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우리나라 학점은행제 교육기관의 디자인교육 방향 : 대학부설 학점은행제 실무형 디자인교육 사례를 중심으로

        박보석 한성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박사

        RANK : 248639

        고등교육이 보편화되고 지식산업 사회가 도래하면서 대학의 위상과 역할도 변화고 있다. 제도권대학교육이 지식기반을 중심으로 한 학위 독점과 학문연구중심의 체제를 버리고, 교육대상을 학령기 학생부터 고등교육기회를 잃은 성인학습자까지로 확대하여 누구나 고등교육을 받을 수 있도록 해야 된다는 요구가 높아지고 있다. 이런 이유로 선진국들의 교육트렌드는 학령기 때의 정규교육과 평생교육기관 중심의 직업교육으로 양분되고 있다. 최근 우리나라도 직업과 취업이 사회적 이슈가 되면서 일부 대학을 제외한 대부분의 제도권대학들이 사회적 요구에 따라 취업률향상을 목표로 한 취업중심 교육을 보편화하는 추세다. 하지만 급변하는 교육시장에서 향후 고등교육의 방향이 어디로 진화해 갈지 예측하기 힘든 상황에서 대학부설 학점은행제 기관들이 교육적정체성을 확립하지 못한다면 제도권대학들의 아류기관으로 전락하거나 학위취득을 위한 우회경로의 기관으로 평가될 수 있다. 본 연구는 대학부설 학점은행제가 교육기관으로서 제도권대학과 차별화된 아이덴티티를 구축하고, 디자인교육에 있어 실무교육을 통한 디자인교육의 방향제시 및 역할확립에 그 목적을 둔다. 본 연구에서는 대학부설 학점은행제 교육기관에서 중요한 교육요소중 하나가 실무교육이라는 것을 입증하기 위해 학생들의 입학목적과 진로목표를 파악한 후 학습자들의 목적에 맞는 실무교육요소를 적용하여 학습만족도와 취업효과를 분석해 보았다. 이러한 교육과정을 통해 학습자들이 일정수준의 직무능력에 도달함으로써 학교교육과 산업현장 간 직무불일치 문제를 해소하고 제도권대학과 차별된 대학부설 학점은행제 기관만의 디자인교육 정체성을 확립하고자 했다. 이제까지 학점은행제 기관의 학습자를 대상으로 하는 실증연구는 심도 있게 이루어지지 않았다. 본 연구대상 교육기관은 지난 10여 년간 실무교육을 바탕으로 디자인전공 관련 학위과정을 운영하고 있으며, 대학부설 기관 중 가장 많은 디자인전공을 교육하고 있는 한성대학교 디자인아트 평생교육기관(이하 한디원)으로 선정하였다. 한디원 신입생 504명을 대상으로 입학목적과 진로목표를 조사하였고, 실무 강사중심 전문가 그룹과 현장직무중심 전문가그룹으로 구성하여 Focus Group Interview(FGI)를 실시했다. 또한 실무교육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졸업생들의 정공정합성을 파악해 보았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부설 학점은행제 교육기관에 입학하는 목적은 학위취득과 취업인 것으로 나타났다. 한디원을 선택한 이유로는 응답자의 74.4%가 실무교육과 높은 취업률이라고 답했으며, 졸업 후의 진로에 대해서는 응답자의 60.3%가 취업을 선택했고 30.8%만이 대학원 및 연구직을 희망했다. 따라서 한디원 입학생의 입학목적은 실무교육과 높은 취업률 이였으며, 진로목표로는 졸업 후 취업이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둘째, 한디원 신입생들의 입학목적과 진로목표가 취업인 것으로 나타난 상황에서 실무교육 요소를 적극적으로 학습자들에게 적용한 결과 학습만족도와 취업률이 상당히 상승하는 효과를 보였다. 이러한 성과를 바탕으로 한디원은 차별화된 대학부설 학점은행제 기관으로서 자리매김해 나가고 있다. 셋째, 실무 강사진을 대상으로 한 FGI에서 학습자들과 강사 간 친밀도가 매우 높은 것으로 파악됐고, 이런 이유로 실무현장의 트렌드가 자연스럽게 학습자들에게 교육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넷째, 실무교육을 받은 졸업생 중 86.1%가 실제로 디자인계열에 종사하고 있었으며, 실무교육요소를 적용한 학습자들의 취업성과는 매우 높은 것으로 파악됐다. 다섯째, 산업체 담당자를 대상으로 한 FGI에서는 실무교육을 받은 졸업생(학습자)에 대한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담당자들은 재교육 없이 학생들을 바로 실전에 투입할 수 있다는데 큰 의미를 두고 있었다. 결과적으로 본 연구는 대학부설 학점은행제 기관의 실무교육운영이 학생들의 입학목적에 맞고 졸업 후 진로경로 설정에 맞으며 기업의 요구에도 부합하는 방향으로 향상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대학부설 학점은행제 기관은 실무교육요소를 학습과정에 충분히 적용해야 할 필요가 있으며, 디자인교육에 있어 학점은행제에 맞는 교육방법론으로 실무교육이 유효함을 입증할 수 있었다. 본 연구의 결론에서는 연구요약, 연구시사점과 연구의 한계점을 논의하였고, 향후 연구에 대한 제언을 하였다.

