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팔라스마의 현상학적 관점에서 본 한국 현대 건축공간의 분석

        마가은 국민대학교 2022 국내석사

        RANK : 1935

        Space has been constantly changing, serving as the basis for various interpretations and philosophical thoughts from the past to the present. Though the idea of space has changed with the times, the concern about what a person will experience in space remains an important issue. In this way, interpreting the space centered on the experienced person is similar to a phenomenological perspective. Previous studies from a phenomenological perspective have been conducted on various phenomena felt when experiencing space with the experienced as the subject. However, most of the buildings studied as examples of previous studies are limited to overseas buildings. The phenomenon is perceived in different forms depending on where the building was built. Therefore, in order to develop phenomenological buildings in Korea, I think more active researches on Korean buildings should be conducted. This study prepares an index for spatial analysis from a phenomenological point of view, and analyzes the modern architectural space of Korea through this index.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body exists inside the space, not the observer, and experiences the architectural space. The body experiencing it serves as an important measure of perception and understanding of space. In the process of perceiving space, the elements of space stimulate the human senses and interact with the body. Therefore, the sensory experience of the body is important for a rich architectural experience. Phenomenology argues for sensory elements in space and the importance of the body to experience them. Therefore, when analyzing and understanding architectural space from a phenomenological point of view, rich understanding of architecture will be possible. 2) As a result of examining Merleau-Ponty's philosophy, which is mainly referred to in the architectural studies of phenomenological perspectives, his argument only refers to the interaction with architecture and the importance of the role of the body experience. Merleau-Ponty's philosophy is neither concrete nor direct to interpret phenomena that vary from time to place. This study examine the phenomenological perspective of the Pallasmaa in order to use the concept of the Pallasmaa to complement the deficiencies in the perspective of Merleau-Ponty. Also this study understands his concept of spatial perception, through which he derived a framework for analysis. 3) Using the derived analysis framework, the spaces of contemporary Korean architecture is analyzed. The analysis is limited to buildings located in Korea, but the nationality and generation of the architect who built the building are not limited. Analysis shows that all selected buildings tend to satisfy most of the spatial perception concepts of the parameters. It is judged that the senses through the five senses can be reflected relatively easily as architectural elements, and those who experienced them could easily recognize them. On the other hand, it is difficult to experience the architectural experience of taste. In addition, as a result of synthesizing the analysis contents, the concept of Palasma used for analysis is considered to be helpful for phenomenological analysis of buildings. 공간은 과거부터 현재까지 다양한 해석과 철학적 사유의 근거로 작용하며 지속해서 변화해왔다. 공간에 관한 생각은 시대에 따라 변해왔지만, 사람이 공간에서 무엇을 체험할지에 관한 고민은 변함없이 중요한 논점이다. 이렇게 체험자를 중심으로 공간을 해석하는 것은 현상학적 관점과 비슷하다. 현상학적 관점에서의 선행연구들은 체험자를 주체로 공간을 체험할 때 느끼는 현상에 관한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하지만 선행연구의 사례로 연구되는 건축물은 대부분 해외의 건축물에 한정되어 있다. 현상은 건축물이 지어진 장소에 따라 다른 형태로 지각되어 진다. 따라서 한국에서 현상학적 건축물을 발전시키기 위해서는 현재 한국의 건축물에 대한 더 활발한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생각한다. 본 연구는 현상학적 관점에서 공간분석을 위한 지표를 마련하고, 이 지표를 통해 한국의 현대 건축공간을 분석한다. 연구 내용에 관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신체는 관찰자가 아닌 공간 내부에 존재하며 건축공간을 체험한다. 체험하는 신체는 공간을 지각하고 이해하는 중요한 척도의 역할을 한다. 공간을 지각하는 과정에서 공간의 요소들은 인간의 감각을 자극하고 신체와 상호작용하게 된다. 따라서 풍부한 건축적 체험을 위해서는 신체의 감각적 체험이 중요하다. 현상학에서는 공간에 존재하는 감각적인 요소들과 이를 체험하는 신체의 중요성을 주장한다. 따라서 현상학적 관점으로 건축공간을 분석하고 이해할 경우 건축에 대한 풍부한 이해가 가능할 것이다. 2) 현상학적 관점의 건축 연구에서 주로 언급되는 메를로-퐁티의 철학을 고찰해본 결과 그의 주장은 건축물과의 상호작용과 체험하는 신체의 역할의 중요성만을 언급하고 있다. 시간과 장소에 따라 다르게 존재하는 현상들을 해석하기에 메를로-퐁티의 철학은 구체적이거나 직접적이지 못하다. 본 연구는 메를로-퐁티 관점의 부족한 점을 보완하기 위해 팔라스마의 개념을 이용하고자 팔라스마의 현상학적 관점을 고찰하였다. 또한, 그의 공간 지각 개념을 이해하고 그의 관점을 통해 분석의 틀을 도출하였다. 3) 도출된 분석의 틀을 이용해 한국 현대 건축공간을 분석하였다. 분석 대상은 한국에 소재한 건축물로 한정하지만, 해당 건축물을 지은 건축가의 국적과 세대는 한정하지 않았다. 분석 결과 선정된 모든 건축물이 팔라스마의 공간 지각 개념을 대부분 충족하는 경향을 보였다. 오감을 통한 감각에 대해서는 건축적 요소로 비교적 쉽게 반영할 수 있고, 체험자 또한 쉽게 인지가 가능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반대로 미각을 통한 건축적 경험 등에 대해서는 체험에 어려움이 있었다. 또한, 분석내용을 종합해본 결과 분석의 용도로 사용된 팔라스마의 개념은 건축물에 대한 현상학적 분석에 도움이 되는 것으로 판단된다.

