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하기도 감염 소아들의 비흡인물에서 분리된 Adenovirus 혈청형 1,2,5형의 유전체형 분석

        박기원 고려대학교 대학원 2005 국내박사

        RANK : 248639

        목 적 : DNA 제한효소 분석법을 이용한 아데노바이러스의 유전체형 분석에서 많은 연구자들이 서로 다른 종류의 제한효소와 명명법을 사용하여 분류함으로 혼란을 초래하고 있다. 본 연구는 가장 체계적인 방법으로 아데노바이러스 유전체형을 분류한 Li와 Wadell의 제한효소 분석법과 명명법을 이용하여 혈청형 1, 2, 5형의 유전체형을 분류하고 그 분자역학과 유전체형 상호 간의 연관성을 밝혀내고자 하였다. 방 법 : 1990년 11월부터 2003년 2월까지 하기도 감염으로 서울대학교병원 소아과에 입원하였거나, 서울지역 타 종합병원 소아과에 입원한 소아들로부터 채취한 비인두 흡인물을 검체로 하였으며, 검체에서 분리된 아데노바이러스 382주를 대상으로 하였다. 중화항체 반응법을 이용하여 혈청형을 결정하고 확인된 혈청형 중 1, 2, 5형을 대상으로 하여 DNA를 추출하고 12가지 제한효소 BamHI, BclI, BglI, BglII, BstEII, EcoRI, HindIII, HpaI, SalI, SmaI, XbaI, XhoI로 절단한 후 전기영동 시키고 나타나는 분절형태를 각혈청형의 표준주와 비교하여 분석하였다. 유전체형간의 상관성을 비교하기 위하여 PCRF 분석을 시행하였다. 결 과 : 분리주 382주를 대상으로 혈청형을 확인한 결과, 혈청형 1형 33(9%)례, 혈청형 2형 45(12%)례, 혈청형 3형 107례(28%), 혈청형 4형 16례(4%), 혈청형 5형 24례(6%), 혈청형 6형 8례(2%), 혈청형 7형 116례(30%), 혈청형 11형 9례(2%), 그 외의 형들이 24례(6%)로 나타났다. 변이 유전체형은 혈청형 1형 18종류, 혈청형 2형 25종류, 혈청형 5형 10종류가 분류되어 새롭게 명명되었다. 분류된 유전체형 가운데 표준주와 혹은 이전에 보고 된 유전체형과 일치하는 유전체형은 발견 되지 않았다. 대부분의 유전체형은 전 연구기간 동안 1-2 주만 분리 되었고 일부 유전체형들은 산발적으로 수 주 반복 분리되었다. 유전체형 Ad1p5나 Ad5a1와 같이 유행성 양상을 시사하는 분포형태를 보이는 유전체형도 관찰되었다. 혈청형 1형 유전체형 간의 PCRF %는 79-99%로 GC1과 GC2로 구분 되었고, 혈청형 2형과 5형은 각각 82-99%와 84%-99%로 모두 80% 이상이었다. 결 론 : 본 연구는 혈청형 1, 2, 5형 유전체형의 다양한 변형성을 보여 주었다. 혈청형 1, 2, 5형이 주로 산발성 감염을 일으키는 것으로 알려져 왔으나 유전체형에 따라 유행성 양상을 보이는 변이형들이 관찰되는 것은DNA의 일부 변형이 바이러스의 감염력과 생존력 향상에 변화를 일으켰을 가능성을 시사한다. 본 연구결과는 혈청형 1, 2, 5형의 비교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변이 유전체형들에 대한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백신 개발을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교내 자율장학 영역별 교사의 기대수준과 실행수준의 차이 연구

        박기원 금오공과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8639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basic information for effective school-based autonomous supervision by analysing the difference between expectation level and practice level of teachers in each section of professional, individual, and organizational development. This study analyzed, firstly, the background factors of expectation level with teachers in each section, and, secondly, the background factors of practice level, and lastly, the background factors of both expectation level and practice level. The resul is as following. First, the expectation level in various areas of school-based autonomous supervision turned out to be in average. This can be attributed to the heavy burden of teachers, resulting from the extra-curricular work such as too much paperwork, complementary classes or night study supervision. Under these circumstances, it is strongly recommended that this extra-curricular burden be reduced by lessening the amount of teachers' paperwork and the number of classes in charge. And it is also important that teachers in general should have a better image of school-based autonomous supervision by achieving a higher standard of psychological, physical, and human resources. Second, the practice level of school-based autonomous supervision turned out to be ordinary, too. In the school-organizational development area, the teachers with more than 21 years of teaching experience show better performance. This means that teachers with longer teaching experience are better motivated to achieve the educational objectives of the school by enhancing the educational environments such as the morale and working conditions of their workplace. On the contrary, the teachers with 10-20 teaching experience showed poorer performance. This can be attributed to the fact that those teachers who want to be educational administrative specialists are more interested in the promotion and self-improvement in the developmental stage of teacher. The experiences of this stage, though possibly negative, can also be put into use in going up the developmental ladder of becoming a good teacher. So it is highly recommended that these teachers should be positively motivated by making them participate voluntarily in school-based autonomous supervision, encouraging and reinforcing those teachers of great enthusiasm, and reflecting those results in the promotion, evaluation and awards. Third, the difference between the expectation level and the practice level in the personal development of teachers is greater in the teachers of private schools than those of public or national schools. This can be attributed to the fact that teachers in private schools have a higher desire for personal development but have a less chance of achieving it. So it is very important to put into consideration the various personal differences of individual teachers. For the personal development of teachers, it is highly recommended that they have various and repetitive workshops based on their personal needs. And also depending on the individual teachers, school-based autonomous supervision must help them feel secure psychologically, emotionally, physically, domestically and socially, and assist them pursue self-development in every stage of their teaching careers.

