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本態性高血壓者における運動療法の意義

        노호성 筑波大學 1997 해외박사

        RANK : 247631

        과학기술의 발달에 의한 사회구조의 변화는 인간의 생활양식을 크게 변화시켰고, 그결과 운동부족과 생활습관병과 같은 사람들이 증가하고 있다. 최근, 본태성고혈압환자에 대해서도 건강을 회복 및 유지 하려는 수단으로서 운동부족의 해소와 식사요법등의 여러 생활습관의 개선이 크게 요구되고 있다. 고혈압 치료의 주된 목적은, 고혈압에 의해 발생하는 심혈관계 질환의 예방과 개선이고, 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적절한 치료방법을 선택하지 않으면 안된다. 혈압을 저하시키는 것만으로 고혈압 치료가 가능하다면, 우수한 혈압제의 처방이 가능한 현대의학으로 어렵지 않다. 그러나 약물요법의 경우, 약제를 투여한다는 이점이 분명하다고 보고되어있지 않고 부작용에 대해서도 생각해야 할 것이다. 비약물적 수단중에서도 운동요법은 고혈압환자의 비 약물요법 안에서도 적절한 개입수단의 하나로 생각된다. 본 논문은 병원내 감시형의 운동요법 프로그램에 따른 본태성 고혈압환자를 대상으로 신체의 여러 변화를 종단적으로 관찰하여, 운동요법의 유용성을 혈압의 저하 뿐만아니라 종합적 건강도의 개선에 초점을 맞추어 검토하는 것을 목적으로 했다. 대상자는 일상생활에서 운동습관이 없는 35~65세의 본태성 고혈압환자 127명, 정상혈압자 54명, 제 181명이다. 본연구는 4개의 연구과제로 구성 되어있고, 각각의 연구에서 얻어진 성과는 다음과 같다. 1. 병원내 감시형+자기통제적 운동요법에 따른 혈압, 체력의학적 지표 및 활력연령(건강도의 지표)의 변화를 종단적으로 관찰해 혈압, 무산소성 대사역치 및 활력연령에서 본 신체적 건강도의 개선이 밝혀졌다. 2. 강압효과가 나타나지 않더라도 고혈압환자의 운동요법을 실시하는 의의를 밝혔다. 3. 운동요법에 따른 강압효과는 가족력의 영향이 관여한다는 것을 밝혔다. 4. 운동요법 실시 4개월후 또는 8개월후에 얻어진 효과는 운동을 계속함으로서 5년간 유지됨을 밝혔다. 이와같이 본 논문은 각각의 체력 의학적 검사결과 뿐만아니라, 건강 및 체력에 관한 평가의 종합결과를 연령척도를 이용하여 환자에게 feedback시켜, 고혈압의 재발예방, 악화예방을 향한 생활습관 개선방법을 제공했다. 본 연구에서 얻어진 성과는 현장에서의 안전 및 효과적인 운동지도를 위한 구체적 자료로서 활용할 수 있고, 건강에 대한 의식을 보다 한층 높여 건강의 회복, 유지를 위한 동기유발에 공헌할 수 있다고 생각된다. This paper identifies the characteristics of travel behavior for use in market segmentation. For the purpose od this study,four hypothetical travel characteristics were tested using logit analysis and survey data on air travel.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travel characteristics such as trip, mode consumer and travel characteristics were observed as important influetial factors in choosing a certain type of air travel.

