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초대 한국 외국인 선교사들의 사역 원리의 현대 코로나19 팬데믹 시대 한국 목회 현장 적용방안 연구

        노주섭 총신대학교 선교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초대 한국 외국인 선교사들의 사역 원리의 현대 코로나19 팬데믹 시대 한국 목회 현장 적용방안 연구 본 연구는 세계사에서 그 유래를 찾아보기 힘든 놀라운 부흥의 역사를 이루었던 한국 교회가 세속화의 물결 속에서 그 성장이 정체되어가는 중에 코로나19 팬데믹이라고 하는 암초를 만나면서 큰 위기에 봉착해 버린 상황에서 이 상황에 대한 고민과 그것을 극복하기 위한 대안에 대한 고민 속에서 진행되었다. 어떡하면 이런 위기적 상황을 극복하고 한국 교회가 다시 하나님 안에서 빛날 수 있을까의 고민 속에서 쓰여 지게 된 것이다. 그런 가운데 연구자는 그 답을 우리 한국 교회의 위대한 유산에서 찾았다. 바로 지금과도 같은 아니 어쩌면 지금보다 더 암울하고 막막했던 상황 속에서 이 땅에 들어와 복음으로 이 땅의 영혼들을 섬기고 이 땅을 복음으로 깨우고 세웠던 초대 한국 외국인 선교사들의 사역과 그 밑바탕에 면면히 흐르는 본질적인 사역 원리 속에서 오늘날의 한국 교회의 위기를 극복하고 새로운 부흥을 꿈꿀 수 있는 답을 찾고자 한 것이다. 구한말 외세의 침략 속에서 외국의 문물에 대한 경계가 극도로 심한 상황 속에서 이 땅에 들어와 정말 눈물겨운 섬김으로 얼어붙었던 이 땅의 영혼들의 마음의 문을 열고, 암흑과 같은 절망의 일제 강점기에는 민족의 등불이 되어 이 땅에 참된 부흥의 시대를 열었던 초대 한국 외국인 선교사들의 사역 속에 감추어진 사역 원리를 살펴보고 이것을 오늘날 현대 한국 교회의 목회 현장에 어떻게 적용할 수 있을 것인가를 고민하고 나름대로 구체적인 방안들을 제시해 보고자 노력해 보았다. 왜냐하면, 초대 한국 외국인 선교사들의 그 빛나는 사역 원리를 오늘날 현대 한국 교회의 목회 현장에 맞도록 고민하여 이 시대에 맞는 구체적인 방안들을 찾아내고 그것을 우리의 목회 현장에 적용할 수만 있다면 아무리 지금 코로나19 팬데믹 상황으로 정말 어려운 상황을 겪고 있는 한국 교회이지만 충분히 이 상황을 극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 시대에 하나님께서 허락하신 새로운 부흥도 꿈꿀 수 있다고 감히 확신하기 때문이다.

      • 한국교회 성장 회복을 위한 개혁주의 선교적 교회론 연구

        노주섭 총신대학교 목회신학전문대학원 2024 국내박사

        RANK : 247631

        ABSTRACT A Study on the Reformed Missional Ecclesiology for the Recovery of Korean Church Growth joo-sup Lo Major of Church Growth Graduate School of Pastoral Theology at Chongshin University Since the spread of the gospel in Korea, the church has continuously grown in the grace of God. Even during challenging times, such as the exploitation during the late Joseon Dynasty due to Western invasions and the period of Japanese colonial rule marked by national deprivation, the church continued to grow. Moreover, despite the devastation caused by the Korean War and its aftermath, the church still experienced growth. Going through such difficult periods, the Korean church has astonishingly thrived. However, starting in the early 1990s, the growth of the Korean church slowed down, and currently, there are concerns about negative growth. Although there were brief periods of halted growth during the late Joseon Dynasty and the Japanese colonial era, the prolonged stagnation is unprecedented for the Korean church. Therefore, why has the Korean church faced stagnation and decline? It is because the Korean church has lost its vitality. The primary reason for the Korean church losing its vitality is precisely because it has lost the essence of the church. The church received a calling and a sending to fulfill the triune God's mission of establishing the kingdom of God, which had collapsed due to human sin. The purpose of the church's existence is the triune God's mission aimed at the kingdom of God, and it is the essence of the church. However, the Korean church has lost sight of this essence. The Korean church experienced a