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보육정책의 효과성 평가연구 : 영유아 보육료 지원 정책과 국공립보육시설 확충 정책을 중심으로

        박미경 성균관대학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47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analyze the impact of the child care policies on the child care expenses and to suggest the policy implications for improving the child care policy. Recently, in order to solve low fertility problem, Korean Government has implemented various policies. Child care policy is one of the policies that solve a low fertility phenomenon. Child care importance is emphasized view of investments to development human resource of high quality in the future. It has been emphasized that child care is important as investment to develop human resource in the future. In this context, government annually has expanded child allowances policy object. This means to strengthen the state responsibility for the child care and to reduce the parental nurture burden. This study aimed at evaluating the effectiveness of child care polices that child allowances policy and provision of public child care facilities policy. Using the 2006~2012 Korean Welfare Panel Study(KWPS), this study analyzed the impact of the child care policies on the child care expenses. Especially, it is to examine whether female's employment status moderate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 care polices and child care expense. Summary of major analytical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ly, Fixed effects model of panel regression analysis indicates that the significant factors that affected child care expenses were mother's age, educational level, employment status, residential area, the numbers of children aged 0-5, the numbers of children(over 6), family type, the receipt of child allowances, and use of public child care facilities. This result indicated that child allowances and provision of public child care facilities policy have positive effects on child care expenses relaxation. Secondly, analysis results showed that the significant factors(mother's age, education level, residential area, the numbers of children aged 0-5, family type, the receipt of child allowances and use of public child care facilities) that affected child care expenses in case of the employed women group. Thirdly, analysis results showed that the significant factors(mother's age, education level, he numbers of children(over 6), the receipt of child allowances and use of public child care facilities) that affected child care expenses in case of the unemployed women group. These results indicated that child care policies should different on the female's employment status. Based on the results, this study has theoretical implications as follows: First, the results of this study support Esping-Andersen's welfare capitalism, Sainsbury's gender model, new household economics theory, and human capital theory which explains publicness of child care. Second,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s that child allowances policy and provision of public child care facilities policy have significantly effects on the child care expenses. This implicates that importance of comprehensive discussion in the child care expense research. Third,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the variable of female's employment status is important moderator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 care polices and child care expense. This study draws political implications from the results of analysis. First, in order to reduce the child care expense, government must improve the child allowances policy. Second, use of public child care facilities has significantly positive effect on the child care expenses relaxation. This result implicates that governmental agencies should increase provision the public child care facility. Third, governmental agencies must consider the female's employment status for designing personalized child care policy. Finally, governmental agencies must make effort to support finance and institution in order to use other family members' help. 본 연구는 보육정책이 자녀보육비용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향후 보육정책의 효과를 향상시키기 위한 함의를 도출하고자 하였다. 최근 저출산 문제에 대응하기 위하여 정부는 다양한 정책을 추진․운영하고 있다. 그 중 보육정책은 저출산 현상에 대응하기 위한 중요한 정책 중 하나이다. 보육은 미래의 양질의 인적자원을 양성하기 위한 투자측면에서 중요성이 강조된다. 자녀양육을 가정뿐만 아니라 가정과 국가, 사회가 공동으로 책임져야 한다는 인식 증대로 영유아 보육료 지원 정책에 대한 국민의 기대가 매우 높은 상황이다. 이에 정부는 영유아 보육료 지원 정책의 지원 대상을 매년 확대함으로써 부모의 양육부담 경감과 더불어 보육에 대한 국가적 책임을 강화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보육정책 중 영유아 보육료 지원 정책과 국공립보육시설 확충 정책이 부모양육부담을 완화시키는 정책목표를 실현하고 있는지 평가하였다. 2006년부터 2012년까지 7년간 「한국복지패널」 데이터를 활용하여 보육정책이 자녀보육비용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분석하였다. 특히 영유아 양육 여성의 경제활동 참여 자체가 자녀보육비용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고려하여 취업여부에 따라 개별적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고정효과 패널선형회귀분석 결과를 살펴보면, 모 연령, 모 학력, 모 경제활동참여, 거주지역, 영유아 수, 6세 이상 자녀수, 가구구조, 영유아 보육료 지원 정책 수혜여부와 국공립보육시설 이용여부가 자녀보육비용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둘째, 취업여성의 자녀보육비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모 연령, 모 학력, 거주지역, 영유아 수, 가구구조, 영유아 보육료 지원 정책 수혜여부, 국공립보육시설 이용여부가 자녀보육비용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셋째, 미취업여성의 자녀보육비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모 연령, 모 학력, 6세 이상 자녀수, 영유아 보육료 지원 정책 수혜여부, 국공립보육시설 이용여부가 자녀보육비용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영유아 보육료 지원 정책과 국공립보육시설 확충 정책은 자녀보육비용 완화에 긍정적인 영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여성의 경제활동 여부에 따라 자녀보육비용은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 여성의 경제활동 여부에 따라 보육정책의 설계에 차이가 존재해야 할 필요성을 시사한다.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이론적 함의를 지닌다. 첫째, 보육의 공공성을 설명하는데 있어서 Esping-Andersen의 복지국가 유형, Sainsbury의 젠더모형, 신가계경제학, 그리고 인적자본이론의 적용타당성을 경험적으로 입증하는 결과이다. 둘째, 우리나라의 보육정책을 자녀양육부담 경감을 위한 정책과 다양하고 질 높은 육아 인프라에 대한 접근성 제고 정책을 구분하여 살펴보았다는 점에서 다른 연구와 차별성을 갖는다. 셋째, 보육정책과 자녀보육비용 간의 영향관계에서 모 경제활동 참여 여부에 의한 조절효과를 경험적으로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정책적 함의로는 첫째, 영유아 보육료 지원 정책을 통해 자녀보육비용 부담이 절대적으로 완화되지 않는다 하더라도 미수혜 가구에 비하여 상대적인 감소 효과가 생겼다는 점을 고려하여 이에 대한 제도적 보완이 필요하다. 둘째, 국공립보육시설 이용은 자녀양육비용 완화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 국공립보육시설의 확충이 필요하다. 셋째, 경제활동 참여 유형을 고려한 맞춤형 보육정책을 강구할 필요가 있다. 넷째, 부모나 친지 등 가정 내의 돌봄 인력을 활용할 수 있도록 제도적인 재정적 지원방안이 필요하다.

