공기의 선형 모델을 이용한 비행 제어 시스템을 설계하였다. 설계된 비행 제어 시스템을 적용하여 자동비행 시뮬레이션을 수행하였으며, 이를 통하여 기본적인 항공기 자세 유지 성능을 확인하였다. 또한 퍼지 PID LOS 유도법칙이 경로를 추종하는 성능을 확인하기 위해 MATLAB Simulink를 사용하고, 기존 LOS 유도법칙들과 비교하여 경로 추종의 성능 향상을 확인하였다.

      • 우리나라 미선나무 자생개체군의 관리방법에 따른 식생구조의 특성

        박성혁 영남대학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물푸레나무과에 속하는 세계 유일의 1속 1종의 우리나라의 특산식물인 미선나무 자생개체군의 관리방법에 따른 식물상 및 식생구조의 특성을 밝혀 미선나무 개체군의 효율적인 관리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수행하였다. 미선나무 아개체군 중 충북 영동 매천리, 옥천군 월전리 자생지는 하예작업을 실시하지 않고 원 자생지 그대로 관리를 하는 반면, 전북 부안 청림리, 충북 괴산 추점리, 송덕리는 정기적인 하예작업의 실시로 미선나무를 제외한 관목이상의 목본수종을 모두 제거한 상태로 자생지를 관리하고 있다. 미선나무 자생지의 식생구조를 상대기여도에 따라 군락을 분석한 결과 줄딸기군락, 잣나무군락, 담쟁이덩굴군락으로 구분되었으며 하예작업을 실시하지 않은 영동 매천리와 옥천 월전리가 각각 줄딸기군락, 잣나무군락에 해당되었으며 하예작업을 실시한 부안 청림리, 괴산 추점리 송덕리가 담쟁이군락에 포함되었다. 미선나무 개체군 자생지에서 확인된 식물종은 총 123분류군(taxa)이 확인되었으며 하예작업을 실시하지 않은 영동 매천리가 35분류군(taxa), 옥천 월전리 43분류군(taxa)로 나타났으며 하예작업을 실시한 부안 청림리 40분류군(taxa), 괴산 추점리 41분류군(taxa), 괴산 송덕리 32분류군(taxa)이 확인되었다. 이 중 귀화식물은 총 9분류군이 관찰되었는데 하예작업을 실시하지 않은 영동 매천리는 귀화식물이 관찰되지 않았고, 옥천 월전리는 2분류군이 관찰되었다. 이에 반해 교목층이 존재하지 않는 부안 청림리, 괴산 추점리, 송덕리 자생지는 미국자리공, 달맞이꽃, 망초, 토끼풀 등 외래식물이 각각 4분류군, 3분류군, 4분류군의 귀화식물이 관찰되어 유입되어 있는 실정이었으며, 칡, 갈퀴나물, 담쟁이덩굴 등 덩굴성 식물로 인해 미선나무가 피압을 받는 실정이다. 또한 토양 미생물의 서식처를 제공하여 식물이 살아가는데 보다 유리한 조건을 만들어 주는 역할을 하는 유기물함량은 평균 35.3g/kg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교목층이 존재하는 영동 매천리, 옥천 월전리 자생지가 평균 44.32g/kg인 반면 교목층이 존재 하지 않는 부안 청림리, 괴산 추점리, 송덕리 자생지는 평균 29.26g/kg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미선나무를 관람, 관리의 목적 또는 광합성을 유도하기 위해 주변 식생과 교목층을 제거하는 것은 그리 바람직한 방법이 아니라 사료되며 현재 교목층 및 관목층을 제거하여 교목층이 존재하지 않는 자생지에서는 사후처리와 미선나무 후계목의 번식을 유도할 필요성이 있다고 판단된다.

