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The Completeness of Lp spaces

        박노식 전주대학교 1999 국내박사

        RANK : 247647

        본 논문에서는 L^p spaces의 완비성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L^p spaces의 완비성을 보이기 위하여 제 2절에서는 norm을 정의해서 norm 선형공간을 정의하고 그에 따르는 몇가지 예를 소개했다. 제 3절에서는 L^p spaces를 정의하고 L^p spaces가 norm선형공간됨을 보였으며, 제 4절에서는 L^p spaces가 complete되는 Riesz - Fisher정리를 증명하므로서 L^p spaces가 Banach 공간이 됨을 보였다.

      • 衝擊荷重을 받는 CFRP 積層板의 損傷評價에 관한 硏究

        박노식 朝鮮大學校 大學院 2002 국내박사

        RANK : 247631

        In this paper, a system of falling weight impact tester was built up to evaluate the impact energy absorbing characteristics and impact strength of CFRP laminate plates in consideration of stress wave propagation theory. The experimentation was conducted on several laminates based on different fiber, ply orientation and falling weight mass. Delamination area and frequency responses was evaluated between impacted and unimpacted specimens. The delamination area of impacted specimens was measured with an ultrasonic C-scanner to determine the correlation between impact energy and delamination area. The conclusions obtained are as follows; 1. An absorbed energy of orthotropic composites composed with the same fiber and stacking number became higher than that of quasi-isotropic specimen; however there is no difference in case of quasi-isotropic specimens with greater strength fiber. 2. It is found that an absorbed energy of orthotropic composites gees up greater than that of quasi-isotropic specimens because an impact contacting time in the bigger falling weight mass becomes longer than that in the less falling weight mass under the same impact energy. 3. It is found that an impact energy of critical delamination in case of T-300 orthotropic composites became greater than that of T-700 fiber specimen. 4. Impact-induced damages could be evaluated because the same frequency responses have been obtained based on the amplitudes on measuring the time and loadings at an arbitrary points of specimens. 5. It is found that the frequency responses of impacted specimens was delayed back compared to that of unimpacted specimens, and also the natural frequency comes down because the bending stiffness of impacted specimens decreases. 6. There is a strong correlation between frequency responses and impact-induced delamination. The presence and scale of damages have been investigated based on the variations of frequency responses.

      • 高溫·高濕下에서 CFRP 複合材 積層板의 굽힘疲勞强度

        박노식 朝鮮大學校 大學院 1997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moisture absorption characteristics and the influence of moisture content on the fatigue bending strength of the orthotropic and quasi-isotropic CFRP (carbon fiber reinforced plastics) composite laminates subjected to hygrothermals. A steel ball is impacted on the CFRP laminates and the three-point fatigue bending test is carried out by using the impact-damaged laminates. Then, the static and fatigue bending strength of the CFRP composite laminates are estimated. The conclusions obtained in this paper are as follows; 1. In the case of unimpacted orthotropic and quasi-isotropic CFRP laminates, the static bending strength of specimen A [0˚ _(4)/90˚ _(4)]_(s) is greater than that of specimen B [0˚ 2/45' 2/90" _(2)/-45˚ _(2)]_(s),but the residual fatigue bending strength of specimen B becomes greater than that of specimen A. 2. At approximately 0.2% of moisture rate, the rapid decrease in the strength is observed in both the quasi-isotropic and orthotropic specimens, and few variations in the strength are generated even if the moisture content is over 0.2%. 3. The static bending strength and residual fatigue bending strength are greater in the case of CFRP laminates of specimen A than those of specimen B under the hygrothermals. 4. In the case of quasi-isotropic laminates, about 5% of static bending strength is decreased, and about 43% of residual fatigue bending strength is decreased. Hygrothermals have much greater effects on the fatigue bending strength than the residual bending strength. 5. The residual fatigue strength of orthotropic and quasi-isotropic laminates appears greater in the impacted-side tension than in the impacted-side compression. Very larger decrease in the strength of orthotropic laminates are observed in this study.

