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PBL 이론에 기반한 수학영재아의 자기주도적 학습시스템 설계 및 구현

        박경란 인제대학교 2006 국내석사

        RANK : 247647

        국 문 초 록 PBL 이론에 기반한 수학영재아의 자기주도적 학습시스템 설계 및 구현 인 제 대 학 교 교 육 대 학 원 교육방법 및 공학 전공 박경란 이 연구의 목적은 수학적인 재능이 뛰어난 학생들의 자기주도적 학습을 위해 PBL 이론에 기반한 학습시스템을 설계하고 구현하는데 있다. 이 연구의 목적달성을 위해 수학영재 학습 프로그램을 분석하고, 교육과정과 학습자인 수학영재아 특성 파악을 통해 문제를 작성하고 PBL 이론에 기반한 학습시스템을 설계하고 나모, 포토샵, 제로보드 등의 저작도구를 활용하여 구현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구현된 수학영재아의 자기 주도적 학습을 위한 학습 시스템은 수학영재 판별 문제방을 통해 시스템 사용 자격을 부여받고 3개영역의 문제방 중 1개의 문제방을 선택하여 자기 주도적 개별학습단계를 통과하면 모둠이 구성되고 모둠별 협력학습단계를 거쳐 수학영재모둠으로 인증을 받도록 구성되었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통해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다. 첫째, PBL 이론에 기반한 학습시스템의 실제 예를 제시하였다. 둘째, 인터넷 자원 활용을 통한 통합된 개방 교육환경 구축으로 학습자 스스로 학습 방법과 내용을 선택하여 학습하는 방법을 모색하였다. ※ 주요어 : 문제중심학습(PBL), 수학영재아, 자기주도적 학습시스템

      • 인터넷중독 집단상담통합프로그램이 인터넷중독경향 고등학생에게 미치는 효과

        박경란 경북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effects of the Group Counseling Integration Program for Students of internet addiction tendency who were at a Vocational High School in G city. The Group Counseling Integration Program was conducted from October 12 to November 12, 2009. This study was nonequivalent control group non-synchronized pre-test and post-test design in quasi-experimental research. The participants were 37 and were divided into an experimental group 18 and a control group 19. This program which was consisted of 10 sessions programs applied twice a week over 5 weeks. The research tools included self-determination scale and internet addiction scale. The data were analyzed by percentage, χ² test, paired t-test, t-test and ANCOVA using SPSS/WIN 14.0 program.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were as follows: As a result of testing for self-determination in comparison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under Group Counseling Integration Program and control group, it was found tha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self-determination between two groups(F=5.99, p=.020). As a result of testing for internet addiction in comparison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under Group Counseling Integration Program and control group, it was found tha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internet addiction between two groups(tb=-2.53, p=.016). In conclusion, the Group Counseling Integration Program will be an effective nursing intervention for improving self-determination and reducing internet addiction. The following suggestions might be offered on the basis of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is necessary that we should study further on the continuous effects of the Group Counseling Integration Program for adolescents of internet addiction tendency in community. It is necessary to estimate the lasting intervention effects of the internet addiction Group Counseling Integration Program. It is necessary to educate the parents living together with them and to develop the program for educating parents.

      • 韓國 兒童福祉 政策에 관한 硏究 : 託兒保護 事業을 中心으로(With Emphasis Placed on Day-care Child Protection Work)

