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고사소리의 음악적 특징 연구

        민혜인 한국예술종합학교 2007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논문에서는 고사소리를 채보하여 음악구조를 분석함으로써 고사소리의 음악적 특징을 살펴보는 것이 목적이다. 본 연구의 연구대상이 된 음반은 이보형이 채록한 『고사소리』와 하룡남이 노래한 『불교음악』이다. 위 음반 내용 중 창자의 출신 지역과 활동 집단에 따라 구분하여 전라도 출신의 판소리 광대이자 고사광대였던 공대일과 경기도 세습무 출신의 조한춘, 경기도지역의 스님 출신인 하룡남의 고사소리를 택하였다. 공대일과 조한춘은 음악 구조적으로 긴밀한 편이고 이에 비해 하룡남은 이 둘과는 구분된다. 채보 악보의 분석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은 얻을 수 있었다. 첫째, 고사소리에 쓰인 장단은 중모리·중중모리·자진모리와 무장단이다. 특히 하룡남은 일정한 장단 없이 ♩♪♩♪(??=102)의 리듬에 맞춰 노래하며 선율 단락은 꽹과리에 의해 구분된다. 둘째, 음계는 반음이 없는 미음계·반음이 있는 미음계(계면길)·솔음계(우조길)·라음계의 네 가지가 쓰인다. 공대일의 고사소리는 반음이 없는 미음계와 반음이 있는 미음계(계면길)·솔음계(우조길)로 짜여있고 조한춘은 반음이 있는 미음계(계면길), 하룡남은 라음계로 짜여있다. 따라서 공대일 고사소리에서 음계구조는 가장 다양하게 나타난다. 셋째, 한 선율단락은 4, 6, 10장단 등 긴 경우도 있지만 대개 두, 세 장단에 이루어진다. 하룡남은 일정한 장단 없이 꽹과리에 의해 구분된 두 개의 선율이 한 단락을 이룬다. 넷째, 공대일·조한춘에 비해 하룡남은 어느 정도 갖추어진 종지형 선율이 나타난다. 사설내용과 선율로 종지음을 구분해 보면 전자는 본청이나 하청, 후자는 도음이나 레음으로 종지한다. 또 새로운 단락이 시작될 때는 대개 고음에서 시작하는 특징이 있고 하룡남은 모두 같은 음에서 시작한다. 다섯째, 사설과 장단의 짜임은 대마디대장단을 이루는 경우가 대부분이나 공대일 치국잡기의 경우 여러 장단에 걸쳐 불균등하게 나뉘기도 한다. 하룡남은 규칙적인 장단은 없으나 주로 4/??의 박에 사설과 장단의 짜임이 이루어진다. 위의 결과들을 종합해보면 공대일의 고사소리는 다양한 음계와 장단을 씀으로써 가장 치밀한 짜임새를 보이고 있고, 조한춘은 반음 있는 미음계를 쓰고 있지만 선율이나 리듬짜임은 간결하다. 또 하룡남은 음구조나 장단 면에서 앞의 두 사람과는 구분된다. 따라서 세 고사소리는 음구조와 장단 등 음악구조상으로는 전통음악의 보편적인 범주를 벗어나지 않지만, 창법 등으로 구분된다. 결국 세 고사소리는 전통음악의 근본 음악 구조 안에서 각 집단 간의 소리조(調)로 불려지는 음악이라고 하겠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musical characteristics of Gosasori by writing down the Gosasori and analyzing the musical construction of it. Gosasori" collected and recorded by Lee Bo-hyoung and "Bulgyoeumak(Buddhist music)" sung by Ha Ryong-nam are analyzed for this research paper. The musical recordings of Lee Bo-hyoung's collection include Gosasori of Gong Dae-il, Choi Gwang-Ryul, Lee Young-u, Jo Han-hun, and Choi Eun-chang. They are all resources of live recordings. "Bulgyoeumak(Buddhist music)" by Ha Ryong-nam is a restoration of an old phonograph recording. By distinguishing the above musicians by their home province and their groups of activities, the Gosasori of Gong Dae-il, who was a Pansori performer and a Gosasori performer from Jeonla province, Jo Han-chun, who was a hereditary shaman in Gyunggi province, and Ha Ryong-nam, who was a monk from Gyunggi province, were chosen. Following conclusions were drawn from the analysis of the music written down from the recording. First, the rhythmic patterns used in Gosasori are Gungmori, Gunggungmori, Jajinmori, and rhythmic pattern without rule. Especially Ha Ryong-nam sings along the rhythm of ♩♪♩♪(??=102) without a consistent rhythm and the melodic section is distinguished by gong. Second, four kinds of scales, which are Mi scale without semitone, Mi scale with semitone(gyemyeongil), Sol scale(ujogil), and Ra scale, are used. Gong Dae-il's Gosasori consists of Mi scale without semitone, Mi scale with semitone, and Sol scale. Jo Han-chun's consists of Mi scale with semitone. Ha Ryong-nam's consists of La scale. Therefore, the scales of Gong Dae-il's Gosasori show the most variety. Third, one melodic section usually consists of two to three rhythmic patterns