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플립러닝을 응용한 중등음악 스마트e-러닝 수업 설계 : 비발디 사계 중 ‘봄’ 1악장

        문희원 전북대학교 교육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플립러닝을 활용한 수업이 앞으로의 교육에서 상당부분을 차지할 것으로 예상한다. 하지만 기존의 플립러닝과는 달리 코로나사태는 본 수업도 대면으로 이루어지지 못할 상황에 대한 우려를 야기한다. 이에 대비하여 기존의 플립러닝과는 달리 본 수업 또한 미디어를 이용하는 경우를 구성해볼 필요가 있다고 논하는 바이다. 다라서 본 연구는 플립러닝을 적절히 이용하되 언텍트 시대에 알맞게 재구성하여 설계하는 등의 방법론적인 메커니즘을 연구한다.

      • 특급호텔 리워즈 프로그램에 대한 질적 연구

        문희원 세종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박사

        RANK : 247631

        기존의 리워즈 프로그램(rewards program)은 충성 재고 및 서비스 강화를 목적으로 재방문(repeating) 고객에 대한 ‘보상(reward)’이 주목적이 되었지만 최근에는 ‘직접 예약(direct booking)’이란 목적을 더하여 2016년 2월 글로벌 체인호텔 Hilton은 97년 역사상 최대 규모의 'Stop Clicking Around'를 시작으로, 3월 Marriott International의 ‘It pays to Book Direct'와 2019년 7월 Choice Hotels의 ’Our Business is You' 캠페인을 통해 리워즈 프로그램 회원전용 상품 및 BRG(Best Rate Guaranteed, 최저가) 정책을 대대적으로 홍보하였다. 이는 해외 OTA(Online Travel Agency)의 공격적 운영에 따른 이용객과 업계에서의 입지가 높아지는 상황이 주요 원인이 되었기 때문이다. 국내호텔 업계 역시, 최근 리워즈 프로그램의 전략적 운영 중인 상황이지만 기존부터 운영되던 국내호텔 리워즈 프로그램에 대한 실증조사는 물론 최근 전략적 운영 사례에 대한 연구는 부재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인터넷 정보 탐색을 통해 수집된 ‘언론보도’ 및 리워즈 프로그램에 대한 자료와 종사원으로부터 획득한 ‘인터뷰 자료’를 통합하여 분석한 결과를 다음과 같이 요약하였다. 최근 국내 특급호텔 리워즈 프로그램은 통합․리뉴얼되어 전략적 운영 중임을 입증하였으며 A호텔 95만 명 B호텔 130만 명의 회원 현황 및 월 평균 2~5만 명, 최대 8만 명 이상의 신규 가입자가 유입됨을 보고하였다. (조사 대상의)국내 5성급 체인호텔 7지점의 리워즈 프로그램 회원 이용률이 2019년 50.0%(2018년 47.3% 대비↑2.7% 증가)임을 조사하였다. 또한 국내호텔 리워즈 프로그램 회원전용 상품은 (1) 합리적인 요금 (2) 다양한 추가 혜택 제공 (3) 상세한 상품 정보 제공에 따라 회원 이용률이 점진적으로 높아지고 있다. 마지막으로 호텔 리워즈 프로그램의 회원전용 상품은 최저가 보장, 추가 할인 및 적립 등의 immediate rewards와 delayed rewards의 유형으로 운영되고 있음을 구분하여 제시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국내 특급호텔 리워즈 프로그램의 구성, 혜택 유형, 운영 현황 및 전략에 대한 탐색적 접근을 통해 학문적으로 기여하였으며, 도출된 콘텐츠 분석을 바탕으로 ’리워즈 프로그램‘ 운영 전략 수립에 실효성 있는 실무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 서울공예박물관 소장 모담(毛毯)의 제작기법 재현 연구

