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감리회사의 CM사업 수행을 위한 역량 강화방안

        박광수 서울시립대학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47

        최근 국내 건설산업의 대형화, 복잡화, 전문화 추세에 따라 검사중심의 감리시장은 축소되는 반면, 품질, 비용, 공기 등의 목표를 종합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건설사업관리(CM ; Construction Management) 시장은 점차 활성화되고 있다. 이러한 환경 속에서 기존의 감리회사는, 사용자 요구에 대한 만족과 장기적인 발전을 충족시키기 위하여 부가가치가 높은 CM시장에 진입하지 않을 수 없다. 건설환경 패러다임의 변화를 인지하지 못하는 감리회사는, 심화되고 있는 시장경쟁체제에서 뒤처지게 되며, 시장에서 생존하기 위하여서는 회사의 CM 역량을 강화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감리회사에서 CM업무를 원활하게 수행하기 위하여, 감리 및 CM사례와 업무내용에 대한 비교분석을 통한 감리회사의 CM역량 강화방안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이 진행되었다. 1) 역량 강화방안의 적용가능한 정부의 분석 자료와 문헌, 관련 법규 및 연구논문 고찰을 통한 감리와 CM의 개념 및 현황을 파악하였다. 2) 국내 감리/CM사례 조사와 업무내용을 비교․분석하여 감리회사에서 CM업무 수행상의 문제점 및 시사점을 도출하고, 이에 대한 개선방향을 제시하였다. 3) 설문 및 면담조사를 통한 CM능력 향상과 역량강화의 필요성 및 개선방안을 도출하였다. 4) CM분야 전문가 면담을 통해 본 연구에서 제안한 CM사업 수행을 위한 역량 강화방안의 유효성을 검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도출된, 감리회사에서 CM업무 수행을 위한 역량 강화방안을 CM능력 향상을 위한 요소기술, 감리회사 차원의 개선방안 및 산업계 차원의 개선방안으로 분류하여 제시하였다. 역량 강화방안의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1) CM의 업무의 효율화 및 CM의 역할을 극대화하기 위해서, CM능력 향상을 위한 요소기술인 VE 및 시공성 분석, 클레임 및 분쟁해결, 파트너링, 발주관리에 대한 CM 역량을 키워야 한다. 2) 감리회사 차원의 개선방안으로서, CM 조직체계와 CM 품질시스템 의 활성화를 위해 품질경영시스템으로 정착되어야 하며 현장점검시스템 구축 및 다양한 CM의 기술개발이 필요하다. 3) 산업계 차원의 개선방안으로서, 우수한 인적자원을 효과적으로 개 발, 육성하기 위하여 전문적인 교육훈련 및 경력개발, CM과 관련 한 인프라 구축 그리고 CM용역 대가의 개선 및 CM용역 입찰실적 제한에 대한 제도적인 개선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 제안한 CM업무 수행을 위한 역량 강화방안은 감리회사가 CM시장으로 진입하기 위한 가이드라인으로서 회사의 수준 및 시스템을 향상시킬 수 있는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PQ 입찰 및 투자비용에 관한 부분은 본 연구의 범위에서 제외하였다. 향후 본 연구의 결과가 감리회사에서 실질적이고 가치가 있는 CM사업 수행을 위한 역량 강화방안이 되도록 본 연구에서 다루지 못한 제도적인 측면의 PQ 입찰 및 회사의 투자비용 등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Recently, domestic construction industries are tending to be large, complex, and specialized, so that examination-oriented supervision market is being reduced. In response to this challenge, the construction management market to comprehensively achieve targets for quality, cost, and construction duration is actively growing. Under such circumstances, existing construction inspection companies have to enter the construction management (CM) market for their long-term development and to satisfy their customers’ needs. Construction inspection companies that do not recognize changes in the construction business environment paradigm fail to follow the market’s competition system. To survive in such market, it is necessary to strengthen critical technologies to improve a company’s CM abilities. Thus, this study compares and analyzes the works in the supervision and CM cases and proposes important technologies to improve CM capabilities to smoothly perform CM businesses. The major conten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This paper studies the concept and current status of supervision and CM through analytical data from the government, a literature study, and a study on the relevant laws and regulations that can be applied to enhance CM capabilities. (2) This study compares and analyzes domestic supervision/CM cases and work details, induces problems and implications occurred in the process of performing CM projects by construction inspection companies, and proposes directions for improvement. (3) This study identifies necessities in improving CM abilities and CM companies’ capabilities through a survey and interviews. (4) Through interviews with construction supervision and CM experts, this study verified the effectiveness of the capability strengthening methods for the performance of CM projects. The measures to improve CM project performance capabilities that are proposed in this study are categorized into improvement measures in relation to the critical technologies and supervision companies and the measures oriented to the industry. The measures to strengthen the abilities are as follows. 1) To maximize efficiency of CM business and the role, CM abilities regarding critical technologies of value engineering (VE), constructability analysis, claim and disputes resolution, partnering and order management. 2) Oriented to supervision companies, quality management system should be settled down to activate CM organization systems and CM quality systems and implementation of field control system and various CM technologies development are necessary. 3) As industry-oriented improvement measures, specialized training, education and career path development, implementation of CM oriented infrastructure, improvement CM service fee and systematic improvement of the limit of the previous experiences to join CM service bidding in order to effectively develop and cultivate superior human resources. The measures to strengthen abilities to improve CM business proposed in this study are guidelines for supervision companies to enter into the CM market and they are expected to give an opportunity to improve the company’s standards and systems. There is a limit in this study with respect to the PQ bidding and investment cost, so that it was removed from this study. To make this study useful in identifying actual measures to improve the capabilities of companies to perform substantial and valuable CM projects in Construction inspection Companies , it seems necessary to conduct further studies on relevant systems, including on PQ bidding and the company’s cost of capital, etc.

