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한국 경호경비산업의 발전과 제도적 현황

        노정현 경남대학교 경영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Security industry grows and advances in proportion to social crimes and social disturbance factors. Social crimes are becoming more organized, larger in scale, more specialized and more ferocious differently from the past, and the peculiarity is that it occurs anywhere targeting many unspecified objects. For this reason, 'Safe Society' than 'Rich Life' is becoming a conversation topic of citizens. The issue of citizens' safety traditionally depended upon government organizations in the past. However, there is a serious difficulty for inflexible government organizations to secure social safety net in this diversified modern society and, for that reason, security service of private institutes came to take the social role as a new safety device for citizens. Private security service is expanding from security of physical facility to diverse fields such as information protection, industrial security, logistic security, aviation security and port security, and becoming a safety device for citizens as a cutting-edge security function. Accordingly, private security field has now reached the stage where it should be invigorated as a field to be supported and fostered by government policy and a plan should be sought to actively utilize it as a device to supplement physical limit of police force. Expecially, private security is attracting far more attention as a social security keeper in this pluralism society of social mechanism where the role of government is reduced and private sector is expanded. The security industry in Korea has been steadily achieving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growth since 1950s and has a potential for further advancement. When we look into institutional advancement process, institutional cornerstones were arranged by enactment of Rental Cop Law in 1973, enactment of Security Business Law in 1976, establishment of Korea Security Association in 1978 and execution of examination for national certificate of Private Security Instructor in 1997, and, after that, the opportunity for private security industry to achieve actual advancement was provided by various international events held in Korea such as Asian Game in 1986, Olympic Game in 1988, Daejeon Expo in 1993 and Crime Prevention Exhibition in 1994. According to the statistics by Korean National Police Agency, while only some 10 private security companies joined Korea Security Association when it was established in 1978, after about 10 years, the number of member companies in 1987 increased tenfold to 106. It increased to about 500 companies by 1993 and over 1,000 companies by 1996 showing a trend of increase of private security companies by hundred times in 20 years. The number of members increased to over 1,800 in 2000, to 2,834 in 2007, to 3,043 in 2008 and to 3,270 in 2009 showing a trend of steady increase in quantity. The number of security guards also increased continuously and, at present, some 146,000 security guards are working in the private security work, which is showing a trend of specialization in comparison to that of the past. Advancement of private security industry has its basis on the increase in social crime and, thus, growth of private security industry is expected to continue as far as social crime continues increasing. As citizens expect private security to take care of their 'stable' and 'safe' life, it is acting as a catalyst for advancement of private security industry. 경호경비산업의 성장과 발전은 사회범죄와 사회불안요인에 비례하여 발전하고 있다. 사회범죄는 과거와는 다른 양상으로 조직화·대형화·전문화·흉폭화 되어 발전되고 있으며 특히 불특정 다수를 대상으로 장소를 불문하고 발생되고 있는 것이 특징이다. 이에, ‘부유한 생활’보다는 ‘안전한 사회’가 시민들의 화두로 등장하고 있다. 과거 시민의 안전 문제는 전통적으로 국가기관에 의존되어 왔다. 그러나 다양화 된 현대사회에서 경직된 국가조직에 의한 사회의 안전망 확보는 많은 어려움을 내포하고 있고 이에 따라, 민간기관에 의한 치안서비스가 새로운 시민의 안전장치로서 사회적 기능을 하게 되었다. 민간경호경비는 사회범죄와 사회불안 요인에 근거하여 시민의 안위욕구에 대한 부응과 경찰력의 대체방법으로서 사회적으로 정착하며 발전하기 시작하였다. 민간경비는 물리적인 시설물 경비를 비롯하여 정보보호, 산업보안, 물류보안, 항공· 항만보안 등 광범위한 분야로 확산되어 가고 있으며 첨단 시큐리티 기능으로서 시민의 안전장치로 자리를 잡아가고 있다. 따라서 민간경호경비분야는 이제 국가정책의 지원 및 육성분야로 활성화 되어야 할 단계에 이르고 있으며, 경찰력의 물리적 한계점을 보완하는 장치로서 적극 활용되는 방안이 모색되어져야 한다. 특히, 민간경호경비는 국가역할이 축소되고 사적(私的) 영역이 확대되는 시장 매커니즘의 다원주의 사회에서 사회 안전 지킴이로서 더욱 더 주목을 받고 있다. 한국의 경호경비산업은 1950년대 이래 질적·양적 꾸준한 성장을 해 오고 있으며, 앞으로도 발전 가능성을 내포하고 있다. 제도·발전과정으로 본다면 1973년 청원경찰법의 제정, 1976년 경비업법 제정, 1978년 경비협회 발족, 1997년 국가자격증 경비지도사 시험실시 등 민간경호경비산업에 대한 제도적 초석이 마련되어졌고, 이후 1986년 아시안 게임, 1988년 올림픽, 1993년 대전엑스포, 1994년 방범전시회 개최 등 각종 국제행사가 국내에서 개최됨으로 실질적인 민간경호경비산업의 발전이 이룩될 수 있는 계기가 되었다. 경찰청 통계에 따르면 경비협회의 창립연도인 1978년에는 10여개의 경비회원업체가 있었지만, 협회설립 10년만인 1987년에는 회원업체가 106개사의 10배로 증가하였으며, 1993년에는 약 500여개 회사로 늘어났고 1996년에는 1,000개 이상의 회사로 늘어나 20년 만에 경비업체의 수가 100배로 증가되는 추세를 보였다. 그리고 2000년에는 회원사가 1,800여개를 넘어섰고, 2004년에는 2,000여개 이상의 회사로 증가하여, 2007년 2,834개 회사. 2008년 3,043개, 2009년 3,270회사로 꾸준한 양적증가추세를 보이고 있다. 경비원의 수도 지속적으로 증가하여 2009년 현재 14만 6천여 명이 민간경비업무에 종사하고 있으며, 과거에 비해 전문화되어가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민간경호경비산업의 발전은 사회범죄의 증가에 근거를 두고 있으며, 따라서 사회범죄가 지속되는 한 민간경비산업의 성장도 지속 될 전망이다. 시민들의 ‘안정’된 삶과 ‘안전’한 생활이 민간경비에 대한 기대심리로 나타나면서 민간경비산업의 발달을 촉진하는 기폭제로 작용 되고 있다.

