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과 동일시의 관계 : 지각된 사회적 투자의 매개 역할

        문연희 전남대학교 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7647

        현대 사회에서 기업의 책임은 단순히 이윤을 극대화하고 경제 발전에 기여하는 것만을 의미하지 않는다. 또한 최근 엔론과 SK 글로벌의 회계 부정 사건은 소비자와 사회 구성원들로 하여금 기업의 책임에 대해서 다시 한 번 생각해보게 되는 계기를 제공하였다. 제품의 생산 판매 및 서비스의 제공을 통해 이윤을 창출하고 근로자들에게 일자리를 제공하는 것이 기업 본연의 의무라는 관점에서 벗어나 이와 더불어 다양한 사회적 책임 활동을 수행하는 것도 기업의 책임과 의무라는 인식이 확산되고 있다. 기업의 책임과 의무로서의 기업의 사회적 책임(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은 현재 많은 기업에서 마케팅 전략의 일환으로서도 사용하고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즉, 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 수행은 단순히 비용만을 지출한다거나 사회에 대해 호혜적으로 베푸는 온정주의적 활동이 아니며 기업에 긍정적인 이익을 가져다주는 전략적 수행의 의미를 갖는 것이다. 기업은 사회적 책임 활동을 수행함으로써 긍정적인 기업 이미지와 이에 따른 긍정적인 제품 평가(Brown and Dacin 1997), 제품의 구매 의도(Sen and Bhattacharya 2001)등의 실질적인 이익을 얻게 된다. 그렇다면 단순히 일반적인 사회에 대한 의무가 아닌 마케팅 전략의 일환으로서 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의 효과성을 극대화하기 위해서는 기업의 사회적 투자에 대한 소비자의 지각과 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에 대한 구체적인 대상을 살펴보는 것도 중요할 것이다.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갖는다. 첫째, 기업의 다양한 사회적 책임 활동들은 기업의 사회 투자에 대한 소비자의 지각(perceived social investment)에 서로 다른 영향을 미칠 것이다. 둘째, 지각된 사회적 투자는 기업-소비자간 동일시(c-c identification)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셋째, 지각된 사회적 투자가 기업-소비자간 동일시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에 있어 소비자 개별 특성인 지각된 사회 책임 활동 효과성(perceived CSR effectiveness)과 이타주의(altruism)가 조절적 역할을 하게 될 것이다.

      • 구강암에서 5-Aminolevulinic Acid-Hexenyl Ester의 광역학치료

        문연희 조선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광역학 치료는 광민감제에 특정 광원을 조사하여 세포내에서 활성산소종 (Reactive oxygen species, ROS)의 증가를 통한 암세포의 사멸을 유도하는 방법이다. 5-Aminolaevulinic acid (ALA)는 heme의 생합성 과정의 대사 전구물질로서 조직 내에서 heme의 전구물질인 광민감제 protoporphyrin IX (PpIX)으로 전환된다. 외인성 ALA를 적용하면 내인성 광민감제인 PpIX을 형성하게 되고, PpIX이 광민감제로 활성화되면 형광을 나타내고 세포 독성을 나타내는 특성이 있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사람의 구강암 세포주인 YD-10B 세포를 통해 기존의 ALA와 이의 유도체인 ALA hexenyl ester (ALA-hx)의 PpIX 형성을 비교하고, 광역학치료 후 활성 산소종의 형성능과 세포사의 분자기전을 확인하였다. 연구결과 ALA 처리 그룹보다 ALA-hx 처리 이후 PpIX의 형성이 더 빠르게 증가하며, ALA-hx 적용 후 미토콘드리아로 위치함을 관찰할 수 있었다. 세포증식율 또한 ALA-hx에 의한 광역학치료 후 ALA 보다 세포증식 억제에 더욱 효과적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ALA-hx의 광역학치료 후 활성산소종의 증가와 apoptosis의 유도를 확인하였고, caspase-3/7/PARP의 활성화를 관찰하였다. 결과적으로 ALA-hx는 기존의 ALA 보다 구강암 세포의 성장 억제에 더욱 효과적이며, 활성 산소종에 따른 미토콘드리아 의존적 경로를 통해 apoptosis가 유도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5-Aminolaevulinic acid (ALA) and its derivatives act as precursors to the photosensitizer protoporphyrin IX (PpIX). It can be used clinically as a photosensitizer for photodetection or photodynamic therapy (PDT) of cancer. It has been known that ALA enhances cellular accumulation of PpIX and is readily hydrolysed to get into the heme biosynthetic pathway, which produces PpIX on cells. In the present study, we compared the amount of PpIX synthesis of ALA and its hexenyl ester of ALA (ALA-hx) in human oral squamous cell carcinoma (OSCC) cell line. We also compared the effectiveness of reactive oxygen species (ROS) and the modification of cell death induced by PDT. PpIX synthesis of ALA-hx was much higher than that of ALA. In addition, ALA-hx-induced PDT generated ROS and led to inhibition of cell growth. PDT with ALA-hx induced activation of apoptosis related proteins such as caspase-3/7/PARP. Subsequently, apoptotic pattern was clearly demonstrated by flow cytometry.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ALA-hx-PDT induced apoptotic cell death via a mitochondria-mediated pathway. These findings provide the improvement efficacy of ALA-hx mediated PDT as an alternative candidate for human oral cancer therapy.

