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중도입국청소년의 초기 한국사회 적응 경험에 관한 질적 연구

        박봉수 인하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중도입국청소년들이 입국 초기에 한국사회에 적응하는 데 어떠한 어려움이 있었으며, 그러한 경험의 의미는 무엇인가를 탐구했다. 먼저 중도입국청소년들의 본국에서의 경험이 한국으로의 이주에 어떠한 영향을 미쳤는지를 살폈다. 그다음 입국 초기에 새롭게 구성된 가족구성원들과 사회화의 다양한 관계에서 어떻게 소통하고, 어떠한 경험을 하였는지, 그리고 그 경험의 결과는 어떠한 양상을 보이며, 그 과정에서 겪을 수 있는 어려움의 대처 방법 등을 살펴보았다. 예를 들면 이때 이들이 사용하는 전략은 무엇이며, 이들의 재사회화 과정은 개인적 배경에 따라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그리고 이들의 사회 문화적 배경이 재사회화에 미치는 영향을 질적 연구방법을 활용하여 분석했다. 본 연구는 중도입국청소년의 초기 한국사회 적응을 탐구한 것으로써 중도입국청소년 5명을 대상으로 심층면접 진행을 위해 연구 참여자인 중도입국청소년은 입국 2년 이하, 학교 제도권 밖, 입양으로 입국한 청소년으로 하였다. 2012년 5월부터 2012년 10월까지 개별 심층면접을 각각 3차에 걸쳐 실시하였으며, 연구 참여자의 개인별 면접시간은 각각 1시간 30분에서 2시간에 걸쳐 이루어졌다. 주요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중도입국청소년들이 한국사회에 적응하기 위해 재사회화하는 과정은 시간의 흐름에 따라 다음과 같은 네 단계를 거쳐 이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첫째, 입국 이전의 상황으로 방황과 그리움의 단계이다. 둘째, 한국으로 이주하여 새로운 문화의 접촉 시기로 재회의 기쁨과 충격의 단계, 셋째, 갈등기로 고립과 소외의 단계, 넷째, 위기기로 갈등과 혼돈의 단계로 나타났다. 한편, 일부 연구 참여자에게서는 자녀가 바라는 역할기대(role expectations)와 부모와 사회화 기관에서 행동한 역할수행(role performance)이 다르게 나타났다. 부모는 물질적 지원군 역할을 하였지만, 연구 참여 청소년들은 부모에게 정서적 기능의 강화 역할, 또래 집단에는 부모를 대신해줄 수 있는 동반자 역할을 기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처럼 연구 참여 청소년들의 한국사회 적응은 가족과 대안교육 기관의 지지를 통하여 사회문화 전반에 걸쳐 내면화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부분의 연구 참여 청소년들은 순차적으로 재사회화 발달의 단계를 거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일부 참여자는 크게 벗어나지는 않았지만 혼종 현상도 나타났다. 결과적으로 개인적인 요인과 사회 환경적인 요인에 따라 재사회화 경험의 시기나 수준은 조금씩 차이가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연구 참여 청소년의 재사회화는 그들 본인의 성격과 사회적 지지 정도에 따라 다소 다른 것으로 보아 문화적응 과정은 개인의 욕구 및 노력과 사회 환경이 중요하다고 판단된다. 또한 중도입국청소년만을 위한 교육이 아닌 가족 전체를 위한 체계적인 프로그램이 필요하다고 볼 수 있다. 그리고 입국 초기에 대안교육 기관을 통한 사회적 지지가 이루어진다면 사회문화 적응으로 인한 갈등과 부적응의 정도를 약화시켜 최소한 주변화 되는 경향을 방지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는 중도입국청소년들의 실질적인 경험을 통한 한국사회 적응 양상을 연구하였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 그러나 연구 참여자의 특성이 모두 학교 밖이라는 것과 중국 국적의 남성, 입양, 그리고 인천이라는 공간적 한계점을 가지고 있어 일반화하기에는 부족한 점이 있다. 동시에 향후 중도입국청소년들의 국적이 점차 다양화될 것이므로 추후 연구로 다양한 국적과 다양한 계층의 중도입국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비교 연구가 요구된다. 주제어 : 중도입국청소년, 재사회화, 사회화 기관, 사회화 방법, 문화적응