      • 시설 아동의 심리 정서적 지원으로서 집단미술치료 사례연구 : D. Winnicott의 정서발달 이론을 중심으로

        노정현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case study was to examine how group-art therapy affected the emotion, behavior and thinking of institutionalized children as a vehicle of providing psychoemotional support.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four school boys and girls who had resided in a shelter in the city of A for a long period of time. An 12-session experiment was conducted from February through May 2007, 80 minutes each at 4 and 5 p.m., once or twice a week on Wednesdays and Fridays.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group-art therapy grounded in Winnicott's emotional development theory served to help the institutionalized children build self-esteem and had a positive impact on them. Second, they got to express their feelings in diverse ways and underwent a favorable change in the course of participating in the group-art therapy program that offered psychoemotional backing. Third, the group-art therapy that provided psychoemotional support encourage the institutionalized children to behave in a more active manner, and they came to adjust themselves better to the shelter and school. The findings of the study illustrated that therapeutic environments built on Winnicott's emotional development theory was effective in ironing out problems with the psychoemotional development of the institutionalized children and in expediting their emotional development. 본 연구는 시설에서 생활하는 아동을 위한 심리, 정서지원으로써의 집단미술치료가 아동의 감정과 행동, 사고에 어떠한 효과를 미치는지 사례를 통해 탐구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은 A시 A시설에서 장기생활 중인 초등학생 남녀 총 4명으로서 2007년 2월~ 2007년 5월 주 1-2회(매주 수, 금)에 걸쳐 80분씩(오후 4시~5시)에 총 12회기를 진행 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위니캇 이론의 정서발달을 기초로 한 집단미술치료는 시설아동의 자존감 형성에 도움을 주고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심리 정서적 지원인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에서 나타나는 정서표현이 다양해지고 긍정적으로 변화됨이 검증 되었다. 셋째, 심리, 정서적 지원으로서의 집단미술치료가 시설아동의 행동이 적극적으로 변화되고 시설과 학교생활에서 적응행동이 증가된 것으로 밝혀졌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하여 시설아동이 갖는 심리, 정서적인 정서발달의 어려움을 해결하고 조력하는 일에 위니컷의 정서발달의 이론을 바탕으로 한 치료환경이 효과적임을 확인 할 수 있다.

