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서울특별시 고령자용 임대주택의 공급 개선방안 연구 : 저층부분(1~2층) 고령자용 임대주택 중심으로

        박상일 서울시립대학교 2011 국내석사

        RANK : 248655

        Ageing is result of economic progress, income growth, low-birth rate, advanced medical technology and so on. Population ageing usually matters in the context of the actual "increased" number of seniors. However in Korea, the speed of population ageing is so fast that Korea now does not have enough time to cope with the phenomenon. Therefore social policy on population ageing should be seriously considered. Today, discussions on elderly housing are flourishing, with rising of nuclear families and falling of traditional family features. Being one of the basic human needs, "Shelter" for aged people now has become the one of the most critical issues among policy makers.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has provided public rental housing to seniors by acquiring first and second floor of newly-built public apartments since 2009. In this circumstance, this research is aimed to find out limits of the policy on public rental housing for the elderly in Seoul today, and suggest ways to provide senior public apartment with high residential satisfactory level. The research was preceded in three stages: an analyzation on living condition of the public apartments in Gang-il 1 area, a questionnaire survey to the residents in first and second floor of the apartments, an interview with the apartment managers and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interested. The research result is followed as below. Firstly, the result of analyzation on living condition of the apartment in Gang-il 1 area indicates that 57.8% of families with more than one senior in the case group live in general-purposed public apartments. 29.3% of the families living in first or second floor of the apartment which has especially provided for elderly were composed of any seniors. 9.4% of family of 5 lives in 49 ㎡-sized apartments, which is considered as poor condition for family of 5, while 44.6% of family of 3 reside in 114㎡-sized apartments. Therefore it can be concluded that the supply and management of public housing for senior in Seoul shows its limitation. Secondly, the 81.3% of the respondents of the questionnaire survey said "satisfying" for current dwelling size, yet 54.7% of the respondents answered "dissatisfaction" for arrange senior housing on first and second floor of the public rental apartment. 76.1% of the respondents answered "satisfaction" on inner facilities of the apartment and 88.4% of the whole respondents also said "satisfaction" on outer facilities of the apartment. 48% of the respondents preferred the peripheral area of Seoul as the location for public rental housing for the elderly. 87.9% of the respondents said they prefer the apartment with non-senior housing and senior housing in together. Thirdly, the apartment managers and the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interested stated that there are some conflicts between the residents who have rent the apartment from the private market and public housing dwellers. Yet there is no particular problem between public housing dwellers; non-senior housing residents and senior housing residents in a same building. The apartment managers and the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interested also commented that identifying accurate demand of public rental housing for the elderly is the prior step in building senior housing system. They also remarked most of the apartments should be built in barrier-free style for elderly ultimately. Lastly, they exerted that not only various policy on building with fortified supply system for public rental housing is needed but management policy on public housing is also in need. Based on the result of the analyzation and interview shown above, some improvements in supply and management system of public rental housing for the elderly are presented as below. First of all, public rental housing for the elderly should be arranged regardless of the floor, and more senior rental housing has to be prepared for super-aged society in future. Next, family numbers and minimum housing standards should be considered in allocating public apartments to applicants. At the same time, seniors must given priority in receiving public rental housing reserved for seniors when they apply for it. Plus, large sized public dwellings, such as 114㎡-sized