        문희원 한국전통문화대학교 문화유산융합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논문은 현재 서울공예박물관에 소장되어있는 <모담(毛毯)> 유물 2점을 바탕으로 조선시대 모담의 조형적 특징을 살펴보고 제작기법에 대해 규명해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 <모담>은 평직의 모직물 표면에 직조 방식이 아닌 안료로 그림을 그려 문양을 표현하고 선단을 대어 방장(房帳) 형태로 꾸민 유물이다. 따라서 <모담>은 깔개와 휘장이라는 두 가지의 용도가 함께 보여지는 유물이다. 모직물로 꾸민 방장 유물은 비교적 드문 경우이며 회화적 장식 요소와 제직 기술이 복합된 특별한 사례의 유물이다. 본 유물은 본래 모담으로 만들어졌으며 후대에 방장으로 꾸민 것으로 보인다. 또한, <모담>은 국내와 국외에 소장된 모담 유물과 소재 및 조직, 외관 표현 등이 매우 유사하였다. 우리나라는 삼국시대부터 모담을 제작하였을 뿐만 아니라 깔개와 장막의 용도로 사용된 기록이 확인된다. 이러한 양식적 특징으로 보아 <모담>은 조선시대 모담의 실상과 기법을 이해할 수 있는 가치가 큰 유물이다. 연구방법은 첫째, <모담>의 구성 분석과 함께 국내·외 모담에 대한 문헌 및 유물을 조사 연구하여 조선시대 모담의 조형적 특징과 시대성을 살펴보았다. 둘째, <모담>의 육안관찰 및 과학적인 조사를 진행하고 연구대상의 재료와 제직기법, 문양 표현 등을 분석하였다. 셋째, 분석 자료를 종합하여 모담의 제작과정을 재현하였다. <모담>은 현존하는 조선시대 모담 유물과 비교해 볼 때 방장으로 꾸미지 않은 모담으로부터 시원 되었다고 볼 수 있다. 연구대상의 유물은 선단 내부에 문양이 시문되어 있고 문양 방향과 방장 걸개 장식 방향이 상이한 점으로 미루어 보아 모담이 제작된 이후 전용(轉用)을 목적으로 방장이 추가 제작된 것으로 보인다. 문헌에 기록된 모담은 다양한 종류와 명칭으로 분류되며 공통적으로 동물의 털로 만든 모직물로서 깔개 이외에 장막의 용도로 사용된 기록이 확인된다. 이러한 기록은 <모담>의 역사적 근거를 뒷받침한다. 조선시대 모담 유물은 국내를 비롯한 국외에도 소장된 것으로 확인되며 유물의 연대는 16세기에서 19세기에 걸쳐 나타난다. 유물은 공통적으로 직물 표면에 회염(繪染)이나 인염(印染)의 기법으로 문양을 표현하였으며 <모담>과 동일한 양식은 총 7점으로 이들은 19세기에 주로 나타난다. 그중 온양민속박물관 소장 모담과 일본에 개인 소장된 조선철 유물은 본 연구대상과 매우 유사한 양식으로 확인된다. 특히, 온양민속박물관 소장의 모담에는 통신사 꼬리표가 부착되어 있어 조선시대 후기 모담의 원류가 재확인된다. 일본에 전래된 조선철 유물은 섬유 품종, 실의 굵기, 조직 등의 제직 특징이 매우 유사하여 동일한 산지에서 제작된 것으로 추정된다. <모담>의 제작기법 재현을 위해 육안관찰 및 정밀조사, 세부 현미경 촬영을 하였으며 과학적인 분석을 진행하였다. 이를 통해 유물의 소재, 조직, 염색 등의 제직 특성과 선묘, 채색 등의 표현 기법을 밝히고 제작 순서에 따라 분류하였다. 경사는 면사(綿絲), 위사는 모사(毛絲)를 사용하였고 모섬유는 굵고 편평한 겉 털이 함유된 산양이나 북방종 염소의 품종으로 판단된다. 또한, 모섬유는 현미경 분석결과 모섬유의 단면을 잘라낸 공통적인 특징이 관찰된다. 경사는 소색(素色)이고, 위사는 홍색으로 선염한 후 직조한 것으로 추정되며 위사 염색에 사용된 염재는 소목으로 분석되었다. <모담>의 조직은 경사가 표면에 드러나지 않는 위두둑직으로 제직되었다. 문양은 그림을 그려 표현하였으며 선으로 문양을 시문하고 내부를 채색하였다. 문양 표현에 사용된 안료는 주사가 사용되었으며 문양의 종류는 사자와 수구 문양을 비롯하여 연당문, 난초, 박쥐, 복숭아, 암팔선문 등의 길상문양이 표현되었다. 연구대상 유물 2점과 함께 8~9마리의 사자를 구성한 모담 유물이 다수 확인된다. 이는 사자문(獅子紋)을 표현하는 보편적인 양식으로 생각된다. 제작 연구는 <모담> 2점 가운데 문양 보존상태가 가장 양호한 유물을 대상으로 선정하여 진행했다. 유물에 나타난 위두둑직은 경·위사의 밀도와 장력의 차이에 따라 경사 방향으로 골이 나는 현상을 확인할 수 있었다. 유물 분석 연구결과를 통해 완성된 모담의 모섬유 잔털을 잘라내었다. 이는 직물의 표면을 매끄럽게 가공하여 안료가 잔털에 맺히는 현상을 방지하는 과정으로 생각된다. 더불어 교반수의 도포 유·무에 따라 표현된 문양의 선명도가 크게 차이 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서울공예박물관에 소장된 <모담> 유물을 중심으로 조선시대 모담의 조형적 특징 분석·연구하고 재현 연구를 통해 재료 및 제직 특징을 고찰하여 제작기법을 규명한 것으로 향후 조선시대 모담이라는 문화유산의 재현과 활용에 기초자료로 도움이 되었으면 한다.