      • Angelica 속 식물 정유의 생리활성 연구

        노정현 덕성여자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Angelica species (Umbelliferae) have been important sources for traditional medicines, especially for the treatment of various disorders, as the traditional therapy in Korea and other Asian countries. Consumption of its fresh leaves as a healthy vegetable has recently increased. In this study, essential oil fractions were extracted from the the dried roots of A. koreana. A. tenuissima, A. gigas and A. acutiloba by steam distillation. Compositions of the essential oil fractions were compared by gas romatography-mass spectrometry (GC-MS). The antibacterial activities of the essential oil were determined against eighteen strains of food-borne pathogenic bacteria by the broth dilution method. In addition the antifungal activities were accessed against five Aspergillus and three Trichophyton species. DPPH radical scavenging, nitric oxide inhibition and reducing power tests were performed to evaluate their antioxidant activities. The cytotoxic activities of the essential oil against a human breast and a uterine cancer cell line were estimated by MTT assay tests. Additionally, the morphological changes after treatment of the oil fraction were observed under a microscope. A single-dose oral toxicity study was performed with the volatile oil fraction from the roots of A. koreana in male specific-pathogen-free ICR mice. The test substance was administered at doses of 1,000 and 2000 mg/kg. A group of five mice were treated with each dose. Mortalities, clinical signs and body weight change s were monitored for 10d compared to the vehicle control group. The essential oil fractions of the studied four Angelica plants showed significant inhibited the growth of the bacterial strains examined, with minimum inhibiting concentrations (MICs) ranging from 0.50 mg/ml to 8.00 mg/ml. Their MICs against the tested Aspertillus species were between 0.12 mg/ml to 4.00 mg/ml and respectively Trichophyton species were between 0.06 mg/ml to >0.50 mg/ml. Additionally, the essential oil fractions of the Angelica species exhibited dose-dependent antioxidant properties. Additionally, cytotoxic activities of these essential oils were observed for human uterine (Hela), liver (Sk-Hep-1) and breast (MCF-7) and stomach(MKN-45) cancer cell lines in MTT assay tests. Angelica 속 (Umbelliferae)은 특히 한국과 다른 아시아 나라들에서 다양한 질병의 치료를 위한 전통적인 약물에 대한 중요한 원천이었다. 건강 야채 등의 신선한 잎의 소비가 최근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수증기 증류법을 이용하여 강활, 고본, 참당귀와 일당귀의 건조 뿌리로부터 정유를 분획하였다. 정유 분획의 조성은 GC-MS에 의해 비교분석 하였다. 정유의 항균 활성은 배지 희석법에 의한 식중독 병원성균의 열여덜 균주에 대하여 측정하였다. 또한 항진균 활성은 다섯 종의 Aspergillus와 세 종의 Trichophyton에 대하여 측정하였다. DPPH 라디칼 소거, 아질산염 소거능 그리고 환원력 측정은 네 정유의 항산화 활성 평가를 위해 수행하였다. 인간 유방과 자궁암 세포주에 대한 정유의 세포독성 활성은 MTT assay 실험에 의해 평가를 하였다. 또한, 정유 분획의 처리 후 형태학적 변화를 현미경으로 관찰하였다. 단회 경구 투여 독성 연구는 특정 병원체가 없는 수컷ICR마우스에서 강활의 뿌리로부터 분획한 정유로 수행하였다. 시험 물질은 1000과 2000 mg/kg의 용량으로 투여하였다. 다섯 마리씩 한 그룹으로 하여 각 양을 투여하였다. 치사율, 임상 증상 및 체중 변화(S)는 차량 대조군에 비교하여 10일 동안 모니터링 하였다. 연구 된 네 Angelica 식물의 정유 분획은 0.50 mg/ml에서 8.00mg/ml까지의 최소억제 최소억제농도(MICs) 범위에서 검사 균주의 성장 억제가 나타났다. 실험 된 Aspertillus종은 0.12 mg/ml에서 4.00 mg/ml 사이였고, Trichophyton 종은 0.06 mg/ml에서 >0.50 사이였다. 또한, Angelica 종의 정유 분획은 농도 의존적 항산화 특성을 나타내었다. 또한 이러한 정유의 세포독성 활성은 MTT assay실험에서 인간의 자궁암세포(HeLa), 간암세포(Sk-Hep-1) 와 유방암세포(MCF-7)와 위암세포(MKN-45)에서 관찰되었다.

