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백자제기(白磁祭器)에 관한 조형연구 : 조선백자제기를 모티브로

        민승기 국민대학교 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47631

        제사의식(祭祀儀式)은 인류의 출현과 때를 같이하여 현재까지 이어지는 중요한 문화유산이다. 날로 현대화되는 각박한 사회에서 자기 자신과 가족의 존재를 인식하고 서로가 화합하며 때로는 서로를 의지할 수 있는 수단으로 현대사회에서 활발하게 행해지고 있다. 제기(祭器)의 사용은 제사의식과 때를 같이한다. 과거에서 현대에 이르기까지 목기, 청동기, 도자기 등으로 만들어진 다양한 형태의 제기들이 사용되고 있다. 그 중 유교(儒敎)를 통치이념으로 한 조선시대에 제기가 가장 활발하게 제작되고 사용되었으며, 당시 백자제기(白磁祭器)가 가지는 조형성 역시 가장 높이 평가되고 있다. 본인은 제사(祭祀)의 의미를 되짚어 보고자함과 조선의 백자제기가 지닌 뛰어난 조형성에 매료되어 자연스럽게 본 논문을 연구하게 되었다. 제기가 지니는 위엄과 엄정한 격식을 유지하면서 조선의 백자제기에서 보여지는 단순하면서도 절제된 형태를 모티브로 현대의 실생활에 보다 편리하게 쓰일 수 있는 실용성을 강조한 도제지기(陶制祭器)의 연구가 본 논문의 궁극적인 목표이다. 제작방법으로 제기의 일반적인 특징인 높은 굽에 변화를 주고자했다. 굽을 보다 높고 넓게 제작하여 제사가 지니는 위엄을 강조하였으며, 종류별로 쓰임에 적절한 형태 및 규격으로 제작하되 일관성을 부여하여 제사 상위에서의 전체적인 조화를 도모하였다. 조선의 백자제기는 공예의 속성인 아름다움과 기능성을 지니고 있을 뿐 아니라 의식기명(儀式器皿)으로의 특수성을 지닌 훌륭한 문화유산이다. 본 연구가 조선후기 이후 사라져간 백자제기를 활성화하여 목기 일색인 현대의 제사상에 더 많은 백색의 도자기가 오르는데 보탬이 되었으면 한다. Ritual ceremony is an important cultural heritage that is being handed down to the present from the appearance of mankind. It is being conducted in hard modern society as the means of recognizing oneself and the existence of family, of harmonizing with one another and of depending one another. The use of ritual utensils goes back to the time of ritual ceremony. Various shapes of ritual utensils made of wood, bronze and ceramic have been used from the past to the present. Among them, ritual utensils of Chosun dynasty, which set Confucianism as ruling ideology, have been manufactured and used most actively, and the formative nature of white porcelain ritual utensils at the time is being evaluated as the most highly. This study became to be conducted to reconsider the meaning of ritual ceremony and because of excellent formative nature of white porcelain ritual utensils of Chosun dynasty. The ultimate purpose of this thesis is the study on ceramic ritual utensils which could be used conveniently in modern practical life with the emphasis on practicality, maintaining dignity and strict formality that ritual utensils have, and by establishing the shape of simplicity and moderation shown in white porcelain ritual utensils of Chosun dynasty as a motive. As a production method, the change on high foot, which is the general characteristic of ritual utensils, was attempted. The dignity, that ritual ceremony has, was emphasized by manufacturing the foot more highly and broadly, and the overall harmony was pursued by manufacturing ritual utensils suitable to appropriate shapes and sizes according to the kind, but giving consistency. White porcelain ritual utensils of Chosun dynasty is the excellent cultural heritage which has the characteristic as ceremonial utensils as well as they have the attribute of handicraft such as beauty and function. This study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serve much more white utensils in modern ritual ceremonies, where wooden wares are dominating, by activating white porcelain ritual utensils that have disappeared since the latter part of Chosun dynasty.

