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靈樞.邪客에 對한 硏究

        노진우 우석대학교 1998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편을 4장5절로 나누었는데, 본 편의 주요 내용을 간략히 살펴보면, 제1장은 불면의 원인이 邪氣가 인체의 臟腑에 침범하여 衛氣가 안으로 들어오지 못해 陽氣가 밖에서만 안의 陰氣도 허해졌기 때문이라고 했으며, 이때의 鍼刺 治法은 마땅히 陽을 瀉하고 陰을 補하여 허실을 조화시키는 것이 주가 되고, 또한 半夏湯이 불면을 치료하는 유효한 방제임을 제시하였다. 제2장은 比類 取象의 방법을 사용하여 인체의 身形肢節과 日月星辰·山川草木을 상호 比肩하여 인체와 자연계가 상응하는 정황에 대해 논하였다. 제3장은 手太陰과 手厥陰脈이 굴절·출입하는 循行 정황을 제출하였고, 手少陰脈에 수혈이 없는 까닭에 대하여 언급하였으며, 持鍼縱舍의 의의와 操作方法 등을 논하였다. 제4장은 인체의 八虛部位는 모두 관절이 屈伸하고 眞氣가 경과하고 血絡이 유행하는 요처며, 오장의 병변을 살피는 곳임을 설명하였고, 外邪가 이곳에 침범하면 관절의 굴신이 불리해지고 拘攣하는 증상을 형성케 됨을 논하였다.

      • 제스처 인식을 통한 웨어러블 디바이스 사용자의 성인 및 아동 구별에 관한 연구

        노진우 경희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논문에서는 간단한 제스처를 이용해 플레이어가 성인인지 아동인지 구별하여 그에 맞는 생체 신호인 Electromyography(EMG) 센서 필터의 계수를 적용하는 시스템을 제안한다. 최근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보급률이 높아지면서 제스처 인식을 하기 위한 다양한 연구와 어플리케이션들이 나오고 있다. EMG 신호를 사용하는 어플리케이션에서 성인과 아동의 EMG 신호의 크기 차이를 줄이기 위해 EMG 필터링 과정에서 성인과 아동에 각각 맞는 계수를 연구해 적용하여 성인과 아동이 각각 근육을 긴장시켰을 때 신호의 크기가 비슷하도록 하게 한다. EMG 필터링에 사용되는 필터는 기저선 변동 제거 필터, 노치 필터, 이동평균 필터를 사용하여 잡음이 심한 EMG 신호를 필터링한다. 성인과 아동의 구별은 제스처를 이용해 성인과 아동을 구별할 수 있는 방법을 소개하여 아동의 제스처 인식률 향상에 있어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 구기 활동 프로그램의 구안․적용을 통한 초등학교 체육수업에서의 남녀평등 인식 변화