      • 정적분석 도구를 이용한 지역 SW개발 업체의 결함 유형분석

        노정현 동의대학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우리는 새로운 기술과 기존의 기술이 다양한 형태로 결합된 사회에 살고 있다. 또한 소프트웨어 사용자들의 기대치는 발전해 가는 기술만큼 점점 높아지고 있다. 사용자들의 높은 기대치를 만족시키기 위하여 개발자들은 고품질의 소프트웨어를 제작하여야만 한다. 소프트웨어는 우리생활의 돈이 거래되는 비즈니스 영역부터 일상생활에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는 영역까지 많은 부분에서 사용되고 삶에 기여하고 있다. 그러한 소프트웨어들이 정확한 동작을 하지 못한다면 다양한 문제가 발생한다. 소프트웨어의 오작동으로 발생한 문제에 대한 피해는 소프트웨어에 따라 생명, 금전, 시간, 이미지 손실과 같은 심각한 문제를 일으킬 수 있다. 결함에 의해 발생하는 문제들은 개발자들이 100% 완벽하게 프로그램을 개발할 수 없기 때문에 발생한다. 또한 사용자들의 기대치를 만족시키기 위하여 복잡해진 코드나 기술, 잦은 시스템환경 변화 등이 원인이 될 수 있다. 또한 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있어 한정 된 시간이 소프트웨어의 품질에 영향을 준다고 할 수 있다. 위와 같은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테스트가 중요하게 요구되며 테스트 기법으로는 실제 소프트웨어를 작동 시키며 분석하는 동적 분석 기법과 소 프트웨어를 작동 시키지 않고 분석하는 정적분석 기법이 있다. 본 논문에서 사용 할 정적분석도구는 조기에 소스코드나 모델에서 결함을 발견하고 조치를 할 수 있게 도와주며, 동적 테스트를 통해 발견하지 못한 결함을 찾아주어 코드의 유지보수 및 효율성을 높여 준다. 본 논문에서는 지역 소프트웨어 개발업체가 수행한 정적분석 결과를 기반으로 결함유형과 결함이 발생한 원인 등을 다각도로 분석하여 주요 결함 유형을 판별하고 그 주요 결함에 맞는 해결방안을 제시하여 고품질의 소프트웨어를 개발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 품질 개선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 멀티미디어 기술을 활용한 초등학교 수준별독서교육 지원시스템 개발 및 효과 검증