      • 중국 광서 화산(花山)암화 문화경관 유적 활성화 방안 연구

        馬莉 우석대학교 일반대학원 2024 국내박사

        RANK : 1855

        The cultural landscape of Huashan rock paintings in Guangxi is a valuable cultural heritage of human beings and the survival and living footprints left by the Luo Yue people, the ancestors of the Zhuang nationality. It is famous for its wide distribution, high difficulty in painting creation and magnificent momentum of the painting format. Huashan rock paintings have strong artistic value and scientific research value. As an important part of cultural heritage, Huashan rock paintings are a non-renewable resource. In the future research process, it is an important purpose to realize the activation and inheritance of Huashan culture to strengthen the public's artistic cognition of Huashan rock paintings, enhance its communication value, and then improve its cultural value in the world. By analyzing the relevant research background of the cultural landscape of Huashan rock painting, Introduce the purpose and summarize the significance; The second part introduces the research method used in the article; The third part introduces the theoretical basis and the advance research, Provide a research basis for the subsequent research; The fourth part is the results and the thinking, On the basis of data collection and field research, Studying the condition of the study subjects, Compare it with the features of other world rock painting heritages, And puts forward the feasibility of the active inheritance of Huashan culture, On this basis, various research methods are combined to construct and analyze the evaluation system of Huashan rock painting cultural landscape, It provides practical reference for summarizing the active scheme of Huashan rock painting cultural landscape later; The fifth part is the conclusion and the outlook, Summarize the conclusions obtained from the analysis of the article study, And put forward the outlook for the research conclusion. The conclusion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Through investigation and visit on the current situation of the cultural landscape of Huashan rock paintings, we learned that Huashan rock paintings are mainly distributed in Ningming County, Longzhou County, Jiangzhou District and Fusui County of Chongzuo City. Among the 38 rock painting sites, Ningming County is the first heritage area, 4 rock painting sites; Longzhou County is the second heritage area, 16; Jiangzhou District and Fusui County are the third heritage area, and 18 rock painting sites. Among them, the first heritage area is mainly four rock painting points, namely Zhushan rock painting, Longxia Mountain rock painting, alpine rock painting and Ningming Huashan rock painting. There are two natural villages of Yaoda Village and Zhulian Village in Chengzhong Town nearby, among which there are 10 villages in Yaoda Village and 8 villages in Julian Village. Second, the 38 rock painting sites of Huashan Rock Painting Culture Landscape are all independent landscape units, which can be divided into 109 sites and 193 groups, and the total number of images is about 4,050. Among them, there are 3315 human images, including 1152 formal figures, 2163 side portraits; 668 typical images, including bronze drum images, 11 sheep horn bell images, 5 fine bell (bell) images, 39 ring blade images, 174 square or first sword images, 1 flat stem dagger images, 21 ferry images and 2 male and female images; 114 animal images, including 113 dogs and 1 bird. Third, On the basis of data collection and field research, On the analysis of the study subjects, From the geographical location and geomorphological features, historical evolution and social background, heritage areas and rock paintings and distribution sites, cultural value, rock paintings pattern types and distribution, technical characteristics and expression techniques of rock paintings to investigate and analyze