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자기효능감 및 완벽주의 성향과 지연행동과의 관계

        류지연 서강대학교 교육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47631

        자기효능감 및 완벽주의 성향과 지연행동과의 관계 본 연구는 자기효능감과 완벽주의 성향이 대학생의 지연행동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서울, 인천에 있는 2개의 대학에 재학중인 학생 467명 (남학생 203명, 여학생 264)을 대상으로 다차원적 완벽주의 성향 척도, 자기효능감 척도와 지연행동 척도를 이용하여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 가설을 검증하기 위하여 우선 각 척도들간의 상관 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자기효능감 점수와 완벽주의 성향의 각 하위 차원의 점수에 따라 지연행동의 차이를 알아보았다. 이를 위해 각 점수의 중앙값을 기준으로 상·하 두 집단으로 구분한 후 T 검증과 이원 변량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자기효능감이 높은 집단이 낮은 집단에 비해 지연행동이 적었다. 자기효능감 상·하 집단 모두 자기지향적 완벽주의 성향이 높을수록 지연행동이 적었다. 이에 반해 자기효능감이 높은 집단에서는 사회적으로 부과된 완벽주의 성향에 따라 유의미한 지연행동의 차이가 없었으나, 자기효능감이 낮은 집단에서는 사회적으로 부과된 완벽주의 성향이 높을 수록 지연행동이 적었다. 마지막으로 자기효능감이 낮고 완벽주의 성향이 낮은 집단이 가장 지연행동이 많았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자기효능감과 완벽주의 성향이 지연행동에 미치는 여향을 논의하였고 지연행동을 줄이기 위한 상담 모델의 이론적 토대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This study was designed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efficacy, perfectionism and procrastination. Multidimensional Perfectionism Scale(MPS), Self Efficacy Scale(SES), and Aitken Procrastination Inventory(API) was administered to 203 male and 264 female college students in Seoul, Inchon. For the test of hypothesis, each scales were analized with correlation and on the basis of the SES and the MPS subscale score, students were classified into two groups, namely the high self-efficacy/ self-oriented perfectionist/ socially-prescribed perfectionist group composing the upper 50%, the low self-efficacy/ self-oriented perfectionist/ socially-prescribed perfectionist group composing the lower 50%. The degree of procrastination between the two groups was compared using the t- test and two - way MANOVA The results were as follows: the high self-efficacy group showed more procrastination than the low self-efficacy group. The high self-oriented perfectionist group showed more procrastination than the low self-oriented perfectionist group regardless of the level of self efficacy. In the high self-efficacy group, the high socially-prescribed perfectionist group and the low socially-prescribed perfectionist group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degree of procrastination. But In the low self-efficacy group, the low socially-prescribed perfectionist group showed more procrastination than the high socially-prescribed perfectionist group. The results were discussed in term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efficacy, dimensions of perfectionism and procrastination.

