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PEM 연료전지용 AuPt/C 및 AuPtRu/C 복합촉매의 합성과 전기화학적 촉매특성 연구

        박남희 전북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47

        Electrocatalysts based on platinium are the best materials for the anodic oxidation of PEM fuel cell and the cathodic reduction of oxygen at low temperature. In this work, AuPt and AuPtRu composite nanoparticles with core-shell structure were synthesized by precipitation method, and these composite nanoparticles were loaded on carbon black for applying to the electrode of fuel cell. In order to synthesize AuPt and AuPtRu composite nanoparticles, firstly, Au nanoparticles of 25~35nm size was pre-synthesized by Au seed-mediated growth method. And then, in case of AuPt nanoparticles were prepared by adding H₂PtCl_(6) solution and methanol(reducing agent) into Au colloid. And in case of AuPtRu nanoparticles were prepared by adding H₂PtCl_(6) solution, RuCl3 solution and methanol into Au colloid. Then, in the same way, the mixtures were boiled for 15 minute under vigorous stirring and then cooled to room temperature for 10 minute with vigorous stirring. The synthesized AuPt and AuPtRu composite nanoparticles have a core-shell structure. The size of Au nanoparticles was 25~35nm, and the size of Pt and Ru nanoparticles on Au nanoparticles were 2~5nm. For synthesis of AuPt/C and AuPtRu/C composite catalysts, this experimental procedure is similar with AuPt and AuPtRu composite nanoparticles. Breifly, fistly, Au colloid was prepared and then, in case of AuPt/C catalysts, carbon black, H₂PtCl_(6) solution and methanol(reducing agent) were added into Au colloid. And in case of AuPtRu/C catalysts, carbon black, Pt stock solution, Ru stock solution and methanol were added, respectively. After that, the mixtures were boiled for 15 minute under vigorous stirring and then cooled to room temperature for 10 minute with vigorous stirring. The synthesized AuPt/C and AuPtRu/C composite catalysts with different compositions were investigated by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y(TEM), UV-visible spectroscopy, X-ray diffraction (XRD) and cyclic voltammetry(CV). AuPt/C composite catalysts are synthesized with different concentrations of Pt. The concentration of Pt was 10wt.%, 20wt.%, 40wt.% and 60wt.%(0.19, 0.38, 0.76 and 1.14mM). The results of CV revealed that the AuPt/C composite catalyst with 40wt.% Pt had high performance because of highest current density at 0.8V. From this results, we can say that Au nanoparticles accelerate methanol oxidation on the surface of Pt catalyst. The AuPt/C composite catalyst with 60wt.% Pt had lower current density than 40wt.%. Because the loaded Pt nanoparticles were strongly agglomerated on the surface of gold nanoparticles. AuPtRu/C composite catalysts were synthesized with differnent Pt:Ru ratio at 40wt.% of the Pt loading amount. The Ru ratio was changed from 25% to 100% on the basis of Pt weight. In the CV results, the AuPtRu/C composite catalyst with 50% Ru showed the highest electrochemical activity. The first peak of methanol oxidation of the sample with 50% Ru appeared at 70V and the current density was lower than AuPt/C composite catalyst because of the characteristic of PtRu/C catalyst.