      • 영주귀국 사할린 한인의 통과의례 내러티브 탐구

        박봉수 인하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박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강제이주 기억과 소련의 해체로 인한 체제 이주의 경험을 가진 영주귀국 사할린 한인들의 디아스포라적 삶을 통해 영주귀국 전·후에 그들의 통과의례는 어떠했는지? 그리고 이 통과의례 행위의 본질적 의미는 어떠한지에 대해 탐구하였다. 통과의례는 개인들의 삶과 일상생활에 어떠한 영향을 미쳤는지를 밝히고 이들의 가치관과 정체성 변화를 파악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으며, 나아가서 국제정세라는 큰 틀에 묻혀버려 개인, 마을, 지역과 같은 작은 세계를 탐험하게 함으로써 구조 속 개인들의 생생한 삶을 복원할 수 있게 하기 때문이다. 이를 위해 영주귀국 사할린 한인을 대상으로 이들을 둘러싼 가족들의 통과의례에 대한 내러티브를 탐구하고 재범주화하였다. 사할린 한인의 민족 정체성에 중요한 상징이자 메타포(metaphor)는 ‘고향’이다. 이들은 자기가 태어난 고향을 상실한 채 이방인으로 경계인의 삶을 산다. 이들은 새로운 정착을 위해 고향과 비슷한 마을을 만들고 동향 사람들과 어울려 고향의 의식을 행하며 정서적 공간인 ‘고향’을 찾게 된다. 과거 자신들의 조상이 살았던 땅에 ‘고향’이라고 하는 의미를 부여하여 자신들의 정체성 근거를 마련한다. 특별히 ‘고향’에 대한 상징적 의미는 각지에 흩어져 있는 한인 디아스포라를 하나로 묶어주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사할린 한인 공동체 문화는 서로의 필요에 의해서 결성된 자생적 문화 창조로 또 다른 고향을 만드는 데 근간이 된다. 고향과 역사적 근거와 정체성이 한 덩어리가 되어 작동됨으로써 자기 존재에의 의미부여가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여기에서 고향은 개인의 고향뿐만 아니라 그의 가족을 비롯한 마을 주민 모두의 고향, 즉 민족 공동체로서의 고향으로 의미가 상징적으로 확장된다. 결국 안식처로서의 고향은 상호작용의 공간이자 나를 떠받드는 지지의 공간이 된다. ‘고향’이라는 단어는 향수를 불러일으키고 각지에 흩어져 있는 민족을 하나로 묶는 역할을 한다. 통과의례는 고향에 기원을 두었지만 단지 고향을 설명하기 위한 단어이며 고향을 기억하는 하나의 행위이다. 통과의례 내러티브는 고향에 대한 향수에서 비롯된 것으로 고향에 대한 기억을 현재화하는 작업이며 '고향'에 투영되어 그것의 내적인 구성을 가능하게 하는 근본 원리가 된다. 고향은 과거의 기억을 현재로 불러들임으로써 현재 연장선상에서 펼쳐진 그들의 정신적인 지주이다. 영주귀국 사할린 한인의 통과의례 내러티브는 비슷한 시대적․역사적 환경을 가지고 있다 하더라도 연구 참여자들이 각기 풀어내는 이야기는 각각 다르다. 통과의례는 디아스포라들이 타민족과는 다른 삶의 방식과 태도, 인간을 둘러싸고 있는 환경에 대한 이해와 디아스포라의 철학을 고스란히 드러내어 삶의 장으로 옮겨 놓는다. 통과의례는 특정한 공간 속에 살아오면서 형성해 낸 가치관과 윤리관, 자연관과 세계관 등을 포함하고 있다. 한민족임을 상징하는 ‘통과의례’는 향토애나 고향 의식을 강화시키고 민족 정체성을 친숙하게 이끄는 데 하나의 견인차 역할을 한다. 결국 통과의례는 민족 정체성을 공고히 하는 기제로 활용되고 한 집단을 응집시키는 데 크게 영향을 미치며, 이는 곧 민족 정체성을 강화시키는 매개체라 할 수 있다. 영주귀국 사할린 한인에게 ‘통과의례’가 지닌 상징성은 민족 정체성 확보를 위한 중요한 자원이 된다. 민족 정체성 확보를 위해 통과의례가 생명력을 잃지 않도록 끊임없이 재생산한다. 통과의례 행위는 전통적 믿음 속에 살아왔던 성원들에게 정신적, 심리적인 위안을 주고 고향은 이들의 정신적 지주가 된다. 이렇게 고향의 관습이나 의례 등을 불러내는 작업은 불안한 일제강점기 식민지 존재의 위기를 느끼며 민족 정체성을 확인하고 환기하고자 한 간절한 소망이다. 통과의례는 ‘나’ 개인의 의례로 시작하여 동네 전체 사람들이 상호작용하며 민족 정체성과 연결된다. 고향을 잃은 고단함이 통과의례를 통해 축제로 승화되어 가난하고 핍박받은 서러운 과거도 향수로 자리하게 한다. 통과의례는 공간이라는 사할린과 시간이라는 과거의 단절을 뛰어넘어 현재와 미래로 긴밀하게 이어진다. 영주귀국 사할린 한인은 우리나라 근현대사의 살아있는 역사다. 그러나 지금까지 많은 연구에서는 역사적 소용돌이에서 역동적인 삶을 살아온 이들에 관한 연구가 다양한 방면에서 연구되어야 함에도 불구하고 주제가 역사진상규명이나 적응에 편향되어 있다. 이러한 연구에서는 아직도 영주귀국 사할린 한인들을 부양의 대상으로, 사회복지의 지원 대상으로 보는 한계점을 가지고 있다. 이는 역사의 흔적으로만 보았던 영주귀국 사할린 한인들에 대한 연구가 여러 시각의 중심에 있어야 하는 근거가 된다. 영주귀국 사할린 한인의 국가 간 경계를 넘는 국제이주는 이들의 사회적 관계망을 확장시켰고, 우리나라와 러시아를 연결하는 초국적인 사회적 공간을 형성하여 다양성을 더욱 증대시켰다. 하지만 이러한 이주는 또 다른 가족과의 이산이 되었다. 따라서 영주귀국 사할린 한인들이 우리 사회에 건강하게 통합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영주귀국 사할린 한인에게 심리적 안정감을 주어 생활의 단조로움이나 외로움을 떨쳐버리고 조국에 기여한다는 자부심, 내가 한국 사회에 소속되었다는 사회적 연대감, 공동체 의식, 나의 사회적 정체성을 확립하는 데 기여할 수 있는 다양하고 체계적인 접근이 필요하다. 그들 스스로 자신의 삶에 의미체계를 구성하며 자신들의 존재를 확인하는 가치 있는 메커니즘으로 새로이 조명 되어야 한다. 일제 강점기와 소련체제에서 주변인이자 경계인으로 살아온 사할린 한인 영주귀국자의 이야기는 주요 사건 위주로 극히 일부분만 남아 있다. 그러므로 그들은 공식적 역사 기록에서 충분히 배제되어 있었고, 관심으로부터 벗어나 있었다. 따라서 우리의 과제는 어린 시절 부모의 손에 이끌려 사할린 얼어붙은 땅에 버려진 디아스포라들의 이야기를 구술로 남기는 것이다. 이들의 낮은 목소리가 사라지지 않고 울림이 되게 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사회적 관심을 이끌어 내어 후손들에게 회자되게 하는 것이다. 사할린 한인 문제는 여타 한·일 역사 문제와는 다른 특수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문제 해결을 위한 전담 기구가 필요하며 러시아·구소련 지역 동포(이하 고려인)를 지원하기 위한 조례 또한 마련되어야 한다. 특히 사할린 한인 후세대들이 고국과 단절되지 않도록 언어·문화 교류 등 정부의 지속적인 노력이 필요하다. 이들을 혈연과 문화 그리고 경제에 기초한 네트워크를 형성하고 모국과 더욱 강한 연결고리를 맺도록 기반을 조성해야 한다.