      • 아동이 지각한 부모의 양육태도와 자아개념이 정서지능에 미치는 영향

        류지연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influence of parent's rearing attitude and self-concept perceived by children, emotional intelligence. In this study, we subdivided parents’ rearing attitude as father and mother’s affectionate-denial type and autonomous-controlled type rearing attitude realized by children to certify influences that affect children’s emotional intelligence. Not only that, we also mediation effect of : physical appearance, friend relationship, motor ability, and parent relationship that are sub-factors of self-concept. For this study, a total of 611 children, who were in 5th and 6thgrade elementary schools in Seoul. In order to measure the level of the parent's rearing attitude for this study, parent's rearing attitude test developed by Kim, yu-ja(1996) was used. Moreover, in order to measure the self-concept, the self-concept tool to suit elementary school student's developed by Koh, Jin-young’s(2004). As for the emotional intelligence test, Moon, Yong-Lin's(1996) model based on Mayer and Salovey(1990) for children in grades 3th through 6th was used.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by SPSS statistics program. The frequency and percentage were calculated to investigate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To investigat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measuring instrument, Cronbach's α was calculated. For the each research question, Pearson's correlation, T-test, and multiple regressions was used.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mother and father's affectionate rearing attitude have an effect on a child's emotional intelligence. In other words, parent's attitude for bring up them as affectionate results from the child's emotional intelligence was higher. Second, the research showed that a parent's rearing attitude have an effect on a child's self-concept. It adversely affects on physical appearances and motor ability when mother’s rearing attitude was affectionate-denial type. For friend relationship, all of rearing attitudes were affected except father’s autonomous-controlled rearing attitude. The research showed that two rearing attitude affect highly on parent relationship among sub-factor of child's self-concept. Third, the effect of parent's rearing attitude on emotional intelligence was mediated through self-concept and its difference in sub-factor between genders. Therefore, in boys’ case, the children who perceived parents that bring up of affectionate-denial type had a direct effect on emotional intelligence, but indirect effect mediated through physical appearances and motor ability. All parent's rearing attitude had a direct effect on emotional intelligence as well as an indirect effect through friend relationship. Also, the children who perceived parents that bring up of affectionate-denial type had a direct effect on emotional intelligence as well as an indirect effect mediated through parent relationship. However, the study showed that children were mediated directly by parent relationship when they realized their parents’ rearing attitude as autonomous-controlled type. In girls’ case, all the effect of parent's rearing attitude on emotional intelligence wasn't mediated through physical appearances, but it was an indirect effect mediated -through friend relationship. Furthermore, the children who perceived parents, bring up of affectionate-denial type had a direct effect on emotional intelligence as well as an indirect effect mediated through motor ability. Finally, when the girl realized parents’ rearing attitude as a affectionate-denial type, it was mediated directly on mother whereas indirectly on father. However, when the girl realized parents’ rearing attitude as autonomous-controlled type, she mediates directly on emotional attitude. Therefore, based on the results, this study will be used as theological step stone for constructing proper educational strategies in that showing confirms psychological mechanism of children’ self-concept, and illustrating how parent’s rearing attitude is important affecting on psycho-emotional development of childhood. 본 연구는 아동이 지각한 부모의 양육태도가 정서지능에 미치는 영향과 그 과정에 영향을 미치는 자아개념의 각 하위요인들의 역할을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부모의 양육태도를 아동이 지각한 아버지와 어머니의 애정거부적인 양육태도와 자율통제적인 양육태도로 나누어 이들이 정서지능에 미치는 영향력을 확인하고, 그 과정에서 자아개념의 하위변인인 신체적 외모, 친구관계, 운동능력, 부모관계의 매개효과를 살펴보았다. 위의 연구목적을 위하여 본 연구는 서울에 위치한 초등학교 5, 6학년 아동 611명을 대상으로 아동이 지각한 부모의 양육태도, 자아개념, 정서지능에 관한 설문지를 배포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양육태도 설문지는 아동이 지각한 부모의 양육태도를 측정하는 김유자(1996)의 부모의 양육태도 검사, 고진영(2004)의 초등학생용 자아개념 척도, Mayer와 Salovey(1990)의 정서지능 모형에 입각하여 문용린(1996)이 개발한 초등학교 고학년용(초등학교 3-6학년) 정서지능검사로 구성되어 있다. 본 연구에서 수집된 자료는 SPSS 12.0 통계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으며, 연구대상의 인구학적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빈도와 백분율을 산출하였고, 각 측정도구의 신뢰도를 검증하기 위해 Cronbach α 계수를 산출하였으며, 자료의 분석을 위해 각 변인의 상관관계, t-test,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밝혀진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부모의 양육태도 중 어머니와 아버지의 애정적인 양육태도는 아동의 정서지능에 영향을 미쳤다. 즉 애정적인 어머니와 아버지의 양육태도는 아동의 정서지능을 높이는 요인임을 알 수 있다. 둘째, 부모의 양육태도는 자아개념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어머니의 양육태도가 애정거부적일 때 자아개념의 하위요인 중 신체적 외모나 운동능력에 영향을 미치고, 친구관계의 경우 자율통제적인 아버지의 양육태도를 제외하고 나머지 모든 양육태도에 영향을 받았으며, 특히 부모의 두 가지 양육태도는 자아개념의 하위변인 중 부모관계에 많은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았다. 셋째, 부모의 양육태도가 정서지능에 미치는 영향에 자아개념이 매개효과를 가지며, 성별에 따라 매개하는 하위변인이 매우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 즉, 남아의 경우, 애정거부적인 부모의 양육태도는 정서지능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기도 하지만, 신체적 외모나 운동능력을 통하여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친구관계는 부모의 모든 양육태도가 정서지능에 대하여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기도 하지만 간접적으로 영향을 주기도 함을 알 수 있다. 또한 부모의 애정거부적인 양육태도는 정서지능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침과 동시에 부모관계를 매개로 하여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 아동이 부모의 양육태도를 자율통제적이라 지각했을 때는 자아개념의 하위요인인 부모관계를 통해 완전히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아의 경우, 부모의 모든 양육태도가 정서지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신체적 외모는 모두 영향을 미치지 않은 반면, 친구자아는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부모의 양육태도를 애정거부적이라고 지각할 때 정서지능을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기도 하지만, 운동능력을 통하여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여아가 부모의 양육태도를 애정거부적으로 인식하였을 때 어머니의 경우는 부모관계를 통해 완전 매개하고, 아버지의 경우는 부분적으로 매개한 반면, 부모의 양육태도를 자율통제적으로 인식하였을 때, 정서지능에 대한 부모관계는 완전히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본 연구의 결과는 아동의 자아개념의 심리적 기제를 확인하고 아동기의 심리·정서적 발달에 영향을 미치는 부모의 양육태도의 중요성을 인식시키고 그에 따른 부모교육 및 교육현장에서의 적절한 교육전략을 세우는데 이론적 자료로 사용될 것이라 본다.