      • 비주얼 헐을 이용한 그래프 컷 기반의 다시점 영상 분할

        민승기 崇實大學校 大學院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Image segmentation is used as the prior condition in image processing and is an extremely important operation in several applications of computer vision. However, researched segmentation methods need lots of time and user intervention. In case of multiview images(MVI), it is especially hard to apply because of numerous images in MVI. In this paper, we propose a new technique for multiview image segmentation, which needs minimum user intervention and provides fast processing time. Moreover, we can exploit the 3D model which is generated on segmentation processing. The proposed multiview image segmentation system consists of the tentative segmentation step using graph-cut and refinement step using visual hull. First, we extract tentative foreground area of all multiview images using graph-cut based on minimum user intervention. Though several images involve segmentation error in this process, we can eliminate the error region by generating 3D model using visual hull and reprojecting the object. We can segment effectively and quickly many images, because whole processing is concluded within several seconds. 영상 분할은 영상 처리의 가장 기초가 되는 중요한 기술로써 다른 여러 분야에서 고급 기술로 가기 위한 필수 과정으로 여겨진다. 그러나, 기존에 연구된 영상 분할 기법은 많은 계산 시간을 요구하기 때문에 다시점 영상과 같이 목표 영상의 수가 많은 경우에 적용하기가 어려웠다. 본 논문에서는 최소한의 사용자 입력을 통하여 많은 수의 다시점 영상을 짧은 시간에 전경과 배경으로 분할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또한, 분할 과정에 비주얼 헐(visual hull) 을 이용하여 3D 모델을 생성하므로, 3D 모델이 필요한 다른 분야에 이용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 제안한 다시점 영상 분할 기법은 그래프 컷(graph-cut)을 이용한 임시적인 영상 분할과 비주얼 헐을 이용한 보정 단계로 이루어져 있다. 첫 번째 단계에서는 기존의 그래프 컷을 사용하여 최소한의 사용자 입력을 바탕으로 많은 수의 영상을 대략적으로 분할한다. 이 과정에서 몇몇의 영상은 오검출 지역을 포함한 결과를 보이지만, 비주얼 헐을 사용하여 모델을 만들고 이 모델을 다시 투영함으로써 잘못 분할된 영역을 삭제한다. 이 모든 과정은 수 초 내로 이루어지므로 우리는 효과적으로 많은 수의 다시점 영상을 빠르고 간편하게 분할할 수 있다.