      • 초등학생의 동기 강화 자기조절전략개발(SRSD) 쓰기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문연희 忠南大學校 大學院 2022 국내박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program to reinforce students' writing performance and learning motivation through motivation-enhancing in writing and to test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In the program development stage, research was conducted in the order of program planning, program composition, and preliminary research. And this study tested the effects of the program on students' writing quality, attitude toward, self-efficacy for writing, learning motivation, and motivational regulation strategy. In the program development stage program planning and composition was based on needs analysis and theory. The final program was developed according to analyzed the preliminary study results and accepted expert review opinions. The main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necessity of the writing program was confirmed from the results of the needs analysis for students and teacher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demand survey, participants, writing genre, and key activity factors were selected. Therefore, this study developed a writing program targeting elementary school 6th grade students. In the course of program development, we focused on persuasive writing and enhancing motivation to write. Second, this study enhanced the motivational regulation strategy in the Self-Regulated Strategy Development(SRSD), which teaches both writing task strategy and self-regulation strategies. And the program was revised so that this program could be applied to the elementary school classroom. So, we first devised the motivation-enhancing SRSD writing program,「생각노트 더 주세요.+」 consisting of 10 sessions. Third, this program was applied to 17 6th graders of elementary school. As a result, the program had no effect on the students' writing quality, attitude toward, self-efficacy for writing, learning motivation, and motivational regulation strategy. After analyzing these research results and accepting expert opinions, we finally developed 「생각노트 더 주세요.+」, a motivation-enhancing SRSD writing program consisted of 15 sessions. In the stage of testing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we was applied the program to three groups divided into the motivation-enhancing SRSD writing group, the SRSD writing group, and the control group. The participants were 53 students in 3 classes in 6th grade of elementary school. This classes were randomly assigned to three groups. Specifically, the motivation-enhancing SRSD writing group was received the「생각노트 더 주세요.+」 program, this program contained the SRSD writing program 「생각노트 더 주세요.」 and the motivational regulation strategy practiced during morning activities. The SRSD writing group received a program 「생각노트 더 주세요.」, and wrote short texts during morning activities. The control group learned to write according to the curriculum, and wrote short texts during morning activities. The result of testing motivation-enhancing SRSD writing program 「생각노트 더 주세요.+」 is as follows. We found that 「생각노트 더 주세요.+」 has an effect on writing quality and self-efficacy for writing. In addition, 「생각노트 더 주세요.