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준법감시인제도에 관한 연구

        박성민 국민대학교 일반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효과적인 준법감시인제도는 사전에 금융기관 및 기업들의 사기적 또는 부당한 내부자거래를 예방하며, 사후적으로는 금융기관 및 기업의 운영에 반드시 따르는 감독리스크도 감소시키는 효과를 갖는다. 더불어 기업지배구조 개선에도 기여 할 수 있다. 우리나라는 IMF 외환위기를 겪으며 이를 극복하는 과정에서 준법감시인제도를 도입하여 기존 내부통제제도 및 기업문화 그리고 그 문제점에 대해 충분한 논의를 하지 못했다. 준법감시인제도를 2000년 금융법에서 법제화하여 운영하지 15년이 되어가지만 준법감시인제도가 효과적으로 운영되고 있는지에 대한 평가는 대체로 부정적이다. 특히 금융기업들에 있어서 내부통제를 강화하기 위해 준법감시인제도 등을 시행해 오고 있지만 여전히 제도에 대한 이해부족 및 혼란이 존재한다. 금융기업에 근무하는 직원들은 이 제도가 사고예방이 아닌 통제의 반족 혹은 비용의 낭비라고 생각하는 경향도 있다. 본 논문은 내부통제 및 준법감시인제도의 이론적 배경을 살피고, 이 제도의 현황 및 문제점에 대해 살펴본다. 이를 통해 준법감시인제도가 여전히 많은 문제점들을 포함하고 있으며, 개선할 사항이 있다고 생각된다. 특히 금융기업들에는 일반 기업에 비하여 더 높은 윤리성과 책임, 그리고 공공성이 필요하다. 그러므로 금융기업 및 기관은 충실한 준법경영을 통해 기업의 경쟁력을 강화시킴으로써 기업가치를 향상시켜야 한다. 더군다나 준법감시인은 기업 및 기관들의 최고경영진에 대해서도 그 업무를 수행해야 한다. 따라서 그 직위 및 임기를 보장할 수 있는 지위로 선임하여 책임 및 그 업무의 원활한 수행을 보장해야 한다. 더불어 현재 준법감시인제도의 문제점 중 하나는 법률이 통합되지 않은 상황에서 기인한 측면이 많다. 그러므로 그 해결과정에 있어서 법률의 통합이 이루어져야 한다고 생각된다. 또한 준법감시인제도를 채택한 기업에 대해 제도가 효율적으로 작동할 수 있도록 유인을 제공하기 위해서 우선 양형제도가 정교화 될 수 있어야 한다. 기업에 대한 제재수준을 개인보다 훨씬 엄중하게 하고 그에 대한 감경사항을 제시함으로써 준법감시제도 도입에 대한 유인을 제공해야한다 끝으로 실질적인 준법감시인제도의 정착 및 작동을 위하여 금융기관관련법 개정 및 준법감시에 관한 모범규준 개정을 통한 제도의 정착이 필요하다. 사후적이나 사전적으로나 비용의 지출을 감수해야한다면, 미리 사전에 적절한 비용투자로 준법감시인제도의 효율을 최대한 담보 하는 것이 경제적으로도 현명한 선택일 것이다. An effective compliance officer regulation system could be prevent diverse financial frauds and insider trading practices besides It is benefit that the risk reduction of inevitable regulation that is involved in operating a financial institution, and help to the improvement of corporate governance. In Korea, this system had been introduced by unwillingness, only during the IMF financial crisis forced to bring that regulation, as there was not enough time to debate about the compliance officer system and harmony of the existing Internal Control system as well. Since 2000, already fourteen years has passed when the compliance officer system have brought from IMF's will. Yet the perspective of the management of the financial institutions of compliance officer system is not so far so good, they could almost generally express negative perspective. This thesis about discussion of the internal control system and compliance officer system which based on that reality. This paper examines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the internal control system and the compliance officer system and also study the status of the system and problems. Through this process, the compliance officer system has already passed over 10 years that's because It has been analyzed problems and diverse success factors as well. So when management and staffs of financial firms operate and establish the system voluntarily on the internal control system, It will be possible to enhance not only the Korea economy but also external credibility of firms. Financial management need to highly ethical work, responsible management. Financial firms and regulators could make to strengthen competitive power, and firms value. In addition, the compliance officer should supervise the CEO and management of a institution. That's why the compliance office have to be guaranteed the position and term. Furthermore, there is a problem of compliance officer system that is from separate legislations. This aspect requires that the coordination of legislations. In addition, If financial firms has adopted a compliance officer, It should be demanded sophistication of punishment system as a sledgehammer incentive policy. a level of the sanction to the firms be required to be strict than privates for effectively operating a system. If expense of the compliance officer system are ex ante and ex post, through sufficient ex ante investments to the compliance officer system profits will be exhibited through an effective system that will be practical and economical decision. Finally, To achieve the substantial Compliance Officer system needs to make a basic revision of the Best Practice by amendment of financial regulations.