apartments, should be converted in small sized residences in the consideration of increasing number of senior citizens and single-person or two-person households. In this way, supply of public housing can be increased. Finally, the system that supports the public rental housing residents is needed for when they lose their qualification to live in their current dwelling or come to the situation that they have to move out to another place. To be more specific, providing information about vacant house or rent rates of other public housing would help them to keep living in the same community that they used to live in. This study analyzed only part of public housing - first and second floor of public rental apartment for the seniors - so that there can be difficulties in executing the idea of research into the practice. However, there is no doubt that the policy on public rental housing for the elderly on today should be mended if the elderly residents are experiencing any problems or inconveniences. There has been any statute regarding public rental housing for the elderly in Seoul so that there is a limitation in providing the sufficient dwelling for the elderly in Seoul. Therefore the law dealing with public rental housing for the elderly is urgently necessitated and the further researches are needed to consider related subjects like barrier-free senior housing, senior housing supply system with welfare enhancement of the elderly, the governmental aid for house remodeling as senior housing, consideration for governmental subsidy on private senior housing, and so on. Keywords: Ageing, Housing Welfare for the Elderly, Public rental housing for the Elderly, Residential Satisfaction 국 문 초 록 고령화는 경제발전에 따른 소득수준의 향상, 저출산, 의학발달 등으로 인간의 수명이 연장된 결과라고 볼 수 있다. 인구 고령화는 고령인구의 증가 측면에서 강조되지만, 우리나라는 고령화의 속도가 빠르게 진행되고 있어 대처할 시간이 절대적으로 부족한 가운데 사회정책적인 측면에서 더 중요한 의미를 두어야 한다. 핵가족화에 따른 전통적인 가족유형이 붕괴되면서 노인 주거에 대한 문제가 새롭게 논의되고 있다. 인간생활의 기본적인 3요소 의・식・주 중 하나인 주택은 고령화 대책의 가장 중요한 한 부분이기도 하다. 서울특별시는 저소득층 노인들을 위한 임대주택 공급제도의 하나로써 신규건설 단지 내 저층부분(1~2층) 고령자용 임대주택을 시범적으로 건설하여 공급하고 있다. 고령자용 임대주택의 공급을 시작한지 2년여 경과된 시점에서 그 동안 시행하고 있는 공급제도의 문제점을 도출하고 개선방향을 모색하여 주거만족도가 높은 고령자용 임대주택의 공급 개선방안을 제시하는데 본 연구의 목적을 두고 있다. 이와 같은 고령자용 임대주택에 대해 좀 더 구체적이고 실증적으로 조사・분석하기 위해 3단계로 사례지역의 입주실태 분석, 고령자용 임대주택 입주자의 설문, 관리업무 종사자・서울시청 관계자의 면담을 실시하여 다음과 같은 주거상황 및 주거만족도 분석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첫째, 사례지역의 입주실태 분석에서는 고령자용 임대주택 공급물량이 적어 고령자가 있는 세대의 57.8%가 일반공급 임대주택에 거주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저층부분(1~2층) 고령자용 임대주택 중 29.3%의 세대에는 65세 이상 고령자가 살고 있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고, 49㎡평형 이하 주택에 5인 이상 가족의 세대가 9.4%가 입주하고 있어 열악한 환경에 살고 있고, 114㎡평형 주택에는 3인 이하 가족의 세대가 44.6%가 입주하고 있어 고령자용 임대주택 공급 및 관리에 있어 문제점이 도출되었다. 둘째, 저층부분(1~2층) 고령자용 임대주택 입주자의 설문조사에서는 현재 살고 있는 주택평형에 81.3%가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고령자용 임대주택을 1층, 2층에 배치하는 것은 54.7%가 불만이라고 답하였다. 내부시설은 76.1%가 만족한다고 응답하였고, 외부 주거환경은 88.4%의 높은 만족도를 보여 주거만족도는 전반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고령자용 임대주택의 건립위치는 서울시 외곽지역을 48%가 선호하였고, 조성형태는 같은 동 건물 내 일반공급과 고령자용 아파트의 혼합배치를 선호한다고 87.9%가 답하였다. 셋째, 관리업무 종사자・서울시청 관계자의 면담조사에서는 단지 내 분양과 임대아파트 혼합형에서 나타나는 입주민들 간의 갈등이 일부 있지만, 임대동 건물 내 일반공급과 고령자용 아파트 혼합형에서는 입주민들 간의 특별한 문제는 없으며, 관리측면에서도 일반세대와 고령자세대의 큰 차이점이 없다는 의견이었다. 고령자용 임대주택 공급은 수요물량을 판단하는 게 최우선이며, 궁극적으로는 대부분 주택을 무장애 시설로 설치해야 한다. 공급제도 개선도 중요하지만 관리측면에서도 다양한 정책이 필요하다는 의견이었다. 조사・분석결과로 나타난 문제점 도출 및 원인 분석에 의한 개선방향을 모색하여 다음과 같은 고령자용 임대주택의 공급 및 관리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첫째, 고령자용 임대주택을 각 층별로 배치하고, 향후 초고령사회를 대비하여 고령자용 임대주택 공급물량을 상향 조정하여 공급하여야 한다. 둘째, 최소주거기준 및 가구원 수를 감안한 적정 주택평형을 신청・공급하는 제도 및 고령자용 임대주택은 고령자 가구에 우선 공급하는 제도를 마련하여야 한다. 셋째, 114㎡평형에 대해서는 1~2인 가구, 고령인구의 증가, 가구원 수의 감소 등 다각적인 분석을 통해 소형 임대주택으로 전환하여 공급을 확대하여야 한다. 넷째, 입주 자격상실 및 퇴거사유 발생 시 임대주택 내 이주를 지원하고, 이를 위한 임대주택의 공가(空家) 및 임대료 등 정보를 제공하는 시스템을 도입하여 기존 입주자의 임대주택 내부순환을 유도하여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저층부분(1~2층) 고령자용 임대주택 중심으로 개선방안이 제시되어 이를 서울특별시 임대주택 공급정책 전체에 반영하기 곤란한 개선방안도 있을 수 있다. 그러나 도출된 문제점과 제도 미비로 고령자들이 겪을 불편함이나 어려움이 있다면 어떤 형태와 방법이든지 시정되어야 한다고 본다. 특별한 법령이 없는 가운데 서울특별시의 정책으로 고령자용 임대주택을 시범적으로 공급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으므로 조속한 법령 제정이 필요한 실정이다. 아울러, 고령자용 임대주택 공급에 대해서는 후속적으로 연구되어야 할 많은 부분이 남아 있다. 무장애 시설 설치의 고령자용 임대주택 공급수준에서 벗어나 주택공급과 병행한 복지서비스 강화방안, 다양한 고령자주택 모델 개발, 기존주택의 고령자주택 개조 지원, 고령자 대상 민간임대주택 건설 지원 등에 대한 심층적인 연구가 더욱 더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핵심주제어 : 고령화, 노인주거복지, 고령자용 임대주택, 주거만족도