      • 한국어 명사 어절의 처리 과정

        민승기 영남대학교 2011 국내박사

        RANK : 247631

        A Korean noun Eojeol (e.g., hakkyo'ei) is a combination of a noun (e.g., hakkyo) and a particle (e.g., ei). Previous studies suggested that a noun Eojeol was decomposed into a noun and a particle at the earliest stage in the processing of Eojeols. The present study investigated the processing of Eojeols using a variety of experimental tasks. In chapter 2, the research focus was placed on the differences of Eojeol and word. In Experiment 1 using the free recall task, Eojeols were recalled worse than words. Most recall errors were related to difficulties in retrieving particles. The results suggested that Eojeols are not represented in the memory as a single unit like words. In Experiment 2 using the word association task, participants produced more phrases and sentences as responses to Eojeol stimuli, whereas they produced more nouns to noun stimuli, indicating that Eojeols activate propositional networks in the long-term memory, but words activate lexical networks. In chapter 3, the roles of noun and particle in the processing of Eojeols were examined. In Experiment 3, response times to Eojeols with high-frequency noun in them were shorter than those with low-frequency noun, suggesting decomposition of Eojeols into noun and particle. In Experiment 4, a regression design was adopted with lengths and frequecies of Eojeol, noun and particle as predictors for Eojeol decision times. Each of the five predictors―length of noun, length of particle, frequency of particle, frequency of Eojeol, and frequency of noun―except for length of Eojeol explained significant amount of variance. The results from the Experiments 3 and 4 implied that separate processing of both nouns and particles is necessary to understand Eojeols. In chapter 4, the time course that noun, particle, and Eojeol were represented and utilized was investigated using the priming paradigm. Response times to targets (words for Experiment 5 and Eojeols for Experiment 6) were measured. It was found that masked Eojeol primes (e.g., kai'in'ui) could facilitate responses to noun targets when the latter shared the same noun (e.g., kai'in) with the primes. Similar facilitations were also obtained when masked primes and visual targets were the same (e.g., kai'in'ui). These results support the idea that decomposition and activation of noun would take place at the earliest stage in the processing of Eojeols. In the condition of masked priming in Experiment 7, almost the same facilitative effects were observed for pairs sharing the same Eojeol (e.g., kakyek'ul—kakyek'ul) and pairs sharing only noun (e.g., kakyek'i—kakyek'ul), but in the SOA 200 ㎳ condition, priming effects were significantly larger for the same Eojeol pairs than for the same noun pairs. The result of masked priming suggests that there might be no pre-existing store for Eojeol and the SOA 200 ms result indicates that an Eojeol representation is constructed at a later stage. In Experiment 8, the role of particle in the processing of Eojeols was examined. For particle pairs (e.g., chongchi'wa—nongsa'wa) in which primes and targets have the same particles in common, priming effects were obtained in the conditions of masked priming and SOA 600 ㎳. The result from the masked priming condition suggests that particles seem to be decomposed from Eojeols in the earliest stage. The result from the SOA 600 ㎳ indicates that the influence of particle on the processing of Eojeols is long-lasting. As a conclusion, a model was proposed that the processing of Eojeols would be achieved through three stages. In the first stage, Eojeols are decomposed into nouns and particles. The decomposition is automatic and obligatory. In the second stage, the stored information related to decomposed nouns and particles is retrieved or activated from the mental lexicon and 'the mental dictionary of particles'. Knowledge about spelling, phonology, word class, and meaning of words would be retrieved from the mental lexicon, and knowledge about grammatical case and procedure would be retrieved from the 'mental dictionary of particles'. In the third stage, all the information about each noun and particle would be combined into an Eojeol representation. Representations of Eojeol are first available in this stage. 명사 어절(예, 학교+에)의 처리 과정을 알아보기 위하여 다양한 실험 과제를 실시하였다. 제2 장에서는 어절의 기억 구조를 조사하였다. 자유회상과제를 실시한 실험 1에서 단어 회상보다 어절 회상이 열등하였다. 어절 회상에서 보인 대부분의 오반응은 조사 인출의 실패와 관련이 있었다. 실험 2의 연상과제에서는 어절 자극이 단어(명사) 단위와 구/문장 단위의 연상을 유도하였다. 각각은 어휘망과 명제망의 활성화를 의미하였다. 어휘망의 활성화에는 명사의 영향이 컸을 것이고 명제망의 활성화에는 조사의 영향이 컸을 것이다. 실험 1과 2의 결과는 어절의 기억 구조가 단일 단위가 아닌, ‘명사+조사’의 복합 단위일 가능성을 시사하였다. 제3 장에서는 어절 처리에서 명사와 조사의 역할을 규명하였다. 실험 3의 결과는 명사가 고빈도인 어절에 대한 반응이 명사가 저빈도인 어절에 대한 반응보다 빨랐다. 이것은 어절 처리에서의 명사의 분리와 활성화를 반영하였다. 실험 4의 결과에서는 명사와 조사의 길이와 빈도가 어절의 판단시간을 유의미하게 예언하였다. 실험 3과 4를 통하여 어절의 처리 과정에 명사와 조사의 독립적인 역할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제4 장에서는 점화 패러다임을 이용하여 명사, 조사, 그리고 어절 단위의 개입 시기를 관찰하였다. 차폐 점화 어절(예, 개인이)이 동일한 명사를 공유하는 표적 단어(예, 개인)의 판단을 촉진하였고(실험 5), 차폐 점화 어절(예, 개인이)이 동일한 표적 어절(예, 개인이)의 판단을 촉진하였다(실험 6). 이 두 결과는 명사의 분리와 활성화가 어절 처리의 초기에 있음을 보여주었다. 실험 7의 차폐 점화 조건에서는 어절 일치쌍(예, 가격을–가격을)과 명사 일치쌍(예, 가격이–가격을)에서의 점화량이 대등하였으나, SOA 200㎳ 조건에서는 명사 일치쌍에서보다 어절 일치쌍에서의 점화량이 더 많았다. 전자의 결과는 어절 단위의 기억 저장소가 부재함을 지지하였고, 후자의 결과는 어절 표상이 후기에 가용됨을 보여주었다. 실험 8에서는 조사의 역할을 재검토하였다. 점화 어절과 표적 어절의 조사가 일치하는 쌍(예, 정치와–농사와)에서의 점화효과가 차폐 점화 조건과 SOA 600 ㎳ 조건에서 관찰되었다. 전자에서의 결과는 어절 처리 초기 과정에 조사의 분리가 있음을 시사하였고, 후자에서의 결과는 조사의 영향이 지속적임을 시사하였다. 이상의 결과들은 어절의 처리가 세 단계로 이루어질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제1 단계에서는 명사와 조사가 자동적이고 강제적으로 분리된다. 제2 단계에서는 명사와 조사에 관한 정보들이 심성어휘집과 ‘심성조사집’에서 각각 활성화된다. 제3 단계에서는 명사와 조사에 관한 정보들이 결합하여 하나의 어절 표상을 형성한다. 어절 표상의 가용은 이때에서부터 가능하다.

