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그린마케팅; 이해와 전략적 전개

        민현희 인천대학교 경영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오늘날 환경문제가 인류의 발전과 생존에 직결되는 중요이슈로 떠오르고 있다. 환경에 대한 관심이 증대하고 대량생산, 대량소비로 인한 자원의 낭비, 자연의 파괴, 오염물질의 배출에 관심을 가지는 소비자가 늘어나자 기업의 경영활동에도 환경적 요소가 중요하게 되었다. 그린 소비자의 증가로 환경과 조화를 이룬 마케팅 즉 그린 마케팅이 요구되고 있다. 본 연구는 국내외 기업들의 그린 마케팅 실천 사례를 알아보고 이를 통해 기업들에게 새로운 사업의 기회를 제공하고 소비자들에게는 안전하고 우수한 제품의 사용으로 인한 욕구충족의 기회를 제공하는 그린 마케팅 전개방향을 알아보고자 한다. 그 결과를 간단히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 대학구조개혁 정책 관련 언론 기사와 댓글에 나타난 대학 담론 연구 : 이슈 순환주기 모형을 적용한 시계열 텍스트 마이닝 기법으로

        민현희 고려대학교 미디어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국내 고등교육의 핵심 쟁점인 대학구조개혁 정책과 관련한 지난 10여 년간의 인터넷 언론 기사와 댓글을 분석함으로써 대학의 이슈 관리 대책 수립을 위한 기초가 되고자 하였다. 이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대학구조개혁 정책에 대한 언론 기사와 댓글에 나타난 어젠다(agenda)와 프레이밍(framing)을 이슈 순환주기(이슈 생성기-이슈 표면화기-이슈 고조기) 모형에 따라 시계열적으로 탐색하였다. 구체적으로 웹크롤링(web crawling) 방식을 사용해 네이버 뉴스 홈페이지에서 수집한 총 12,991건의 언론 기사와 193,353건의 댓글을 이슈 순환주기별로 각각 분석하였다. 빅데이터 분석기법을 활용하여 주제어 빈도(TF) 분석, 상위 주제어(TF-IDF) 분석을 실시함으로써 어젠다를 파악하였고 토픽 모델링의 LDA 분석을 실시함으로써 프레이밍을 탐색하였다. 연구 결과 이슈 생성기를 지나 이슈 표면화기, 이슈 고조기로 이슈가 전개됨에 따라 주기별로 주요 담론에 변화가 있었다. 언론 기사의 경우 정부와 대학 관점에서 정부의 대학구조개혁 정책과 대학들의 위기 극복 방안이 어떻게 변화하는지 조명하고 있었다. 댓글의 경우 3개 이슈 주기 모두에서 대학, 교육, 사회에 대한 비판적 고찰이 나타났으나 이슈 표면화기에는 지방대학 폐교 요구, 이슈 고조기에는 하위 평가 대학에 대한 생각이 주요 담론으로 새롭게 등장하였다. 또한 언론 기사와 댓글 내 담론은 상당한 차이가 있었다. 언론 기사는 각 주기별 평가 방법과 평가 결과에 대한 정보와 같이 교육부 보도자료를 바탕으로 한 담론, 평가 결과에 대한 혼란과 대학의 미래 전략에 대한 논의와 같이 대학들의 목소리를 바탕으로 한 담론이 주를 이루었다. 반면 댓글의 담론은 대학, 교육, 사회에 대한 광범위한 의견과 생각이 3개 이슈 주기 모두에서 발견되었고 지방대학 퇴출 요구, 평가 결과에 대한 반응 등이 나타났다. 본 연구는 대학구조개혁 정책의 이슈 변화 추이를 장기적으로 탐색하였다는 점, 대학구조개혁과 갈등주기 모형 관련 연구의 폭을 넓혔다는 점, 댓글 분석을 통해 대학에 대한 우리 사회의 인식을 보다 정확하게 파악했다는 점, 이를 바탕으로 대학의 이슈 관리와 가치 재정립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했다는 점에서 의의를 지닌다. 대학 입학연령 인구 감소에 따라 대학구조개혁 정책은 더욱 다양한 양상으로 나타날 것으로 보이므로 대학이 이슈 관리를 위해 어젠다와 프레이밍을 선점하는 것이 중요함을 강조하였다. This study aims at providing the base stone for establishing countermeasures for issue management by analyzing the internet news coverage and comments for the past 10 years on university structural reform policies which has been a major concern of the domestic higher education. To achieve this objective, this study explored the agenda and framing that appeared on news coverage and comments on university structural reform policy in time-series manner according to the Issue Life Cycle Model(Issue Latency-Issue Emergence-Issue Escalation). Specifically, 12,991 news coverages and 193,353 comments collected from a website, Naver News, using the web crawling method were respectively analyzed along with the each phase of the Issue Life Cycle Model. This study determined the agenda by exploiting the big data analysis method to conduct Term Frequency analysis and Term Frequency-Inverse Document Frequency analysis and explored the framing by conducting LDA analysis of topic modelling, and main topic semantic networks analysis. As the result of the research, this study found that there were changes in major discourse as an issue develops along with the phases of Issue Latency, Issue Emergence, and Issue Escalation. In terms of the news coverages, how the university structural reform policy of the government and crisis-overcoming resolutions of universities are changing was being illuminated in their respective perspective. Regarding the comments, critical reviews about university, education, and society have appeared in all 3 phases of the Issue Life Cycle Model. However, the demand for closing local universities in Issue Emergence and the reviews on low-rated universities in Issue Escalation have respectively appeared as the major discourse. In addition, the discourses in the news coverages and the comment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news coverages, the discourse based on the press coverages from the Ministry of Education such as the information about the assessment method for each cycle and the assessment result, and the discourse based on the voice of universities such as the confusion on the assessment result and the discussion on the future strategies of universities constituted the major discourses. On the other hand, regarding the discourse in the comments, extensive opinions and thoughts about university, education and society have been discovered in all 3 phases of the Issue Life Cycle, and the demand for closing local universities, and the response to the assessment result have appeared. This research has its meaningful value in the facts that this research have explored the trend of the issue changes in a long term view, and that it has broaden the range of the research on university structural reform policy and Conflict Life Cycle Model, and that it has recognized the perception of our society about universities through the comments analysis, and that it has provided the basic data for the issue management and the reestablishement of value of university. The research stressed the importance of the preemption for the agenda and framing for universities to manage issues because university structural reform policy is expected to appear in various forms as the population of university-entering age people decreas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