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고린도후서에 나타난 바울의 사도직 이해에 대한 연구 : 사도적 '직분인식'과 '사역'을 중심으로

        민경애 백석대학교 기독교전문대학원 2020 국내박사

        RANK : 247631

        This thesis has the same viewpoint as the opinion that 2 Corinthians is a single epistle unified rhetorically and literarily, and that the consistent theme in this epistle is ‘apostleship.’ I pay attention to the uniqueness of Paul's recognition and statement of the apostleship as reflected in 2 Corinthians. The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Paul demonstrates what the apostleship is from the eschatological, redemptive-historical viewpoint under the fundamental concept of Christinity, the “covenant and Christ.” Second, on the basis of Paul’s argument the diachronic biblio-theological system, which he has established through his experience on the way to Damascus, settles down. Third, Paul explains his apostleship by his self-conscious term of ἀπόστολος and by the concept of his church-ministerial term of διάκονος/διακονία. Accordingly, the main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study about Paul’s unique mentions of the apostleship and his recognition of the apostolic position and ministry which is based on his biblico-theological understanding of it. The scope of this study is limited to the texts which reflect Paul’s understanding about the apostleship, including the directly connected texts with it. The methodology of this study naturally includes the method of the intratextual interpretation, the investigation of the main theological terms and ideas in the given texts, the synchronic-diachronic observation of the main text, and various dogmatic insights(eschatological, soteriological, Christological and ecclesiological). In Chapter II, I concentrates on the origin and usages of the terms ἀπόστολος(apostle) and διάκονος/διακονία(worker/duty) in relation to the apostleship and in Chapter III, I consider the problem of unity of 2 Corinthians, the structure of this epistle, the Sitz im Leben of the Corinthian Church, scholars’ opinions about the Paul’s opponents, their challenges and his reactions against them, and the argument of his apostleship on the basis of his experience on the way to Damascus(3:7-18; 4:6; 5:11-21). Chapters IV, V, VI concentrate on the fact that Paul as an apostle defines himself as “a worker of the new covenant” and “a worker of Christ”, and then argues that he himself is “a true worker” by making use of the metaphoric expression, “a matchmaker”. He grants the notion of the covenantal accomplishment to his apostleship from the eschatological, redemptive-historical viewpoint. In the final conclusion of Chapter VII, I try to arrange Paul’s biblico-theological understanding concerning the recognition of his own apostleship and apostolic ministry which has been drawn from the previous chapters and reflected throughout 2 Corinthians. In addition, from the practical viewpoint, with serious apprehensiveness in relation to the facts that today ministers of the church may forget the basic comprehension of the nature of pastorate, may set the direction of their ministry depending on their individual faith-view or experiences, may express their biased concerns focused only on the practical management system of the church, or may participate in the movements of the distorted unbiblical theology/ministry such as the Neo-apostle Movement, I would like to present a biblico-theological solution on the basis of the study in the previous chapters. Especially, I believe that Paul’s recognition of apostleship and apostolic ministry shown in 2 Corinthians would enlighten the present ministers to become a true pastor as a church-centric servant of God, i.e. the leader of the covenantal community, would stimulate the saints of contemporary church to perceive the necessity of the holistic understanding of the Old Testament and the New Testament in which the history of the covenant and the history of redemption might be the fundamental frame, and simultaneously, would supply a spiritual energy for them to establish the eschatological faith-view. 본 논문은 고린도후서가 수사학적이나 문학적으로나 통일된 단일서신이라는 입장과 본 서신의 일관된 주제가 사도직이라는 견해에 입장을 같이 한다. 본 연구자는 고린도후서에 반영된, 사도직에 대한 바울의 인식과 진술의 독특성에 주목한다. 그것들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은 것이다. 첫째, 바울은 “언약과 그리스도”라는 기독교의 근본적 개념 아래 종말론적-구속사적 관점에서 사도직이 무엇인지 논증한다. 둘째, 바울의 논증의 기저(基底)에는 그가 다메섹 체험에서 정립한 통시적 성경신학적 체계가 자리잡고 있다. 셋째, 바울은 ἀπόστολος라는 자의식적 용어와 διάκονος/διακονία라는 교회 직분론적 개념으로 사도직을 설명한다. 따라서 본 논문은 이와 같은 고린도후서에 나타난 사도직에 대한 바울의 독특한 언급들과 성경신학적 이해에 배경을 둔 그의 사도적 직분인식과 사역에 대해 연구하는 것을 주목적으로 삼는다. 연구의 범위는 주로 사도직에 대한 바울의 이해를 반영하는 본문들에 한정하되 이와 직결된 본문들 또한 연구 범위에 포함된다. 연구 방법은 자연스럽게 간본문적 해석 방식과 해당 본문 내의 주요 신학 용어와 개념들의 의미 고찰과 주요 본문에 대한 공시적-통시적 조망 그리고 다양한 교의학적(종말론적, 구원론적, 기독론적, 교회론적) 통찰을 포함한다. 본 논문은 본 논문 II장에서는 고린도후서에 나오는 사도직에 관한 용어 ἀπόστολος(사도)와 διάκονος/διακονία(일꾼/직분, 직무)의 용례와 기원에 관하여, III장에서는 고린도후서의 통일성 문제와 본 서신의 구조, 고린도교회의 정황과 바울의 대적자들에 대한 학자들의 견해, 그들의 문제제기와 바울의 반응, 다메섹 체험에 근거한 바울의 사도권 변호(3:7-18; 4:6; 5:11-21)에 대해 고찰한다. IV, V, VI장(章)은 바울이 자신의 사도직을 “새 언약의 일꾼”, “그리스도의 일꾼”으로 규정하고 “중매자”라는 은유적 표현으로 자신이 “참된 일꾼”임을 논증하고 있는 사실에 집중한다. 바울은 자신의 사도직에 대해 종말론적-구속사적 관점에서 언약 성취 개념을 부여한다. 결론에는 고린도후서에 반영된 바울 자신의 사도직과 사도적 사역에 대한 인식에 관한 성경신학적 이해를 총정리한다. 이에 추가하여 적용적 측면에서, 본 연구자는 오늘날 교회의 사역자들이 목회직의 본질에 대한 기본 이해를 망각하고 개인적 신앙관이나 체험에 의존하여 목회 방향을 설정하고 교회의 실천적 운영체제(運營體制)에만 집중하는 편향된 관심을 표출하거나 신사도운동과 같은 비성경적인 왜곡된 신학/목회운동에 우려감을 나타내면서 앞 장들의 연구에 근거한 성경신학적 해답을 제안해 본다. 특히 본 연구자는 고린도후서에 나타난 바울의 사도적 직분인식과 사역 중심의 사도직의 이해가 오늘날 목회자들에게 교회 중심의, 하나님의 종으로서의 참된 목회자 곧 언약 공동체의 진정한 지도자가 되는 길에 빛을 비추어 주고, 현대 교회 성도들에게 언약사와 구속사를 기본 골격으로 하는 구약과 신약에 대한 통전적 이해의 필요성을 자극하며 동시에 종말론적 신앙관을 정립할 수 있도록 영적 에너지를 공급해 줄 것이라고 믿는다.