      • CFD 해석 기반 CVD Gas Box에 대한 폭발위험장소 설정의 타당성 검증

        박광수 한국교통대학교 글로벌융합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47

        CVD 설비는 밀폐형 Gas Box 내에 암모니아, 실레인, 디실레인, 디클로로실란, 포스핀, 암모니아, 수소 등 인화성 가스를 취급하고 있다. 따라서 산업안전보건법에 따른 공정안전보고서 제출 대상이며 한국산업표준(KS C IEC 60079-10-1)에서 정하는 기준에 따라 폭발위험장소를 설정하고 종별에 적합한 방폭형으로 설치해야 한다. CVD 설비의 Gas Box는 상시 배기시스템과 Gas Monitoring System 등 다양한 인터록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무중단 운영에 따른 상시 가스 누출검사를 해야한다. 또한 CVD 설비는 세계 반도체 장비·재료협회에서 규정한 SEMI 규정에 따라 제작 및 인증을 받은 설비이다. 이와 같이 CVD 설비는 인터록 시스템과 세계적으로 사용되는 인증을 받았으나, 가스에 대한 최소 저장량의 기준이 없어 가스를 저장·공급하는 설비들과 동일하게 PSM 대상에 포함된다. 또한 소량의 가스 누출 시 인터록에 의해 가스가 차단되는 설비임에도 불구하고 KS표준에 따라 이론상 최대누출률을 적용하여 폭발위험장소 및 범위를 계산하도록 되어있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KS 표준에 따라 누출특성을 산출하고 CFD 시뮬레이션을 바탕으로 비교 평가하여 현재 CVD Gas Box에 대한 KS 표준을 적용함에 있어 폭발위험장소 설정에 대한 타당성을 검증하였다. 대상 물질은 디클로로실란과 암모니아로 선정하였으며, 환기 속도는 0.05m/s와 0.5m/s 기준으로 분석하였다. 환기속도가 0.05 m/s인 경우 KS 표준에 의하여 저희석으로 판정되어 방폭지역으로 설정되며, 0.5 m/s일 경우 고희석으로 비위험장소로 구분된다. 두 대상 물질과 두 조건의 환기속도를 적용하여 임계농도(LEL의 25%)까지 도달하는데 필요한 시간을 KS에 따른 계산과 CFD 시뮬레이션 계산값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두 가지 물질 모두 KS 표준에 따라 계산된 임계농도에 도달하는 시간이 CFD 시뮬레이션으로 계산된 시간보다 보수적인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고희석 조건인 0.5 m/s의 KS 표준 계산값이 저희석 조건인 0.05 m/s의 CFD 시뮬레이션 계산값보다 더 크다. 또한 Gas Box 내 가스가 누출될 경우 상시 배기시스템에 의해 능동적 배기가 되고, 인터록 시스템을 통해 1-2초 내에 인터록이 작동하여 차단된다. 따라서 CFD 시뮬레이션을 통해 계산된 임계농도에 도달하는 시간은 디클로로실란의 경우 15.2초, 암모니아의 경우 15.7초로 해당 시간 동안 가스가 잔류할 가능성이 없다. 그러므로 Gas Box 내 폭발 분위기 형성이 희박하다고 판단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CVD Gas Box는 CFD 시뮬레이션 결과를 바탕으로 비위험장소에 해당한다고 볼 수 있다. 이 연구는 가스 누출 방향을 한 방향으로 가정하여 진행하였다. 따라서 보수적인 누출 방향을 탐색하고 CFD 시뮬레이션 결과를 활용한다면 폭발위험장소 설정 시 경제적이고 합리적으로 적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韓國의 輸出決定要因에 대한 硏究