      • 대중예술에 대한 미학적 정당화 : Noel carroll의 a philosophy of mass art를 중심으로

        문희원 홍익대학교 대학원 2001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논문은 우리가 일상생활에서 자연스럽게 접하는 대중예술에 관한 논의다. 여기서 대중예술이란 텔레비전, 라디오, 영화, 잡지. 음반, 만화, 염가판 문고류 등 의 대중매체를 통해 전달되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대중예술 작품들은 현 시대를 살아가는 이들이라면 접해 보지 않은 이가 없다고 단언해도 좋으리만큼 우리의 일 상 속에 깊이 침투해 있다. 그러나 우리는 미술관이나 박물관의 그림, 베토벤의 교향곡, 셰익스피어의 작품은 고급예술이며 그 자체로 우리��고상한 미적 체험을 제공하는 것으로 생각한다. 반면에. 대중예술은 고급예술과는 격이 다른 것으로 언제든지 손쉽게 접할 수 있는 것이며, 오락물이나 상업적 성격이 강한 것으로 생각 한다. 즉 대부분의 사람들은 일상생활에서 대중예술을 끊임없이 접하고 즐기면서도 대중예술은 본질적으로 고급예술과는 질적으로 다른 것으로 생각하는 것이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 논문은 대중예술이 우리의 삶에 어떤 식으로든 미적 체험 올 제공한다는 것을 그 출발점으로 삼았다. 그리고 캐롤의 A Philosophy of Mass Art를 중심으로, 대중예술을 비판하는 일련의 논의들을 살펴봄으로써 대중예술을 철학적·미학적으로 정당화하고자 시도했다. 본문 Ⅰ 에서는 '매스'라는 용어를 중심으로 파플러 아트와 아방가르드 예술과 의 구분을 통해 현 시대 대중예술의 개념을 살펴보았다. 본문 Ⅱ에서는 지금까지 진행되어온 대중예술에 대한 논의들 중에서. 대중예술을 미들브로우 아트, 키치, 사이비 예술이라고 칭한 맥도날드, 그린버그, 콜링우드 의 논의를 통해서 대중예술에 가해지는 비난들을 살펴보았다. 본문 Ⅱ-1에서는 「대중문화의 이론」 을 중심으로 대중문화가 대량소비를 목적으로 균질화된 대중의 취향에 맞추어 제작되기 때문에 예술의 독창성이 상실되어 문화의 동질화 현상·문화의 그레샴 법칙·수용자의 유아화 현상이 유발된다고 비난한 맥도날드의 논의를 살펴보았다. 본문 Ⅱ-2에서는 「아방가르드와 키치」 를 중심으로 아방가르드 예술이 어렵게 제작되어 이를 이해하려는 대중��적극적 반용과 참여를 유발하는 반면, 키치는 쉽게 제작되어 대중��수동적 반응과 참여를 유발한다고 비난한 그린버그의 논의를 살펴보았다. 본문 Ⅱ-3에서는 「예술 의 원리」 를 중심으로 사이비 예술, 그 중에서도 특히 오락예술이 특정한 목적을 위한 수단으로 판에 박힌 듯이 제작되기 때문에, 이를 감상하는 대중의 반응 또한 상투적이라고 비난한 클링우드의 논의를 살펴보았다. 본문 Ⅲ에서는 대중예술을 비난하는 논의에 대한 캐롤과 슈스터만의 반론을 살펴보았다. 본문 Ⅲ-1, 2, 3에서는 캐롤이 맥도날드, 그린버그, 콜링우드의 논의 중에서 주요 논의를 도식화하고, 대중예술의 실질적인 사례를 중심으로 대중예술을 옹호해가는 과정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본문 Ⅲ-4에서는 대중예술에 가해지는 여타의 논의들을 슈스터만의 논의를 통해 대중예술을 옹호해가는 과정을 살펴보았다. 대중예술을 옹호하는 캐롤과 슈스터만의 논의는 기존의 대중예술 논의들이 주로 고급예술과 대중예술, 순수예술과 실용예술, 정신과 육체 등의 이분법 아래 대중예술을 외적인 측면(감정·도덕·이데올로기 등)과 연관하여 비판해왔다면, 고급 예술과 대중예술과의 구분을 허물고 각각의 예술작품의 미적 완성도를 강조함으로써 일상 삶 속에서 예술적 체험의 영역을 넓혔다는데 의의를 둘 수 있겠다. 주제어: 대중예술, 대중문화, 고급예술, 고급문화, 아방가르드, 키치, 사이비 예술 This thesis is on the study of the current mass art. An attention to the mass art is due to its significant expansion as a current, prevail aesthetic category. It is needless to say that, at these times, the consuming and producing of the culture is made by the mass art. Generally, the most of culture scholars considers the high art as being the profound, creative and uncommercial and depreciates the mass art as being lacked of the artistic autonomy and originality due to its connection with the social practice or just as an entertainment which seeks the commercial profit at the expense of the real artistic value. My thesis starts from this. What is the mass art? Why they have thought the mass art as a low culture although they have get experiences by the mass art? Is the mass culture the pseudo art which takes an artistic form? Does not the mass art have any aesthetic value? So, I try to answer these questions through Carroll's A Philosophy of Mass Art. At the Part I in my thesis, I observe the definition of the mass art which Carroll says from the comparison of the popular art and the avant-garde, that