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소집단 동작활동이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 및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박경옥 전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7647

        본 연구는 소집단 동작활동이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과 창의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는데 그 목적을 두고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연구문제 1 : 소집단 동작활동이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연구문제 2 : 소집단 동작활동이 유아의 창의성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본 연구에서는 광주광역시에 위치한 K초등학교 병설유치원과 P초등학교 병설유치원 2개 학급의 만5세 유아 40명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고 실험집단 20명과 비교집단 20명으로 임의 배정하여 연구를 실시하였다. 실험집단 유아들은 8주 동안 주 2회씩 총 15회의 소집단 동작활동에 참여하였으며, 비교집단 유아들은 동일 기간 동안 대집단 동작활동에 참여하였다. 본 연구에 사용된 검사도구는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 측정을 위해 김영옥(2003)이 개발한「교사용 친사회적 행동 평가 척도(PBSYC)」를, 유아의 창의성 측정을 위해 전경원(2000)의「유아 종합 창의성 검사(K-CCTYC)」도구를 사용하였다. 친사회적 행동의 사전검사와 사후검사는 담임교사가 유아의 자유놀이를 한 유아당 20분 정도씩 2주 정도 관찰한 후 관찰 척도에 기록하였고, 창의성 검사는 본 연구자가 교실과 떨어진 독립된 교실에서 자유선택활동시간과 오후 시간을 이용하여 실시하였다. 소집단 동작활동을 실시한 실험집단과 대집단 동작활동을 실시한 비교집단 간의 친사회적 행동 및 창의성에 대한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수집한 자료를 SPSS 12.0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집단간 t검증으로 비교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은 소집단 동작활동에 참여한 실험집단 유아들이 대집단 동작활동에 참여한 비교집단 유아들보다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높게 나타났다. 하위영역별로도 친사회적 행동에 있어서 소집단 동작활동에 참여한 실험집단 유아들이 대집단 동작활동에 참여한 비교집단 유아들보다 지도성, 도움주기, 의사소통, 주도적 배려, 접근시도하기, 나누기, 감정이입 및 조절에서 유의미하게 증진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아의 창의성은 소집단 동작활동에 참여한 실험집단 유아들이 대집단 동작활동에 참여한 비교집단 유아들 보다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높게 나타났다. 창의성 하위요인 중에서 유창성, 융통성, 상상력에서 실험집단 유아의 점수가 비교집단 유아에 비해 유의미하게 증진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창의성 영역 중, 언어 창의성과 도형 창의성에서는 유창성, 융통성이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으나 독창성은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신체 창의성에서는 유창성, 상상력은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으나 융통성, 독창성은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에서 실시한 소집단 동작활동은 대집단 동작활동보다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과 창의성을 증진시키는데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소집단으로 구성한 동작활동을 유아교육 현장에서 적극적으로 활용한다면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과 창의성을 보다 더 효과적으로 증진시킬 수 있음을 시사한다 하겠다.

      • 도시재생을 연계한 지역기반 사회적경제에 관한 연구 : 프랑스, 캐나다(퀘벡), 미국(포틀랜드) 사례를 중심으로

        박경옥 성공회대학교 사회적경제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저출산·고령화라는 인구구조의 변화를 동반한 저성장시대 도시재생의 새로운 패러다임은 양적인 성장논리와 물리적 환경개선 위주의 도시정비를 넘어서 쇠퇴하는 도시와 지역에 속한 사람들의 ‘삶의 질’과 ‘사회의 질’을 바꾸는 사회경제적 재생을 추구하는 것이어야 한다. 사회와 삶의 내용을 변화시키는 새로운 도시재생은 사회적·경제적·환경적 요소를 고려한 종합적 개선과 다양한 이해관계자의 참여와 협력이 필요한 거버넌스를 요구한다. 시민이 참여하고 주민이 주도하는 도시재생이란, 성장과 개발의 시대에 돌아보지 않았던 ‘배제된 사람’과 ‘지역’에 대한 성찰로부터 출발하여 도시와 지역의 문제를 국가와 행정 혹은 시장의 논리가 아닌 도시민과 지역민의 시각에서 바라보고 통합적인 관점에서 해법을 찾아가는 과정이어야 한다. 이 논문은 지역과 도시의 특성을 고려하고, 사람들의 구체적인 필요에 부응하는 주민주도 도시재생을 실효적이며 지속가능하게 하는 조건과 방안이 지역기반 사회적경제 조직에 있음을 확인하고, 사회적경제의 대안적인 지역화전략 역시 도시와 지역의 재생을 연계한 지역기반 사회적경제 조직을 통해 구현됨을 이론적으로 고찰한다. 사회적경제의 자기 확장 또한 도시재생, 지역재생과 긴밀하게 연계함으로써 지속가능한 조건을 만들어내며, 각각 이 상호필요관계를 통해 자기 전략과 목적을 성취하게 됨을 규명한다. 그리하여 호혜와 연대, 공유를 운영원리로 하는 지역기반 사회적경제 조직은 지역이라는 공간범위 내에서 지역주민과 지역공동체를 사업주체와 서비스 대상지역으로 하여 시장과 공공이 충족시킬 수 없는 사회서비스를 제공하고 일자리를 창출함으로써 지역경제를 활성화하는 사회적 가치를 실현하게 된다. 이 논문은 도시재생과 사회적경제에 대한 이론적 검토와 함께 프랑스 지역관리기업, 캐나다 퀘벡의 샹띠에와 지역개발협동조합, 미국 오리건 포틀랜드의 네이버후드 어소시에이션(Neighborhood Association)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적경제 조직이 지역개발, 도시재생과 연계함으로써 도시와 지역의 문제에 대한 해법을 성공적으로 찾아가는 과정을 살펴본다. 이들 해외사례는 사회연대경제조직이 지역공동체의 위기와 필요에 부응하여 도시와 지역공동체의 개발 및 활성화의 해법을 찾아가는 시민참여와 민관거버넌스의 구체적인 모습을 보여준다. 최근 한국사회에서 사회적경제와 마을공동체, 도시재생 과정은 각각 분리된 채 제도화의 길을 가고 있거나 정책사업의 영역에 머물고 있다. 각각의 사업과 예산을 만들고 집행하는 중앙 및 지방 정부의 소관부서도 다양할 뿐만 아니라 중간지원조직 또한 독립된 기관으로 지역적으로 분리되어 지원활동을 하고 있다. 이 해외사례를 통해 사회적경제와 마을공동체가, 그리고 도시재생이 사회적경제 및 마을공동체와 연계하고 연대하는 구조와 지향을 공식화하고 제도적 기반들을 구축해 나가는 과정에 대한 의미 있는 시사를 얻고자 한다. 이 연구가 도시재생과 사회적경제의 연계에 대한 담론분석의 한계를 지님에도 불구하고, 문헌고찰을 통한 담론 및 사례분석이라는 질적 연구방법을 통해 도시재생과 사회적경제의 연계, 사회적경제의 대안적 지역화전략에 대한 이론적 틀을 확장하는 데 기여하고, 외국사례를 통해 한국의 현실을 성찰하고 새롭게 전망하는 데 의미 있는 시사가 되었으면 한다.