      • 복음관상기도 수련에 의한 하나님 이미지 변화의 경험적 연구

        박남희 장로회신학대학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하나님 이미지는 그 사람이“하나님을 어떤 분으로 체험하고 있는가”를 보여주는 아주 중요한 표지로서 신자가 하나님과 맺고 있는 관계의 성격을 보여주며 하나님과의 관계 성장을 측정하는 도구가 된다. 또한 신자의 내면에 심리적 실재와 잠재력이 되어 자아와 타인/세상에 대한 긍정적, 부정적 이해와 반응의 토대가 되는 역동적인 정서적 표상으로서 대단히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본 연구는 하나님 이미지의 이러한 중요성에 착안하고 하나님 이미지 변화는 가능하다는 여러 학자들의 이론(Rizzuto, Freud, A. Ulanov and B. Ulanov, John J. English 등)에 근거하여 복음관상기도 수련이 하나님 이미지 변화에 긍정적으로 기여하는지 알고자 하는 목적으로 출발했다. 연구결과가 효과적으로 나타나면 신자들의 영성훈련의 실천과 보급을 위한 토대를 마련하고자 하는 2차적 목적도 가졌다. 하나님 이미지 변화를 위해 복음관상기도 수련을 접목시킨 것은 이 기도가 하나님에 대한 참된 이미지를 계시해주시는 예수 그리스도(요14:9)와 관상적 일치를 추구하면서 참된 하나님 이미지로 변화를 이끈다고 인정받고 있기 때문이다(John J. English). 연구를 위해서 먼저“복음관상기도는 수련자에게 하나님의 전체성이 담긴 이미지로 변화되는데 유용한 도움을 줄 것이다." 라는 연구 이론을 세우고 이것을 검증하기 위해 비교사례연구 방법을 적용하고 두 그룹을 선정하였다. 사례자 선정 기준에 따라 통합측에서 사역하고 있는 여성 목회자 중 복음관상기도 수련을 한 이들과 수련을 하지 않은 이들로 각각 6명씩 서로 일대일 매칭이 될 수 있는 유사한 조건(나이, 성별, 직분, 학력, 결혼 유무, 교단 등)을 가진 총 12명을 선정하였다. 연구결과를 도출하기 위해서 주요하게 인터뷰와 질문지를 사용했고 여기서 나타난 내용들을 일정비교분석법을 사용하여 하나님 이미지의 관점으로 계속 비교, 분석했다. 인터뷰 내용을 통해서 각 그룹의 하나님 이미지 주제들이 나타났다. 먼저, 비 수련 사례자들의 이미지는“함께 하시는 하나님,”“사랑의 하나님,”“아버지/신랑이신 하나님,”“수용의 하나님,”“완전하신 하나님,”“선한 목자이신 하나님,”“주인이신 하나님,”“요구하시는 하나님,”“하나님 나라의 건설자로 부르시는 하나님”이다. 수련 사례자들의 이미지는“모든 것 안에 계시는 하나님,”“사랑의 하나님,”“고난 받으시는 하나님,”“친구/연인이신 하나님,”“수용의 하나님,”“통합의 하나님,”“생명의 하나님,”“하나님 나라의 건설자로 부르시는 하나님”이다. 두 그룹의 공통적인 하나님 이미지는 네 가지,“함께 하시는 하나님/모든 것 안에 계시는 하나님,”“사랑의 하나님,”“아버지/신랑/친구이신 하나님,”“수용의 하나님”으로 나타났다. 두 그룹 사례자들의 전체적인 하나님 이미지는 성경에 계시된 하나님의 모습과 비교할 때 성경과 조화를 이루는 다양하고 건강한 하나님 이미지들이다. 