the situation of the research objects; From the comparison of rock painting quality, the comparison of quantity dimension and the comparison of the environment of rock painting, the research object and the characteristics of other rock painting heritages in the world are compared; To explore the feasibility of the cultural inheritance and promotion of Huashan from the rich historical and cultural connotations, superior geographical advantages, rich natural resource base and the firm support from the government, It provides research support for the construction and evaluation of the inheritance and promotion system of Huashan rock painting cultural landscape on this basis. Fourth, In the process of constructing the evaluation system, In order to reflect the objectivity and authenticity of the indicators, Combined with the root theory for the coding of various indicators and analyzing the coding results, According on the collected web text, According to the word frequency, semantic, network and emotion, and not least, Through the analysis of the results to understand the overall evaluation of Huashan cultural landscape, Find out the tourism image cognition established by tourists in the process of Huashan rock painting cultural landscape tourism, Finally, tourism attraction, infrastructure, tourism environment, tourism activities, service and management, local atmosphere 6 dimensions, And cliff, Mingjiang, landscape, real, scenery, landscape 65 and other three-level indicators, This is used as the basic index for the screening of subsequent research indicators. Fifth, according to the reference indicators obtained by the root theory coding, a total of 20 scholars and experts willing to participate in the evaluation will be contacted to score 2 first-level indicators, 6 second-level indicators and 65 third-level indicators. The data after feedback by experts is screened according to the coefficient of variation (CV) of each index. After three rounds of screening by Delphi method, 45 indicators such as cliff, real scene, scenery, river water and animals with coefficient of variation (CV) greater than 0.25 were deleted, and 2 first-level indicators, 6 second-level indicators and 20 third-level indicators required for hierarchical analysis were determined. Sixth, on the basis of the indicators selected by Delphi method, hierarchical analysis was used to further determine the evaluation system of Huashan cultural landscape, and the data of 20 expert questionnaires were analyzed. From the perspective of the ranking of weight evaluation indicators, among the 20 three-level indicators, the top five are rock paintings (0.1482)> heritage (0.0984)> historical and cultural environment (0.0837)> Culture (0.0673)> C tour experience activities (0.0456), it can be seen that experts pay high attention to the cultural relics experience of Huashan rock painting cultural landscape; in the bottom five, the ranking is the education level of the government's comprehensive management (0.0010) <level of accommodation facilities (0.0012) (0.0013) (0.0015), indicating that the inheritance and promotion of Huashan rock painting cultural landscape has little influence. After excluding 5 indicators with low weight values and 2 indicators that might be considered repeated concepts based on free responses, 13 evaluation indicators were finally selected and subsequent questionnaires in this study. Seventh, based on the PPM analysis of the behavior intention of tourists to the evaluation system indicators of the Huashan cultural landscape, a total of 500 questionnaires were sent, and 446 valid questionnaires were recovered, with a recovery rate of 89.2%. On the basis of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test of the questionnaire, analyze the tourist characteristics of Huayan cultural landscape, and then analyze the influencing factors of the tourist conversion behavior of Huayan