      • 대화상대자에 의한 의사소통 중재가 중도·중복장애 유아의 의사소통 기술 습득에 미치는 효과

        박경옥 단국대학교 2006 국내박사

        RANK : 247631

        The present study identified nonsymbolic communication characteristics and the related factors of three young children with severe and multiple disabilities using the Total Assessment Working Model(TAWM), a comprehensive assessment tool. With the results of the TAWM, a communication partner intervention program that the children's primary communication partners played a role of communication facilitator was designed and employed in order to see if the program was effective for the children to acquire communication skills. Three young children with severe and multiple disabilities, aged between 4 and 6, and their mothers(i.e., communication partners in the study) living in Seoul and Kyeonggi-do were participated. The children were selected by their teachers because they communicated in inappropriate ways and had no appropriate communication modes although they had intentions to communicate. The study was consisted of three phases. The first phase was a comprehensive assessment process for establishing an adequate and efficient nonsymbolic communication intervention plan based on the results of the TAWM. The second phase was the communication partners' intervention on the target behaviors of the children. The last phase was to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the intervention. In the assessment phase, the children's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communication characteristics were identified through observations of interaction between the children and their communication partners, and the communication partners were interviewed. During the intervention phase, which employed a non-concurrent multiple baseline design across participants, the communication partners taught their children the target behaviors. In the evaluation phase, improvement of the children's communication skills and intervention satisfaction rate were evaluated.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TAWM for nonsymbolic communication assessment was effective to observe the interactions between the children and their communication partners both in natural contexts and in structured environments, and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nonsymbolic communication skills of children with severe and multiple disabilities and other environmental factors. Second, the six evaluation factors (i.e., characteristics of the current communication skills between the children and their communication partners, target behaviors, physical movement skills, intellectual capacities, environmental factors, communication partner factors) of the TAWM for establishing the individual target behaviors of the children and for designing communication partner's intervention strategies were proven to be adequate as essential factors and led to establish an adequate communication intervention plan. Third, the individualized communication intervention improved the communication skills of the young children with severe and multiple disabilities. Forth, when the communication partners had chances to decide the target behaviors and intervention procedures and were allowed to have enough practices of the intervention procedures, the intervention was more effective and they were more