      • 수학 문제해결 중 정당화 과정 연구

        박성혁 인하대학교 교육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국문초록 수학 문제해결 중 정당화 과정 연구 학습 과정에서 학습자 스스로 필요한 정당화 과정을 밟는 것은 가깝게는 교육 현장에서 추구하는 학생의 참여부터 시작하여 교육과정 핵심 역량인 추론능력과 관련되며, 멀게는 4차 산업혁명에 따른 인재상 까지 관련된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 연구는 학습자에게 정당화 기회를 주는 것이 필요하다고 주장하며 학습 과정 중 학습자 스스로 하는 정당화가 Freudenthal의 수학화 교수학습론 측면에서 어떤 역할을 하게 되는지 사례분석을 하였다. Freudenthal은 수학화 교수학습론에서 현상을 본질로 재조직화하는 활동인 ‘수학화’ 활동과, 이를 기반으로 한 ‘실행수학’, ‘안내된 재발명’, ‘반성적 사고’를 주장한다. 본 연구에서는 이 4개의 주제와 관련된 학습 사례들에서 학습자의 정당화 과정이 갖는 역할을 분석하고 그 필요성을 논의한다. 연구 결과 첫 번째 사례에서는 정당화 과정을 통해 수학화 교수학습론에서 주장하는 수학화 활동, 즉 현상을 본질로 조직하는 활동이 일어남을 관찰 할 수 있었다. 두 번째 사례에서는 이 전 학습에서 Freudenthal이 비판한 ‘반교수학적 전도’가 이루어졌던 학습자가 경험적 정당화를 동반하였을 때 이미 형식화 되었던 개념을 응용하는 데에 도움이 됨을 관찰할 수 있었다. 세 번째 사례는 현실로부터 수학화 과정의 필요성을 느끼는 ‘재발명’을 해오지 못했던 학생의 학습사례였다. 이러한 학생이 정당화를 통해 문제에서 주어진 상황을 인지함으로써 자신의 수학화 과정의 필요성과 효용성을 느끼게 되고, 이를 통해 수학화 과정을 ‘재발명’ 하게 됨을 관찰할 수 있었다. 마지막 사례는 반성적 사고가 결여된 학생의 학습사례였다. 정당화를 통해 반성적 사고 회로를 만들어주는 학습 과정을 관찰 할 수 있었다. 관찰 결과 학습자의 정당화 과정을 통해 수학화 교수학습론에 따른 학습 원리들이 충족되는 것들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본 연구는 이런 이유로 학습자의 정당화 과정의 필요성을 주장한다. Abstract A Study on the Process of Justification in Problem-Solving In the learning of mathematics, it is important to justify knowledge by learner himself or herself. In the process of learning, justification plays some roles in terms of Freudenthal’s mathematization theory. Freudenthal’s theory insisted four elements such as ‘mathematization’, ‘mathematics as a human activity’, ‘guided reinvention’, and ‘reflective thinking’. This is a case study about the roles of justification in the four elements.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interview data were collected by two middle school students and two high school student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the follows. The 1st case showed that ‘justification’ played a role of ‘Reorganization’ in mathematization. In the 2nd case, a student who was taught with 'anti didactical inversion’ learned through ‘experiential justifying’. In the 3rd case, a student understood the context of problem by ‘justifying’. In the 4th case, a student practiced reflective thinking through learning justification. Consequently, learning by Justifying was satisfied principles of mathematization.