significant impact from the "pink" self-survey conducted in the 1990s, revealing that the number of believers in the Korean church reached as high as 12 million. The Korean church, viewing this as if it had accomplished the national evangelization, gradually lost its missionary zeal. The emergence of large churches in urban areas and success stories of some pastors turned into myths, diverting the focus of pastors and church members from the kingdom of God to individual success and the outward growth of their own churches. As a result, the church became secularized. This secularization led to a cascade of problems, such as the ethical deficiencies of pastors, neglect of the church's public responsibilities, and a decline in social trust. Especially, with the passage of time and the impact of the COVID-19 pandemic, the decline in social trust has become more serious, posing a significant obstacle to the growth of the Korean church. All of these issues stem from the fact that individual churches, instead of prioritizing the essential mission of the church – the kingdom of God – have focused solely on external growth. This has led to the secularization of the Korean church and the loss of its identity as a missional church. This phenomenon is not unique to our country. Western Europe has already gone through a similar process. The church in Western Europe, which had been building the Christian world for over a thousand years, was also losing its vitality as it forgot the essential mission of the church, pursuing secularization. Returning to the UK after missionary work in India, Leslie Newbigin saw the UK through the lens of a new mission field. Consequently, Newbigin, reflecting on the essence of the church, raised discourse about the missionary church and prompted theologians in North America, who were grappling with the same concerns, to form the 'Gospel and Our Culture Network' (GOCN). As they produced research and writings on the missionary church, missional ecclesiology gained global attention. The core of the emerging missional ecclesiology is the recognition that mission is not ours but God's, and sovereignty over mission belongs to God. The church is seen as a missional presence in the world, called by God for His mission, sent into the world to fulfill that mission. In traditional ecclesiology that has persisted for a long time, mission was viewed as the act of sending people from the church to proclaim the gospel. However, in missional ecclesiology, this mission is regarded as God's act of sending the Son and the Holy Spirit, along with the church, into the world to establish the kingdom of God, which has been broken by human sin. It emphasizes a profound mission to restore God's kingdom. This missionary work is well illustrated in John 20:21 ("Again Jesus said, 'Peace be with you! As the Father has sent me, I am sending you.'") and John 14:26 ("But the Advocate, the Holy Spirit, whom the Father will send in my name, will teach you all