그리고 이런 이미지들이 심리적 기능을 발휘하여 진정한 자기 정체성을 유지해주고 심리적인 균형을 이루게 하며 타인과 세상에 대해 개방적이고 예수 그리스도의 삶을 따르는 힘으로 작용하고 있다. 이상에서 나타난 두 그룹의 하나님 이미지를 연구자가『영신수련』의 <사랑을 얻기 위한 관상>의 네 요점을 기준하고 전체 주간과 연계하여 도출한 네 가지 하나님 이미지, 즉“사랑의 하나님,”“모든 것 안에 계시는 하나님,”“수고하시는 하나님,”“일하시는 하나님”과 연속성, 불연속성으로 비교했다. 비 수련 사례자들은“사랑의 하나님,”“모든 것 안에 계시는 하나님,”“일하시는 하나님”이미지에서『영신수련』의 하나님 이미지와 연속성을 보였고,“수고하시는 하나님”이미지에서 불연속성을 보였다. 수련 사례자들의 하나님 이미지는『영신수련』의 네 가지 하나님 이미지와 모두 연속성을 보였다. 위의 인터뷰 내용과 질문지 응답 내용을 비교 분석한 연구 결과를 종합하면, 비 수련 사례자들에 비해 수련 사례자들은 1) 정서적 친밀감이 높고 관대한 하나님 이미지, 2) 신성과 인성을 통합적으로 인식하는 하나님 이미지, 3) 그리스도를 통한 하나님 이미지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들은 수련 사례자들이 인터뷰에서 밝힌 대로 복음관상기도 수련에 의한 열매이며 변화이다. 수련 사례자들은 복음관상기도 수련을 통하여 인간 예수님과 그의 공생애에 함께 참여하면서 보고, 듣고, 느끼고, 만지는 동안 그 분의 사랑을 체험하고, 그 분을 알아가면서 하나님에 대한 왜곡된 이미지들이 끄집어내지고, 부수어지면서 하나님의 온전한 이미지로 변형을 경험해갔다. 여기서 인간이 되신 하나님이신 그리스도를 인격적으로 만남으로 신성과 인성이 통합된 하나님을 만날 수 있었다. 이를 통해서 하나님과의 친밀함도 깊어졌고 하나님은 내 생각과 느낌, 감정, 경험, 교리 너머에 계시는 훨씬 크시고 관대하신 분임을 알게 되었다. 특히 수난 관상을 통해 나를 위한 사랑, 인류를 위한 사랑 때문에“고난 받으시는 그리스도”를 깊게 체험하면서 하나님에 대한 가장 핵심적인 이미지,“수고하시는 하나님”이미지를 얻었다. 사례자들은 복음관상기도 수련의 모든 체험을 통해서 예수 그리스도가 오직 하나님께로 나아가는 길이 되고, 예수 그리스도를 통한 하나님 이미지를 형성하게 되는 아주 결정적이고 매우 중요한 도움을 받았다. 결론적으로 이상의 모든 연구 결과는 신자가 복음관상기도 수련을 하지 않아도 얼마든지 성경적인 건강한 하나님 이미지를 가질 수 있지만“복음관상기도를 통해서 보다 하나님의 전체성이 담긴 이미지로 변화되는데 크게 유용한 도움을 받을 수 있다.”(연구이론)는 것을 경험적으로 보여주었다. 다시 말하면, 복음관상기도 수련이 신자의 하나님 이미지 변화에 긍정적으로 기여하고 효과적임이 검증된 것이다. 이로써 연구의 기반이 된 연구 이론은 사례연구의 실증적인 결과를 통해 수용되었다. 그러므로 하나님 이미지 변화에 긍정적으로 기여하는 복음관상 기도 수련은 신자의 영적 성장을 돕는 하나의 가능성으로 제시될 수 있을 것이다.