      • 소방조직문화가 조직시민행동과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J 소방조직을 중심으로

        박미경 전북대학교 경영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47

        The fire fighting organization duty getting to complexity and variety. Before modern society. fire fighting was cognition to just fire suppression. Recently fire fighting comprehensive for artificial an accident, nature disaster, calamity Otherwise The fire fighting organization. Especially fire fighting organization culture is not enough to theory of thesis The fire fighting organization specific of duty is not easy in previous organization culture to fire suppression, rescue, aid, arrive confrontationactivity , crisis state of emergency including inside general administration, fire prevention administration That's why. fire fighting organizational culture will become the justice with difference and will do, through this dissertation ,will lead and the respectively fire fighting organizational culture quality affects in organization civil conduct of the staffs and will observe will see, means that this organization civil conduct further will be joined together with the improvement which large national fire fighting is quality of service about tried to investigate. Also tried to observe thefire fighting organizational culture affects in unemployment intention of the staffs reduced the unemployment intention of fire fighting government employee and service improvement fire fighting is a goal which is ultimate under trick . To the research result fire fighting organization which sees is confirmed, that the culture of the form which is various exists the existence of the culture which is various is like this being confirmed, / according to the policy making at the time of will be able to be sufficient the cultural craving which is various in order about hereafter fire fighting organization, must consider the various cotton. Also there must be a reading which is various raising the organized civil conduct quotient of fire fighting government employee business with facing each other, for the nation. Research result is from relationship intention organizational culture refers to a period most lowly and within organizing must endeavor more in relationship improvement of the staffs. Finally. Thanks you very much for all fire fighting government employee to participate to a question investigation with start the interest the route expectation tries the research more big

      • 용담중권역 오염부하량 삭감에 따른 수질예측에 관한 연구

        박미경 전북대학교 환경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47

        본 연구는 대․중․소권역별 물환경관리계획에 따른 용담댐, 용담댐하류, 무주남대천 중권역을 대상으로 주요 오염원자료를 조사․분석하여 유역내 오염원을 예측하며, 이를 토대로 수질 모델링을 통해 현재 유역내 주요 소유역별 수질변화 모의 및 계획 목표연도인 2011년의 수질예측을 실시하였다. 수질모델링에 의한 용담중권역 물환경관리계획 시행방안에 대한 연구 결과 크게 오염원 발생 및 예측, 발생 및 배출부하량, 수질예측결과 및 전망 등에 대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도출하였다. 1. 오염원 발생 및 예측에 있어 용담유역의 2005년 오염원 자료를 바탕으로 각 오염원별 예측을 실시한 결과, 용담유역의 인구는 2005년 62,706명, 2011년에는 62,276명, 2015년에는 61,639명으로 감소할 것으로 추정되었다. 산업계의 경우, 용담유역 중권역의 일일폐수발생량은 2005년 2,048㎥/일, 2011년에는 2,370㎥/일, 2015년에는 2,585㎥/일로 증가할 것으로 전망되었다. 축산계의 경우 2005년 현재 총 가축수는 643,340두이며, 총 가축에 대한 예측결과, 2011년에 644,168두로 예측되었다. 토지계의 경우, 2005년 기준 대지의 면적은 43㎢에서 2011년 54㎢로 증가하고 농경지(전,답) 및 임야는 2005년 1,416㎢에서 2011년 1,405㎢로 다소 감소하는 것으로 예측되었다. 2. 오염부하량 예측 결과, 용담유역 중권역의 BOD 발생부하량은 2005년 27.2톤/일이며, 2011년에는 29.2톤/일, 2015년에는 30.4톤/일로 연평균 3.4%의 증가추세를 보일 것으로 예측되었다. 용담유역 중권역의 T-P 발생부하량은 2005년 1.9톤/일이며, 2011년에는 2.0톤/일, 2015년에는 2.0톤/일로 연평균 1.8%의 증가 추세를 보일 것으로 예측되었다. 또한, 용담유역 중권역의 BOD 배출부하량은 2005년 9.8톤/일이며, 2011년에는 9.8톤/일, 2015년에는 10.5톤/일로 연평균 3.3%의 증가 추세를 보일 것으로 예측되었다. 용담유역 중권역의 T-P 배출부하량은 2005년 0.52톤/일이며, 2011년에는 0.49톤/일, 2015년에는 0/50톤/일로 다소 감소할 것으로 예측되었다. 3. 중권역별 물환경 개선 전망으로 2011년 수질예측결과 BOD 항목은 환경기초시설 등 수질개선대책을 추진시 3대 중권역 대표지점은 모두 수질개선 목표를 만족하는 것으로 예측되었으며 삭감효율이 반영되지 않은 축산분뇨 액비화 등의 대책 추진시 수질은 더욱더 개선될 것으로 예상되었다. 다만, 용담댐내의 COD, T-P 항목의 수질개선을 위하여 추후 삭감효율이 높은 사업의 지속적인 발굴 및 추진이 필요할 것이다. 본 연구의 결과는 중권역에 대한 유역의 주 오염원 분석 및 저감대책 수립, 중권역 내의 소권역별 유역의 개발이 수질에 미치는 영향의 사전분석, 소유역에 대한 종합적인 수질정책의 수립에 활용할 수 있으며, 이 외에도 향후 지자체에서 각 소권역별 관리계획 수립시 기초자료로서 활용될 수 있다. 또한, 해당 중권역의 수질뿐 만아니라 수질에 직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환경관련 정책의 의사결정수단으로 활용할 수 있으며, 대국민 수질정보서비스를 위한 효율적 도구로 사용할 수 있다. 부가적으로 수질환경정보의 가시적이고 효율적인 유지․관리를 위한 수단으로도 적극 활용될 수 있으며, 한단계 진보적인 환경정보시스템 구축을 위한 기본 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Yongdam Dam which is main source of water for Chonbuk Province currently occurs Green algae. Improvement of water quality is required water environmental management plan at last. The basic plan to preserve the water quality for large region according to water Quality Environment Preservative Law was designed the basic plan for water environmental management. Middle region plan for water environmental management which is the detailed plan by 12 middle regions in Chonbuk Province should be needed and promoted. Therefore, in this study, we examined and analyzed the data about main pollution source for 3 middle regions such as Yongdam Dam, Downstream of Yongdam Dam and Namdae Stream of Muju. It is priority high order for us to predict and look out the source of pollution. With the base of this data, we discussed the improvement of water quality by the main small regions within the currently drainage area through the modeling of water quality and studied certain practical method of water environmental management plan by the water quality model. The pollution sources was estimated. The population of middle region of Yongdam is on the increase from 62,706 in 2005 yr to 62,276 in 2011 yr and 61,639 in 2015 yr. The mass of wastewater generation is on the decrease from 2,048㎥/d in 2005 yr to 2,370㎥/d in 2011 yr and 2,585㎥/d in 2015 yr. The Livestock breeding heads is on the increase form 643,340 in 2005 yr to 644,168 in 2011 yr. In the domain of land, the farm(patch and the paddy) is on the decrease from 1,405㎢ in 2005 yr to 1,416㎢ in 2011 yr, and the forests and fields is on the increase from 43㎢ in 2005 yr to 54㎢ in 2011 yr. Also the pollution loading mass was estimated. The BOD generation loading mass of middle region of Yongdam is on the increase average of 3.4%(form 27.2ton/d in 2005 yr to 29.2ton/d in 2011 yr and 30.4ton/d 2015 yr) per year. The TP generation loading mass is on the increase verage 1.8%(1.9ton/d in 2005 yr, 2.0ton/d in 2011 yr and 2.0ton/d in 2015 yr) per year. Besides, the BOD discharge loading mass is on the increase average 3.3%(9.8ton/d in 2005 yr, 9.8ton/d in 2011yr and 10.5ton/d in 2015 yr) per year. The TP discharge loading mass is on the decrease 0.52ton/d in 2005 yr, 0.49ton/d in 2011 yr and 0.5ton/d in 2015 yr. Considering the result of this study, we can analyze the main source of pollution at the drainage area for the middle region and establish counter plan against degradation of water quality. It is previously analyze how the development of drainage area by small region within the middle region influences on the water quality. It is apply them to the establishment of general water quality managemental policy for the small region. Besides this, we can make use of them as a basic data when certain LAE(Local Autonomous Entity) sets the water quality environmental management plan by each small region.