      • 감초와 구기자 추출물을 첨가한 노인 식사대용식 산약오리조림 레시피 개발 및 상품화 전략

        박보석 단국대학교 2014 국내박사

        RANK : 248639

        This study was performed to develop an optimum recipe of a HMR(Home Meal Replacement) made of medicinal roast duck with Gamcho(Glycyrrhiza) and Gugija(Lycium) extract. This research topic was selected because elderly over 55 years old were found to evaluate medicinal roast duck as most tasty menu. Gamcho(Glycyrrhiza) and Gugija(Lycium) were chosen in accordance with previous research results which revealed that the medicinal efficacy of these two additives was recognized widely from elderly people. The research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ly, according to RSM(Response Surface Methodology), Gugija extract had an effect on Lightness(L), Redness(a), and Yellowness(b). Both Gugija and Gamcho showed high texture value when large amount of these two extract were used. However, it was disclosed that Gugija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exture value. Sensory evaluation showed that both Gamcho and Gugija had a positive effect on color, but Gugija had three times more effect than Gamcho. In terms of duck texture, Gamcho had strong positive effect, but effect of Gugija was very tiny. Regarding sanyak texture, Gugija had strong positive effect and Gamcho also had positive effect. As far as duck taste was concerned, Gamcho had very strong positive effect; however, Gugija had weak negative effect. In terms of flavor, Gamcho had positive effect, whereas Gugija had negative effect. As far as customer satisfaction is concerned, Gamcho had very strong positive effect, but Gugija had a slightly negative effect. The optimum state of medicinal roast duck(for 3 persons, duck meat 500g) was realized when 50.1g of Gamcho extract(21% concentrate) and 16.7g of Guglja extract(15% concentrate) were added. To test storage life of optimized medicinal roast duck, experiment sample and control sample were compared by cook-chill system. The test was administered total 6 times; just after cooking, after 3 days, after 6 days, after 9 days, after 13 days and after 17 days. In the sensory evaluation test regarding storage life of medicinal roast duck, experiment group was better than control group in terms of color, duck texture, sanyak texture, duck taste, sanyak taste, flavor and satisfaction. And experiment group was better than control group in all storage periods. Experiment group was also better than control group in physico-chemistry storage life test such as texture, PH, TBA and POV. In the storage life test of microorganism level, experiment group was in better position than control group in all test items like total plate count, coliform, esherichia coli, salmonella, staphylococcus aureus. Marketing strategy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obtained was suggested to commercialize the product developed here. Research results were discussed in terms of previous studies.