      • 고려인 청소년 대상 한국어 교육의 프로젝트 수업 방안 연구 : 시 텍스트를 중심으로

        박남희 한국외국어대학교 KFL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고려인 청소년을 대상으로 시 텍스트를 활용한 프로젝트 한국어교육 수업 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학습자들이 한국의 시를 능동적이고 자기주도적으로 감상하고, 상호 협력적인 태도로 프로젝트를 수행함으로써 한국어 의사소통 능력을 기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문학 작품을 통해 한국인의 정서와 문화를 이해하여 한민족으로서의 정체성을 함양할 수 있을 것이다. 최근 한국의 국가적 위상이 높아지고 있고 한류의 급속한 물결로 고려인들에게 한국은 선망의 대상이 되고 있다. 그들의 후손인 고려인 청소년들 또한 한국으로 유학, 취직 등을 희망하고 있어 한국어를 배우고자 하는 열망이 높아지고 있다. 그러나 고려인 청소년들의 한국어교육이 문법번역식 수업 위주로 진행이 되고 있어 배움 중심의 교육 환경 조성이 매우 필요하다고 판단하였다. 이에 학습자의 자율적인 참여를 보장하고 자기주도적으로 학습 활동을 수행하는 프로젝트 기반 한국어교육 수업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특히, 한국의 현대시 텍스트를 학습자 스스로 시를 선정하여 능동적으로 이해하고 감상하며, 다른 학습자들과 함께 협동심을 발휘하여 프로젝트 결과물을 산출하는 수업 방안을 연구하였다. 우선 프로젝트 학습과 한국어교육에서의 문학교육, 고려인 청소년 학습자에 대한 선행 연구를 분석한 후, 고려인 청소년을 대상으로 설문 및 인터뷰 조사를 실시하여 학습자 요구 조사를 분석하였다. 한국어교육과 문학교육, 시교육, 프로젝트 수업 등 네 가지 항목을 중심으로 고려인 청소년 학습자의 특성과 한국어교육 실태를 살펴보았다. 이러한 학습자 요구 조사를 바탕으로 프로젝트 수업에서 활용할 시 텍스트를 선정하여 한국어 중급 수준의 고려인 청소년들을 대상으로 하는 프로젝트 수업의 실제를 제시하였다. 시 텍스트는 총 8편으로 한국인의 정서가 잘 드러나 있고, 청소년기의 내적 고민과 성찰, 한국 문화와 역사를 보여줄 수 있는 한국 현대시로 선정하였다. 프로젝트 수업은 ‘수행 전 단계-수행 단계-수행 후 단계’의 절차로 진행된다. ‘수행 전 단계’에서는 대표시 2편을 중심으로 ‘시 맥락읽기’ 활동을 진행하고, ‘수행 단계’에서는 6편의 시 가운데 학습자 스스로 시를 선정하고, 같은 시를 선정한 학습자들과 모둠을 이루어 프로젝트 주제 정하기, 활동 계획 수립 및 결과물 제작하기 등의 수행 과정을 진행한다. ‘수행 후 단계’에서는 프로젝트 결과물을 발표하고 상호 평가 활동을 실시한다. 이러한 수행 과정을 통해 고려인 청소년들은 한국어교육에서 일상 언어뿐만 아니라 문학적 언어를 배우고 익힘으로써 효과적인 언어 유용이 가능하게 될 것이다. 더불어 시 텍스트에 드러난 한국의 문화와 정서 이해를 통해 한민족의 정체성을 고찰하게 됨으로써 계승어 교육에도 이바지할 것으로 기대한다.