is, the mass artwork is (1) a multiple instance or type of the artwork, (2) produced and distributed by a technology, (3) which artwork is intentionally designed to gravitate in its structural choices toward those that promise accessibility with minimum effort, virtually on first contact, for the largest number of untutored audiences. At part II and III, I consider the counter-theory about hiss, putting an emphasis on the theories of MacDonald, Greenberg and Collingwood. MacDonald criticizes in his A Theory of Mass Culture the mass culture as homogenized rather than original because of its aim of the mass product-consumption. According to his, the more prevailed mass products are the narrower choices and the lower tastes of the art the mass audience have. But Carroll asserts that the mass art has its own originality and appeals it to the mass audience. Another critic, Greenberg devalues the mass art, applying the avant-garde and kitch to the high art and the mass art. For him, the difficulty of the high art requires the audience to be at the pains of understanding so that it yields the active responses and reflection of the audience. On the contrary, the mass art makes the audience the passive spectationship because of their little pains. Carroll disapproves him. He thinks the avant-garde or the high art can be appreciated easily and the mass art induces the active spectaionship out of its essential narrowness. In Principal of Art, Collingwood divides the art proper and the pseudo art by the conception of the craft. Collingwood is worried about the stereotyped response of the audience from the pseudo art which is made formally to the established purpose. But Carroll points out the wrong categorization of Collingwood's form. He says the fine art has kept the rule of the form and the canon but the mass art has not. The mass art creatively uses the form so that it can induce the active response and stimulus from the audience. For other theories, I make the part III-4. I treat Shusterman's theory. He summarizes it as : (1) The mass art is the substitutes of the art proper because it provides only the wash-out aesthetic satisfaction. (2) It does not have the multiplicity and variety in the form and context because it deals with the superficial issue. (3) It lacks the aesthetic autonomy and the social resistance. As a result, he thinks the mass art as the lower things than the high art. In his theory, we can found the positive aspect in that he thinks the art as the dairy experience. It means he destroyed the wall between the mass art and the high art. I think the statements of Carroll and Shusterman are important such as poins : he definition precisely catches the characters of the current, various mass art and it is based on the mass art. Also, they see Art from the different point of view whether it is the high art or the mass art, in other words, from the aesthetic view not the functional aspect with emotion, morality and ideology. Owing to them, we can wide our aesthetic category and experience of the art works.