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mentioned and future research ideas were proposed. 활동적이고 젊은 노인인구의 증가와 함께 건강에 가치를 둔 음식에 대한 요구도가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는 노인 식사대용식(HMR)으로 구기자와 감초를 첨가한 산약오리조림을 개발하고 이의 상품화 전략을 제시하였다. 반응표면검사법을 활용하여 산약오리조림의 관능특성에 가장 적합한 구기자, 감초의 량을 산출하여 표준레시피를 구축하였고, Cook-chill system으로 산약오리조림을 생산, 냉각, 냉장 저장하여 조리 직후, 저장 3일차, 6일차, 9일차, 13일차, 17일차의 총 6회에 걸쳐 미생물검사, 이화학적 검사, 관능검사를 통해 산약오리조림의 저장성을 평가하였으며, 설문 및 자료조사를 통해 산약오리조림의 마케팅 방안을 제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산약오리조림에 감초와 구기자 추출물의 최적량을 반응표면 분석법(RSM)으로 분석한 결과에서 구기자 추출물의 증가는 백색도(L)는 낮추고 적색도(a), 황색도(b)는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텍스쳐 값은 구기자 량이 증가할 때 증가하여 오리고기가 질겨졌고, 감초추출액 40g 이하에서는 감초량이 증가할수록 질겨졌으나, 40g 이상에서는 감초량이 증가할수록 연해졌다. 관능평가 결과, 색감은 구기자가 감초보다 더 크게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오리 식감에는 감초가 강하게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고, 산약의 식감에는 구기자가 강하게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감초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 오리 맛은 감초가 강력하게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구기자는 약하게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 산약 맛은 감초가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고, 구기자는 거의 영향이 없었다. 향미에는 감초가 긍정적인 영향을 구기자는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전반적인 만족도에서는 감초는 강하게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나, 구기자는 미미한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산약오리조림의 최적화 조건으로는 감초 추출물(21% 농축액)을 50.1g, 구기자 추출물(15% 농축액)을 16.7g 첨가하였을 때가 가장 우수한 결과로 나타났다. 둘째, 산약오리조림의 저장성 평가를 통한 유통기한 설정 연구에서는 구기자와 감초를 첨가한 최적화된 산약오리조림(실험군)과 일반 산약오리조림(대조군)의 관능적 특성 평가는 실험군이 대조군보다 우수한 관능점수를 보였으며, 통계적으로 유의적인 차이(p<0.05)를 보였다. 이화학적특성 변화에서는 저장기간이 길어짐에 따라 색도, texture, pH, TBA 및 POV 값 모두에서 유의적인 차이(p<0.001)를 나타냈으며, 최적화된 실험군이 대조군보다 항산화력과 항균력이 우수하여 저장성의 연장효과를 보였다. 미생물적 품질 평가인 일반세균, 대장균군, 대장균, 살모넬라, 황색포도상구균은 실험군과 대조군 모두 저장 11일까지 미생물이 검출되지 않았으며, 13일 이후에 대조군에서 일반세균, 대장균, 포도상구균이 미량 검출되었다. 이상의 결과를 통해 최적화된 실험군이 대조군에 비해 저장성이 우수하여 유통기한의 연장효과를 보였으며, 관능검사, 이화학적 검사, 미생물학적 검사 결과를 토대로 유통기한을 11일로 제안하였다. 셋째, 산약오리조림의 상품화를 위한 마케팅믹스 전략을 제시하였다. 약선 산약오리조림의 상품화 전략의 초점은 액티브 시니어계층을 표적시장(target market)으로 선정하고 고객의 마음속에 일상적으로 섭취할 수 있으면서도 건강증진에 크게 기여하는 가정식 식사대용식(HMR)으로 자리매김(positioning)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에 제품 전략으로는 가공과 유통에 있어서 조건의 표준화를 통하여 품질은 균일함을 확보하는 것이고, 가격 전략은 경쟁가격전략, 촉진 전략은 Sales-point로 건강증진의 중요성과 맛, 식감, 향미 등 관능에 있어서 만족도가 높은 노인식사대용식임을 강조하고, 유통(place) 전략으로는 백화점의 식품코너, 신선식품 매장, 할인마트, 수퍼마켓, 인터넷 판매망을 통하여 고객에게 쉽게 노출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이상과 같이 감초와 구기자 추출액을 첨가한 산약오리조림의 관능평가 최적화 및 저장성의 향상결과를 마케팅 전략에 적합화시켜 상품화를 추진하면 액티브 시니어계층의 건강증진 및 가정식사 대용식으로서 시장성은 매우 밝을 것으로 전망된다.