      • 四柱의 運이 海外留學에 미치는 影響

        박봉수 京畿大學校 國際·文化大學院 2008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논문에서는 사주의 운이 해외유학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 보고자였다. 사주는 개인의 미래행동 특성을 예측할 수 있는 중요한 요인으로 공간적 개념보다는 시간적 개념을 바탕으로 이루어진 학문이다. 사람은 시간 속에 존재하기 때문에 고정된 사주만으로 그 변화를 자세히 설명할 수 없다. 시간의 흐름에 따라 새롭게 맞이하는 기운을 대운·세운이라고 하는데 사주에서는 이미 정해진 작용을 하며, 대운·세운과 사주의 상호작용으로 많은 변화의 가능성이 생긴다. 본 연구에서는 사주 이론서와 기존의 연구를 바탕으로 사주원국에 신살인 역마와 지살이 있을 때, 대운·세운이 희신·용신에 해당할 때, 대운·세운이 합이나 충이 될 때, 대운과 세운이 인성 운으로 작용할 때 해외 유학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가정하고 이를 검증하였다. 조사대상은 해외유학을 하였거나 현재 해외유학중인 학생으로 남자 176명, 여자 142명으로 총 318명이었으며, 유학지는 중국, 미국, 캐나다, 호주, 일본, 프랑스였다. 분석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사주원국의 합 충이 있을 때 해외유학을 간 경우는 233명(73.3%)이었고, 사주에 역마와 지살이 있어 해외유학을 간 경우는 221명(69.5%)으로 그렇지 않은 경우에 비해 다수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대운과 세운이 희신으로 작용하여 유학을 간 사례가 294명(92.5%)으로 조사대상자의 거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유학을 결정하거나 가게 되는 데 있어 운의 희비가 매우 중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대운과 세운의 합․충도 해외유학과 관련해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254명(79.9%))으로 나타났으며, 대운과 세운에서 공부와 관련된 인성 운이 올 때 유학을 간 경우도 193명(60.69%)으로 인성 운이 해외유학에 강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인다. 결론적으로 사주와 사주의 대운·세운의 상호작용을 분석함으로써 해외유학과 같은 인생의 중대사를 예측하는 것이 어느 정도 가능하며, 이를 통해 앞으로의 진로를 결정하려는 학생들이나 취업과 이직을 고려하는 성인에 이르기까지 많은 사람들에게 조언과 방향성을 제시해 줄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물론 한 인간의 미래를 예측하는 것은 지극히 어려운 일이나 개인이 타고난 사주를 바탕으로 운의 흐름과 변화를 정밀하게 읽어낸다면 불가능한 일도 아닐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더 많은 연구와 검증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임은 두말할 나위가 없다.