+」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identified regulation and autonomous motivation composite and encouraged the students to use environmental control strategies more. Finally, we found that the effect of the program on writing quality was different depending on the level of prior achievement in writing. This study found the need to teach explicitly motivational regulation strategies. In addition,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we developed a writing program that is easy to apply in the classroom and enhances students' writing performance and learning motivation, and its effectiveness has been tested. In conclusion, this study suggests that: In order for the program to be close to the field and to be appllied easily, the program should be developed according to a systematic procedures. And internalizing its usefulness or instrumentality for the goal of improving writing performance shows that it is effective in improving the writing quality. In addition, it suggests the need for educational interventions that motivate students with low achievement in writing along with learning strategies. 본 연구의 목적은 쓰기 학습장면에서 동기를 강화함으로써 학생의 쓰기와 동기를 증진하는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효과를 검증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프로그램 개발 단계와 개발한 프로그램의 효과성 검증 단계를 거쳤다. 프로그램 개발에서는 프로그램 기획, 프로그램 구성, 예비연구가 이루어졌으며, 프로그램 효과성 검증에서는 프로그램이 학생의 쓰기능력, 쓰기태도, 쓰기효능감, 학습동기, 동기조절 전략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였다. 프로그램 개발 단계에서는 요구분석과 이론을 바탕으로 쓰기 프로그램을 기획 및 구성하고, 예비연구와 전문가 검토를 거쳐 최종 프로그램을 개발했다.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학생과 교사를 대상으로 한 요구분석 결과에서 쓰기 프로그램의 개발 필요성을 확인하고, 그 결과를 반영하여 연구대상, 쓰기 장르, 중점 활동 요소를 선정했다. 이에 본 연구는 초등학교 고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한 쓰기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프로그램 개발에 있어 설득하는 글 유형과 쓰기동기 증진에 중점을 두었다. 둘째, 본 연구는 쓰기 전략과 자기조절 전략을 함께 가르치는 SRSD 쓰기 프로그램(Graham & Harris, 2005; Harris & Graham, 1992, 1996)에 동기조절 전략을 강화하고, 일반학급에 적용할 수 있도록 프로그램을 수정ㆍ보완하였다. 이에 10회기 ‘동기 강화 SRSD’ 쓰기 프로그램「생각노트 더 주세요.+」를 1차 구안하였다. 셋째, 6학년 학생 17명을 대상으로 ‘동기 강화 SRSD’ 쓰기 프로그램을 적용한 결과, 학생의 쓰기능력, 쓰기태도, 쓰기효능감, 학습동기, 동기조절 전략에 효과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예비연구 결과를 분석하고, 전문가 검토를 거쳐, 최종적으로 본 연구는 15회기 ‘동기 강화 SRSD’ 쓰기 프로그램「생각노트 더 주세요.+」를 개발했다. 프로그램 효과 검증 단계에서는 ‘동기 강화 SRSD’ 쓰기 집단, SRSD 쓰기 집단, 통제집단을 대상으로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했다. 연구는 초등학교 6학년 3개 반(53명)을 대상으로 진행되었으며, 집단은 학급단위로 무선할당하여 배치되었다. 구체적으로 ‘동기 강화 SRSD’ 쓰기 집단은「생각노트 더 주세요.+」프로그램이 처치되었는데, 여기에는 SRSD 쓰기 프로그램「생각노트 더 주세요.」와 아침활동 시간에 동기조절 전략을 실천하는 활동이 포함되었다. SRSD 쓰기 집단은 「생각노트 더 주세요.」프로그램과 아침활동 짧은 글쓰기 활동을, 통제집단은 정규 교육과정에 따른 쓰기교육과 아침활동 짧은 글쓰기 활동을 제공받았다. ‘동기 강화 SRSD’ 쓰기 프로그램「생각노트 더 주세요.+」의 효과를 검증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생각노트 더 주세요.+」는 쓰기능력과 쓰기효능감에 효과가 있고, 확인된 조절동기와 자율적 동기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생각노트 더 주세요.+」는 동기조절 전략 중 환경통제 전략 활용을 증진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프로그램 효과는 쓰기능력 수준에 따라 달라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학생의 동기 증진을 위한 교육적 개입으로 동기조절 전략을 명시적으로 가르칠 필요성을 확인하고, 학생의 쓰기와 동기 증진을 위해서 교실에서 실제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쓰기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그 효과를 검증했다는 데 의의가 있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결과는 현장접근성을 갖춘 양질의 쓰기 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해서 체계적인 프로그램 개발과 효과성 검증 절차가 필요하며, 쓰기 학습장면에서 과제 가치와 필요성을 내면화하도록 하는 것은 학생의 쓰기능력 증진에 효과적임을 보여준다. 더불어 쓰기능력 수준이 낮은 학생의 경우 학습전략과 함께 동기를 부여하는 교육적 개입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 중국 대학생들을 위한 한국어 발음 교육