cultural landscape. In terms of thrust factor tourism environment and tourism management service quality, tourists hav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importance of tourist experience [p=0.015 <0.05] and landscape marketing promotion activities [p=0.036 <0.05]; no difference in the historical and cultural environment [p=0.136> 0.05] and festival activities [p=0.064> 0.05]. In terms of landscape resource attraction for pulling factors, Visitors without conversion behavior on rock paintings [p=0.046 <0, 05], the importance of culture [p=0.009 <0.05], and heritage [p=0.004 <0.05]; In terms of infrastructure completeness, To the importance of recreational facilities [p=0.005 <0.05] and emergency rescue facilities [p=0.002 <0.05], The difference in attention in terms of external accessibility [p=0.120> 0.05] was not obvious. In terms of tourism management service and local atmosphere of anchor factors, tourists have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importance of service convenience [p=0.007 <0,05] and traditional culture [p=0.003 <0.05]; there is no obvious difference in attention to dietary characteristics [p=0.064> 0.05]. Eighth,Through the study of the characteristics of Huashan rock painting cultural landscape and the results of the evaluation system, the study of Huashan rock painting cultural landscape is put forward: 1)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importance of tourist experience activities and landscape marketing promotion activities in terms of the driving factors of tourism environment and tourism activity quality.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actively develop characteristic tourism activities for Huashan rock painting cultural landscape. Develop diversified ethnic tourism products, highlight the marketing and promotion of Zhuang ethnic craft characteristics, and establish Zhuang ethnic style commercial streets and farmhouses. 2)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importance of rock paintings, culture, heritage, leisure and entertainment facilities, and emergency rescue facilities among tourists in terms of the attractiveness of landscape resources and the completeness of infrastructure due to the pull factor. Targeted promotion of tourism attractions and infrastructure repairs should be carried out. Relying on mass media for effective information transmission and promotion, innovating online marketing models; Optimize services and emergency facilities, and highlight service projects for the Zhuang ethnic group. 3)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importance of convenient services and traditional culture among tourists in terms of tourism management services and local atmosphere.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strengthen the management and services of tourist attractions and create a local ethnic development atmosphere. Innovate the convenience of tourism management services in scenic areas; Encourage the residents of surrounding villages to participate in the development and planning of the tourism industry, highlighting the local ethnic atmosphere. 중국 광서 화산(花山) 암화 문화경관은 인류의 귀중한 문화유산이자 장족(壯族)의 선주민인 낙월인(駱越人)이 남긴 그들의 생존과 삶의 발 자취다. 화산 암화는 널리 분포되어 있고 그림 창작의 난이도가 높으 며 화폭이 웅장하여 세계적으로 유명하다. 예술적 가치와 과학적 연 구적 가치가 강한 화산암화는 문화유산의 중요한 부분으로서 재생 불 가능한 자원이며, 향후 연구과정에서 화산 암화에 대한 대중의 예술 적 인식을 강화하고 전파가치를 높이며, 나아가 세계적으로 문화적 가치를 높이는 것이 화산문화의 활성화 전승의 중요한 목적이다. 서 론 부분에서 화산 암화 문화경관과 관련된 연구배경을 분석하여 연구 목적과 연구의 의의를 제시하였다. 제2부분에서 연구방법을 소개하고, 제3부분에서 이론적 근거와 선행연구를 소개하여 후속연구를 위한 연 구근거를 제공하였다. 제4부분은 결과 및 고찰로 자료수집과 현장조 사를 바탕으로 연구대상의 상황을 연구하여 세계 다른 암화 유산의 특징과 비교하고 화산문화 활성화 전승의 타당성을 제시하며, 이를 바탕으로 다양한 연구방법과 결합하여 화산 암화 문화경관 활성화 방 안 평가체계 구축 및 분석을 진행하여 화산 암화 문화경관의 활성화 방안을 위해 현실적인 참고자료를 제공하였다. 제5부분은 결론과 전 망으로 분석을 통해 얻은 결론을 요약하고 전망을 제시하였다. 본 연 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화산 암화 문화경관의 현황을 조사한 결과, 화산 암화는 주 로 숭좌시(崇左市)의 영명현(寧明縣), 융주현(龍州縣), 강주구(江州區)와 부수현(扶綏縣)에 분포하고 있으며, 38개의 세계문화유산에 등재된 암 화 중 영명현은 제1유산구로서 암화 4개, 융주현은 제2유산구로서 암 화 16개, 강주구와 부수현이 제3유산구이며 암화 18개가 있다. 