        노진우 한국체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31

        국문요약 구기 활동 프로그램의 구안․적용을 통한 초등학교 체육수업에서의 남녀평등 인식 변화 노 진 우 한국체육대학교 교육대학원 학교체육교육전공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체육수업에서 발견되는 남녀 불평등 수업의 요인들을 찾아보고 그 요인 분석을 토대로 새롭게 구안․적용된 구기활동 프로그램을 통해 변화되는 학생들의 남녀평등인식을 알아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초등학생의 남녀평등인식 변화를 실제적으로 분석․기술하기 위해 질적인 연구(qualitative research)를 택하였으며 연구 대상은 S특별시 Y초등학교 6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하였다. 본 연구 결과 이전까지의 체육 수업을 통해 학생들이 느끼고 있는 성 불평등 요인들은 크게 교사의 성 고정 관념적인 지도 방법과 그러한 지도 과정을 자연스럽게 받아들이고 학습해 온 학생들의 성 고정관념 측면으로 설명할 수 있다. 먼저 교사의 성 고정관념으로 인한 성 불평등 요인들에 대해 학생들은 다음과 같이 말하였다. 남학생에 비해 구기운동 경험이나 시합 경험이 매우 부족한 여학생들에게 체계적인 지도 과정 없이 일률적인 피구 운동 같은 단편적인 구기 운동만을 시키고 남학생들에게는 축구, 피구, 발야구, 농구 등 다양한 운동 기회를 경험하게 하는 수업 방식과 성 차별적인 임무 부여, 그리고 수업중 성 차별에 근거한 교사의 칭찬과 꾸중에 대해 불만을 가지고 있었다. 또한 학생들이 갖고 있는 성 고정 관념도 남녀 불평등 인식을 갖게 하는 요인이 되고 있었다. 여학생들의 경우 구기 운동은 남자들이 하는 운동으로 생각하는 학생들이 많이 있었으며 선천적인 신체 조건을 이유로 체력이나 기능이 남자보다 못하다는 것을 여학생들 스스로 인정하고 경험해 보지 않은 활동에 대해선 학습 의욕 조차 갖으려 하지 않았다. 그리고 활동 능력이나 발전의 향상도가 빠른 남학생들의 자기 과시와 우월주의로 인해 상대적으로 여학생들은 열등감을 갖게 되었고 이것은 체육활동에 있어서 남자는 ‘강자’, 여자는 ‘약자’라는 생각을 기정사실화하여 아예 성 고정 관념이 되어 버렸다. 그러나 구안된 구기활동 프로그램을 적용하면서 다음과 같은 내용에 주안점을 두어 실시한 결과 학생들의 남녀평등 인식에 긍정적인 변화를 가져올 수 있었다. 첫째, 남녀 혼성 체육수업의 어려움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남녀의 성 차이 즉, 신체 능력을 고려한 수업 모형을 계획하는 것이다. 둘째, 남학생들로 하여금 상대적으로 학습 능력이 부족한 여학생들을 도와주고 배려하는 협력 학습 방식이 매우 효과적이었다. 이러한 수업 형태를 지속적으로 실시한 결과 한쪽의 입장에 편향적으로 치우쳐 왔던 학생들의 사고가 중립적인 사고방식으로 바뀌었고, 기존에 갖고 있던 체육 수업에 대한 부정적 인식, 해도 안 된다는 생각, 잘하는 학생만 재미있게 한다는 생각들을 불식 시킬 수 있었다. 셋째, 평가 측면에서 탄력적인 학습목표를 설정하여 각 학생들의 흥미도, 참여도, 운동 능력 등의 다양한 차이를 인정하고 협동학습에서 가장 의미 있는 결과를 얻기 위하여 교사 평가가 아닌 동료 평가 방법을 적극 도입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말하면 남학생은 여학생을, 여학생은 남학생을 서로 칭찬해 주도록 하여 남녀간에 화합하고 협동할 수 있는 분위기가 조성되도록 하였으며, 운동 수행 능력이 아닌 ‘열심’ 정도에 따라 점수를 주어 심동적(신체적) 영역에 치중했던 평가 영역의 한계를 정의적, 인지적 측면을 강조하여 혼성 구기활동의 수업에서 상대적으로 불리했던 여학생들의 심적 부담을 덜어 주고 학생들로 하여금 수업 활동 자체에 즐거운 마음으로 임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넷째, 학생 중심의 자율적이고 자기 주도적인 학습 형태를 가져가는 것이다. 학생들은 기존의 명령식 스타일의 수업이나 정형화된 활동, 근엄한 교사의 모습을 좋아하지 않고, 편안하고 지루하지 않으면서 가끔은 학생들의 심리를 이해해 주는 분위기로 학습 활동을 시작함으로써 학생들 모두가 자연스럽게 화합하고 어울리게 되었으며, 기능 향상을 위한 틀에 박힌 연습 활동보다는 실제 게임을 행하면서 자기네들에게 맞는 게임의 규칙과 방법을 좀 더 편하게 적용하면서 익히게 하는 활동이 매우 효과적이었다. 끝으로, 매 수업 활동시 교사는 의도적으로 남녀평등인식을 심어줄우이쓴ㄴ 심어줄 수 있는 말이나 행동을 자연스럽게 자주 보여줌으로써 학생들로 하여금 은연중에 비슷한 사고 패턴을 학습할 수 있도록 하게 하는 것도 매우 중요하였다. 주요어 : 구기활동 수업 프로그램, 남녀평등인식, 성 불평등, 성 고정관념.

      • 양극산화법으로 제조된 리튬 이온 마이크로 전지용 다공성 Li4Ti5O12/Ti 복합 전극의 전기화학적 특성

        노진우 충북대학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A Li ion batteries are an electrochemical power source that is capable to convert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The Li ion batteries present important advantages, such as high energy storage capacity, low toxicity, small size and low weight. Lately new demands of the power source for MEMS (micro-electro-mechanical system) are increased. The thin-film Li battery as a devices of MEMS (micro-electro-mechanical system) have limitation that is very low ionic conductivity. So some researchers have been studied for nanostructured material as an electrode of thin film Li-ion battery to enhance ionic conductivity. But the most of methods for nanostructure preparation of electrode are too expensive and complicated. But the anodizing method to prepare nanostructure material suggested in this study is economical and simple. The TiO2 and Li4Ti5O12 materials are used as an anode in thin-film Li microbatteries is known that they have high oxidation-reduction potential of 1.8 V and 1.55 V (vs. Li/Li+), respectively. It can prevent from dendrite of Li during charging. The porous TiO2/Ti electrode is prepared by anodizing at constant voltage. Then the porous Li4Ti5O12/Ti electrode is prepared by solid state reaction on the porous TiO2/Ti electrode at high temperature. The structures of prepared electrodes were characterized by SEM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and XRD (X-Ray Difffractometer). For electrochemical properties the cyclic voltammetry and charge-discharge test were performed. As a results, the capacities of prepared porous TiO2/Ti anode by anodizing at 10 V, 20 V and 30 V are observed 23.9 μAhcm-2, 43.1 μAhcm-2, 74.0 μAhcm-2. The capacities of prepared porous Li4Ti5O12/Ti anode at 10 V, 20 V and 30 V are observed 74μAhcm-2, 16.2 μAhcm-2, 42.3 μAhcm-2, respectively. we concluded that the capacity in porous TiO2/Ti and Li4Ti5O12/Ti anodes is increasing with increasing anodizing voltage.