      • 혈액 및 복막투석환자가 지각한 가족지지, 자기효능감과 삶의 질과의 관계 연구

        朴美卿 조선대학교 2003 국내석사

        RANK : 247647

        The study was designed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among family support, self-efficacy and quality of life by Hemodialysis and Peritoneal Dialysis Patients. These data were collected by posing questionnaires and using physiological measures for 2 months period from July 23, 2002 to September 23, 2002. The questionnaires includes tools for measuring the family support by developed by Kang Hyun-Suk(1987), and improved by Jeong Yeo-Suk(1991),self-efficacy developed by Hong Gye-Young(1999) and quality of life developed by Kim Ok-Soo(1993). The data analysis was done using actual numbers, percentiles, means and standard deviations, x²-test, t-test, ANOVA,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d Pearson Correlation with SPSS Program.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erized as follows : 1. The mean scores of family support was 3.83 in hemodialysis patients and 3.86 in peritoneal dialysis patients. 2. The mean scores of self-efficacy was 2.77 in hemodialysis patients and 2.72 in peritoneal dialysis patients. 3. The mean scores of quality of life was 2.92 in hemodialysis patients and 2.99 in peritoneal dialysis patients. 4. In general characteristics and the characteristics of diseases of dialysis patients, influencing factors to the perceived family support in hemodialysis patients were religion(p<.05), helper of the best(p=.001), fanily's monthly income(p<.05) and dialysis period(p<.05) but peritoneal dialysis patients were family support in marriage(p<.05) and helper of the best(p<.Ol). 5. In general characteristics and the characteristics of diseases of dialysis patients, influencing factors to the perceived self-efficacy in hemodialysis patient were sex(p<.O1), age(p<.05), education level(p<.001), helper of the best(p<.O1) and family support(p<.O1) but peritoneal dialysis patient were had not. 6. In general characteristics and the characteristics of diseases of dialysis patients, influencing factors to the perceived quality of life in hemodialysis patients were job(p<.05), helper of the best(p<.O1) and the family's monthly income(p<.05) but peritoneal dialysis patients were dialysis period(p<.05). 7. The correlation between family support and quality of life in hemodialysis patients(r=.462, p<0.001) and peritoneal dialysis patient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r=.474, p<0.001). 8. The correlation between self-efficacy and quality of life in hemodialysis patients(r=.538, p<0.00) and peritoneal dialysis patients(r=.236, p<.05)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9. The main factors influencing on the quality of life by hemodialysis patients were self-efficacy(27.9%), family support, helper of the best and family support(74.5%). The main factors influencing on the quality of life by peritoneal dialysis patients were family support(21.3%) and self-efficacy( 25.5%). In conclusion, the main factors influencing on the quality of life, hemodialysis patients were age, education level, helper of the best, the family's monthly income, family support and self-efficacy but peritoneal dialysis patients were family support and self-efficacy. Therefore, it is recommended that guidebooks for guardians or various programs to promote family support and self-efficacy, and to improve the dialysis patient's quality of life should be developed.

      • 부모의 학대 및 방임이 자아존중감, 공격성을 매개로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 : 학교급별 차이를 중심으로