      • Program annotation : R. Schumann「Dichterliebe, Op. 48」 ;F. Chopin「Polonaise brillante for cello and piano, op. 3」 ;C. Debussy「Sonata for violin and piano」

        문희원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인의 석사 과정 졸업연주 프로그램인 R. Schumann 「Dichterliebe Op. 48」, F. Chopin 「Polonaise Brillante for Cello and Piano Op. 3」, C. Debussy 「Sonata for Violin and Piano」, 각 작품의 작곡가와 작품에 대해 알아보았다. Robert Schumann(1810-1856)은 슈베르트의 뒤를 이어 19세기 예술가곡의 형식을 새로이 완성시켰다. 본 논문에서 살펴 본 「Dichterliebe Op.48」은 가곡의 해라 불리 우는 1840년에 하이네의 시에 붙여 작곡된 슈만의 대표적인 연가곡집이다. 16개의 곡으로 구성되어있는데 각 곡마다 시와 음악이 밀접한 관계를 지니고 있으며, 시에 대한 슈만만의 해석을 피아노 반주부에서 선율과 화성으로 섬세하게 다루었다. 따라서 연주자는 연주하기에 앞서 시의 내용을 먼저 이해하고, 선율과의 관계, 리듬, 화성들을 살펴보는 자세가 필요하겠다.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analyse R. Schumann 「Dichterliebe Op. 48」, F. Chopin 「Polonaise Brillante for Cello and Piano Op. 3」, C. Debussy 「Sonata for Violin and Piano」, my graduation concert repertoires, and study the composers and their other works. Robert Schumann(1810-1856) follows Schubert in successfully creating a new 19th art song form. This thesis explores 「Dichterliebe Op.48」, composed in 1840, which is Schumann’s best-known song cycle. It consists of texts from Lyrisches Intermezzo of Heinrich Heine and each song shows an intimate connection between poetry and music by mirroring Schumann’s interpretation in the piano chromaticism and suspensions. Therefore it is essential for the performer to have better understanding of the poems and how the context are related with melody, rhythm, and chord. Fryderyk Chopin(1810-1849) was a Polish composer and pianist of the Romantic era who later received education in France. Although most of his ideology and sentiment was formed and his work was based on his love and passion for his country. This thesis discusses 「Polonaise Brillante for Cello and Piano Op. 3」 which was composed to be in a moderato triple meter. It seems to extravagantly weigh into the polonaise rhythm but the piano and cello, while exchanging taking parts, creates lyricism and a rather elegant and rich melody. Claude Debussy(1862-1918) is a French composer from the late Romantic period who opened up a new era of music - the impressionism movement. This thesis discusses 「Sonata for Violin and Piano」, Debussy’s only violin sonata and his last composition. This number consists of three movements and each movement is composed around major and minor scales with oriental modes, uses pentatonic scales, chromatic scales and whole- tone scales. It preserves a classic structure while it also shows Debussy’s unique musical style.