      • 치과위생사의 직무스트레스, 자아존중감과 직무만족의 관련성 연구

        박성민 아주대학교 아주대학교 보건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치과위생사의 직무스트레스, 자아존중감과 직무만족의 관련성을 규명하기 위해 시도된 상관관계 연구이다. 치과위생사를 대상으로 인터넷 설문지를 이용하여 2015년 11월 24일부터 11월 30일까지 총 180부의 자료를 수집하였고 응답에 무성의한 2부를 제외하고 178부의 설문을 IBM SPSS version 19.0으로 분석하였다. 분석방법은 빈도분석, 기술통계분석, Independent t-test, One-way Anova, Scheffe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사용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 일반적 특성에 따른 직무만족의 차이는 연령, 학력, 결혼상태, 근무경력, 직장분류, 취업형태, 월수입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사후검정 결과 연령은 30세 이상 , 학력은 대학원 졸업이상, 결혼상태는 기혼, 근무경력은 10년이상, 직장분류는 교육기관과 공공기관, 취업형태는 프리랜서, 월수입은 251만원 이상에서 직무만족 정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치과위생사의 직무스트레스, 자아존중감, 직무만족 간의 상관관계를 살펴 본 결과 직무스트레스, 자아존중감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직무스트레스는 치과위생사의 직무만족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를 보여 직무스트레스가 높을수록 직무만족이 감소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자아존중감은 치과위생사의 직무만족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여 자아존중감이 높을수록 직무만족이 향상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치과위생사의 직무만족에 유의한 영향요인을 파악하기 위해 2단계 위계적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직무스트레스, 자아존중감 모두 유의한 영향요인으로 나타났으며, 그 외 일반적 특성에는 학력, 직장분류 (1차 의료기관) 유의한 영향요인으로 나타났다. 이 중 직무만족에 가장 많은 기여를 하는 예측변수는 직무스트레스였으며, 그 다음으로는 학력, 직장분류 (1차 의료기관), 자아존중감 순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치과위생사의 직무만족 요인으로 직무스트레스와 자아존중감의 역할을 실증적으로 확인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찾을 수 있다. 따라서 치과위생사의 직무만족을 향상시키기 위한 중재 방안 프로그램 개발에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 일반인과 예술 관련인이 생각하는 공연장 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의 중요도 비교 분석

        박성민 경북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급속한 경제성장과 주 5일제 도입으로 인하여 공연문화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였다. 많은 공연장이 설립되어졌으며, 공연장들 간에 고객의 만족도를 높이기 위한 경쟁은 점차 치열해지고 있다. 따라서 공연장들은 지속가능한 경영을 위하여 설비와 공연의 차별화에 초점을 두기 시작하였다. 고객을 만족시키고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하여 공연장의 서비스품질 속성을 파악하는 것이 필요하게 되었다. 또한 서비스 품질의 어떤 요인이 고객의 만족에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도 대두되었다. 이 연구에서는 공연장 서비스품질을 일반인과 예술관련인으로 구분하여 Kano 모형을 활용하여 6가지의 품질속성(매력적, 일원적, 당연적, 무관심, 역품질, 회의적)으로 분류하였다. 그리고 Timko(1993)의 고객만족계수를 통하여 각 서비스마다 최대 만족정도와 최대 불만족정도를 구하였다. 마지막으로 현재만족수준을 고려하여 서비스 품질을 향상시키고 각 속성의 상대적 중요도를 조사하기 위하여, 잠재적 고객만족개선지수(PCSI Index)를 도출하였다. 분석 결과 공연장 서비스품질을 구성하는 항목 중에서 ‘좌석의 시야확보’는 일반인과 예술 관련인에서 공통적으로 일원적 품질속성으로 분류되었고 우선순위도 1순위로 나타났다. ‘최신 무대 음향장비’는 일반인에서 매력적 품질속성으로 분류되었고, 우선순위는 27위로 최하위로 나타났다. 그러나 예술 관련인에서는 일원적 품질속성으로 분류되었고 우선순위는 5위로 높게 나타났다. 이 연구는 Kano 모형에 기초하여 일반인과 예술 관련인이 생각하는 잠재적 고객만족개선지수를 분석하고, 공연장의 서비스 품질을 구성하는 항목에 대한 상대적 중요도를 비교하여 경영자가 공연장의 서비스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향을 제시하였다. Because of the rapid economic growth and introduction of five-day week, the interests on the art performance and culture are increased. So many art centers have been built and the competition to enhance customers' satisfaction levels among art centers become intense. Therefore, art centers focus on facility and performance differentiation for sustainability. In order to satisfy customers and obtain competitiveness, it is needed to identify service quality attributes on art centers. Also, research on which factors of service quality influence customer satisfaction will be necessary. This study classifies the service quality of art centers into 6 types of attributes such as attractive, one-dimensional, must-be, indifferent, reverse and questionable by Kano model between ordinary people and art-oriented people. The maximum satisfaction level and dissatisfaction level of each service were obtained by using customer satisfaction coefficient in Timko(1993). Considering present satisfaction level, the potential customer satisfaction improvement(PCSI) index is developed to investigate relative importance of each attribute and improve service quality. The analysis results indicate that the one-dimensional attribute 'the view clarity of the seat', is the most important one for both ordinary and art-oriented people. The attractive attribute 'the latest stage acoustics device' is most unimportant(27th rank) for ordinary people but art-oriented people consider it one-dimensional and important(5th rank). This study provides some insights for management to improve service quality of art centers by analyzing PCSI index and comparing relative importance of attributes between ordinary people and art-oriented people based on Kano model.