        문연희 경기대학교 교육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47631

        요즘 중국에서 일고 있는 한류 열풍과 함께 한국어가 점차 각광을 받으면서 한국어 배우기에 관심을 갖고 한국어를 배우는 사람이 급증하고 있다. 하지만 한국어 교육 과정에 여러 가지 문제들을 안고 있다. 특히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교육에 관한 연구 논문들을 살펴볼 때 영어권 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한국어 교육에 관한 연구는 활발히 진행되고 있지만 중국어권 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한국어 교육에 관한 연구는 활발히 진행되지 못하고 있고, 또한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교육에 관한 연구들이 문법이나 단어 중심의 교육에 관심을 기울여 왔으며 외국어 교육에서 제일 중요하고 최우선이 되어야 할 발음 교육에 대해서는 소홀히 해왔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중국 대학생들에게 한국어를 가르칠 때 제일 먼저 중점적으로 교육해야 할 부분인 한국어의 발음 교육에 대해 과제를 삼기로 했다. 이 논문에서는 중국어를 모어로 하는 한국어 전공 대학생을 대상으로 그들이 한국어 발음에서 나타나는 문제점을 발견하여 이를 정확하게 발음할 수 있도록 효과적인 발음 교수 방법을 제안하는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특히 중국어에 없는 한국어 음소의 변별적 특성을 학습자들에게 교수함으로써 자연스러운 한국어 발음 능력을 배양하는데 초점을 두었다. 이러한 관점에서 이 연구에서는 우선 한국어와 중국어의 음운 체계를 분류한 다음 분류별로 대조 비교해 그 차이점과 유사점을 찾아낸다. 그리고 그 차이점으로 인해 중국인 학습자들이 발음상 자주 범하는 오류를 예로 제시하고 오류들의 원인을 찾아 규명함으로써 효과적인 학습을 도모하려는 데에서 출발하였다. 연구자의 경험에 의하면 중국인 학습자들은 모음에서 /ㅡ/ 와 /ㅓ/ 의 구별을 잘 하지 못하였고 자음에서 경음/ㄲ, ㄸ, ㅃ, ㅆ, ㅉ 발음에 어려움을 느꼈으며 한국어의 음절 발음에서는 중국어 음절 규칙의 영향을 받아 받침 /ㄱ, ㅇ, ㄹ/ 발음에 오류들이 발생하였다. 그밖에 한국어 음운 규칙에 대한 체계적인 교육이 이루어지지 않아서 음절 발음상에도 오류들이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하여 한국어의 모음, 자음, 받침 그리고 일상적으로 많이 쓰이는 한국어 음운 규칙을 연음, 동화, 경음, 격음, 음의 첨가 등으로 나누어서 효과적인 발음 지도 방안을 제시하였다. 특히 여기에서는 중국어 음소체계에서 오는 간섭현상을 제거하기 위하여 한국어와 중국어의 발음 차이를 제시하였고, 또 음운 규칙에서는 충분한 예를 들어 제시함으로 중국어에서 오는 간섭현상을 최소화하는데 주력하였다. 본 연구는 중국어를 모국어로 하는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발음 방법을 다루었다. 이는 한국어를 배우는 학습자가 급증하고 있는 시점에서 중국인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교육에 일조(一助)할 수 있으리라 믿는다.