      • 독서치료를 활용한 청소년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자아탄력성과 대인관계능력에 미치는 영향

        민경애 한세대학교 심리상담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독서치료를 활용한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청소년의 자아탄력성과 대인관계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경기도 H시에 소재한 B중학교 학생들 중 독서치료 집단상담 프로그램에 참여를 희망한 22명의 학생을 대상으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에 각각 11명씩 무선 배정하였다. 프로그램을 실시하기 전에 자아탄력성과 대인관계능력에 대한 사전 검사로 민동일(2007)의 자아탄력성 검사지와 김반야(2015)의 대인관계능력 검사지를실험집단과 통제집단에 실시하였다. 실험집단에는 2016년 9월 5일부터 10월 31일까지 매주 1회씩 총 8회기에 걸쳐 독서치료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구성하여 실시하였다. 프로그램 종결 후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에 자아탄력성과 대인관계능력에 대한 사후검사로 민동일(2007) 자아탄력성 검사지와 김반야(2015)의 대인관계능력 검사지를 실시하였다. 이 연구의 자료 처리 및 분석은 SPSS(version 19)을 사용하여 통계처리 하였으며, 검사에서 적용한 통계방법은 공분산분석(ANCOVA)으로 사전점수를 통제한 교정사후점수를 비교하였다. 본 연구를 통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독서치료를 활용한 청소년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실시한 실험집단이 자아탄력성 검사에서 통제집단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냄으로써 청소년의 자아탄력성에 유의미하게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둘째, 독서치료를 활용한 청소년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실시한 실험집단이 대인관계능력 검사에서 통제집단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나타내고 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독서치료를 활용한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청소년의 자아탄력성과 대인관계능력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파악할 수 있다.