      • 국어 필수 부사어의 통사·의미론적 특성에 관한 연구 : ‘-에’형, ‘-로’형, ‘-와/과’형을 중심으로

        박성민 경희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이상으로 국어의 필수 부사어에 대한 기준을 설정하고 ‘-에’형, ‘-와/과’형, ‘-로’형이 갖는 의미 특성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본 논문은 현재까지 부사어의 형태를 가진 대상들 중에 문장 내에서 필수적으로 요구되는 성분들에 대한 기존의 연구가 아직 명확하지 않다는 점에서 논의를 시작하였다. 어떠한 성분의 필수성 여부는 그 언어의 문법체계를 결정하는 중요한 문제이다. 특히 필수 부사어의 경우 그 용어가 모순적이라는 논의에서부터 그것들이 논항이 되는가 되지 않는가에 대한 논의와 이들을 보어로 보는 논의에까지 수많은 연구가 있어왔음에도 불구하고 아직까지 그 명확한 경계가 드러나지 않았다. 그리하여 문장 내에서 필수적으로 요구되는 부사어들이 과연 필수적인가에 대해 고려하지 않을 수 없었다. 또한 기존의 연구들 중 대부분이 필수 부사어를 요구하는 술어에 초점을 맞추어 연구가 진행되고 있었다. 그러한 술어들이 일정한 부사어를 요구하는 성질이 있다고 설명하였기 때문에 필수 부사어에 대한 논의는 술어 각각의 의미에 집중하게 되는 방향으로 나아가게 되었다. 그러나 그러한 분류 역시 명확하지 않음을 포착하였고 결국 문장 전체에서 각각의 성분이 담당하는 역할에 대하여 고민하게 되었다. 어떤 연구 대상이 필수적이라고 함은 곧 그것이 없으면 언어로써 어떠한 기능도 하지 못한다는 의미가 될 것이다. 필수 부사어에 대한 연구도 그러한 개념에서 접근하였다. 그러한 혼란이 생기는 이유를 언어 연구 방법의 차이로 보았다. 언어 연구 방법에는 크게 형태ㆍ통사론적인 방법, 의미론적인 방법, 화용론적인 방법이 있다. 이들 중에서 연구의 대상이 하나의 문장을 넘어서는 화용론적인 방법은 본 논의에서 제외하였다. 화용론적인 입장에서 ‘필수적’이란 개념은 형태ㆍ통사론적, 의미론적인 입장에서의 ‘필수성’의 개념과는 너무도 큰 차이를 보이기 때문이다. 본 논문은 의미론적인 연구가 형태ㆍ통사론적 연구와 화용론적 연구 모두에 걸쳐있다고 본다. 그래서 필수 부사어에 대한 연구는 형태ㆍ통사론적, 의미론적인 입장을 모두 고려해야 함을 주장하였다. 본론에서 논의한 내용들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2장에서는 필수 부사어의 성격을 보다 명확히 규명하기 위하여 부사와 부사어의 개념부터 명확하게 지정하였다. 또한 부사어가 필수적으로 쓰임을 알기 위해서는 ‘필수성’이라는 개념에 대하여 우선적인 검토가 있어야 한다고 생각하여 그러한 논의의 중심에 있는 보충어와 부가어 개념을 검토하였다. 또 필수 부사어의 연구에서 가장 많이 논란이 되고 있는 부사어 형태의 보어 구성에 대한 연구를 정리하고 본 논의에서 대상으로 삼고 있는 필수 부사어에 대한 개념을 설정하였다. 3장에서는 종전의 연구에서 필수 부사어를 설정하는 기준이 부족하다고 판단하여 ‘소거’, ‘대치’, ‘삽입’, ‘의미특성’, ‘-이다 구문 변형’의 다섯 가지의 기준을 제시하여 부사어 중에서 필수 부사어를 가려낼 수 있는 토대를 마련하였다. 필수 부사어는 본래 부사어의 형태를 가지고 있으면서 문장의 최소의미구성에 반드시 참여하는 것으로서 하나의 기준으로는 그러한 것들을 모두 가려낼 수 없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4장에서는 필수 부사어의 세 가지 형태를 중심으로 각각의 의미특성을 밝혀내려 하였다. 우선 기존 연구에서 유사한 연구의 문제점을 지적하고 그 대상들을 선별하였다. 그리고 여러 표현들을 종합하여 필수 부사어가 가지는 의미특성을 골라내었다. 필수 부사어에 대한 관심은 학교 문법에서 부사어를 수의적 성분으로 규정한 것에서부터 시작된다. 그러나 부사어는 수의적인 특성을 갖기도 하고 필수적인 특성을 갖기도 한다. 그와 같은 부사어의 불안정한 기능이 여러 논란을 이끌어낸다고 보았다. 필수 부사어에 대한 논의는 국어의 문형을 설정함에 있어 보다 다양한 국어의 문형을 설정하는 연구와 국어의 문장 성분을 확립함에 있어 각각의 성분들을 보다 명확히 밝혀내는 데에 하나의 참고가 될 수 있을 것이라는 점에 본 연구의 의의를 둔다. 본 연구를 진행함에 있어서 연구 대상을 동사로 한정하여 필수 부사어의 전반을 살펴보지 못하였다. 또한 ‘-에’, ‘-로’, ‘-와/과’와는 다른 형태들에 대한 연구와 ‘의미특성’과 ‘의미역’과의 연계점과 구별점에 대해서 명확하게 나타내지 못한 점은 후속 연구의 과제로 남겨두기로 한다. The aim of this paper is to make standard for obligatory adverbials and to make clear the meaning properties of form '-e', '-ro' and '-wa/kwa' in Korean. First, I began a discussion about the standard of obligatory adverbials that wasn't studied sufficiently. One function of this theory is to provide a general method for selecting obligatory adverbials in Korean. In previous studies, many researchers in Korean linguistics field concentrated on studying only a condition of predication that requires obligatory adverbials. However, these studies are not enough to figure out the essential of obligatory adverbials. So, I laid emphasis on each meaning for properties of obligatory adverbials. Thus, the main conception of this paper is "meaning properties". This theory is only for verbs(except adjectives). The construction of this paper is as following. In chapter 2, I described conceptions between adverbs and adverbials clearly for investigating characters of obligatory adverbials. And, I examined thoroughly the notion of complement and adjunct that are in the main argument of adverbials. In addition, I defined the notion of obligatory adverbial. In chapter 3, I presented practical "syntactic-semantic standards" in order to distinguish between general adverbs and obligatory adverbials. The name of standards is "elimination test", "substitution test", "insert test", "meaning properties test", "transform phrase of '-i da' test". In chapter 4, I studied the "meaning prosperities" of three types that I explained above. In previous studies, there was not clear explanation for the semantic difference of obligatory adverbials. I synthesize such different ideas and classify obligatory adverbials according to standards in the chapter 3. As a result, study of obligatory adverbials will have to be investigated to method of meaning property.