although it sometimes has 4,6, or 10 rhythmic patterns. In Ha Ryong-nam's Gosasori, two melodies divided by gong form one section. Fourth, although it is without a consistent cadence melody, cadence note distinguished by the content of text and melody is usually Boncheong(basic note in scale, third note) or Hach대ng(first note in scale). However, Ha Ryong-nam's Gosasori shows a consistent cadence melody that ends with Do or Re. It is an overall characteristic of Gosasori to begin on a high note when a new section begins. All sections begin on the same note in case of Ha Ryong-nam's. Fifth, the structure of text and rhythmic pattern commonly are simple. But Gong Dae-il's Chigukjabgi has imbalanced division that stretches to several rhythmic patterns. Ha Ryong-nam does not show a regular rhythmic patterns, but the structure of text and rhythmic patterns usually formed at 4/?? In conclusion, Gong Dae-il's Gosasori shows the most elaborate structure by using various scales and rhythmic patterns while Jo Han-chun's melody and rhythmic construction are simple despite the Mi scale with semitone. Ha Ryong-nam is distinguished from the other two in the aspects of rhythmic patterns and scale. Therefore, the three Gosasoris do not fall out of the conventional range of traditional music in their musical construction such as scale and rhythmic patterns, but the unique characteristics in vocalism divide them into different groups' unique style. The three Gosasoris are unique style in each group while staying within the range of the basic traditional construction of music.

      • Johannes Brahms의 『헨델 주제에 의한 변주곡과 푸가, Op.24』에 관한 연구

        민혜인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독일 함부르크에서 태어난 요하네스 브람스(Johannes Brahms,1833-1897)는 작품의 구성이나 형식적인 면에서는 고전적 전통을 고수하고 화성, 리듬, 선율, 음향 등에 있어서는 낭만주의적 색채를 표현함으로써 자신만의 독특한 음악세계를 확립한 후기 낭만주의 시대의 대표적 작곡가이다. 그는 피아노 음악중 변주곡 분야에 관심이 많았으며, 소나타 2개에서 변주기법을 사용하였고 피아노 독주를 위한 변주곡 5곡, 피아노 이중주를 위한 변주곡 및 두 대의 피아노를 위한 변주곡을 각각 한곡씩 작곡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먼저 브람스의 피아노 작품과 음악적 특징을 살펴보고, 그의 변주곡 전반에 나타난 일반적인 특징을 고찰하여 이를 토대로 브람스가 변주곡으로 쓴 작품 중 극치를 이루는 곡이라고 할 수 있는 「헨델 주제에 의한 변주곡과 푸가, Op.24」 을 분석 및 연구하였다. 1861년에 작곡한 곡으로 그의 피아노 독주곡의 두 번째 시기에 속하는 이 곡은 헨델의 「하프시코드를 위한 모음곡 B♭장조(Suites des Pieces de Clavecin in B♭ Major)」의 마지막 주제를 그대로 사용하였고 원래 작품에서 헨델은 주제에 5개의 변주를 더한 반면 브람스는 Aria와 25개의 변주 및 푸가로 구성하였다. 주제의 박자는 4/4박자, 조성은B♭장조, 형식은 2부분 형식 등 대체로 주제에 고정되어 있어 통일성을 보이며 리듬, 화성, 선율의 변화를 주어 각각의 변주마다 브람스 특유의 개성을 나타낸 이 변주곡은 성격변주곡에 속한다. 제 5, 6, 13, 21변주를 제외하고 모든 변주가 주제 조성인 B♭장조를 사용하고, 박자는 제 19, 21, 24변주를 제외한 모든 변주가 4/4박자로 통일된다. 형식은 두도막 형식(binary Form)으로 4+4의 형태를 보이나, 제15변주는 4+5의 형태를 지닌다. 리듬은 복합리듬(polyrhythm)과 헤미올라(hemiola), 당김음(syncopation), 시칠리리듬(siciliano)을(제19변주) 사용하여 다양한 변화를 주고 있으며 선율은 헝가리 랩소디(hungarian rhapsody)풍(제13변주)의 선율과 뮤제트(musette)풍(제22변주)의 선율 등 주제선율을 자유롭게 변화시키거나 특징적인 양식을 사용하여 성격적 변주로서의 특징을 볼 수 있다. 브람스는 곡의 마지막에 바로크 양식 중 하나인 푸가기법을 사용하였다. 헨델의 주제를 그대로 따온 푸가는 주제의 확대, 전위와 같은 대위법적 요소가 잘 결합되어있는 한편 주제와 그 반주가 종종 병행 6도와 3도로 주어지고, 펼침화음 음형으로 된 대위법적인 장식은 이 푸가가 “엄격한”형식에서 벗어나 있음을 보여준다. 「헨델 주제에 의한 변주곡과 푸가, Op.24」는 브람스의 변주곡 가운데서도 규모뿐 아니라 내용면에서도 비중이 큰 작품이며 뛰어난 변주기법이 집약된 작품으로 연구할 가치가 있다. 