      • 동조질량감쇠기를 이용한 개폐식 대공간 구조물의 지진응답제어성능 평가

        노호성 영남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In recent 20 years, due to the rapid economic and industrial development, there has been increased interest in large spatial structures such as sports, comprehensive leisure facilities, and fairs. Demand for large spatial structures is increasing, and the scale is also becoming very large. Since international events such as the 2018 PyeongChang Winter Olympics are held in Korea, the need for large spatial structures is increasing. On the other hand, the rate of earthquakes in the world continues to increase, and the rate of earthquakes in Korea has also risen sharply since 2016. Therefore, Korea is no longer a safe zone for earthquakes, and more earthquakes and disasters are expected to occur. When natural disasters such as earthquakes or typhoons occur, large spatial structures act as evacuation spaces to accommodate large numbers of people. However, since the large space structure maintains the roof shape when completed, it can not open or close the roof depending on the user's intention and climate change. To overcome these drawbacks, we are interested in a retractable large spatial structure that can change whether roofs are open or closed. Korea is also trying to build a retractable large spatial structure, but lacks the technical ability and knowledge to build it independently. When an earthquake occurs, the seismic response should be controlled to prevent damage such as equipment installed on the roof of the retractable spatial structure from falling. Many studies have used various energy dissipation devices as a method to reduce earthquake response. Among them, TMD is generally used to control seismic response of buildings. Taipei 101 and Shanghai International Finance Center used TMD of pendulum type, while the Yokohama Landmark Tower and Fukuoka Tower used TMD using weight and spring stiffness. Most of the studies on TMD have been conducted to control the seismic response of rahmen structures, which are high-rise and high-rise buildings. However, seismic response control is required for usability of retractable large spatial structures. Therefore, in this study, the seismic response of the structure is analyzed by installing the TMD device on the retractable large spatial structure to understand the optimum number, location and TMD mass ratio of the TMD. 