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Association Between Seafood Intake and Incidence of Cardiovascular Disease in middle-aged Korean adults : the Korean Genome and Epidemiology Study(KoGES)

        박규희 이화여자대학교 임상보건융합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심혈관계 질환은 심장 및 혈관에 이상이 발생되는 대표적인 비전염성 질환으로 고령화로 인한 유병률의 상승, 치명율의 감소로 인한 장애 인구 증가에 따른 국가의 부담이 증대될 것으로 예상된다. 수산 식품의 섭취, 특히 오메가 3 다중 불포화지방산이 심혈관계 질환에 있어 유익한 영향을 미치는 것을 선행 연구를 통해 확인 할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국내의 수산 식품의 섭취와 심혈관계 질환 발생과 관련해 종단 연구는 물론이고 단면 연구도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한국 중년 인구의 수산 식품 섭취량을 분석하고 10년 후의 심혈관계 질환 발생과의 상관성을 분석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질병관리청 국립보건 연구원의 한국인 유전체 역학 조사사업(Korean Genome and Epidemiology Study; KoGES) 안성 및 안산 지역의 2005-2006년부터 2015-2016년의 10년간 추적 자료를 이용하였다. 안성 및 안산 지역 사회 코호트 연구에 참여한 40-69세의 중년 7,515명(남성: 3,588, 여성: 3,972)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수산 식품의 섭취량은 17가지 수산 식품의 섭취량의 합을 산출하여 3그룹으로 나누었다. 심혈관계 질환은 심근경색, 관상동맥질환, 울혈성 심부전, 뇌혈관 질환(뇌졸중), 말초혈관 질환에 대해 새롭게 질병의 진단을 받았거나 이전 조사에서 진단을 받은 경우, 치료를 받았거나 받은 경험이 있는 경우, 약물 복용 여부 중 한 가지라도 ‘예’로 답한 경우 심혈관 질환으로 정의하였다. 10년간의 추적 조사 이후 수산 식품의 섭취량과 심혈관계 질환 발생과의 상관성을 분석하였다. 수산 식품 섭취량이 적은 대상자에서 전반적인 식품군 및 영양소의 섭취량이 적었으나 에너지를 보정한 경우 곡류 및 가공품과 탄수화물의 섭취량은 유의하게 많은 경향을 보였다.(p-trend <.0001) 불포화지방산 섭취량은 수산 식품 섭취량이 적은 대상자에서 그 섭취량도 적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p-trend <.0001) 수산 식품 섭취량과 심혈관계 질환 발생률을 보면 남성과 여성을 모두 포함하여 수산 식품 섭취량이 가장 적은 그룹에서 12.80% 가장 많은 그룹이 7.86%로 수산 식품 섭취량이 적은 대상자에게 심혈관계 질환 발생률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수산 식품섭취량과 심혈관계 질환 발생위험비는 성별, 연령, 에너지, 음주, 흡연, 운동, 교육 수준, 가계 수입 정도, 채소와 과일의 섭취를 보정했을 때 전체 대상자의 수산 식품 섭취량이 많은 그룹의 심혈관계 질환 발생위험이 0.758(0.598-0.959)낮았다.(p-trend 0.0213) 본 연구에서는 수산 식품 섭취량에 따른 10년 후 심혈관계 질환 발생과의 상관성을 규명하였다. 수산 식품의 섭취가 높은 대상자에게서 심혈관계 질환 발생이 적은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수산 식품의 섭취가 심혈관계 질환 발생의 감소 및 예방에 긍정적인 작용을 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Cardiovascular disease is a non-communicable disease that causes abnormalities in the heart and blood vessels, and is expected to affect government with a growing trend of societal burden due to the increase in the disabled population which is caused by a rise in prevalence and a reduction in the fatality rate. Many studies have shown that consumption of seafoods has a positive effect on a variety of diseases, especially fish and omega-3 poly unsaturated fatty acids, which have a beneficial effect on cardiovascular disease. Nevertheless, there is a lack of domestic research related to the consumption of seafood and the occurrence of cardiovascular disease. Therefore, we will analyze the consumption of seafood in the middle-aged population of Korea and the correlation with the occurrence of cardiovascular disease. This study utilized tracking data from 2005-2006 to 2015-2016 in Anseong and Ansan regions of the Korean Genome and Epidemiology Study (KoGES) of the National Institute of Health of the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The analysis involved 7,515 middled aged people between 40 and 69, who participated in cohort studies in Anseong and Ansan (3,588 for men and 3,972 for women). The total intake of seafood was calculated from the consumption of intakes in 17 types of seafoods and was divided into three groups. This study defined term of cardiovascular disease when newly diagnosed, previously received treatments or medical prescriptions (if applied any of them), in any conditions of myocardial infraction, coronary artery disease, congestive heart failure, cerebrovascular disease (stroke) or peripheral vascular disease. After a 10-year follow-up survey, the correlation between intake of seafood and cardiovascular disease was analyzed. Among those with low intake of seafoods, while the overall intake of food groups and nutrients was low, showed a significantly higher intake of grain, processed products and carbohydrates when their caloric content was adjusted.(p-trend <.0001) The intake of unsaturated fatty acids was confirmed to be low in those with low intake of seafoods.(p-trend<.0001) According to the incidence rate of seafood intake and cardiovascular disease, 12.80% of the group with the highest seafood intake, including both men and women, and 7.86% of the group with the lowest seafood intake, showed a low incidence in the subjects with high seafood intake. The risk of occurrence of seafood intake and cardiovascular disease was 0.758(0.598-0.959) times lower than that of the group with the lowest intake of seafood when all gender, age, energy intake, alcohol drinking, smoking status, exercise, education, and household income, intake of fruits and vegetable were adjusted. (p-trend 0.0213) while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men and women when analyzed according to gender.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correlation between cardiovascular disease occurrence by intake of seafood. The result of reducing the incidence of cardiovascular disease in middle-aged korean who consume a quantity of seafood was confirmed. Therefore, it is considered that the consumption of seafoods will have a positive effect on reducing and preventing cardiovascular disease.