      • 히브리서 10:1-18에 나타난 구약인용문들의 언약신학적 의미

        민경애 백석대학교 기독교전문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논문은 히브리서 10:1-18의 구약 본문들 가운데 나타나는 언약과 예수의 관계성에 대한 신학적 의미를 밝히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히브리서 10:1-18에는 세 개의 중요한 구약본문들이 나타난다: 시편 40:6-8, 110:1, 그리고 예레미야 31:33-34. 히브리서 저자는 이 인용문들을 통해 성육하고 승귀하신 예수가 언약의 성취자이심을 강조한다. 본 논문의 I장은 히브리서 10:1-18의 연구사를 다룬다. 히브리서의 구약적 배경과 언약 개념에 깊은 관심을 표명한 학자들이 있다. S.J. Kistemaker, F.F. Bruce, 그리고 W.L. Lane은 본문을 언약문맥에 위치한 단락으로 보며 대제사장적 기독론을 그 중심 주제로 본다. Geerhardus Vos, Susanne Lehne, 그리고 R.L. Omanson은 히브리서의 언약신학 사상을 강조한다. 이상의 학자들의 연구는 히브리서 이해에 유의미한 통찰을 제공한다. 하지만 그들의 연구는 본문의 문맥적 위치와 의미에 대해 충분한 설명을 제공해주지 못하는 것처럼 보인다. 이 사실은 본 연구의 필요성을 요청한다. II장은 수신자의 정황, 언약 문맥, 구약 인용, 본문의 위치와 구조 등을 살핀다. 이 연구는, 히브리서 10:1-18이, 많은 부분에서 교리가 강조되는 언약신학적 메시지의 결론부에 속하며, 히브리서 저자가 히브리서 10:19-13:25에서 1:1-10:18을 근거로 새 언약 공동체(히브리서 수신자)에게 믿음과 인내를 요구하고 있다는 것을 밝힌다. III, IV, V장은 히브리서 10:1-18에 나타난 세 개의 구약인용문 중심으로 그 가운데 보이는 신학적 용어들, 이 본문과 직결된 여러 히브리서 구절들, 그리고 본문과 관련된 구약 본문들에 대한 고찰을 통해 본문의 언약신학적 의미를 파악한다. 이 연구를 바탕으로 도출된 언약신학적 의미는 VI장의 총결론에서 정리한다. 첫째, 히브리서 10:1-18은 시편 40:6-8의 인용을 통해 성육하신 예수를 강조함으로써 제사장적 예수를, 시편 110:1의 인용을 통해 승귀하신 예수를 강조함으로써 왕적 예수를, 예레미야 31:33-34의 인용을 통해 새 언약을 강조함으로써 언약의 성취자 예수를 부각시킨다. 히브리서 저자는 세 개의 구약 인용문들을 통해서 예수께서 이루신 구속사역이 하나님의 언약의 성취임을 입증한다. 둘째, 본문은 다양한 구약 본문들을 통해서 제의적 모티프(motif)와 언약적 모티프(motif)를 반영한다: 창세기 1:16, 3:14-21, 4:1-15, 레위기 16:18, 34, 출애굽기 19:1-40:38, 예레미야 31:31-40, 사무엘상 15:22, 다니엘 7:13, 에스겔 34:25-31 등. 히브리서 저자는 구약과 신약의 차이점을 드러내는 제의적 모티프와 언약적 모티프를 통해서 예수의 사역의 완전성과 하나님의 언약의 통일성을 강조한다. 셋째, 본문은 시편 110편 전체에 내포된 제사장되시며 왕이신 예수, 그리고 그분의 통치와 보호를 특징으로 하는 하나님 나라 사상을 반영한다. 시편 110편의 예수와 하나님 나라 사상은 본문에서 구약의 언약들이 신약에 계시된 대로 성취되었다는 언약 사상과 연결되어 천상의 종말론적 하나님 나라가 완성된 것으로 나타난다. 넷째, 히브리서 저자는 본문에 내포된 구속 사건과 언약의 성취 사건의 initiative가 성부-성자-성령 삼위 하나님께 있음을 강조한다. 다섯째, 본문에 나타난 제의적 용어들을 통해서 하나님과 백성 간의 언약 관계론적 의미를 제시한다. 여섯째, 히브리서 저자는 수치와 고난으로 인한 수신자의 불신앙, 배교 등과 같은 문제들에 대한 신학적 답으로 구속적 기독론과 언약 개념을 제시한다. 이와 같이 언약신학적 의미들은 예수 그리스도를 믿음으로 말미암아 구원받은 자들이 하나님의 언약 공동체이며, 교회라는 사실을 규명한다. 적용적으로, 본 연구자는 본문에 나타난 언약신학적 의미를 한국교회의 공동체 의식의 부재, 개인주의적 신앙, 수동적 신앙의 팽배와 같은 잘못된 신앙 형태에 따른 문제들에 대한 성경신학적 답으로 제안한다. 특히 본 연구자는 히브리서 10:1-18이 오늘날 성도들에게 언약사와 구속사를 신약과 구약의 통전적 이해로 볼 수 있게 하는 성경해석적 원리와 종말론적 신앙관을 제시해준다는 것을 밝힌다. Key word : 언약신학, 구약인용, 예수의 성육, 승귀, 제사장적 예수, 왕적 예수, 언약 성취자 예수, 하나님의 언약 공동체, 교회. This essay aims at showing the theological meaning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venant and Jesus among the OT quotations in Hebrews 10:1-18. It has three important OT quotations, such as Psalms 40: 6-8; 110:1; Jeremiah 31: 33-34. The author insists that Jesus, who was incarnated and ascended, be the covenant-fulfiller through these quotations. Chapter 1 deals with the history of study of Hebrews 10:1-18. There have been scholars who took interest in the concept of covenant and the OT background of Hebrews. Scholars like S. J. Kistemaker, F. F. Bruce, and W. L. Lane think upon the text as the passage placed in the context of covenant, and consider the main idea as High priestly Christology. And Geerhardus Vos, Susanne Lehne, and R. L. Omanson emphasize on the thought of covenant theology in Hebrews. The study of scholars above presents us with the meaningful insights in understanding Hebrews. Nevertheless, their study doesn't seem to give us enough explanation about the contextual position and meaning of the text. This fact requires the necessity of this study. In Chapter 2, I examine the situation of recipients, the context of covenant, the OT quotation, the place of structure of the text and so on. This study shows that the text(Heb. 10:1-18) belongs to the part of conclusion of the covenant theological message, which the dogmas are mostly emphasized upon, and the author ask for new covenant community(Hebraic recipients) their faith and endurance on the basis of Hebrews 1:1-10:18 and 10:19-13:25. In Chapters 3-5, I seek to find out the covenant theological meaning of the text, examining the theological terms, other Hebrew passages and the OT passages related with the text concentrated on the three OT quotations. And in Chapter 6, the conclusion of the essay, I plan to sum up the covenant theological meaning produced by the study. Firstly, Hebrew 10:1-18 manifests Jesus as Priest by quoting Psalms 40:6-8 to insist on the incarnation of Jesus, Jesus as King by Psalms 110:1 to insist on the ascension of Jesus, and Jesus as the fulfiller of covenant by Jeremiah 31:33-34 to insisting on the new covenant. Hebrew author turn out that the redemptive works of Jesus are the fulfillment of God's covenant through the three OT quotations. Secondly, the text reflects ritual motif and covenantal motif through different OT passages, such as Genesis 1:16; 3:14-21; 4:1-15; Exodus 19:1-40:38; Leviticus 16:18, 34; 1 Samuel 15:22; Jeremiah 31:31-40; Ezkiel 34:25-31; Daniel 7:13 etc. The author emphasizes upon the perfection of Jesus' works and the unity of God's covenant through the ritual motif and covenantal motif showing the difference between the OT and the NT. Thirdly, the text reflects on the thought of the Kingdom of God, characterized with Jesus as a priest and king, and his government and preservation which is implied in the whole of Psalms 110. Both the thoughts of Psalms 110 and the thought of covenant which the promises of the OT was achieved, as they are revealed, in the NT, manifest that the heavenly eschatological God's kingdom was completed. Fourthly, the author insists that the Triune God takes the initiative in the redemptive event and the covenantal fulfillment implied in the text. Fifthly, the ritual terms in the text present the meaning of covenant relationship between God and people. Sixthly, the author give the recipients redemptive Christology and the concept of covenant as a theological answer on their disbelief and apostasy of because of dishonors and sufferings. Thus, covenant theological meanings regulate the fact that the saved through the faith in Jesus Christ are God's covenantal community and Church. In application, I will suggest that the covenant theological meaning of the text can be a biblical answer on the problems like the absence of a sense of team spirit, the pervasiveness of individualistic faith, and passive faith in Korean Church. Especially I'll show that the text give the hermeneutical principle and eschatological faith to enable today's Christians to consider the covenantal history and redemptive history as the wholistic understanding of the OT and the NT. Key words : covenant theology, the OT quotations, the incarnation of Jesus, the ascension of Jesus, priestly Jesus, kingly Jesus, Jesus as the fulfiller of covenant, God's covenantal community, Church.