things and will remind you of everything I have said to you."). Therefore, in the context of missional ecclesiology, mission is not merely an act of the church, but rather the act of the triune God working through the church. However, the problem arose when this missional ecclesiology, which was in need of a new missionary theology, was actively embraced by the ecumenical movement within the World Council of Churches (WCC), leading to its distortion. They incorporated their own liberal theology, creating an ecumenical missional ecclesiology unique to them. The core of WCC's ecumenical missional ecclesiology lies in the concept of "Missio Dei," a term that may sound similar to the original missional ecclesiology but differs significantly in content. This libertarian perspective denies the reality of human sin, dismissing the issue of sin as a matter of alienation. Consequently, they do not acknowledge human depravity, and argue that the redemptive work of the Holy God through saints is unnecessary. Furthermore, they believe there is no need for the work of the Holy Spirit in protecting us from the influence of sin. Their focus lies solely on creationism, asserting that implementing the original order of Shalom that God created is the essence of human salvation and the establishment of God's kingdom on Earth. Therefore, for them, it doesn't matter if it is not through the church; as long as God's Shalom is realized on this earth, it is considered as God's mission (Missio Dei). The liberalization of missional ecclesiology accelerated following the institutional integration of IMC (International Missionary Council) and WCC (World Council of Churches). One of the key figures playing a leading role in this transformation was the Dutch missiologist Hoekendijk. Under his influence, the libertarian interpretation of Missio Dei became the official missiological concept of WCC, and the term "Missio Dei" began to be treated as if it were a proper noun representing the missional ecclesiology. However, it is crucial to recognize that the Missio Dei theology within WCC is a theological interpretation that aligns with their liberal theology and is not inherently rooted in the original missional ecclesiology. Among those within IMC and WCC who adhered to evangelical beliefs, there were individuals who sought to resist the liberalization of missiological theology. However, their efforts proved futile, and following the Billingen Conference, the liberalization of missional theology became the prevailing trend. In response, evangelical-minded individuals gathered and articulated a discourse on evangelical missiological theology, leading to the adoption of the Lausanne Covenant at the Lausanne Congress. This covenant served as a collective expression of opposition to the liberal trends in missional theology that had become dominant, particularly after the Billingen Conference. Therefore, one should not regard ecumenical missional ecclesiology as the authentic