satisfied. In conclusion, the TAWM used in assessing the characteristics of child's communication skills, the communication partner's communication style, the communication-prompting environments, and the physical and social environments was an effective method to design an intervention plan for young children with nonsymbolic communication skills. The six evaluation factors included in the TAWM were proven to be effective to establish the intervention plan of young children with severe and multiple communication disabilities. In addition, because mothers as the primary communication partner were proven to be a very important factor to affect children's early stage of communication formation, communication intervention program for children with nonsymbolic communication skills needed to consider children's communication characteristics and their partners' communication style.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ed that ; (a) individually appropriate intervention program should be designed individually based on a thorough assessment of communication skills and related factors for young children with severe and multiple disabilities, and that (b) the intervention should be carried out by the most familiar caregiver to improve the children's communication skills effectively. 이 연구에서는 중도·중복장애 유아가 사용하고 있는 비상징적 의사소통 특성과 관련 변인들을 파악하고, 중재 계획을 세우기 위한 종합적인 사정의 가설모형을 제안·적용하였다. 그리고 이 모형에 의한 사정결과를 바탕으로 유아와 대화상대자간의 의사소통 중재 프로그램을 구안하여, 대화상대자에 의한 의사소통 중재가 중도·중복장애 유아의 의사소통 기술 습득에 효과적인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의 대상은 서울 및 경기지역에 거주하는 생활연령 4, 5, 6세인 3명의 중도·중복장애 유아와 그의 어머니 3명으로 하였다. 대상유아는 담임교사가 추천한 비상징적인 양식으로 의사소통을 하는 유아 중 의사소통 의도가 있으나 적절한 의사소통 수단이 없거나 부적절한 방법으로 의사소통 하는 유아를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이 연구는 중도·중복장애 유아에게 적절하고 효율적인 비상징적 의사소통 중재계획을 세우기 위한 사정, 대화상대자에 의한 중재, 그리고 중재의 효과를 검증하는 평가과정으로 구성되었다. 일련의 과정은 종합적 사정의 가설모형에 근거하여 실시되었으며, 사정과정에서는 대상유아와 대화상대자의 상호작용을 관찰한 후, 대화상대자 면담을 하여 의사소통 특성을 파악하였다. 중재는 비동시적 중다 기초선 설계에 근거하여, 3명의 중도·중복장애 유아에게 개별적으로 설정된 목표행동을 대화상대자인 어머니가 실시하였다. 평가단계에서는 중재의 효과를 검증하는 과정으로, 유아의 의사소통 기술 향상에 대한 평가와 대화상대자 중재 만족도를 조사하였다. 이 연구를 통해 얻은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비상징적 의사소통의 종합적 사정의 가설 모형은 중도·중복장애 유아의 의사소통 기술과 대화상대자의 의사소통 특성, 환경적인 요인을 파악하는데 적합하였다. 이는 자연스러운 맥락과 구조화된 환경에서 유아와 대화상대자의 상호작용의 과정을 관찰하고 대화상대자 면담을 통해 확인할 수 있었다. 둘째, 종합적 사정의 가설모형은 중도·중복장애 유아의 의사소통 목표행동을 개별적 특성에 맞게 설정하고, 구체적인 중재 계획을 세우는데 적합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 모형에 포함된 6가지 의사소통 사정 요소(유아와 대화상대자의 현재 의사소통 기술 특성, 목표행동, 신체·운동능력, 인지적 특성, 환경적 요소, 대화상대자 요인)는 중도·중복장애 유아의 비상징적 의사소통 중재 계획을 세우기 위해 포함되어야할 필수적인 요소임이 확인 되었다. 셋째, 대화상대자인 어머니를 중재자로 하여 실시한 의사소통 중재는 중도·중복장애 유아의 비상징적 의사소통 기술을 확장시켰다. 중도·중복장애 유아의 의사소통 기술을 확장시키기 위해서는 유아와 가장 친숙한 사람을 중재자로 하여 구조화된 환경에서 의사소통 중재를 제공하였을 때 중도·중복장애 유아의 의사소통 기술이 확장되었음을 확인하였다. 넷째, 대화상대자는 중도·중복장애 유아의 비상징적 의사소통 중재에 대해 만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대화상대자가 각 유아에게 맞는 의사소통 촉진과제와 중재전략을 선택하는 기회를 갖고, 충분한 의사소통 중재 훈련을 받아 중재를 실시하였을 때 중재 만족도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보면, 중도·중복장애 유아에게 적합한 비상징적 의사소통 중재 계획을 세우기 위해서는 유아의 의사소통 기술뿐만 아니라 대화상대자의 의사소통 양식과 환경적인 특성을 파악해야하며, 종합적 사정의 가설모형이 제안하는 6가지 사정요소를 바탕으로 개인에게 적합한 중재 프로그램을 구성하여야 한다. 이를 유아에게 가장 친숙한 사람인 어머니가 중재자의 역할을 하고, 충분한 중재 훈련을 실시한 후 구조화된 환경에서 의사소통 중재를 하였을 때 중도·중복장애 유아의 비상징적 의사소통 기술을 확장시킬 수 있으며, 대화상대자의 의사소통 중재만족도를 높일 수 있음을 시사한다.