      • 경쟁우위의 전략적 차이가 환경경영활동과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박상일 동아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8639

        As the economic significance of national border effects disappears and competition becomes fierce due to the changes in competitive marketplace, domestic enterprises are facing a problem of how to achieve a competitive advantage as a driving force of economic growth and industrial development. In this process of securing competitive advantages, all industries have a close relationship with their environment. As environmental issues have emerged as key variables in the corporate management, enterprises have evolved into environmental management approach simultaneously pursuing for both economic profitability and environmental sustainability, away from traditional environmental management practices that had focused on keeping pollutants generated by the production process within the legal criteria.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impact of strategic differences between cost advantage and differentiation advantage (source of competitive advantage) to environmental management activities, set up competitive advantage models on corporate performance as an output of these environmental management activities, demonstrate the impacts of these factors to business performance, propose to improve corporate competitiveness and present the future direction of research. As a result of this demonstrative study, cost+differentiation emphasis group appeared to have the highest impact on environmental management activity and operational performance, differentiation emphasis group was in the middle level, and cost emphasis group showed the lowest level of impact. And the cost advantage strategy did not affect CEO's attention, participation of organization members, and conjunction with the vendor fields but, affected resource recycling and environmental facility management/improvement. In addition, differentiation advantage strategy affected significantly all environmental management activities. In addition, CEO's attention and participation of organization members, the conjunction with the vendor fields, of environmental management activities, showed significant positive relationship to financial performance but, resource recycling, environmental facility management/improvement showed no significant relationship, and all but CEO's interest and the participation of organization members, of environmental management activities, showed no significant relationship to strategic performance. Finally, the cost advantage strategy did not affect business performance but, differentiation advantage strategy affected all business performances. Some practical implications of this study is that it had been demonstrated empirically that environmental management activities and operational performance will maximize by performing in balance at the same time both differentiation advantage strategy and cost advantage strategy, of competitive advantage strategies, and that what's the most important in order to promote positive environmental management is CEO's interest in environmental management and all employee's participation. It will make existing environmental management practices improve more efficiently, by systematically identifying corporate environmental management activities to decision-makers, and it will make it easier to build an environmental management system by presenting specific environmental management practices for companies that did not establish an environmental management system. 경쟁시장의 변화로 인해 경제적 국경의 의미가 사라지게 되고 경쟁의 정도도 치열해짐에 따라 국내의 기업은 성장과 발전의 원동력으로써 경쟁우위를 어떻게 확보할 것인가 하는 문제에 직면해 있다. 이러한 경쟁 우위 확보과정에서 모든 산업들은 환경과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다. 환경문제가 기업경영의 주요변수로 등장함에 따라 기업들은 생산 활동에서 발생되는 오염물질을 법적 기준 이내로 유지하는데 주력하는 전통적인 환경관리 방식에서 벗어나 경제적 수익성과 환경적 지속가능성을 동시에 추구하는 환경경영방식으로 바뀌어 가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경쟁우위의 원천인 비용우위와 차별화우위의 전략적 차이가 환경경영활동에 미치는 영향과, 그리고 기업의 환경경영활동 결과물로 기업의 성과에 관한 경쟁우위 모형을 설계하여 환경경영활동의 성과들을 살펴보았으며, 이러한 요인들이 경영성과에 미친 효과를 실증분석을 하여 기업들의 경쟁력 향상을 위한 제언과 향후 연구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실증분석 결과 비용+차별화 강조집단이 환경경영활동과 경영성과에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차별화 강조집단이 중간 수준, 비용 강조집단이 가장 낮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비용우위전략은 최고경영자의 관심 및 조직구성원의 참여, 공급업체와의 연계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드러났으며, 자원재활용, 환경설비관리 및 개선에는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차별화우위전략은 환경경영활동에 모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환경경영활동 중 최고경영자의 관심 및 조직구성원들의 참여, 공급업체와의 연계 정도는 재무적성과와 유의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자원 재활용, 환경설비관리 및 개선정도는 유의한 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환경경영활동 중 최고경영자의 관심 및 조직구성원들의 참여정도를 제외하고는 전략적성과와 유의한 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비용우위전략은 경영성과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차별화우위전략은 경영성과에 모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드러났다. 본 연구가 가지는 실용적인 시사점으로는 경쟁우위의 전략 중 차별화우위 전략과 비용우위 전략을 동시에 균형적으로 실시하여야 환경경영활동과 경영성과가 극대화되며 적극적인 환경경영을 추진하기 위해서는 가장 중요한 것이 최고경영자의 환경경영 관심도와 전 사원의 참여도라는 것을 실증적으로 입증하였다. 그리고 의사 결정자에게 기업에서 할 수 있는 환경경영활동들을 체계적으로 규명해줌으로써, 기존의 환경관리 방식을 보다 효율적으로 개선할 수 있도록 하고, 환경경영시스템을 구축하지 않은 기업들에게는 구체적인 환경관리 실행 방안들을 제시함으로써, 보다 용이하게 환경경영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도록 하였다.