      • 대학 교양골프수업 참여동기와 재미요인, 수업만족 및 운동지속의도의 관계

        박봉수 수원대학교 2015 국내박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intended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among participation motivation, fun factor, study satisfaction and continuance intention to sports in university golf class based on psychology theory, and hypothetical models, then after, i examined the cause-effect relationship between variables through means of structural equation model. The subjects of this research were the clients who are using the university golf class located in the vicinity of Seoul, Gyeonggi-do and Chungcheong-do and 364 subjects were sampled through convenience sampling method. For processing data, frequency analysi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correlation analysis were performed by using SPSS 18.0 program,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 analysis was performed by using AMOS 20.0 program. Based on the research methods and data analysis as above, the conclusions have been derived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the analysis of hypothesis 1, the value of path coefficient between two factors was .823(t=7.954) and the hypothesis ‘The participation motivation of university golf class has a significant effect on the fun factor' was adopted. Secon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of hypothesis 2, the value of path coefficient between two factors was .326(t=2.150) and the hypothesis ‘The participation motivation of university golf class has a significant effect on the study satisfaction' was adopted. Thir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of hypothesis 3, the value of path coefficient between two factors was .075(t=.669) and the hypothesis ‘The participation motivation of university golf class has a significant effect on the continuance intention to sports' was not adopted. Forth, as a result of the analysis of hypothesis 4, the value of path coefficient between two factors was .660(t=4.658) and the hypothesis ‘The fun factor has a significant effect on the study satisfaction' was adopted. Fifth, as a result of the analysis of hypothesis 5, the value of path coefficient between two factors was .344(t=3.006) and the hypothesis ‘The fun factor has a significant effect on the continuance intention to sports' was adopted. Sixth, as a result of the analysis of hypothesis 6, the value of path coefficient between two factors was .573(t=7.634) and the hypothesis ‘The study satisfaction has a significant effect on the continuance intention to sports' was adopted.

      • 지능형 회전식 물품 보관창고 시스템 개발

        박봉수 한국산업기술대학교 지식기반기술 에너지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지능형 회전식 물류창고 시스템인 Vertical Carrousel은 외국 기업이 그 고유기술을 확보하고 있으며, 주요 업체로는 미국의 KARDEX사, 일본의 MAKISHINKO사, 유럽의 REMSTAR사를 들 수 있다. 국내에서는 이 시스템을 전량 수입에 의존하고 있으며 그 시장은 점차 확대 추세에 있다. 이러한 현실에 주목하여 외국의 이 시스템 기술을 핵심 분석 연구하여 고유 기술을 국산화 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물류 창고의 입출고 업무와 사무환경을 개선시키기 위하여 한정된 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하기 위한 지능형Vertical Carrousel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기본 사양의 결정에 있어서는 일본의 MAKISHINKO사 Vertical Carrousel을 바탕으로 하였으며 전체적인 틀은 메인프레임을 이용하여 지지대를 세우는 방식으로, 여기에 회전 시스템인 트랙을 조립하는 방법을 채택하였다. 회전하는 선반의 개수는 시스템의 안정성을 위하여 짝수인 10개로 선정하였으며, 회전방식의 경우 선행 조사된 1체인 방식과 2체인 방식 중 1체인 방식을 선택하여 수입 제조 원가의 2/5 절감 목표를 달성할 수 있도록 하였고 선반의 트랙 회전 방식은 가상 메트랩 시뮬레이션으로 계측하여 수식을 도출하였으며 계산된 선반 회전반경 수식을 이용하여 트랙을 설계, 제작하였다. 다양한 크기의 시스템이라도 이 수식에 대입 제작하면 손쉽게 대량 생산 할 수 있도록 하였다. 10개의 선반이 지속적으로 회전하며 사용자가 한쪽으로 치우쳐 물건을 넣더라도 최대 편 하중이 걸려 최대 560㎏까지 버틸 수 있도록 1kw 브레이크 삼상유도 전동기와 1/15 감속기를 썼으며 속도와 구동 토오크를 감안하여 종동축 회전 스프라켓 속도비를 1/2 감속 연결 하였다. 또한 선반이 정지하였을 때 정지 오차 범위를 벗어나더라도 감지 센서를 이용하여 자동으로 정지 범위 내에 들어 올 수 있게 설계하였다. 목표 선반 제어 기술은 터치 패널과 PLC 프로그램으로 제어하여 필요한 물품을 최단거리로 찾을 수 있도록 하였다. 한편 PC로도 선반마다 아이템의 등록이 가능하며 아이템을 검색하여 아이템이 있는 선반을 찾고 이동 할 수 있다. 네트워크 시스템을 이용하면 여러 대의 장비를 한 대의 컴퓨터로 제어 할 수 있으며 제어기는 탈부착 방식으로 하여 손쉽게 A/S할 수 있도록 하였고 효율적인 관리가 이루어지도록 설계하였다. The proprietary technology of Vertical Carrousel, which is an intelligent revolving-type distribution depot system, is owned by foregn companies such as KARDEX of the U.S., MAKISHINKO of Japan, and REMSTAR of Europe. In Korea, the system is totally impotred and the verical carrousel market is gradually expanding. Considering this reality, I wanted to localize the overseas proprietary technology by analyzing and researching it. Through this paper, an intelligent vertical carrousel system that enables the efficient use of limited spaces was developed in order to enhance goods receipt or shipping at distribution depots as well as office environments. The basic specification was set based on the vertical carrousels mnaufactured by MAKISHINKO of Japan. For the system frame, a support was built by using a main frame. A track, which was a revolving system, was assembled with the support. The number of revolving shelves was set to 10, which was an even number, in order to ensure the reliability of the systme. As for the revolving type, the 1-chain type was eslected from the 1-chain type and 2-chain type, which had been previously surveyed, to ensure the reduction of import and manufacturing costs by 2/5. The track revolving type of shelves was measured by performing a virtual Matlap simulation to create a numerical formula. Using the calculated formula for the shelf revolution radius, a track was designed and manufactured. When even diverse sizes of systems are built by using the formula, the mass producion of the systems are built by using the formula, the mass production of the systems can be easily performed. A 1kW brake 3-phase induction motor and a 1/15 decelerator were used so that up to 560kg of load can be withstood even if 10 shelves continue to revolve, the user place objects on one side of each shelf, and the maximum eccentric load occurs. In addition, the velocity ratio of revolving sprackets at the driven shaft decreased by 1/2 taking speed and operating torque into consideration. Evne if a shelf stops and is not within the range of static error, the detection sensor is used for the shelf to automaitcally enter the stop range. The target shelf control technoloy is controlled by the touch panels and PLC program so that necessary items can be found from the shortest distance. In addition, with a PC, this systme allows you to register items into each shelf, to search an item, to find the shelf that has the item, and to move to the shelf. If a network system is used, more than one device can be controlled by using one PC. The controller can be attached or detached to ensure easy after-sales services, and efficient management cam be performed.