      • 기독청년을 위한 결혼예비지원그룹 프로그램 개발과 효과

        박경옥 한영신학대학교 대학원 일반대학원 2012 국내박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develop the marriage preparation support group program for Christian young adults and to verify its effectiveness in helping them to establish a Biblical outlook on marriage, enhance self-respect, and lower co-dependency. The three concrete questions to achieve the research purpose are: 1) what is the correlation between outlook on marriage, self-respect, and co-dependency among Christian young adults; 2) what influence does the marriage preparation support group program have on the outlook on marriage, self-respect, and co-dependency among Christian young adults; and 3) what changes do Christian young adults experience through the marriage preparation support group program.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single Christian young adults with no potential spouses. The experimental group consisted of ten young adults from Church “E” in Seoul, associated with The General Assembly of Korea Evangelical Holiness Church, and the control group consisted of ten young adults from Church “N” in Seoul, associated with The General Assembly of Presbyterian Church. The design of this research was pretest-posttest, experimental group-control group design, and tools used were marriage outlook questionnaire, self-respect questionnaire, and co-dependency questionnaire, which were existing tests modified and supplemented for this research. Tools for content analysis include self-monitoring report, program evaluation, and follow-up interview evaluation. For this study, the marriage preparation support group program was held once a week, 150 minutes per session, and a total of 5 sessions. The contents of the program are as follows: 1) understanding the Biblical outlook on marriage, 2) recovering self-respect, 3) discovering dysfunctional families, 4) understanding co-dependency, and 5) recovering spirituality, based on the premise of leaving the parents.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correlation analysis of marriage outlook, self-respect, and co-dependency showed that marriage outlook and co-dependency have a positive correlation while self-respect and co-dependency have a negative correlation. Therefore, as self-respect increases, co-dependency decreases, and values in the appropriateness and necessity of marriage increases. Second, with regard to the impact of marriage preparation programs on Christian young adults’ marriage outlook, self-respect, and co-dependency, in marriage outlook test, the control group had a pretest average of 61.10 and posttest average of 62.40, showing no significant difference. The experimental group had a pretest average of 58.50 and a posttest average of 54.60, and this lower posttest averag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p<0.01). This shows the enhancement of a Biblical marriage outlook based on the appropriateness and necessity of marriage. In the self-respect test, the control group did not show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pretest and posttest averages, but the experimental group had a pretest average of 146.00 and a posttest average of 152.40, having a significant higher posttest average (p<0.05). This shows that the marriage preparation program was effective in improving self-respect for Christian young adults. In the co-dependency test, the control group did not show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pretest and posttest averages. The experimental group had a pretest average of 31.30 and a posttest average of 27.70, with a lower posttest score (p<0.05), and these results show that the marriage preparation program was effective in lowering co-dependency among Christian young adults. Third, the