      • 전라남도 지역화 단원 학습을 위한 자기주도적 웹 코스웨어 설계 및 구현

        박상일 韓國敎員大學校 敎育大學院 2004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 연구는 초등학교 4학년 1학기 사회과 전라남도 지역화 단원 학습을 돕기 위한 웹 코스웨어를 설계하고 구현한 것이다. 본 연구의 목표는 학습자가 원하는 시간과 장소에서 자기 학습 능력과 속도에 맞춰 자기주도적 학습을 할 수 있도록 학습자에게 다양한 미디어를 결합시킨 형태의 WBI를 설계하고 구현하여 학습 효과를 극대화시키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사회과 4학년 1학기 보조교과서 "전라남도의 생활"을 재구성하여 전라남도의 행정구역과 전라남도 동부 지역 4개 시·군의 교통, 관광, 인구, 특산물, 문화재, 인물 등에 대하여 아동의 흥미를 유발하는 자료를 제시하여 학습자들에게 지식과 정보를 탐색·분석·활용할 수 있는 능력을 길러줄 수 있는 있도록 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첫째, 지역학습을 통하여 지역에 대한 이해와 자긍심을 가질 수 있다. 둘째, 학습자가 자신의 능력과 흥미에 따라 개별화 학습이 가능하다. 셋째, 전라남도 지역화 학습과 관련된 자료실을 운영함으로써 자료와 정보를 공유하고 지속적인 연구와 개발이 가능하도록 유도한다. 넷째, 데이터베이스의 이용을 통해 지역 문화재 자료의 유지·보수가 용이하며, 자료의 계속적인 확장이 가능하다. 다섯째, 인터넷의 활용으로 학습자뿐만 아니라 일반 사용자들에게도 개방하여 교수-학습 및 현장학습에 활용할 수 있다. ※ 이 논문은 2004년 2월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위원회에 제출된 교육학 석사(초등컴퓨터교육)학위 논문임. This research is for designing and implementing a web courseware as a teaching aid for the Sociology unit on the Regionalized Education of Jeollanam-do, at the Elementary School Year 4 Semester 1 level. The objective is to maximize the effectiveness of learning by designing and implementing a WBI as an integration of various media which allows the learner to conduct a self-directed study anytime anywhere depending on his or her own learning level and pace. In this research, the unit of "The Life in Jeollanam-do" in Year 4 Semester 1 Sociology has been restructured to provide to the children the materials of interest on administrative districts of Jeollanam-do, transport, tourism, population, indigenous products, cultural properties, and persons of four cities and counties in the eastern Jeollanam-do. It was intended to cultivate the learner's ability to explore, analyze and apply knowledge and information. The following may be expected as results of this research. First, through the regionalized learning, the learner can cultivate understanding and pride for the region. Second, the learner can have a customized learning according to his or her level and interests. Third, a resource center on regionalized learning of Jeollanam-do can facilitate sharing of resources and information as well as continuous research and development. Fourth, use of database aids maintenance and repair of cultural properties in the region, and it allows continuous expansion of resources. Fifth, use of Internet-based tools can be made available not only to the students but also to the general public, enabling both teaching-learning and field study experiences. * A thesis submitted to the Committee of the Graduate School of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in partial fulfillment of the requirement for degree of Master of the Education(Elementary Computer Education) in February, 2004.