      • 고온고압처리시 인삼사포닌 조성 변화에 미치는 온도와 용매의 영향

        노진우 충북대학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changes of browning index, polyphenol contents, and ginsenoside compositions with heating temperature and various ethanol concentration. Heating temperatures were 100, 110, 120, 130, 140, or 150°C, heating time was 2 hr, and added solvent concentration were 0, 25, 50, 75, or 100% ethanol (v/v). The UV-absorbance and browning intensity of heated ginseng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with heating temperature and added solvent concentration. But heated ginseng at 140 and 150°C were decreased UV-absorbance and browning intensity in 100% ethanol concentration. Changes of polyphenol contents in heated ginseng with heating temperatures and various ethanol concentration was ranged from 3.41±0.06 to 32.55±1.04 mg/g, that higher than raw ginseng. The polyphenol contents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p<0.05) heating temperatures and various ethanol concentration. The ginsenosides were significantly differences in ginseng with heating temperature and various ethanol concentration. The ginsenoside compositions were similar to raw ginseng in 100% ethanol concentration. The level of 15 ginsenosides (-Rg1, -Re, -Rf, -Rb1, -Rh1, -Rg2 (S and R form), -Rc, -Rb2, -Rb3, -Rd, -F2, - F4, and -Rg3 (S and R form)) were increased to 140℃ and then decreased afterward. The 4 other ginsenosides (-Rk3, -Rh4, -Rk1, and Rg5) were increased to 150℃. Ginsenoside-F2, -F4, -Rk3, -Rh4, Rg3 (S and R form), -Rk1 and -Rg5, which was absent in raw ginseng, was detected in heated ginseng. Especially, ginsenoside-F2, -F4, -Rk3, -Rh4, Rg3 (S and R form), -Rk1 and -Rg5 were remarkably produced after heating. Ginsenoside-Rb1 and -Rg1, standard compound of ginseng, was increased in dose-dependent manner of ethanol concentration at 100~120℃. When ginseng added 75% ethanol concentration, the maximum contents of ginsenoside-Rb1 and -Re was 13.67±0.23 mg/g at 100℃ for 2hr, ginsenoside-Rb1 and -Re was 13.67±0.23 mg/g at 110℃ for 2hr, ginsenoside-Rg3 (S and R form), Rk1, and Rg5 was 15.88±0.15 mg/g at 150℃ for 2hr. 본 연구에서는 인삼의 ginsenoside를 변환시켜 특정 ginsenoside 함량을 증가시킴으로써 각종 생리활성이 증가된 인삼을 제조하기 위하여 열처리 온도와 첨가용매 농도에 따른 ginsenoside 변화를 분석하였으며, 이에 따른 이화학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1. 열처리 온도와 첨가용매 농도에 따른 갈변도는 열처리 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Mailard 반응 중간생성물과 최종생성물 모두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동일한 열처리 온도에서 첨가용매의 에탄올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Mailard 반응 중간생성물과 최종생성물 모두 증가하였다. 2. 처리조건에 따른 인삼의 총 폴리페놀 함량 변화는 열처리 온도가 증가하고, 에탄올 농도가 25~75%로 증가함에 따라 3.41±0.06~32.55±1.04 mg/g으로 원료인삼보다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3. 열처리온도와 첨가용매농도에 따른 ginsenoside-Rg1과 -Rb1의 함량은 물을 첨가한 경우 열처리온도가 증가할수록 ginsenoside-Rg1과 -Rb1의 함량이 유의적으로 감소하였으나, 첨가용매로 에탄올(25~75%)을 첨가하여 100~120℃, 2시간 처리한 경우 에탄올 농도 의존적으로 ginsenoside-Rg1과 -Rb1의 함량이 증가하였다. 첨가용매를 75% 에탄올로 100℃, 2시간 열처리한 경우 ginsenoside-Rg1과 -Rb1의 합이 13.67±0.23 mg/g으로 가장 높았다. 4. 항당뇨 사포닌으로 알려진 ginsenoside-Re과 -Rb2에 대한 변화는 고온으로 처리할 경우 그 함량이 급격히 감소하였으나 에탄올을 첨가용매로 사용한 경우 열에 비교적 안정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75% 에탄올을 첨가용매로 하여 110℃, 2시간 처리한 경우 ginsenoside-Re과 -Rb2의 함량이 가장 높은 7.25±0.11 mg/g을 나타내었다. 5. 항암 및 항산화 활성을 가지는 사포닌 성분인 ginsenoside-Rg3(R, S form), -Rk1, Rg5에 대한 변화는 물을 첨가한 경우 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유의적으로 증가하다 140℃ 이후부터는 감소하였으나, 첨가용매로 에탄올을 첨가한 경우 100~140℃ 까지는 에탄올 농도가 증가할수록 그 함량이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Ginsenoside-Rg3(R, S form), -Rk1, Rg5의 합이 가장 높은 함량을 보이는 처리구는 75% 에탄올을 첨가용매로 하여 150℃, 2시간 열처리한 경우이며, 이때 함량은 15.88±0.15 mg/g으로 나타났다. 6. 혈압조절작용을 하는 것으로 알려진 ginsenoside-Rg2와 -Rg3의 변화는 물을 첨가용매로 첨가하여 120℃, 2시간 처리한 경우 가장 높은 함량ginsenoside-Rg2와 -Rg3의 합)인 10.34±0.18 mg/g을 나타내었다. ginsenoside-Rg2는 첨가용매로 물을 첨가한 경우 130℃까지는 그 함량이 증가하나 140℃ 이후부터는 함량이 감소하였고, 150℃, 2시간 처리시 검출되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보면 열처리온도와 첨가용매 농도에 따른 인삼의 총 ginsenoside 함량은 가공처리 하지 않은 인삼에 비해 높은 함량을 보였다. 열처리온도와 첨가용매 농도를 달리하여 처리할 경우 다양한 형태로 ginsenoside를 변환시킬 수 있고, 이를 통해 여러 가지 질환에 효과가 있는 맞춤형 인삼가공품을 제공할 수 있으며, 기능성 식품규격을 만족하는 인삼 제품 제조가 가능할 것이라고 판단된다.