      • 수준별 이동 수업 시 퀴즈식 수업방법이 수학적 태도와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박노식 강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7631

        수학은 그 특성상 기초학력의 결손으로 인하여 학습에 흥미를 상실한 많은 학습부진아들에 의해 재미없고, 어렵고, 싫증나는 과목이라는 편견을 받고 있으며, 이 같은 선입견으로 인한 학생들의 학습부진은 날이 갈수록 더욱 심화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학생들로 하여금 수학에 대한 흥미를 유발시켜 수학교육의 질적 향상을 도모하고, 자신감과 성취감을 갖게 하여, 이 과목에 대한 좌절감에서 벗어나게 하고자 하는 의도를 지니고 있다. 이를 위한, 퀴즈식 수업방법을 학교 수업에 접목하여 학생들의 학업성취도 및 정의적 영역(흥미도)에서의 효과를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들을 설정하였다. 1) 조별 퀴즈식 수업방법이 수업을 실시한 학생들과 전통적인 설명식 수업을 들은 학생들의 학업성취도에 있어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가? 2) 조별 퀴즈식 수업방법이 수업을 실시한 학생들과 전통적인 설명식수업을 들은 학생들의 수학적 흥미ㆍ태도에 있어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가? 3) 조별 퀴즈식 수업방법이 수업을 실시한 학생들에게 실험 처치 전 후 수학적 흥미ㆍ태도에 있어서 변화가 있는가? 본 연구를 수행하기 위하여 경기도 양평군에 소재하는 OO중학교 수준별 이동수업 시 2학년 하위반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을 선정하기 위하여 전학년도 2학기 기말고사 성적으로 각각 30명씩 선정하여 실험연구를 진행하였다. 비교집단은 보통의 설명식으로 하고, 교재는 수준별 학습교재를 이용하여 수업을 진행하였다. 실험집단은 전시학습 확인과 형성평가에서 조별 퀴즈식 수업을 실시하고, 교재는 비교집단과 마찬가지로 수준별 학습교재를 이용하여 수업을 진행하였다. 이후, 본 연구자는 동료교사와 협의하여 정기고사 문제로 25문항을 출제하였으며, 이 문항들은 주위의 5명의 전문위원에게 검증을 받은 후 학생들에게 적용되었다. 그 결과를 토대로 학생들의 성취도에 대한 평가를 하였고, 또한 ‘수학흥미ㆍ태도검사지’로 설문조사하여 분석하였다. 이러한 연구를 통해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첫째, 조별 퀴즈식 수업방법이 일반적 학습보다는 학업성취도에 있어 평균은 향상되었으나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지는 않았다. 그렇지만 하위반에서 중ㆍ상위권 학생들은 두드러진 성적향상의 결과가 나타났다. 이 결과는, 특히 성취도에 있어서 좀 더 깊이 있는 연구가 거듭 되었을 때, 유의미한 차이를 보일 가능성을 시사하고 있다, 둘째, 수업시간 중 실험집단의 조별 퀴즈식 수업방법이 실험집단에 비하여 수학적 흥미와 태도 면에서 두드러진 차이를 보여 통계적으로도 유의미한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셋째, 실험집단 수학적 흥미 및 태도에 대한 사전-사후검사에 있어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다. 퀴즈식 수업 방식은 학생들로 하여금 경쟁의식을 불러일으킴으로서 수학적 학습태도 향상과 이를 위한 동기부여를 해준다는 긍정적인 결과가 나타났다. 특히 이 연구가 진행 되면서, 수준별 이동수업 시 하위 반 학생들이 갖는 수학에 대한 부정적 인식을 좀 더 긍정적으로 변화 시킬 수 있는 계기가 되었던 것이 가장 큰 수확이다. Mathematics is notorious for its bad reputation; a boring, difficult and frustrating subject among many students who have lost their interests caused by lack of mathematical background. For that reason, this research suggests 'Quiz-based instruction' in order to stimulate students' interest in math, build up their self-confidence and sense of achievement which would allow them to escape from frustration toward this subject, and eventually it will promote the quality of mathematics education. The research on quiz-based math learning aims to establish the effect on academic achievement and the Affective domain(interest) through quiz-based instruction. Questions asked on this research are : 1) Does meaningful difference exist in terms of academic achievement between students in quiz-based instruction and students in traditional direct instruction? 2) Does meaningful differences exist in terms of mathematical interest and attitude between students in quiz based instruction and students in traditional direct instruction? 3) Is there any pre and post changes in terms of mathematical interest and attitude between students in quiz-based instruction and students in traditional direct instruction? In order to conduct this research, a lower level second graders' class from 00 Middle school in Yang-Pyeong Gun, Kyong-Ki Do was selected. Also, students' formal year's records were used in order to select experimental group and comparative group to be fairly processed. In comparative group, students was given normal instruction which is explanatory and level textbook was used as materials for this research. Conversely, in experimental group, students received quiz-based instruction when they are asked review questions about the last class which is usually done at the beginning of the class and comprehension questions of the day. For materials, level textbook was used as well. After taken the class, students took a test which is from periodical examination. Total 25 exam questions, that were observed by 5 expert advisers before applied to students, were asked for the assessment. Also, students were surveyed with Mathematics Attitude Check-List and the survey paper was analysed after that. Through this research, these conclusions have been obtained. First, quiz-based instruction shows higher average of scholastic achievement than normal instruction but no meaningful difference exists. However, mid and high intermediate students in lower level class show remarkable score elevation which implies a possibility of further research on this area. Second, experimental group in quiz based instruction method shows distinguished difference in mathematical interest and attitude as compared with comparative group, so it shows a clear statistical meaningful difference as well. Third, there is a meaningful difference statistically in terms of experimental group's mathematical interest and attitude because of pre - post check. Positive result was shown in improvement of mathematical attitude and motivation by promoting competition between students. Particularly, the negativeness toward mathematics, that lower level students' usually had, changed into more positively than before - students' frustration on math has soften a lot and this is the most fruitful result of this research.