        박미경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부모의 학대 및 방임이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을 자아존중감과 공격성을 매개로 보고자 한다. 이 관계에서 학교급별 차이를 검증하여 부모의 양육태도가 아동의 발달단계에 따라 달라져야 함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는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의 한국복지패널 자료 중 7차년도 아동부가조사와 10차년도 자료를 사용하였다. 7차년도 자료에서 2012년 당시 고등학교에 재학중인 청소년 496명과 10차년도 자료에서 2014년 기준 초등학교 4~6학년인 458명을 대상으로 수행되었다. 수집된 자료는 SPSS18.0과 Mplus 7.4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기술통계 분석, 상관분석, 구조방정식 모형분석, 다집단 분석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주요 분석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생의 경우 부모의 학대 및 방임은 자아존중감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모로부터 학대와 방임의 경험이 많을수록 자아존중감은 낮아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방임의 경우 공격성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부모의 방임을 경험한 초등학생은 높은 공격성을 보이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자아존중감과 공격성간의 부(-)적 영향을 보이면서 아동의 자아존중감이 높을수록 공격성이 낮아진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다. 다음으로 고등학생의 경우에는 부모의 학대 및 방임은 자살생각과의 관계에서 학대만이 유의한 결과를 나타냈다. 즉, 부모의 학대는 자아존중감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고, 공격성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또한, 자아존중감과 공격성은 자살생각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면서 부모의 학대는 자아존중감과 공격성을 매개로 자살생각에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해보고자 하였다. 더불어 자아존중감은 공격성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면서, 부모의 학대가 자아존중감과 공격성의 이중매개를 통해 자살생각에 영향을 미치는지도 확인해볼 수 있다. 둘째, 앞에서 나온 매개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부모의 학대 및 방임과 자살생각의 관계에서 자아존중감과 공격성의 매개효과를 확인해보고자 하였다. 먼저, 초등학생의 경우 부트스트레핑 매개모형 검증을 통해 확인해본 결과 모두 유의한 결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반면에 고등학생의 경우 부모의 학대가 자아존중감을 매개로 자살생각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초등학생과 고등학생 각각 구조모형분석과 매개효과 검증을 확인한 뒤 두 집단간의 차이가 있는지 확인하기 위하여 다집단 분석을 실행하였다. 그 결과 부모의 학대가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경로와 공격성에 미치는 경로, 자아존중감이 공격성으로 가는 경로에서 유의한 결과가 나타났다. 즉, 고등학생은 부모의 학대경험이 자아존중감과 공격성에 영향을 미치는 정도가 초등학생에 비해 더 크게 나타났다. 반면, 자아존중감이 공격성에 미치는 정도가 고등학생에 비해 초등학생이 더 크게 나타났다. 위와 같은 결과에 따른 논의점 및 본 연구의 함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부모의 학대 및 방임은 아동·청소년에게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을 통해 학대 및 방임을 예방하고 바람직한 양육태도를 가질 수 있도록 다양한 전략이 필요하다. 둘째, 초등학생 집단과 고등학생 집단비교에서 확인한 결과로 고등학생의 경우 방임의 영향을 받지 않은 것에 반해 초등학생의 경우 부모의 방임이 자아존중감과 공격성에 모두 유의한 영향을 주었다. 이를 통해 두 집단간에 이질적인 특성이 있음을 확인하였고 이는 아동과 청소년과의 발달단계의 차이가 있기 때문이라고 볼 수 있다. 따라서 이 두 집단에 대해 다른 시각으로 접근할 필요성이 있다. 셋째, 다음과 같은 연구 결과를 통해 아동·청소년의 피학대경험이 이들의 정신건강을 위협하는 요인이 될 수 있다는 기초자료를 제공하고 아동의 발달시기별로 아동의 자살생각에 대한 심층적 이해와 자살에 대처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나 아동·청소년 전문상담체계가 필요하다. The study aims to view the effects of parental abuse and neglect on the suicidal ideation mediated self-esteem and aggress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e that the parental nurturing attitude should be changed according to the development stage of the child by examining the difference of school grade in this relation. The study used the 7th year child surveys data and the 10th year child surveys data of the Korean Welfare Panel data of the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In the 7th year data, 496 teenagers attending high school in 2012 and 458 students in elementary school grades 4 to 6 in 2014 were surveyed by the data. from 10th year data.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structural equation model analysis, and multiple group analysis method using SPSS18.0 and Mplus 7.4 program. The main results of the analysi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n elementary school students, parental abuse and neglect had a negative (-) influence on the self-esteem. The higher the experience of abuse and neglect from the parents, the lower the self-esteem. In addition, neglect from parents showed a positive (+) influence on the aggressiveness. This can be interpreted as the elementary school students experiencing parental neglect show high aggression. In addition, it can be confirmed that aggression is lowered as the child 's self-esteem increases with negative (-) influence between self-esteem and aggression. Next, in the case of high school students, abuse and neglect of the parents showed significant results only in relation to suicidal ideation. In other words, parental abuse negative (-) influence self-esteem and positive (+) influence on the aggression. Also, self - esteem and aggressiveness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suicidal ideation, and it is tried to confirm whether parental abuse affects suicidal ideation through self - esteem and aggression. In addition, self-esteem has a negative (-) influence on the aggression, and it can be confirmed that parental abuse affects suicidal ideation through dual mediation of self-esteem and aggression. Second, in order to confirm the mediation effect, we try to confirm the mediating effect of self - esteem and aggress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al abuse and neglect and suicidal ideation. in advance,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no significant results were found as a result of verifying the bootstrepping model. On the other hand, in high school students, parental abuse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suicidal ideation through self-esteem. Third, after confirming the structural model analysis and the mediating effect test of each elementary and high school students, we conducted a multi-group analysis to see if there is a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As a result, there was a significant outcome on the path toward the self-esteem of parental abuse and the path toward aggression and aggression towards self-esteem. In other words, high school students had a greater influence on self-esteem and aggression than elementary school students due to their parents' abuse experiences. On the other hand, the degree of self-esteem on aggressiveness was higher in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an in high school students.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parental abuse and neglect requires a variety of strategies to prevent abuse and neglect through the fact that parental abuse and neglect affects children and adolescents negatively and to have a good parenting attitude. Second, the comparison between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high school students shows that high school students are not influenced by neglect, whereas elementary school students have significant influence on both self-esteem and aggression. This has confirmed that there are disparate characteristics between the two groups, which can be attributed to the difference in developmental stages between children and adolescents. Third, through the following research results, it can provide basic data that experience of abused of children and adolescents can be a factor that threatens their mental health. In addition, there is a need for a program that can cope with suicide in-depth understanding of the child's suicidal ideation and a special counseling system for children and adolescents according to the developmental stage of the child.