      • 동대문성곽공원의 도시의 현재성 개입을 위한 지하 공간 개발에 대한 연구 : 근대건축박물관 제안을 중심으로

        박상일 인하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8639

        Taking a critical standpoint on historical restoration or diverse kinds of architectural deeds and discourses that, at least, advocate the cause of historical values in the name of recent urban cultural policy, the study’s argument is focused on how the restored places or architecture adapt themselves to the present time, rather than their monumental value, to participate in the new cultural geography. Throughout the study, we attempt to point out the problems in the restoration of ‘Hanyang Castle’, one of the major restoration policy in Seoul, to explore in priority how to make the area antiquated by the‘Dongdaemun castle Park’ intervene in the existing urban context, and to propose a new urban programs and design which manifest the presence of the past. And at the same time, employing the program of‘Human Behavior Simulation’as an analytical tool in order to verify the new design proposal, we analyze the design hypothesis and evaluate the possibility. What the study points out is mainly the danger that an extensive restoration business proceeded by Seoul City government, seems a superficial tactic with an absence of strategy, by which a part of the 600-years-ago old capital is reproduced to convert the city into historical heritage, and that the original urban attribute, ‘a theater of memory’, might be shaken off to be dismissed. In other words, the study attempts to lay emphasis on the fact that a city is, before a physical space, a place registered with human aspiration and failure, and to urge a critical index that a city is an ecological being with immutable and temporal presence of the past and permanence. On the basis of above critical motive, the thesis intends to propose a new program that release the Dongdaemun castle park from being an“inextinguishable antiquity”to the present urban context, and to make the Castle Park reborn to be a vitalized ‘place’, in linking with existing urban infrastructure, where people can experience the city on the line of historical layers. Regarding a sense of place as‘an integrated characteristics created by human intervention in ordinary nature of circumstances’, and acknowledging that the sense of place is evaluated and revealed by social action onto human cognition, the study attempt to employ the program of‘human behavior Simulation’that operates the human social action in numbers, and to verifies the design experiment systematically. Calculating the visual connectivity, the possibility of social interchange, and approachability through the analytic tool, the study also attempts to acquire the data of qualitative effect from socio-cultural interaction, and to measure, on the basis of the data, phenomenological characteristics of a place, which is to be embodied by the‘concrete differences’and ‘boundary and origin’. Then, the study eventually intends to verify the feasibility of the design concept and conjecture, and to suggest a paradoxical access for revitalization of‘the historically restored place’. 이 논문은 최근 도시 문화정책의 미명 아래 벌어지는‘역사복원’, 또는 (적어도) 역사적 가치를 표방하며 이루어지는 다양한 형태의 건축적 행위 및 담론에 대해 비판적 입장을 취하고, 복원된 장소나 건축 등이 지니는 기념비적 가치보다는 이들이 어떻게 현재의 시간에 적응하여 새로운 문화의 지도를 그려나갈 수 있는가에 논쟁의 초점을 맞추고 있다. 연구를 통해 한동안 서울시 복원정책의 화두처럼 여겨져 온‘한양도성’및 성곽복원의 문제점을 지적하고, 특히 동대문성곽공원에 의해‘유적화(遺蹟化)’돼 버린 지역을 어떻게 기존의 도시 콘텍스트에 개입시킬 수 있는지를 중점적으로 탐구하며, 과거의 현재성을 발현할 수 있는 도시 프로그램 및 디자인을 제안함과 동시에 이를 구체적으로 검증하기 위해‘인간행동 시뮬레이션(human behavior simulation)’의 프로그램을 분석의 도구로 채용하여 디자인 명제에 대해 논박을 제기하고 그 결과를 진단하고자 한다. 이 연구가 지적하는 바는 우선 서울시가 진행하고 있는 대대적인 복원 사업이 전략의 부재 속에서 600여 년 전의 한양의 일부를 재현하여, 도시를 역사·문화유산으로 포장하는 피상적 전술로 비쳐진다는 점과 이러한 복원의 정책으로 인해 ‘기억의 극장’으로서의 도시의 속성이 일축돼버리는 위험성이다. 즉, 도시는 물리적 공간으로만 볼 것이 아니라 인간의 실패와 열망이 어우러져‘기록의 장(場)’으로서 구성되었음을 역설하고, 과거와 일시적인 현존(영원성의 초시간적)을 품은 도시공간의 생태를 유지하는 것이 먼저 되어야 한다는 점을 비판의 척도로 내세우고자 한다. 이러한 비판의 동기를 바탕으로 이 논문에서는 동대문 성곽공원을“꺼지지 않는 유적성(inextinguishable Antiquity)”의 굴레로부터 현전의 도시 콘텍스트로 해방시키는 출구로서의 프로그램을 제안하고, 이를 기존하는 도시 인프라와 연결시킴으로써 역사의 켜를 따라 도시를 경험할 수 있는 활성화된‘장소’로 부각시키고자 한다. 특히 장소성의 문제를‘상황의 일상적 특성에 인간의 개입이 통합된 속성’으로 간주할 때, 장소성 평가의 척도는 결국 인간에 인지 능력에 근거함을 주목하고 행동심리를 바탕으로 한‘인간행동 시뮬레이션(human behavior simulation)’프로그램을 도입하여 가상환경에서 디자인의 개념 및 내용을 검증하고자 한다. 이러한 분석의 도구를 통해 동선, 병목현상, 보행시간 등의 물리적 환경 뿐 만 아니라, 사회적·문화적 상호작용 등의 정성적 효과의 데이터를 획득하고, 이를 토대로‘차이의 구체화’나‘경계와 발단’등으로 구체화되는 장소의 현상학적 속성을 측정하고자 한다. 그런 다음 이러한 추측과 논박의 과정을 거쳐 디자인 개념의 타당성 및 역사복원지(歷史復元地)의 재활성화라는 역설적 문제를 제시하는 것이 이 논문의 목적이다.