최근 국내외적으로 생활 및 문화수준이 점차 향상되어 가면서 문화시설 및 운동시설에 대한 요구가 크가 높아지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도 1988년의 서울 올림픽부터 시작하여 2002년 FIFA 월드컵 개최와 최근에 개최된 2018 평창 동계올림픽 등 크고 작은 국제적인 행사가 열리면서 대공간 구조물이 건설되었으며 그 필요성이 계속 증가될 것이다. 한편 그림 1.1과 같이 국내외적으로 지진의 발생빈도는 계속해서 증가하고 있으며, 국외에서는 2017년 이후 규모 4.0이상의 지진은 약 50회 발생하였으며 그보다 작은 지진들은 수없이 발생하였다. 또한 국내에서도 2016년 이후부터 지진의 발생이 급격하게 증가하였다. 2016년 9월 12일 경주에 규모 5.1, 5.8지진이 연달아 일어났고, 2017년 11월 15일 포항에 5.8규모의 지진이 발생하였으며 여러 크고 작은 여진들은 150회 이상 발생하였다. 이로써 우리나라도 빈도와 규모면에서 더 이상 지진의 안전지대가 아니며, 대형지진 또한 발생할 가능성이 있을 것이라 예상된다. 지진, 태풍과 같은 자연재해 발생 시 대공간 구조물은 구조적 특성상 많은 인원을 수용할 수 있는 대피공간으로써의 역할을 한다. 이러한 대공간 구조물의 구조형식은 크게 막 구조 형식과 스페이스 프레임 구조 형식으로 나뉜다. 국내에서 재해 발생 시에 대피공간으로 활용되는 체육관과 같은 건축물은 대부분 스페이스 프레임 구조 형식이다. 스페이스 프레임 구조형식을 사용한 대공간 구조물은 막 구조형식을 사용한 구조물과 달리 강성이 크며 중저층에 가까운 형상을 함으로써 태풍과 같은 풍하중에 비해 지진하중의 영향을 많이 받는다. 대공간 구조물이 지진하중에 저항하기 위해 아치 또는 돔 형상의 구조를 사용한다. 그 이유는 대공간 구조물에 작용하는 외력을 구조물의 곡률을 통하여 면내력을 저항하도록 하여 경량의 지붕 재료를 사용하기 위함이다. 앞서 말한 것과 같이 우리나라도 국내외에 스페이스 프레임 구조형식을 이용한 대공간 구조물을 설계하고 있다. 해외에 설계되어진 필리핀 아레나는 국내에서 설계하였다. 국내에도 많은 대공간 구조물이 있으며 서울시에 위치한 고척 돔과 각 지역에 월드컵 경기장들이 건설되어졌다. 하지만 이러한 대공간 구조물은 지붕이 개방 또는 폐쇠 형태로 되어있어 사용자의 의도, 기후변화에 따라 지붕이 변화하지 않는다.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전 세계적으로 개폐식 대공간 구조물에 관심을 가지고 있다. 개폐식 대공간 구조물은 기후변화에 대처할 수 있으며 환기, 채광 등을 조절하여 친환경적 에너지절감형 구조물로써 건설기술뿐만 아니라 다양한 분야의 기술 집약체라고 할 수 있다. 이미 미국, 일본, 유럽 등의 선진국은 개폐식 대공간 구조물을 다수 건설하고 있으며, 개폐식 대공간 구조물 건설을 위한 기술적 특허 및 지식을 다량 보유하고 있다. 세계적인 흐름에 발맞추기 위해 우리나라도 개폐식 대공간 구조물을 건설하고자하는 노력하고 있으나 현재 경간 100m를 넘는 개폐식 대공간 구조물 건설은 진행된 사항이 없으며, 이를 자립적으로 건설하기 위한 기술력과 지식이 부족하다. 개폐식 대공간 구조물 또한 지진하중에 의한 영향이 크게 나타나 구조물이 붕괴하여 많은 인명피해를 피하기 위하여 추가적으로 구조물에 설치된 음향장치, 디스플레이와 같은 것이 낙하하여 인명피해가 발생할 것을 방지하기 위해 지진응답을 제어하여야 한다. 지진응답을 저감시키기 위한 방법으로 다양한 에너지 소산 장치 즉 제진 장치를 적용해 왔다. 이러한 제어장치는 건물로 전달된 지진에너지를 흡수, 소산시키는 역할을 하며, 액체의 점성을 이용한 Viscous Damper, 재료의 마찰을 이용한 Friction Damper가 있으며, 추가적으로 설치되는 질량과 강성, 감쇠 값을 이용하여 에너지를 소산시키는 동조질량감쇠기(Tuned Mass Damper; 이하 TMD)등이 있다. 제진장치의 종류 중 하나로 TMD는 지진응답제어 원리의 단순성과 제어성능의 우수성으로 인해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는 장치이다. 또한 TMD는 구조물의 고유진동주기에 적절하게 조율이 되었을 경우 TMD의 관성력을 통하여 매우 뛰어난 동적응답제어성능을 나타내는 것으로 보고 되어있다. 이러한 이유로 실제 대만의 타이페이 101, 상하이 국제 금융센터 등에서는 진자형태의 TMD를 사용하였고, 요코하마 랜드마크 타워, 후쿠오카 타워 등에서는 추와 스프링의 강성을 이용하여 TMD를 설계하였다. 하지만 대부분의 TMD의 사용처 및 연구들은 고층 및 초고층 건물인 라멘 구조물에 대하여 지진응답을 제어하는 연구 또는 TMD의 2방향 진동제어를 위한 연구들이 대부분이다. 하지만 개폐식 대공간 구조물에 적용하여 지진응답을 효과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연구가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개폐식 대공간 구조물에 TMD 장치를 설치하여 TMD의 최적 개수, 위치 및 TMD 질량비를 파악한 후 그 위치에 TMD를 적용한 개폐식 대공간 구조물의 지진응답을 분석해 보고자 한다.