      • 초심 상담자의 소진이 윤리적 실천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 상담자 전문직 정체성의 매개효과

        노진우 한양대학교 상담심리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firm whether the exhaustion of beginning counselors has an impact on their ethical practice self-efficacy, and whether the professional identity of counselors mediates this. To this end, a survey was conducted on 348 beginning counselors with less than 3 years of counseling experience nationwide using Korean Burnout Inventory(K-CBI), Korean Counselor Professional Identity Scale( K-CPIS), and Ethical Practice Self-Efficacy Scale for Counselors( EPSES-C). The measurement results were validated using simple regression analysis and the significance of mediation effects using SPSS 21.0 and SPSS PROCESS macro v4.2.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results of the correlation analysis showed that counselor exhaustion had a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with professional identity and ethical practice self-efficacy, and professional identity ha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ethical practice self-efficacy. Second, it was found that professional identity complete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counselor exhaustion and ethical practice self-efficacy. This means that the impact of counselor exhaustion on ethical practice self-efficacy can be mostly explained by professional identity.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it clarified the psychological path by which counselor exhaustion affects the ethical practice self-efficacy of beginning counselors, and expanded the understanding and prediction of ethical practice self-efficacy. Second,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confirming the impact of exhaustion on ethical practice self-efficacy for beginning counselors, and confirming the role of professional identity in clarifying the role and attitude of counselors towards clients. Third, we expanded our understanding of the impact of counselor exhaustion by confirming the relationship between professional identity and ethical practice self-efficacy that are affected by counselor exhaustion, rather than research on the variables that affect counselor exhaustion. Finally, by studying the variables that affect the ethical practice self-efficacy of counselors, we raised the interest in research on ethical issues in the midst of insufficient domestic research on ethical issues related to counselors. 본 연구는 초심상담자의 소진이 윤리적 실천 자기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하고 상담자의 전문직 정체성이 이를 매개하는지 확인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전국의 상담경력 3년 이하의 초심상담자 348명을 대상으로 상담자 소진, 전문직 정체성, 윤리적 실천 자기효능감 척도를 사용하여 설문을 실시하였다. 측정 결과는 SPSS 21.0과 SPSS PROCESS macro v4.2을 사용하여 단순회귀분석과 매개효과의 유의성을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아래와 같다. 첫째, 상관분석 결과 상담자 소진은 전문직 정체성과 윤리적 실천 자기효능감에 유의한 부적상관을, 전문직 정체성은 윤리적 실천 자기효능감에 유의한 정적상관이 나타났다. 둘째, 상담자 소진과 윤리적 실천 자기효능감 간의 관계에서 전문직 정체성이 완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상담자 소진이 윤리적 실천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이 전문직 정체성을 통해서 대부분 설명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연구의 의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상담자 소진이 초심상담자의 윤리적 실천 자기효능감에 영향을 주는 심리적 경로를 규명하고 윤리적 실천 자기효능감에 대한 이해 및 예측을 확장하였다. 둘째, 본 연구는 초심상담자를 대상으로 윤리적 실천 자기효능감에 있어서 소진의 영향을 확인하고 상담자의 내담자에 대한 역할과 태도를 분명하게 하는 전문직 정체성의 역할을 확인하는데 의의가 있다. 셋째, 상담자 소진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에 관한 연구가 아닌 상담자 소진이 영향을 미치는 전문직 정체성과 윤리적 실천 자기효능감의 관계를 확인함으로서 상담자 소진이 미치는 영향에 대한 이해를 확장하였다. 마지막으로, 상담자의 윤리적 실천 자기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을 연구함으로서 상담자의 윤리문제와 관련한 국내연구가 미비한 가운데 윤리적 문제에 대한 연구의 관심을 제고하였다.