        박광수 崇田大學校 大學院 1985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Korean eonomy has achieved a stead and high growth since 1960's. Export has made a great contribution to the economic growth of Korea and will do so in the future.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analyze empirically what kind of factors influenced the export which has played a role as the engine of growth in the Korean economy. First, I examined four articles on the existing export functions in detail. Second, I explained the determinants of export, based on the demand and supply theory. Third, I specified exprot demand and supply equations and then estimated those equations by the ordinary least squares (OLS) method for 1973 1/4-1983 4/4. As a result of the estimation, I suspect that there has been the export promotion policy which could not be calculated statistically. This is the same result as shown by Dr. Song's and Dr. Suh's studies. And the results of the estimation suggest indirectly that there must be the policy scheme which compensated exporters domestically for the loss that occurred by exporting goods at lower prices. But that policy has affected the balance of payments unfavorably. Thus, for the improvement of the balance of paymentsl export must be increased not by the fall in the prices of export goods but by intensifying price and non-price competitive activities through technical innovation. Of course, the export equations which are specified in this thesis are only stepping stones to further studies in this area. Therefore, I think that the efforts of modeling more proper export function will have to be continued.

      • 일본 지진공백역에서의 쯔나미가 우리나라의 남동연안에 미치는 영향분석

        박광수 한국해양대학교 해사산업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31

        1964년 6월 16일 일본 니가타의 외해에서 발생한 리히터 규모 7.5의 강진에 의한 쯔나미, 1983년 5월 26일 일본 아키타의 전면해역에서 발생한 리히터 규모 7.7의 동해중부지진에 의해 발생한 쯔나미, 1993년 7월 12일 일본 북해도의 남서외해에서 발생한 리히터 규모 7.8의 일본 북해도남서외해지진에 의해 발생한 쯔나미는 일본의 북해도연안을 따라 남북방향으로 길게 놓여있는 지진대로부터 발생하여 한반도의 연안에 영향을 미친 대표적인 지진해일이다. 이와 같은 쯔나미는 일본의 연안에 치명적인 피해를 입혀왔으며, 동시에 동해를 전파하여 우리나라의 동해연안에도 인명 및 재산피해를 발생시켜왔다. 대략 10년을 주기로 발생하는 이와 같은 쯔나미의 발생과 그로 인한 피해를 고려하면 우리나라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단층활동이 주기적으로 일어나는 것을 알 수 있고, 이로 인한 쯔나미의 발생빈도도 증가할 것으로 예측되므로 기왕에 우리나라로 내습한 쯔나미의 거동특성의 정확한 이해뿐만 아니라, 향후 내습할 가능성이 있는 쯔나미에 대한 연구 및 대책이 시급히 요구되는 실정에 있다. 지진이 발생한지 충분한 시간이 경과되었거나 아직 지진이 발생하지 않은 일본 서측연안의 단층대에 위치하는 지진공백역은 상당한 잠재에너지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고, 향후 지진활동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으며, 이에 따른 쯔나미의 발생으로 우리나라의 동해연안에 큰 피해가 예상되고, 남해연안의 일부에도 피해가 예상되고 있다. 일본의 서측근해에서 발생된 1983년의 동해중부지진이나 1993년의 북해도남서외해지진에 의한 쯔나미가 우리나라의 동해연안에 미친 영향에 관해 동해연안에서의 수위변동, 전파시간 등과 같은 쯔나미의 특성을 검토하여 관측치와 비교한 연구는 다소 수행되었다. 그러나, 지진공백역에서 쯔나미의 발생 및 그의 영향에 대한 연구는 충분히 수행되어 있지 않은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일본 서부연안의 지진공백역에 예상되는 가상의 지진에 의한 쯔나미를 수치시뮬레이션으로부터 예측한다. 이로부터 남동부연안의 각 지점에 있어서 최대수위상승고와 시간에 따른 수위변화 등을 검토하여 지진공백역에서 발생한 쯔나미가 우리나라의 남동연안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한다. 이상에서 얻어진 가상의 결과는 우리나라의 남동연안에서 향후 연안방재의 계획 및 설계, 연안개발의 방향, 해안․항만구조물의 배치 및 내파설계 등에 중요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혼화재의 품질특성에 따른 구조적 거동에 관한 연구