      • 이족보행로봇을 위한 이동경로계획 알고리즘의 설계

        민승기 명지대학교 대학원 1997 국내석사

        RANK : 247631

        이족보행로봇은 바퀴구동형 이동로봇이 경로를 생성할 수 없는 3차원 장애물에서 이동경로를 생성해낼 수 있으며, 어렵고 복잡한 장애물 사이에서도 경로생성이 가능하다. 따라서 이족보행로봇에 적합한 새로운 경로계획 알고리즘을 만들어야 할 필요가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족보행로봇에 적합한 이동경로계획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2차원 환경에 적합한 이동경로 계획 알고리즘인 탄젠트 그래프(tangent graph) 방법의 성능을 개선한 개선된 탄젠트 그래프 (ETG . Enhanced Tangent Graph) 방법을 제안하고 이를 적용시킬 수 있는 환경을 생성하는 3차원 환경의 2차원 환경으로의 변환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또한 변환된 환경에서 적용 가능한 두 가지 새로운 경로계획 알고리즘인 궤도추적 방법과 가상장벽 방법을 제안한다. 이 알고리즘들은 주어진 환경아래서 이족보행로봇에 대한 효율적인 이동경로 계획을 용이하게 해주며 최적의 경로를 찾는데 효율적인 알고리즘들이다. 몇 가지 모의실험을 통하여 제안된 알고리즘들의 효율성을 증명한다. This thesis presents a path planning algorithm for a biped walking robot. The biped walking robot can generate a path on some 3D obstacles, though a path cannot be generated on the 3D obstacles in case of a wheel-based mobile robot, and it can also generate a path between some complicated obstacles. So, we have to make a new path planning algorithm for the biped walking robot. An ETG(Enhanced Tangent Graph) algorithm is proposed as a more efficient algorithm than an existing tangent graph algorithm in 2D environment, and 3D-2D mapping algorithm is proposed in order to apply the ETG algorithm to 3D environment of the biped walking robot. For planning the path for the biped walking robot in 2D environment transformed from 3D environment, an orbit trace method and a virtual wall method are also proposed. These algorithms make it easier to generate an efficient path for the biped walking robot under given environment. Some simulation results are shown to prove the effectiveness of the proposed algorithms.