      • 무선전력전송을 위한 시공간 보간 빔포밍 기법

        박기원 숭실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 논문에서는 시공간 보간 기반 무선전력전송 빔포밍 기법을 제안한다. 전파방사방식을 기반으로 하는 무선전력전송 시스템에서 송신 빔포밍을 사용하면 송신 전력을 집중시켜 에너지 전송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최적의 빔포밍을 위해서는 송신기의 발사각 또는 송신기와 수신기 사이의 채널정보가 필요하다. 제안하는 시공간 보간 기반 무선전력전송 시스템에서는 주기적으로 피드백 받은 파일롯 신호를 통해 매 프레임마다 프레임 구간 내에서 변화하는 최적의 조향 방향을 연속적으로 추정하여 전력전송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시간 보간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제한된 파일롯 신호의 해상도에 의한 전력전송 효율 증가를 위한 조향 방향의 정확도 향상은 3차원 Thin-Plate Spline (TPS) 모델을 이용한 공간 보간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제안한 시공간 보간 기법은 무선전력전송 시스템에서 시공간을 고려한 빔 조향 방향 정확도와 전력전송 효율 향상을 목표로 하고 모의실험을 통해 제안한 기법의 성능을 검증한다. In this thesis, we propose a fine beam tracking using spation-temporal interpolation in wireless power transfer systems. In a wireless power transfer system based on the RF method, transmission beamforming can improve energy transmission efficiency by concentrating transmission power by using. For optimal beamforming, angle of departure (AoD) or channel information between a transmitter and a receiver is required. In the proposed space-time interpolation-based wireless power transfer system, it is possible to improve power transmission efficiency by continuously estimating the optimal steering direction that changes within the frame section based on the optimal AoD for every frame through the periodically fed back pilot signal. We propose a temporal interpolation algorithm. In addition, we propose a space interpolation algorithm using thin-plate spline (TPS) model to improve the accuracy of steering direction to increase power transmission efficiency by approximating the limited resolution of the pilot signal. The proposed spation-temporal interpolation technique aims to improve the beam steering direction accuracy and power transmission efficiency considering spatio-temporal in a wireless power transfer system, and the numerical results are presented to verify the performance of the proposed algorithms.