        朴庚蘭 단국대학교 1988 국내석사

        RANK : 247631

        兒童福祉는 兒童의 慾求問題를 해결하기 위한 社會的 서비스이다. 現代의 兒童福祉는 過去의 要保護 兒童에 대한 한정적인 領域에서 벗어나 모든 兒童들에게 豫防的이고 制度的인 측면에서 實施해야 한다. 産業化와 都市化로 인한 급격한 社會 變革은 價値觀의 變化를 가져 왔다. 大家族制度에서 夫婦 中心의 核家族制度로 變化되자 旣婚女性들은 經濟手段 및 自我實現을 위하여 적극적인 社會參與를 하게 되었다. 이러한 旣婚女性의 적극적인 社會參與와 家族構造의 變化로 인하여 子女의 적절한 敎育 및 保育을 해줄 수 있는 託兒施設이 필요하게 되었다. 兒童의 發達時期 중 가장 重要한 時期가 瓔幼兒期라고 할 수 있다. 이 時期에 적절치 못한 經驗을 갖게 되었을 때 야기될 수 있는 問題點 때문에 兒童들을 개별적으로 敎育하고 保育할 수 있는 託兒施設을 提供해 주어야 한다. 특히 缺損家庭의 子女들에게는 더 必要하다고 본다. 旣婚女性의 社會的인 役割을 支援해 주고 兒童의 健全한 成長發達을 위해 兒童이 가진 潛在能力을 최대로 발휘할 수 있는 環境과 內容을 갖춘 多樣한 형태의 프로그램이 提供되어야 한다. 이러한 점에서 볼 때 우리나라의 託兒保護施設의 設置 및 運營이 活性化되어야 하겠다. 첫째, 女性 就業人口의 增加에 따라 國家的인 차원에서 量的, 質的으로 擴大 實施해야 한다. 둘째, 保育科는 地域, 階層, 父母의 負擔能力에 따라 差等制를 實施해야 한다. 세째, 프로그램은 兒童의 特性, 社會的 背景이 고려된 프로그램으로 多楊하게 展開되어야 한다. 네째, 內務部와 文敎部에서 관여하고 있는 새마을 幼兒園의 制度가 一元化되어야 한다. 다섯째, 託兒機關의 運營主體는 職場이나 社會團體, 政府機關 등의 非營利團體에서 運營해야 한다. 兒童福祉는 國家發展의 基盤으로서 女性 人力의 活用과 未來 社會의 주역이 될 새세대를 育成함에 있어서, 政府는 法的, 制度的인 保障과 行, 財政的인 과감한 投資政策을 樹立해야 할 것이다. Child welfare means a social service aimed at solving the problems of children's wants. Modern child welfare, getting ride of the limited sphere of service for those children who need protection practised in the past, should be carried out systematically for the benefit of all children. The rapid social changes attributed to the industrialization and urbanization processes have resulted in change in the value standard of the people. As the traditional large family system of our country has changed to the huband-wife-centered nuclear family system, the married women participate positively in social activities for an economic purpose and self-realization. As a result, childcare facilities which may provide children with proper education and care become necessitated increasingly. The most important period of children's development is the pre-school period. If children acquire improper or undesirable experience at this time, some difficult problems may most likely be presumed to arise during the period of their character formation. Therefore it is felt absolutely necessary to provide childcare facilities which may educate and protect individual children, especially such public daycare facilities are badly required for the children of broken familities. In order to help the social role of married women and the sound development and growth of their children, it is also necessary to bring their latent faculties into full play. From this point of view, the establishment and operation of childcare and protection facilities should be activated. First, the child welfare facilities should be expanded or improved in both quality and quantity as the working population of women increases. Second, fees required for the care of children should be determined on a differential basis according to district, social strata and parents' bearing ability of the burden. Third, programs necessary for the care and protection of children should be designed in diverse forms in due consideration of children's individuality and social background. Fourth, the system of Saemaul day-care center supported by the Ministries of Home Affairs and Education should be unified. Fifth, the childcare institutions should be operated by non-profit organization, such as working places concerned, social or government organizations. In consideration of the fact that child welfare is the foundation of national development, the government should formulate a comprehensive policy for the utilization of women's labor power to the maximum extent and bringing up of the new generation who will take the leading role in future society.