form of missional ecclesiology. Consequently, there is a need to more actively embrace missional ecclesiology from a Reformed perspective. Reformed theology is centered on the Bible as the Word of God. Therefore, above all, it must be grounded in the authority of the Bible and be a theology built upon biblical truth. Firstly, Reformed missional ecclesiology must become biblical ecclesiology. The Bible contains the mission of the triune God to restore the kingdom of God, which has fallen due to human sin. Therefore, Reformed missional ecclesiology must firmly stand on the clear biblical truth of creation, fall, and redemption. The restoration of the kingdom of God, as advocated in Reformed missional ecclesiology, involves not only the restoration of the order of creation but is inconceivable without addressing the fundamental issue of human sin that shattered that created order. The restoration of the kingdom of God cannot be envisioned without resolving the fundamental problem of human sin that undermined God's kingdom. The recovery of the kingdom of God is only possible through the triune God's missional work, which is based on the clear biblical truth of creation, fall, and redemption, namely, through the doctrines of creation, Christian theology, and salvation. The restoration of the kingdom of God is achievable only through the missional work of the triune God, reclaiming the sovereignty and reign of God, which were shattered by human sin. Furthermore, since the redemptive work of the saints and the saving work of the Holy Spirit occur only through the church, believers are entrusted with the kingdom of God within the church (Luke 22:29: "Just as my Father has granted me a kingdom, I now grant you the right"). Ultimately, the restoration of the kingdom of God takes place through the missional work of the triune God within the church. For this purpose, God sent the Father, the Son, and the Holy Spirit to the world. In a sense, this is true divine mission. Therefore, in response to the term "God's mission" used in ecumenical contexts, scholars propose using the term "triune God's mission" in Reformed missional ecclesiology. How, then, will the church bring about the restoration of the kingdom of God, reclaiming God's sovereignty and reign? Ultimately, it can be achieved by restoring the sovereignty and reign of God, which have been shattered by human sin, within each soul. This occurs when each soul becomes the kingdom of God. To restore each soul as the kingdom of God, the church must recognize its missional existence and become a missional presence in the world. For the church to be a missional presence in the world, it needs to be a missional presence within itself. This requires both the church itself to be a missional presence in the world and for the church to nurture and train all believers so that they become missional presences in their respective places of life. For this, two essential aspects are required. Firstly, there must be