      • Streptococcus mutans의 mutan 생성에 대한 lactobacillus spp. 101의 억제효과

        민승기 전남대학교 대학원 2001 국내박사

        RANK : 247631

        Streptococcus mutans는 mutan을 생성하는 구강세균이다. 본 연구에서는 소아의 구강으로부터 Streptococcus mutans의 mutan 생성을 억제하는 Lactobacillus spp. 101을 분리하여 그 특성과 Streptococcus mutans 및 Streptococcus oralis에 대한 영향을 연구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비커 와이어 검사에서 Streptococcus mutans 배양시 형성된 mutan 무게는 186.4±27.2 mg이었으나, Streptococcus mutans와 분리 균주의 혼합 배양시 형성된 mnutan 무게는 3.5±2.1mg으로 Streptococcus mutans 단독 배양시에 비교하여 현저히 감소하였다 (p<0.05). 그러나 생균수에 있어서 의미있는 차이는 없었다. 2. 자당 (5%)이 첨가된 배지에서 배양된 분리균주의 배양 상청액을 가한 비커 와이어 검사에서 형성된 mutan 무게는 23.1±5.4 mg으로 자당이 첨가되지 않을때의 144.6±6.3 mg에 비교하여 현저히 감소하였다 (p<0.05). 그러나 생균수에 있어서 의미있는 차이는 없었다. 3. Streptococcus oralis와 분리 균주 각각의 단독 배양시와 비교하여 혼합 배양시 Streptococcus oralis와 분리균주의 생균수에 있어서 의미있는 차이는 없었다. 4. 자당이 첨가된 배지에서의 분리균주 배양 상청액을 thin layer chromatography 실시한 결과, 자당이 첨가되지 않은 배지에서보다 수용성 폴리머 (polymer)의 양이 현저히 증가하였다. 5. 분리균주가 형성한 수용성 폴리머는 글루캔 (glucan)이었다. 6. 자당이 첨가된 배지에서 분리균주를 배양하였을 때, 배양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수용성 글루캔의 양이 증가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면 Lactobacillus spp. 101은 수용성 글루캔을 생성하여 Streptococcus mutans의 mutan 생성을 억제함을 보여준다. Streptococcus mutans is the mutan-producing oral bacteria. Lactobacillus spp. 101 was isolated from the oral cavity of child. The effect of Lactobacillus spp. 101 on the formation of mutan by Streptococcus mutans was studied. 1. The mean weight of produced mutan on the wires in the beaker was 186.4±27.2 mg in the culture of Streptococcus mutans only, whereas being reduced to 3.5±2.1 mg in the combined culture of Streptococcus mutans and Lactobacillus spp. 101 (p<0.05). The viable cell did not show the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m after culturing. 2. When Streptococcus mutans was cultured in the media containing culture supernatant of Lactobacillus spp. 101 in MRS broth, the mean weight of produced mutan on the wires was 144.6±6.3 mg, whereas being reduced to 23.1±5.4 mg in the media containing culture supernatant of Lactobacillus spp. 101 in MRS broth containing 5% sucrose (p<0.05). The viable cell did not show the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m after culturing. 3. Compared with the number of viable cells after culturing of Streptococcus oralis or Lactobacillus spp. 101, the cell number of Streptococcus oralis and Lactobacillus spp. 101 was not greatly changed after the combined culture of them. 4. The density of soluble polymer was increased on the thin layer chromatography of the culure supernatant produced by Lactobacillus spp. 101 cultured in the media containing 5% sucrose, comparing the media without sucrose. 5. The soluble polymer produced by Lactobacillus spp. 101 was glucan. 6. The amount of soluble glucan produced by Lactobacillus spp. 101 was increased in the media containing 5% sucrose in the course of time.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formation of mutan by Streptococcus mutans is inhibited by water-soluble glucan produced by Lactobacillus spp. 101.