      • 유튜브 교육용 동영상 검색 개선을 위한 메타데이터 설계

        류지연 명지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With the increased number of mobile users resulting from the widespread distribution of smartphones, social networking services have shifted direction from short-text content to multimedia content such as videos and images. A lot of snack-culture videos have been uploaded on YouTube, a video sharing service, but recently many useful educational materials are being uploaded as well. Thus, the study aims at proposing a metadata framework that enables to search not only whole videos but also video segments to make use of educational videos on YouTube. For this end, the metadata elements of YouTube and Vimeo videos including those of Netflix and Korean Film Archive were analyzed. Furthermore, three multimedia metadata standards of PBCore, TV-Anytime and MPEG-7 were analyzed and compared. The design process of the metadata framework proposed above is as follows. First, we split the metadata framework into auto-extractible metadata and uploader-assigned metadata. As for the auto-extractible metadata, the physical, bibliographical, and content analysis data (storyboard, video scheme) are extracted from a video using software. Afterwards, segment data are extracted based on the content-analysis data. Then, recommendation data and user-evaluation data are extracted through analyzing the data on social media. Later, the auto-extracted metadata and the uploader-assigned metadata are integrated and stored in the metadata storage. As a result, we proposed a metadata framework consisted of 33 elements; 17 elements auto-extracted from videos, 6 elements auto-extracted from social media platforms, and 10 elements assigned by uploaders. To evaluate the proposed metadata framework, we conducted a survey using 20 participants recruited as metadata experts—16 corporate employees, and 4 university librarians. The survey measured the suitability of each metadata element using a 5-point Likert scale, and collected further opinions through a free-response section. As a result, the ‘duration’ element that belongs to the auto-extracted metadata and the ‘title’ and ‘content description’ elements that belong to the uploader-assigned metadata have high suitability values. Through the free-response section, it was suggested that 33 elements are not enough, and that it would be more effective to gather more metadata elements and then utilize them. Taking this suggestion into account, we added one element each to the auto-extracted and uploader-assigned metadatas respectively, and proposed a total of 35 metadata elements. 스마트폰의 보급으로 모바일 사용자가 증가하면서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는 단문 콘텐츠에서 동영상과 같은 멀티미디어 콘텐츠로 그 방향이 바뀌어 왔다. 동영상 공유 서비스인 유튜브에는 스낵 컬쳐(snack culture)류의 가벼운 동영상도 다수 게재되지만 유용한 교육자료들 또한 많이 게재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유튜브의 교육용 동영상을 활용하기 위해 비디오 단위뿐만 아니라 세그먼트 단위의 검색이 가능하도록 메타데이터 요소들을 제안하였다. 이를 위해서 유튜브 메타데이터와 넷플릭스, 비메오와 한국영상자료원의 메타데이터를 분석하였다. 또한, 멀티미디어 메타데이터 표준인 PBCore, TV-Anytime과 MPEG-7를 비교 분석해 보았다. 제안된 메타데이터의 설계 과정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메타데이터 프레임을 먼저 자동 추출이 가능한 메타데이터와 게시자가 기술할 메타데이터로 나눈다. 자동 추출 메타데이터에서는 먼저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동영상에서 물리적 정보와 서지정보, 내용 분석 정보(스토리보드, 비디오스킴)를 추출한다. 이후 내용 분석 정보를 기초로 하여 세그먼트 정보를 추출해 낸다. 그리고 소셜미디어의 데이터를 분석하여 추천정보 및 이용자 평가 정보를 추출한다. 이후 자동 추출한 메타데이터를 게시자가 작성한 게시자 기술 메타데이터와 통합하여 메타데이터 저장소에 저장한다. 이렇게 설계한 메타데이터 요소는 동영상에서 자동 추출한 항목 17개, 소셜미디어 플랫폼에서 자동 추출한 항목 6개, 게시자 기술 항목 10개로 총 33개가 제안되었다. 제안된 메타데이터 요소를 평가하기 위해 메타데이터를 사용하는 기업체 직원 16명과 대학교 사서 4명을 메타데이터 전문가로서 선정하여 총 2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수행하였다. 설문조사는 5점 리커트 척도를 이용해 각 요소의 적합성을 측정하였고, 이후 개방형 항목을 통해 의견을 수집하였다. 그 결과 동영상에서 자동 추출한 메타데이터 항목의 ‘재생시간’, 게시자 기술 메타데이터 항목의 ‘제목’, ‘내용 설명’ 요소의 적합성이 높게 측정되었다. 개방형 항목을 통한 의견으로는 33개의 요소만으로는 부족하며 더 많은 메타데이터 요소들을 수집한 후, 이를 활용하는 것이 효과적일 것이라는 의견이 제시되었다. 제시된 의견을 반영하여 동영상에서 자동 추출한 항목과 게시자 기술항목에 각각 1개의 항목을 추가하여 최종적으로 총 35개의 메타데이터 요소들을 제안하였다.