      • 전원주택의 실내색채계획에 관한 연구 : 환경심리 요소를 중심으로

        문연희 한서대학교 예술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47631

        인간은 주거환경 속에서 다양한 심리적 욕구가 충족되기를 기대한다. 주거환경에 있어서 요구되어지는 환경심리적 요소에는 통제성, 프라이버시, 정체성, 영역성, 사회성, 심미성, 안전성, 위계성, 다양성 등이 있으며, 거주자에게 이러한 요소들이 조화를 이루어 충족되어질 때 그 실내공간에 만족감을 느끼게 되며 애착을 가지게 되리라고 본다. 그러한 환경심리적 요소들이 충족되기 위해서는 실내환경에서의 물리적 요소들이 적절히 구성되어 있어야하며, 물리적 요소 중에서도 공간의 형태보다 앞서 지각되어지고 있는 색채는 심리적으로 많은 영향을 주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최근에 더욱 선호되고 있는 전원주택은 인간의 주거생활양식과 그에 따른 주거환경에 대한 환경심리적 욕구의 충족을 위함이라 생각된다. 이에 본 연구는 전원주택에서 사용되어진 색채가 거주자들의 어떠한 환경심리적 욕구를 반영하고 있는지에 대해 파악하고, 나아가 전원주택 거주자들에게 보다 심리적으로 안정감과 애착심을 제공할 수 있는 환경심리적 요소가 반영된 색채계획을 제시하는데 그 의의가 있다고 하겠다. 연구 방법과 구성은 문헌과 선행 연구 등에서 이론적 배경을 고찰하고 잡지와 인터넷을 통하여 자료를 수집하고 검토함으로서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의 진행과정은 다음과 같다. 첫째, 환경심리요소와 색채와의 연관성을 고찰하였다. 둘째, 전원주택의 실내구성과 색채와의 관계를 조명하고 전원주택에서 사용되어진 색채계획이 거주자의 어떠한 환경심리적 요소를 반영하고 있는지 분석하고, 미약하게 나타난 요소를 파악하였다. 셋째, 도출된 결과를 바탕으로 전원주택에 환경심리적 요소가 미약하게 반영된 실내색채를 보완하여 제안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진행과정을 통해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전원주택 실내색채의 특성은 전체적으로 색상 면에서는 R, YR, Y계열과, 무채색에 집중적으로 분포되어 있으며, 난색계열의 유사색 조화, 또는 단색 조화가 대부분 나타났다. 이에 전원주택 실내 색채에서 나타나는 환경심리적 요소로는 공적공간은 유사배색에 수수하고 온화한 톤이 주로 나타나 통제성, 사회성, 영역성, 안전성이 대부분 나타났고, 사적공간에서는 반대배색의 밝고 화사한 톤이 나타나 프라이버시, 심미성, 안전성으로만 주로 나타났다. 그 결과 심미성, 다양성 등이 부족하게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통해 앞으로의 전원주택 색채계획에 있어서 환경심리적으로 안정감과 만족감을 느낄 수 있도록 거주자들이 필요로 하는 환경심리적 요소에 부합하는 배색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The human beings expect that a variety of the needs for psychological satisfaction are met in their dwelling environment. With regard to those environmental psychology factors, there are controllability, privacy, identity, territoriality, sociality, estheticism, stability, hierarchy, variety, and so forth. When such parts are in harmony and appealing to the dwellers, they will feel a sense of satisfaction and have affection to their dwelling interior. For these environmentally psychological components to be contained, physical parts should be laid out in an appropriate manners. The color perceived faster than the feeling from the spatial shape among those elements designed, in particular, is known to be much influential psychologically. The rural housing preferred recently more than ever before is regarded not only for the part of living mode for shelter but also for the satisfaction of environmental psychology need for inhabitant surroundings. This study comprehends what environmentally psychological desire is reflected with the colors used in the rural houses for the residents. Further, the study tries to find a color planning which considers reflecting environmental psychology elements to provide a stability at home and attachment to house for rural house dwellers in a psychological sense. In the studying method and format, this writing performs the review on the background in theory from literatures and precedent studies and the collection from materials in magazines and Internet. This proceeds to the following steps; First, the relation between environmentally psychological elements and color is examined. Second, the correlation between interior plan and color in rural housing is understood and the assessment follows regarding what factors is looked upon for the color plan adopted in rural housing. Thereafter, the less reflected portions are highlighted. Third, based on the derived results, suggestions are made that the weakly reflected interior colors as to environmentally psychology should be complemented. The outcome through this process is as follows: The interior colors used in rural dwelling house are generally characterized as dense distribution of R, YR, Y, and achromatic color series and harmony of analogous colors or monochrome of warm color series in terms of hue. Consequently, as for environmental psychology aspects, analogous color scheme along with a simple and mild tone appears in public space mostly and this gives controllability, sociality, territoriality and stability, while the opposite color scheme with warm and brilliant tone come up in private space for the most of cases and shows privacy, esthetical side and stability only. This results in the lack of some areas like esthetic sense and variety. The outcome through this study suggests the application of color scheme in harmonious with psychological factors required to dwellers in color planning for the rural housing in the future so that they can feel stabilized and satisfied.