      • 간호사의 의료기관평가에 대한 인식도가 간호업무수행 능력에 미치는 영향

        박규희 건국대학교 행정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의료서비스에 대한 국민의 관심이 질적 측면으로 전환되어 환자권리의식이 신장됨에 따라 일정수준의 의료서비스를 국민들에게 제공할 수 있도록 의료기관의 수준을 객관적, 전문적으로 보장할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의료기관이 제공하는 의료서비스 수준의 평가를 통해 의료서비스 향상을 도모하고 의료기관을 이용하는 환자의 불편을 최소화하여 양질의 의료서비스를 국민들이 제공 받을 수 있게 하고자 의료기관평가제도가 실시되었다. 병원 조직에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간호 인력은 병원의 전반적인 이미지를 결정할 뿐만 아니라 제일 처음 의료서비스를 접하는 부서로서 전반적인 의료서비스 만족도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위치에 있다. 병원경영진은 병원평가에서 고객의 만족도를 올리기 위하여 전문적인 업무를 수행해야 하는 간호사에게 더욱 친절하고 질 높은 서비스를 제공할 것을 가용하여 이에 간호사는 지속적인 스트레스로 인해 간호사가 평가제도에 부정적인 태도를 보인다. 그러므로 의료기관평가제도가 잘 활용되고, 간호사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의료기관평가제도에 대한 충분한 이해와 긍정적 인식으로 평가에 적극적인 참여를 유도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의료기관평가와 간호업무수행 능력에 관한 문헌검토와 이론적 논의를 바탕으로 K대학 병원의 1회 이상 의료기관평가경험이 있는 134명의 간호사를 대상으로 2014년 11월 6일부터 11월 12일까지 7일간 실시한 설문조사 결과를 토대로 간호사의 의료기관평가에 대한 인식도와 간호업무수행능력과의 관계를 실증적으로 분석하여 개선방안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대상자의 일반적인 특성이 의료기관평가에 대한 인식과 간호업무능력 차이가 있음을 밝히기 위해 개인적 특성요인 중 연령, 임상경력, 결혼상태, 최종학력, 근무부서에 따라 의료기관평가인식과 간호업무수행능력과에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의료기관평가 인식도와 간호업무수행 능력간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여 상관관계분석을 실시하였다. 의료기관평가에 대한 인식도에 따라 간호수행능력과 정(+)적인 상관관계를 보였다. 셋째, 의료기관평가에 대한 인지도가 간호업무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희귀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의료기관평가에 대한 인식도 하위영역 중 의료기관평가 인지도가 높을수록 간호업무수행능력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논문의 분석결과가 제시하는 바와 같이 의료기관평가의 인지도는 간호업무수행 능력에 주요한 요인이다. 의료기관평가 목적이 의료의 질 향상이며, 간호업무 성과 목적 또한 간호사의 서비스 질을 향상 시키는 것이다. 이점에서 의료기관 평가 제도를 보다 적극적으로 이용하여 간호업무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을 고안해야 할 것이다. 첫째, 의료기관평가제도에 대한 인식을 강화하기 위해서는 평가 준비에 대한 보상제도의 설계가 필요하다. 간호부서는 평가기간 동안 많은 준비를 해야 하는 부서이며 평가기간 동안 업무가 가중되어 많은 간호사가 평가제도에 부정적 태도를 보이고 있으므로 평가준비에 따른 적절한 보상제도의 마련도 필요하다 둘째, 의료기관평가제도가 현장에서 시행되고 있는 실질적인 간호 실무업무 조사하여 성과 측정이 가능하도록 보다 세분화된 간호의 질 지표가 개발필요하며, 이를 표준화하여 그 타당성을 높여야 할 것이다. 셋째, 근무경력이 높아질수록 의료기관평가에 대한 인식과 간호업무수행능력이 높게 나타나고 있는 사실을 고려하여 근무 경력에 따라 교육의 요구도를 조사하여 특별 프로그램을 개발 필요하다. 이런 프로그램 개발을 간호조직의 발전과 의료의 질 향상을 도모할 것이다.