      • 문화예술분야 사회적기업 성과지표 연구

        문희원 홍익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47631

        Social enterprises in the arts and cultural sector are organizations which are engaged in activities that are intended to create social, economic, and artistic values for individuals and the society by means of activities including, but not limited to, the planning, production, manufacture, distribution and consumption and education across a wide spectrum of genres such as performing arts, fine arts, music and traditional culture. The activities of social enterprises in the arts and cultural sector are focused on creating a positive cycle in which artists can concentrate on creative activities, and the resulting outputs are actively distributed and consumed, and this will in turn serve as a base that helps artists stay committed to creative works. But such an ecology does not exist in a completed form from the beginning, but is formed gradually through the interactions of various interest groups surrounding the social enterprises in the arts and cultural sector. Therefore, a common language with which to communicate with them, a shared sympathy and the enlargement of base are prerequisite. To achieve the purpose, it is necessary to give a meaning to their activities and the outcomes, and reflect the characteristics of the arts and cultural sector onto performance indicators that can be generally share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a positive effect that the achievements created by social enterprises in the arts and cultural sector have on individuals and the society in general by way of performance indicators. To that end, the author reviewed performance indicators by analyzing the cases of SVI(Social Value Index) and ARC-SPEM(Art & Culture Social Performance Evaluation Model), both of which are used to evaluate the achievements of domestic social enterprises currently operating in the arts and cultural sector, together with a thorough literature review of previous studies. The author also presented󰡐artistic performance indicators' that reflect the characteristics of the arts and cultural sector as well as social and economic performance indicators. Afterwards, the author had appropriate adjustments made to performance indicators through a FGD(Focus Group Discussion) and continued to proceed with a survey on a set of experts who work within the ecology of social enterprises in the at and cultural sector including CEOs and executives, public agencies, support organizations. The survey employed an AHP(Analytic Hierarchy Process), which is used to stratify performance indicators in a systematic and logical manner, turn the qualitative indicators into quantitative ones with the reflection of the characteristics of social enterprises in the arts and cultural sector, and help draw the degree of importance based on the decisions made by experts. With all these procedures, the study categorized those indicators into large(3), medium(7) and small(19) group as follows: - Large group: Social, economic, and artistic performance indicators; - Medium group: Provision of arts and cultural service, contribution to community, organizational operation, creation of employment, financial achievement, reinforcement of art ecology, spread of the values of arts; - Small group: Cultural welfare and its enjoyment, arts and cultural education, activation of community art and culture, revitalization of local economy, community vitalization, democratic decision-making, autonomous operation procedures, empowerment of organizational members, job openings for vulnerable social groups, job openings for artists, job openings for others, financial profitability, financial stability, managerial innovation, support activities for artists, solutions for the structural problems of the arts and cultural sector, efforts for commercialization, arts as social activities, and arts as artistic activities. Findings from the survey regarding the above performance indicators as follows: In the large group, top importance was given to social performance indicators(0.045), which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economic and artistic performance indicators. In the medium group, provision of arts and cultural service was given top importance with 0.193, while cultural welfare and its enjoyment was given 0.110. followed by job openings for artists(0.068), and arts as social activities (0.058) in the small group. This analysis can be attributable to the fact that social enterprises in the arts and cultural sector are offering job openings for artists as they provide arts and cultural service for the cultural welfare and its enjoyment, and have a positive effect on individuals and the society as well in the course. In the meantime, the analysis of cases via SVI, indicators that are currently employed to that evaluate the performance of social enterprises in the arts and cultural sector, showed a little different