        노정현 광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47631

        제7차 교육과정에서도 '세계화, 정보화에 적응할 수 있는 자기 주도적 능력의 신장'을 강조하고, 추구하는 인상도 '폭넓은 교양을 바탕으로 진로를 개척하는 사람'을 요구하고 있으며 독서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다. 독서교육에서 적합한 책을, 적합한 대상에게, 적합한 시기에 주어는 것이 중요하다. 수준별 독서 지도를 위해서는 학습자 개개인의 독서 능력을 판별할 수 있는 진단 도구와 이들에게 적합하게 제공될 독서 지도가 있어야 한다. 그래서 학습자들의 독서 능력을 진단할 수 있는 진단 프로그램, 독서능력에 알맞은 도서 및 독서방법 안내, 멀티미디어 기술을 활용한 독후활동 등 멀티미디어 기술을 활용한 초등학교 수준별 독서교육 지원시스템이 개발되었다. 초등학교 학생들의 독서능력과 수준을 고려한 독서교육을 위해 본 연구진이 선행연구로 개발한 멀티미디어 기술을 활용한 수준별 독서 지원시스템에서는 학생들의 독서능력을 진단할 수 있는 진단지, 독서능력에 알맞은 도서 및 독서방법 안내, 멀티미디어 기술을 활용한 다양한 감상표현활동 등을 개발하였다. 그러나 독서교육 방법과 도서는 수준별로 제시하여 주었으나 독후활동은 수준에 관계없이 동일한 활동을 제시함으로써 수준에 알맞은 독후활동의 어려움이 제기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제7차 초등학교 국어과 하위목표와 교육부 ICT 기준안을 고려하여 독서에 흥미를 가질 수 있도록 학생들의 독서능력에 알맞은 멀티미디어 기술을 활용한 수준별 독후활동을 개발하고 수준별 독서교육 지원시스템의 효과 검증을 하고자 하였다. 멀티미디어 기술을 활용한 수준별 독후활동은 웹상에서 안내되고 웹상에서 활동할 수 있으며, 표현 방법에 기존의 텍스트가 아닌 멀티미디어적 요소가 가미되어 학생들에게 독후활동에 대한 흥미와 관심을 높일 수 있었고 이를 통해 독서능력 향상과 자기주도적학습력 신장에 도움을 줄 수 있었다. 수준별 독서교육 지원시스템을 활용한 후 실시한 실험반과 비교반의 진단검사 결과 본 수준별 독서교육 지원시스템이 낱말이해, 추론, 내용확인, 평가 및 감상영역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여주었다. 또한 수준별 독후활동을 통하여 다른 교과목의 학업성취 수준도 향상시키는 효율적 교육 성과달성에 기여할 것이다. 본 연구 결과로 구축된 수준별 독서교육 지원시스템은 독서능력진단부터 수준별 독후활동까지 일련의 과정을 제시하고 있으나 온라인과 오프라인과의 연계를 위한 지속적인 방안을 연구할 필요가 있다. The 7th Korean curriculum also emphasizes 'Development of self-leadership which is able to adapt oneself to the globalization and information age', requires 'a person who carves out a future based on the wide cultural background' and puts a stress on the importance of reading. So providing proper books for proper person in proper period is very important. For leveled teaching for reading, diagnosis tools that can distinguish the reading ability of each student from others and teaching for reading that will properly serve them. In result, an elementary school leveled reading supporting system applying the multimedia techniques like a diagnosis program which diagnoses the reading ability of students, reading materials and a guidance of reading method which are proper for reading ability and activities after reading which are using multimedia techniques, etc. Our research team has developed diagnosis papers which diagnose reading ability of students, reading materials and guidance of reading method which are proper for reading ability and various appreciation expression activities in the leveled reading supporting system applying the multimedia techniques, which is developed as a previous research for reading education that considers the reading ability and level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However some difficulties have been raised in activities after reading proper for level because we suggested them all the same regardless of level though we proposed the reading methods and reading materials by level, We tried to develop the leveled activities post-reading applying multimedia techniques which are proper for reading ability of students and exam the effects of leveled reading supporting system considering the subordinate goal of 7th Korean curriculum of elementary school and the ICT standard of the Education Ministry on this thesis for promoting an interest in reading of students. The leveled activities after reading which are applying multimedia techniques could be guided and applied on the web, and helped develop the reading ability and self-leading learning ability by raising the interest and concern of students in the activities after reading because the multimedia elements, instead of existing text, were added to the expression. As a result of the diagnosis test for the treated group and the control group which was examined after the applying the leveled reading supporting system, this system showed a meaningful differences in the area of word understanding, inference, content confirming, evaluation and appreciation. Also it will contribute to the effective educational accomplishment through the leveled activities after reading. Although the system which has been constructed as a result of this research suggests a series of a process from the diagnosis of reading ability to the leveled activities after reading, it needs consistent researches for connecting the on-line to the off-line.