      • 초등학생의 감사 표현 활동이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문연희 충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In this thesis, an attempt was made to examine the effect of behavioral expressions of gratitude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on happiness. At the same time, by checking whether the effect of intervention appears differently on experience of gratitude depending on personal characteristics, the role moderator variables play on intervention effect was also explored. For the purpose, 83 5th grade students of an elementary school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containing 45 students and 38 students respectively. With these students as research target, their gratitude disposition, subjective well-being, and stress were measured both before and after. The experimental group has participated in 5 sessions of behavioral expressions of gratitude program during 5 weeks. The result of this research showed that appearance stress was reduced in students who have participated in an intervention program in comparison to students in the control group after implementation of the program. The result also revealed that, in the experiment group, experience of gratitude has increased more in students with low agreeableness in comparison to the students with high agreeableness. In other words, the result of this research suggests that gratitude intervention can have a positive effect on students’ happiness in the future. and provides implications to the development of a gratitude intervention program that is customized to individual characteristics. However, the fact that gratitude disposition has increased not only in experimental group but in comparison group as well requires a feasibility study on the result of this research.

      • CSR 활동의 사회적 혜택과 개인적 혜택이 기업 및 제품평가에 미치는 영향

        문연희 전남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박사

        RANK : 247631

        기업의 사회적 책임(CSR;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은 급변하는 경영환경 속에서 기업의 지속가능한 생존과 발전을 위한 필수전략이다. 최근 이러한 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이 과거 규범적 관점에서 기업 이미지 개선 및 홍보 전략으로서 다양한 기업 성과를 얻기 위한 전략적 사회 공헌 활동으로 변화하고 있다. 전략적 관점의 사회적 책임 활동은 기업의 경제적 목표와 사회 공헌을 연결하기 위한 적극적 노력이며, 비영리기관, 지역사회, 수혜자들에게 혜택을 줄 뿐만 아니라 기업 경영에도 직접적 이익을 주는 것을 의미한다. 즉, 단순히 사회의 안녕 및 복지라는 사회적 가치의 실현을 위해 사회적 책임 활동을 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기업 성과 획득을 위해 혹은 소비자로부터 긍정적인 반응을 얻기 위함이라는 내면적 목적을 가지고 그와 같은 활동을 수행한다는 것이다. 이러한 배경에 기초하여 본 연구에서는 전략적 사회 책임 활동을 소비자와 기업 간 관계강화 및 상호혜택을 위한 목적의 사회적 교환으로 정의하였다. 사회적 책임 활동에 대한 이러한 관점의 변화가 의미하는 바는 무엇이며, 이로 인해 달라져야 하는 것은 무엇인가? 중요한 점은 상호혜택을 위한 목적의 사회적 교환으로서의 사회적 책임 활동에 대한 소비자 반응은 기존 연구에서 설명하던 바와는 다른 접근방식이 요구된다는 것이다. 기존 선행연구에서는 기업의 사회적 활동에 대한 긍정적 소비자 반응을 설명하는데 있어 일치추론이론(consumer inference making theory), 시그널링 이론(signaling theory), 동일시 이론(identification theory)을 들어 설명하고 있다. 이들 이론 적용의 공통적 특성은 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의 이중적 동기에 대해 고려하지 않고 단지 사회적 가치를 실현하고자 하는 기업 활동의 노력에 대해 긍정적으로 반응한다는 점이다. 하지만 소비자는 사회적 책임 활동 수행 동기가 사회의 개선을 위함인지 아니면 이를 통해 기업 성과를 얻기 위함인지에 대한 기업 활동의 이중적 동기 대해 지각하고 있으며, 기업 활동으로 인해 사회 및 소비자가 얻는 혜택과 기업이 얻는 혜택을 비교하게 된다. 이러한 차이점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기존 연구와는 달리 전략적 사회 책임 활동에 대한 소비자 반응의 심리적 메커니즘을 사회교환이론의 호혜성의 원리를 중심으로 설명하고자 하였으며, 기업 활동으로 인해 사회 및 소비자가 얻는 혜택에 따라 해당 기업에 대한 보상 즉, 긍정적 기업평가 및 제품평가가 결정됨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 간엽줄기세포 분화에 대한 CoCl2 효과