      • 핫타아트의 기능 연구 : 레위기 4장 1절-5장 13절을 중심으로

        박성혁 총신대학교 일반대학원 2007 국내박사

        RANK : 247631

        이 논문은 ‘핫타아트’의 기능에 관한 연구다. 필자는 레위기 4:1-5:13을 중심으로, 관련 본문들을 함께 연구함으로써, ‘핫타아트’의 가장 중요한 기능이 무엇인지의 문제에 답해보려고 시도했다. 제1장에서는 이 문제에 관한 학자들의 연구들을 살펴봄으로써, 주요 쟁점들이 무엇인지를 확인했으며, 문제의 핵심이 무엇인지를 파악하는데 주력했다. 그리고 필자가 레위기 4:1-5:13을 중심본문으로 택하여 공시적인 방법으로 연구하려는 이유를 밝혔다. 제2장에서는 레위기 4:1-5:13을 주해하는데 주력했다. 먼저 구조를 분석해 보니 레위기 4장과 5:1-13이 함께 ‘핫타아트’ 단락을 구성한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 다음에는 본문을 주해하는데 힘썼는데, 크게 세 가지 문제를 다뤘다. 어떤경우에 ‘핫타아트’가 요구되는지를 밝히는 조건 절들, ‘핫타아트’가 성취하는 목표를 진술하는 반복되는 결론적인 진술들, 그리고 제사 의식들이다. 본문에 반복되어 나타나는 조건 절들과 목적 진술 어구들을 살펴본 결과, ‘핫타아트’가 죄 때문에 드려지며 정화가설이 주장하는 정화의 문제는 암시되지 않는다고 주장했다. 그리고 레위기 4장이 주로 제사 의식들을 다루고 있기 때문에 주해의 상당부분은 ‘핫타아트’ 의식들의 상징적인 의미를 밝히는 것이었는데, 제물의 머리를 손으로 누르는 의식, 기름을 태우는 의식, 피 의식, 그리고 고기의 나머지를 처분하는 의식을 연구한 결과, 이런 의식들 가운데 몇 가지 의식들이 핵심적인 주제라는 사실을 확인했으며 좀 더 연구할 필요가 있다는 것을 확인했다. 필자는 특히 ‘핫타아트’의 두드러진 특징인 피 의식과 고기를 처분하는 의식이 핵심적인 문제며 ‘킾페르’의 의미를 밝히는 것이 문제 해결의 열쇠임을 파악하고 3, 4, 5장에서는 이 문제들을 집중적으로 다루었다. 제3장에서는 ‘핫타아트’의 피 의식을 설명하기 위해 속죄일의 ‘핫타아트’ 피 의식과 위임 식 첫째 날 ‘핫타아트’의 피 의식과 관련 구절들을 살펴보았다. 피 의식의 상징적인 의미와 관련된 구절들을 살펴본 후 이런 의식들이 정화보다는 ‘킾페르’ 행위와 관련된다고 주장했다. 결국 ‘핫타아트’ 피 의식의 의미는 ‘킾페르’의 의미에 달려 있는데, 이런 의식들과 관련되어 나타나는 여러 용어들(정화, 성별)은‘킾페르’의 하위 개념이라는 키우치의 주장이 옳다는 결론을 얻었다. 제4장에서는 ‘킾페르’의 의미를 밝히는데 주력했다. 어원에 관한 다양한 견해를 개괄한 후, ‘킾페르’의 의미가 비교적 명확히 드러나는 본문들을 살펴보았는데, 이런 본문들에서 ‘킾페르’가 ‘속전을 지불하다’라는 의미를 지니고 있음을 확인했다. 그리고 여기에서 얻은 의미가 ‘핫타아트’ 문맥에서도 역시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고 주장했다. 제5장에서는 ‘핫타아트’의 고기를 태우는 의식과 먹는 의식의 상징적인 의미를 밝히는데 주력했다. 중요한 관련 본문들인 레위기 6:17-23과 레위기 10:17을 해석함으로써 고기를 먹거나 태우는 것이 ‘킾페르’ 행위를 구성하지는 않지만, 죄를 제거하는 상징적인 의미를 지닌다고 주장했다.

