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중국 헤이룽장성 대학생 부모의 양육태도가 학업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 안정감과 학업불안의 매개효과

        두이웨이 대진대학교 일반대학원 2024 국내박사

        RANK : 248639

        본 연구는 중국 헤이룽장(黑龍江)성 대학생 부모의 양육태도, 안정감, 학업불안, 학업효능감의 경향을 분석하여 성별, 학교급, 양육 경험, 성적 순위의 차이 와 이 4가지 변수 간의 구조적 관계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의 종합적이고 건강한 성장을 촉진하기 위해, 가정교육, 학교 돌봄 및 사 회적 지원의 관점에서 가정내 부모의 자녀교육여건 개선의 기초자료를 제공하 고자 한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설정한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연구문제1] 헤이룽장(黑龍江)성 대학생들 부모의 양육태도, 안정감, 학업불안, 학업효능감에 대한 경향은 어떠한가? [연구 문제2] 헤이룽장(黑龍江)성 대학생들의 성별, 학교 순위(전문대학, 일반 학부대학, 중점대학), 양육 경험, 학업성취도에 따라 차이는 어떠한가? [연구 문제3] 헤이룽장(黑龍江)성 대학생들 부모의 양육태도, 안정성, 학업불 안, 학업효능감 간의 구조적 관계는 어떠한가? 본 연구대상은 중국 헤이룽장(黑龍江)성 대학생을 연구 대상으로 한다. 설문 지는 헤이룽장(黑龍江)성 동북임업대학, 동북농업대학, 하얼빈공과대학, 하얼빈 공업대학, 헤이룽장대학, 헤이룽장간호고등전문학교, 하얼빈석유학원, 쑤이화학 원, 헤이룽장농업개간직업대학 등 19개 대학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배포되었다. 설문조사는 2023년 7월 3일부터 8월 22일까지 모바일 설문지 앱을 사용하여 진행 하였다. 본 연구 대상은 19개 대학에 재학 중인 학생으로, 자료 수집은 비확률 샘 플링(non-probability sampling method)의 편리한 샘플링 방법(convenience sampling method)을 사용하여 연구하였다. 823개의 유효한 설문지가 회수되었다. 이에 대 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국 헤이룽장(黑龍江)성 대학생들은 부모의 양육태도에 따라 교육에 적극적이고 심리적으로 안정적이며 학업불안의 정도가 낮고 중등도의 학업효능 감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중국 헤이룽장(黑龍江)성 대학생들은 성별, 학년, 양육 경험, 학업성적 등 인구학적 변수에서 뚜렷한 차이를 보였다. 성별에 관한 결과를 보면, 부모가 아들과 딸을 양육하는 방식에는 통계적으 로 유의한 수준의 차이가 있었다. 남학생 부모의 양육태도는 거부형과 과보호 형이 여학생보다 높았고, 애정형이 여학생보다 낮았다. 학교급에 따라 부모의 양육태도, 안정감, 학업불안, 학습효능감 면에서 통계 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부모의 양육태도의 거부형은 학교급에 따라 전 문대학은 일반학부대학과 중점대학보다, 일반학부대학은 중점대학보다 더 높은 거부형 평균점수를 보이는 것으로 밝혀졌다. 또한 애정형과 과보호형의 경우, 애정형은 일반학부대학과 중점대학은 전문대학보다 더 높은 애정형 평균점수, 과보호형은 전문대학은 일반학부대학과 중점대학보다 더 높은 과보호형 평균점 수를 보였다. 그리고 안정감의 경우, 학교급에 따라 일반학부대학과 중점대학은 전문대학 보다 더 높은 안정감 평균점수를 보였다. 다음으로 학업불안의 경우, 전문대학 은 일반학부대학과 중점대학보다 더 높은 학업불안을 보이는 것으로 밝혀졌다. 그리고 학업효능감의 경우, 학교급에 따라 평균의 차이가 나타났는데 일반학부 대학과 중점대학은 전문대학보다, 중점대학은 일반학부대학보다 더 높은 학업 효능감을 보이는 것으로 밝혀졌다. 양육경험의 경우, 학업효능감은 양육경력에 따라 의미 있는 평균의 차이가 있었는데 7-9세는 0-3세보다 더 높은 평균점수를 보이는 것으로 밝혀졌다. 성적순위의 경우, 학업불안은 성적순위 자술 의미 있는 평균의 차이가 나타 났고, 학업효능감 변수는 성적순위 자술에 따라 유의미한 평균의 차이를 보였 으며, 부모의 양육태도 방식의 거부형, 애정형, 과보호형과 안정감 변수는 성적 순위 자술에 따라 통계적으로 의미 있는 평균의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셋째, 헤이룽장(黑龍江)성 대학생 부모의 양육태도, 안정성, 학업 불안 및 학 업 효능감 사이의 구조적 관계이다. 