        문연희 전남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박사

        RANK : 247631

        Mesenchymal stem cells (MSCs), which can be isolated from bone marrow and other somatic tissues, are residing in an environment with relative low oxygen tension. Cobalt chloride (CoCl2) can mimic hypoxic conditions through transcriptional changes of some genes such as hypoxia-inducible transcription factor-1α (HIF-1α) and 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 (VEGF). This study was aimed to evaluate potential role of CoCl2 preconditioning on multi-lineage differentiation of C3H/10T1/2, murine mesenchymal stem cell line and to understand its possible molecular mechanisms in vitro culture condition. Treatment of CoCl2 on MSCs increased HIF-1α and VEGF mRNA, and protein expression of HIF-1α substantially. Temporary preconditioning with CoCl2 on MSCs induced up-regulation of osteogenic markers including alkaline phosphatase, osteoclacin, type I collagen during osteogenic differentiation, which followed by enhanced mineraliization. In addition, CoCl2 also increased chondrogenic markers including aggrecan, sox9 and type Ⅱ collagen, and promoted chondrocyte differentiation. On the contrary, CoCl2 suppressed the expression of adipogenic markers including PPARγ, aP2 and C/EBPα, and inhibited adipogenesis as well. These results might suggest that temporary preconditioning with CoCl2 could affect the multi-lineage differentiation of MSCs.