      • CMP용 리테이닝 링의 소재와 형상이 웨이퍼 연마특성에 미치는 영향

        박기원 인천대학교 일반대학원 2020 국내박사

        RANK : 248639

        오늘날 현대인들은 다양한 디지털 환경 속에서 살고 있으며, 그 환경을 구성하는 기기의 핵심에는 반도체가 있다. 이러한 이유로 최근 4차 산업시대를 맞이하여 인공지능, 자율 주행, 사물인터넷 등의 구현을 위한 반도체 산업은 글로벌 시장의 블루오션이 되고 있으며 각 나라별로 시장을 선점해 영향력을 넓히려는 경쟁이 치열하다. 반도체가 만들어지기까지는 여러 제작공정을 거쳐야 하는데 그 중 화학 기계적 연마공정인 CMP(Chemical Mechanical Polishing)는 웨이퍼 박막을 균일하게 제거함으로써 정밀도를 높일 수 있는 반도체 공정의 핵심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CMP 공정에서는 웨이퍼의 가이드 역할을 하고, 가공 시 고정밀도와 치수의 안정성을 높이기 위하여 리테이닝 링(retaining ring)이 사용되고 있다. 이는 화학물질인 다양한 슬러리(slurry)와 접촉하며, 높은 기계적 하중을 받기 때문에 우수한 탄성, 인성 및 강도를 가져야 한다. 보통 리테이닝 링에 사용되는 재료적 구성으로는 일반 범용성 플라스틱 보다는 높은 내마멸성과 기계적 성질이 우수한 PPS와 PEEK 재질의 고분자플라스틱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한편, 보통의 리테이닝 링은 수지류인 플라스틱으로만 제조되고 있어 강도가 약하고 링 자체의 평탄화 작업 소요시간이 많아져 커버 볼트 조임에 의한 힘의 불균형으로 인해 편마멸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대두되고 있다. 때문에 이러한 현상을 개선하고자 리테이닝 링과 인서트 링(insert ring)을 일체로 성형한 몰딩형과 접착제로 접합한 본딩형 리테이닝 링이 사용되고 있으며, 인서트 링의 소재 선택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이러한 소재의 선택뿐만 아니라 리테이닝 링의 표면형상도 링의 예비연마 시간에 큰 영향을 미쳐 생산성을 좌우하는 요소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지금까지의 CMP 공정에 대한 많은 연구에도 불구하고 리테이닝 링의 소재나 제조방식 및 표면형상이 웨이퍼의 연마특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CMP 장비에 사용되는 핵심부품인 리테이닝 링을 대상으로 다음과 같은 연구를 수행하였다. 1) PPS와 PEEK 소재로 시편을 제작하고 인장, 압축 및 충격 시험을 통하여 기계적 성질을 규명하였으며 아울러 마찰계수도 비교 분석하였다. 2) PPS와 PEEK 소재로 리테이닝 링을 각각 성형한 후 CMP 공정으로 각 링이 웨이퍼의 연마특성과 링 자체의 마멸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실험적으로 규명하고자 웨이퍼의 연마율이나 프로파일의 높이편차 및 링의 마멸량을 비교 분석하였다. 3) PEEK 소재의 리테이닝 링에 Zn 또는 STS304 소재의 인서트 링을 몰딩하여 제작한 리테이닝 링을 이용하여 링의 두께 편차나 표면의 평탄도 및 실제 산화막 CMP 공정 시 소재제거율 등을 분석하여 인서트 링의 소재가 결과적으로 웨이퍼의 연마 평탄도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였다. 4) 리테이닝 링의 예비연마 시간을 단축하기 위하여 링의 표면에 톱니형상의 미세패턴을 성형한 톱니형(serration type)의 리테이닝 링을 제작하여 기존 제품과의 예비연마 시간을 비교 분석하였다. 이러한 실험을 통하여 아래와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1) PPS와 PEEK 소재의 기계적 성질은 전반적으로 PEEK 소재가 우수하였다. 2) 웨이퍼에 대한 CMP 공정 시 PPS 링이 웨이퍼 프로파일의 중심부 편차 및 평탄도 측면에서 우수하며, 미세하나마 PPS 링 자체의 마멸도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3) 인서트 링의 소재가 STS304일 경우 두 링의 볼트 체결 전후의 평탄도나 절삭실험을 통한 평탄도가 우수하였으며, CMP 공정 후 재료 제거율 및 평탄도도 우수하였다. 4) 톱니형 패턴을 갖는 리테이닝 링의 예비 연마시간은 기존의 링보다 3.5배 이상 마멸속도가 빠르며 웨이퍼의 연마 시 균일한 프로파일을 얻을 수 있어 기존 제품보다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Key words : CMP(chemical mechanical polishing, 화학기계적 연마), 리테이닝 링(retaining ring), PPS, PEEK, 웨어퍼 프로파일(wafer profile), 마멸(wear)

      • 머시닝센터 인덱스 부가축을 이용한 캠 축 가공면의 表面거칠기 특성에 관한 硏究

        박기원 한국산업기술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8639

        최근 기계부품의 정밀가공 산업현장에서의 머시닝센터 활용은 과거 일반 선반과 같이 범용 공작기계처럼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특수 지그 및 고정구를 장착하면 복잡한 형상의 제품도 고정도의 가공면을 얻을 수 있다. 절삭가공에서 가공물의 치수정도, 형상정도 및 거칠기 정도는 매우 중요하며, 초고속 고정밀화, 리드타임 단축, 추가 비용 절감, 표면거칠기 개선 등이 절삭가공의 경쟁력이 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비교적 형상이 복잡한 캠축을 머시닝센터의 부가축인 인덱스에 장착하여 절삭가공의 특성을 실험하였으며 실험결과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실험에서 절삭속도 15~20m/min의 저속에서는 가공면의 표면이 거칠었고 20~30m/min에서는 거칠기 정도가 상당히 향상 되었다. 또한 회전수가 점차 고속이 될수록 표면거칠기는 향상되었으나 일정 임계점을 초과하는 35m/min에서는 표면이 급격히 거칠어졌다. 가장 양호한 임계점의 절삭속도의 범위는 30m/min임을 보였다. 고속도강(HSS) 엔드밀을 이용한 절삭가공시 절삭속도 15~20m/min의 저속인 경우 가공면이 치우쳤으나, 절삭속도 30~40m/min로 상승시킬수록 가공면이 중앙으로 이동하여 정상적으로 되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고속도강(HSS)엔드밀과 키홈 엔드밀의 특성에 관계없이 표면거칠기는 공구의 윤활과 냉각이 양호할수록 우수한 가공 면을 얻을 수 있었다. 캠축 가공에 있어 가공면의 표면거칠기는 냉각수(Coolant) 보다 공기압축냉각절삭(Air Dry Cutting)을 사용 했을 때 냉각 온도가 23.3도에서 18.6도로 약 25% 향상되었으며, 공기압축냉각절삭(Air Dry Cutting) 보다는 유제분사가공유(Oil Mist)를 분사 시키면서 가공 했을 때 18.6도에서 13.3도로 약14% 더 향상된 표면거칠기를 얻을 수 있었다. 유제분사가공유(Oil Mist)를 분사하면서 가공할 때 냉각과 윤활성이 우수하여 거칠기 정도가 가장 양호함을 알 수 있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