      • 난연도료 도포 처리방법에 따른 난연성능 특성

        노호성 서울産業大學校 産業大學院 2003 국내석사

        RANK : 247631

        "난연도료"라는 것은 실제 화재시 가연성 재료에 대하여는 착화의 지연과 연소의 확산을 방해하는 작용을 하며, 불연성 재료에 대하여는 열에 의한 열화를 방지하는 도료를 말한다. 즉 난연도료 자체가 난연성을 지니고 가연성 재료나 불연성 재료에 대하여 열이나 화염으로부터 피 도장물을 일정시간동안 보호하기 위한 도료를 말한다. 본 논문의 연구에서는 실험적으로 일정한 방화성능 요구조건 하에서 수성 난연도료를 두께별, 처리방법별, 건조방법별로 도포하여 표면시험, 가스유해성시험 통하여 난연성능을 규명하였고, 최신의 방재기술인 ISO 5660-1 (콘칼로리미터법)에 의해 열방출율을 통하여 국내 난연도료의 적정성을 규명하였다. 본 논문의 연구에서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1. 국내에서 생산되고 있는 수성 난연도료를 사용하여 두께별, 처리방법별, 건조방법별로 도포하여 표면시험과 가스유해성 시험을 실시한 결과 도포 두께는 각각 최소 0.8 ㎜, 0.1 ㎜이상은 되어야 국내기준을 만족한 것으로 판명되었고, 붓 또는 스프레이 도포한 시험체는 스프레이로 도포한 시험체가 난연성능이 조금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국내기준에는 만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도포 후 자연건조 또는 강제건조 조건에서의 시험결과는 도포 후 강제건조한 시험체가 난연성능이 조금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국내기준에는 적합한 것으로 판명되었다. 위의 시험 결과, 국내 건축법에서 요구하는 성능요구조건에는 단지 난열성능이 있는 도료를 도포할 것을 요구하고 있으므로 시공시 많은 문제를 발생시킬 수 있으므로 국내기준의 개선이 필요하다. 2. 국내에서 생산되고 있는 수성 난연도료를 이용하여 1 ㎜ 이상 도포하여 국내 건축법에서 요구하는 표면시험과 가스유해성 시험뿐만 아니라, ISO 5660-1 콘칼로리미터법에 의한 열방출율실험을 실시한 결과 모두 만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이 국내제품은 지속적인 품질향상을 통해 국제적인 난연기준에 부합하게 되었지만, 국내기준은 여전히 기본적인 성능평가 수준에 머물고 있어, 화재시 엄청난 인명피해를 발생시킬 수 있으며, 국제적인 추세에 맞게 개선할 필요가 있다고 사료된다. Fire retardant paint is intended to delay ignition and to prevent fire propagation on combustible surface. In this study, fire retardant performances in terms of thickness, apply method, dry condition of fire retardant water paint were tested in accordance with surface test, toxic gas test. In addition, IS0 5660-1 cone calorimeter metho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At least 0.8∽1.0 mm thickness was required to pass surface test, toxic gas test. at the same thickness, sprayed applied and forced dried test samples showed trivial falling-offs in fire retardant performance in comparison with brush applied and naturally dried test samples. But such factors(thickness, apply method, dry condition) are not taken into consideration in domestic fire codes, which are related to fire retardant paint. 2. As a result of the tests described, when fire retardant water paint is applied more than 1.0 rnm tick on the objects, it meets the performance criteria; surface test, toxic gas test, regulated in domestic fire-code and IS0 5660-1 heat release rate of cone calorimeter. Due to the continuous improvement quality control by manufacturers, domestic products have successfully complied with international standards. However, domestic fire codes has been at a standstill so far. Therefore, this study presumed that related domestic fire codes would need to be improved to reach the international level.