그 중 제1유산구는 주로 주산(珠山) 암화, 용협산(龍峽山) 암화, 고산(高山) 암화, 닝밍(寧明) 화산 암화의 4개 암화 지점으로 인근에 성중진(城中 镇)인 요체촌(耀達村)과 주연촌(珠連村) 2개 자연마을이 있으며, 그 중 요체촌은 10개, 주연촌은 8개 둔(屯)이 있다. 둘째, 좌강 화산 암화 문화경관 보전관리 마스터플랜(2014-2030)에 따르면, 세계문화유산으로 등재된 38개의 암화 지점은 109개소, 193조 (組)로 구분되며, 총 이미지 수는 약 4,050개가 있다. 그중에 정면 인 물상 1,152개와 측면 인물상 2,163개로 인물 이미지는 총 3,315개가 있다. 또한, 621개의 전형적인 기물 이미지에는 동고(銅鼓) 이미지 368 개, 양각 뉴종(鈕鐘) 이미지 11개, 세뉴종(細鈕鐘) 이미지 5개, 환수도 (環首刀) 이미지 39개, 유격(有格)이나 유수검(有首劍) 이미지 174개, 편경(扁莖) 단검(短劍) 이미지 1개, 도선(渡船) 이미지 21개, 그리고 남녀 교구(交媾) 이미지 2개가 포함되어 있다. 마지막으로 개 이미지 113개와 날짐승 이미지 1개 등 총 114개의 동물 이미지가 있다. 셋째, 자료수집과 현장조사를 바탕으로 지리적 위치 및 지형특성, 역사적 연혁 및 사회적 배경, 유산지역 및 암화의 분포지점 개황, 문 화적 가치, 암화의 유형과 분포, 그리고 암화의 기술적 특징 및 표현 방법을 통해 연구대상의 상황을 정리하였다. 암화의 품질비교, 양적차 원비교 및 암화가 위치한 환경비교를 통해 연구대상과 세계 다른 암 화유산의 특성을 비교분석하였다. 풍부한 역사 문화적 함축, 위치 우 위성, 풍부한 천연자원 기반 그리고 정부지원 측면에서 화산 암화 문 화유산의 활성화 방안의 타당성을 분석하여 이를 바탕으로 화산문화 유산의 활성화 방안을 연구하였다. 넷째, 평가체계 구축과정에서 지표의 객관성과 진정성을 반영하기 위하여 근거이론을 결합하여 각종 지표의 코딩 및 코딩결과 분석을 수행하고 수집된 인터넷 텍스트를 기반으로 화산 암화 문화유산에 대 한 심도 있는 연구를 수행하였다.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화산 암화 문 화경관에 대한 관광객들의 전반적인 평가를 이해하고 화산 암화 문화 경관 관광과정에서 구축된 관광 이미지 인식을 도출하여 최종적으로 관광 흡인물, 기초시설, 관광환경, 관광활동, 서비스 및 관리, 현지 분 위기의 6차원과 절벽, 명강, 풍경, 실경, 풍광 및 산수 등 65개의 3급 지표를 선별하여 후속지표로 사용하였다. 다섯째, 근거이론 코딩결과로 얻은 참고지표를 바탕으로 20명 화산 암화 전문가를 초청하여 1급 지표 2개, 2급 지표 6개, 3급 지표 65개 를 채점하고 전문가가 피드백한 데이터를 각 지표의 변동계수(CV)를 통해 선별하였다. 변동계수(CV)가 0.25 이상인 절벽, 실경, 풍광, 강물, 동물 등 지표를 삭제하여 최종적으로 2개의 1급 지표, 6개의 2급 지 표, 20개의 3급 지표로 구성된 평가체계를 얻었다. 여섯째, 델파이법으로 계층적 분석법을 이용하여 화산 암화 문화경 관 활성화 방안 평가체계를 확정하여 회수된 20개의 전문가 설문지 데이터를 분석하였다. 가중치 평가지표의 순위를 보면, 전체 20개의 3 급 지표 중 가중치 상위 5개는 암화(0.1482)>유산(0.09840)>역사문화 환경(0.0837)>문화(0.0673)>관광체험활동(0.0456)으로 화산 암화 문화 유적경관의 관광체험활동에 대한 전문가들의 관심이 높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하위 5위는 정부의 종합관리(0.0010)<숙박시설 수준 (0.0012)<경관개발 특별계획(0.0013)<지도홍보시설(0.0015)≤ 실무자의 교육수준으로 이는 이러한 지표들은 화산 암화 문화경관의 활성화에 거의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가중치가 낮은 5가 지 지표와 자유응답에 따라 중복개념으로 간주될 수 있는 2가지 지표 를 제외한 후 최종적으로 13개의 평가지표를 선정하여 본 연구의 후 속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일곱째, PPM을 기반으로 한 관광객의 화산 암화 문화경관으로의 이 동 의지에 대한 분석을 수행하였다. 총 500개의 설문지가 발송되었고, 최종적으로 446개의 유효한 설문지가 회수되었으며, 회수 유효율은 89.2%이었다. 설문지의 신뢰도 및 타당도 검사를 검증한 다음 화산 암화 문화경관 관광객 특성을 분석하여 화산 암화 문화경관 관광객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였다. Push 요인의 관광환경과 관광활동의 측면에서 관광객은 유람체험 [p=0.015<0.05]과 경관마케팅 보급활동[p=0.036<0.05]의 중요도에 유의 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역사문화 환경[p=0.136>0.05]과 축제 활동[p=0.064>0.05]에서는 관광객의 관심도 차이가 유의하지 않았다. pull 요인의 경관자원의 흡인력 측면에서 암화[p=0.046<0,05], 문화 [p=0.009<0.05], 유산[p=0.004<0.05] 등의 요인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기초시설의 완비성 측면에서 관광객의 휴식 오락 시설[p=0.005<0.05] 과 응급구조시설[p=0.002<0.05]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지만, 외부 접 근성[p=0.120>0.05] 측면에서는 관광객 관심도의 차이는 유의하지 않 았다. mooring 요인의 관광관리서비스와 지역분위기 측면에서 관광객의 서비스 편의성[p=0.007<0,05]과 전통문화[p=0.003<0.05]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있었지만, 음식특색[p=0.064>0.05] 측면에서는 관광객 관심도의 차이가 유의하지 않았다. 여덟째, 화산 암화 문화경관 특성에 대한 연구 및 활성화 방안 평 가체계 결과 분석을 통해 화산 암화 문화경관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 였다. 1) 본 연구의 결과에 따르면, push 요인 중 관광환경과 관광활동 측면에서 관광체험활동과 경관마케팅 홍보활동의 중요도에 유의한 차 이가 있어서, 화산 암화 문화경관 특색 관광 활동을 적극 개발할 필 요가 있다. 다양한 민족 관광 상품을 개발하고 장족 민족 공예 특색 의 마케팅 및 홍보를 강조하며 장족 풍토 상업 거리와 농가락을 개발 할 필요가 있다. 2) 본 연구결과에 따르면, pull 요인 중 경관자원 흡인력과 기반시 설의 완전성 측면에서 암화, 문화, 유산, 휴식 및 오락시설, 응급구조 시설의 중요도에 유의한 차이가 있어서, 관광흡인물의 홍보 및 기반 시설의 수리를 맞춤형으로 진행할 필요가 있다. 대중 매체에 활용하 여 효과적인 정보 전달 및 홍보를 수행하고 온라인 마케팅 모델을 혁 신하며 서비스 및 응급 시설을 최적화하여 장족 민족 서비스 프로젝 트를 강조할 필요가 있다. 3) 본 연구결과 Mooring 요인 중 관광관리서비스와 지역분위기에 따라 서비스 편의성과 전통문화에 대한 관광객의 중요성에 유의한 차 이가 있어서, 관광지 관리 및 서비스를 강화하여 지역 민족 문화발전 분위기를 조성할 필요가 있다. 관광지 관광 관리 서비스의 편리성을 혁신하고 주변 마을 사람들이 관광 산업의 개발 계획에 참여하도록 장려하여 지역 민족 분위기를 조성할 필요가 있다.