      • 웹2.0 시대의 위젯 아이콘 디자인 진화에 관한 연구

        박보석 단국대학교 2007 국내석사

        RANK : 248639

        This paper is designed to examine web 2.0, rapidly emerging as a web trend, and investigate changes in web trends and evolution of widget icon, one of the web 2.0 elements. The web 2.0 era when users directly participate in information processing and test, going beyond simply acquiring information, is a bridge to the upcoming web 3.0 era, or group networking service age. Accelerating evolution of web 2.0 has been mentioned as an issue by mass media, having impact on society at all level these days. Evolved from the existing web, web 2.0 is called growing web or living web on the basis of new web trends, as it embraces participating netizens as well as the web itself, leading a new trend of evolution. Therefore, the purpose of the study lies in considering basic elements of web 2.0, investigating how icons have evolved, on the basis of key words of web 2.0, participation, sharing, and openness(spread), and suggesting design guidelines for development directions, in order to help apply results of the study to the user-centered widget icon design. Methodologically, selected widget products released by large local portal sites were compared, classifying them by expression method and realization pattern based on competitive edge on the market. All the widget icons in this study, including weather, watch, and calendar icons were found to have intuitive icon type and specific expression type. While existing icons were limited and one-sided, evolving icons make it possible to personally select colors or transparency in harmony with other programs, which resulted in the expansion of icon design scope. Thus, widget icons are evolving into participation and open design, as web 2.0 key words. Results of the study revealed that icons are evolving from existing one-sided role in delivering information to an accessory on the wallpaper. By allowing free choices of colors and modification options and opening some settings able to be changed by personal preferences, user’s participation is promoted. These changes can be said the icon evolution driven by participation and openness elements of web 2.0. It is expected that this study will serve as a good reference for widget icon designers and web 2.0 contents developers. 본 논문은 급변하는 웹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웹2.0에 관하여 고찰하였으며, 웹 트렌드 변화와 웹2.0 요소 중의 하나인 위젯 아이콘 진화에 관하여 연구 하였다. 정보를 획득하는 데 머무르던 사용자들이 직접 참여하고 정보를 가공하고 검증하는 웹2.0 시대는 앞으로 다가오는 웹3.0 즉, 집단 네트워크 서비스 시대로 가는 길목에 서 있다. 급변하는 2.0 진화의 물결은 여러 대중매체 등에서 이슈로 다루어지고 있으며 현재 각 계층 및 사회에 많은 영향을 주고 있다. 기존의 웹에서 한 단계 진화한 웹2.0은 웹 그 자체뿐만 아니라 참여하고 나누는 네티즌들을 끌어안음으로써 새로운 진화의 물결에 주체가 되었고 새로운 웹 트렌드를 기반으로 성장하는 웹, 살아있는 웹으로 일컬어지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웹2.0의 기본 요소 등을 고찰하고 웹2.0 키워드인 참여와 공유 그리고 개방(확산)을 중심으로 어떻게 아이콘이 진화를 하고 있으며 앞으로 발전방향에 관하여 디자인 가이드라인을 제시함으로써 좀 더 사용자 중심의 위젯 아이콘 디자인에 본 연구 결과가 활용되어지는데 연구 목적이 있다. 연구 방법은 국내 대형 포털사이트들 중에서 위젯을 출시하고 있는 위젯 제품을 선정하여 시장에서 가지는 경쟁력을 중심으로 표현 방법에 따른 유형과 구현 형태에 따른 유형으로 구분하여 위젯 아이콘을 비교 분석 하였다. 날씨 위젯 아이콘 및 시계 아이콘을 비롯하여 달력 등의 연구대상 위젯 모두에서 직관적 아이콘 유형과 구체적 표현 아이콘 유형이 나타났다. 기존의 아이콘이 제한적이고 일방적인 형태였다면 진화하고 있는 아이콘은 색이나 투명도등을 개인적으로 설정하여 다른 프로그램등과도 조화를 누릴 수 있도록 아이콘 디자인의 폭을 한층 높여 놓았다. 따라서 위젯 아이콘은 웹2.0의 키워드와 같이 참여와 개방의 디자인으로 진화하고 있다. 연구결과 아이콘 진화에 있어서 그동안의 일방적인 정보 전달로서의 역할에 그치지 않고 바탕화면의 액세서리 역할까지 그 영역을 넓혀가며 진화하고 있었다. 아이콘에 개인취향에 맞도록 일정부분 설정 값을 열어주어 자유로운 색의 선택과 변형을 할 수 있는 옵션을 부여함으로써 유저들의 참여를 이끌어 내고 있다. 이런 변화는 웹2.0에서 보여주고 있는 참여와 개방의 요소를 바탕으로 한 아이콘 진화라 할 수 있다. 본 연구를 통해 위젯에 나타나는 아이콘을 제작 하고자 하는 디자이너나 웹2.0 콘텐츠를 개발 하고자 하는 개발자들에게 아이콘 디자인에 좋은 참고가 되었으면 한다.