        박광수 조선대학교 대학원 2001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observes ultimate load and initial bending crack load which affect structural strength through static experiment in order to trace the dynamic characteristics of structural behavior and breaking of reinforced concrete beam using admixture, the industrial by products. This experiment evaluates the relation between load and steel bar strain and that between load and deflection, crack growth, breaking and ductile capacity according to the increase of load experimentally. This study aims at providing the basic materials which can be applied to the design of actual structure. This experiment is divided into material and main experiment. The material experiment is conducted by KS, using 100 tf of U.T.M to test material properties of concrete and reinforcement which are used for the main experiment. In the main experiment, a standard specimen by strength is forced until it is broken completely, maximum proof stress is found, and finally it is determined as the maximum proof stress of standard specimen. The specimen is designed equally with an ultimate strength design method and made of 150(b)×250(b)×2100(L)mm. SD30A is used for reinforcement of the specimen and 2-Dl0 is put on the upper part and 2-Dl3 on the bottom part. D10@100 of stirrup is placed and thickness of lagging is 30 mm. The results of structural behavior of reinforced concrete beam using admixture through material and static test are as follows. 1. Depending on the proportions of admixture, the greater the fly ash content and the lower the powder of blast-furnace slag and silica fume, the greater the slump. 2. The more fly ash, blast-furnace slag powder and silica fume added, the less the air. 3. After 360 days of age, greater fly ash content contributed to a lower compressive strength, while greater blast-furnace slag powder added to higher compressive strength. Silica fume shows a high compressive strength when 10% of silica fume was added on the 360th days of age. In concrete in which admixture was added, the older the concrete, the higher the compressive strength. 4. Tensile strength at 360 days of age, the less fly ash and the more blast-furnace slag powder, the higher the tensile strength. Silica fume at 360 days of age shows high tensile strength when the mixing proportion was 30%. 5. The more fly ash and the less blast-furnace slag powder and silica fume that were mixed, the greater the fire resistance. 6. The more fly ash and silica fume in the admixture, the more neutralization shown and when there was only 10% blast-furnace slag powder present, the neutralization was also shown. 7. On yield load of shear behavior, the test specimen using admixture is lower than normal concrete. On ductile capacity, granulated slag powder test specimen is high and other specimen show lower ductile capacity than normal concrete. 8. On yield load of flexural behavior, fly ash test specimen shows a Little increase in comparison with normal concrete, but it is similar in general. On ductile capacity, fly ash and granulated slag powder test specimen are increased in comparison with normal concrete, but it is reduced in silica fume test specimen. Therefore, in the test of shear behavior of reinforced concrete beam using admixture, the test specimen using it except specimen granulated slag powder has lower ductile capacity than standard specimen. In the test of flexural behavior of reinforced concrete beam using admixture, the test specimen using it except specimen silica fume are increased ductile capacity.