      • 保證人 保護에 관한 比較法的 硏究

        박상일 嶺南大學校 2010 국내석사

        RANK : 248639

        This essay is a comparative study of the effects of suretyship system focusing on the protection of surety. The law of suretyship in all systems of jurisprudence presents many unusual and interesting features, due to the fact that suretyship involves the interests of three parties, each of whom stands in a different position each others. Suretyship is an important credit transaction. It allows a creditor to look to several persons instead of one and he thereby diminishes considerably the risks of non-performance or insolvency of the principal. Suretyship nowadays is a contract by which person voluntarily binds himself for another. Which means when the primary obligor do not have enough property, suretyship can be the system that they can get help to take out a loan from the financial institutions. Suretyship also involves at least two contracts, the principal contract and the contract of suretyship, and the third classes of persons, the creditor, the principal debtor, and the surety. The agreement of suretyship is between the creditor and the surety; the consent of debtor is unneccessaary and, in fact, the contract of suretyship may exist without the knowledge or even against the will of the debtor. The effects of suretyship are examined in the Civil Code, and the current Korean Civil Code exists few stipulation concerning the protection of the surety. Besides, other countries legislate for the protection of a surety, Korean Civil law tends to subject to judiciary arbitrariness due to abstract and comprehensive criteria of judgement. It would be also unreasonable to admit the general duty of care of creditors for a surety to enhance legal stability surrounding the surety system. As the one of the solutions, the Ministry of Justice supplemented the provision for the protection of a surety in the amendment works of the Korean Civil Code. The protection of surety should be applied when the contract of suretyship is made. However, once the contract is executed by the two parties, creditor and surety, the collateral function of the contract must be respected. The principle of private autonomy should not be abandoned and the protection of a surety should be confined to legal provision and not be dependent on the court's interpretation. Having a related article or related duty, such as a duty of sharing information, are the best way to balance the conflict of interest relevant to the suretyship system until the debtor's credit become the basis of lending. I am looking forward to see how the Reform of Civil Code protect the surety according to which reasoning in the future.