      • 성인여성의 NADPH oxidase p22phox C242T 유전자 다형성에 따른 유산소 트레이닝이 운동 수행력과 산화적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노진우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여자 대학생을 대상으로 NADPH oxidasep22phox 유전자의다형성에 따른 8주간 유산소성 트레이닝이 지구력 운동 수행력 증진과 산화적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데 있다.본 연구의 대상은 의학적으로 특별한 질환이 없는 Y대학교 여자 대학생 100명에 대하여 p22phox C242T의 유전자형을 분석한 후,각 유전자형에 맞추어 CCgenotype(23.50±2.07,n=10),T allele(21.33±2.45,n=9)그룹으로 총 19명을 선정하여 배정하였다.기본 검사로는 최대산소섭취량(˙ vo2max),신장,체중,체지방(%bodyfat)을 측정하였으며,사전.사후 검사는 85% ˙ vo2max로 설정하여 all-out시점까지측정하였다.산화적 스트레스 정도를 분석하기 위하여 총 5회(안정 시,운동 종료시,회복 30분,회복 4시간,회복 24시간)채혈을 하여 젖산(혈장 lactate)농도,지질 과산화물(혈장 MDA)농도,항산화 효소(혈장 SOD)활성도를 측정하였으며,트레이닝은 8주간(3일/주)70%HRR(여유심박수)의 강도로 트레드밀에서 런닝트레이닝을 실시하였다.첫째,본 연구에서 분석한 NADPH oxidasep22phox 유전자의 다형성 연구대상자는 100명이였으며 CC=89명(89%),TC=10명(10%),TT=1명(1%)의 결과를 얻었으며,T allele로 분류했을 경우 T allele은 11명으로 11%의 빈도를 보였다.둘째,최대산소섭취량의 변화는 두 그룹 중에서 T allele그룹이 약간 높게 나타났지만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는 않았다.하지만 사전ㆍ사후검사로 실시했던 85% ˙ vo2max all-out운동 수행시간의 변화는 트레이닝 전ㆍ후에 (p<.01)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셋째,혈장 lactate농도 변화는 두 그룹 모두 모든 시점에서 감소된 것으로 나타났으며,CC genotype그룹에서 감소폭이 가장 크게 나타났다.유전자 다형성 그룹 간에는 CCgenotype그룹이 T allele그룹에 비해서 혈장 lactate의 농도가 모든 시점에서 좀 더 낮은결과를 보였다.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는 않았지만 CCgenotype그룹이 Tallele그룹 보다 트레이닝 효과가 더 큰 것에서 기인한 것으로 생각된다.넷 째,혈장 MDA 농도의 변화는 두 그룹 모두 안정 시보다 운동 종료 시에 혈장 MDA농도가 증가되었으며,그 후 감소되었다가 회복 24시간에는 안정 시 수준으로 회복되는 경향을 보였다.또한,8주간의 유산소 트레이닝 전과 비교하여 트레이닝 후에 혈장 MDA 농도가 좀 더 낮은 결과를 보였다.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는 않았지만 CCgenotype그룹이 T allele그룹보다 트레이닝을 통한 혈장 MDA 감소에 더 효율적이며 트레이닝을 통한 산화-환원 능력의 향상이 더 좋을 것으로 생각된다.다섯째,혈장 SOD 활성도의 변화는 CC 그룹의 운동종료를 제외한 두 그룹 모두 모든시점에서 혈장 SOD 활성도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또한,8주간의 유산소성 트레이닝전과 비교하여 트레이닝 후에 혈장 SOD 활성도가 증가하는 결과를 보였다.유전자 다형성그룹 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 p<.05,트레이닝 전ㆍ후 p<.05수준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CC genotype그룹이 T allele그룹보다트레이닝을 통한 혈장 SOD의 활성 증가에 더 효율적이며 트레이닝을 통한 산화-환원 능력의 향상이 더 좋은 것으로 생각된다.이상의 연구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본 연구에서 성인여성의 NADPH oxidasep22phox C242T 유전자 다형성에 따른 8주간의 유산소성 트레이닝은 최대산소섭취량의 증가와 혈장 lactate의 농도를 감소시킴으로써 CC genotype 과 T allele그룹 모두에서 트레이닝의 효과가 나타났음을 알 수 있으며,통계적으로 유의한차이는 나타나지 않았지만 CC genotype 그룹이 T allele그룹에 비해 트레이닝효과가 높게 나타났다.또한,두 그룹 모두 항산화 효소의 활성도(혈장 SOD)를 증가시킴으로써 지질 과산화(혈장 MDA)를 감소시키는 결과를 보였다. CCgenotype그룹이 T allele그룹에 비해 산화-환원 능력과 트레이닝에 대한 효과가더 높은 것으로 생각되어진다.추후 연구에서는 장기간 트레이닝을 실시하여 트레이닝이 미치는 영향을 명확하게 밝힐 필요가 있다고 생각되며,유전자 다형성에 따른 산화적 스트레스가 다른 것을 볼 때,일반인을 대상으로 산화적 스트레스를 예방하고 최소화 할 수 있는 효율적인 트레이닝을 위하여 유전자 다형성에 따른 산화-환원체계의 효율이최적인 운동강도와 운동시간을 찾는 연구와 항산화제 섭취의 병행 연구가 필요하다고 생각된다.또한,산화적 스트레스가 남성보다 여성에게 더 크게 나타난다는 연구들과 최근여성의 운동참여율이 증가하는 것을 볼 때,남ㆍ여를 대상으로 비교 분석하는 다양한 연구들이 더욱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8 weeks of aerobic exercise training on endurance capacities increase and the oxidative stress targeting university women who were analyzed with the NADPH oxidase p22phox polymorphism.One hundred medically healthy women were analyzed with the genotype of p22phox C242T. And then nineteen women were finally selected and divided into two different polymorphism groups[CC genotype(23.50±2.10, n=10), T allele(21.33±2.45, n=9)]. Subjects were measured with tests including maximum air ingestion o2max, height, weight, and %body fat and the before-after examinations were measured at 85%o2max until all-out. Blood samples were taken 5 times, which were at rest, the end of exercise, after 30 minutes of recovery, after 4 hours of recovery and after 24 hours of recovery, to measure the concentration of plasma lactate, the concentration of plasma MDA(lipid peroxide), the activity of erythrocyte SOD(antioxidant enzyme). 