      • 청소년의 가정환경에 따른 생활만족도와 스트레스의 차이

        박규희 전주대학교 상담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청소년의 가정환경에 따른 생활만족도와 스트레스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한 목적으로 실시하였다. 연구 대상은 전국의 청소년(중학생 2학년∼고등학생 2학년)으로 하며, 2014년 4월∼5월 2달 동안 Google Drive를 활용한 온라인 및 모바일 설문조사로 이루어졌다. 본 연구에 참여한 청소년 214명의 성별은 남학생은 87명(40.5%), 여학생은 127명(59.1%)이고 학년별로는 중학교 2학년 40명(18.6%), 3학년 68명(31.6%), 고등학교 1학년 38명(17.7%), 2학년 68명(31.6%)이었다. 본 연구는 청소년의 가정환경에 대한 인식을 여가시간을 보내는 방법, 가정에 대한 정의(인식), 형제자매 관계에 대한 인식, 부모의 양육태도에 대한 인식, 부모의 화목정도에 대한 인식, 가정불화의 원인에 대한 인식, 주거지역, 주거분위기에 대한 인식 등 8가지 영역으로 분류했다. 주요연구 결과는 첫째, 청소년의 가정환경에 따른 청소년의 생활만족도 차이를 비교했다. 그 결과 여가시간을 보내는 방법, 가정에 대한 정의, 형제자매 관계 그리고 부모의 화목정도 등에 따라 생활만족도의 차이가 있었다. 둘째, 청소년의 가정환경 따른 일상생활 스트레스의 차이를 비교했다. 그 결과 여가시간을 보내는 방법, 가정에 대한 정의, 형제자매 관계, 부모양육태도 그리고 부모의 화목정도 등에 따라 일상생활 스트레스가 차이가 났다. 셋째, 청소년의 생활만족도와 일상생활 스트레스는 부적 상관관계가 있었다. 본 연구의 의의와 한계점, 향후 연구방향이 논의되었다. This study tried to testify the differences of adolescent life satisfaction and stress by perceived home environment composed of 8 domains: leisure, home cognition, relation of brothers and sisters, parenting attitude, family harmony, family conflict, residental area, atmosphere of dwelling. The main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dolescent life satisfaction were proved to be different by home environment. Especially leisure, home cognition, relation of brothers and sisters, family harmony was important factors in influencing adolescent life satisfaction. Second, adolescent life stress were different by home environment. Especially leisure, home cognition, relation of brothers and sisters, parenting attitude and family harmony was important factors in influencing adolescent life stress. Third, adolescent life satisfaction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life stress. The limitation and future task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 알코올사용장애자 부부에게 적용한 수용전념 프로그램 효과