      • 위상 변위 스위칭방식에 의한 고효율 다중레벨 인버터

        박노식 전남대학교 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47631

        현대사회는 산업발달로 인하여 인간생활의 질적 향상을 이루어 왔으며 이런 생활을 영위하기 위한 도구로 인텔리젼트빌딩. 불루투스를 이용한 Home_Net_Work장비, IT(Information Technology)장비, 공장자동화를 위한 FA(Factory automation)장비 등 양질의 전원을 필요로 하는 기기들의 보급이 확산되고 있어 공급전원의 품질에 대한관심이 증대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품질이 좋은 전력을 공급하기위해서 사용되는 전원공급 장치로 UPS(Un_interruptable Power Supply)와 VSD(Variable Speed Drive)등을 들 수 있으며 이들 장치에서는 출력전압과 주파수를 동시에 제어 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 있는 PWM인버터가 주로 사용되어지고 있다. 그러나 PWM제어로 발생된 출력파형에는 기본파 성분 이외에 고조파성분이 많이 포함되어 있어 전자유도장애, 전동기 소음 및 토크 맥동, 각종 계전기의 오동작을 유발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는 예가 있어, 이러한 원인들을 제거하기 위하여 인버터자체에서 발생되는 고조파성분을 최대한 억제하려는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다[1]. 그 예로 스위치의 정격전류를 초과하는 큰 기동전류를 갖는 전동기부하 사용 시 발생되는 기동전류에 대응하고자 한시적 전류 정격상승을 보상하게 하는 연구가 시도되기도 하였다. 일반적으로 PWM인버터의 성능평가 척도로 스위칭 주파수에 대한 총 고조파비와 선형적으로 제어 가능한 출력전압이 중요한 요소가 되는데 그중 출력전압의 총 고조파 왜곡율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실제 대부분의 PWM 인버터의 DC 링크 전압은 교류 전원에서 정류된 직류 전압을 사용함으로서 맥동이 발생하게 되는데, 부하 전류의 양이 증가함에 따라서 맥동분도 더욱 커지게 된다. 따라서 이를 사용해서 만든 출력 전압의 왜곡은 DC 링크 전압의 맥동에 비례하여 증가하게 된다. 일반적으로 이를 보상하기 위해서는 필터의 용량을 증가시키게 되는데 이는 전원장치의 부피와 경제적인 측면에서 단점을 가지고 있다. 둘째, PWM인버터에서는 각 스위치별로 스위칭신호를 인가할 때 각 암의 단락을 방지하기 위해 데드타임을 주어야 하는데 이를 적게 할수록 출력 전압의 왜곡이 적어지게 된다. 그러나 데드타임을 적게 주기 위해서는 출력 전압의 왜곡 성분을 보상할 수 있도록 출력 전류의 극성과 설정된 데드타임의 정보에 의해 미리 계산된 신호를 인가하여야 되는데 이를 위해서 보다 많은 제어회로 및 제어기법등의 부가적인 요소가 많이 추가되는 단점이 있다. 셋째, 동일한 실효 출력 전압을 형성하는데 있어서 여러 가지 스위칭 패턴을 조합하여 구현이 되고 있으나, 이러한 여러 가지 스위칭 패턴의 조합들이 출력전압의 총 고조파 왜형률을 결정하는 한 요인이 되기도 한다. 넷째, 위의 세 가지 요인 이외에도 출력 전압의 총 고조파 왜형율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로서는 제어신호의 시간 지연, 스위칭을 위한 전력 소자와 전류 패스를 형성하기 위한 다이오드의 순방향 포화 전압으로 인한 출력전압의 강하 그리고 두 전압의 차 전력 소자에서 온·오프 순간의 과도 특성 등을 들 수 있다. 이 상에서 언급된 여러 원인들을 해소하여 보다 양질의 전원을 만들기 위해서 쉽게 사용하여 적용하는 방법 중의 하나가 PWM 인버터의 출력단에 LC 필터를 크게 설치하여 고조파를 저감시키는 방법을 산업현장에서 주로 사용하고 있으나 이는 출력전압의 제어 응답 특성을 떨어뜨리고 대용량 시스템에서는 전원장치의 크기 및 단가의 상승을 초래하게 되는 결과를 가져오기도 한다. 이를 해소하기 위한 한 방편으로 인버터 출력단에 큰 필터를 사용하지 않고, 고조파 성분을 억제하기 위한서 얻고자하는 출력 전압을 다수의 레벨전압을 계단식으로 조합하여 정현파에 가까운 출력 전압을 얻을 수 있는 멀티 레벨 인버터에 관한 연구도 이루어지고 있다. 