      • 비정질 강섬유 보강 콘크리트 슬래브의 건조수축균열

        박봉수 숭실대학교 일반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콘크리트의 구조의 건물에서 균열은 내구성 및 강도발현에 큰 영향을 미친다. 특히, 타설 후 공기와 접촉하는 외기면의 건조로 인하여 발생하는 건조수축균열은 콘크리트의 강도를 저하시키고 재령에 따라 균열폭이 증가하여 최종적으로 구조결함을 발생시킨다. 이러한 콘크리트의 건조수축균열을 제어하기 위하여 콘크리트에 섬유를 혼입한 섬유 보강 콘크리트의 활용이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콘크리트 슬래브의 건조수축 균열을 제어하기 위한 방안으로 새롭게 개발된 비정질 강섬유를 사용하여 균열제어에서 보강 성능을 평가하고, 이론적 분석을 통하여 비정질 강섬유를 사용하였을 때의 건조수축균열 제어 효과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비정질 강섬유 보강 콘크리트의 기본적인 재료성능을 파악하기 위하여 자유건조수축실험과 링형 구속건조수축실험이 수행되었고 슬래브의 건조수축 균열을 평가하기 위해 0.2%의 철근보강 콘크리트 슬래브와 0.2%의 비정질 강섬유 보강 콘크리트 슬래브의 구속건조수축실험을 수행하였다. 기존 균열폭 예측 모델을 이용하여 균열폭을 예측 및 평가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모멘트와 인장력이 작용하는 슬래브와 인장력이 작용하는 슬래브의 모두에서 구조설계기준에서 제안하는 0.3mm 균열 폭은 만족하지 못했다. 이는 적은 철근 량과 적은 섬유량이 균열을 제어하지 못하고 항복되었거나 응력 분배를 수해하지 못한 것으로 사료된다. 2) 0.2% 철근비 대비 0.2% 섬유 혼입률의 성능은 일치하지 않음을 판단할 수 있었다. 3) 구조설계기준에서 수축온도철근에 있어 제안하는 0.2%의 최소철근비가 모든 부재의 모든 경우의 0.3mm를 만족하지 않을 수 있음을 추정할 수 있으며, 주철근 또는 다른 용도 철근의 복합작용, 철근의 배치, 철근의 직경 등도 연관지어서 고려되어져야 한다. 5) 균열 폭 예측 모델로 현재 수행 중인 슬래브 구속건조수축 실험을 평가하였고 모든 실험체의 철근량이 균열제어에는 부족하여 항복 되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Cracking in concrete structure has a significant influence role in durability and strength properties. Especially, dry shrinkage cracking causes the reduction of concrete strength, increasing crack width, and structural problem. To solve these problems in concrete structure, the use of fiber reinforced concrete has become increased. In this study, newly developed amorphous steel fibers are used to control dry shrinkage crack in experiments and the characteristics of amorphous steel fiber reinforced concrete were investigated using theoretical analysis. To evaluate the basic performance of amorphous steel fiber reinforced, free dry shrinkage tests were performed. In addition, restrained dry shrinkage of slabs tests were conducted under the condition of fiber volume fraction 0.2%. 1) The results of crack widths did not satisfy structural design criteria proposed in all slabs. Crack widths exceeded about 0.3mm. 2) Control performance of crack did not match between 0.2% fiber volume and 0.2% steel reinforced. 3) Reinforced shrinkage temperature structural design criteria suggested that the minimum reinforcement ratio of 0.2% of all members of all cases can not be satisfied that the 0.3mm can be estimated. 4) Crack width prediction model is currently being performed slab restraint drying shrinkage experiments that were being yielded by the lack of crack control reinforcement of all specimens was evaluated.