      • 가상 현실 기술을 적용한 초등학교 과학 수업에서 과학 흥미도 변화

        민경애 공주대학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education using virtual reality is expected to be actively utilized as a new educational medium in the era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which enables the leaners to increase interest, emotional involvement and active interaction. These virtual reality contents are in the spotlight as an educational medium with unlimited potential to provide realistic information to leaners and to provide completely different types of learning to passive learners through directly manipulating activiti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interest change for science in science class based on virtual reality technology to after-school science experiment students. For this study, I applied the virtual reality technology to the science experiment class and conducted pre-test and post-test with a questionnaire composed of 15 items to examine the change of interest after the teaching and learning. After the experimental treatment, individual interviews and the mind map were conducted. The results of this study on the change of science interest in science class based on virtual reality are as follows; Firstly, it showed a significant change (p<0.05) on interest in science class based on virtual reality. There were significant positive changes(p<0.05) in the attitudes toward science, attitudes toward science subjects, and scientific attitudes. Secondly, the results of the mind map and individual interviews with students after the class based on virtual reality shows the most students feel more interest and more fun when using virtual reality media which can stimulate the interest. This study suggest that the science class using virtual reality can contribute to improve the students’ interest in science and that the experiential environment of virtual reality can positively influence students' internal motivation and interest. 가상 현실(Virtual Reality)은 학습자의 흥미와 감각적 몰입, 그리고 적극적인 상호 작용을 가능하게 하는 것으로 4차 산업 혁명 시대의 새로운 교육 매체로 적극적인 활용이 기대되고 있다. 이러한 가상 현실 콘텐츠는 학습자에게 현실감 있는 정보를 제공하고, 직접적인 조작 활동을 통해 그동안의 수동적인 학습자에게 전혀 다른 형태의 학습을 제공할 수 있는 무한한 잠재력을 지닌 교육 매체로 주목받고 있다. 본 연구는 방과 후 학교 과학실험부 학생들을 대상으로 가상 현실 기술을 적용한 과학 수업에서의 과학 흥미도 변화를 살펴보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주제 중심의 방과 후 학교 과학실험부 프로그램에 가상 현실 기술을 적용하여 교수⦁학습한 후 흥미도 변화를 살펴보기 위하여 15개 문항으로 구성된 설문지로 사전, 사후 검사를 실시하고, 실험처치 후 마인드맵과 개별 면담을 실시하였다. 가상 현실 기술을 적용한 과학 수업에서의 과학 흥미도 변화의 연구에 대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가상 현실을 적용한 과학 수업 전후, 질문지를 통해 확인해 본 흥미도는 유의미한 변화(p=0.05)를 보여주었다. 또 과학에 대한 태도, 과학 교과에 대한 태도, 과학적 태도 등의 영역에서도 모두 유의미한 긍정적인 변화(p=0.05)가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가상현실 기술이 갖고 있는 몰입감과 함께 학습현장을 실제의 장소에 가서 활동하는 것처럼 느낄 수 있는 환경에 따른 것으로 판단된다. 둘째, 가상 현실 기술을 적용한 후의 학생들과의 마인드맵과 개별 면담 결과 기존의 탐구 중심의 수업에 가상 현실이라는 흥미를 자극하는 수업 매체를 사용한 결과 대다수의 학생들에게서 더 많은 흥미와 재미를 느낄 수 있었다는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종합해 볼 때, 가상현실을 적용한 과학 수업이 학생들의 과학에 대한 흥미도 향상에 기여 할 수 있으며, 가상 현실의 체험적 환경이 학생들의 내적 동기와 흥미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고 판단된다.