      • 백석 시의 시간과 공간의식 연구

        류지연 명지대학교 대학원 2002 국내박사

        RANK : 247631

        1930년대 후반기의 한국 시는 주조모색의 전형기적 혼란 속에서 제기된 문제를 해결해야 할 것과 앞으로 '새로운 가능성을 제시해야 할 것 등 이중의 부담을 안고 있었다. 이러한 과정에서 백석은 1935년 <조선일보>에 「정주성」을 발표하면서 등장하여 한국시문학사에서 독특한 자기 세계를 구축하였다. 그는 국권상실의 시대에 민족정서와 혼의 상징인 민족어의 완성을 위해 노력한 소중한 시인이었다. 이러한 민족어의 완성을 지향하는 노력은 민족 공동체의식과 민족 정체성을 확보하는데 기여하였다. 뿐만 아니라 주변부의 언어인 평북방언을 시어로 사용함으로써 문학적 평등정신을 고양하는 데도 이바지하였다. 특히 설화적 이야기체의 형상화는 30년대 후반기 시에서 그를 독보적인 위치에 올려놓는 계기가 되었다. 결국 백석의 시는 전통적인 민족적 삶의 원형성을 제시하고 민중적 삶의 전형성을 이루어낸 데서 그 의미를 찾을 수 있다. 문단사적 측면에서 백석을 고찰해도 그의 위치는 특별하다. 그가 문단에 나올 때는 김기림, 정지용의 모더니즘적 경향과 카프시의 발전적 형태로서의 현실주의의 흐름 그리고 이상의 실험적 시들이 주도하던 시기이다. 따라서 그의 문학세계는 당대 문단의 흐름과 사회?문화적 환경 등과 대조적이다. 바로 이 대조적 모습이 백석 시의 특질이자 우리가 그를 논의해야 하는 이유이다. 본고에서는 이 같은 백석 시의 의미성을 다각적으로 고찰하기 위하여 그의 시를 시간과 공간의식을 중심으로 고찰하였다. 문학에서의 시간과 공간은 존재문제와 불가분의 관계를 맺고 있다. 칸트는 시간을 우리 자신과 우리의 내적 상태를 직관하는 형식이라고 설명한다. 왜냐하면 시간은 외적 현상에 관한 어떤 규정일 수 없으며, 모든 현상 일반의 형식적 조건이기 때문이다. 그리고 공간은 모든 외적 직관작용의 근저에 있는 필연적인 표상이라고 본다. 시간과 공간은 사물을 인식하는 데에 근본적으로 작용하는 원리라고 할 수 있다. 개인의 역사, 개인이 속해 있는 사회적?시대적 상황이란 고립되고 단절 된 것이 아니라 과거에서 미래로 지향해 나가는 변증법적 시간의 일부에 지나지 않는다. 이런 점으로 미루어 시인의 이념과 경험은 시대적 제약을 받고 있으며 사회?역사적 제 관계 속에 구속되어 있다. 시인은 과거?현재?미래를 하나의 완전한 구조속에 통일하여 시간과 영원을 공유하는 실존으로서의 현실성과 당위성을 가진다. 자아와 시간의식의 관계는 상보적이다. 따라서 자아회복의 노력은 시간의식의 형태에 따라 다양한 양상으로 나타난다. 상상력 속에서 작가의 시간의식은 지향이라는 형태로 드러나게 된다. 백석의 경우도 지향의 한 형태로 과거에 강한 집착을 보인다. 이는 패배적인 현실인식 하에서는 일종의 낭만주의적 도피로 나타나기도 하지만 현실과의 유대에 바탕을 둔 과거지향은 원형에 대한 욕구나 낭만적인 향수를 불러 일으키기도 한다. 백석시에 드러난 공간의식도 내적 공간이라는 인식론적 방법이 그대로 적용된다. 표현된 작품세계에 고유한 의식 내재적 공간, 즉 체험된 공간이 형상화된 것이다. 백석 시의 공간의식에서 가장 지배적인 것은 바로 고향에 대한 것이었다. 본고는 백석시의 시간의식에서는 주관적 시간의식의 회귀적 양상과 현재에 대한 회의와 거부, 과거로의 회귀와 낭만적 의식, 과거에서 현재로의 복귀와 위안의 형상화로 파악하여 연구하였다. 그리고 백석 시의 공간의식은 정신적 원형적 공간으로서의 고향과 현실의 주체적 공간으로서의 집 그리고 회귀와 현실의 공간의식이 투영된 것으로서의 자연을 살펴보았다. 백석의 시는 현실과 맞서 치열하고 능동적으로 대결하는 정신이 부족했으며 미래 지향의 역사의식이 부족한 것, 소박한 관점에서 민족적 삶의 모습에 관심을 갖고 민중의 생활상을 단순화시킨 정신적 작업에는 아쉬움이 남는다. 그렇다고 하더라도 외래 지향적인 홍수 속에서 그가 구축한 시간과 공간의 내면적 의식세계는 민족적 삶의 원형성을 탐구하고 민중적인 삶의 진실에 깊은 관심을 표명한 점은 소중한 의미가 있다고 본다. 인간적인 삶이 철저하게 훼손당한 일제하의 어두운 시기 속에서 삶의 근원적인 아름다움과 존재가치를 일깨웠다는 점에서 1930년대 한국 시가 지향해야 할 하나의 전범을 보여준 것으로 평가되어 진다. The Korean poetry in the late 1930s has a heavy burden, because it should resolve the problems that was raised in the reformative confusion of the search for the main current and present the potential possibilities for the future, Baek-Suk made his debut in Chosun daily newspapers with Jung-Ju-Sung in 1935, and built his own realm in the history of the Korean poetry. He was a poet who tried very hard to complete the national language which is a symbol of national sentiments and soul in the times of the loss of right. This efforts for the completion of the national language contributed to ensure the national consentience and identity. Especially, shaping of narrative style made him unchallenged in the late 1930s. After all, the poems of Baek-Suk presented original forms and typicality of traditional Koreans' Lives. When he made his debut, Kim Ki-Rim and Jung Ji-Yong's modernism, realism as the growing form of KAPF poetry, and Lee Sang's experimental poems were the main current of the age. Therefore his poems were absolutely different from the whole social and cultural circumstances. This is the special feature of his poems and the reason we have to study on his poems. This study focuses on time and space sense of his poems to see the meaning of his poems at the various ways. Time and space in the literature and the matter of existence are inseparably related. Kant says that time is the form that makes us understand ourselves and our inter state. Space is the inevitable emblem that lies at the bottom of all the outer intuitions. Time and Space is the principle that basically act to recognize the objects. The history of individual and the social circumstances that one belongs to are not isolated but they are only a part of dialectic time that flies from the past to the future. In this aspect, the poet's thoughts and experience are restricted socially and historically. The poet has reality and reasonability by unifying the past, the present, and the future into the one perfect structure. The relation between ego and the time sense in complementary. Consequently, retrieval of self-consciousness appears in the various forms depending on the shape of time sense. Writer's time sense is revealed in the form of intension in his imagination. In case of Baek-Suk, he show a strong tenacity for the past as a form of intension. Although this seems to be a kind of romantic escape under realization of frustrating reality, pursuit of past based on the close relation with the present causes desire for the original form or romantic nostalgia. Space sense in Baek-Suk's poems shows inner space, which is a method of epistemology. His own consciousness, inner space, that is experienced space is appeared in his work. Especially, space sense about home is dominative. In the part of Baek-Suk's time sense, this study concentrates on his return of the subjective time sense, doubt and refusal to the present, romantic consciousness, return from the past to the present and materialization of consolation. In the part of his space sense, this study concentrates on hometowm as a mental space, house as a real space, and the nature as revolutionary space. His poems, however, lack in the mind which is against the reality, future-oriented historical mind, and spiritual work which simplifies the lives of the people. Despite these, time and space sense he pursued have an important meaning in that he searchs for the national origins and shows a great interest in the truth of the public. Baek-Suk's poems obtain a high value because they showed a good example that the Korean poetry in the 1930s would have to head for in the gloomy colonial period.