본 논문에서는 브람스의 피아노 변주곡 「헨델 주제에 의한 변주곡과 푸가, Op.24」 의 각 변주의 차이점과 그 특징들을 분석하여 작곡자의 의도를 분명히 이해하고 연주에 도움을 주고자 하며, 더 나아가 낭만주의 시대에 자신만의 음악세계를 확립한 브람스의 음악사적 위치를 새롭게 인식하는데 목적이 있다. Johannes Brahms (1833-1897), born in Hamburg, Germany, is a representative composer of the late romantic era. He established his own unique music style that sticks to classical traditions in the structure and form of the work and use romantic factors in relation with its harmony, rhythm, melody and sound. He had lots of interest in variations among various types of piano music. He employed thematic variation in two sonatas and composed five variations for piano solo, a variation for piano duet and a variation for two pianos. This study first examined the musical features of Brahms' piano works and then explored general features detected in his overall variations. Based on this, 「Variations and Fugue on a Theme by Handel, Op. 24」, the work considered Brahms' best variation, was analyzed and studied. 「Variations and Fugue on a Theme by Handel, Op. 24」 composed in 1861, during his second period of piano solo music, used the last theme of 「Suites des Pieces de Clavecin in B♭ Major」 as it was. While Handel added five variations to the theme in the original work, Brahms wrote the work composed of Aria and 25 variations and fugues. The theme of the work is in 4/4 time, B♭ major and binary form. The work largely sticks to its theme, exhibiting uniformity. Brahms also made some changes in their rhythms, harmonies and melodies, showing his unique characteristics in each of the variations. These variations belong to characteristic variation. All of the variations except for the 5th, 6th, 13th, and 21st variation are in B♭ major, the same tonality of the theme, and all of the variations except for the 19th, 21st and 24th are written in 4/4 time. As for the forms of the variations, the binary form of 4+4 is largely used in most of the variations, but in the 15th variation, the form of 4+5 is used. A variety of rhythms including polyrhythmics, hemiola, syncopation and siciliano rhythm (the 19th variation) are used in the variations to create various changes. As for melody, the theme melodies, such as the melody in the style of Hungarian Rhapsody (the 13th variation) and melody in the style of musette (the 22nd variation), are changed freely or used in unique styles, displaying the features of characteristic variations. Brahms employed fugue technique, one of the elements that characterize the Baroque style, in the last part of the work. The fugue he borrowed from a theme by Handel displays the expansion of the theme and a good combination of the elements of counterpoint like inversion. Its theme and accompaniment are, however, sometimes given in 3rd, and 6th degrees in parallel and counterpoint decoration in the form of broken chord figuration shows the fugue escaped from the "strict" form. Of Brahms' variations, 「Variations and Fugue on a Theme by Handel, Op. 24」 is highly considered in terms of scale and content. The work containing outstanding thematic variations is worth being researched. This study analyzed the differences and features of each of the variations of Brahms' piano work 「Variations and Fugue on a Theme by Handel, Op. 24」. The study aimed at clearly understanding the composer's intention and helping to play the work. Besides, it sought to perceive the position of Brahms who established his own music style in the romantic era from a new perspective.