results of the content analysis on the changes that the participants reveal to have experienced through the marriage preparation program show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Through the pretest-posttest self-monitoring report, program evaluation, follow-up interview evaluation, participants reported that in preparing for marriage and the premise of leaving one’s parents, through the guidance of Jesus Christ, they were able to re-establish their vague outlook on marriage into a Biblical outlook of marriage as not a contract, but a promise. They also reported that this program was helpful in recovering self-respect by building a relationship with God, understanding disfunctional families and co-dependency, and receiving practical help in redefining family relationships. Finally, the participants reported that the support group format helped them to change their attitude of suppressing anger, embarrassment, sadness, guilt, or hurt under the frame of faith, but helped them to express their feelings. In conclusion, this program was found to be effective in helping young Christians establish a Biblical outlook on marriage, understand leaving their parents, recover self-respect, and lower co-dependency.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serve as empirical data for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marriage preparation programs that will guide the marriage and life of Christian young adults. 본 연구의 목적은 기독청년을 대상으로 결혼예비지원그룹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이 결혼예비지원그룹 프로그램이 기독청년의 성경적 결혼관을 확립하도록 돕고, 자존감을 향상시키며, 동반의존을 낮추는지 그 효과를 검증하는데 있다. 본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첫째, 기독청년의 결혼관, 자존감, 동반의존 간에는 어떤 상관관계가 있는가, 둘째, 결혼예비지원그룹 프로그램이 기독청년의 결혼관, 자존감, 동반의존에 미치는 효과는 어떠한가, 셋째, 결혼예비지원그룹 프로그램을 통한 기독청년의 변화경험은 무엇인가에 관한 것이다. 본 연구의 대상은 결혼배우자가 정해지지 않은 미혼기독청년들로 실험집단은 기독교대한성결교회 총회에 소속되어 있는 서울 E교회 청년부 10명이고, 통제집단은 대한예수교장로회 노회에 소속되어 있는 서울 N교회 청년부 10명이다. 본 연구의 설계는 사전사후 실험집단 통제집단 설계이고, 본 연구의 측정도구는 기존의 검사를 연구목적에 맞게 수정 보완하여 사용한 결혼관 검사지, 자존감 검사지, 동반의존 검사지이다. 내용분석을 위한 측정도구는 셀프 모니터링지, 프로그램평가서, 추수면담평가서이다. 본 연구에서 결혼예비지원그룹 프로그램은 주 1회기, 한 회기에 150분씩, 총 5회기가 실시되었다. 프로그램의 내용은 1회기는 성경적인 결혼관 이해하기, 2회기는 자존감 회복하기, 3회기는 가족의 역기능성 발견하기, 4회기는 동반의존 이해하기, 5회기는 부모 떠남을 전제한 영성 회복하기에 관한 것이다. 본 연구의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결혼관, 자존감, 동반의존의 상관관계 분석에서 결혼관과 동반의존은 정적상관이 있었고, 자존감과 동반의존은 부적상관이 있었다. 따라서 자존감이 높으면 동반의존이 낮고, 결혼의 당위성과 필요성에 대한 가치관은 높아짐을 알 수 있다. 둘째, 결혼예비지원그룹 프로그램이 기독청년의 결혼관, 자존감, 동반의존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본 결과, 결혼관검사에서 통제집단은 사전 평균 61.10, 사후 평균 62.40으로 사전과 사후에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실험집단은 사전 평균 58.50, 사후 평균 54.60으로 사후의 경우에 결혼관에서 낮은 점수를 보였고 이는 통계적으로도 유의하였으며(p<0.01), 이러한 결과는 결혼의 당위성과 필요성에 의한 성경적 결혼관이 향상되었음을 나타낸다. 기독청년들의 자존감검사에서 통제집단은 사전과 사후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실험집단은 사전 평균 146.00, 사후 평균 152.40으로 사후평균이 높게 나타났고(p<0.05), 이러한 결과는 결혼예비지원그룹 프로그램이 기독청년들의 자존감을 향상시키는데 효과가 있었음을 보여준다. 기독청년들의 동반의존검사에서, 통제집단은 사전평균과 사후평균에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실험집단은 사전 평균 31.30, 사후 평균 27.70으로 사후 평균이 낮게 나타났고(p<0.05), 이러한 결과는 결혼예비지원그룹 프로그램이 기독청년들의 동반의존을 낮추는데 효과가 있었음을 나타낸다. 셋째, 결혼예비지원그룹 프로그램에서 참가자들의 고백을 통한 변화경험에 대한 내용분석 결과는 본 프로그램의 효과를 나타내고 있다. 사전 사후 셀프 모니터링지, 프로그램평가서, 추수면담 평가서에서 기독청년들은 부모 떠남을 전제한 결혼준비를 위해 예수 그리스도의 인도를 받으며 막연했던 결혼관을 결혼은 계약이 아닌 언약관계라는 성경적으로 결혼관을 다시 세울 수 있었고, 하나님과의 관계에 따른 자존감을 회복하며, 역기능가정과 동반의존에 대해 이해하고, 이를 통해 가족 관계의 재정립을 이루는 현실적인 도움을 얻는데 본 프로그램이 유용하였다고 보고하였다. 또한 참가자들은 지원그룹 진행방법이 그동안 믿음이라는 틀 안에서 분노나 수치심, 슬픔, 죄책감, 상처 등의 감정을 표현하지 못하고 억압하던 자신들의 태도를 바꾸어 감정을 표현하도록 도왔다고 보고하였다. 결론적으로, 본 프로그램은 기독청년이 결혼을 위해 성경적인 결혼관을 세우고, 부모 떠남에 대해 이해하며, 자존감을 회복하고, 동반의존을 낮추는 데 효과가 있음이 확인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기독청년의 결혼과 삶을 도와줄 수 있는 결혼예비 프로그램의 개발과 적용을 위한 하나의 실증적인 자료가 될 것이다.