      • 학점은행제 학습자의 참여 특성 및 요구 분석

        류지연 이화여자대학교 2000 국내석사

        RANK : 247631

        지식과 정보의 생성·확산·소멸이 빠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식기반사회에서는 새로운 지식과 정보를 습득할 수 있는 사회체제를 구축하는 것이 중요하게 대두되었다. 이에 따라 세계 각국은 생존 전략의 일환으로 열린 평생학습 체제를 구축하기 위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한국도 평생학습 체제의 일환으로 1998년부터 학점은행제를 운영하여 국민들의 계속교육을 촉진하도록 하고 있다. 지금까지 학점은행제를 운영하면서 연구자나 당국자의 관심은 제도가 정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운영 방식이나 제도의 틀을 바로잡는데 있었다. 따라서 학점은행제에 의해 공부하고 있는 학습자의 편의나 요구 등 에는 관심을 기울이지 못했다. 학점은행제가 제대로 정착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학습자가 손쉽게 학습할 수 있는 방법이 강구되어 제도 운영에 반영되어야 할 것이다. 본 연구는 이러한 입장에서 학점은행제 학습자의 학습실태와 요구를 조사·분석하여 발전 방안을 모색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평생학습사회론과 성인학습 참여이론을 살펴보고 이에 근거하여 학점은행제의 실시의 근거와 실태를 분석한다. 또한 학점은행제 학습자의 학습실태와 성과, 교육적 요구와 애로사항을 조사하고 학습자의 요구에 부응할 수 있는 개선방안을 도축·제시하고자 한다. 연구의 방법으로는 질문지에 의해 조사하였다. 조사대상은 학점은행제에 참여하고 있는 학습자 703명이었다. 조사결과는 빈도, 교차분석, 일원변량 분석에 의해서 분석되었다. 질문지 조사를 통해 얻은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학점은행제 학습자의 개인적 특성은 20대, 대도시 거주자, 경제적 배경이 중류이상, 미취업 상태, 자연계 전공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학습자들은 주로 교육훈련기관을 통해 정보를 획득하는 경우가 많았고 주로 학위취득을 목적으로 1개∼2개의 교육훈련기관을 다니며 150만원 이상을 교육비를 본인이나 그 직계가족이 부담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습자들은 교강사의 질에 대한 만족은 높은 반면 비해 상담자료와 정보 서비스에 대해서는 낮은 만족도를 나타냈다. 학습자들은 학점은행제가 자아실현과 자기계발에 가장 큰 도움이 되었다고 인식하였으며 재정적 부담으로 인한 애로를 가장 크게 느끼고 있었다. 교육프로그램은 직업기술교육에 관한 내용에 대한 요구가 많았으며, 학점은행제에 의해 학위를 받은 후, 상위 학위를 취득할 계획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습자들의 개인적 특성에 따른 참여실태와 교육 요구의 차이는 다음과 같이 나타났다. 학점은행제에 등록한 동기는 어느 연령층이든지 사회적 인정을 위해서라는 이유가 가장 높았지만 연령이 30대 이상인 학습자들은 30대 미만의 학습자보다 새로운 지식과 기술습득에 대한 동기가 상대적으로 높았다. 학점은행제 총 이수기간을 계획할 때는 남성이 여성에 비해서 수업참여 시간 요인을 더욱 고려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성은 남성보다 학점을 이수할 교육훈련기관 요인을 많이 고려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30대 이상의 학습자들은 수업시간에 대한 요인을 가장 많이 고려하고 30대 미만의 학습자들은 학습능력 요인을 가장 많이 고려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점취득을 위한 교육기관을 선택할 때는 30대 이상의 학습자들은 교육시간 편성의 편리성을 가장 많이 고려하고 30대 미만의 학습자들은 교육 프로그램의 질을 가장 많이 고려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거주지별로는 읍면지역의 학습자들이 교육 시간 편성의 편리함과 통학거리의 편리함을 많이 고려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수업시간 편성은 연령이 30대 이상의 학습자들은 일주일에 3일 정도의 수업을 받고 있는 경우가 가장 많았으나 30대 미만의 학습자들은 매일 수업을 받고 있는 경우가 가장 많았다. 거주지별로는 서울, 광역시 등의 학습자들이 매일 수업 받는 경우가 가장 많은데 비해서 읍면지역의 학습자들은 일주일에 3일 정도의 수업을 받는 경우가 가장 많았다. 상위학위 취득 계획은 연령이 30대 이상의 학습자들이 30대 미만의 학습자들보다 월등히 높았다. 학습에 대한 애로사항은 학습자들의 연령이 많을 수록 시간부족이나 건강에 따른 애로점이 높게 나타났다. 성별에 따라서는 여성이 남성보다 교육받을 때 애로 사항을 많이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여성은 수강료에 대한 재정적 부담, 건강에 대한 염려, 다양한 교육과목 개설의 부족에서 오는 어려움, 홍보 및 정보 부족, 사회적 인정 부족, 정부의 학습자에 대한 행 ·재정 지원 부족에 대한 애로 사항을 갖고 있었다. 거주지별로는 읍면지역 거주자들이 시간부족에 따른 어려움과 수강료에 대한 재정적 부담을 많이 느끼고 있었다. 중·소도시 거주자들은 통학에의 어려움 있었으며, 서울시와 광역시 거주자들은 건강에 있어서의 어려움과 공부하는 것에 대한 자신감이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과 같은 연구결과를 중심으로 본 연구는 학점은해제가 평생학습의 이념과 목ㅍ를 실현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발전 방안이 제시되었다. 첫째, 학습자에 대한 재정 지원 대책이 있어야 하겠다. 둘째, 거주지별 교육의 불평등 완화를 위해서 원격교육을 통한 교육이 이루어지고, 이를 학점으로 인정하는 방안이 필요하다. 셋째, 학습 결과에 대한 사회적 인정과 학점은행제 참여를 원활하게 하기 위해서 대 국민 홍보를 강화할 필요가 있다. 넷째, 학습자 교육 활동을 위한 교육 시설·상담·정보 등의 지원 시스템을 적극 구축해 나가야 한다. 다섯째, 학점인정을 위한 다양한 방법을 개발해야 한다. 여섯째, 다양한 학습과목 개설과 교육내용의 특성화를 위한 교육훈련기관의 자율성 확대와 교육훈련기관에 대한 지원이 필요하다. 