      • 미용전공 대학생의 라이프스타일에 따른 선호 뷰티프로모션과 외모관리행동의 차이

        박미경 서경대학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미용전공 대학생을 대상으로 라이프스타일 유형에 따른 선호 뷰티프로모션과 외모관리행동의 차이를 분석하여 미용전공자 대상의 시장 마케팅 활성화 방안을 찾는데 도움을 주고자 하였다. 연구방법은 설문지에 의한 실증조사로 수도권 대학교에 재학 중인 미용전공 대학생을 대상으로 최종 440부를 분석 자료로 사용하였으며 SPSS 21.0을 사용해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조사대상자는 중·고등학교 때 외모에 대한 관심을 가지고 체형관리를 중요하게 생각하고, 월 평균 10만원 이상에서 15만원 미만을 외모관리를 하는데 지출하며, 2학년 여대생이 많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둘째, 라이프스타일의 차원을 알아보기 위해 요인분석을 실시한 결과 라이프스타일은 브랜드구매형, 안정구매형, 계획구매형의 세 가지 차원으로 나뉘어졌다. 이들의 총 설명력은 58.7%이고, Cronbach's α는 0.699 이상으로 나타나 신뢰할만한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라이프스타일을 기준으로 조사대상을 집단으로 유형화한 결과 세 집단으로 나누었으며, 집단 간 특성이 가장 뚜렷이 구분되었다. 무난하고 익숙하며 유행을 타지 않는 제품을 구매하는 ‘안정구매추구형' 집단, 유명 브랜드와 비싼 제품을 선호하는 ‘브랜드추구형’ 집단, 제품 구매 시 필요성과 예상 지출 비용을 계산하여 구매하는 ‘계획구매추구형' 집단의 세 집단으로 구분되었다. 넷째, 라이프스타일 유형에 따른 선호 뷰티프로모션의 차이를 알아본 결과, 각 집단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안정구매추구형' 집단은 가격할인과 세일, 쿠폰에 관심이 있으며 이러한 프로모션 진행 시 평소보다 비싼 물건을 사거나 필요 이상의 수량을 구매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브랜드추구형’ 집단은 경품 추천에 관심이 있고 포인트 적립보다는 금액 할인을 선호하며, 프로모션 진행 시 먼 곳이라도 찾아가서 평소보다 비싼 물건 혹은 불필요한 물건을 필요 이상으로 구매하는 성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계획구매추구형' 집단은 가격할인과 세일에 관심이 있지만 프로모션 제품에 대한 신뢰도는 낮으며 현재 자신에게 불필요하거나 쓰던 제품이 남아 있을 시에는 상상 이상의 프로모션이라 할지라도 제품을 구매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라이프스타일 유형에 따른 외모관리행동의 차이를 알아본 결과, 각 집단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안정구매추구형' 집단은 외모관리에 별로 관심이 없어 최소한의 메이크업을 하되 모발, 의상, 유행색을 고려하여 메이크업을 한다. 이러한 메이크업은 원만한 사회생활에 도움이 된다고 생각하고 제품 구입 시 테스터 제품을 반드시 써보는 것으로 나타났다. ‘브랜드추구형’ 집단은 외출 시 풀 메이크업을 하고 메이크업 제품이 마음에 들더라도 고가의 기능성 제품이 아니면 구입하지 않으며, 신제품이 나오면 즉각 구매하고 모니터링을 통해 최신 스타일을 찾아보고 외모를 가꿈으로써 남들에게 인정받는 것을 좋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계획구매추구형' 집단은 외모관리에 별 관심이 없으며 제품 구입 시 테스터 제품은 반드시 사용해 보고 구매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각각의 라이프스타일 집단에 따른 선호 뷰티프로모션과 외모관리의 차이가 존재함을 확인하였으며, 각 집단에 따른 시사점 및 마케팅 방안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라이프스타일 유형의 각 집단에 따른 성향의 차이가 존재하므로 온라인과 오프라인 매장에서는 고객이 어느 집단에 속하는지를 파악할 필요성이 제기된다. 분류된 집단에 따라 차별화된 DM 발송 및 고객관리가 이루어져야 하며 이를 바탕으로 소비자는 현명한 소비를, 기업은 이익 창출에 도움이 되기를 기대한다. 본 연구는 표본의 범위가 다소 국한 적이므로 차후 연구에서는 범위의 확대하여 포괄적인 연구가 이루어지고, 라이프스타일의 다른 측면에서도 접근이 이루어져 다방면의 논의가 이루어지길 기대한다.

      • 중세 Sequence가 세속음악에 끼친 영향에 관한 연구

        박미경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1988 국내석사

        RANK : 247631

        "음악은 원래 분별 있고 점잖고, 단순하고 남성적이며 도덕적이었다. 현대인들은 그것을 지나치게 음탕한 것으로 만든 것이 아닐까?" 라고 리에쥬 (Li ge)의 야곱(Jacob) (14세기)은 언급하였다. 초기의 音樂은 神을 崇尙하는 宗敎儀式을 행하는데 있어 필요한 것이었다. 그러기에 音樂은 건전하고 고매한 내용들로써 주류를 이루었으나 차츰 그 내용이 人間의 감정이나 사회생활을 다루게 됨으로써 音樂의 世俗化를 이루게 되었다. 본 논문은 中世 종교음악이 世俗音樂에 어떠한 영향을 미쳤는지 歷史的인 변천과 더불어 그 形式을 자세히 살펴보고자 하며, 특히 中世의 Sequence를 중심으로 그 내용을 硏究하려고 한다. 中世音樂에 있어서 Sequence는 가사에서 쌍쌍의 (Concordia)같은 syllabic이 나타나는 것을 볼 수 있는데 이 것은 음악상의 Sequence 形態 a bb cc … n으로 Notker Balbulus (840∼912)에 의해 體系化 되었으며 그 후 평행으로부터 離脫을 보여주는 sequence로 발전되었다. 이것은 10세기에서 13세기, 그 후까지 발달하여 수천개의 멜로디로 나타났는데, 현재는 트렌트 공의회(Council of Trent, 1546-1563) 에서 선정된 5개의 sequence만이 사용되고 있다. 聖書 내용의 理解를 돕기 위하여 연극화 된 것이 典禮劇(Drama Liturgical)인데 이것은 復活察때 쓰이는 3개의 tropes에서 기원되었고 많이 쓰인 主題曲은 復活sequence인‘vietimae Paschali'와 'Planctus' 등이 있다. 이 시기에 상연되던 전례극으로는‘슬기로운 처녀와 어리석은 처녀’‘성 바울의 회심’‘나자로 부활’등이 있다. 전례극은 종교적인 요소와 世俗的인 요소가 혼합된 것으로 중세 후기에는 두 요소가 서로 교류되고 있었다. 또한 sequence의 形式은 많은 변형으로 나타났는데 canso, cantiga, lai 등은 이런 sequence의 변형된 형태로 본다. 이러한 현상으로 보아 中世의 교회음악과 世俗音樂의 분별이 애매함과 동시에, 中世 世俗音樂이 결국 Sequence에서 기인한다고 생각된다. "Music was sensible, dignified, simple, manly and moral in itself. Do not morden human beings make it too licentious?" said Lie´ge Jacob. Since early music was requested to carry out the religious ceremony revering the God, it mainly consisted of sound and noble contents. But gradually it became worldly according as its dealed with emotion and social life of human beings. I'll explain in detail how the form of the medieval church music affected that of its secular one form the historical point of view and this study will be focused especilly on the medieval sequence of the music. In the medieval music syllabic like Concordia form songward can be seen in sequence of the music, which is systematized to a bb cc... n by Notker Balbulus (840-912) and later is developed to itself devaiated from parallelism. This 'sequence' went on with development until over ten to thirteen centry and appeared thousands of melodies. But now a day only five 'sequence1 selected in Council of Trent (1546-1563) was used. Drama Liturgical that was dramatized to help understanding contents of the scriptures was originated from three tropes used in Easter service and 'Victimae Paschali' and 'Planctus' as a theme song was mainly used There were 'Sponsus' 'La conversione di S. Paolo' 'La Risurrezione di Lazzaro' etc as Drama Liturgical performed at this time. It was mixed with religious components and wordly one and two components was interchanging in later medieval times. Sequence also appeared to be various forms such as canso, cantiga, lauda, and lai etc. Considering this phenomenon, I think that distinction between church music and secular music in medieval times is ambiguous and medieval popular music results from 'Sequence'.