      • 절연재료의 수명예측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에 관한 연구

        박성민 광운대학교 대학원 2000 국내석사

        RANK : 247631

        Today, electrical machine is being large capacitor. And extra high voltage of power equipment is a need of high reliability of insulators . Therefore, it is a need of fixed appraisement of lifetime to used data of breakdown. This paper describes a development of the program for estimation the lifetime of insulating materials and the long-time breakdown voltage by experimentation. First, short-time breakdown voltage of epoxy and insulating oil is measured. Then breakdown time on fixed voltage under short-time breakdown voltage is measured. Development program is gained life exponent and long-time breakdown voltage from experimented result. The estimation program is based on the Inverse Power Law, defined Vnt is constant and used language C++. After gaining the life exponent n, it is mapping the long-time breakdown voltages. On the base of life exponent, the estimation the lifetime and usefulness of the insulation systems are possible, furthermore easy calculation is possible. 오늘날 전기 기기가 대용량화 되어가고, 전력설비의 초고압화로 절연재료의 고신뢰성이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절연파괴에 관한 데이터를 적절히 활용하여 수명시간에 대한 정량적인 평가가 필요하게 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절연재료의 수명예측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과 실험을 통한 장시간 파괴수명을 예측하였다. 유기고분자 재료인 에폭시 복합체와 절연유를 시료로 먼저, 순간파괴전압을 측정하고, 파괴 전압 이하의 일정 전압을 인가하여 각 시료별 절연파괴 시간을 측정하였다. 실험에 의해 구해진 V-t 특성으로 개발한 프로그램을 통하여 수명지수 및 장시간 파괴전압을 구하였다. Vnt 가 일정하다는 Inverse Power Law 와 C++ 을 이용하여 프로그램을 개발하였으며, 본 프로그램은 수명지수 n 의 계산과 이를 바탕으로 장시간 파괴수명을 추정하여 그래프로 표시하였다. 수명 지수를 알수 있으므로, 절연시스템의 수명예측이 가능하여 졌으며, 보다 간편한 절연시스템의 수명지수 계산과 재료의 절연시스템 사용의 적합 여부의 판단이 가능해 졌다.

      • Manipulation of physical properties in oxide thin films by a local inversion symmetry breaking induced by flexoelectricity