        박규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박사

        RANK : 247631

        This study used a mixed methods design to develop a group program based on acceptance and commitment therapy for couples, consisting of people with alcohol use disorder and their spouses, and to examine the effects it has on self-compassion, acceptance-action, dyadic adjustment, and psychological well-being. Based on an acceptance and commitment therapy model, the group program for couples was developed through the process of establishing goals and constructing contents for, conducting preliminary research, implementing and evaluating the program. A review of national and international literatures and a preliminary research was conducted to draft the program, and it was finalized via consultation with 7 experts. Patients, with alcohol use disorders and currently hospitalized in alcoholic treatment clinics and mental health hospitals, and their spouses were gathered to participate in this study. Of 43 couples, 21 couples were selected as the experimental group and 22 couples as the control group. The group program for couples was implemented on the experimental group for a total of 8 sessions, 120 minutes per session(30 minutes for introduction, 60 minutes for body, 30 minutes for conclusion) once a week for 8 weeks. A pretest session of the program consisting of 6 groups with 3~5 couples from only experimental group were implemented. Data was collected from March to October 2018 and the effect of the program was verified through pre- and post-surveys. The quantitative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IBM SPSS WIN 22.0 program, and the variation in th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before and after the interventions were determined using independent t-test. The qualitative data were analyzed using content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self-compassion of the experimental group was enhanced through the group program for couples, as the self-compassion of the experimental and the control group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of variation between the groups before and after the intervention. 2. The effect of the program was presented in the enhancement of the experimental group's acceptance behavior via significance in difference of variation between the groups before and after the intervention. 3. The enhanced dyadic adjustment was also proven through implementing the program from the significance presented in the variation difference between the groups before and after the intervention. 4. The psychological well-being of the experimental and the control groups were significant in the difference between groups before and after the intervention, presenting the program’s effect on enhancing psychological well-being. 5. After 8 sessions of the group program based on acceptance and commitment therapy for couples with alcohol use disorders, 17 couples in the experimental group who agreed to participate in the focus group interviews were interviewed about their experiences of change during the intervention of the program. As a result of analyzing qualitative data, 80 meaningful statements, 35 subcategories, 10 categories and 4 themes were extracted from the patients. The patients reported that their experiences of change through the program led to an objective view of themselves, the redefining of new values of life, and a devotion to the life toward those values. A total of 82 meaningful statements, 38 subcategories, 11 categories, and 5 themes were derived from the patients’ spouses. The spouses stated that his or her experiences with the changes in participating in the program led to a reflection of their current state, the seeking of recovery-oriented values, and the devotion to realizing of those values. Therefore, the group program based on acceptance and commitment therapy for couples with alcohol use disorders can be used as a validated intervention method to improve self-compassion, acceptance behavior, dyadic adjustment, and psychological well-being 본 연구는 수용전념치료를 입원한 알코올사용장애자 부부에게 적합하도록 수정ㆍ보완하여 적용하고, 양적 연구 결과에 따라 질적 연구를 보완적으로 수행함으로써 프로그램 효과를 통합적으로 분석하고 이해하고자 설명적 순차 설계 혼합연구이다. 즉, 수용전념 부부프로그램이 자기자비, 수용행동, 부부적응,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효과를 평가하고,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통해 프로그램 참여 경험을 탐색한 질적 자료로 양적 연구 결과를 보완하였다. 연구대상은 알코올전문병원과 정신건강의학과 병동에 입원한 알코올사용장애자와 배우자 부부 실험군 21쌍, 대조군 22쌍이다. 수용전념 부부프로그램은 실험군에게 주 1회, 매회 120분, 총 8회기 진행하고, 자료 수집은 2018년 3월부터 10월까지이며 사전, 사후 설문을 통해 프로그램 효과성을 확인하였다. 양적자료는 IBM SPSS WIN 22.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실험군과 대조군의 동질성 검정을 위해 일반적 특성과 자기자비, 수용행동, 부부적응, 심리적 안녕감은 Chi-square test, Fisher's exact test, Independent t-test로 분석하였다. 정규성 검정은 종속변수에 대한 Shapiro-Wilk 검정을 실시한 결과 모두 정규성 가정을 충족하여 Independent t-test로 분석하였다. 실험군과 대조군의 집단 내 종속변수의 변화는 paired t-test로 검정하였고, 실험군과 대조군의 종속변수의 변화 차이 검증은 independent t-test로 분석하였다. 질적자료는 수용전념 부부 프로그램 8회기를 마친 후 포커스 그룹 인터뷰 참여에 동의한 실험군 17쌍을 대상으로 프로그램 참여 경험에 대해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하였다. 질적 자료는 Krippendorff(2013)의 내용분석법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실험군과 대조군의 자기자비는 중재 전, 중재 후 변화의 차이가 집단 간 유의하여 수용전념 부부프로그램이 자기자비 향상에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2. 실험군과 대조군의 수용행동은 중재 전, 중재 후 변화의 차이가 집단 간 유의하여 수용전념 부부프로그램이 수용행동 향상에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3. 실험군과 대조군의 부부적응은 중재 전, 중재 후 변화의 차이가 집단 간 유의하여 수용전념 부부프로그램이 부부적응 향상에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4. 실험군과 대조군의 심리적 안녕감은 중재 전, 중재 후 변화의 차이가 집단 간 유의하여 수용전념 부부프로그램이 심리적 안녕감 향상에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5. 질적자료 분석 결과, 알코올사용장애자는 35개의 하위범주, 10개의 범주, 4개의 주제가 도출되었다. 알코올사용장애자의 주제는 나의 문제를 제대로 바라보게 됨, 치료과정을 기꺼이 받아들임, 배우자에 대한 공감과 긍휼함을 갖게 됨, 가족 안에서 자리를 찾아감이 도출되었다. 배우자는 38개의 하위범주, 11개의 범주, 5개의 주제가 도출되었다. 배우자의 주제는 객관적으로 나를 바라보게 됨, 새로운 변화를 위해 발을 뗌, 삶의 희망을 갖게 됨, 배우자에 대한 마음가짐의 변화가 생김, 반려자로서 나아감이 도출되었다. 본 연구 결과 수용전념 부부프로그램은 알코올사용장애자 부부의 자기자비, 수용행동, 부부적응, 심리적 안녕감 증가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개인적인 부분, 상대 배우자 부분, 부부관계 부분에서 다양한 변화를 경험하도록 하였다. 이에 수용전념 부부프로그램이 알코올사용장애자 부부의 치료 및 회복을 위한 간호중재 방법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본다.