      • 靑少年 有害業所의 實態와 靑少年保護方案에 관한 硏究

        박성혁 연세대학교 행정대학원 2001 국내석사

        RANK : 247631

        Only if our youth grow up correct and sound, we will have a hope for the future. For the youth will be the actors leading our society in the future. Thus, this study focuses on the “entertainment businesses detrimental to our youth”, or a part of the environment obstructing the sound growth of our youth. The environment detrimental to the youth may be a comprehensive concept covering a variety of physical, social and psychological environments impeding the sound growth and development of the youth as well as the interchanges between youth and these environments. This study was aimed at reviewing the conditions and problems of the entertainment businesses, a part of the detrimental environment, and thereby, suggesting the ways to protect our youth from those entertainment businesses.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The problems of the entertainment businesses are that they admit the youth illegally or employ the youth for their interests. The illegal admission of the youth by the shameless entertainment businesses create various causes for the juvenile delinquencies, and the illegal employment of the youth by them is intended to exploit the youth to save their cost. Furthermore, the illegal employment entices the youth away from home or school only to have the youth fall into delinquencies. Such malpractices conducted by the entertainment businesses may be equated with the infringement on human rights or the offenses making our youth ruined emotionally, which must be a serious social problem. The reasons for the increasing entertainment businesses admitting or employing the youth may be explained in sociological terms, though complicated; the Korean society has witnessed an ‘anomie’ or conflicts between economic growth and cultural stagnation. As a result, our society is in a extremely chaotic status imbued with corruptions, irregularities, mammonism, decadent entertainments, erroneous drinking culture, degenerative sex cultu 靑少年이 바르고 健全하게 成長해야 미래의 희망이 있는 것이다. 靑少年은 장차 사회를 이끌고 갈 主役으로 되기 때문이다. 靑少年 有害環境이란 靑少年이 健全하게 成長·發展하는데 有害한 영향을 미치는 각종 物理的·社會的·心理的 環境들과 靑少年과 이러한 環境들간의 相互作用을 總稱하는 包括的 槪念이다.本 論文의 핵심은“靑少年 有害業所”인데 청소년 유해업소는 청소년 有害環境의 작은 하나의 요소이다 本 硏究는 物理的 環境중 有害業所의 實態와 問題點 그리고 改善과 靑少年 保護方案을 提示하였다. 靑少年 有害業所에서 문제가 되는 것은 出入이 허용되지 않는 靑少年을 不法 出入시키고 또한 不法으로 業所에 고용하는 것이다. 불법 출입은 靑少年 非行의 여러 原因이 되며 불법고용은 業主들이 값싼 노동력의 원천으로 惡用하고 靑少年들에게 家出이나 學業中斷 등을 조장하여 탈선의 길로 빠져들게 하여 결과적으로 人權蹂躪과 정서적 荒廢化를 겪는 등 사회문제가 되고 있다. 靑少年 有害業所가 늘어나고 靑少年의 不法出入 고용이 되는 이유는 한국사회의 構造的 문제로서 經濟發展 과정에서의 經濟와 文化가 부합되지 않는‘Anomi’를 겪으면서 不正腐敗, 賂物, 돈만 벌면 다 된다는 풍조, 享樂産業, 그릇된 飮酒文化, 퇴폐적 性 文化 등이 複合的으로 작용하였기 때문이다. 靑少年 有害業所의 分布實態는 도시 中心部나 新都市 주변에 대단위 유흥단지가 造成 되었으며 또한 주택가 곳곳까지 業所들이 파고들고 있다. 靑少年의 有害業所 接觸實態는 娛樂性 有害業所인 전자오락실, 만화방, 노래방, 비디오방, pc방 등은 청소년의 70-80%가 利用經驗이 있었다. 成人用 有害

      • 스포츠 인터넷 커뮤니티 구축과 운영을 통한 수익구조 창출방안 연구 : 기존 커뮤니티의 수익 모델 분석을 통해

        박성혁 국민대학교 스포츠산업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47631

        이제 스포츠 산업은 주요한 국가 산업으로서 그리고 벤처 산업으로서 육성되고 발전 되어야 할 가치를 지니고 있으며, 특히 인터넷의 발달은 스포츠 산업의 발전 방향을 가늠케 하는 주요 요인이 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주 5일 근무와 더불어 스포츠, 레저 산업의 활성화가 점차 이루어지고 있는 시기에 맞춰 생활 스포츠가 국민 생활에 어떻게 하면 자연적으로 뿌리 내릴 수 있을까 그리고, 사업적으로 어떻게 활성화 시킬 수 있을까 하는 차원에서 이루어졌다. 비록 스포츠 커뮤니티는 아니지만 이미 성공한 기존 커뮤니티의 수익모델의 분석을 통해 스포츠 커뮤니티의 성공적인 구축을 위해 몇 가지 결과를 얻어낼 수 있었다. 첫째, 미래의 잠재시장을 충분히 파악하고, 둘째 이를 바탕으로 스포츠만의 전문적인 커뮤니티를 구축하여, 셋째 수익모델 개발 및 제휴 등을 통한 다양한 컨텐츠를 개발하여야 한다는 것이다. 무한한 발전 가능성을 갖고 있는 온라인 산업, 그 중에서도 스포츠 산업에 대해서 비록 인터넷을 중심으로 한 스포츠 활성화에 중점을 두고 연구를 했지만 결국 성공의 핵심 열쇠는 오프라인과 온라인이 어떻게 유기적으로 결합을 하여 고객의 요구를 철저히 만족 시켜 줄 것인지의 연구가 미래 스포츠의 발전에 큰 요인이 될 것이다.