      • 골프 참가 노인의 사회적 지지가 자아존중감 및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박봉수 용인대학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urvey was the influence of social support on self-esteem and mental health in golf participation of the elderly, and hypothetical models, then after, I examined the cause-effect relationship between variables through means of structural equation model. The subjects of this research were the clients who are using the golf club located in the seoul and gyeonggido, and 127 subjects were sampled through convenience sampling method. And then frequency analysi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regression analysis, and path analysis of the resulting data were conducted using SPSS 15.0 program. Results revealed from these research methods and analyses of data are as follows: First, emotional support, informative support, material support, appraisal support had significant influences on positive self-esteem. And material support had significant influences on negative self-esteem. Second, emotional support, material support had significant influences on health of physical. And emotional support, material support had significant influences on health of mental. Third, positive self-esteem, negative self-esteem had significant influences on health of physical. And positive self-esteem, negative self-esteem had significant influences on health of mental. As above, when summing up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the social support had enhanced self-esteem through mental health, and it was found that self-esteem was the important parameter that remained within the relationship of independent variables and dependent variables. 이 연구는 골프 참가 노인의 사회적 지지가 자아존중감 및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이러한 자아존중감을 매개변수로 노인들이 지각하는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함으로써 노인들의 복지향상을 위한 차원에서 활용할 수 있는 유용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데 의미를 두고 있다. 연구대상은 서울·경기지역 골프 참가 노인을 대상으로 편의표본추출법(convenient sampling method)을 이용하여 127명을 표집 하였다. 자료처리는 SPSS 15.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분석(frequency analysis), 탐색적 요인분석(exploratory factor analysis), 상관분석(correlation analysis), 회귀분석(regression analysis)을 실시하였다. 이상과 같은 연구방법 및 자료분석 결과를 기초로 하여 이 연구에서 도출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적 지지와 긍정적 자아존중감의 회귀분석 결과 사회적 지지의 하위요인인 정서적 지지, 정보적 지지, 물질적 지지, 평가적 지지 등 모든 요인에서 긍정적 자아존중감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사회적 지지와 부정적 자아존중감의 회귀분석 결과 사회적 지지의 하위요인인 물질적 지지에서 부정적 자아존중감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사회적 지지와 신체적 건강의 회귀분석 결과 사회적 지지의 하위요인인 정서적 지지, 물질적 지지에서 신체적 건강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사회적 지지와 정신적 건강의 회귀분석 결과 사회적 지지의 하위요인인 정서적 지지, 물질적 지지에서 정신적 건강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자아존중감과 신체적 건강의 회귀분석 결과 자아존중감의 하위요인인 긍정적 자아존중감, 부정적 자아존중감 등 모든 변인에서 신체적 건강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자아존중감과 정신적 건강의 회귀분석 결과 자아존중감의 하위요인인 긍정적 자아존중감, 부정적 자아존중감 등 모든 변인에서 정신적 건강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종합해 볼 때 사회적 지지는 자아존중감을 통하여 정신건강을 강화하고 있으며, 자아존중감은 독립변인과 종속변인간의 관계에 내재된 중요한 매개변인임을 알 수 있다.