      • 아파트 외부색채계획에 개구부의 요소가 미치는 영향 : 배색과 강조색을 중심으로

        노호성 홍익대학교 문화정보정책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In these current times, exterior color planning of apartments have improved a lot compares to the past lack of sense of the scenic beauty, developers and construction companies  compete in the development of discriminant higher level of the consumer demands, as well as the renewal of their own brand whilst introducing newer premium brand which using diversity finishing for providing valuable and extraordinary spaces. Many Master's, Doctoral theses, and also Academic societies' investigate this subject according to trend leading us to pay more attention to the external color planning, but it's application of that knowledge for unsophisticated purpose as - color and image preference, or present state of color use only. One of the most popular type of living unit in the property market is the plate structured Apartment in size 84m2, which has 42% of the opening in facade as well as 17% in rear of it as proportion of its doors and windows. A color scheme of the opening can make effective features according to great volume of variety size and opening organization from the external area of bedroom, living room and kitchen. So it is not only been needed factors, but also still required to overcome for the correspond coloration with openings. Mainly, color for the doors, windows and the grills of Air Conditioner outdoor unit were used to be in same white color range peremptorily which is a disturbing point as the image inharmoniousness. Recently the color planning work based on harmony with the background partially as not to consider it as important, yet is on progress in a transition period. The central aim of this research is analyzing the most effective relations between color styling and patterns for the openings. - doors, windows, balcony rails and Air Conditioner outdoor units, also can suggest more improved color planning from the most suitable confines. For doing that, made a limit for the subjects of investigation in 5 years from Jan. 2015 to April. 2020 of completion from the top 10 contract rank which was announced by MOLIT-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 in 2019. For the research, two separated surveys were made, especially the 2nd done for making up for the weak points of the 1st, so it could draw the more accurate result of subdivided two as 'color arrangement' and 'point color' for exterior of APT. Exception, the glass has it's own specific character of transparency and reflection, has to set the relation with frame of openings, balcony rails and Air Conditioner outdoor unit only, as it's not suitable to make a variety of ranges with it's color scheme. It's composed into two sections as, Users' responses for the color planning with 'dominant color for exterior of APT, and 'point color for APT. Set the main target respondents in their early to late 30's for this research as they are regarded as the biggest group of house buyer, set the platform with simulation images with 12 point colors and 15 different color arrangements based on those two sections above, got answers into 4 inquiries, grade of preference, harmony, stability and classy from the coloration. The 1st survey couldn't show detailed answer for the point color arrangement on rank-order scale system, 2nd survey set as rating scale system which all simulation images of 7 grades were given in the same time for more objective result in terms of marks for each inquiries. For the section one, [Users' reaction for the dominant color for the exterior of APT] based on five types of color arrangement as - Basic(horizontal), Stripe(vertical), Dot & Mosaic, Grid and Gradation - gave a result which shows above the 'Average Evaluation Value' about four inquiries, grade of Preference, Harmony, Stability and Classy in common with Gray colored window frames, balcony rails and Air Conditioner outdoor units. Following, 'White + Gray + Zoning color' combination was chosen on Stripe, Dot&Mosaic, Grid and Gradation - except the Basic from the five types of color arrangement, however White colored window frame, balcony rails and Air Conditioner outdoor units gave a result which is generally much below the Average Evaluation Value about 4 inquiries. Judging from this result of [Users' reaction for the dominant color for exterior of APT], Gray is chosen as the best color for window frames, balcony rails and Air Conditioner outdoor units based on four inquiries. For the section two, [Users' reaction for the point color for APT] based on 4 different glass colors as Clear, Green, Blue and Bronze - gave a result above