      • 한국과 중국의 한국어교육기관 조직 비교연구

        자유 건국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1855

        Korea and China, which are close to the rapidly developing modern society, have a high historical relevance and are still interacting with each other. Due to the influence of the "Korean Wave" craze, the number of foreigners who want to study Korean has also increased, and foreign students and tourists have also increased. Therefore, there is a growing demand for Korean language educ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and analyze the contents of organizational structure, organizational structure, and components of Korean language institute in China, Korean language department, Chinese self - study Korean language institute, Korean language education center of Korean university in Korea. I have visited several Korean language institutes in Korea and China. I have investigated the position of researchers, not student positions again. In order to better show the organizational structure, the organization chart and the tasks of each department were listed and analyzed. Through this research, it is possible to find out common points and differences between the various organizational structures and organizational goals of Korean educational institutions in Korea and China. In order to make a more detailed comparison, we analyzed all the data in the form of figures or charts, and the results were derived from each other's comparisons. Through this research, we can identify the common points and differences between Korean and Korean educational institutions in Korea and China, I would like to know the characteristics of each Korean language education institution and give some help in recruiting talent in the future. 급속도로 발전하고 있는 현대사회에 거리가 가깝게 된 한국과 중국, 역사적 연관성도 높고 지금도 긴밀하게 교류하고 있다.“한류”열풍의 영향을 받아서 한국어를 공부하고 싶은 외국인도 많이 증가하였고 유학생이나 관광객도 많아졌다. 그래서 한국어교육에 대한 욕구가 증가할 수 밖에 없다. 본 연구는 중국에 있는 중국대학교의 한국어학과, 중국개인한국어어학원, 한국에 있는 한국대학의 외국인대상인 한국어교육원을 선정하여 조직구조 조직목표, 구성요소 등 내용을 비교 분석을 하였다. 한국과 중국에 있는 여러 한국어교육기관을 다녀봤고 다시 학생 입장이 아닌 연구인원의 입장에 조사해왔다. 조직구성을 더 잘 살펴보기 위해 조직도, 각부서의 업무등 나열해서 분석을 진행하였다. 이 연구를 통해서 한국과 중국에 존재하는 여러가지 한국어교육기관 조직구조, 조직목표 등 내용의 공통점과 차이점이 무엇인지 알아볼 수 있다. 더 상세하게 비교하기 위해, 모든 자료들을 그림이나 도표로 처리해서 서로 비교를 통해 결과를 도출하는 방식으로 분석을 했다. 중국대학의 한국어학과, 중국개인한국어어학원, 한국대학의 외국인대상 한국어교육원은 모두 한국어를 가르치는 목적으로 운영하고 있다. 하지만, 중국개인한국어어학원 같은 경우 지속적인 운영을 보장하기 위해 일정한 수익을 얻어야 한다. 뿐만 아니라 중국개인한국어어학원은 한국어에 관심이 있는 사람이면 누구나 입학가능하기 때문에 어학원에서 꼭 어느 수준까지 한국어능력을 도달해야 하는 필요는 없다. 반면에 중국대학의 한국어학과와 한국대학의 한국어교육원에 학생이 입학하거나 졸업할 수 있는 조건이 존재한다. 즉, 중국대학의 한국어학과, 한국대학의 한국어교육원은 요구하는 조건을 만족해야 입학이나 졸업이 가능하다. 본 연구에서 선정된 한국어교육기관은 상대적으로 작은 편이지만 완전한 조직구조를 보인다. 중국대학의 한국어학과와 한국대학의 한국어교육원의 리더인 학과장(원장)은 본교과 연결하고 소통하는 중요한 역학을 맡고 있는 동시에 학과(교육원)내부의 업무도 전면적으로 파악하고 있다. 하지만, 두 조직의 조직구성원들은 자기의 의사를 잘 표현할 수 있어서, 의사결정의 권력이 집중하게 되지 않는다. 중국개인한국어어학원은 리더인 교장은 독재적인 입장에서 직접적으로 많은 업무 결정과 권력을 갖고 있다. 특히, 고객인 학생들이 어학원직원이나 서비스에 불만이 발생할 때 직접 리더에게 반응하는 게 더 효과적인 방법인 것 같다. 본 연구를 통해서 한국과 중국에 있는 한국어교육기관의 조직구조, 조직목표, 구성요인등의 공통점, 차이점을 알아볼 수 있고, 각 한국어교육기관의 성격도 파악하면서 한국어를 공부하기 위해 한국어교육기관을 선택할 때나 한국어교육기관에서 취직하려고 할 때 일정한 도움을 줄 수 있었으면 한다.

      • 네 자매를 위한 사계절

        오지마기와 동덕여자대학교 2018 국내석사

        RANK : 1839

        본 논문은 석사과정 이수를 위한 졸업 공연에서 발표한 4개의 작품을 분석한 것이다. 각 작품들의 창작 배경, 형식, 선율, 화성, 편곡 구조를 분석하여 음악적 특성을 설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 조원행 작곡 중주곡 <하루 (A day)> 분석 연구 : 해금선율을 중심으로

        혜령 한양대학교 2017 국내석사

        RANK : 1839

        조원행 작곡 <하루 (A day)>는 전통음악에서 나타나는 polyphony의 요소와 서양음악에서에서 나타나는 homophony의 요소가 적절하게 조화된 곡으로 한국음악의 바탕이 될 수 있는 하나의 방향을 제시하고 있다. 본고에서는 <하루 (A day)>의 악곡구조와 선율구조를 분석하여 해금1과 해금2의 음악적 조화와 선율적 움직임(Mobile)을 이룰 수 있는 방법을 분석하여 실제 연주에 도움이 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 아밀로오스 함량에 따른 라이스페이퍼의 품질특성