      • 의미구조형성 문장지도가 청각장애학생의 문법형태소 사용과 문해능력에 미치는 영향

        박경란 대구대학교 2008 국내박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문법형태소 습득 및 문해능력에 지체를 보이는 청각장애학생 4명을 대상으로 그림을 통한 의미구조형성 문장지도를 실시하여 청각장애학생의 문법형태소 사용과 문해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어진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의 의미구조형성 문장지도가 청각장애학생의 문법형태소 사용에 긍정적 영향을 미쳤으나, 특정 구문에서의 오용은 여전히 잔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문법형태소 사용 능력 검사에서는 크게 세 가지 패턴으로 나타났는데, 1) 조사 및 어미의 지도 후 바로 정답수의 증가를 보이는 학생, 2) 일정기간 동안은 그렇다할 증가양상을 보이지 않다가 지도가 완전히 종료된 시점에서 증가량이 두드러지게 나타나는 학생, 3) 지도 후 문법형태소 사용의 혼란을 겪는 학생으로 구분할 수 있었다. 오용형태로는 조사는 ‘받다문’과 ‘사동문’에 있어서 오용이 두드러지게 나타났으며, 어미는 전성어미보다 접속어미의 사용에 어려움을 나타냈다. 접속어미 중에서도 대등접속소보다 종속접속소의 사용에서 오용이 현저하였으며, 특히 ‘-도록’과 ‘-거든’의 오용이 두드러졌다. 작문에 나타난 문법형태소 변화양상으로 조사는 1) 새로운 조사가 출현하면 오용을 거쳐 조사 사용이 분화되는 학생, 2) 한정된 조사의 사용에서 다양한 조사의 출현과 함께 오용이 증가하는 학생, 3) 일정한 조사를 사용하다가 다양한 조사의 습득과 더불어 사용의 혼란을 겪는 학생으로 구분되었다. 오용은 부사격조사에서 가장 많이 나타났다. 어미는 1) 지도 후 오용이 감소되나, 일정 시기에 ‘-고’와 ‘-(어)서’를 통한 계기적 나열관계가 급격히 증가하는 학생, 2) 한정된 어미를 사용하다가 지도 후 ‘-고’와 ‘-(어)서’를 집중적으로 사용함과 동시에 관형사형 전성어미를 통한 내포문 구성이 활발해지는 학생, 3) ‘-고’를 고빈도로 사용하다가, 어미의 지도 후 ‘-고’의 사용이 감소되고 전성어미를 포함한 다른 형태의 어미를 다양하게 사용하는 학생, 4) 고착화된 어미 사용 패턴을 보이는 학생으로, 참여학생에 따라 각각 상이하게 나타났으며, 두 명의 중학생에게서만 나타났던 특징으로 문법형태소의 오용으로는 설명될 수 없는 정형화된 수화식 표현이 사용되었다. 둘째, 의미구조형성 문장지도가 청각장애학생의 문해능력을 향상시키는데 긍정적 영향을 미쳤으며, 특히 중학생 참여학생에서 두드러진 변화양상을 나타냈다. 구문의미 이해력 검사에서는 문법형태소 및 구문구조에 초점을 맞춘 문항에서 변화가 뚜렷하였으며, 오류 문항에 있어서는 문장이해에 있어 통사적 지식뿐만 아니라 어휘의 의미 파악이 전제가 되는 문항에서 어려움을 나타냈다. 더불어 문장 내의 미습득 어휘가 문장이해에 결정적 단서를 제공할 경우 이해에 곤란을 나타냈다. 읽기 및 쓰기 검사에서는 읽기는 문장배열 하위검사에서, 그리고 쓰기는 문장구사력 하위검사에서 두드러진 변화를 가져왔다. 검사 문항별 특징으로 문장 내에 미습득 부사어가 존재할 경우 부사어와 정합을 이루는 동사를 유추하는데 어려움을 나타냈으며, 빈칸에 적절한 부사어를 선택하는 문항에서 어려움을 나타냈다. 가장 낮은 수행능력을 나타낸 하위검사 영역은 읽기에서 짧은 글 이해, 쓰기에서 글 구성력이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sentence instruction by semantic structure formating on grammatical morpheme use and literacy abilities for four students with hearing impairment. Those students employed in this study showed delay in acquisition of grammatical morpheme and literacy development. The major results obtained through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sentence instruction by semantic structure formating had positive influences on the use of grammatical morphemes for students with hearing impairment, however it became clear that misuse in specific sentences still remained. The results from the test of grammatical morpheme ability were presented in three cases such as: 1) a student that showed an immediate increase of the number of correct responses after receiving the instruction of particles and endings; 2) a student that showed little change during a certain period of time, but the increment was remarkable in the time when instruction had ended completely; 3) a student that showed confusion in the use of grammatical morphemes after intervention. From the investigation of a pattern of misuse, it revealed notable errors of particles in 'receive sentence' and 'causative sentence'. And difficulties were presented in the use of conjunctional endings more than embedded endings. Among conjunctional endings, there were more salient misuses of subordinate conjunctions than coordinate conjunctions, specially in '-dorock(-도록)' and '-geodeun(-거든)'. In the use of grammatical morphemes presented participants' compositions, aspects of the change in the particle were classified as follows: 1) a student that showed the use of particles differentiates after experiencing a misuse when a new particle appears; 2) a student that showed the increase of misuses along with appearances of various particles from the use of limited particles; 3) a student that showed confusion of particle use due to the acquisition of various particles after experiencing a certain number of particles use. The main misuses in the ending were presented such as: 1) a student that showed a decrease of misuse after instruction, but an enumeration relationship of temporal sequence by using '-go(-고)' and '-eoseo(-어서)' appeared rapidly; 2) a student that used limited endings before sentence instruction, but constructed embedded sentences actively by using embedded endings after instruction, and used '-go' and '-eoseo' intensively at the same time; 3) a student that used '-go' frequently before instruction then less used '-go' with using other forms of endings including embedded endings after instruction; 4) a student that used an adhered form of ending. Two middle school students showed standardized sign language expression which can not be explained from the misuse of grammatical morphemes. Second, there were positive impacts on improving literacy ability of students with hearing impairment by sentence instruction of semantic structure formating. Specially, a remarkable change was seen in the middle school participants. In the sentence comprehension tests, there were remarkable improvements in the test items focusing on grammatical morphemes and syntactic structure. From their mistakes, participants showed difficulties in the test items which require syntactic knowledge as well as a grasp of vocabulary. Furthermore they showed difficulties in understanding when non-acquisition vocabularies, which offer decisive clue to understanding of sentences, were presented. In the reading and writing tests, remarkable changes were showed in sentence arrangement in reading sub-tests, and sentence command ability in writing sub-tests. From the characteristic of test items, if a non-acquisition adverb was in the sentence, participants showed difficulties inferring a verb which corresponds with the adverb. Also, difficulty was presented in the question items from which an appropriate adverb had to be chosen in a blank. Among reading and writing tests, sub-tests with the lowest performance were 'comprehension of short essay' in reading and 'text composition' in writing.