the 'Average Evaluation value' about four inquiries regarded Blue colored glass goes along well with achromatic color (ex, Gray), and Clear glass on not only warm color (ex, Orange) but also cool color (ex, Blue). Following, Clear glass was chosen for its identical point color as Gray, Bronze colored glass for similar point color as Orange, and Blue colored glass for Blue point color - result all of them were in the middle of the Average Evaluation Value. The lowest numerical value were - Green colored glass for Gray point color, Green + Blue for contrast color Orange as well as Bronze + Green for medium color as Blue point color - gave a result much below the Average Evaluation Value based on 4 inquiries. Judging from this result of [Users' reaction for the point color for APT], Clear + Blue colored glasses are suitable for Gray point color also Clear glass goes well with both, Orange and Blue point color based on 4 inquiries. In view of the result achieved, the exterior color planning for APT with its openings color gave the greater possibilities and will satisfy four inquiries as Preference, Harmony, Stability and Classy affirmatively. Proper color suggestions in whole, along with the process of research created will support people in charge of businesses with their practical planning. This will also encourage possible future studies of coloration for APT that will succeed in achieving the desired effect from these results. 아파트 외부 색채계획은 도시경관으로서의 인식이 미비했던 예전에 비해 많은 발전을 이루었지만 ‘조금 더 새로우며’ ‘조금 더 특별하고’ ‘조금 더 가치가 높은 곳에’ 거주하기를 원하는 시대 변화와 높아진 수요자를 공략하기 위해 건설사들은 리뉴얼 및 상위 & 프리미엄 브랜드를 선보이고 다양한 외부 마감재의 사용으로 차별화를 위한 경쟁을 치열하게 하고 있다. 아파트 외부색채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국내 석·박사 학위 논문과 학회 논문에서도 다양한 방식으로 다루었지만, 색채의 선호도와 이미지 및 외부 색채 현황조사 등 기초자료 활용을 목적으로 한 연구로 국한되어 발표되고 있다. 분양시장에서 수요가 많은 전용면적 84㎡(옛 32~34평) 판상형 구조에 동형타입의 주호기준으로 정면과 배면의 개구부 비율을 산정해보면 정면은 42%, 배면은 17%의 비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외부 면적에서 거실과 침실, 주방 등 각기 다른 창호의 크기와 조합에 따른 높은 개구부 면적 비율로 인해 배색을 통한 변화감을 주는 색채계획은 영향을 크게 받는다. 따라서 조화로운 배색을 위해 개구부와의 연계된 색채계획이 요구되며 극복해야 되는 요소이다. 또한 아파트 개구부의 창호와 실외기그릴 색은 과거부터 배경색과는 관계없이 공통적으로 화이트계열을 사용하여 배색의 방해 요소로 작용하며 조화롭지 못한 이미지를 준다. 이러한 문제를 개선하기 위해 최근에는 배경색과 어울리도록 색채계획을 하고 있으나 부분적으로 혼용하여 적용하는 등 아직까지 중요도에 대한 인식이 부족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개구부의 창호(프레임, 유리, 난간)와 실외기그릴이 다양한 아파트 배색방식 유형과 색에 미치는 사례 현황을 분석하고 조화되는 최적의 색을 제안하여 외부색채의 이미지를 향상하고 개구부 색채의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사례 현황 분석을 위한 대상의 범위는 2019년 국토교통부가 발표한 건설사 시공능력평가 순위10위권 내에서 준공 연월 2015년 1월~2020년 4월의 5년 내 아파트로 한정하여 조사하였다. 본 연구는 1차, 2차 설문으로 구성하였으며 1차 설문의 부족한 부분을 보완하고 명확한 결과를 도출하기 위해 아파트 외부색채의 구성인 배색과 강조색을 중심으로 세분화하였다. 또한 실외기그릴과 창호의 프레임, 난간은 도장을 통해 다양한 색의 구현이 가능하여 색채 배색과 연계를 할 수 있지만 유리색은 생산되는 게 한정되고 빛에 대한 투명도와 반사라는 물성의 특성이 있어 색채 배색과의 연계는 적합하지 않아 유리는 실외기그릴, 창호의 프레임, 난간과의 관계에 대해 구분하고 연구범위를 설정하였다. 연구의 범위는 배색을 중심으로 한 "아파트 외부 지배적인 색채에 대한 사용자 반응"과 강조색을 중심으로 한 "아파트 강조색에 대한 사용자 반응"으로 구성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배색(15가지)과 강조색(12가지)의 시뮬레이션 자극물을 구성하고, 평가항목(선호도, 조화도, 안정감, 고급감)을 선정하였으며 설문대상은 2020년 1분기 서울 아파트 매매 거래량에서 최대 주택 구매층으로 떠오르고 있는 30대를 중심으로 하였다. 또한, 전체 배색방식에서 어떤 강조색이 평가척도별로 평가가 높았는지는 확인할 수 없었던 1차 설문의 순위척도법(Rank-Order Scales)대신 자극물 전체를 동일선상에 놓고 평가하는 7단계 평정척도법(Rating Scales)으로 설문조사를 실시·분석하여 결과를 도출하였다. 그 결과 배색을 중심으로 한 "아파트 외부 지배적인 색채에 대한 사용자 반응"에 따르면 Basic, Stripe, Dot&Mosaic, Grid, Gradation의 5가지 배색방식에서 공통적으로 Gray의 창호프레임 & 난간 & 실외기그릴이 평가항목인 선호도, 조화도, 안정감, 고급감의 평균평가치에서 조금 더 높은 수치를 보였다. 그다음 순위로는 Basic배색을 제외한 Stripe, Dot&Mosaic, Grid, Gradation의 배색에서 White+Gray+조닝컬러의 조합이 선택되었고, 전반적으로 White의 창호프레임 & 난간 & 실외기그릴이 평가항목 선호도, 조화도, 안정감, 고급감에서 평균평가치의 평균값에도 미치지 못하거나 제일 낮은 수치를 보였다. 이로써 배색을 중심으로 한 "아파트 외부 지배적인 색채에 대한 사용자 반응" 연구로 평가항목인 선호도, 조화도, 안정감, 고급감을 위한 최적의 창호 프레임, 난간, 실외기그릴의 색채 조합은 공통적으로 Gray색이라는 것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강조색을 중심으로 한 "아파트 강조색에 대한 사용자 반응"에 따르면 맑은계열, 그린계열, 블루계열, 브론즈계열의 4가지 유리색에서 Gray(무채색)강조색은 블루계열유리가 평가항목인 선호도, 조화도, 안정감, 고급감의 평균평가치에서 맑은계열유리 보다 조금 더 높은 수치를 보였고, Orange(난색)와 Blue(한색)강조색은 공통적으로 맑은계열유리가 높은 수치를 보였다. 그다음 순위로는 Gray강조색에서 동일색상인 맑은계열유리, Orange강조색은 유사색상인 브론즈계열유리, Blue강조색은 동일색상인 블루계열유리가 평균값의 평균평가치를 보였다. 제일 낮은 수치를 보인 Gray강조색은 그린계열유리, Orange강조색은 대조색상인 그린계열과 블루계열유리, Blue강조색은 중차색상인 브론즈계열과 그린계열유리가 평가항목인 선호도, 조화도, 안정감, 고급감의 평균평가치에서 평균값에도 미치지 못했다. 이로써 강조색을 중심으로 한 "아파트 강조색에 대한 사용자 반응" 연구로 평가항목인 선호도, 조화도, 안정감, 고급감을 위한 최적의 유리색 조합 Gray강조색은 블루계열과 맑은계열, Orange와 Blue강조색은 공통적으로 맑은계열이라는 것을 확인하였다. 아파트 외부색채계획과 개구부의 색채를 연계하여 선호도, 조화도, 안정감, 고급감의 긍정적인 이미지 향상을 위한 최적의 색채디자인 조합에 대해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본 논문의 연구과정 및 결과와 색 제안을 토대로 실무자 및 담당자들에게 활용되어 현장에서의 실질적인 계획에 도움이 되기를 바라고, 아파트 색채계획과 관련하여 다양한 시야에서의 연구가 진행되기를 기대한다.