        馬은빛 順天大學校大學院 2016 국내석사

        RANK : 1839

        본 연구는 쌀 가공품의 다양화를 위한 일환으로 아밀로오스 함량에 따른 라이스페이퍼의 품질 특성을 분석하기 위하여 안남미 칸토 504 품종을 대조군으로 하여 국내산 쌀 품종인 고아미, 추청, 백진주에 대한 이화학적 특성을 분석한 후, 라이스페이퍼를 제조하여 수분흡수율, 부피팽창률, 색도, 신장성, 탄력성, 물성 및 관능검사 등을 분석하였다. 아밀로오스 함량에 따른 쌀 입자의 크기 및 무게를 측정한 결과, 길이는 4.69∼6.56 mm, 폭은 1.80∼1.93 mm, 길이와 폭의 비(L/W)는 2.47∼3.64, 부피는 71.41∼89.76 mm3, 무게는 19.71∼21.60 mg으로 나타났으며, 시료간의 유의적인 차이가 있었다. 아밀로오스 함량에 따른 쌀의 일반성분을 측정한 결과, 수분함량은 14.51∼14.61%, 조회분 함량은 0.41∼0.49%, 조지방 함량은 0.43∼1.47%, 조단백 함량은 5.52∼7.98%, 조섬유 함량은 0.25∼0.35%로 나타났으며, 수분함량을 제외하고 유의적인 차이가 있었다. 쌀의 아밀로오스 함량을 측정한 결과, 고아미와 칸토 504에서 각각 27.34%와 26.33%로 높게 나타났고, 백진주에서 9.31%로 가장 낮았으며, 시료간의 유의적인 차이가 있었다. 아밀로오스 함량에 따른 쌀의 색도를 측정한 결과, L값과 b값은 백진주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고, a값은 칸토 504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아밀로오스 함량에 따른 쌀가루의 수분흡수지수와 수분용해지수를 측정한 결과, 수분흡수지수는 1.19∼1.25, 수분용해지수는 1.18∼3.68%이었고, 아밀로오스 함량이 높을수록 수분용해지수는 높게 나타났다. 아밀로오스 함량에 따른 쌀가루의 색도를 측정한 결과, L값은 고아미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고, b값은 백진주에서 가장 낮았다. 아밀로오스 함량에 따른 쌀가루의 X-선 회절도는 칸토 504, 고아미, 추청 및 백진주에서 모두 전형적인 A 도형의 특징을 나타냈고, 상대적 결정화도는 아밀로오스 함량이 낮을수록 높게 나타났다. 아밀로오스 함량에 따른 쌀가루의 주사전자현미경을 이용하여 관찰한결과, 모든 쌀가루 입자는 다각형의 모양을 나타내었고, 아밀로오스 함량이 낮을수록 입자가 작아지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Amylogram에 의한 호화특성을 측정한 결과, 호화개시온도와 최고점도, 냉각점도, setback은 Kanto 504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고, breakdown은 백진주에서 가장 높았으나, 고아미에서는 현저히 낮게 나타났다. 시차열량주사계 (DSC)에 의한 호화 특성을 측정 결과, 호화개시온도는 53.62∼63.94℃이고, 호화정점온도는 63.37∼73.10℃, 호화종료온도는 71.04∼78.78℃이었고, 호화엔탈피(ΔH)는 아밀로오스 함량이 낮은 백진주와 추청에서 높은 경향을 보였다. 조리 전과 후 라이스페이퍼의 품질 특성에서, 조리 후 라이스페이퍼의 무게는 칸토 504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아밀로오스 함량이 높을수록 라이스페이퍼의 조리 전과 후의 부피, 수분흡수율 및 부피팽창률은 높은 반면 조리액의 탁도는 낮게 나타났다. 조리 전과 조리 후 라이스페이퍼의 색도를 측정한 결과, L 값은 아밀로오스 함량이 높은 품종인 칸토 504와 고아미에서 높은 경향을 보였다. 라이스페이퍼의 탄력성과 신장력을 측정한 결과, 칸토 504에서 가장 높게 나타나 아밀로오스 함량이 높은 품종에서 높은 경향을 보였다. 조리 후 라이스페이퍼의 물성을 측정한 결과, 경도, 점착성 및 씹힘성은 칸토 504에서 가장 높았고, 부착성은 칸토 504와 고아미에서 가장 낮았으며, 탄력성은 고아미에서 가장 높았고, 응집성은 추청에서 가장 높았으며, 시료간의 유의적인 차이가 있었다. 조리 후 라이스페이퍼의 관능검사를 측정한 결과, 맛과 투명도에 대한 선호도는 백진주에서 가장 높았고, 향미, 쫄깃한 정도, 이에 달라붙는 정도 및 전체적인 선호도는 추청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rice paper according to the amylose contents in control group of Kanto 504 and the domestic group of Goami, Chucheong and Baekjinju.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rice paper prepared with different amylose contents were analyzed by water absorption, volume expansion ratio, Hunter’s color value, elasticity, tensile strength, texture and sensory evaluation. The analysis of dimension and weight of rice according to different amylose contents showed the length of 4.69∼6.56 mm, the width of 1.80∼1.93 mm, the length/width ratio of 2.47∼2.75, the volume of 71.41∼89.76 mm3 and the weight of 19.71∼21.60mg, with significant difference. The analysis of proximate composition of rice according to different amylose contents showed the moisture of 14.51∼17.88%, the crude ash of 0.41∼0.49%, the crude lipid of 0.43∼1.47%, the crude protein of 5.52∼7.98% and the crud fiber of 0.25∼0.35%.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other contents except moisture. The amylose contents of rice were high in Goami and Kanto 504 with 27.34% and 26.33% respectively, but the lowest in Baekjinju with 9.31%. The analysis of Hunter’s color value of rice according to different amylose contents showed that L and b value were the highest in Baekjinju, while a value was the highest in Kanto 504. In the analysis of water absorbtion index (WAI) and water solubility index (WSI) of rice flour according to different amylose contents, the result showed WAI of 1.19∼1.25, WSI of 1.18∼3.8%, with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analysis of Hunter’s color value of rice flour according to different amylose contents, the result showed the L value of 96.75∼97.46, a value of –0.59∼-0.48 and b value of 1.68∼2.32. The L and b values were significant difference. The X-ray diffraction pattern of Kanto 504, Goami, Chucheong and Baekjinju showed the typical characteristics of A shape. The higher the crystallinity was, the fewer the amylose contents were. Observing the particles of rice flour by using scanning electron microphotographs, it revealed that all particles had the polygon shapes. The lower the amylose contents were, the smaller particle sizes were. The analysis of amylogram properties showed that the initial pasting temperature, maximum viscosity, viscosity at 50℃ and setback were the highest in Kanto 504. Moreover, Breakdown was the highest in Beakjinju, but remarkably low in Goami. In the analysis of thermal properties of rice flour according to 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er (DSC), the results presented onset temperature of 53.62∼63.94℃, peak temperature of 63.37∼73.10℃ and end temperature of 71.04∼78.78℃. Gelatinization enthalpy (ΔH) tended to be high in Beakjinju and Chucheong with low amylose contents. In the quality properties of uncooked and cooked rice paper, the weight of cooked rice paper was the highest in Kanto 504. As the amylose contents became higher, whereas volume, water absorption and volume expansion ratio of uncooked and cooked rice paper were high, the turbidity of cooking water was low. In the analysis of the Hunter’s color value of uncooked and cooked rice paper, L value tended to be high in Kanto 504 and Goami with high amylose contents. The values of elasticity and tensile strength of rice paper were the highest in Kanto 504 with high amylose content. In the textural properties of cooked rice paper, the hardness, gumminess and chewiness were the highest in Kanto 504. While the adhesiveness was the lowest in Kanto 504 and Goami. In addition, the springiness was the highest in Goami and the cohesiveness was the highest in Chucheong, with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result of sensory evaluation of cooked rice paper, the preference of taste and transparency were the highest in Baekjinju. Furthermore, the overall preference as well as preference of flavor, chewiness and stickiness were the highest in Chucheong.