      • 초등학교 영어 교과서 내용의 분석적 연구

        문연희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 1999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다원화되고 경쟁력이 요구되는 정보화․세계화 시대인 21세기에 대처하기 위한 인재 양성을 위해서 영어교육의 방향도 실용성과 유창성을 강조하는 의사 소통 능력 함양에 두게 됨에 따라 1997년부터 정규 교과로 시작된 초등 영어 교육에 있어서 교사나 학생 모두에게 영어가 외국어(EFL : English as a Foreign Language)로 교수․학습하게 되는 우리 나라에서와 같은 상황에서는 영어 교재의 비중이 매우 크다고 생각되어 현재 사용중인 초등 영어 교과서와 교사용 지도서 그리고 비디오 자료를 그 내용 구성이 어떤 형식으로 되어 있는지에 대한 실태를 파악 해 보고, 초등 영어 교재의 내용에 대하여 제언하는 것에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하여 언어 입력에 관련한 제 2언어 습득 이론들과 아동의 인지 발달 단계, 아동의 특성, 그리고 우리 나라 초등 학생의 영어 학습 전략에 대한 문헌적인 연구하였다. 이 중 언어 습득 이론은 어린 학습자들이 왜 빨리 언어를 습득하는 것을 이해하는 데 도움을 준다. 또한, 아동의 전반적인 인지적․정의적 발달 상태와 특성 및 영어 학습 전략을 살펴보면 학습자들이 실제적으로 어떻게 언어 활동을 접하게 되는 지를 알 수 있다. 이러한 이론적 배경을 기초로 초등영어 교육과정과 Skireso(1991)의 교재평가 점검표를 참고하여 현재 사용 중인 18종의 초등 영어 교재 중에서 12종의 초등학교 3학년의 학생용 교과서, 교사용지도서, 비디오 자료를 그 내용 면에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발견한 내용은 다음과 같다 : (1) 현재 사용중인 초등 영어 교과서 대부분의 소재 선택이 영어에 흥미와 관심을 가질 수 있도록 학생의 인지적 수준과 정의적 수준과 EFL현실을 고려하고 언어 습득의 원리에 적합한 순서에 따라 학교생활과 교우관계 등의 학생의 생활과 밀접한 것이 많았다. 그러나 일부 교과서는 소재의 선택이 극히 제한적이어서 학생의 흥미를 만족시키는 언어 입력 자료로서의 기능이 부족하였다. (2) 의사소통능력을 중시함에 따라 교과서에서 사용된 의사소통 기능은 대부분 정보 전달 기능과 인사하기, 소개하기 등의 대인적 기능의 두 가지로 제시되었다. (3) 교과서 모두 Krashen(1985)의 언어습득의 이론의 원리에 따라 이해기능이 표현기능에 선행하도록 구성되어 있었다. 그러나, 각각 구성 방식 면에 있어서는 이해기능과 표현기능을 차시별로 분류하여 듣기만을 또는 말하기만을 따로 구성한 경우와 이해기능과 표현기능을 한 차시에 함께 가르치도록 구성한 경우의 두 가지로 차이점이 있었다. (4) 각 교과서 비디오 테이프의 내용은 대체로 만화, 인형극, 그리고 실제 등장인물의 상황극등의 다양한 의사소통 활동을 위한 학습으로 구성되어 학생들에게 간접경험을 이용한 자연스러운 언어습득을 잘 유도하고 있었다. 그러나 일부 교과서 비디오 테이프는 한 두 가지 활동으로만 일관되어 제시되어 있었다. (5) 교사용 지도서는 대부분 제시된 교수 방법이 동일하고 일반적인 진술이어서 영어를 외국어로서 교수하는 담당교사에게는 실제적인 도움을 주지 못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특히, 비디오 자료를 어느 단계에서 어떻게 활용해야 하는지에 대한 설명이 부족하여 교육의 효과를 높여주는 그 연계성 면이 부족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자는 초등영어 교과서 내용에 대하여 다음과 같이 제언 하고자 한다. (1) 초등영어의 교육은 그 목표와 관련하여 학생들로 하여금 영어에 흥미를 가지게 하고 영어로 하는 의사소통 능력의 초석을 다지는 것을 구체적으로 실현할 수 있어야 하므로 학습자들에 적합하고 다양한 소재로 제시되어야 함을 가장 중요하게 고려해야 할 것이다. (2) 초등학교 3학년 아동의 관심사는 보다 개인적이므로 아이들의 특성을 고려하여 교과서의 의사소통 기능의 구성에 있어서 개인적 기능을 보다 많이 제시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교과서 이용된 게임의 요소를 도입한다면 아이들의 창의적 언어사용 특성을 살려서 언어를 습득할 수 있도록 창의적인 기능도 제시될 수 있을 것이다. (3) 초등학생의 인지적․정의적 발달단계와 짧은 집중시간을 고려하여, 한 차시에 두 가지 기능을 함께 가르치도록 내용을 구성하는 것이 효과적일 것으로 사려된다. (4) 의사 소통 활동과 관련하여 중요한 것은 학생들의 '현재와 여기( here and now)‘의 관심사를 충족 시켜주는 것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비디오테이프의 내용구성은 보다 실제적이고 체험학습과 경험학습이 가능할 수 있도록 다양한 의사 소통 활동이 포함된 언어상황을 제시하는 것이 중요하다. (5) 교사용 지도서에서는 특히 각론에서 비디오 자료를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단원별, 쪽별로 정확하고 계획적이고 치밀하게 분석하여 사용방법을 제시하여야 교사들에게 실질적인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부록에서 의사소통 활동 중심의 교실 수업이 될 수 있도록 교사들이 쉽게 응용할 수 있는 보충자료가 보다 실제적으로 제시되어야 하겠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