      • 스마트 폰의 터치와 음성 입력 방식에 대한 사용자 선호도 비교 분석 연구 : 20대~30대를 중심으로

        박상일 연세대학교 생활환경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8639

        스마트 폰의 터치와 음성 입력 방식에 대한 사용자 선호도 비교 분석 연구- 20대 ~ 30대를 중심으로 - 최근 들어 스마트 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중요성이 높아지면서 기존의 입력 방식을 넘는 더 인간 중심적인 NUI(Natural User Interface) 분야의 연구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현재의 주된 입력 방식인 터치 입력 방식의 불편함을 개선하고 근 미래의 기술 중 음성 입력 방식에 대한 소비자의 선호도 분석을 통해 소비자들이 좀 더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인간 중심의 기술 디자인의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20대 ~ 30대의 스마트 폰 사용자 대상으로 FGI(Focus Group Interview)와 설문조사(Survey)를 실시한 결과 현재의 터치 입력 방식에 대해 대체적으로 만족(3.95)하고 있었지만 상황이나 기능별에 따라 만족도의 차이를 나타냈다. 운전 중(2.29)일 때나 두 손을 사용하고 있는 상황의 경우(1.88)는 터치 방식에 대해 많은 불편함을 느끼고 있었다. 반면, 음성 방식을 사용하게 될 경우의 전체적인 기대 만족도는 터치보다 낮았지만(3.18) 운전 중(3.86)일 경우나 두 손을 사용 중일 경우(3.81) 모두 터치 대비 매우 높은 기대 만족도를 나타냈다. 기능별 전체적인 만족도에 있어서도 터치 방식의 평균(3.53)이 음성방식 평균(3.02)대비 높게 나타났지만 각 기능별로 분석결과 터치 방식에서 가장 낮은 만족도를 보였던 사진 촬영 기능은 반대로 음성 방식에서는 만족도 값이 가장 높게 나타나 각 기능에 따라 선호도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음성 입력 방식의 사용 경험 유무와 성별, 나이에 따라서도 유의한 만족도 차이가 나타났는데 각각 사용경험이 있는 집단, 여자, 20대의 기대 만족도가 더 높게 나타났다. 이런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각 기업에서 마케팅 전략을 수립할 때 주요 target 층을 20대의 여성으로 선정하고 음성 입력 방식을 체험할 수 있는 다양한 프로모션을 진행한다면 높은 마케팅 효과를 볼 수 있을 것으로 예상한다. 결론적으로 근 미래의 입력 방식은 터치와 음성 방식의 멀티모달(multimodal) 방식의 복합화 추세로 터치 입력 방식이 주 입력 장치로 사용되며 음성 방식이 대부분의 기능을 구현하는 강력한 보조 입력 장치로 적용될 것으로 예상된다.

      • 온라인 의류 쇼핑몰에서의 개인화 추천 서비스를 위한 유사도 알고리즘 비교 평가

        박상일 한양대학교 공학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8639

        최근 전자상거래에서 사용되는 추천 기법 중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추천 기법은 협업필터링(Collaborative Filtering) 추천 방법으로 협업필터링은 고객들의 선호도와 관심의 표현을 가지고 관심에서 비슷한 패턴을 가진 고객들을 식별해 내는 기법이다. 본 논문은 협업필터링에 기반을 둔 추천시스템에서 고객 간의 유사도를 통해 선호도를 파악하고 상품을 구매하고자 하는 고객에게 개인화 된 서비스의 제공과 상품을 추천하는 것을 제안한다. 본 논문에서는 협업필터링에서 사용하는 유사도 알고리즘에 대한 연구 및 각각의 유사도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직접 실험한 결과에 대해서 연구하였다. 협업필터링의 유사도 측정 방식에는 피어슨상관계수, 유클리드거리기반 유사도, 코사인 측정 유사도, 스피어만상관계수, 타니모토계수, 로그우도유사도 등이 있다. 본 실험에서는 특히 온라인 의류 쇼핑몰에 특화된 기초데이터를 가지고 유사도를 측정하고 비교해본 결과 협업필터링의 유사도 알고리즘 중 피어슨상관계수를 이용한 유사도 알고리즘이 가장 성능 및 추천결과가 우수함을 검증하였다.