      • Sol-Gel법으로 제조한 SnO_(2)의 물성 및 센싱 특성

        박보석 조선대학교 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48639

        Fine particles of SnO_(2) was synthersized by the sol-gel powder processing using tin(Ⅱ) chloride dihydrate(SnCl_(2) ·2H_(2)O) and ethanol(C_(2)H_(5)OH) as raw materials. Gel powders can be obtained by drying of sol at 120℃ after aging 72hrs and 168hrs. The amount of SnO_(2) phase was increased with temperature due to the evaporation of volatile components, and the creation of SnO_(2) phase was almost done by the heat treatment at 700℃/30min. The grain sizes after firing are about 30nm, and it showed the narrow distribution of grain size. The specimens to measure electrical properties were fabricated by the thick film screen printing technique on the alumina substrates. The conductance of SnO_(2) was increased with temperature up to 450℃ by the typical conduction mechanism of semiconducting ceramics. There was a region of constant conductance between about 200℃ and 450℃ due to the increment of electron concentration with temperature and the annihilation of conduction carriers by the absorption and electron trapped-ionization of oxygen on the suface of SnO_(2), it was finally showed the intrinsic behaviors above 450℃. The sensing properties of response time, recovery, and sensitivity of CO were improved with aging time.

      • 整閉整域에 關한 考察

        박보석 (朴寶石) 全北大學校 大學院 1985 국내석사

        RANK : 248623

        A는 整閉整域(integrally closed domain), K는 A의 分水體 (field of fraction), L은 K의 有限 正規分離擴大(finite normal separable extension)라 하자. 만일 G가 K상의 L의 Galois群이고, B가 L에서 A의 整閉苞(integral closure)이면, 모든 σ∈G에 대하여 σ(B) = B이고, B^G = {x∈B│δ(x) = x for all σ∈G}는 A이다. 따라서 본 論文에서는 다음을 증명하였다. "만일 ρ가 어떤 A의 素 ideal(prime ideal)이고, T가 ρ에 축소시킨 B의 素 ideal들의 집합이면, T는 有限(finite)이다." 이 論文에서 環은 1을 갖는 可換環을 뜻한다.

      • Intrusion Detection and Tracing based on CNN with Feature Forcing in IoT Networks