an unceasing proclamation of the gospel of the kingdom of God to each soul, demonstrating the tangible reality of God's kingdom within the church and believers' lives. Furthermore, the church and believers must embrace this missional mandate in a comprehensive manner, encompassing all areas of life. The Bible, through the words of Acts 1:8, states, "But you will receive power when the Holy Spirit comes upon you. And you will be my witnesses, telling people about me everywhere—in Jerusalem, throughout Judea, in Samaria, and to the ends of the earth." Jesus Himself emphasizes that the church's missional responsibility, as outlined in Acts 1:8, encompasses every aspect of our lives. The church needs to become a comprehensive missional church in all areas of life, affirming that the missional church extends to all aspects of life. Acts 1:8 divides our missional scope by location and culture. Jerusalem signifies the close and personal areas, such as family, neighbors, and local community, where a missional presence must be established. Judea, while close in terms of distance or culture, extends to the national level, implying a missional presence beyond the local area. Samaria, though close in distance, represents a unique and culturally different area, necessitating a missional presence in specific contexts. The ends of the earth, being distant both culturally and geographically, represent the call for a missional church in foreign, overseas contexts. In today's context, the church and believers need to be a comprehensive missional presence in all areas of life, requiring the church and its members to fulfill the missional role in each area. Therefore, the church must develop strategies to handle the missional role in various life domains. Even church planting should start within a structure and strategy that fosters a comprehensive missional church, addressing all aspects of life. The Korean church is undoubtedly in crisis, having lost touch with the essence of the church. Overcoming this crisis requires more than contemporary strategies like disciple training or small groups; it demands the restoration of the church's essence. To revive the Korean church and facilitate growth, there is a need to restore the essence of the church through Reformed missional ecclesiology, grounded in faith in the Bible as the Word of God. Confidence rests in the assurance that a Reformed missional ecclesiology, rooted in correct faith in the Bible inspired by special revelation, can fully restore the church. It serves as a return to the fundamental values of the Reformation and is not just a temporary or contemporary solution for the challenges facing the church in this era. 한국교회 성장 회복을 위한 개혁주의 선교적 교회론 연구 한국교회는 복음이 전래된 이래로 하나님의 은혜 가운데 계속해서 성장해왔 다. 서구열강의 침략으로 수탈의 시간을 보내야 했던 구한말과 일제의 국권강탈로 시작된 일제강점기의 시간에도 교회는 성장했다. 그 뿐만 아니라 모든 것을 초토화 시켰던 한국 전쟁과 그 이후에도 교회는 성장했다. 이렇게 어려운 시기를 지나오면 서도 한국교회는 놀랍도록 성장해 왔다. 그런데 1990년 초반에 들어서면서 한국교 회의 성장은 멈추었고, 현재는 오히려 마이너스 성장을 걱정해야하는 상황에 봉착 해 있다. 