      • 공공기관 지방이전으로 인한 정보화 사업 수행 인력의 직무 만족도에 관한 연구

        박상일 연세대학교 공학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8639

        공공기관 지방이전은 ‘국가균형발전특별법 10조’에 의거하여 2004년부터 2016년 말까지 기존의 수도권에 집중되어 있는 불균형을 해소하고, 혁신도시를 거점으로 각 지방 특성에 맞게 발전과 협력을 통해 지역경쟁력을 높여 기능별 지방이전을 통해 지역의 균형 있는 발전을 목표로 시행되었다. 하지만 공공기관 지방이전으로 인하여 기존의 수도권에서 정보화 사업을 수행했던 근로자들도 이전 기관으로 파견근무를 위해 이전함에 따라 새로운 환경에 적응해야 한다는 심리상태의 변화를 경험하게 되었다. 이러한 심리적인 요인들은 결과적으로 파견근로자들의 직무만족도에 영향을 미치게 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공공기관 지방이전으로 인한 정보화 사업 수행인력의 직무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견근로자들의 심리상태를 기대심리와 불안심리로 구분하였으며, 파견근무를 수행한 이후 심리상태 변화에 따라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서면, 온라인 설문조사의 방법으로 조사하였다. 설문조사의 대상은 대구, 세종, 오송 등의 이전 기관의 정보화 사업을 수행하는 파견근로자를 대상으로 하였고, 요인분석, 타당성 및 신뢰도 분석, 응답평균분석, 다중회귀분석 등의 방법으로 분석하고 검증하였다. 파견근무지의 환경, 파견근로자의 지원(체재비) 규모, 파견근무의 횟수 및 이동주기에 따른 심리상태를 기대심리와 불안심리로 구분하였으며, 이러한 심리상태의 요인을 분석한 결과 기대심리보다 불안심리에서 상대적으로 더 높은 타당도를 보이고 있다. 다중회귀분석을 통해 통계적 검정을 실시한 결과는 파견근무 지역의 규모가 근로자의 생활만족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을 입증하였고, 이러한 생활만족도가 직무만족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을 검증하여 연구가설을 지지하게 되었다. 그러나 파견근무기간은 생활만족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지 않는 것을 나타내었으며 곧, 직무만족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나타나 해당가설은 기각되었다. 본 연구는 공공기관 지방이전으로 인하여 정보화 사업 수행인력의 파견근무를 선호하거나 만족하는 직원은 거의 없었으며, 파견근무로 인하여 심리적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본 연구의 설문조사를 연구한 결과를 바탕으로 공공기관 지방이전정책은 긍정적인 기대효과보단 부정적인 답변이 높았으며 다양한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은 공공기관 만이 아니라 지방이전으로 파생되는 문제들은 정부정책으로 해결할 수 있는 대안을 제시하여 빠른 시간 내에 해결될 수 있는 노력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Public institution relocation has been conducted in order to resolve unbalance only concentrating on the current metropolitan area from 2004 to 2016 depending on the article 10 of ‘Special Act on Decentralization and Balanced National Development’ and to develop each region equivalently through the relocation according to each function by improving local competitiveness through developments and cooperations to fit characteristics of each region by making innovation cities as a base. However, due to the public institution relocation, workers who have conducted information technology industry should move to new locations for dispatched work so that they experienced psychological changes to adapt to a new environment. This study divided factors, affecting job satisfaction of the workers, who take parts of information technology industry and should move to a new place, into expectation and anxiety depending on the worker’s psychological states, and this study surveyed job satisfaction in writing and online, depending on psychological changes after they conducted the dispatched work. This study selected research objectives as dispatched workers operating information technology industry for relocated institutions in regions of Daegu, Sejong, and Osong. It analyzed and verified the collected data by utilizing factorial analysis, feasibility and credibility analysis, average response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is study categorized the worker’s psychological states into expectation and anxiety, according to dispatched work environment, support scale (living expense) for dispatched workers, the number of dispatched work, and migration period. As results of analyzing the psychological factors, the anxiety showed much higher validity compared to the expectation. As results of conducting statistical test, this study identified that scale of region that workers were dispatched could influence significantly life satisfaction, and by verifying the life satisfaction could influence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s to the job satisfaction, the result could support this research hypothesis. However, this study found that the period of dispatched work could not influence the life satisfaction significantly, and indeed it could not influence the job satisfaction statistically, so that the thesis is rejected. This study found that there are few workers who prefer or satisfy the dispatched work of information technology industry because of the public institution relocation, and they sufferred from psychological difficulties due to dispatched work. Based on survey results of this study, respondents answered that the public institution relocation policy is considered negative rather than they have positive expectation and it has a lot of problems. The problems could be related not only to public institutions but also every situation of local relocation, so that this study suggests that governments should provide governmental policies as alternatives and try to solve the problems as soon as possibl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