이런 다중레벨인버터는 최적의 레벨 수를 가장 경제적이면서 가장 쉽게 얻을 수 있는 수 있는 인버터를 만들어 내는 것이 그 과제이다[2]~[5]. 따라서 본 연구에서 여러 가지 기존의 다중(Multi: 이하 “멀티”라 칭한다) 레벨인버터의 종류를 나열하고 그 장ㆍ단점을 파악하고, 제안된 변압기조합을 이용한 위상변위 스위칭방식 멀티레벨 인버터의 동작원리를 제시하여 기존의 멀티레벨인버터와 제안된 멀티레벨인버터의 장ㆍ단점에 대하여 분석하고 출력파형에 대한 시뮬레이션과 프로타입의 실험용 인버터를 제작하여 실험함으로 제안된 인버터의 우수성을 증명하였다. With the great change of our daily life, there has been rapidly growing demand for protection for machinery and for high quality power supply than before. In this paper the multi-level inverter electricity circuit is used to solve the problem of necessary for large numbers of independent DC sources in non-isolated HBML inverter. In order to reduce components the common-arm way is used in the circuit. The PWM method is used in the multi-level inverter and in this way we overcome the shortcoming of necessary for more levels if the THD is reduced more. For solving the problem that in the existing transformer-combined HBML inverter systems transformers are different in size, the swapping switching method is applied. An efficient switching pattern to equalize the size of transformer is proposed for a multi-level inverter using cascaded transformers. It bases on the prior selected harmonic elimination PWM (SHEPWM) method. Because the maximum magnetic flux imposed on each transformer becomes exactly equal each other, all transformers can be designed with the same size regardless of their position. Therefore, identical full-bridge inverter units can be utilized, the modularity can be more efficient and the manufacture can be easier. We also proposed the electric circuit using one common arm of H-Bridge Inverters to reduce the number of switching component in multi-level PWM inverter combined with H-Bridge Inverters and Transformers. We suggested a new multi-level PWM inverter using PWM level to reduce THD (Total Harmonic Distortion). We tested the proposed prototype 15-level inverter to clarify the proposed electric circuit and reasonableness of control signal for the proposed multi-level PWM inverter. THD is 0.5[%] and DF is 0.038[%], which are better than that of the existing inverter.