      • 양장기능사 실기시험 재킷 패턴 연구

        박미경 경북대학교 산업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디지털 시대로 접어든 전문화, 고도산업화 시대에 패션 산업에 종사하기 위해서는 패션 전문가로서의 자질에 필요한 여러 가지 지식을 습득해야만 한다. 이에 전문 기술 인력을 양성하기 위해 자격제도가 제정되었으며 그 중에서 여성의류를 설계하고 재단, 봉제 할 수 있는 전문 인력을 육성하고자 마련된 양장기능사 실기시험 중 재킷 패턴을 선정하여 기존에 출판되었던 실기 교본, 대학교재로 사용하는 의복구성 전문서적과 선행 연구되었던 국내 이론적 문헌을 비교분석하였다. 연구방법은 실험용패턴 8개를 선정하고 디자인과의 동일성을 비교분석 한 후 동일한 수치를 적용하여 제도하여 수치를 비교하고 각 제도방법에 의해 실물을 제작하여 디자인과의 일치성을 알아보기 위해 외관 검사를 실시하여 통계 처리하였다. 그 결과로 연구용패턴을 설계하고 제작하여 간단하면서 디자인에 적합하고 빠른 시간 내에 패턴을 제작 할 수 있게 재킷 패턴 설계를 제시하였다. 연구 재킷 패턴의 설계법을 다음과 같이 제시하였다. - 재킷 길 너비 : 가슴둘레/2+5cm - 뒤목너비 : 가슴둘레/12+0.5cm - 앞목너비 : 뒤목너비와 동일 - 앞목깊이 : 뒤목너비+1cm - 진동깊이 : 가슴둘레/4+1cm - 뒷중심선 : 가슴둘레에서 1.5cm, 허리둘레에서 2cm, 엉덩이둘레에서 1.5cm - 칼라 너비 : 7.5cm - 라펠칼라 너비 : 7.5cm - 칼라 꺽임 : 2.5cm - 칼라 & 길 겹침 분량 : 0.5cm - 소매산 높이 : AH/3+1cm - 소매길이 : 소매길이 +1.5cm - 소매굴곡 : 3cm-6cm-5cm-5cm To work in the fashion industry which has entered the digital age, and in specialization and high-industrialization age, one needs to attain various skills required for the qualifications of a fashion specialist. For these, qualification certificate systems are enacted to nurture specialized technical personnel, and among these, a jacket pattern is selected from the practical examination of Western-style dress skill prepared for nurturing specialist who can design, cut, and sew women's clothing, to be compared and analyzed against the existing printed practical textbooks, technical books of making clothes which used as college textbooks, and local documents of theoretical study documents. The methodology of the research is to select 8 samples for the study, analyze the identity with the design, and then cut applying the identical dimensions and compare the measurements, and make the clothes using each cutting methods, and inspect to find the consistency with the design and made statistical analysis. As a result, we designed and made research patterns, and suggested a jacket pattern design to patterns simply that suits the design fast. Research and design of the jacket pattern offers the following law. - Jacket, the width : B / 2 + 5cm - The back neck width : B / 12 + 0.5cm - In front of the neck width : The back neck width - In front of the neck depth : The back neck width + 1cm - A.H depth : B / 4 + 1cm - Back Center Seam : 1.5cm in bust circumference, 2cm in waist circumference, hip circumference of 1.5cm - Collar width : 7.5cm - Lapel width : 7.5cm - Collar angle : 2.5cm - Collar & The body clash : 0.5cm - Sleeve Cap High : AH / 3 + 1cm - Sleeve curve : 3cm - 6cm - 5cm - 5cm