        박보석 경북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48623

        사물인터넷은 사용자의 제어에 따라 작동하는 스마트 기기부터 사용자의 제어 없이 스스로 작동하는 감지기까지 모든 기기가 네트워크를 통해 서로 통신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이다. 스마트폰, 스마트 자동차, 스마트 에너지 그리드, 스마트 도시 등 많은 사물이 더욱 지능화되고 연결되면서 사물 인터넷(IoT)이 본격적인 서비스를 시작하고 있다. 이를 위해 지능형 및 센서 디바이스 분야에서는 다양한 스마트 디바이스가 개발되고 있다. 기존의 IoT 형태는 M2M(Machine to Machine) 통신을 통한 기기 중심의 하드웨어 접근 방식이었다면, 최근의 IoT 기기는 소프트웨어와 사용자 서비스 중심의 접근 방식이라고 할 수 있다. IoT 네트워크에서는 대부분의 IT 자산이 개방형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있고 필요에 따라 리소스와 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다고 가정한다. 따라서 IoT는 사회의 디지털화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할 것이며 IoT 보안은 중요한 고려사항이 되고 있다. IoT 기기는 항상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있는 구조적 특성으로 인해 네트워크를 통한 도청, 무선신호 교란, 정보유출, 무단 접근, 데이터 위·변조, 서비스 거부, 보안 취약점 등의 보안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라우팅 및 업데이트. IoT 기기 해킹으로 인한 보안위협은 개인의 사생활, 국가 중요기밀, 시설물에 대한 위협 등 심각한 보안위협으로 이어질 수 있다. 이러한 IoT 서비스에서 보안 위협을 탐지하고 보호하기 위해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들 연구를 검토하고 문제점과 개선방안을 제시한다. 본 연구에서는 IoT 네트워크 서비스에서의 이상 노드 탐지와 침입 경로 역추적을 위한 모델과 체제를 제시한다. 이상 노드 탐지 모델은 원시 로그의 속성 외에 인접 노드 간의 상호 작용 정도를 측정하고 이 측정값을 특징에 추가하기 위해 장치와 주변 장치의 이웃 네트워크를 구성한다. 네트워크 특징, 존 특징, 노드 특징 추출 방법은 본 연구에서 처음으로 제안한 방법이다. 이전 연구에서는 원시 로그의 속성(소스 IP, 소스 포트, 대상 IP, 대상 포트, 프로토콜, 서비스 유형, 메시지 등)을 특징으로 사용한다. 이 방법은 장치 간의 상호 작용 정도를 알 수 없다. 침입 패턴을 규칙으로 정의하거나, 미리 학습해 테스트 데이터를 적용한다. 따라서 새로운 공격이나 변이된 공격에 대해서는 규칙을 추가하거나 학습해야 하므로 새로운 침입 패턴을 탐지할 수 없다. 본 연구에서는 네트워크 위상을 기반으로 측정값을 얻고, 이 측정값의 변화에 따라 이상 행위를 탐지하므로 규칙을 업데이트하거나 학습과정 없이 침입을 탐지할 수 있다. 네트워크 전체의 이상 유무를 판단하기 위해 이벤트 트래픽의 추세와 편차 값을 측정하여 특징에 추가한다. 또한 네트워크의 군집 계수를 측정하고 네트워크 응집력의 변화를 추출한다. 추가적으로, 네트워크 내의 작은 네트워크인 존을 설정하고, 존 간의 상호작용 형태를 분류한 후 특정 디바이스의 존 유형을 특성에 반영한다. 이러한 특성이 반영된 ff-CNN을 모델링하여 이상 노드를 탐지한다. 이상 노드 탐지 모델의 결과를 사용하여 침입 경로를 추적하기 위한 모델을 제시한다. 침입 경로 추적은 봇넷과 같은 협업 공격이 발생하는 네트워크 영역을 클러스터링하여 이벤트 앙상블 k-EE에서 네트워크 침입을 탐지한다. 네트워크를 클러스터링하고 침입 영역을 탐지하기 위해 인접한 이벤트의 평균 순서를 얻어 침입 확률에 반영한다. 침입 확률이 높은 존을 연결하여 역추적 경로 벡터를 추론한다. 제안한 모델을 적용하기 위하여 계층적 F2INDES을 구현하였다. 침입탐지시스템은 다양한 분석기법을 적용하여 높은 탐지율과 정확도를 달성하기 위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또한 침입 탐지 시스템은 오탐율이 낮아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CNN과 ff-CNN 두 가지 분류 기법을 적용하여 이상 노드 탐지의 정확도, 탐지율, 오경보율을 기반으로 두 기법 간의 침입탐지율을 측정하고 비교하였다. 객관적인 비교를 위하여 공개 데이터 셋을 사용하였고, 제안한 ff-CNN 모델이 기존의 CNN 모델보다 정확도, 탐지율, 오탐율이 높게 관찰되었다. 특히 본 연구의 독창적인 평가 방법으로 모듈성 값을 측정하였으며, 그 값이 1에 근접함을 관찰하였다. 모델링 후의 네트워크가 무작위적이지 않고 의미 있는 군집을 형성함을 확인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