result. For example, SVI values for sub social performance indicators(SVI 1, 4, 5) were rather high, while the values for sub financial performance indicators(SVI 11, 12, 13) were relatively low. However, SVI values for some sub economic performance(SVI 3, 6), though they belongs to social performance indicators, were low in terms of importance. Furthermore, indicators that can evaluate artistic performance did not exist. Or, such indicators, if any, were included either in the social performance or innovation performance category. When considered from the analysis of the existing studies and SVI and ARC-SPEM cases, terms and categories of performance indicators that are currently evaluating social enterprises in the arts and cultural sector were not consistent with each other. Besides, performance indicators reflecting the characteristics of arts and culture are not included. Such indicators, if any, were included in the social performance or innovation performance category, but they were not enough quantitatively or qualitatively to properly evaluate the achievement created by social enterprises in the arts and cultural sector. Considering the importance drawn from the survey results, if social enterprises in the arts and cultural sector are to be sustainable, the characteristics of arts and culture must be considered and they include job openings for artists, donation and sponsorship, service centered activities, the specific nature of value chain within the culture industry in terms of social, economic and artistic aspects. In addition, artistic characteristics not only affects the artistic performance, but also social and economic performance. Therefore, it is important more than anything else to reevaluate the inherent values of art and, in this sense, the activities of social enterprises in the arts and cultural sector that provide the opportunity to help experience arts and culture and expand their base have significance in themselves. Key words: Arts and culture, Social enterprise, Social performance indicator, Economic performance indicator, Artistic performance indicator, Analytic Hierarchy Process(AHP) 문화예술분야 사회적기업은 공연, 미술, 음악, 전통문화 등의 영역에서 기획, 제작, 생산, 유통, 소비 등과 같은 활동을 통해 개인과 사회에 사회적, 경제적, 예술적 가치 창출을 목적으로 하는 조직이다. 이들의 활동은 예술가가 창작활동에 집중하고, 그 결과물이 예술시장에서 활발하게 유통, 소비되며, 이를 기반으로 다시 예술가가 창작에 전념할 수 있는 선순환구조를 마련하는데 주안점을 두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생태계는 처음부터 완성된 형태로 존재한다기보다는, 문화예술분야 사회적기업을 둘러싸고 있는 다양한 이해관계자들과의 상호작용 속에서 이루어지기 때문에, 이들과 소통할 수 있는 공통의 언어와 공감과 저변확대가 필요하다. 이러한 연유로, 이들의 활동과 성과에 의미를 부여하고, 공유할 수 있는 성과지표에 문화예술분야의 특성을 반영하는 것은 필수적이라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성과지표 분석을 통해 문화예술분야 사회적기업이 창출하는 성과가 개인과 사회 전반에 미치는 긍정적인 영향을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국내외 선행연구 검토를 비롯하여, 현재 국내 문화예술분야 사회적기업의 성과를 측정하고 있는 사회적 가치 지표(Social Value Index: SVI)와 문화예술 사회적경제 평가모형(Art & Culture Social Performance Evaluation Model: ARC-SPEM)의 사례를 분석하여 성과지표를 검토하였다. 그리고 사회적, 경제적 성과지표와 더불어 문화예술분야의 특성을 고려한 ‘예술적 성과지표’를 제시하였다. 이후 전문가들로 구성된 초점집단토론(Focus Group Discussion: FGD)을 통해 성과지표를 수정보완한 후, 문화예술분야 사회적기업 생태계 내에서 활동하고 있는 기업대표 및 임직원, 공공기관 및 중간지원기관 등을 대상으로 설문을 진행하였다. 설문방법으로는 성과지표들을 논리적, 체계적으로 계층화할 수 있고, 문화예술과 사회적기업의 특성을 고려하여 정성적 지표를 정량화할 수 있으며, 전문가들의 의사결정을 기반으로 중요도를 도출할 수 있는 계층분석과정(Analytic Hierarchy Process: AHP)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된 문화예술분야 사회적기업의 성과지표는 다음과 같다(대항목 3개, 중항목 7개, 소항목 19개). - 대항목: 사회적, 경제적, 예술적 성과지표 - 중항목: 문화예술 서비스제공, 지역사회 기여, 조직운영, 고용창출, 재정적 성과, 예술생태계 강화, 예술의 가치 확산 - 소항목: 문화복지 및 향유, 문화예술교육, 지역문화예술 활성화, 지역경제 활성화, 공동체 활성화, 민주적 의사결정, 운영과정 자율성, 구성원 역량강화, 취약계층 일자리제공, 예술가 일자리제공, 기타 일자리제공, 재정적 수익성, 재정적 안정성, 경영 혁신성, 예술가를 위한 지원활동, 문화예술계 구조적 문제해결, 사업화를 위한 노력, 사회적 활동으로서의 예술, 예술적 활동을 위한 예술 위의 성과지표를 바탕으로 한 설문결과는 다음과 같다. 대항목에서는 사회적 성과지표(0.045)가 경제적, 예술적 성과지표에 비해 높은 중요도를 나타냈다. 중항목에서는 문화예술 서비스제공(0.193)이 중요도가 가장 높았으며, 소항목에서는 문화복지 및 향유(0.110), 예술가 일자리제공(0.068) 및 사회적 활동으로서의 예술(0.058) 순의 중요도를 보였다. 이러한 분석결과는 문화예술분야 사회적기업이 문화복지 및 향유를 위해 문화예술 서비스를 제제공하는 과정에서 예술가들에게 일자리를 제공하고, 개인과 사회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반영한 것으로 해석된다. 반면, 현재 국내 문화예술분야 사회적기업을 대상으로 성과를 측정하고 있는 SVI 사례에서는 조금은 다른 결과를 보이고 있다. 예를 들자면, 사회적 성과에 포함되는 하위지표는 높은 성과를 보였으나, 재정적 성과에 포함된 하위지표는 대부분 낮은 수치를 나타냈다. 또한 사회적 성과에 포함되어 있다 하더라도, 경제적 부분과 연관된 일부 하위지표의 경우 상대적으로 낮은 중요도를 보이고 있었다. 기존의 선행연구와 SVI와 ARC-SPEM 사례를 분석해 보았을 때, 현재 문화예술분야 사회적기업의 성과를 측정하는 성과지표들의 범주나 용어 등이 서로 일치하지 않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문화예술의 특성을 반영한 성과지표는 포함되어 있지 않거나, 혹 있다 하더라도 사회적 성과나 혁신 성과의 범주에 포함되어 있었으며, 문화예술분야 사회적기업 창출한 성과를 제대로 측정할 수 있을 만큼 양적으로나 질적으로 충분하지 않음을 발견할 수 있었다. 본 연구의 설문결과 중요도를 고려해 보았을 때, 문화예술분야 사회적기업이 지속가능하기 위해서는 문화예술의 특성, 즉 예술가 일자리나 기부금 및 후원, 서비스 중심의 활동 및 문화산업 내 가치사슬의 특수성을 사회적, 경제적, 예술적 측면에서 고려해야 함을 알 수 있었다. 이와 더불어 예술적 특성은 예술적 성과에만 영향을 주는 것이 아니라, 사회적 성과와 경제적 성과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기에, 무엇보다 예술의 본래적 가치를 재인식하는 것이 중요함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의미에서 문화예술 경험을 제공하고 저변확대를 위해 노력하는 문화예술분야 사회적기업의 활동은 시사하는 바가 크다고 할 수 있겠다.