      • 지역별 전문계 고등학교의 전문교과 교사 PCK 비교 : 전기·전자·통신전공 중심으로

        박광수 단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현재 전문계 고등학교 전기·전자·통신전공 교과 교사의 내용교수지식(PCK)형성에 대한 지역별 차이 여부를 조사하여 PCK 형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해 알아보고, 전문교과 교사들의 전문성 함양 및 향상에 기여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양적 연구방법 중 설문지법에 기초하여 이 연구를 수행하도록 하였다. Magnusson 등(1999)의 내용교수지식(PCK)의 구성요소를 본 연구의 목적에 맞게 적용하였으며, 전국을 대도시, 중·소도시, 농어촌 지역으로 구분하여 각 지역별 전문계 고등학교 대도시 21개교 83명, 중·소도시 13개교 59명, 농어촌 18개교 65명의 교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수집된 자료는 SPSS 12.0 (Statistical Package for the Social Science)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방법으로는 먼저, 연구대상자의 일반적인 특성을 파악하기 위한 기초 문항은 교차분석을 하였으며, 지역별 차이를 보기 위하여 χ² (Chi-square)검증을 하였다. 우선순위문항은 우선순위에 가중치 부여 후 ANOVA검증을 실시하였고, 리커드 척도로 된 문항 또한 ANOVA검증을 실시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통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지역별 교사들의 연구 활동 및 전문성 향상을 위한 변인들은 지역별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별로 교사 본인 자신의 능력을 높게 평가하고 있는 반면, 교직 경력에 비하여 현저히 낮은 수준의 연구 활동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성공적인 교육을 위한 필요변인으로서 지역별로 교사들은 모두 공통적으로 ‘교사의 전문성(자질)‘이 최우선시 되어야 한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셋째, 중·소도시(M=4.32) 지역의 교사들이 교수에 대한 신념이 가장 높았으며, 대도시(M=4.29), 농어촌(M=4.24) 지역 순으로 나타났다. 농어촌 지역에 근무하는 교사가 다른 지역에 근무하는 교사보다 신념의 평균이 다소 낮았으나,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중·소도시 지역의 교사들이 교직 전 기업체 근무 경험의 비율이 높기 때문으로 분석되었다. 넷째, 중·소도시(M=3.87) 지역의 교사들이 전기·전자·통신교육 과정의 이해에 대한 수준이 가장 높았으며, 다음으로 대도시(M=3.84), 농어촌(M=3.67) 지역 순으로 나타났다. 농어촌 지역에 근무하는 교사가 다른 지역에 근무하는 교사보다 전기·전자·통신교육 과정의 이해에 대한 수준의 평균이 다소 낮았으나,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하위 문항 중 ‘전공을 가르치기 위한 지식‘ 문항은 중·소도시 지역의 교사가 가장 높았으며,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중·소도시 지역이 경력이 낮은 교사의 비율이 상대적으로 낮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다섯째, 대도시(M=3.49) 지역의 교사들이 학습자에 대한 이해의 수준이 가장 높았으며, 농어촌(M=3.38), 중·소도시(M=3.36) 지역 순으로 나타났다. 농어촌 지역의 평균이 다소 높았으나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하위 문항 중 ‘학생들의 선수학습에 대한 다양한 방법의 접근성’ 문항에서는 부정적인 견해의 평균을 보여주었으며,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교직 경력기간이 높을수록, 담당하고 있는 학년의 비율이 낮을수록 학습자에 대한 이해의 수준이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여섯째, 대도시(M=3.91) 지역의 교사들이 수업 평가에 대한 이해수준이 가장 높았으며, 다음으로 중·소도시(M=3.88), 농어촌(M=3.75) 지역 순으로 나타났다. 농어촌 지역의 평균이 다른 지역에 비해 낮았으나,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교직 경력의 기간이 수업 평가에 대한 이해수준과 비례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일곱째, 농어촌(M=3.72) 지역에 근무하는 교사들이 대도시(M=3.68), 중·소도시(M=3.72) 지역의 교사들보다 교수전략의 수준이 다소 높게 나타났으나,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농어촌 지역 교사들이 타 지역에 비해 경력이 낮은 교사의 비율이 높았지만, 석사 이상의 고학력자의 비율이 높기 때문에 교수전략의 수준이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상의 연구 결과 교사의 PCK에 대한 지역별 차이점이 나타나지 않음으로서, 현재 교육을 받는 학생들이 교사의 전문성에 대해서는 특정 지역에 편중되지 않는 균등한 교육을 받고 있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전기·전자·통신전공 교과 교사들의 PCK 함양을 위해서는 교사 경력에 맞는 적절한 연수와 프로그램을 통하여 지속적인 능력 향상을 도모하며, 교사들의 성공적인 교육을 위한 행정적 또는 재정적인 부분의 지원이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quire the factors affecting PCK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formation, and to contribute to cultivate and improve teachers’ expertise in professional education, through investigating the regional difference of teachers’ PCK formation in electronics, electrics, and communication major at technical high schools. To achieve the purpose, the study was conducted through questionnaires of quantitative research methods. Organizational components of PCK (Magnusson et al., 1999) were modified to adapt to the research purpose. Based on the regional classification of big cities, small and medium-sized cities, and rural areas, the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to the following teachers of technical high schools 83 teachers of 21 schools in big cities 59 teachers of 13 schools in small and medium-sized cities 65 teachers of 18 schools in rural areas.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using SPSS 12.0. The basic items to find out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were cross-tabulated, and a Chi-square test was employed to examine the regional differences. Priority was weighted on the priority items that were examined then in ANOVA. ANOVA was also employed to Likert Scales item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no regional difference in the variables for research activities and professional improvement of teachers of each region. Teachers estimated their professional competence positively, whereas the results showed the substantially low level of research activities considering career experiences. Second, for the required variables for successful education, teachers commonly recognized to put professional competence the first. Third, teachers in small and medium-sized cities (M=4.32) had the highest level of beliefs about teaching, followed by big cities (M=4.29), and rural areas (M=4.24). Teachers in rural areas appeared to have lower level of recognition compared to teachers in other areas.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and the reason for the difference was analyzed as teachers in small and medium-sized cities have more experiences of working in companies before becoming teachers. Fourth, teachers in small and medium-sized cities (M=3.87) had the highest level of recognition of understanding the educational procedure of electronics, electrics, and communication major, followed by big cities (M=3.84), and rural areas (M=3.67). Teachers in rural areas appeared to have lower level of recognition compared to teachers in other areas.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ut among the sub-items,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for the sub-item of “knowledge to teach the major,” which was analyzed as it was because of low percentage of less experienced teachers in small and medium-sized cities. Fifth, teachers in big cities (M=3.49) had the highest level of recognition of understanding their students, followed by rural areas (M=3.38), and small and medium-sized cities (M=3.36). The average of teachers in rural areas was rather higher, but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However, among the sub-items, there was a level of recognition of negative view for the sub-item of “a variety of ways of accessibility in terms of students’ prior education,” which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and the recognition level was higher as the career experience was longer and the grade of responsible students was lower. Sixth, teachers in big cities (M=3.91) had the highest level of recognition of teaching evaluation, followed by small and medium-sized cities (M=3.88), and rural areas (M=3.75). The average of teachers in rural areas was rather lower, but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t was analyzed as the teaching experience would be proportional to the recognition level of evaluation. Seventh, teachers in rural areas (M=3.72) had the highest level of recognition on teaching strategies, compared to teachers in big cities (M=3.68), and small and medium-sized cities (M=3.72), but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This was analyzed as the reason of the higher percentage of highly educated teachers having advanced degrees, despite the higher percentage of less experienced teachers. This study demonstrated that the regional difference in PCK was not found, thus, students currently appeared to receive equal education regardless of the region. Also, for the cultivation of teachers’ PCK in electronics, electrics, and communication major, appropriate training programs would be necessary along with administrative and financial supports for successful education.