      • 집단게임 활동이 유아의 창의성과 사회적 기술에 미치는 효과

        민경애 총신대학교 교육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국문초록 본 연구는 집단게임 활동이 유아의 창의성과 사회적 기술에 미치는 효과에 대해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와 같은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설정한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연구문제 1. 집단게임 활동이 유아의 창의성에 미치는 효과는 어떠한가? 연구문제 2. 집단게임 활동이 유아의 사회적 기술에 미치는 효과는 어떠한가? 본 연구는 집단게임 활동이 유아의 창의성과 사회적 기술에 미치는 효과가 어떠한지를 살펴보기 위해 파주시 U동에 위치한 B, S어린이집의 만 4세반 유아 36명을 각각 실험집단(18명)과 비교집단(18명)으로 구성하여 실험집단은 집단게임 활동을 경험하였고, 비교집단은 누리과정 운영에 따른 대소집단 활동을 경험하였다. 본 연구에서 실시된 집단게임 활동은 유아 게임 활동 관련 선행연구들(고광미, 김정준, 2019; 김푸름, 장영숙, 2016; 김현정, 2018; 박형신, 김정주, 장보경, 2010; 석윤혜, 2006)과 게임 활동관련 서적들(강숙현, 김정아, 김희정, 윤숙희, 이은희, 2013; 방은영, 2016; 윤애희, 정정옥, 2009; 장혜순, 2004) 및 2019 개정 누리과정 해설서(교육부, 보건복지부, 2019)를 토대로 구성되었다. 이를 토대로 만 4세 유아를 위한 집단게임 활동의 내용과 방법으로 타당성을 지닌 총 24종류의 집단게임 활동을 일차 선정하였다. 이를 유아교육관련 전문가 5인의 타당도 검증과정을 거쳐 총 16개의 집단게임 활동을 최종 선정하였다. 본 연구는 예비연구, 검사자 훈련, 사전검사를 거쳤으며 본 연구를 위한 실험처치는 2019년 10월 22일부터 2019년 12월 13일까지 8주 동안 총 16회에 걸쳐 주 2회 한 회기 당 30분씩 집단게임 활동이 이루어졌으며 이후 사후검사의 순으로 진행되었다. 본 연구에서 유아의 창의성을 측정하기 위한 검사 도구는 전경원(2003)이 제작한 ‘유아종합 창의성 검사’를 홍석영(2014)이 수정․보완한 유아의 창의적 특성검사(K-CTC)를 사용하였다. 또한 유아의 사회적 기술을 측정하기 위해 유아행동척도(The Preschool and Kindergarten Behavior Scale: PKBS, Merrell, 1994-6)를 이진숙(2001)이 재구성한 검사 도구를 사용하였다. 사전검사와 사후검사에서 수집된 자료의 분석은 SPSS 25.0 WIN Program을 사용하였고, 독립표본 t 검증과 ANCOVA를 통해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의 차이를 검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나타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집단게임 활동을 실시한 실험집단의 유아가 누리과정 운영에 따른 대소집단활동을 실시한 비교집단의 유아보다 창의성에 있어 유의한 효과를 나타내었다. 세부적으로는 창의성의 하위요인인 인지적 요인(유창성, 융통성, 독창성)과 정의적 요인(탈 고정관념/독자성, 호기심/모험심, 다양성, 민감성, 유머 감각, 개별성) 모두에 긍정적인 효과를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집단게임 활동을 실시한 실험집단의 유아가 누리과정 운영에 따른 대소집단활동을 실시한 비교집단의 유아보다 사회적 기술에 있어 유의한 효과를 나타내었다. 세부적으로는 사회적 기술의 하위요인인 사회적 협력성, 사회적 상호작용, 사회적 독립성에 긍정적인 효과를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종합해 보면 집단게임 활동이 실험집단 유아의 창의성과 사회적 기술에 긍정적인 효과를 미쳤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유아의 집단게임 활동이 유아 교육 현장에서 지속해서 적용되기 위한 교사들의 노력과 구체적인 프로그램 계발이 요구되며 본 연구의 결과가 유아의 창의성과 사회적 기술의 증진을 돕는 초석으로 작용하길 기대한다.