      • 유네스코 한국위원회 기금개발을 위한 기부자 인식 연구

        박규희 고려대학교 언론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이 연구는 2014년 1월부터 시작해서 2014년 9월 현재 200여명이 접수된 유네스코 한국위원회의 희망브릿지 사업과 관련하여 효과적인 자원동원 전략과 바람직한 기부문화 활성에 도움을 주고자 시작되었다. 이 연구는 기부자 개개인의 기부관여도에 영향을 미치는 심리적 요인인 기부동기와 기관에 대한 태도를 분석하고, 또한 개개인의 기부관여도에 따라 메시지 유형을 차별화함으로써 기부자의 신념과 태도를 긍정적인 방향으로 이끄는 데 효율적인 전략을 세우는 데 도움을 주고자 시도했다. 기부자들의 기부의사 제고 효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기 위해 이 연구는 기부관여도와 심리적인 요인(기부동기, 기관에 대한 태도), 메시지 소구유형을 변인으로 연구를 하였다. 분석결과 기부동기는 기부관여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기부관여도가 높은 집단과 낮은 집단 모두 일관되게 감성적 소구에 따른 기부의사 점수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에 따라 연구 가설은 일부만 채택되었다. 최종적인 기부의사와 심리적 요인(기부관여도, 기부동기, 기관에 대한 태도)을 비교한 결과, 기부자의 기부관여도와 기부 동기, 기관에 대한 태도가 최종기부의사와 긍정적인 관계가 있음을 시사했다. 인구통계학적 변인에 따른 최종적인 기부의사 차이를 비교한 결과, 대체적으로 연령의 경우 높을수록 최종 기부의사가 긍정적인 비율이 높았으며 직업에서는 자영업자와 회사, 주부, 공무원의 최종 기부의사가 높게 나타났다.