      • 대학행정직원의 직업기초능력과 자기개발욕구가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박경란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대학행정직원의 직업기초능력과 직무만족도를 측정하고 자기개발욕구에 의해 조절되는 효과가 있는지의 관계를 밝혀, 대학행정직원의 직무몰입을 극대화시킴으로서 대학행정조직의 효율성을 향상시키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와 문헌연구를 고찰하여 이론적 배경으로 삼았고, 직업기초능력과 직무만족도 그리고 자기개발욕구에 관한 질문지 기법의 설문지를 통하여 조사연구를 실시하였다. 연구도구는 관련 문헌과 선행연구를 참조하여 본 연구의 목적에 맞게 재구성한 설문지를 측정도구로 사용하였고, 대학행정직원의 직업기초능력에 관하여 40문항, 자기개발욕구와 관련하여 4문항, 직무만족과 관련하여 4문항, 인구통계학적 특성 6문항으로 구성하였다. 직업기초능력의 기술통계를 분석하기 위하여 직업기초능력의 20개의 하위요인을 요인별로 관리능력, 성과능력, 과업능력, 대외능력의 4개 영역으로 요인분석을 통해 범주화 하였다. 본 연구에서 조사 분석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직무만족에 대한 직업기초능력의 영향을 검토했을 때, 관리능력이 p<.001(t=3.371) 수준에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고, 성과능력, 과업능력, 대외능력은 유의하지 못한 결과가 나타났다. 둘째, 직무만족에 대한 직업기초능력의 하위요인별 영향을 검토했을 때, 관리능력은 사내회의운영, 부서활성화, 면담/고충상담/지도, 인사관리 및 갈등파악/해소 능력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관리능력의 구성능력에 대한 영향력을 검토했을 때, 부서활성화 능력이 p<.05(t=2.150) 수준에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고, 다른 요인들은 유의한 결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셋째, 직업기초능력과 직무만족에 있어서 자기개발욕구의 조절효과를 분석한 결과 인구통계학적 변수 모형이 직무만족에 대한 설명력(R2)이 .041로 p<.05 수준에서 유의하게 나타났다. 하지만 개별 인구통계학적 변수들은 유의한 영향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인구통계학적 변수들을 통제하고도, 약 12%이상의 직업기초능력과 자기개발욕구의 직무만족에 대한 설명력이 매우 유의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직무만족에 대한 자기개발욕구의 조절효과가 유의한 수준으로 나타나고 있음을 볼 수 있다. 관리능력과 자기개발욕구가 유의한 주 효과(main effect)를 보이고 있고, 관리능력과 자기개발욕구, 성과능력과 자기개발욕구, 및 과업능력과 자기개발욕구가 유의한 결과를 나타냈다. 즉, 자기개발욕구는 직업기초능력과의 상호작용을 통해서 직무몰입에 조절변수로서 유의하게 효과를 미치는 것을 알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자기개발욕구는 주 효과로서는 정적으로 유의하지만, 관리능력과 과업능력에서는 부적 상호작용으로 인해 자기개발욕구가 높아질 경우 직무만족을 감소시키는 완충적 효과가 나타나고, 성과능력과의 상호작용은 정적인 효과를 나타내어, 직무만족을 더욱 강화시키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대학의 행정직원에 대한 사회적인 인식은 정년이 보장되어 있다는 장점이 부각되어 직무만족이 높은 집단으로 알려져 있지만, 팀 단위의 조직개편으로 인한 보직의 축소로 인한 장기근속자의 조기퇴직 양산 및 성과위주의 부서평가를 중심으로 한 예산 편성 및 인사제도의 시행은 직무만족을 저해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직무적성 군을 분류하고 성과능력을 발휘할 수 있는 경력 개발 track을 형성함으로써, 행정직원 스스로가 자기개발욕구를 통한 긍정적인 상호작용을 경험하게 하여 직무에 몰입할 수 있는 근무환경을 조성하고 직무만족을 높일 수 있는 제도를 마련해야 할 것이다.