8 weeks of exercise training were performed 3 times a week at 70%HRR(Heart Rate Reserve) on the treadmill.First of all, One hundred women participated in this study analyzed NADPH oxidase p22phox polymorphism and resulted with [CC genotype(89%, n=89), TC genotype(10%, n=10), TT genotype(1%, n=1)] and classified as T allele resulted with 11 people with the ratio of 11%.Second, the T allele group out of the two groups showed a higher change in maximum air ingestion but, according to the statistics, it didn't show any distinctive change. However, the before-after examination was examined and the change in the 85%o2max all-out exercise performance time showed a slight change in the statistics of the before-after p<.01 standards.Third, the plasma lactate concentration change of the two groups seem to have decreased in every point of time as it distinctively decreased in the CC genotype group. Among the polymorphic genetic group, compared to the T allele group, the CC genotype group showed lower results in the capability of plasma lactate at all points of time. This didn't show a distinctive change statistically but the CC genotype group is seen to have more effective results from the training than the T allele group.Fourth, as for the change in the capability of plasma MDA, in both groups, it increased at the time of the exercise ended rather of steady state and then decreased and it showed tendency to 24 hour of recovery its normal level of steady state. Also, compared to 8 weeks before the aerobic training, the plasma MDA capability resulted with an slightly decrease after the training. This didn't show a distinctive change statistically but compared to the T allele group, the decrease of plasma MDA through training was more effective to the CC genotype group and is believed that the elevation of the oxidation-reduction capability will be more effective.Fifth, as for the change of rate activity of plasma SOD of both group, at all points of time except for the exercises ended of CC genotype group, the rate of activity of plasma SOD increased. Also, compared to 8 weeks before the aerobic training, the plasma SOD activity resulted with an slightly increase after the training. The groups of gene-polymorphou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p<. 05),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at before and after the training(p<.05). The CC genotype group had an increase in plasma SOD activity which is more efficient and the elevation of the oxidation-reduction capability is seen to be more effective.Generalizing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from the 8 weeks of aerobic training, the NADPH oxidase p22phox C242T polymorphic genetic group in adult women shows an increase in maximum oxygen ingestion with a decrease of plasma lactate capability where both CC genotype and T allele groups were effective from the training. And although it there isn't a distinctive change statistically, compared to the T allele group, the CC genotype group showed a higher efficiency from the training. Also, both groups showed an increase in plasma SOD which resulted in a decrease of plasma MDA. Although there isn't a distinctive change statistically, compared to the T allele group, the CC genotype group shows a higher efficiency in the oxidation-reduction capability and more effective from the training.In the future, the research will examine a long term training which is necessary in showing accurate effective results. When portraying the oxidative stress following the genetic polymorphism, for a effective training that can protect and minimize the oxidative stress subjecting normal individuals, a research for oxidation-reduction systematic efficiency resulting from genetic polymorphism and the research of ingestion of antioxidants may be necessary in parallel. Also, with research showing that oxidative stress occurs more in women and that recently there is an increase in women participating and taking interest in sports, it is necessary to examine diverse research subjecting men and women in general.