      • 화예디자인에서의 키네틱적 특성에 관한 연구 : 타 장르와의 비교를 중심으로

        박경옥 淑明女子大學校 디자인大學院 2004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floral art and design refers to an area of art to represent human's inner plastic world by using materials from nature. In modern times, aesthetic sense has come to be individualized through massive change and development, requiring in-depth research into artistic and aesthetic aspects. While in most of art styles, genres are broken down and forms of art are shared, the boundary of expression to be overlapped. In this study, I intend to look into kineticism in association with the floral art and design, in an attempt to seek for a new style in the floral art and design. The kineticism emerging from scientific development and influences of advanced media in the 21st century, introduces movement to art. It exactly meets to the tendency of pro-environment design, technology design or human-centered design, which the 2st century design aims at. For this end, in the second chapter of this study, the kineticism which first brings four-dimensional temporal and spatial concepts into art will be reviewed in its significanc in terms of art history, through examining kinetic factors shown in paintings and sculptures. Its distinctions are approached in the light of conceptual viewpoint. In the third chapter, judging from that approach through comparison with other plastic arts is also significant. In order to understand diversified and substantial form of expression in the light of aesthetics, the kinetic factors in modern architecture that denies fixation or immobility, and instead attempts virtual movement. In addition, the kinetic factors are also analyzed in the area of dresses and their ornaments in pursuit of enlarged expressions through passage of time and involvement of viewers, breaking away from fixed clothes styles. Next, the fourth chapter tells about elements of kinetic motions shown in the floral art and design from the substantial viewpoint, by categorizing them into expression of actual movement, relative movement, and virtual movement, through applying how to categorize in architecture and dresses centering on concepts reviewed above. In the fifth chapter, distinctions and limitations apeared in introduction of motions in the floral art and design are revealed, suggesting direction for conversion of thought to enlarge expression in spectators, to get actively involved in the artworks, artworks of design, when design are transformed into human-centered design by non-material, technologic design from expression of new material development. The floral art and design that has limitedness according to passage of time has achieved diversity in expression and skills under the more challenging in conducting experiments, and spectators to be ready to accept it. Also, establishment of theoetical system is urgently needed in order to contribute to creation of the contemporary value by interpreting values and spirits of expression styles. With this study, I expect to lay the groundwork for recognizing vitality and unlimited possibility that the floral art and design has, and for enhancing creative spirit and extending areas in the world of artworks in this field following transformation of aesthetic value. 화예디자인이란 작가가 자연 소재를 이용하여 인간의 내적인 조형세계를 표현하는 것이다. 현대에 이르러 미의식이 개성화되면서 상당한 변화와 발전을 하게되어 예술적·학문적으로 깊이 있는 연구가 요구되고 있다. 많은 예술 형태가 장르의 파괴, 형식의 공유를 추구하고 있는 가운데 화예디자인에서도 표현의 경계가 모호해지고 형식과 영역이 서로 중첩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본고는 화예디자인의 새로운 형식의 모색으로 20세기 과학의 발전과 첨단 매체의 영향으로 대두된, 예술에 움직임 요소를 도입하여 표현하는 키네티시즘을 화예디자인과 연계해서 고찰해 보려고 한다. 이는 21세기 디자인이 추구하는 인간 중심의 디자인, 테크놀로지 디자인, 친환경 디자인의 경향에 부합하므로 연계해서 고찰하는 것은 의미있는 연구라 생각한다. 본 연구의 진행과정으로 2장에서는 회화와 조각에 나타나는 작품의 움직임 요소를 살펴봄으로써, ㅇ메술에 4차원의 시간성과 공간성을 도입한 최초의 미술양식인 키네티시즘의 미술사적 의의를 고찰하여 그 특징을 개념론적 입장에서 접근하였다. 3장에서는 흥미롭게 펼쳐지는 다양하고 실체화된 표현양상을 미적으로 이해하기 위해서는 다른 조형예술과의 비교를 통한 접근도 의미가 있다고 보아 고정성과 부동성을 부정하고 실제적 움직임의 도입을 시도하는 현대 건축에서의 키네틱적 요소를 분석하고, 고정적인 복식의 형태에서 벗어나 시간의 흐름과 관람자의 참여를 통한 확장된 표현을 추구하고 있는 복식에서의 키네틱적 요소를 분석하여 화예디자인과의 상관론적 관점에서 비교 분석 하였다. 4장에서는 앞서 살펴 본 개념을 카네티시즘의 축으로 하여 건축·복식에서의 분류 방법을 적용하여 화예 디자인에서 나타나는 키네틱적 움직임의 요소를 실제적 움직임의 표현, 상대적 움직임의 표현, 가상적 움직임으이 표현으로 나누어 실제론적 관점에서 고찰해 보았다. 5장에서는 이상에서 살펴본 화예디자인에서의 움직임 요소 도입에 나타는 특징과 한계성을 밝히고 화예디자인의 표현 확장을 위해 사고의 전환에 따른 방향을 제시한다. 기존의 수동적이던 관객을 작품에 참여하도록 유도하여 움직임을 표현하는 작품으로 21세기 디자인이 지향하는 상호성, 쌍방성에 의한 인간중심의 디자인으로, 비물질재료를 도입하여 나타내는 작품에서 친환경 디자인으로, 기계도입 및 신소재 개발에 따른 작품의 표현에서 테크놀로지 디자인으로 현대가 추구하는 디자인 경항에 한 단계 다가갈 수 있도록 움직임의 작품을 재현해 보았다. 시간적 변화에 따른 유한성을 지닌 화예디자인은 문화, 예술사조의 영향을 받으며 표현적, 기술적 다양성을 이룩해 왔으나 이제는 작가들의 다양한 실험정신과 관객의 적극적인 수용이 요구되며 또한 표현 양식들의 가치와 정신을 해석하고 체계화시켜 동시대적 가치창출에 기여하도록 이론적인 체계의 정립이 절실히 요구된다. 본 연구가 초석이 되어 화예디자인 자체가 지니고 있는 생명력과 무한한 가능성을 인식하고 새로운 것에 대한 창조적인 정신의 고양과 미적 가치의 전환에 따른 화예 작품세계에서의 영역 확장이 이루어지기를 바란다.