        박성민 Seoul National University 2019 국내박사

        RANK : 247631

        대칭의 개념은 물리학에서 놀라운 역할을 가지고 있다. 물질이 가지고 있는 대칭의 종류에 따라서 물질이 가질 수 있는 물리적 질서나 특성이 결정된다. 결정 대칭성에 따라서 고체는 잘 알려진 결정질 점군으로 분류될 수 있는데, 1830년에 32가지 유형의 형태학적 결정군으로 분류될 수 있다는 것이 증명되었다. 어떤 결정군에 속해있는지를 통해 복굴절과 같은 광학성 특성이나 압전성과 같은 전기기계적 결합이 나타날 수 있는지 여부를 알 수 있다. 전기적 특성과 기계적 특성 사이의 상관성은 매우 흥미로운 물리적 현상이며, 미시적인 크기의 전자기계부터 압전 엑츄에이터, 모터, 센서, 에너지 발전기, 전동기 단백질 및 세포막과 같은 생물 시스템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되고 있다. 전기 기계적 상관성의 가장 보편적인 예는 균일한 변형이 가해질 때 전기장이 물질 내부에 생성되는 압전성이다. 반면에, 불균일한 변형이 물질에 가해지는 경우에도 물질 내부에 전기장이 형성되게 되는데 이를 변전효과라고 한다. 변전효과는 전기적 분극과 불균일한 변형 사이의 상관관계로 정의될 수 있다. 이 현상의 중요성으로서 변전효과가 압전효과보다 더 보편적으로 나타난다. 즉, 더 많은 결정에서 나타날 수 있는 효과이다. 압전성은 32개중에 20개의 결정군에서 나타날 수 있는 반면, 변전성은 32개 모두의 결정군에서 나타날 수 있는 현상이다. 또한 변전효과는 물질의 크기가 작아지면 작아질수록 효과의 크기가 커진다는 재미있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특성 때문에 압전효과가 사용되는 장치를 대체할 수 있는 효과로서 매우 큰 물리적 산업적 중요성을 가지고 있다. 본 박사논문에서는 변전효과에 의해 유도되는 반전 대칭 깨트림을 이용하여 산화물 박막의 물리적 특성을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것을 보여줄 것이다. 특히, 국소적인 영역에 날카로운 원자힘 현미경의 탐침을 이용하여 압력을 가하는 기술을 사용함으로써 원하는 영역에만 국소적으로 물리적 특성의 변화를 야기해낸 일들을 소개할 것이다. 나의 연구들은 산화물 박막에서 순수한 힘만을 가지고 흥미로운 물리적 현상 또는 특성을 제어하고 관찰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것을 시사한다. Over the last decade, flexoelectric effect at the nanoscale in solid has shown their wide potential both scientifically and technologically. There are already some patents for commercial electronic devices to replace piezoelectric devices such as sensor, and actuator. Also, they have shown rich and intriguing physical phenomena, including the recent hot topic of domain wall and photovoltaic. Despite these extensive studies on flexoelectric effect, I believe that many interesting issues still remain untouched. In this thesis, two novel findings has been addressed: trailing flexoelectric field for manipulation of multiaxial ferroelectric, control of the electrical state in a dielectric with flexoelectric origin. Firstly, I have demonstrated that in multiaxial ferroelectric epitaxial films, the trailing flexoelectric field generated by mobile AFM tip pressing can be used as an effective tool for engineering domain structures. We have suggested several advantageous features over the electrical way. Also, we have overcome the serious drawback of mechanical switching of ferroelectric polarization with AFM tip that is switching is unidirectional, i.e. only switching of polarization up to down is possible. I believe that the finding of this mechanism of trailing flexoelectric will open a great possibility to study exotic ferroelectric domain by creating it without applying electrical bias. Also, we demonstrated flexoelectric control of the electrical state in ultrathin dielectric films. We explained this huge resistivity change in terms of tunable depolarizaton field by controlling the amount of flexoelectric polarization generated inside of the ultrathin dielectric films. Achieving breakdown using very small electric bias, we could prevent extrinsic effect such as Joule heating and permanent damage on the sample even though we applied a huge electrostatic field by means of flexoelectricity. This work overcomes a long-standing dilemma: the electrical-state switching in dielectrics requires strong fields, but when applied by strong static fields, dielectrics inevitably suffer from irreversible damage. Utilizing universal flexoelectricity, we could develop a general approach to apply non-destructive, strong electrostatic fields in various insulating systems, such as the Mott insulator. Also, our