      • 급성 뇌경색 진단에서 생화학 표지자 조합을 이용한 검사의 유용성

        박성혁 경희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급성 뇌경색은 3시간 이내에 재관류가 이루어지지 않으면 치명적 손상을 초래할 수 있는데 진단 과정에서 MRI가 필요하여 많은 시간이 소요된다. 이같이 진단이 지연되는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생화학 표지자 검사로 신속히 진단하는 방법이 연구되고 있으나 단일 생화학 표지자 검사로는 유용성이 떨어진다. 최근에는 생화학 표지자를 조합한 panel을 이용하여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려하고 있어 저자는 Triage Stroke Panel?? (TSP, Biosite Inc. UK)를 이용해 급성 뇌경색 진단의 유용성 및 경색 크기와 중증도의 상관관계를 살펴보았다. 2007년 4월부터 2008년 3월까지 본원 건강검진센터에 내원한 일반인들 가운데 문진에서 뇌 병력이 없고 시행한 심전도, 혈액검사에서 특이 소견이 없는 18세 이상의 일반인(Group I)과 같은 기간 응급센터에 미국 뇌졸중협회에서 제시한 뇌경색을 의심하는 5가지 증상 중 한 가지 이상의 증상이 발생한지 24시간 이내에 내원한 환자들 가운데 MRI로 뇌경색이 확인된 18세 이상의 환자(Group II)를 대상으로 전향적으로 연구하였다. 검사는 면역형광법의 원리를 이용한 Triage Stroke Panel?? (TSP, Biosite Inc. UK)를 사용했고, 분석 항목은 S100β, MMP-9, BNP, D-dimer이며 각각의 값을 조합하여 MMX(Multimarker Index)값을 계산하였다. 경색 크기 측정은 MRI의 각 slice에서 cursor로 면적을 측정하여 scanner volumetry program으로 자동 측정되는 방법을 이용했고, 중증도는 NIHSS score를 사용했다. 모든 통계는 SPSS 12.0을 이용했다. group I, II의 MMX 평균값은 2.27과 4.14였으며 두 group간에는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5). group II의 MMX 값은 경색 크기와 상관관계가 있었으며(r=0.46, P<0.001 ), 중증도와도 상관관계가 있었다(r=0.39, P<0.001 ). Triage Stroke Panel?? (TSP, Biosite Inc. UK)을 이용한 생화학 표지자 검사는 뇌경색 진단에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여 추가적인 확진 검사나 조기치료를 결정하는데 유용하며 경색 크기와 중증도를 반영하여 환자의 예후 및 치료의 효과를 판단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으며 좀 더 신뢰도가 높은 생화학 표지자에 대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Acute cerebral infarction may result in fatal sequelae if reperfusion is not achieved within the first three hours. However, the diagnostic process, requiring magnetic resonance imaging, is time-consuming. In order to address this delay in diagnosis, rapid diagnostic procedures involving biochemical markers are being investigated; tests involving individual biomedical markers, however, have been shown to lack utility. Recent studies have attempted to surmount these problems using panels of biomarkers. In light of these recent developments, the authors examined the utility of the Triage Stroke Panel?? (TSP, Biosite Inc., UK) in the diagnosis of acute cerebral infarction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anel results and the extent and severity of the infarct. Groupwise comparisons were made between a group consisting of 38 subjects (group I: 15 men and 23 women, mean age 58.6 years) who were shown through medical screening between April 2007 and March 2008 to have no past history of cerebral disorders and a group consisting of 55 subjects (group II: 29 men and 26 women, mean age 66.7 years) who have visited the ER during the same period within 24 hours after onset of neurologic symptoms and who were diagnosed with stroke through magnetic resonance imaging. Tests were carried out using the Triage Stroke Panel?? (TSP, Biosite Inc., UK), which is based on the principle of immunofluorescence; B-type natriuretic peptide (BNP), D-dimer (DDIM), matric metalloproteinase-9 (MMP-9), and S100β were examined, and the Multimarker Index (MMX) was derived based on the measurement values of the examined test items. The extent of infarct lesion was assessed with a scanner volumetry program from the area value measured using a cursor in each magnetic resonance image slice. Severity was evaluated using the NIHSS score system. All statistical analyses were carried out using SPSS 12.0. The average MMX value was 2.27 in group I and 4.14 in group II, an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was observed between the groups (P<0.05). For group II, the MMX value bore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 to both the extent of infarct lesion (r=0.46, P<0.001) and the severity (r=0.39, P<0.001). The authors believe that biomarker tests using the Triage Stroke Panel?? (TSP, Biosite Inc., UK) would provide useful data in diagnosing strokes, be of utility in making decisions regarding additional diagnostic tests and early treatment, and, as an indicator of the extent of infarct lesion and the severity, be of aid in determining the effectiveness of treatment and the prognosis. Further investigation on biomarkers with greater specificity appears to be necessar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