      • 급성신우신염에서 균혈증 예측을 위한 검사로써 혈청 프로칼시토닌의 유용성

        박봉수 인제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Objectives : Serum procalcitonin is a specific biomarker for bacterial infection, which rises rapidly after bacterial infection. It is known that levels of procalcitonin are correlated with the severity of disease and the mortality of patients with pneumonia and sepsis. However, the effectiveness of procalcitonin in acute pyelonephritis is yet to be known. This study is aimed to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procalcitonin as a predictive test for bacteremia in acute pyelonephritis. Methods : During the period of January 2012 to June 2013, a total of 140 patients diagnosed with acute pyelonephritis were admitted to Haeundae Paik Hospital of Inje University and had a positive urine culture results finally. Serum procalcitonin, CRP, and white blood cell count at pre (D1) and post (D3-7) treatment were measured and blood culture and urine culture were conducted in all patients. The levels of procalcitonin, CRP, white blood count cell between blood culture positive group and negative group were analyzed to assess on the effectiveness of predicting bacteremia of procalcitonin, CRP, white blood cell counts. Results : Pre-treatment procalcitonin (D1) level was 0.77 ng/mL (95% CI: 0.42-1.60 ng/mL) in blood culture negative group, the level was 4.89 ng/mL (95% CI: 2.88-9.04 ng/mL) in blood culture positive group respectively. The level of procalcitonin in blood culture positive group increased to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egree. Based on positive correlations between procalcitonin and bacteremia, receiver operating characteristic (ROC) curve analysis was performed. Area under the ROC curve (AUC) was 0.728 for procalcitonin. A cut-off value of 1.23 ng/mL indicated a sensitivity of 79.0 and specificity of 60.0% for procalcitonin. Conclusion : Serum procalcitonin is a useful predictive test for bacteremia in acute pyelonephritis. Through the early detection of bactermia, serum procalcitonin can help to estimate the prognosis and the complications such as sepsis. 목적 : 급성신우신염 환자에서 균혈증이 동반된 경우 그렇지 않은 경우에 비해 사망률이나 합병증 발생률이 더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균혈증 동반 여부를 예측할 수 있는 신속한 검사법이 부족하여 균혈증이 있는 환자에 대한 적절한 치료에 한계가 있다. 현재 가장 흔히 이용되는 혈액배양검사는 균혈증을 진단할 수 있는 중요한 방법이지만, 오염 등에 의한 위양성이나 이전에 항생제 복용 등으로 인한 위음성의 가능성도 있으며, 결과가 나오기까지 적어도 24-48 시간 이상 소요되기 때문에 초기에 균혈증 여부를 평가하기 어렵다. 이에 저자는 상부 요로감염 환자 중 급성 신우신염으로 진단한 환자들에 대해 혈청 프로칼시토닌이 균혈증 동반여부를 예측하는데 유용한지 알아 보고자 본 연구를 계획하였다. 방법 : 2012년 1월부터 2013년 6월까지 인제대학교 해운대백병원에서 급성신우신염으로 진단된 환자 중 최종적으로 소변배양검사 양성인 140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진행되었다. 급성신우신염 환자에서 치료 전(D1), 후(D3-7)로 프로칼시토닌, C-reactive protein (CRP), 백혈구수를 측정하였으며, 치료 전에 모든 환자에서 혈액배양 검사 및 소변 배양검사를 시행하였다. 프로칼시토닌, CRP, 백혈구수의 균혈증의 예측 능력을 평가하기 위해 혈액배양 양성군과 음성군에서 치료 전의 프로칼시토닌, CRP, 백혈구의 수치를 비교하였으며 균혈증 예측을 위한 일정 수준의 cut-off value에 대해서도 평가하였다. 결과 : 140명의 소변배양 검사 양성 환자 중에서 혈액배양 검사를 통해 균혈증이 동반되었던 환자는 64명(45%), 균혈증이 동반되지 않았던 환자는 76명(55%)이었다. 균혈증이 동반되지 않았던 환자군의 치료 전 D1의 혈청 프로칼시토닌은 0.77 ng/mL (95% CI: 0.42-1.60 ng/mL)이었고, 균혈증이 동반된 군의 치료 전 D1의 프로칼시토닌은 4.89 ng/mL (95% CI: 2.88-9.04 ng/mL)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프로칼시토닌의 증가를 보였다. CRP 또한 균혈증이 동반되지 않았던 환자군에 비해 균혈증이 동반된 환자에서 유의하게 증가되어 있었다. 균혈증 예측에 있어 프로칼시토닌의 진단적 유용성을 보기 위해 receiver operating characteristic를 분석 하였다. 치료 전 D1의 프로칼시토닌의 area under the curve는 0.728이었고 균혈증 예측을 위한 프로칼시토닌의 cut-off value 는 1.23 ng/mL 이었다 (민감도: 77.0%, 특이도: 60.0%). 결론 : PCT은 급성신우신염 환자에서 균혈증을 예측할 수 있는 유용한 검사이다. PCT을 통해 조기에 균혈증 여부를 진단함으로써 환자의 예후를 평가하고, 패혈증 예측에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된다.Key words : 프로칼시토닌, 균혈증, 급성신우신염