results can be extended to realize future novel devices such as flexoelectric switch and transistor. Lastly, there can be many interesting topics we can further study with this AFM tip pressing technique. Since force applied by AFM tip will generate local strain gradients, thus breaking of local inversion symmetry, any change of physical properties or intriguing phenomena induced by the inversion symmetry breaking such as band gap opening in graphene or photovoltaic in centrosymmetric materials can be studied. As those studies would be original in the aspect that mechanism is novel flexoelectricity, it would provide good chances for high-impact publications. The concept of symmetry plays an incredible role in physics. What kinds of symmetries the material possess determine the physical orders or properties the material can have. Depending on crystal symmetries, solid can be classified into well-known crystallopic point group. In solids, there exist 32 types of morphological crystalline symmetries derived in 1830 from a consideration of observed crystal forms. The point group of a crystal determines the directional variation of physical properties that arise from its structure, including optical properties such as birefringency, or electromechanical coupling such as piezoelectricity. Couplings between electrical and mechanical properties are quite intriguing physical phenomena and have been used in many applications ranging from microelectromechanical systems to biological systems such as a piezoelectric actuator, motor, sensor, energy generator, electromotor proteins, and cellular membranes. The most popular example of electromechanical couplings is piezoelectricity in polar systems (where the space inversion symmetry is broken), in which the homogeneous strain can induce electric fields and vice versa. On the other hand, there can occur a novel electromechanical coupling known as flexoelectricity in the presence of a strain gradient (i.e., inhomogeneous strain). The flexoelectricity can be defined as a coupling between polarization and strain gradient. One important aspect of this phenomena is that the flexoelectricity is more universal phenomena than the piezoelectricity. While piezoelectricity can arise in 20 point groups, flexoelectricity can arise in all 32 point groups as the strain gradients itself spontaneously break the inversion symmetry. Other than that, flexoelectricity has another important aspect. Flexoelectricity becomes larger and larger as the scale being reduced since the strain gradient is inversely proportional to the size of the sample given that the applied strain is fixed. Because of those two advantages mentioned above, flexoelectricity can play an important role in both nanoscale physics and application as it might be possible to replace the devices in which the piezoelectricity is in use. In this thesis, I will show that it is possible to tune the physical properties of oxide thin films by breaking the space inversion symmetry induced by flexoelectricity. Specifically, I exploited the technique so-called atomic force microscope (AFM) tip pressing that is applying pressure using a sharp AFM tip to induce local strain gradients, thus, break the local inversion symmetry. With this technique, local control of physical properties of oxide thin films was possible and three works related to AFM tip pressing will be addressed. Our studies on oxide thin films suggest that many interesting control of local physical properties can be possible by means of pure mechanical for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