      • 노인여성의 지각된 유익성, 자기효능 및 가족지지와 건강증진 생활양식과의 관계 : 일부 농촌지역을 중심으로

        박경란 충남대학교 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47631

        Recently, the elderly population are increasing because of development in medical science and improvements in economic status. Especially, the elderly women are increasing. Therefore effective health promotion lifestyles for health of elderly women is needed. This study was designed to explore health promoting lifestyles and its relationships with three associated cognitive perceptual variables, perceived benefits, self-efficacy, family support. One hundred forty eight elderly women who lived in Yung-Dong Gun, Chungbuk. were recruited and interviewed with a structured questionnaire. Data was collected from November 1 to December 31, 2001. The research instruments used in this study were: Health promoting life style scale developed by Choi and Kim(1997). Perceived benefits scale developed by Seo(2001). Self-efficacy scale developed by Seo(2001). Family support scale developed by Hong(1999). In data analysis, SPSS PC+ was utilized and data were analyzed using frequency, percentage, mean, standard deviation, t-test, ANOVA, Multiple stepwise regression and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The results were summarized as follows. 1.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health promoting life styles according to religion (F=8.853, p=.000). 2. Mean and standard deviation to the health promoting lifestyles of elderly women showed 3.23±.41. 3. Means and standard deviations to the perceived benefits, self-efficacy and family support showed 3.11±.45, 2.67±.30, 2.97±.37 respectively. 4. There were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perceived benefits, self-efficacy, family support and health promoting lifestyles of elderly women. 5. Stepwise regression analysis of the predictor variables (demographic, perceived benefits, self-efficacy, family support) on the health promoting lifestyles indicated that family support, perceived benefits, leisure acts accounted for 76.4% of the variance in health promoting lifestyles.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family support significantly affected the health promoting lifestyles of elderly women. Therefore, the nurses should be encouraged family support to enhancing the health promoting lifestyles of elderly women, Future research can be designed to identify family support will enhance the health promoting lifestyles of elderly women.

      • 양극성장애에 대한 대상관계이론적 접근

        박경란 한세대학교 심리상담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양극성장애의 발생 원인에 대해 프로이트와 멜라니 클라인, 페어베언 등의 견해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비교함으로써 양극성 장애에 대한 폭넓은 이해를 갖는 데 있다. 양극성장애에 대한 프로이트와 클라인, 페어베언의 견해의 공통점은 생애초기 유아가 만족스러운 경험을 충분히 제공받지 못하면 결핍과 박탈이 일어난다는 것이다. 그리고 고착된 상태로 형성된 성격과 병리는 성인에 이르기까지 개인의 삶에 영향을 미치며, 좋은 대상 경험의 박탈이 양극성 성향과 같은 병리를 발생시키는 원인이 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다음으로 양극성장애에 대한 프로이트와 클라인, 페어베언의 견해 차이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프로이트는 정신 병리의 궁극적 원인을 오이디푸스적 상황에서 찾았으나 페어베언은 유아가 특정한 발달 시기에 좋은 대상관계를 맺는 여부에 달려있다고 주장하였다. 인간의 병리와 고통의 원인에 대해서도 페어베언과 클라인의 입장은 차이가 있다. 그러나 어린 시절의 박탈로 성격과 병리에 영향이 미칠지라도 안정되고 촉진적인 심리적 환경 안에서 상담사를 통해 일관적으로 좋은 대상을 제공 받고 자신의 주이상스를 맞닥뜨릴 때 진정한 애도와 함께 탈동일시와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