      • 음성 인식을 위한 전처리 방법에 관한 연구

        노진우 고려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음성은 인간이 사용하는 보편적이고 편리한 의사전달 수단이다. 음성에 의해 표현되는 말은 사람과 사람 사이에 의사소통을 가능하게 할 뿐 아니라 음성을 이용하여 기계나 장치에 명령을 내리는데 사용 될 수도 있다. 최근에는 음성을 이용한 인식 시스템이 보안 시스템에 활용되거나 제어 인터페이스로도 각광 받고 있으며 관련된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음성 인식에서 특정 환경에 따른 인식률의 변화가 심한 것은 큰 문제점으로 지적된다. 주위 잡음이 심하지 않은 조용한 환경에서의 인식률은 높은 편이지만 여러 사람이 동시에 말을 하고 주변 소음이나 잡음이 섞이는 경우 인식률은 현저하게 감소한다. 그러므로 음성 인식 연구에서 잡음을 제거하고 인식과 관계없는 음성을 제거하는 전처리 기술은 반드시 필요하다. 음성인식 전처리 과정에는 주로 인식하고자하는 음성과 이외의 다른 음성을 분리 할 수 있는 BSS(Blind Source Separation) 기술이 사용된다. BSS는 소스로부터 신호가 전달되는 과정에 대한 사전 정보 없이 센서로 입력된 신호만을 이용하여 본래 각각의 독립 신호로 분리하는 기술이다. BSS는 신호가 전달되는 환경에 따라 3가지 case로 분류가 가능하다. 그 중 신호가 소스에서 센서로 전달될 때 걸리는 시간 지연이 없다고 가정하는 Instantaneous case에 관한 연구가 많이 진행되어왔다. 하지만 실제 환경을 표현하기에는 한계가 있으며 실제 환경을 더 잘 표현하기 위해서는 신호가 전달될 때 간섭과 반향을 고려하는 Echoic case가 더욱 적합하다. 실제 환경에서 신호는 전달 시 다중 경로를 통해 센서로 입력되며, 경로에 따라 신호가 센서로 도달 하는데 시간 지연이 발생한다. Echoic case 모델은 센서에 입력되는 신호를 convolutive mixture로 표현하여 이런 시간 지연을 고려하였다. BSS 알고리즘에서 Instantaneous case의 대표적인 알고리즘으로 많이 쓰이는 FastICA도 빠른 계산 속도를 장점으로 갖지만 실제 환경을 정확히 반영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최근 이런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Echoic case로 확장시킨 convolutive ICA에 관한 연구가 발표되었다. 신호에 잡음이 섞이는 문제는 웨이블렛 변환(wavelet transform)을 이용한 denoising과 잡음 감소 필터(noise reduction filter)를 사용함으로써 해결할 수 있다. 웨이블렛 변환은 모 웨이블렛(mother wavelet)을 시간 축으로 이동하거나 크기의 확대, 축소를 함으로써 생성된 기저 함수들의 집합을 이용하여 표현된다. 웨이블렛 변환을 이용하면 고역 부분과 저역 부분으로 단계적으로 신호를 분해함으로써 주파수 특징을 알 수가 있다. 이때 신호의 잡음이 주로 고역 부분에 분포한다는 점에 근거하여 고역 부분을 제거하거나 감쇠시키는 방법으로써 신호의 잡음 감소시킬 수 있다. 한편, 잡음 감소 필터는 잡음의 분포와 종류에 맞게 선택해야 한다. 칼만 필터(Kalman filter)는 잡음 신호의 분포가 가우시안 분포일 때 탁월한 노이즈 감소 효과를 나타내는 필터이다. 칼만 필터는 예측(prediction)과 측정을 통한 보정(correction by measurement)을 반복함으로써 잡음 신호의 분산을 점차 줄이며 이로써 잡음을 감소시키는 효과를 나타낸다.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음성인식 전처리 방법은 웨이블렛 변환을 이용한 고역 잡음을 감소시킨 후 convolutive ICA를 이용한 신호 분리를 한다. 이후에 잡음 감소 필터로써 칼만 필터를 이용함으로써 음성 분리 및 잡음 감소가 확실히 이루어지도록 한다. 제안한 전처리 과정의 성능을 확인하기 위해 음성 인식 시스템의 대표적인 어플리케이션 중 하나인 홈오토메이션 환경에 적용하여 실험을 진행하였다. 홈오토메이션 환경에서 발생할 수 있는 6가지 소리들을 녹음하였으며, 7인의 화자가 말하는 각 22개의 명령어를 녹음하여 음성 혼합 모델을 통해 혼합 하였다. 음성 혼합 모델로서 사용된 모델은 2x2 혼합 행렬을 이용하여 혼합하는 모델인 Instantaneous mix 모델과 사람의 청각기관을 모델링한 HRTF(Head Related Transfer Function) 모델, 그리고 방을 시뮬레이션 하여 소스와 센서간의 전달관계를 함수로써 구현한 Synthetic Room Recording Simulation 모델이다. 혼합된 신호를 여러 가지 처리 과정을 이용하여 신호 분리 및 잡음을 감소시키는 실험을 하였다. 실험의 성능 평가는 잡음 측정에 많이 사용되는 SNR(Signal to Noise Ratio, 신호 대 잡음비)을 사용하였으며, 본 논문에서 제안한 전처리 과정 및 여러 가지 처리 과정의 SNR 값을 비교하여 잡음이 개선된 정도를 확인하였다.