      • 결혼이민자 주부의 이유식에 대한 인식도

        민경애 숙명여자대학교 전통문화예술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이유식의 중요성이 이미 여러 연구를 통해 알려진 바와 같이 영유아의 신체적 정신적 성장에 매우 중요한 영향을 끼치는 것은 물론 이유식으로 식습관형성은 성인이 된 후의 건강까지 관계가 있으므로 그 중요성은 매우 크다. 특히 제1의 양육자나 어머니들의 이유식에 대한 인지도와 실천행동은 그 역할은 매우 중요하며 따라서 국내 주부들을 대상으로 한 여러 선행 논문들이 있지만 매년 증가하는 결혼이민자 주부들을 대상으로 한 연구는 없는 현실에서 강원도 일부지역에 거주하는 결혼이민자 주부들중 생후 6개월에서 만 36개월까지의 영유아를 둔 어머니들를 대상으로 이유식에 대한 인지도 및 실태를 설문조사하였다. 결혼이민자 주부들이 각자 출신국의 다른 식생활과 육아환경에서 성장하여 우리나라에 결혼 후 정착하면서 특히 이유식에 대한 이해정도와 교육의 필요성을 알아보고 적절한 교육과 현황 파악을 하여 올바른 이유식에 대한 교육자료 및 방향을 제시하고자 연구조사를 실시하였다. 결과는 출신 국적과 연령별로 유의적인 차이가 많았고 무엇보다도 아직은 사회적으로 제도적으로 충분한 교육 및 정보혜택을 골고루 받지 못하고 있어서 이해 부족과 교육의 필요성 및 요구도가 매우 높게 나타났다. 그러므로 한국어 학습이 충분하지 못해 의사소통의 어려움이 해소된 후 체계적이고 필요한 교육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타국에 시집와서 가정을 꾸미고 아내로 며느리로 그리고 이땅의 미래를 이끌 아이들의 어머니로 확실하게 자리잡을 수 있도록 꾸준한 관심과 지원이 필요하다. 또한 전문적이고 피교육자가 원하는 맞춤형 교육으로 각 나라의 문화적 배경이나 환경등을 이해하고 더불어 식습관등도 이해하면서 우리의 고유 식문화를 알리는 것이 거부감이 적고 자연스럽게 우리것을 익힐 수 있도록 함께 노력해야 할 것이다. 이유식은 식생활의 기본이고 건강의 초석이 되므로 이에 공감하고 적절한 교육이 이루어져야 우리의 다문화가정이 건강해질 수 있다고 본다. As already known to the public, baby food has significant effect on baby’s physical and mental health. It is also very important because baby food forms a person’s eating habit which will affect his/her health in the future. Especially, the first raiser’s or mother’s recognition on baby food is even more important. Although there were many preceding studies on this matter for domestic housewives, there was no study on married immigrant housewives that increase every year. This study conducted survey on recognition and current situation of baby food on mothers living in Gangwon Province of babies with 6 to 36 months. Purpose of the study is to research the level of understanding of married immigrant housewives on baby food since they have been raised in different environments with different eating habits and childcare, and to provide proper education material and direction for right baby food. The result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the previous nationality and age. Moreover, they showed insufficient understanding and high desire for education since they did not receive enough support from society on education and information sharing. Therefore, a systematic and necessary education should be conducted after they fully learn to communicate well enough in Korean. They need continuous attention and support so that they could settle down well in this country as wives, daughter-in-laws, and mothers. Moreover, professional and necessary education should be conducted so that they can learn Korean traditional eating habits while they understand different culture and environment of other countries. Since baby food is a basic of eating habits and a foundation of health, there should be proper education on it to make healthy intercultural families.