먼저 거부형 부모의 양육태도와 과보호형 부모의 양육태도는 안정감, 학업효 능감 등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학업불안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안정감의 경우, 학업효능감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부모의 양육태도가 학업효능감에 영향을 줄 때 안정감과 학업불안 이 매개효과를 나타낸다. 부모의 양육태도가 안정감을 매개함으로써 학업효능 감에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친다. 적극적인 애정형 부모의 양육태도는 안정감을 더하고 학업효능감을 높인다. 소극적 거부형과 과보호형 부모양육 태도는 안정 감과 학업효능감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부모의 양육태도는 안정감과 학업불안이라는 이중매개를 통해 간 접적으로 학업효능감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적극적인 애정형 부모의 양육태도는 안정감 증가 및 학업불안의 감지를 통해 학습효능감을 높일 수 있 다. 소극적 거부형과 과보호형 부모의 양육태도는 안정감 저하와 학업불안을 확대시키는 요인으로 나타나 학업효능감을 떨어뜨릴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본 연구는 학업불안이 부모의 양육태도와 학업효능감의 매개체로서도 이중매 개작용을 통해 안정감과 함께 작용함으로써 간접적으로 학업효능감에 영향을 줄 수 있음을 시사함을 알 수 있다. 헤이룽장(黑龍江)성은 중국 동북부에 있는 중국에서 경제발전이 상대적으로 낙후된 성으로 가정교육 연구, 특히 부모의 양육태도 연구,‘평생교육’발전, ‘가정교육 지도센터’건설 등 실천에서 뒤처진 위치에 있다. 동시에 헤이룽장 (黑龍江)성은 곡물과 인구가 많은 성으로서 중국의 전통 농업 문화의 영향을 받아 문화적 특성이 강하다. 사회문화적 개념과 관습은 중국의 다른 지역에 따 라 상당한 지역적 차이가 있다. 부모의 양육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문화적 요인 으로는 남성 지상주의, 남성이 다음 세대가 부모의 노후를 책임진다는 전통적 관점과(養兒防老)(袁小波, 杜鹏, 2023), 아들에게 더 많은 관심을 두고 훌륭한 인 재가 되기를 바라는 관점(望子成龍)(谢小平, 付康, 邹文理, 2023), 일부 부모들은 딸에게 더 넉넉한 일상적 경제적 지원 등 문화적 관념과 풍습이 있으나 여전히 남성 지상주의 문화가 남아있다. 따라서 이런 역사, 문화적 측면을 근간으로 하 여 헤이룽장(黑龍江)성에서 대학생 부모의 양육태도와 학업효능감에 어떤 영향 을 미치는지 살펴볼 필요가 있다. 역사와 문화 전통의 영향으로 기본적으로 자녀와의 관계에서 주도적, 심지어 지배적 위치에 있는 중국 부모들은 자기 부모의 양육태도를 어떻게 활용하는지 살펴볼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부모가 자기 행동과 교육적 역할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된다. 부모의 양육태도에서 출발하여 대학생의 심리상태를 항상 주 시하고 학생의 학업 생활을 둘러싸고 부모가 자신의 관점에서 거부형, 과보호 형의 소극적 부모의 양육태도를 개선하고 애정형의 적극적 부모의 양육태도를 증가시킴으로써 자녀의 안정감을 높이고 학업불안을 감소시키며 자녀의 학업효 능감을 높일 수 있도록 도와야 함을 시사하고 있다. 더욱이 이러한 부모의 양 육태도를 함양하여 자녀가 치열하게 경쟁하는 사회생활에서 건강하게 성장하고 훌륭한 인재로 성장할 수 있도록 도와야한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앞으로 학생에게 실질적인 도움을 줄 수 있도록 법과 규 정을 어떻게 정착시킬 것인가에 대한 심도있는 접근을 제시할 수 있다. 이러한 방법적 측면에서는 평생교육과 학부모 교육에 대한 한국의 선진경험을 참고하 고, 대학의 교수와 부모모임 등 사회조직을 결합하고, 대학을 학생과 부모의 연 계를 통한 학부모교육센터를 개설할 필요가 있다. 가정교육에 관한 평생교육과 정을 개설하고, 가정교육에 대한 사회적 지원을 해야 한다. 이와 더불어서 학부 모와 아이가 부딪히는 가정에서의 부모의 양육태도 문제에 대해 최적화 조정 방안을 도출하는 것이 학자, 대학과 사회의 공동과제가 되어야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