      • 전략적 제휴 활성화를 통한 우체국금융 수익 창출 방안 연구

        박봉수 전남대학교 경영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31

        Since launching business by one axis of postal service in 1983, Korea Post Financial Service had achived a deposit of 37 trillion won and 20 trillion won in general insurance reserves by the year of 2006 playing the advantage of 2,800 branch office network around the country. Especially, after the IMF crisis in late 1997, the deposited amount in Korea Post had rapidly increased three times more from 8 trillion won to 29 trillion won in four years. In the healing process of economic crisis the many civil financial institutions had collapsed because of reconstruction for profitability and management stabilization, so that, a government-related organization, Korea Post was quantitavely growing in a short period by the spread of safety recognition. However, unlike the growth by internal capability strengths, the rapid growth of Korea Post financial business by external environment give a bad effect to strengthening business strategy efforts which can cope with a sudden turn of financial market. Therefore, after a year of 2000, postal savings hasn't gone with an increasing rate of receiving credit by growing financial market scale. In contrast to mail service business, the financial part annually goes into the black but its scale gradually decreases. The financial world is changing rapidly and its competition is deepened. It is expected that the increasing rate of receiving credit has slowed because the expectation of safety in Korea Post finance has been decreased. And also slowdown of growth in Korea Post insurance is expected due to bancassurance, acceleration of foreign insurance company entry and shopping for TV viewers. Financial institutions are practicing strategies to deal with unsettled environment which are a benefit structure diversification, M&A and asset flowage. These environmental change factors are occurred in business environment related to customer and competitors which are financial institution gigantism, a trend of side business, foreign financial company entry, customer needs diversity, digital financial service revitalization. But the main issue is Capital Markets Consolidation Act which will be enforced from 2009. This law is planned to accelerate financial company gigantism, specialization and to intensify protection of inverstors. It is expected that Capital Markets Consolidation Act gives a big effect to financial market than any changes before. Therefore, this study focuses on revitalizing a business tie-up which was selected as a way of creating profitability for making up for the internal weak point and continuous development with crisis by developing it systematically and technically. And it improves profitability of the post office finance and considers increasing competitiveness through the new strategical cooperation for future of financial environment changing rapidly. 우체국금융은 우정사업의 한 축으로 1983년 업무를 개시, 전국적으로 2,800여개의 방대한 지점망을 가진 네트워크의 강점을 활용하여 2006년도말 현재 37조원의 예금수신고와 우체국보험 총자산 20조의 성과를 달성하였다. 특히, 1997년 말 IMF 위기 이후 우체국 예금은 수신고가 4년 만에 약 8조원에서 약29조로 늘어나 3배 이상의 급속한 외형적 성장을 하였다. 이것은 경제위기 회복과정에서 많은 민간금융기관들이 수익성 증대 및 경영안정성 확보를 목표로 한 구조조정으로 부실 금융기관들이 무너지면서 정부부처 형태의 국가기관인 우체국이 안전하다는 인식확산으로 단기간 급속한 양적성장을 이룰 수 있었다. 그러나, 내부역량강화에 의한 성장과는 달리 외부환경에 의한 우체국금융의 급속한 성장은 급변하는 금융시장 환경에 능동적으로 대처 할 수 있는 조직 역량과 사업 전략 강화 노력에 부정적 영향을 미쳤다. 그로 인해 2000년 이후 우체국 금융은 시장규모 증대에 따른 금융기관 수신고 증가율을 따라가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며, 우편사업과는 대조적으로 우체국금융은 매년 흑자를 내고 있지만 흑자규모가 점차 줄고 있다. 우체국금융 경영환경은 급변하고 있으며 경쟁이 심화되고 있다. 금융기관 대형화 및 겸업화, 자본시장통합법 추진 등으로 금융기관 간의 수신경쟁이 심화되고 우체국금융 안전성에 대한 상대적 기대심리가 감소되어 예금 수신 증가율 둔화가 예상되며, 보험시장이 포화된 가운데 방카슈랑스 확대, 외국보험사 진출 가속화, 홈 쇼핑 등 새로운 판매채널 등장 등으로 우정사업경영합리화기본계획 2005-2009 의하면 2006년 가구당 생명보험 가입건수44건(가입률89.2%,가구소득의 12%지출)으로 조사됨. 우체국보험 성장 둔화가 전망된다. 금융기관 들은 급변하는 환경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수익구조 다변화, 인수 및 합병, 자산유동화 등의 전략을 실행하고 있다. 이러한 환경변화 요인은 금융기관의 대형화. 겸업화 추세 및 시장개방에 따른 외국 금융사들의 국내 진출. 고객니즈의 다양화 및 디지털 금융의 활성화, 리스크 관리 강화. 예대 마진의 축소 등 거시 환경과 고객 및 경쟁사 등의 산업환경에서 모두 발생하고 있지만, 가장 중요한 이슈는 2009년부터 시행될 자본시장통합법(자본시장과 금융투자사업에 관한 법률)이다. 이법은 자본시장 규제를 합리적으로 바꿔 증권사 등 금융회사의 대형화. 전문화를 촉진하고 투자자 보호를 강화하려는 취지에서 만들어졌다. 지금까지 어떤 변화보다도 자본시장통합법은 금융시장에 미치는 영향이 클 것으로 예상된다. 따라서 본 연구는 급속히 변화하는 금융환경의 미래를 보면서 내부적 약점을 보완, 위기를 기회로 삼아 지속적인 발전을 위해 선택할 수 있는 우체국금융의 수익창출 방안으로 현재 타 금융기관과 이루어지고 있는 기존의 우체국 금융의 업무제휴를 제도적. 기술적으로 발전시켜 기존 제휴업무를 좀더 활성화 시키고 새로운 전략적 제휴를 추진하여 우체국금융의 수익성을 개선하고 우체국금융 경쟁력 제고를 강구해 보는데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