      • 축제장 음식부스에 대한 위험지각및 만족이 추천의도에 미치는 영향 : 화천 산천어축제 내.외국인 관광객의 비교분석

        민경애 세종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박사

        RANK : 247631

        Much provincial government holds a regional festival for improvement of regional image and promotion. The festival related to invigorating the local economy and local tourism industry so the local government develop a new project and try their best but among them vanished without tourist’s reaction. The festival gets a success when they have to find their customer needs and develop their satisfaction. The festival foods mean their local food culture or local identity not only eating stuff. Especially, If their main theme is food or food ingredients, it would get an important meaning and values as a tourism attraction also it connected the consumption of their local product and local economy. Festival foods have to be intermediation that could drag their positive reaction or intention to the recommendation not being supplementary. Also, they need to pay attention to their temporal circumstance which might cause uncomfortable and worrying. This study is about the “Hwacheon Sancheoneo Festival”. The festival is the global festival to foster Korean tourism industry. The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promotes their domestic festival and they award their best festival for attracting foreign tourists and promote Korea tourism through investigation and commercialization. With precedent researches, we can figure out local festivals, attributes of food booths, perception of risks, and satisfaction variables. And then we compared intention to recommendation between domestic tourists and foreign tourists with a survey. This study gets the result from a virtual survey with domestic and foreign tourists who had eaten festival food at the festival. The survey was executed in two ways and got results: we conducted a survey face to face for foreign tourists and did an online survey for domestic tourists. According to this study, we can find three meaningful conclusions. First, We know that food quality and staff service effect a negative impact on risk perception otherwise menu, local cultural values, physical circumstance, prices not effect on risk perception. Second, Food quality, local cultural values, prices affect a positive impact on satisfaction otherwise menu, staff service does not affect satisfaction. Third, risk perception is not effected on satisfaction. Comparing festival food booths and risk perception is affected by food quality and menu also in this case domestic tourists have more impact but other factors do not make a difference. Consequently, we need more study for the understanding of tourists, perception of tourism risks in festival food booths and developing satisfaction and intention of recommend as a perspective of visiter. 각 지역에서 열리는 많은 지역축제들이 성공하면 지역의 이미지제고와 홍보는 물론 지역관광산업의 활성화로 이어지고 특산물의 홍보와 판매가 이루어지면서 지역의 경제소득과도 연결되고 있어 지자체마다 노력을 많이 기울이고 새로운 축제를 기획하기도 하지만 모두 성공을 하는 것은 아니며 차별화되지 않고 방문객들의 호응이 없으면 대부분 외면 받고 사라진다. 이에 축제장 방문객들의 다양한 요구를 파악하여 만족도를 높이고 주변에 추천의도가 높아질 때 지속적인 발전이 있고 성공을 한다. 축제를 즐겁고 만족에 이르는 요인들 중 축제장음식은 단순한 먹거리 뿐 만 아니라 지역의 정체성과 식문화를 반영하여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특히 축제의 주제가 식재료나 음식일 경우 축제음식의 경험은 관광자원으로서 충분한 가치를 지니고 지역경제 활성화와 지역 특산물의 소비가 연결되어 축제방문객의 음식선택이 무엇보다도 중요하다. 축제의 음식은 보조적인 요소보다 재방문이나 추천 의도로 이어지게 해야 할 매개가 되어야 하며, 이러한 축제음식을 평가하고 위험요소들을 제거하기 위해서는 축제음식이 생산되고 소비되는 축제장내 음식부스에 대한 평가와 관리가 더욱 필요하다. 그러나 축제장의 음식이 불만과 우려를 증가시킬 수 있기에 축제장의 음식선택의 속성이 일반음식점과는 차별화가 필요하며 물리적환경이 임시적이다 보니 위생 등에 더욱 신경 쓰고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화천 산천어 축제는 문화체육관광부가 지정한 글로벌 육성축제에 대한 연구이다. 글로벌 육성축제는 지역에서 대표축제 및 최우수 축제들 중 5회 선정 후 졸업을 하고 승급된 축제로, 글로벌 육성축제의 경우는 해외 관광객을 유치하여 국내 중심형에서 국제중심형의 축제로 한국을 대표하는 축제 한류화 가능성을 갖고 상품화, 산업화를 통해 세계적인 축제를 육성한다는 전략을 갖고 있다. 산천어를 주제로 하는 화천산천어축제의 축제장내 음식이 관광객에게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지역축제, 음식부스 속성, 위험 지각, 만족 변수에 관한 선행연구들 실행하였고, 설문을 통해 추천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내국인과 외국인의 차이를 알아보았다. 본 연구는 실제로 화천 산천어축제에서 축제음식을 먹어본 국내·외 방문객을 연구 대상으로 설정하였고 표본을 추출하여 본 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지 배포는 외국인 방문객은 현장에서 설문지를 통한 오프라인 조사로 진행하였고, 내국인 방문객의 경우 온라인 설문을 통해서 진행하였으며 편의표본추출 법을 사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그 결과 첫째, 음식품질, 직원서비스는 위험 지각에 부정적인 영향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반면, 메뉴, 지역문화적 가치, 물리적 환경, 가격은 위험 지각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둘째, 음식품질, 물리적 환경, 지역 문화적 가치, 가격이 만족에 긍정적인 영향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반면, 메뉴, 직원서비스는 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위험 지각이 만족에 영향 관계를 살펴본 결과, 위험 지각은 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축제음식부스속성과 위험 지각에 대한 두 그룹의 영향관계에 있어서는 음식품질과 메뉴에서는 차이가 나는 것으로 확인되었는데, 경로계수로 영향관계에 미치는 크기를 보면 내국인이 더 영향을 받는다고 할 수 있다. 나머지 직원의 서비스, 물리적 환경, 지역 문화적 가치, 가격은 내국인 ,외국인 모두 어떠한 영향관계에서도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서 이론적,실무적 시사점을 제시하여 글로벌 육성축제로써 내국인은 물론 외국인 방문객들의 다양한 특성을 이해하고 축제장 음식부스에서 지각되는 위험요소에 대한 면밀한 확장 연구와 조사가 이루어지고 추천의도와 만족을 높이기 위한 방문객의 입장에서의 재고가 필요할 것이다.