      • 서열 위주의 대학선택이 이후 전공-직무 불일치에 미치는 영향

        문희원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우리나라 대부분의 고등학생들은 대학입학 지원 시 진학하고자 하는 대학뿐 아니라 전공분야에 대한 결정도 동시에 내려야 한다. 이때 출신대학의 서열에 따라 노동시장에서 차별적인 대우가 존재한다는 믿음 하에서 많은 학생들이 전공에 대한 충분한 고려보다는 대학 서열을 우선시한 선택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이렇게 대학 서열만을 우선적으로 고려한 경우 이후 노동시장에서 전공과 상이한 분야로 취업할 가능성이 높아진다. 고등교육기관에서 받은 교육내용과 다른 일을 하는 전공-직무 불일치 문제는 사회적으로도 개인적으로도 비용을 유발하여 문제시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대학입학 시 대학의 서열만을 우선적으로 고려할 경우 전공-직무 불일치가 높아질 것이라는 가설을 세우고 이를 검증하였다. 그 결과 대학 서열을 우선적으로 고려한 집단의 경우, 전공을 충분히 고려한 집단에 비해 전공과 괴리된 분야에 취업하는 경향이 있음이 분명히 드러났다. 이는 공학계열, 자연계열 졸업생들에게서 상대적으로 더 뚜렷하게 나타났다. 뿐만 아니라 전공-직무가 불일치할 경우 임금이 8% 정도 낮아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결과적으로 대학 및 전공 선택 시 단순히 대학 서열만을 우선적으로 고려할 것이 아니라 전공에 대해서도 충분한 고려가 있어야 함을 의미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