      • 형질전환 및 일반 제브라피쉬(Zebrafish, Danio rerio)의 저온 및 염분 내성 비교

        박미경 부경대학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온도 및 염분은 어류의 서식지 정착에서 중요한 요소이다. 일반 제브라피쉬가 한국에서 서식한다는 보고는 없었다. 본 연구는 한국에서 형질전환 제브라피쉬가 우연히 자연에 방출되어 정착을 하였을 때 일어날 수 있는 가능성을 형질전환과 일반 제브라피쉬에 대한 저온 및 염분이 생존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제브라피쉬는 15~16℃에 느린 움직임을 보여주었고 9~10℃ 에서는 먹이 섭이가 중단되었고 형질전환 제브라피쉬는 7℃에서 첫 폐사가 시작되어 5℃에서 모든 개체가 폐사하였다. 대조적으로, 일반 제브라피쉬는 6℃에서 첫 폐사가 시작되어 4℃에서 모든 개체가 폐사하였는데 이는 형질전환 제브라피쉬가 일반 제브라피쉬보다 낮은 온도에 더 민감하다는 것을 보여준다. 8, 8.4, 8.8, 9.2, 9.6, 10‰의 염분에 대한 96시간 노출에서는 형질전환 제브라피쉬는 9.6‰에서 24시간 노출 후 첫 폐사가 나타났고, 일반 제브라피쉬는 10‰에서 24시간 노출에서 첫 폐사가 나타났다. 염분노출에 따른 96시간 반수치사농도는 형질전환 제브라피쉬와 일반 제브라피쉬에서 각각 8.65‰와 9.22‰로 나타났다. 형질전환 및 일반 제브라피쉬의 염분적응성을 비교하기 위한 실험에서 형질전환 제브라피쉬는 6, 6.5, 7‰에서 16알 이후 폐사가 나타난 반면, 일반 제브라피쉬는 18일째 7‰에서 폐사가 나타났다. 0‰ 에서 8‰까지 염분 노출에 따른 형질전환 및 일반 제브라피쉬의 수정난에 대한 부화율을 측정한 결과에서는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결론적으로, 형질전환 제브라피쉬는 일반 제브라피쉬에 비해 저온 및 염분에 대한 내성이 약했다. 일반 제브라피쉬가 저온으로 인해 한국에서 정착하지 못했다는 점을 고려할 때, 한국 자연 생태계 내에서 형질전환 제브라피쉬의 정착의 가능성 또한 낮다. The temperature and salinity are key factors which are important in the habitat establishment of fish. Wild type zebrafish (Danio rerio) has not been reported to be established in Korea. This study was performed to compare the effect of low temperature and salinity on the survival of transgenic and wild type zebrafish in order to find the possibility of transgenic zebrafish settlement in Korea when they are released in nature by accident. The fish showed slow movement at 15~16℃ and stoped food consumption at 9~10℃ the initial death of transgenic zebrafish started at 7℃ and all of zebrafish died at 5℃. In contrast, wild type zebrafish showed initial death at 6℃ and all of them died at 4℃, which indicated that the transgenic fish was more susceptible to cold temperature than wild typr zebrafish. For 96hrs exposure at the salinity of 8, 8.4, 8.8, 9.2, 9.6, 10‰, transgenic zebrafish showed initial death at 9.6‰ after 24hrs exposure while the wild type showed initial death at 10‰ after 24hrs. The 96hr-LC50 for transgenic zebrafish and wild type zebrafish were 8.65‰ and 9.22‰ respectively. On the comparison of salinity adaptability of transgenic and wild type zebrafish, transgenic zebrafish died at 6, 6.5, 7‰ after 16 days while wild type zebrafish died only at 7‰ after 18 days.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hatching rate of fertilized eggs for on transgenic and wild type zebrafish in salinity of 0 to 8‰. In conclusion, transgenic zebrafish was inferior to wild type zebrafish in low temperature and salinity tolerance. Considering that wild type zebrafish has not established in Korea probably due to low temperature, the possible settlement of transgenic zebrafish in Korean natural habitat is very low.