구한말과 일제 강점기에 짧은 기간 동안 성장이 멈췄던 적은 있지만 이토 록 오랫동안 성장이 침체된 것은 한국교회에 있어서도 처음 있는 일이다. 그렇다면 왜 한국교회에 성장의 정체와 침체가 찾아왔을까? 그것은 한국교회 가 생명력을 잃어버렸기 때문이다. 한국교회가 교회의 생명력을 잃게 된 가장 큰 원인은 바로 교회의 본질을 잃어버렸기 때문이다. 인간의 죄로 무너져 버린 하나님 의 나라를 세우기 위한 삼위일체 하나님의 선교를 위하여 교회는 부르심을 받았고, 세상에 보내심을 받았다. 하나님의 나라를 지향하는 삼위일체 하나님의 선교가 바 로 교회의 존재 목적이요, 교회의 본질이다. 그런데 한국교회는 이런 교회의 본질을 잃어버렸다. 한국교회는 1990년대에 발표된 핑크빛 자체조사에 한껏 고무되었다. 한국교 회의 성도 수가 1200만이나 된다는 자체조사 결과였다. 마치 민족복음화를 다 이룬 것처럼 생각한 한국교회는 점차 선교적 열망을 잃어가게 되었고, 도시에 생겨나기 시작한 대형교회와 일부 목사님의 성공스토리가 신화가 되어 한국교회의 목회자와 성도들이 하나님의 나라보다는 개인의 성공과 개교회의 외형적 성장에만 몰입하기 시작하면서 세속화되어 갔다. 그리고 이 세속화는 계속해서 더 많은 문제들, 목회자들의 윤리성 결여, 교회 의 공적 책임 외면, 사회적 신뢰도 하락 등의 문제들을 양산하기 시작했고, 특히 코 로나를 거치면서 사회적 신뢰도 하락은 더욱 심각해져서 한국교회의 성장에 큰 걸 림돌이 되고 있다. 이 모든 것이 결국 하나님의 나라라고 하는 교회의 본질적 사명 을 목적으로 삼지 않고 각 개교회가 외적 성장만을 목적으로 삼으면서 한국교회가 세속화되고, 선교적 교회로서의 모습을 잃었기에 일어난 현상이다. 이런 현상은 비단 우리나라만의 것은 아니다. 이미 서구 유럽도 이런 과정을 겪어왔다. 1000년이 넘도록 기독교 세계를 구축하고 있던 서구 유럽의 교회도 하나 님의 나라라는 교회의 본질적 사명을 망각하고 세속화되면서 이미 그 생명력을 잃 어가고 있었다. 이런 가운데 인도에서의 선교사역을 마치고 영국으로 귀국한 레슬 리 뉴비긴의 눈에는 영국이 새로운 선교지로 보일 수밖에 없었다. 이에 뉴비긴은 교회의 본질에 대한 고민으로 선교적 교회에 대한 담론을 제기하게 되었고, 이것이 같은 고민에 빠져있단 북미의 신학자들에게 영향을 주어 ‘복음과 우리 문화 네트워 크’(GOCN)가 결성되었다. 이들이 선교적 교회에 대한 연구와 저작들을 내놓으면서 선교적 교회론이 세계적으로 주목을 받게 되었다. 이렇게 대두된 선교적 교회론의 핵심은 바로 선교는 우리의 것이 아니라 하 나님의 것이라는 것이며, 선교에 대한 주권은 하나님께 있고, 교회는 그런 하나님의 선교를 위하여 세상에서 부름을 받고 다시 세상으로 보냄을 받는 선교적 존재라는 것이다. 오랫동안 이어져 온 전통적 교회론에서는 선교를 복음을 전하기 위하여 사 람을 보내는 교회의 행위로 보았지만, 선교적 교회론에서는 이 선교를 인간의 죄로 말미암아 무너진 하나님의 나라를 세우기 위한 중대한 사명을 위하여 아들과 성령 과 교회를 세상에 보내시는 하나님의 행위로 본다. 이런 하나님의 선교는 요한복음 20장 21절(“예수께서 또 이르시되 너희에게 평강이 있을지어다 아버지께서 나를 보내신 것 같이 나도 너희를 보내노라”)과 요 한복음 14장 26절에(“보혜사 곧 아버지께서 내 이름으로 보내실 성령 그가 너희에 게 모든 것을 가르치고 내가 너희에게 말한 모든 것을 생각나게 하리라”)에 잘 나 타나 있다. 그러므로 선교적 교회론에 있어서 선교란 교회의 행위가 아니라 교회를 통하여 이루시는 삼위일체 하나님의 행위인 것이다. 그런데 문제는 당시 새로운 선교신학이 필요했던 WCC의 에큐메니컬 진영에 의해 이 선교적 교회론이 적극적으로 수용되면서 변질되기 시작했다는 것이다. 자 신들의 자유주의 신학을 그곳에 대입시켜서 자신들만의 에큐메니컬 선교적 교회론 을 만들어 내었다. WCC의 에큐메니컬 선교적 교회론의 핵심은 바로 Missio Dei 라는 개념인데, 이것은 용어상으로는 처음의 선교적 교회론의 것과 같지만 그 내용 은 전혀 다르다. 자유주의는 인간의 죄의 실체를 인정하지 않고, 죄의 문제를 소외의 문제로 치부한다. 그러기에 그들에게 인간의 죄로 말미암는 타락도 존재하지 않고, 죄로부 터 우리를 구원하시기 위한 성자 하나님의 구속사역도 필요치 않다. 더 나아가서 우리를 죄의 영향력으로부터 보호하시는 성령의 역사도 필요치 않다. 오로지 그들 에게 있어 중요한 것은 창조론뿐이다. 하나님께서 처음 만드신 그 샬롬의 창조질서 를 구현하는 것, 그것이 바로 인간 구원의 정체요, 하나님의 나라를 세우는 일이다. 그러기에 그들에게 있어서는 이 땅에 하나님의 샬롬을 구현할 수만 있다면 꼭 교회 가 아니어도 상관이 없다. 결국 다른 종교를 통해서 이 땅에 하나님이 샬롬이 구현 된다면 그것 또한 하나님의 선교(Missio Dei)가 되는 것이다. 이런 선교적 교회론의 자유주의화는 IMC와 WCC의 기구적 통합 이후 가속 화 되었다. 가장 주도적인 역할을 한 사람이 바로 네덜란드의 선교신학자 호켄다이 크이다. 그에 의해 자유주의화된 Missio Dei의 선교개념이 WCC의 공식 선교신학 이 되면서 이 Missio Dei 라는 용어가 마치 선교적 교회론을 대표하는 고유명사인 것처럼 여겨지게 되었다. 그러나 우리가 분명히 알아야 할 것은 WCC의 Missio Dei라는 선교 신학은 그들의 자유주의신학을 선교적 교회론에 대입시킨 신학일 뿐 원래 선교적 교회론에 담겨있던 신학은 아니라는 것이다. IMC와 WCC에 남아있던 복음주의자들 중에는 이런 선교신학의 자유주의화 를 막으려고 하던 사람들이 있었다. 그러나 그들의 노력은 수포로 돌아갔고, 빌링겐 대회 이후 선교신학의 자유주의화는 대세가 되고 말았다. 이에 반발한 복음주의자 들이 함께 모여 복음주의적 선교신학에 대한 담론을 제기한 것이 바로 로잔대회에 서 채택한 로잔언약이다. 그러므로 마치 에큐메니컬 선교적 교회론이 선교적 교회론의 정통인 것처럼 생각해서는 안 된다. 그러므로 우리는 선교적 교회론을 개혁주의 입장에서 더욱 적 극적으로 수용할 필요가 있다. 