      • 靈樞·五色에 對한 硏究

        노진우 우석대학교 2007 국내박사

        RANK : 247631

        靈樞·五色에 대한 주요내용을 요약해 보면 다음과 같다. 1. 望診의 위치에서 明堂이 가장 중요하지만, 顔面에 있는 각 부위의 명칭과 그에 相應하는 구체적인 신체부위에 대해서 설명하였는데, 顔面의 각 부위 명칭은 아래의 그림과 같다. ◁그림 삽입▷(원문을 참조하세요) 2. 顔面을 望診하는 중요한 意義는 아래와 같다. ·五色의 변화를 관찰하여 전신의 질병을 진찰할 수 있고, 五色과 五臟이 相應하므로 五色의 변화로써 臟氣의 盛衰를 알 수 있으며, 六腑와 肢節도 모두 五臟과 밀접하게 연계되어 있기 때문에 각기 相應하는 부위의 色澤 변화를 살펴서 臟腑와 肢節의 病變을 알 수 있다. ·五色의 변화로 질병의 성질을 알 수 있으며, 色澤의 浮沈과 枯潤에 따라 질병의 輕重과 淺深 및 豫後를 알 수 있고, 病色이 散在해서 結聚하지 않은 경우는 발병이 비교적 짧고 病이 가벼워 치료하기도 비교적 쉬우나, 病色이 搏聚하여 散在하지 않은 것은 病程이 비교적 길고 病이 深重하여 치료하기도 어려우며, 病色의 위치로 病의 소재를 알 수 있고, 病色의 形狀으로 積聚의 形狀과 병세가 발전하는 방향 및 갑자기 죽게 되는 것들을 알 수 있다. 또한 남녀가 色診에 있어 일정한 차이가 있고, 이외에 五臟의 질병이 서로 영향을 주고 본래의 위치에만 病色이 나타날 뿐만 아니라 다른 부위에도 나타남을 알 수 있다. 3. 五色主病은 다음과 같다. ◁표 삽입▷(원문을 참조하세요) 4. 色診에 대해 중점적으로 말한 동시에 寸口·人迎의 脈診에 대해 설명하였으며, 色診과 脈診을 결합하여 상호 참고하고 분석해서 더욱 정확한 진단을 할 수 있음을 언급하였다. 寸口·人迎 脈診의 意義를 정리하면 아래와 같다. ◁표 삽입▷(원문을 참조하세요) Young Chu, one of the two parts of the Yellow Emperor`s Internal Classic, also called Miraculous Pivot of the Yellow Emperor`s Classic of Internal Medicine. There is an expression of the five colors(also called the Oh Saek) in this volume and this volume explains about matching of the five colors and positions of pathogenic changes of the internal organs and joint when it comes to react in the facial region. Also this volume argues that in accordance with complexion, it is possible to distinguish the instances and the condition, prognosis and favorable or unfavorable of a disease and in fact this is quite an important content for visual inspection and the principal part of observation of patient`s complexion and this is why the title of this volume is the five colors. This volume accounts for the substance of inspection of color and is divided into 2 chapters and 6 paragraphs. The first chapter adverts to the names of each region of face, where the five colors can be found. And it also explains that this place is where the internal organs and joint distributed over the facial region and you can see the major symptoms and changes of internal organs and the whole body by observing complexion. On the other hand, you can see the condition of a patient by observing the pulse of common carotid artery and radial pulse and the change of the five colors. This chapter is taking a serious view of consideration of both pulse condition and complexion for a clinical diagnosis and it also discourses upon the change of the five colors of a mortal disease. The second chapter describes about internal organs which are distributed on face and visual inspection regions and the way to examine the five colors. It also describes that the medical examinations and prognosis should be based on a change of face color because there are some difference between men and women and the disease of the internal organs has a dramatic effect each other. However, at this point the names of parts and the explanations are hard to be conceived, as they contain many unfamiliar terms. It is difficult to determine the condition of a disease or pathogenic changes of internal organs and joint to understand and put into practice like original content says. And it is more difficult to examine and prognosis a disease by correlation of internal organs and difference of men between women or even feeling the pulse. So, this essay will guide you to understand the original by comparison and contrast other publication, so that in clinical diagnosis you can apply properl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