      • 팀 기반 특수교육보조원의 통합지원이 중학교 장애학생의 수업참여행동 및 팀원 간 인식에 미치는 영향

        박미경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박사

        RANK : 247631

        Due to the expansion of education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and improvements in support services, the number of the students attending and the hours they stay in general middle school are increasing. However, juveniles with disabilities have many difficulties with academic tasks presented in the general curriculum, they are unable to meaningfully participate in all the work of a general class. At the beginning of this decade, our country began to use paraprofessionals to support inclusive education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They now participate as important members of the special education team by taking various roles on-site in schools. Although paraprofessionals try to provide high quality care and support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to encourage greater integration, there needs to be greater direction and supervision by the special education teachers, with training tailored to meet the requirements of specific school sites. In addition, there should be greater cooperation with general teachers to maximize inclusion. Collaborative consultation is the one adjusting instructional programs to prevent learning and behavior problems of the students with disabilities in the inclusive environments and provide them with the adequate instruction, and the process of interaction various experts try to find out creative solutions. It is proposed as the effective strategy to promote inclusion of the students with disabilities in the middle school. So, for the disabled students integrated into the general middle school. Therefore, for the students with disabilities integrated into the general middle school, this study intends to inspect the effects of the supporting inclusion of the paraprofessionals based on the team composed of the special education teacher, general teachers, and paraprofessionals on the academic engagement behaviors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in general classes, and examine perception of the collaborative relations among collaborative consultation team members.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three students with disabilities attending in the special class of the general middle school located in Seoul and five members of collaborative consultation team (two general teachers, one special education teacher, two paraprofessionals) to support inclusive education. The study was conducted during 16 weeks in the general and special classes which student participants are attending. In order to inspect the effects of team-based paraprofessionals' support for inclusion on the academic engagement behaviors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in general classes, the strategies to be implemented for supporting inclusion were discussed by the team according to the problem-solving process, and the roles of the team members were defined in preliminary observations. The experiment was performed in the order of baseline, intervention, generalization, and maintenance using the multiple probe baseline across participants design. During the baseline period, paraprofessionals were provided with duty training and the academic engagement behaviors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were observed in math class. When baseline data points of participant 1 were stabilized at the tendency and level, paraprofessionals performed the support for inclusion based on team approach. To verify the effects of this intervention, it was repeated with student participants 2 and 3. After the completion of these interventions, three observations for generalization were performed in Korean class, and observations for maintenance were performed 3 times in a raw, 3 weeks after the completion of the intervention at the same condition with baseline. An ethnographic research method was used in order to inspect the perception of the collaborative relations amongst team members in the team-based paraprofessionals' support for inclusion process. The qualitative data were collected through participatory observation and in-depth interviews. They were transferred and analyzed utilizing the constant comparative metho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rough the team-based paraprofessionals' support for inclusion in general classes, the academic engagement behaviors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attending general middle school increased, and the increased academic engagement behaviors through the intervention were generalized and maintained. Second, team members cooperated with each other during problem-solving process to improve the academic engagement behaviors of the students with disabilities. They shared perception of the importance and its obstacles of the academic engagement of the students with disabilities in general classes, and also endeavored to solve them through collaboration. Furthermore, team members came to understand and consider different educational systems during collaboration, and recognized and performed role expectation of themselves, but showed mutual role transfer owing to the practical restrictions. In conclusion, the study shows that team-based paraprofessionals' support for inclusion may have positive effects on the instructional inclusion for the students with disabilities attending general middle school. It can be said that the present study is meaningful in that this study first examined the details of a collaborative consultation team composition at school level and integrated support for the increased integration of juveniles with disabilities, and that it investigated its effects through school's providing duty training program for paraprofessionals and implementing the supporting inclusion for the students with disabilities. However, this study planned and performed intervention only for academic engagement behaviors of the students with disabilities in general classes and in a single school; so, it has difficulty in wide applying the research results to the educational setting. It is therefore necessary to implement further studies to complement these limitations. 장애학생들에 대한 교육기회 확대 및 지원서비스의 강화로 일반중학교에 재학하는 장애학생들이 계속 증가하는 추세이며, 이들이 일반학급에 머무는 시간도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중학교의 교육환경은 초등학교와 여러 가지 측면에서 달라 통합교육을 실행하는데 어려움이 많으며, 특히 초등에 비해 심화된 내용 교과 중심의 교육과정과 강의식 수업 등으로 인하여 교수적 통합에 많은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중학교에 재학 중인 장애학생들이 통합교육환경에서 적극적으로 학업에 참여하고 성과를 거둘 수 있도록 도와주기 위해서는 강도 높은 지원과 개별 학생의 요구에 부합하는 지원이 요구되며, 이러한 서비스를 적절하게 전달하는 방법을 개발하고 실행해야 한다. 우리나라에서는 2000년대에 들어서면서 장애학생들의 통합교육을 지원하기 위해 특수교육보조원을 활용하기 시작하였으며, 이들은 현재 학교현장에 배치되어 다양한 역할을 함으로써 특수교육 팀의 중요한 일원으로 참여하고 있다. 그러나 장애학생들에 대한 많은 관심과 충분한 자질을 갖춘 특수교육보조원이라고 하더라도 이들을 대상으로 통합을 지원하기 위해서는 특수교사의 지시와 감독 및 학교현장에 적합한 훈련이 요구되며, 통합지원의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 일반학급 교사와도 협력하여야 한다. 협력적 자문은 통합 환경에 있는 장애학생의 학습과 행동 문제를 예방하고, 문제 있는 학생에 대한 적절한 교수를 제공하기 위해 교수프로그램을 조정하는 것으로 다양한 전문가들이 창의적인 해결방안을 찾아내는 상호작용과정이며, 중등학교에 배치된 장애학생들의 통합을 촉진하기 위한 효과적인 전략으로 제안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일반중학교에 통합된 장애학생들을 대상으로 특수교사, 일반교사, 특수교육보조원으로 구성된 팀을 기반으로 하는 특수교육보조원의 통합지원이 장애학생의 일반학급 수업참여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으며, 협력적 자문팀원 간의 협력관계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참여자는 서울시에 위치한 일반 중학교 특수학급에 재학 중인 장애학생 3명과 통합교육을 지원하는 협력적 자문팀의 구성원 5인(일반교사 2명, 특수교사 1명, 특수교육보조원 2명)이며, 실험은 연구참여학생이 재학 중인 중학교 일반학급과 특수학급에서 총 16주에 걸쳐 진행되었다. 장애학생들의 일반학급 수업참여행동에 대한 팀 기반 특수교육보조원의 통합지원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예비관찰기간에 협력적 자문팀을 구성한 후 문제해결과정에 따라 통합지원전략을 논의하고 팀원 간의 역할을 정의하였으며, 연구참여학생간 중다 간헐 기초선 설계(multiple probe baseline across participants design; Tawney & Gast, 1984)를 사용하여, 기초선, 중재, 일반화, 유지 순으로 실험을 진행하였다. 기초선 기간에는 장애학생들의 수학시간 수업참여행동을 관찰하였으며, 특수교육보조원에 대한 직무훈련을 제공하였고, 연구참여학생 1의 기초선 자료점이 경향 및 수준에서 안정되었을 때, 특수교육보조원이 수학시간에 함께 입실하여 팀에서 고안한 방안에 따라 장애학생의 수업참여행동에 대한 통합지원을 실행하였다. 이후, 중재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다른 연구참여학생 2와 3에게도 순차적으로 중재를 진행하였으며, 중재 종료 직후, 국어시간에 일반화 관찰 3회를 실시하고, 중재 종료 3주 후에 기초선 조건과 동일한 상황에서 유지 관찰을 연속 3회 실시하였다. 또한 팀 기반 특수교육보조원의 통합지원과정에서 협력적 자문팀원 간의 협력관계에 대한 인식이 어떠한가를 알아보고자 문화기술지(ethnography) 연구방법을 적용하였으며, 통합지원과정에 대한 참여관찰과 팀원들을 대상으로 한 심층면담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고 전사 한 후 Corbin과 Strauss(2008)가 제시한 연속적 비교분석법(constant comparative method)을 사용하여 이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팀 기반 특수교육보조원의 통합지원을 실시한 결과, 일반중학교에 재학 중인 장애학생들의 일반학급 수업참여행동이 증가하였으며, 중재를 통해 증가된 수업참여행동은 일반화되고 유지되었다. 둘째, 팀 기반 특수교육보조원의 통합지원과정에서 팀원들은 장애학생들의 수업참여행동을 향상시키기 위해 이의 중요성과 걸림돌에 대한 인식을 함께하였고, 협력을 통해 이를 해결하려고 노력하였으며, 이러한 문제해결과정에 대한 팀원들의 인식을 분석한 결과 12개의 부주제와 장애학생들의 일반학급 수업참여에 대한 시각, 수업참여의 저해요인, 일반학급 수업참여를 위한 노력: 협력 및 문제해결과정에 대한 반응 등 4개의 주제가 도출되었다. 또한, 팀원들은 협력과정에서 서로 다른 교육체계에 대해 이해하고 배려하게 되었으며, 자신에 대한 역할 기대를 인식하고 수행하려했으나, 현실적인 제약조건들로 인하여 서로 간의 역할이양이 나타났다. 협력과정에서 팀원들이 인식한 역할에 대해 분석한 결과, 7개의 부주제가 도출되었으며, 이는 서로의 역할에 대한 기대와 수행 및 역할 만족 등 2개의 주제로 통합되었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종합하면, 팀 기반 특수교육보조원의 통합지원이 일반 중학교에 재학 중인 장애청소년들의 교수적 통합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중등 장애청소년의 통합을 지원하기 위하여 학교차원의 협력적 자문팀 구성 및 통합지원에 대한 구체적인 과정을 밝힌 점과 일반 중학교의 교육현장에서 특수교육보조원에 대한 직무훈련 프로그램을 마련하여 제공하고, 장애학생에 대한 통합지원을 실시하여 그 효과를 밝힌 최초의 연구라는 점에서 의의를 지닌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는 장애학생의 일반학급 수업참여행동에 대해서만 중재를 계획하고 실행하였으며, 단일 학교에서만 실시하여 연구결과를 교육현장에 폭넓게 적용하기 어렵다. 따라서 추후 연구에서는 이러한 제한점들을 보충 할 수 있는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