      • 평생교육 참여자 특성에 따른 교육 만족도 분석 : 공주대학교 산업과학대학을 중심으로

        민혜인 공주대학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현대사회의 급속한 고령화 및 다양하고도 빠른 변화는 정규교육인 학교교육만으로 평생을 살아가기에는 어려움을 느끼게 만들었다. 따라서 시간이 지날수록 평생교육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다. 이제 교육이라는 것은 아동기, 청소년기에 한정되어 받는 단순히 교육만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며, 전 생애에 걸쳐 이루어지는 생존을 위한 교육, 삶을 위한 교육으로 전환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이처럼 현대 사회는 어느 때보다 평생교육에 대한 필요성이 크게 나타나고 있고, 그 범위 또한 매우 크게 확대되고 있다. 따라서 인간은 다양하고도 새로운 지식을 빠르게 습득해나가야 함과 동시에 새로운 지식을 얻을 수 있는 능력을 요구받고 있다. 그렇기 때문에 끊임없는 자기개발이 필요하게 된 것이다. 이러한 평생교육은 지자체, 학교, 대학, 주민자치센터, 도서관 등 매우 다양한 기관에서 다양한 형태로 운영되고 있으며, 평생학습은 지역사회의 역할이 큰 영향을 미치게 되는데 그 지역에 속한 주민들에게 다양한 평생교육 프로그램을 접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 결론적으로는 인간의 삶의 질 향상이라는 효과를 줄 수 있다. 공주대학교 산업과학대학의 평생교육원과 여성 새로일하기센터, 농업마이스터대학에서는 지역주민들의 학문적 욕구와 함께 취업 및 자신의 일로부터 필요한 학문적 요구를 반영한 다양한 평생교육 프로그램을 진행 중에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공주대학교 산업과학대학 내의 평생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하고 있는 성인학습자들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교육만족도 조사를 실시하였다. 이러한 조사를 통해서 부족한 점과 개선해야 할 점을 알아보고, 향후 대학 내의 평생교육 기관이 평생교육 기관으로서 좀 더 차별화되고 보다 나은 서비스를 제공하여 성인학습자의 만족도를 높일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문헌연구와 함께 2017년 9월 18일부터 2017년 9월 29일까지 약 2주간 공주대학교 산업과학대학 평생교육원, 여성 새로일하기센터, 농업마이스터대학의 평생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하고 있는 성인학습자 151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조사대상자 151명 중 여성이 95명(62.9%), 남성이 56명(37.1%)으로 평생교육에 참여하는 비율은 여성이 남성보다 많았고, 연령은 40대 46명(30.5%)으로 가장 많았다. 학력은 2년제 대졸자 49명(32.5%)의 비율이 가장 높았고, 직업을 가지고 있는 사람이 101명(66.9%), 없음 50명(33.1%)으로 직업을 가진 사람의 교육 참여율이 높았다. 성인학습자의 개인적인 특성별로 교육만족도에 차이가 있을 것이라는 가설 검증 결과를 살펴보면 성별, 연령, 소득, 참여동기에 따른 교육만족도 차이에서는 각각의 세부영역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하지만 학력에 따른 교육만족도 차이에서는 ‘학력에 따른 교육환경 및 서비스 만족도 차이’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이용기간에 따른 교육만족도 차이에서도 ‘이용기간에 따른 강사 만족도 차이’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나머지 세부 영역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직업유무에 따른 교육만족도 차이에서는 ‘직업유무에 따른 강사 만족도 차이’, ‘직업유무에 따른 교육환경 및 서비스 만족도 차이’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따라서 직업유무에 따른 전체 교육만족도에는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Due to the aging population and the fast, unexpected changes of this modern society, receiving only mandatory regular education from school, leads to difficulties in coping with one’s life. Thus, the importance of lifelong education is becoming more meaningful. Rather than receiving mandatory education early in childhood or during adolescence, it emphasizes the need to change the educational paradigm to a life-based one mainly for enhancement of living quality and survival in this world. Consequently, the need for lifelong education has reached its maximum status and its realm of influence is also expanding. Following