      • 재가방문 요양보호사의 성폭력경험과 대처행동

        박경옥 한국교통대학교 일반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재가방문 요양보호사의 성폭력경험과 대처행동 및 관계를 알아보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본 연구는 C도의 C시와 J군의 기관에 소속되어 방문요양 서비스를 6개월 이상 제공한 요양보호사 116명을 대상으로 2015년 8월19일부터 10월11일 까지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도구는 성폭력 경험을 측정하기 위해 남녀 고용평등 일 가정 양립지원에 관한 법률 시행규칙 제2조 제2호에 제시된 직장 내 성희롱을 판단하기 위한 기준의 예시에서 이은영(2011)이 수정 보완한 16개의 항목을 사용하였고, 대처행동은 김은희(2011) 도구로 해소적개입 4항목, 적극적개입 5항목, 관용적무반응 4항목, 제약적개입 4항목으로 구성된 17항목으로 측정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version 18.0 program을 사용하였고, 독립표본t-test, One-way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로, 사후 검정은 Scheffe‘s test를 이용하였다. 측정도구의 신뢰도는 Cronbach’s alpha로 산출 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상자의 성폭력 경험은 15.7%였으며 유형별로는 육체적행위(.18±.27)가 가장 높았고 시각적행위(.16±.22), 언어적행위(.13±.21)순으로 나타났다. 성폭력에 대처행동으로 관용적 무반응(2.76±1.11)을 가장 많이 활용하고 있으며, 제약적개입(2.54±1.14), 해소적개입(2.00±.85), 적극적회피(1.87±.22)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일반적 특성에 따른 성폭력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언어적행위는 남성돌봄경험(t=2.937, p=.004), 직무교육(t=2.278, p=.027), 노인기관 근무경력(F=5.159, p=.007)에 따른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시각적행위는 결혼(t=-2.464, p=.015), 남성돌봄경험(t=3.460, p<.001), 노인기관 근무경력(F=8.326, p<.001)에 따라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육체적행위는 남성돌봄경험(t=.391, p<.001), 노인기관 근무경력(F=11.602, p<.001)이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반적 특성에 따른 대처행동의 차이를 보면 적극적회피는 연령(t=2.366, p=.020), 남성돌봄경험(t=-2.932, p=.004), 노인기관근무경력(F=5.867, p=.004)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관용적무반응은 직무교육(t=2.040, p=.044)이 유의하게 나타났으며, 제약적개입에서도 직무교육이(t=2.855, p=.005)이 유의한 차이를 보여주었다. 셋째, 성폭력 경험과 대처행동의 상관관계에서는 하부 요인 중 언어적행위는 적극적회피(r=.619, p<.001)와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시각적행위는 해소적개입(r=.406, p<.001), 적극적회피(r=.247, p=.008), 관용적무반응(r=.883, p<.001), 제약적개입(r=.765, p<.001)과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육체적행위는 적극적회피(r=.885, p<.001)와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지금까지의 연구결과를 볼 때 재가방문 요양보호사는 대상자로부터 성폭력경험이 평균 15.7%이며, 육체적행위의 성폭력을 가장 많이 경험하였다. 언어적행위와 육체적행위의 성폭력 경험시에는 적극적회피 대처행동을 사용하였으며, 시각적행위의 성폭력 경험시에는 해소적개입, 관용적무반응, 적극적회피, 제약적개입의 모든 대처행동을 사용하였다. 성폭력을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현실적이고 실천 가능한 규정 및 성폭력 유형별 대응지침을 마련하여 매년 요양보호사 직무교육이나 기관 내 교육을 실시하고 매뉴얼이나 교육 자료를 배포하여 긍정적이고 적극적인 대처행동을 할 수 있는 전략이 필요할 것이다. 주요어 : 재가방문요양, 성폭력경험, 대처행동

      • 중학생의 비판적 사고성향 향상을 위한 역사교육 프로그램 개발

        박경옥 원광대학교 일반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47631

        이 연구는 중학생을 대상으로 비판적 사고성향 향상을 위한 역사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효과를 검증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이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연구문제 1. 프로그램의 개발과정과 내용 구성은 어떠한가? 1-1. 프로그램의 목적 및 목표는 어떠한가? 1-2. 프로그램의 내용은 어떠한가? 1-3. 프로그램의 교수·학습은 어떠한가? 1-4. 프로그램의 평가는 어떠한가? 연구문제 2. 프로그램이 비판적 사고성향에 미치는 효과는 어떠한가? 2-1. 프로그램의 효과에 집단 간 차이가 있는가? 2-2. 프로그램이 어떠한 영향이 있는가? 이와 같은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이 연구는 전라북도 소재의 중학교 1, 2학년 28명을 대상으로 진행하였다. 개발 확정된 프로그램 실시는 집단별로 사전-사후 양적 평가와 질적 평가를 병행하였다. 비판적 사고성향을 향상시키고자 참여한 학생은 14명이며, 비판적 사고성향 프로그램에 참여하지 않은 통제집단 학생은 14명으로 구성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역사교육 프로그램을 기반으로 한 중학생의 비판적 사고성향 향상을 위한 역사교육 프로그램 효과검증 결과는 중학생들의 역사교육 프로그램 개발이 비판적 사고성향을 향상하는 데 효과가 있었다. 진실추구성, 개방성, 객관성, 자기신뢰성에 효과가 있었고 탐구성과 체계성은 소폭으로 평균 점수가 높아진 것으로 확인할 수 있었지만 유의미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historical education program for improving the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of middle school students. To this end, it raised the following questions; Question 1: What about the development process and the content construction of the program? What about the goal and the objective of it? What about the content of it? What about teaching/learning of it? What about the evaluation of it? Question 2: What about the effect of the program on the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Are there any differences in the effect of it between groups? What effect does it have? To resolve such questions, this study examined 28 students who are in the first and second year of a middle school located in Jeollabuk-do. Pre- and post-quantitative and qualitative evaluations by groups were simultaneously conducted for the implementation of the program whose development was confirmed. Fourteen students participated in the program, to improve their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while the control group of the other fourteen students did not participated in it.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The effect of the historical education program on the improvement of middle school students’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was tested to show that the development of it had an effect on their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It could be found that the development of it had significant effect on their pursuit of truth-seeking, openness, objectiveness and self-confidence, while it did not have significant effect on inquisitiveness and systemicity, though their average scores were slightly increased.