      • 주5일수업제에 따른 초등학교 방과후학교의 토요휴업일 운영에 관한 학부모 인식 조사 연구

        박남희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7631

        이 연구는 향후 수 년 내에 전면 확대 실시되는 주5일수업제로 인하여 제기되는 토요휴업일 문제에 대처하는 방안으로서 방과후학교 프로그램의 토요휴업일 운영 방안의 효과를 검토하기 위한 것이다. 방과후학교의 토요휴업일 운영 실태와 방안에 대한 학부모의 인식을 조사하여, 방과후학교 토요휴업일 운영의 기초 정보를 제공하려고 한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다음과 같은 세 가지 연구문제들이 설정되었다.토요휴업일에 방과후학교를 운영하는 학교의 학부모와 운영하지 않는 학교의 학부모들 사이에 자녀 교육 및 양육에 대한 인식에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보고, 프로그램 운영학교의 학생 참여 현황이 학부모의 배경 변수(자녀의 학년, 맞벌이 가정 유무, 토요일 근무여부, 가구 월 총소득)와 관련 있는지를 검정하였다. 아울러 프로그램을 비운영하는 학교의 학부모들이 제기하는 프로그램 운영 방안이 학부모 배경변수와 관련이 있는지 검정하였다.이상의 연구문제들을 규명하기 위해 문헌연구와 조사연구를 병행하였다. 서울시 소재 10개 초등학교에 다니는 학부모를 대상으로 조사연구를 하였으며, 토요휴업일에 방과후학교를 운영하는 학교 4개, 토요휴업일에 방과후학교를 운영하지 않는 학교 6개를 선정하여 총 973명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중다회귀분석, 로지스틱 회귀분석, 교차분석(검정)을 하여 자료를 처리하였으며,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첫째, 토요휴업일에 방과후학교의 프로그램을 운영하는 학교의 학부모들은 비운영 학부모들보다 주5일수업제가 실시되어 자녀의 소질 및 특기 계발이 이루어졌다는 인식을 갖고 있다.둘째, 토요휴업일에 방과후학교의 프로그램을 운영하는 학교의 학부모들은 사교육비를 감소시키기 위하여 프로그램에 참여 시키나, 맞벌이 가정과 부모가 토요일에 근무하는 가정에서는 가정에 보호자가 없어 불안하기 때문에 참여시키고 있다.셋째, 토요휴업일에 방과후학교의 프로그램을 운영하지 않는 학교의 학부모들은 대부분 가정체험학습에 대한 부담으로 토요휴업일에 방과후학교 프로그램을 운영하는 것을 희망하였다. 그러나 토요일에 부모 모두 근무하는 가정과 가구 월 총소득이 100만원 미만의 저소득층 가정에서는 보호자가 없어 불안하여 참여 시키겠다고 응답하였다. 또한, 대부분의 가정에서는 소질 및 특기계발을 할 수 있는 예·체능 프로그램을 개설하기를 희망하였으나, 가구 월 총소득이 100만원 미만인 가정에서는 교과와 관련된 심화 보충학습 프로그램을 희망하였다.본 연구의 결과로 맞벌이 가정, 맞벌이 가정 중에서 토요일에 부모 모두 근무하는 가정, 저소득층의 가정이 갖고 있는 주5일수업제와 방과후학교에 대한 인식과 요구를 파악하게 되었다. 따라서 초등학교에서는 토요휴업일에도 방과후학교 프로그램을 운영해야 하며, 소질 및 특기를 계발할 수 있는 프로그램과 저소득층 가정이 원하는 교과와 관련된 심화 보충학습 프로그램, 고학년이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개설해야 하는 방안이 제시되었다. 이러한 방안은 다양한 수요자의 요구가 충족되면서 주5일수업제 실시에 따른 문제점이 해결되고, 방과후학교를 활성화 시키는 데에도 도움을 주리라 생각한다. This thesis attempts to examine the effects of the after-school programs on Non-class Saturdays under the five-day week system in Korea that are expected to be implemented on a full scale in the coming several years. By investigating parents'' understanding of realities and a desirable scheme of the special extracurricular programs offered on Non-class Saturdays, it tries to provide with basic information on the after-school programs under the five-day week system. In order to achieve the research purpose, it tries to scrutinize three issues as follows: whether there would be a distinctive difference in the perception of parents whose children attend the schools that conduct the after-school programs on Non-class Saturdays compared to that of parents whose children do not have the same opportunities, especially regarding the child education and parenting, to what extent the students'' participation in the after-school programs on Non-class Saturdays is related to ''background variable'' of the parents such as their children''s grade, their working conditions, and monthly income of the households, and finally whether desirable schemes for the future programs, proposed by parents of the children who attend the schools that do not operate the programs, are connected with ''background variable'' of the parents. I have not only consulted the relevant literature but also carried out on-the-spot research in order to elucidate the above-mentioned issues. This thesis is based on face-to-face contacts and surveys with 973 parents whose children are attending 10 elementary schools located in Seoul, Korea. Among them, 4 schools execute the after-school programs on Non-class Saturdays while 6 do not. As a consequence of applying multiple regression, logistic regression, and crosstap to the material analysis processing,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can be summarized as follows.First, compared to the other party, parents whose children are attending the schools that conduct the after-school programs on Non-class Saturdays tend to appreciate that the programs under the five-day week system have helped their children improve special quality and abilities.Second, these parents allow their children to participate in the after-school programs either in consideration of the high cost of private education or in compensation for parental guide on Non-class Saturdays while on their duty.Third, parents, whose children are attending the schools that do not carry out the similar programs, largely ask for the immediate enforcement of the special programs owing to a burden of self-supporting home-study plan. The after-school programs are unquestionably supported by the families of parents, both of whom work on Saturdays, and low-income families whose total monthly income is less than 100 million won. In addition, most of the families ask for the establishment of art and physical education programs, while low-income families actively demand for supplementary lessons and intensive instruction of a course of study.The results indicate that dual-income families, particularly those of both parents on duty on Saturdays, and low-income families have great demand for the after-school programs under the five-day week system. Consequently, it suggests that the elementary schools are supposed to execute the after-school programs on Non-class Saturdays which include special plans to promote children''s special abilities and to offer supplementary lessons of a regular curriculum that low-income families strongly ask for. These measures are indispensable for settling the problems caused by the five-day week system by satisfying the requirements of various demanders, and for contributing to revitalizing the after-school programs on Non-class Saturdays.