      • 실업계 여고생의 체격과 체력의 상관관계

        박노식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2001 국내석사

        RANK : 247631

        실업계 여고생들의 학년별 체격과 체력의 차이를 살펴보기 위해 M 여자종합고등학교 실업계 여고생 총 444명(1학년 147명, 2학년 148명, 3학년 149명)을 대상으로 체격 측정(신장, 체중, 가슴둘레, 앉은키)과 체력 측정(50m 달리기, 오래 매달리기, 윗몸 일으키기, 제 자리 멀리뛰기, 앉아 윗몸 앞으로 굽히기, 오래 달리기)을 실시하여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체격 측정 신장은 3학년 160.11cm로서 1학년 159.88cm, 2학년 159.47cm 보다 신장이 컸으나,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체중은 1학년 53.97kg, 2학년 55.98kg, 3학년 56.30kg으로 학년이 높을수록 높았으나,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가슴둘레는 2학년 84.05cm로서 1학년 83.25cm, 3학년 83.70cm 보다 가슴둘레가 컸으나,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앉은키는 3학년 84.88cm, 1학년 85.59cm, 2학년 85.24cm 보다 앉은키가 작았으나,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2. 체력 측정 50m 달리기는 1학년 9.86초로서 2학년 10.12초, 3학년 10.03초 보다 50m 달리기를 잘 했으나,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오래 매달리기는 3학 년 8.72초로서 1학년 6.20초, 2학년 6.05초 보다 오래 매달리기 기록이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F=5.53, P<.01). 윗몸 일으키기는 3학년29.02회로서 1학년24.98회, 2학년25.87회보다 윗몸 일으키기 기록이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F=5.78, P<0.1). 제자리 멀리 뛰기는 1학년 162.41cm, 2학년163.30cm, 3학년 166.74cm로서 학년이 높을수록 제 자리 멀리뛰기 기록이 유의하게 높았다(F=3.32, P<0.5). 오래달리기는 2학년 6분92초로서 1학년 7분43초, 3학년 7분27초 보다 오래 달리기 기록이 유의하게 빨랐다(F=6.71, P<.01). 3. 체격과 체력의 상관관계 50m 달리기는 몸무게(r=.257, p<.001), 가슴둘레(r=.264, p<.001)와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고, 오래 매달리기는 신장(r=.094, p<.05), 체중(r=-.326, p<.001), 가슴둘레(r=-.329, p<.001), 앉은키(r=-.204, p<.001)와 유의한 부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윗몸 일으키기는 체중(r=-.189, p<.001), 가슴둘레(r=-.232, p<.001), 앉은키(r=-.142, p<.01)와 유의한 부적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체중(r=-.156, p<.01), 가슴둘레(r=-.200, p<.001)와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부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앉아 윗몸 앞으로 굽히기는 신체 충실 지수의 변인간에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았다. 오래 달리기는 체중(r=.150, p<.01), 가슴둘레(r=.140, p<.01), 앉은키(r=.183, p<.001)와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종합하면, 각 학년별 체격은 학년과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고, 체력은 오래 매달리기, 윗몸 일으키기, 앉아 윗몸 앞으로 굽히기에서 학년이 높아짐에 따라 유의하게 높은 기록을 보였다. 그리고 신체 충실 지수 및 체력과의 상관관계는 50m 달리기, 오래 매달리기, 윗몸 일으키기, 제 자리 멀리뛰기, 오래 달리기는 체격에 영향을 미쳤으며, 앉아 윗몸 앞으로 굽히기는 체격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In this study physical state test and physical fitness test were excecuted in order to find out the correlation between Rohrer's index and physical fitness. 444 female examiness aged between 17 to 19 who applied business girls high school were observed and examined. The subjects were classified into 3 groups according to each grade. And statistic data of each group were analyzed for the average score and standard deviation at physical fitness test for 6 items. The following were the results; 1. Physique measurement 1) Standing height Height development of student according to their years. The average body height of first years, second years, third years was 159.88cm, 159.47cm, 160.11cm. no significant difference. 2) Body weight Weight development of student according to their years. The average body weight of first years, second years, third years was 53.97kg, 55.98kg, 56.30kg. no significant difference. 3) Chest of girth Chest of girth development of student according to their years. The average chest of girth of first years, second years, third years was 83.25cm, 84.05cm, 83.70cm. no significant difference. 4) Sitting height Sitting height development of student according to their years. The average sitting height of first years, second years, third years was 85.59cm, 85.24cm, 84.88cm. no significant difference. 2. Physical fitness measurement 1) 50m run As for the 50m run, the average 50m run of first years, second years, third years was 9.86sec, 10.12sec, 10.03sec. no significant difference. 2) Long hang down As for the long hang down, a high was revealed 8.72sec third year than first years 6.20sec, second years 6.05sec. 3) Sit up As for the sit up, a high was revealed 29.02freq. third year than first years 24.98freq., second years 25.87freq. 4) Standing long jump As for the standing long jump, the average standing long jump of first years, second years, third years was 162.41cm, 163.30cm, 166.74cm. no significant difference. 5) Trunk flexion As for the Trunk flexion, a high was revealed 15.33cm third year than first years 13.74cm, second years 13.30cm. 6) Long run As for the long run, a fast was revealed 6.92sec second year than first years 7.43sec, third years 7.27sec. 3. Correlation relative of physique and physical fitness The correlation coefficient between 50m run was weight, chest of girth, long hang down was standing height, weight, chest of girth, sitting height, sit up was weight, chest of girth, sitting height, standing long jump was standing height, weight, chest of girth, long run was weight, chest of girth, sitting height, but trunk flexion were no correlation coefficient.