      • Fabrication and property optimization of micro-SOFC with thin film electrolyte

        노호성 Graduate School, Korea University 2010 국내석사

        RANK : 247615

        Solid oxide fuel cell (SOFC) technology has drawn much attention for the next generation power sources of several kilowatt levels such as residential power generation because an SOFC has the highest efficiency among fuel cell types. Recently, increasing interest has been paid to develop micro-SOFCs for novel portable and mobile power sources because the merits of SOFCs, such as high power and energy density, system efficiency and fuel flexibility, are also very intriguing properties for portable power sources. To realize micro-SOFCs for portable applications, operating temperature decrease without performance compromise should be accomplished as well as size reduction because lowering the operating temperature is an important task for cutting down the burden in thermal management of an integrated power pack. Hence, in this study, the performance of micro-SOFCs with thin film electrolytes and electrodes was investigated at a lower operating temperature regime (T ≤ 600°C). 2⨉2cm anode-supported unit cells with thin film components of a Ni-yttria-stabilized zirconia (YSZ) composite anode interlayer, a thin (1μm) YSZ electrolyte, and a lanthanum strontium cobalt (LSC) oxide cathode were fabricated by using pulsed laser deposition, and the performance of the cells was characterized at the temperature range of 350°C≤ T ≤600°C. Stable open-circuit voltage values above 1V were successfully obtained with thin film electrolyte cells, which implied that the 1μm-thick electrolyte was fairly dense and gastight. The thin film electrolyte cells exhibited a much more improved cell performance than a thick film(∼8μm YSZ) electrolyte cell at the low operating temperature regimes (350oC ∼ 550°C) and, in some cases, showed better power outputs than other thin film membrane micro-SOFC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