on from the changes in this society, we are asked to learn new information while also being asked to possess abilities to handle broad amounts of new information, so the need for endless personal develop arises. Such lifelong education is currently running at different facilities such as in schools, universities, local community centers or libraries in different forms. Lifelong education influences greatly on the different aspects of local community, but the crucial point is that it allows the citizens to experience different educational forms, which can ultimately enhance human life quality. At the industrial science university’s lifelong educational center, center for women seeking for new work and the agricultural meister university at Kongju University, all provide different lifelong educational programs, which aim to answer the community’s increasing desire for education and the specific varying needs of the individuals. By participating in this program, the life quality of an adult participant can be improved. Thus, the following research on the educational satisfaction was based on the adult participants of Kongju University’s lifelong education program using statistical analysis of the populational characteristics. This research will allow for feedback of the program while highlighting the possible improvements. Therefore, it aims to improve the university’s role in improving the satisfaction of the participants while also providing specialized services for them. For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together with literature research, from 18 th of September 2017 to 29 of September 2017, a survey was carried out for 2week on the 151participants of the lifelong education at Kongju University provided by the industrial science university’s lifelong educational center, center for women seeking new work and the agricultural meister university. As a result, out of 151 people 95 were female (62.9%) and males were 56 (37.1%), thus more men participated in lifelong education while there were 46 people in their 40s (30.5%) which corresponded to the highest population percentage. In terms of education, graduating from a 2 year course comprised of 101 people (66.9%) while only 50 people (33.1%) did not have jobs. Therefore, more people with jobs participated in this program. Looking at the hypothesis that there will be differences in academic satisfaction depending on the adult participants' individual characteristics, age, sex, income and participation reason do not lead t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satisfaction. However, there were differences in environment and service satisfaction when the participants' educational status diffefed. Furthermore, this also led to statistically significant results in satisfaction according to different educaion lengths. In other categories, there were no significant results. Especially for educational satisfaction depending on job status, there were significant results in tutor satisfaction, service and environment satisfaction, thus concluding that overall educational satisfaction is influenced by job statu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