      • 셀룰로오스 EAPap의 초기응력에 의한 진동에너지 하베스터와 산화아연 코팅에 의한 특성향상

        민승기 인하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논문에서는 셀룰로오스 Electro-Active paper (EAPap)을 이용한 진동 에너지 하베스터와 산화아연 코팅에 의한 전기기계적 성능을 향상시키는 연구를 진행하였다. EAPap은 셀룰로오스로 구성된 지능재료로써, 유연하고 무게가 가볍다. 또한 내구성, 높은 가격경쟁력, 낮은 전력소모, 생분해성 등의 장점을 가지고 있다. 펄프를 분해하여 제작한 셀룰로오스 필름에 양면 전극코팅을 하여 EAPap을 제작하였다. EAPap을 형태학적, 기계적, 압전 성능 면에서 특성평가 하였고 EAPap의 압전성을 바탕으로 진동 에너지 하베스터로써의 응용을 연구하였다. 진동 에너지 하베스터의 성능 평가를 위해 EAPap을 캔틸레버 빔에 부착하여 공진주파수의 진동을 가하였다. 출력효율을 증가시키기 위한 방법으로 EAPap에 초기응력(Pre-stress)을 가하였고, 이를 통해 셀룰로오스 섬유들의 배열성이 높아짐을 확인하였다. 또한 초기응력으로 인해 EAPap의 임피던스가 증가하였고, 출력효율도 향상되었다. 초기응력을 EAPap에 가하는 방법은 다른 화학적 처리 없이 물리적인 방법으로 진동에너지 하베스터의 성능향상에 기여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산화아연은 대표적인 반도체 물질로서 넓은 밴드갭(~ 3.4 eV), 높은 전리 퍼텐셜(60 emV), 초전효과, 압전효과 등을 보인다. 셀룰로오스의 전기기계적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 수열합성법을 이용하여 EAPap 표면에 산화아연을 코팅하였다. 산화아연 씨앗이 셀룰로오스 표면 위에 나노층을 형성한 복합재를 CEZON (Cellulose-ZnO Nanolayer)이라 명명하였고, 산화아연 나노막대를 CEZON 표면에 수직으로 성장시킨 복합재를 CEZOHN (Cellulose-ZnO Hybrid Nanocomposite)이라 칭하였다. CEZON과 CEZOHN을 형태학적, 압전성, 유전성 면에서 특성평가를 수행하였다. SEM (Scanning electron microscopy)을 통해 성장한 산화아연의 형태를 관찰하였고, 제작된 두 복합재 모두 훌륭한 압전상수 결과를 보였으며 CEZON은 93 pC/N, CEZOHN은 399 pC/N 이였다. 유전상수 또한 기존 EAPap에 비하여 향상된 결과를 보였다. 셀룰로오스 산화아연 복합재의 향상된 전기기계적 성능을 바탕으로 고분해능 센서, 에너지 하베스터, 종이기반 캐패시터, 유연한 전자기기 등으로의 응용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Electro-active paper (EAPap) made with cellulose has been reported as a smart material. EAPap has many advantages of flexibility, light weight, durability, low-cost, low electrical power consumption, biodegradability and biocompatibility. This thesis reports improvement of EAPap performance by means of pre-stressing and inorganic nanomaterial coating, so called ZnO. EAPap based on regenerated cellulose is fabricated by coating electrodes and characterized in respect to morphology, mechanical and piezoelectric property. EAPap is attempted to test the possibility of vibration energy harvester based on its piezoelectricity. EAPap is attached on a cantilever beam and excited at low frequency. To improve the power output of EAPap vibration energy harvester, pre-stress is applied to the EAPap. As applying pre-stress, the additional alignment of cellulose fiber occurs over the mechanical stretching. As a result, the impedance of the pre-stressed EAPap increases in comparison with conventional EAPap. For this reason, the power output of the pre-stressed EAPap is improved. The pre-stressing of EAPap shows the possibility of improving the performance of the vibration energy harvester. Zinc oxide has a wide band gap (~3.4 eV), electron hole binding energy (60 emV), pyroelectric and piezoelectric properties. Zinc oxide which is well known as a semiconducting material, is deposited on the cellulose film to improve its piezoelectricity through a simple hydrothermal process. The nanolayer is comprised of zinc oxide seeds which are formed on the cellulose film, which is defined as CEZON. In addition, the zinc oxide nanorods are vertically grown on the CEZON and named CEZOHN. Cellulose-ZnO nanocomposites including CEZON and CEZOHN are characterized in terms of morphology, piezoelectric charge constant and dielectric constant. CEZON and CEZOHN exhibit excellent piezoelectric charge constant 93 pC/N and 399 pC/N, respectively. CEZON and CEZOHN also improved the dielectric constant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EAPap. The improved electromechanical behavior of Cellulose-ZnO nanocomposite proposes the possibility for high resolution sensors, energy harvesters, paper based capacitors and flexible electronic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