일곱째, 학점은행제는 직업 현장에서 요구하는 직무능력과 교육내용을 연계시키는 현장 실무 위주의 교육으로 교육과 일과의 연계가 이루어진 순환교육 체제를 지향해야 한다. The twenty-first century witnesses a tremendous increase of knowledge and a rapid social change in every field. Accordingly, it is in great need of lifelong education for the adult as a strategy for survival. Like any other developed countries, Korean society has been trying to establish a lifelong education system and set up as a practical one the "Credit Banking System and largely focused on setting its administration rules. Yet, it is rarely paid attention to the learners themselves participating in the Credit Banking System education. As a new approach,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propose a better way of its administration for the sake of the learners' increased benefits and convenience by analyzing their participating conditions, characteristics and educational need. To do this, The study will investigate the features, characteristics and administering conditions as a theoretical background and analyze the adult education's characteristics and the participation theories of the adult learning. As a method, it adopts the questionnaire research. The questionnaire was composed by me and responded by 860 students who are participating in the Credit Baking System. Its result was dealt with statistical analyses like basic statistics, cross-analysis and Oneway Anova. The individual characteristics of the questionnaire responsers were generally 20s, metropolis residents, middle class or higher economic background, having no jobs, majoring natural science and highly link between major and job. In terms of the motives and types of participation, the majority responded as having been introduced by educational training institutions and decided to participate in the program by their own decision for the purpose of taking a degree. Most of the responsers were going to one or two educational training institutions, and paying more than one and half million won for the tuition fees from their own or family support. In their satisfaction of participation, while the quality of instructors were highly esteemed. In the questions about the benefits of education, they answered that the Credit banking System was most helpful in self-accomplishment and self-development, but social involvement and social service were least helpful. In their participation, the most difficult problem was a financial one; other personal factors like health or lack of understanding from others were considered no big deal. In their desire for the educational program, they wanted to take professional education for jobs and were very concerned about higher degree program. In sum, the motivations of participation in the Credit Banking System were varied according to age, the status of having or not having professions and academic career. The will of continuing education also varied according to age, major, the linkage between their majors and jobs. The degree of their satisfaction was differed from age, sex and the status of having of not having professions. In their feeling of difficulties, they responded differently by sex academic career, the job status of having of not having, the linkage between their majors and professions. Based on these analyses, this study can draw the following conclusions and recommendations in relation to the ways for the activation of benefits and convenience of the participating learners: the current Credit Banking System as well as innovation for the increase of benefits and convenience of the participating learners: the current Credit Banking System is in great need of 1) financial support programs for the learners, 2) the official settlement of distant education and its recognition of credits, 3) further publicity activities on the Credit Banking System education ,4) the establishment of systematic support programs for the leaner's education activities, 5) the extension of self-regulation in educational training institutions, 6)the establishment of a circulating education system differentiated form school educations.