      • 비도체 풍력발전 블레이드에 의한 전자파 산란해석

        박규희 포항공과대학교 정보통신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Radar Signature reduction of Wind Turbine Blade must be required to avoid a possible detection from military radar sensors. This paper deals with electromagnetic wave scattering analysis on wind turbine blade using the radar cross section(RCS). RCS prediction is one of the popular and the novel approaches to analyze electromagnetic wave scattering. RCS is the property of a scattering object, or target, that represents the amount of the echo signal reflected from the object to the radar. The techniques to predict RCS can be categorized into the low frequency and the high frequency methods,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target with respect to the operating frequency. High frequency methods such as geometrical optics(GO) and physical optics(PO) can be used to predict the specular component of the scattering mechanism and provide fast and robust solutions to scattering from electrically large and complex target. In this paper, a numerical scheme based on PO method is developed to predict RCS of non-perfectly conducting body. Using computational results we analyze the effect of wind turbine blade to obstruct radar signal.

      • GARCH모형을 이용한 환율 변동성 예측성과 분석

        박규희 부산대학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analyzes a forecast Performance of exchange rate volatility based on GARCH models. The paper employed the daily exchange rate of three currencies which are KRW/USD, KRW/JPY and KRW/EUR. The data are originally collected at Economic Statistics System for about 10 years from April 1, 1998 to March 31, 2008 with 2530 observations each country. The main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examine the performance of different GARCH models in terms of their ability to predict the volatility of USD, JPY, EUR in term of KRW. For this purpose, we compare the forecasting ability of GARCH, EGARCH, GJR-GARCH and APARCH models by evaluating the loss function of each model. The loss functions of root mean squared error(RMSE), mean absolute error(MAE), mean absolute percentage error(MAPE) and theil inequality coefficient(TIC) criteria are chosen in this thesis.

      • 심화·보충형 수업이 학업성취도 탐구능력 및 태도에 미치는 효과

        박규희 전북대학교 2006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the 7th curriculum on science achievement, inquiry process skills and science-related attitude, to contribute to more efficient and professional enrichment and supplement instruction.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64 boy students in the first-grade of the middle school in Jeong-eup. They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experimental, control group. The experimental group was subdivided into an enrichment group and a supplement group according to their own hope and the results of a formative test after completing the basic learning course. These two subgroups were respectively engaged in enrichment and supplementary activities. The control group received simultaneous teaching, no matter what their level was. To find out the effect of the enrichment and supplement instruction, pretest and posttest were implemented to measure the science achievement, inquiry process skills and science-related attitude of the student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with SPSS, and ANCOVA was utilized by setting the pretest results as covariance.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belows: First, the experimental group that was exposed to the enrichment or supplementary activities in accordance with each member's level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the control group in science achievement(p〈.05). Second,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higher improvement in inquiry process skills than the control group, and the difference between them was significant(p〈.05). Third,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higher improvement in science-related attitude than the control group, and the difference between them was significant(p〈.05). The finding of the study suggested that the enrichment and supplement instruction made significant difference to science achievement, inquiry process skills and science-related attitude than simultaneous teaching. This fact justified the need for encouraging every school to provide level-class instruction of enrichment and supplementary type based on the 7th national curriculum. And it's necessary to take required action to make it possible to conduct enrichment and supplement instruc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