      • 창세기 22장 1-19절에 대한 주석적 연구 : 폴 리쾨르의 성서 해석방법론을 적용한 읽기

        박남희 장로회신학대학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논문은 창세기 22장 1-19절을 주석하면서 폴 리쾨의 해석방법론을 적용하는 시도를 하였다. 그러한 시도를 하게 된 계기는 폴 리쾨르의 성서 해석방법론이 성경읽기 방법론에 대한 변화를 통해 새로운 자기 이해와 함께 독자의 삶을 변혁해 낼 수 있다고 판단하였기 때문이다. 리쾨르는 주체를 희생시키지 않는다. 오히려 비평의 사막 지대를 통과해서 다시 하나님의 부르심을 받아 겸손해진 주체가 능동적으로 자기 삶을 변혁해 갈 수 있는 가능성을 갖게 된다. 그러한 기대를 가지고 창세기 22장 1-19절 본문의 핵심 단어인 히브리어 동사 <라아>(???)와 <라아>(???)가 들어 있는 문장이 지시하는 의미를 분석한 결과, 본문은 하나님께서 보신다는 문자적인 의미를 넘어서 시험하시는 하나님이 곧 준비하시는 하나님이라는 의미를 지시한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뿐만 아니라, 하나님의 시험은 마침내 당신이 부른 사람에게 복주시기 위함이라는 것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하나님께서 처음 아브라함을 부르셨을 때 주신 언약에 대한 확증이기도 하다. 마지막으로 폴 리쾨르의 해석 방법론을 적용하여 본문을 해석했을 때, 창세기 22장 1-19절 본문이 오늘 우리에게 주는 또 하나의 중요한 교훈은, 하나님의 보심, 즉 하나님의 시험하심과 하나님의 준비하심의 역설이, 아들을 죽여야 할 아버지 아브라함과 아버지로부터 죽임을 당할 아들 이삭을 함께 묶으셨던 것처럼, 오늘 우리를 그분과 함께 죽고 다시 그분과 함께 살리시려고 예수 그리스도께 묶어( 본 논문은 창세기 22장 1-19절을 주석하면서 폴 리쾨의 해석방법론을 적용하는 시도를 하였다. 그러한 시도를 하게 된 계기는 폴 리쾨르의 성서 해석방법론이 성경읽기 방법론에 대한 변화를 통해 새로운 자기 이해와 함께 독자의 삶을 변혁해 낼 수 있다고 판단하였기 때문이다. 리쾨르는 주체를 희생시키지 않는다. 오히려 비평의 사막 지대를 통과해서 다시 하나님의 부르심을 받아 겸손해진 주체가 능동적으로 자기 삶을 변혁해 갈 수 있는 가능성을 갖게 된다. 그러한 기대를 가지고 창세기 22장 1-19절 본문의 핵심 단어인 히브리어 동사 <라아>(har)와 <라아>(har)가 들어 있는 문장이 지시하는 의미를 분석한 결과, 본문은 하나님께서 보신다는 문자적인 의미를 넘어서 시험하시는 하나님이 곧 준비하시는 하나님이라는 의미를 지시한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뿐만 아니라, 하나님의 시험은 마침내 당신이 부른 사람에게 복주시기 위함이라는 것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하나님께서 처음 아브라함을 부르셨을 때 주신 언약에 대한 확증이기도 하다. 마지막으로 폴 리쾨르의 해석 방법론을 적용하여 본문을 해석했을 때, 창세기 22장 1-19절 본문이 오늘 우리에게 주는 또 하나의 중요한 교훈은, 하나님의 보심, 즉 하나님의 시험하심과 하나님의 준비하심의 역설이, 아들을 죽여야 할 아버지 아브라함과 아버지로부터 죽임을 당할 아들 이삭을 함께 묶으셨던 것처럼, 오늘 우리를 그분과 함께 죽고 다시 그분과 함께 살리시려고 예수 그리스도께 묶어(?????? - 임마누엘 = 본문 6절, 8절의 (???? - 야흐다브 + 본문 9절의 (??? - 아카드) 하나님의 거룩하신 성품을 닮아가게 하신다는 사실이다. 주제어: 창세기 22장, 라아, 시험, 폴 리쾨르, 성서 해석학

      • 의약품 부작용 피해구제제도의 개선 방안

        박남희 충북대학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Korean government established the relief system for adverse drug reaction that provides relief benefits to sufferers due to the occurrence of adverse drug reactions even after proper use of drugs in the Pharmaceutical Affairs Law in 1991 and implemented it from 2014. The aims of this study are (i) to investigate the statuses and procedures about the relief system for adverse drug reaction in Korea and (ii) to suggest the efficient future plans and strategies referred to investigation. The bereaved families of the victims have to submit the application and the relevant documents and then researchers of KIDS(Korea Institute of Drug Safety & Risk Management) investigate to identify a causal relationship between the adverse reactions and pharmaceuticals based on the papers. Until now, the system has ended from relief to victims through the review of investigators to identify them about cases filed. However, we believe to utilize and generate a lot of accumulated information that were researched and evaluated to adverse drug reaction for the relief as post-marketing safety information through the collaboration of divisions related of relief system and safety inform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