      • 사용빈도 기반 시각화 기법을 활용한 3D 모바일 인터페이스

        류지연 숙명여자대학교 일반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모바일 인터페이스 분야에서는 사용자별로 다른 메뉴 사용 성향의 분석이 현재 중요한 화두가 되고 있다. 모바일 인터페이스는 통신사, 제조사에서 규정한 형태로 출고가 된 후에 사용자가 모바일을 사용하면서 발생하는 정보를 반영하여 재구성해 주는 부분이 미비하기 때문이다. 모바일에 탑재되는 메뉴의 개수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지만 메뉴들이 모두 동일한 수준으로 표시되기 때문에 사용자들은 자신이 원하는 메뉴를 탐색하는데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를 위해 위젯 기능을 탑재하여 사용자가 자신이 원하는 기능을 직접 등록한 후 사용하도록 안내하거나 단축메뉴(shortcut)을 두어 빈번하게 사용되는 메뉴를 등록할 수 있게 하였다. 하지만 이런 방법들은 사용정보를 분석하여 반영하는 것이 아닌 사용자가 직접 관리해야 하는 어려움과 단축메뉴의 경우는 정해진 메뉴의 개수만 등록가능하다는 제약이 존재한다. 따라서 기존의 메뉴의 사용빈도를 활용하여 자주 사용하는 메뉴 탐색의 편리를 위한 시각화를 제공하는 시스템을 제안하고자 한다. 본 논문에서는 사용자의 메뉴 사용빈도를 속성으로 가지는 모바일 메뉴 객체를 이용하여 시각화 하는 기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이와 같은 모바일 메뉴 객체의 제공과 시각화를 통해 모바일 사용성 향상을 목표로 하여 시스템을 구현하였고, 그 시스템에서 시각화 방법을 적용한 실험을 통하여 제안된 시각화 시스템의 성능을 확인하였다. The latest hot issue in the mobile interface industry concerns an analysis of the tendency to use different menus depending on the user. It is difficult to reflect the information generated when a user uses a mobile and reconfigure it on the mobile interface once it is released in the form defined by a mobile carrier or manufacturer. Despite the rising number of menus loaded onto the mobile, since those menus are displayed in the same hierarchical level, users have a hard time searching the menu they want. Widgets loaded onto the mobile allow the user to register any features they want or create shortcuts for the menus they frequently use. They have their own limitations, however: they do not analyze and reflect information, but require the user’s direct administration. In addition, there is a limit on the number of shortcut menus that can be registered. Therefore, this paper will propose a system that provides visualization applying frequency of use of existing menus, offering users the convenience of searching frequently used menus.

      • 별 빛에 투사된 내면세계에 대한 표현연구 : 본인작품을 중심으로

        류지연 성신여자대학교 뷰티융합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현대사회는 물질적 풍요와 과학기술의 발전으로 현대인들은 이전보다 더 나은 삶의 물질적 가치를 추구하며 변화에 따라 적응을 하며 살아간다. 또한 변해가는 사회에 뒤처지지 않으려 타인의 시선에 자신을 맞추고 삶의 가치와 표준을 정하여 집단의 일원으로써 살아간다. 누구나 그 안에서 목표를 이루고 행복하게 살기를 바라지만 목표한 것을 이루면서도 공허감에 휩쓸리거나 고독 혹은 불안을 겪게 된다. 이러한 현상은 물질화된 현대사회에서에서 과거에 비해 복잡하고 혼란한 상황을 겪음으로 인해 시대적으로 나타나는 인간소외 현상이다. 이러한 문제는 개인의 정신건강에 악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인간의 도덕적 가치관 상실과 함께 우리 사회체계 자체를 뒤흔드는 요소가 될 수 있다. 따라서 현대인들은 소외현상으로 인한 정신 상태를 점검하여 치유와 위로를 통해 자기극복이 필요하다. 본인도 현대인으로서 소외현상으로 인한 불안의 감정을 극복하기 위한 작업을 하였다. 밤하늘의 별빛이 일상 속 본인을 사유하는 대상이 되었고, 별빛을 통해 극복할 수 있는 위로의 공간을 만들어 자신의 소외로 인해 잠재되어진 내면의 감정을 담아 작품으로 표현하였다. 본 논문은 2016년 제작된 작품들을 바탕으로 다음과 같이 구성하였다. 제Ⅰ장 서론에서는 본인작품의 연구방향과 목적에 대해 서술하였다. 제Ⅱ장 본론에서는 첫 번째, 작품형성배경으로 본인과 관련하여 소외와 불안한 심리에 대해 언급하고 이와 관련하여 본인에게 별빛이 어떠한지에 대해 서술하였다. 두 번째, 작품 표현으로 작품에서 나타나는 별의 기하학적 구조, 상징적 형상의 의미와 별빛의 표현방법에 대해 서술하였으며, 세 번째, 이를 토대로 본인의 작품에 대해 개별적으로 분석하였다. 제Ⅲ장 결론에서는 본 논문을 통해 서술한 내용을 정리하고 본인의 작품을 표현하는 방법에 대한 발전과제와 나아가야할 방향을 제시하