      • A High Linearity Down Converter Block Design Using InGaP/GaAs HBT MMIC Process for Ku-band LNB Application

        박광수 광운대학교 2004 국내석사

        RANK : 247631

        A down converter block is designed and fabricated by InGaP/GaAs HBT (hetero-junction bipolar transistors) MMIC (monolithic microwave integrated circuits) technology for Ku-band application. The down converter block - which consists of a common emitter configuration cascade LNA (low noise amplifier) and a base current compensated (BCC) current mirror down conversion mixer (DCM) and buffer amplifier - locates at the focal point of the satellite antenna. The LNA is based on the two-emitter finger, the emitter width of 2 ㎛, and the emitter length of 10 ㎛ high linearity process. The gain of 11.8 dB, the noise figure of 4.7 dB, the P1dB (1 dB compression point) of 2.34 dBm, and the IIP3 (input third order intercept point) of 1.4 dBm are achieved. S11 of -20 dB, S22 of -22 dB are measured at 30 ㎽. The MMIC chip size of LNA is 900 ㎛ × 1500 ㎛. In case of the mixer and buffer amplifer, the IMD (inter modulation distorsion) of the mixer is 62.8 dBc at Ku-band. Conversion gain and noise figure are 2.4 dB and 13.4 dB. -15.9 dB of RF return loss, -12.3 dB of LO return loss, -22.8 dB of LO to RF feed through, and -21.4 dB of RF to IF isolation are achieved. In addition, P1dB of -13 dBm and IIP3 of -7.6 dBm are achieved. The MMIC chip size of mixer is 900 ㎛ × 1050 ㎛. The fabricated down converter block has the conversion gain of 14.1 dBm, noise figure of 7.4 dB, and P1dB of -13.7 dBm. It has 0.5 dB current gain flatness. The one chip size is 900 ㎛ × 2300 ㎛.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