      • 조각보를 차용한 색면 회화의 조형성 연구 : 본인의 작품을 중심으로

        민경애 추계 예술 대학교 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인의 작품은 ‘자아’와의 끊임없는 대화에 바탕을 둔다.그러나 ‘내적 성찰’을 토대로 한 ‘자아찾기 과정’으로서의 작업 속에서 ‘나’라는 주체는 직접적으로는 부각되지 않는다.대신 ‘나’를 형성시킨 ‘어머니’의 존재가 주목시되며,이러한 측면에서 본인의 작업에는 어머니를 추억하게 만드는 ‘조각보’라는 매개가 등장한다. 어린 시절부터 친숙하게 보아온 ‘조각보’로부터,본인은 그것의 조형적 요소와 5방색과 관련된 제한된 색채를 작업에 끌어들였다.이처럼 조각보를 차용한 작업은 과거,현재,미래의 시공간을 뛰어넘으며,자신 그리고 어머니를 추억하게 하는 과정의 일환으로 전개되었다.이러한 개인적 배경으로 선택한 ‘조각보’의 조형논리 속에서,가족,자연,향수 속에서의 ‘자아’를 탐구하려고 노력한 것이다. 무엇보다도 본인의 작업은 앞서 서술했듯이,‘나’를 부각시키는 것이 아니라,가족과의 조화 속에서,자연과의 하모니 속에서,그리고 과거에 대한 향수 속에서의 자신을 찾는 것이다.때문에 ‘자기욕망’의 표출이 아닌 자기의 배제를 뜻하며,즉 이는 타자에 대한 관심과 사랑으로 이어진다. 이러한 시선을 통하여,본 연구는 본인의 작품 분석 이전에 조각보에 담긴 일반적 의미 및 미학적 원리를 살펴보는 것으로 시작한다.그 후에는 몬드리안과 클레의 작품과의 비교를 통하여 우리 조선시대의 일용품인 조각보의 미학적 의의를 밝힐 수 있는 기회를 갖고자 하였다.그 다음으로는 미술에서의 절대적인 본질 및 자연과의 조화 속에서 창작의 의미를 찾는 앞선 화가들의 작업배경과 본인의 작품배경과의 유사점 및 차이점을 찾아가 는 과정이 더해졌다. 결국 본인의 작업은 ‘나’를 찾지만,더욱 주목하는 것은 ‘나’보다는 자신이 속해 있는 주변 환경에 대한 관심이었다.때문에 작품은 ① 과거로의 추억, ② 가족애,그리고 ③ 자연과의 조화 속에서 바라본 자아로 귀결된다.이러한 일관된 작업창작의 배경과 함께,본인의 작업은 색면을 바르고,마르기를 기다리며,다시 색을 올리고,기다리는 과정으로부터 탄생되었다.그러므로 본인의 작업에는 붓터치로 스쳐지나간 안료의 흔적과 함께,그와 대응되는 시간성이 녹아있다고 생각한다. 결국 본 연구는 작품 속에 가려진 작가의 소리를 표출시킬 수 있는 기회가 되었으며,이러한 측면이 앞으로 진행될 작업을 위한 중요한 발돋움으로 이어지기를 희망해본다. My works are based on incessant conversation with 'self'. However,the subject meaning 'self' as 'a process of self-definition' is not directly exposed in my work and instead of 'myself' , I pay attention to figure of 'Mother' who built me. In the matter, I appropriated a vehicle called 'Chogakbo' that led me to remember mother. From 'Chogakbo' with which I have been familiar since I was young, I took its formation and limited color related with red,blue,yellow,white,and black.My works which using 'Chogakbo' cross the border of the past, the present, and the future and in here 'Chogakbo' assumes a role which could link myself and my mother.In formation logic of 'Chogakbo' caused by my personal background, I tried to investigate 'self' in family, nature,and nostalgia. First of all, as I already described above,my worksarea process for looking for myself of the harmony with family,nature,and nostalgia toward the past.Therefore,it means not expression of'self-desire'but 'self-exclusion' and is connected with interest and love toward others. Through this logic,this research started to study the general meaning of'Chogakbo' and aesthetic theory before analyzing of my works.And then, I had a chance to compare Mondrian and Klee with Chogakbo for making clear their respective significance. Later, I added the following analysis. I checked the similarity and the difference between background of my works and above mentioned artists who painted in absolute intrinsic value of art and harmony with the nature. Finally, even if my works pursued 'myself', the most important thing is that I am more interested in others,not me. My works are divided with 3 steps,reminiscence toward the past,family,and harmony with nature.Inormally painted separate planes,waited to be dried,painted again,and waited.From this method, I thought that there is an idea of time in my works presenting traces of colors. I believe this can be an good opportunity to obtain a clearer perspective on my works, and I also hope this will play an important role as a leap of advancement toward my future work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