      • 권진규 작품 분석 연구

        류지연 서울대학교 2019 국내박사

        RANK : 247631

        Kwon Jinkyu (권진규, 權鎭圭, 1922-1973) produced a number of sculptures despite not having a long career from the 1950s to 1973. In terms of artistic style, he adopted a wide range of the styles, embracing figuration as well as abstraction. Especially made of lacquer and terra-cotta, the works which have simplified forms and various textures have been considered to have distinctly different characteristics compared to pieces of his contemporaries. This paper aims to examine essentially Kwon’s art through analysis on his oeuvre. In the 1960s when the figurative and abstract art messily coexisted by the emergence of abstraction, metal such as bronze and steel was used as material for sculpture. And the figurative and abstract art messily coexisted by the emergence of abstract art. What made Kwon construct his own style in this era? Unlike other sculptors mostly participating in National Art Exhibition, he did not submit his works to the mainstream exhibition, but held his solo exhibitions three times. What influenced him as an artist who had walked his own path through life? How did he handle material and choose subject? Many researches on Kwon still lack these questions. Because his death was a suicide, previous studies have worked to present different interpretations from his intension or to mythify the works focused on the death. Artwork can be valued and discussed depending on artist’s life story, yet it is difficult to analyze them if in - depth study is chained to a limited discourse. In this sense, I explored Kwon’s works more specifically in this paper as I thought that discussing his work based on the standard discourse has limits. Thus, this dissertation first analyzed his solo and group exhibitions held in 1965, 1968, and 1971 where his key works were displayed. Further, I examined that Kwon tried to seek for overseas activities after the solo exhibitions ended in Korea and Japan. It attempted confirm his intension and direction to expand his career. Additionally, I investigated the characteristics of materials he used. The materials are listed in the following order in which he used from his study in Japan to death: plaster, stone, wood, bronze, terra-cotta, and lacquer. The investigation into the material is categorized in the subjects: male figure, female figure, religious sculpture, animal sculpture, and the others. More specifically, the male figure is subdivided into standing statue and self-portrait, and the female figure is classified into standing statue, the bust, the head, and other female figures. The subcategory of animal work contains equestrian statues, head of horse, cow, and other animals. Also, in order to throw light on his work, I considered its features in the choice of model and subject, systematic process of modeling, repetition of form, and change of material and size. Finally, the research illuminated the concept and context of his work by figuring out his oeuvre in reinterpretation of the various culture, junction between figuration and abstraction, interest in abstraction, and pursuit of incompleteness. This paper provided the comprehensive analysis of his sculpture and attitude as an artist by examining systematically his working process. Such analysis and research functioned as an area of further in – depth study of Kwon. I hope that there are a wide variety of discussions on the issues which was excluded from the study and have to be filled up more, based on this study. 권진규(權鎭奎, 1922–1973)는 1950년대부터 1973년 사망까지 길지 않은 활동시기를 펼쳤음에도 불구하고 많은 조각 작품을 남겼으며 표현양식에 있어서는 구상적인 경향뿐만 아니라 추상적인 경향까지 모두 소화하였다. 무엇보다도 건칠, 테라코타 등의 재료로 제작된 그의 작품은 단순화된 형태와 표면의 다양한 질감효과로 인하여 당시 유행과는 상관없이 동시대 작가들과는 전혀 다른 특성을 지닌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본 논문은 권진규의 조각 작품에 대한 분석적인 연구를 통해 작가의 작업세계를 근원적으로 조망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1950년대 말부터 한국의 조각계에서는 브론즈, 철 등의 금속 재료가 등장하였고 추상미술이 등장하면서 구상과 추상의 혼재된 상황을 맞이하게 되었다. 그렇다면 작가가 변화의 시대 속에서 자신만의 세계를 구축한 원동력은 무엇인가? 그는 어떠한 태도로서 재료를 다루었고, 주제를 택하였을까? 권진규는 다른 조각가들이 대한민국 미술전람회(이하 국전)를 중심으로 활동한 것과는 달리 국전에 출품하지 않았고 개인전을 총 3회 개최하였다. 이러한 독자적인 활동을 펼칠 수 있었던 그의 예술관과 작가적 태도, 혹은 그에게 영향을 미친 것은 무엇이었을까? 이러한 물음에 대한 연구는 여전히 미흡하다. 그의 사인(死因)이 자살이라는 이유로 인하여 그의 작품세계에 대한 기존의 연구는 작업과 작품이 지녔던 본래의 의미와 상이하게 설정되거나 그의 죽음에 관심의 초점이 맞춰져 신화화된 경향이 있었다. 어떤 작가의 작품세계가 그의 삶이 지닌 궤적에 따라 결정될 수는 있으나 작품에 대한 연구가 한정된 담론에 얽매어 있다면 그의 작품성이 제대로 평가받기 힘들다. 그러한 관점에서 본 연구자는 기존 담론으로 권진규의 작품을 해석하기에는 여전히 한계가 있다는 판단 아래 그의 작품세계를 보다 구체적으로 분석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앞서의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하여 권진규의 주요작품들이 출품되었던 1965, 1968, 1971년 등 3회의 개인전 및 그룹전을 분석하였다. 나아가 한국, 일본에서의 개인전 이후 해외 미술계 진출을 모색하였던 작가의 시도를 검토하였으며, 이로써 활동영역을 확대하고자 했던 그의 의도와 방향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다음으로 그가 채택했던 재료별 특성을 석고, 석재, 목재, 브론즈, 테라코타, 건칠 등으로 구분하고 유학시기부터 사망할 때까지 사용했던 순서에 따라 분석하였다. 각 모티프의 분석은 남자인물상, 여인인물상, 종교조각, 동물조각 등의 유형별로 구분하였으며, 세부적으로 남자인물상을 남자입상과 자소상으로, 여인인물상을 여인입상, 여인흉상, 여인두상, 기타 여인상 등으로 세분화하여 살펴보았다. 또한 동물조각에서는 기마상, 마두, 소, 기타 동물상 등으로 세분화하였다. 그리고 그의 작업을 더 잘 이해할 수 있는 토대를 구축하기 위하여 작업의 특성을 모델 및 대상의 선택, 체계적인 조형과정, 형상의 반복, 재료 및 크기의 변주 등의 개념으로 고찰하였다. 마지막으로 그의 예술관을 다양한 문화의 탐구, 구상과 추상의 접점, 추상에 대한 관심, 불완전성의 추구 등의 관점으로 나누어 살펴봄으로써 그의 작품세계 전반에 흐르는 개념과 맥락을 파악하였다. 이상 본 논문은 권진규가 자신의 작업세계를 구축해가는 과정을 체계적으로 살펴봄으로써 그가 추구했던 조형관과 작가적 태도를 종합적으로 분석하였다. 권진규는 이러한 체계적인 분석과 연구는 향후 권진규의 작품세계를 보다 심도있게 연구할 장으로서 기능하게 되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연구를 토대로 권진규의 작품세계에서 제대로 다뤄지지 않거나 제외되었던 내용과 보충되어야 할 부분에 대한 다양한 논의가 제기되기를 기대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