      • 아동학대 예방을 위한 CCTV 의무화정책의 개선방안 연구 : CCTV 인식에 관한 연구동향 분석을 중심으로

        박경옥 건국대학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According to the recent data of the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the child abuse by childcare teachers is rapidly increasing every year like 147 cases in 2011, 110 cases in 2012, 202 cases in 2013, 295 cases in 2014, and 427 cases in 2015. Especially, the abuse case of infant & young children is about 28% of the whole child abuse cases. In case of death caused by child abuse, the infants and young children in five-year or less held a majority(60%), so that it is urgently needed to have the concrete analysis on the abuse of infants and young children, and measures of it(Jang Hwa-Jeong et al, 2016). Thus, the government fully executed the CCTV obligation policy through the amendment of 「The Infant & Child Care Act」(2015.4.30) for the purpose of prevention of child abuse. The CCTV obligation policy has positive effects like solution of parents' anxiety and increase of their reliability of child safety and childcare facilities. On the other hand, the issue of human rights violation and contraction of childcare activity has been suggested as it is recognized as means to observe and oppress teachers. Thus, this study aimed to suggest improvement measures by analyzing the positive/negative effects of CCTV obligation policy through the analysis on theses on the perception of installation of CCTV targeting childcare teachers and parents, for the effective enforcement of CCTV obligation policy. For this, it analyzed the results of 14 theses researching/analyzing the perception of installation of CCTV targeting domestic journals and theses. In the results of analysis, first, regarding the overall negative perception, it was shown in the order of contraction of educational activity, human rights violation, and negative perception while childcare teachers' negative perception was relatively higher than parents'. Regarding the installation of CCTV, childcare teachers showed high perception like violation of autonomy, difficulty in discipline, decline of trust between child and teacher, and encouragement of distrust, so that it would be necessary to have improvement measures. Second, regarding the positive perception, parents' relief was the highest, which showed the effects of installation of CCTV in day-care center on parents' feeling relieved of child safety and negative behaviors like abuse. Also, parents had relatively higher positive perception than childcare teachers. In summary, as the installation of CCTV only pursues the purpose of prevention of child abuse without considering its effects on the number, teacher's authority, and educational activity of childcare teachers, it is highly possible to increase childcare teachers' stress and also to work as a cause for lowering the quality of childcare, instead of showing positive effects of the policy. In order to decrease such negative effects of installation of CCTV, it would be necessary to improve the treatment of childcare teachers and also to change their perception to positively use CCTV based on the correct belief, and also to limit the installation place to reinforce the management of CCTV image and to minimize the human rights violation. 최근 보건복지부 자료에 따르면 보육교사들에 의한 아동학대는 2011년 147건, 2012년 110건, 2013년 202건, 2014년 295건, 2015년 427건으로 매년 급증하고 있다. 특히 영유아 학대사례는 전체 아동학대 사례의 약 28%를 차지하고 있고 아동학대로 인한 사망사건의 경우 5세 이하 영유아가 60%의 비율로 과반수를 차지하고 있어 영유아 아동학대에 대한 구체적인 분석과 그에 따른 대책이 시급한 상황이다(장화정 외, 2016). 이에 정부에서는 아동학대 예방 및 방지를 목적으로 한「영유아보육법」개정(2015.4.30)을 통하여 CCTV 의무화정책을 전격적으로 실시하였다. CCTV 의무화정책은 학부모로 하여금 보육시설 및 영유아 안전에 대한 불안감이 해소되고 신뢰도가 높아졌다는 긍정적인 효과가 있는 반면, 단편적으로 교사를 감시하고, 압박하는 수단으로 인식되어 인권침해 및 보육활동 위축이라는 문제가 제기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CCTV 의무화정책의 효과적인 시행을 위해 CCTV 설치에 대한 보육교사와 학부모의 인식을 연구한 논문을 분석하고, CCTV 의무화정책의 긍정적·부정적 효과를 분석하여 이에 대한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국내 학술지 및 학위논문의 대상은 CCTV 설치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여 분석한 논문 14편의 연구결과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전체적으로 부정적 인식에서는 교육활동 위축, 인권침해, 부정적 인식의 순으로 높은 부정적인 인식을 보였으며, 보육교사의 부정적 인식이 학부모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높은 것을 확인하였다. 이는 CCTV 설치로 인하여 보육교사는 자율성 침해, 훈육의 어려움, 아동과 교사간의 신뢰 저하 및 불신을 조장한다는 인식이 강하게 나타나고 있으며 이에 대한 개선방안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긍정적 인식에서는 학부모 안심이 가장 높게 나타났는데, 이는 어린이집 CCTV 설치로 인하여 학부모는 자녀의 안전과 학대와 같은 부정적 행위로부터 안심하게 되는 효과를 확인하였다. 또한 긍정적 인식은 학부모가 보육교사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높게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종합하면, CCTV 설치는 보육교사의 인원과 교권, 교육활동에 미칠 영향 등을 고려하지 않은 채 아동학대의 예방이라는 목적만 추구하고 있어서 정책의 효과가 긍정적으로 나타나기 보다는 보육교사의 스트레스를 상승시키고, 보육의 질을 저하시키는 원인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밝혀졌다. 이러한 CCTV 설치의 부정적 효과를 감소시키기 위해서는 보육교사들이 올바른 신념을 가지고 긍정적으로 CCTV를 사용하여 생활할 수 있도록 보육교사의 처우 개선과 인식의 전환을 유도해야 한다. 또한 CCTV 영상의 관리를 강화하고, 인권침해가 최소화 될 수 있도록 설치장소의 제한이 필요하다는 점을 제안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