      • 메스리그난이 LPS에 의하여 활성화 된 미교아세포에 대한 항염증작용 기전

        금화 전북대학교 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1839

        Brain inflammation plays a key role in the many neurodegenerative diseases, including Alzheimer's disease (AD). Previous study showed that macelignan extracted from myristicafragrans has the antioxidant and anti-inflammatory properties using neuronal hippocampus and microglial cells. Subsequently, the study using animal with the chronic lipopolysaccharide (LPS) infusion into the brain showed that oral treatments of macelignan reduced the hippocampal microglial activation and hippocampal dependent spatial memory impairments induced by LPS. However, the moleclular mechanisms responsible for the anti-inflammatory activity of macelignan have not been elucidated in the microglia. Therefore, in the present study, we investigated the anti-inflammatory effects of macelignan on LPS-stimulated BV2 microglia. Our results show that maceligan suppressed LPS-induced activation of nuclear factor-kappa B (NF-κB) by blocking degradation of IκBα and phosphorylations of mitogen-activated protein kinase (MAPK). These results suggest that macelignan may take anti-inflammatory effects on the affected brain regulating the inflammation through the MAPK signal pathway. 뇌 염증은 알츠하이머와 같은 신경 변성 질환에 대하여 중 요한 역할을 한다. 최근의 연구에 의하면 MAPK (mitogen-activated protein kinases)는 알츠하이머를 유발하는 노인성 반흔의 구성과 관련된 염증에 대하여 중요한 역할을 한다 는 것이 밝혀졌다. 해마의 신경세포와 미교아세포에 대한 기존의 실험에서 육두구(myristica fragrans)로부터 추출해낸 메스리그 난(macelignan)은 항산화, 항염증 기능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밝 혀냈다. 쥐의 제 4 뇌실에 지다당류(LPS)를 만성적으로 주입 했 을 때 해마의 미교아세포를 활성화하고 기억의 감손을 일으킨다. 앞에서 한 연구에 의하면 쥐에게 메스리그난을 구강투여 하였더 니 LPS의 만성 주입으로 의하여 일어난 해마 미교아세포의 활성 화를 억제하였고 공간 기억에 대한 손상을 감소하였다. 본 논문 에서는 LPS에 의하여 활성화 된 미교아세포에서 MAPK (extracellular signal-regulated kinase (ERK), JNK (c-jun N-terminal kinsase)와 p38)의 인산화와 NF-kappa B (nuclear factor-kappa B)의 활성화에 대한 메스리그난의 작용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LPS에 의하여 활성화 된 미교아세포에 메스리그난을 주었더니 p-ERK와 p-JNK의 발현을 감소시켰고 p-p38의 발현도 약 간 감소시켰으며 세포질에서의 I-kappa B의 감소와 세포핵에서의 NF-kappa B의 증가를 억제시켰다. 이로부터 메스리그난은 MAPK 신호통로에 영향주어 염증반응을 조절하며 따라서 손상된 뇌에 대하여 항염증기능을 가진다는 것을 제시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