개혁주의는 하나님의 말씀인 성경중심적인 신학이다. 그러므로 무엇보다도 성경이 최고의 권위가 되어야 하고, 성경적 진리 위에 세워지 는 신학이 되어야 한다. 우선 개혁주의 선교적 교회론은 성경적 교회론이 되어야 한다. 성경은 인간의 죄로 말미암아 무너진 하나님의 나라를 회복하기 위한 삼위일 체 하나님의 선교를 담고 있는 책이다. 따라서 개혁주의 선교적 교회론은 창조, 타 락, 구속이라는 분명한 성경적 진리위에서 분명히 서 있어야 한다. 개혁주의 선교적 교회론에서 주장하는 하나님 나라의 회복은 창조질서의 회 복뿐만 아니라 그 창조질서를 무너뜨린 가장 근본적인 인간의 죄에 대한 회복이 없 이는 생각할 수 없다. 하나님 나라의 회복은 하나님의 나라를 무너뜨린 인간의 근 본적인 죄의 문제를 해결하지 않고는 생각할 수 없다. 죄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성자의 구속사역과 성령의 구원사역을 바탕으로 한 창조, 타락, 구속이라는 성경의 분명한 진리, 즉 창조론과 기독론과 구원론으로 이루어지는 삼위일체 하나님의 선 교를 통해서만이 하나님 나라의 회복은 가능한 것이다. 삼위일체 하나님의 선교만 이 인간의 죄로 무너진 하나님의 주권과 통치를 회복하고 하나님의 나라를 회복할 수 있는 것이다. 더 나아가서 교회를 통해서만이 성자의 구속사역과 성령의 구원사역이 이루 어지기 때문에 성자께서는 하나님의 나라를 교회에 위임하셨다.(눅 22:29 : 내 아버 지께서 나라를 내게 맡기신 것 같이 나도 너희에게 맡겨) 결국 하나님의 나라의 회 복은 교회를 통한 삼위일체 하나님의 선교를 통해서만이 이루어지는 것이고, 바로 이를 위하여 하나님께서는 성자와 성령과 교회를 세상에 보내신 것이다. 어느 면에 서는 이것이 진정한 하나님의 선교이다. 이런 이유로 연구자는 에큐메니컬에서 사 용하는 하나님의 선교라는 단어에 대응하여 우리 개혁주의 선교적 교회론에서는 삼 위일체 하나님의 선교라는 단어를 사용할 것을 제안한다. 그렇다면 교회는 하나님의 주권과 통치를 회복시키는 하나님 나라의 회복을 어떻게 이룰 것인가? 그것은 궁극적으로 인간의 죄로 말미암아 무너진 하나님의 주 권과 통치를 한 영혼, 한 영혼 속에서 회복시키는 것으로 이룰 수 있다. 한 영혼, 한 영혼이 하나님의 나라가 될 때 이루어지는 것이다. 그리고 한 영혼, 한 영혼을 하나님의 나라로 회복시키기 위하여 교회는 자신이 선교적 존재라는 사실을 자각하 고 세상 속에서 선교적 존재가 되어야 한다. 그리고 교회가 세상 속에서 선교적 존 재가 되기 위해서는 교회 자체가 세상 속에서 선교적 존재가 되어야 한다는 것과 성도들 모두가 다 자신의 삶의 자리에서 선교적 존재가 되도록 교회가 성도들을 양 육하고 훈련해야 한다는 두 가지가 다 필요하다. 이것을 위해서도 역시 두 가지가 필요한데, 쉬지 않고 한 영혼 한 영혼에게 하나님의 나라의 복음을 선포해야 한다는 것과 모든 영혼들에게 교회와 성도가 자 신의 모습 속에서 실재적으로 이루어진 하나님의 나라를 보여주고 경험하게 해 주 어야 한다는 것이다. 더 나아가서 교회와 성도는 이런 선교적 사명을 삶의 모든 영 역을 포괄 하는 전방위적 영역에서 감당해야 한다. 성경은 사도행전 1장 8절의 말 씀을 통하여 “오직 성령이 너희에게 임하시면 너희가 권능을 받고 예루살렘과 온 유대와 사마리아와 땅끝까지 이르러 내 증인이 되리라 하시니라”라고 말씀하신다. 곧 예수님께서 친히 사도행전 1장 8절의 말씀을 통해서 교회가 선교적 사명을 감당 해야 할 영역이 바로 우리의 모든 삶의 영역이며, 교회는 삶의 모든 영역에서 전방 위 선교적 교회가 되어야 한다는 것을 말해주고 있다. 사도행전 1장 8절의 말씀은 우리의 선교영역을 거리와 문화별로 나누고 있는 데, 예루살렘은 우리와 거리상으로나 문화적으로도 아주 밀접하게 가까운 개인적인 영역인 가족과 이웃과 지역에서 선교적 존재가 되어야하는 것을 의미하고, 온 유대 는 거리상으로나 문화적으로도 가깝지만 개인적인 영역인 지역을 넘는 국내에서 선 교적 존재가 되어야함을 의미한다. 사마리아는 거리상으로는 가깝지만, 문화적으로 먼 영역의 특수한 영역에서 선교적 존재가 되어야하는 것을 의미하며, 땅끝은 거리 상으로나 문화적으로 아주 먼 해외에서 선교적 교회가 되어야함을 의미한다. 이처럼 오늘날 교회와 성도들은 어느 한 영역에서만 선교적 존재가 되는 것 이 아니라 삶의 모든 영역에서 전방위 선교적 존재가 되어야 하는데, 그러기 위해 서 교회와 성도는 각 영역에서 선교적 존재로서의 역할을 감당할 수 있는 전략을 나름대로 가지고 있어야 한다. 그리고 교회 개척조차도 바로 이런 삶의 전 영역에 서 선교적 사명을 감당하는 전방위 선교적 교회가 되기 위한 구조와 전략 속에서 시작되어야 한다. 한국교회는 분명히 위기에 빠져있다. 이것은 한국교회가 교회의 본질을 잃어 버렸기 때문이다. 그러기에 한국교회의 이 위기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단순히 제자 훈련이나 소그룹과 같은 몇 가지 시대적 전략만을 가지고는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 다. 새로운 종교개혁과 같은 교회의 본질 회복이 필요한 것이다. 잃어버린 교회의 본질을 회복하고 다시 한국교회가 성장하기 위해서는 바로 성경을 하나님의 말씀으 로 믿는 신앙에 입각한 개혁주의 선교적 교회론을 통하여 삼위일체 하나님의 선교 라고 하는 교회의 본질을 회복해야 한다. 오늘날 특별계시와 영감으로 말미암아 하나님의 말씀인 성경에 대한 바른 믿 음을 가지고 성경에 입각한 개혁주의 선교적 교회론이 다시 교회를 온전히 회복시 킬 수 있음을 확신한다. 개혁주의 선교적 교회론은 이 시대 교회의 문제점을 해결 하기 위한 일시적, 시대적 방안이 아니라 개혁주의가 항상 핵심적 가치로 여기는 성경의 진리로 돌아가는 본질의 회복이며 이 시대의 새로운 종교개혁이기 때문이 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