      • 10Gbps 이더넷용 MAC 코어의 설계

        박노식 한신대학교 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47631

        최근 대부분의 전송기술(LAN 뿐만 아니라 MAN과 WAN까지)이 이더넷으로 통일되는 경향에 힘입어, 예전에 비하여 이더넷은 대단한 주목을 받게 되었다. 그러나 그동안 ATM(Asynchronous Trans for Mode) 등의 전송 기술에 의해 관심밖에 있던 이더넷이기 때문에, 국내에서 축적된 기술도 미약하다. 그리고, 이더넷이라는 기술은 단순한 디지털 로직이 아닌 디지털/아날로그 모뎀기술과 광 전송기술, 소프트웨어기술들이 결합된 고도의 전송기술로 쉽게 접근하기 어려운 학문이다. 10Gbps 이더넷 표준이 2002년에 발표되면서 10Gbps 이더넷에 대해 많은 연구가 지속되고 있다. 10Gbps 이더넷의 특징은 이더넷 고유의 CSMA/CD(Carrier Sense Multiple Access With Collision Detection) 방식을 지원하지 않고, 점대점전 이중방식만을 지원하고, 기존의 프레임구조는 계속 유지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최적의 MAC(Media Access Control) 코어 설계에 대해 연구하였는데, 이는 상위 계층 인터페이스, 전송엔진, 플로우 컨트롤 블록, 수신엔진, 정합부계층(Reconciliation Sublayer), 초기설정 블록, 상태전송 블록, XGMII 인터페이스 블록으로 구성된다. 하드웨어 설계를 위해 10Gbps 이더넷 Data Link 계층의 MAC 코어를 C언어를 이용하여 성능평가를 실시하여 내부 FIFO와 파라미터 초기값을 도출하였다. 도출된 성능결과를 토대로, Xilinx ISE 6.2i 툴을 이용하여, VHDL언어로 설계하고, 설계된 모듈을 Model_SIM 5.7G를 이용하여 검증하였다. 10Gbps 이더넷의 권고안에서는 10Gbps를 지원하기 위해 64비트를 처리하는 MAC 코어는 156.25MHz를 지원해야 하는데, 설계된 MAC 코어는 64비트의 데이터를 처리하고 168.549MHz를 지원하여 전송효율이 최대 10,78Gbps까지 지원 가능하여, 10Gbps 이더넷의 스위칭 장비의 인터페이스 모듈로 응용이 가능하고, 10Gbps 이상의 고속의 데이터 처리가 요구되는 응용분야에 적합하다. Ethernet has been given a greater attention recently due to tendency of unifying most of transmission technique(not only LAN, but MAN and WAN) to ethernet. In spite of this growing attention, the technology of 10Gbps ethernet is yet weak compared to that of ATM because ethernet was not the main area of interest. Ethernet is not a simple digital logic, but rather a complicated field that combines digital and analog modern technique, fiber transmission technique and software technique, Since 10Gbps ethernet standard was announced in 2002, a lot of research has been continued. The distinct feature of 10Gbps ethernet is that it supports point-to-point full-duplex, not CSMA/CD(Carrier Sense Multiple Access with Collision Detection) while maintaining the original frame structure. This thesis studied the design of MAC which contains high layer interface, transmit engine, flow control block, receive engine, reconciliation sublayer, configuration block, statistics block, and XGMII interface block. Performance evaluation was performed using C language to 10Gbps ethernet Date Link to design the optimum hardware, then internal FIFO and initial parameters were evaluated. Based on the result of performance evaluation, MAC was designed using Xilinx ISE 6.2i tool in VHDL Language. The designed Module was verified using Model_SIM 5.7G. According to the specifications of 10Gbps ethernet, MAC core should support 156.25MHz in order to support 10Gbps. However, this MAC core that processes 64-bit data, operates at 168.549MHz and hence supports the maximum 10.78Gbps of processing efficiency. The designed MAC core is applicable to an area that needs a high-speed data processing of 10Gbps or more as well as an interface module of 10Gbps ethernet switching fabric.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