      • 보육원아동을 위한 장기예술치료의 필요성에 관한 연구 : 멜라니 클라인의 이론을 중심으로

        노정현 명지대학교 사회교육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31

        <국 문 초 록> 보육원아동을 위한 장기예술치료의 필요성에 관한 연구 - 멜라니 클라인의 이론을 중심으로 - 지도교수 김 진숙 작성자 노 정현 서울시의 지원으로 보육원내에 상담실을 포함한 지역아동복지센터의 설치가 빠르게 확대, 지원되고 있는 시점에서 본 연구는 보육원의 열악한 치료의 환경으로 인해 표면적인 행동문제의 해결을 목적으로 했던 단기예술치료에서의 한계를 장기예술치료를 통해 보완하기 위한 목적으로 시행되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위하여 멜라니 클라인 이론을 중심으로 박탈을 경험한 보육원아동의 특징과 정신분석을 배경으로 하는 장기예술치료를 이론적 배경으로 하였다. 유아의 성장과정에서 나쁜 젖가슴과 좋은 젖가슴의 경험이 좋은 젖가슴으로 더 많이 경험될 때 인격적인 전체의 대상으로의 건강한 심리성장이 가능하다고 한 멜라니 클라인의 시각으로 박탈을 경험한 보육원 아동의 사례에 나타난 효과성을 통해 장기예술치료의 장점을 알아보는 것을 연구문제로 제시하였다. 보육원의 단기집단예술치료에 참여했던 10세의 남자 아동을 주1회 76회기로 개별 치료로 진행한 사례를 K-H-T-P그림검사를 도구로 한 사전, 사후 검사결과와 치료과정을 통해 나타난 예술작품과 행동, 멜라니 클라인의 심리성장관점에서의 변화, 분석을 통하여 박탈을 경험하고 적절하지 못한 환경에서 성장하는 보육원아동들이 장기예술치료를 통해 일관적으로 존재하는 좋은 대상과의 순환적 심리성장의 과정을 경험함으로 좋은 내적대상을 확립하여 건강한 아동으로 성장할 수 있었다는 결과를 얻게 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장기예술치료는 단기예술치료를 통해 문제가 재현되거나 반복되는 악순환을 보이는 보육원아동들에 대하여 적절한 치료적 접근이 될 수 있으며, 이로서 보육원아동에 대한 장기예술치료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이 보편화됨으로 보육원아동을 위한 긍정적인 치료적 대안이 될 것이라 사료된다.

      • 가상현실을 이용한 군사 교육훈련 발전 방안 연구 : 휴먼팩터를 중심으로

        노정현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최근 국방 분야에서는 공간적․시간적․재정적 제한적 요소를 해소하기 위해 4차 산업혁명 중 하나인 가상현실 기술을 접목한 시뮬레이션을 통해 과학화 훈련, 조종 및 정비 등 다양한 형태로 여러 분야에서 적극 활용하고 있으며 시범 적용 및 연구를 통해 지금보다 더 확대 적용될 예정이다. 그러나, 군에서는 막대한 예산을 투입하여 뛰어난 기술과 장비를 도입하였음에도 군사 교육훈련 시스템과 평가 체계는 미비한 실정으로 훈련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 사용자가 체험간 느낄 수 있는 가상멀미 증상 등 휴먼팩터를 고려한 훈련체계 정립이 필요한 상황이다. 본 논문에서는 일반사회, 국방 분야에도 급부상하고 있는 4차 산업혁명의 기술 중 하나인 ‘가상현실’ 기술에 대한 정의와 개념을 정리하고 일반사회에서 가상현실기술을 이용한 교육 사례, 국방 분야에서의 국․내외 사례 및 선행 연구를 분석하였다. 특히, 우리나라 18세 이상 성인 중 절반이 안경 또는 콘텍즈 렌즈를 착용하고 있을 정도로 안경 착용자가 많은 환경에서 국방의 임무를 수행하는 장병의 안경 착용률도 해마다 비율이 증가하고 있는 실정인 반면 관련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안경 착용자가 가상현실을 경험시 느끼는 불편감과 가상멀미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실험을 진행하였다. 그 결과, 안면부와 코에 전해지는 압박감으로 인한 불편감이 가상멀미에도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가상현실을 이용한 교육시 가상멀미 증상을 고려한 시간적 통제와 HMD 전용 안경의 필요성에 대한 사항을 도출하였으며, 해당 안경 제작시 고려해야할 사항을 제안할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 교육 대상자의 휴먼팩터를 고려한 교육훈련이 될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군사 교육 훈련시 휴먼팩터를 중심으로 한 교관 및 통제자의 체크리스트를 도출하여 효율성과 효과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발전 방안을 제시하였다.

      • 재난안전사업평가 성과관리분석을 통한 평가지표 표준모형 개발 연구

        노정현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연구는 증명을 추구하고, 평가는 개선을 추구합니다.” -Michael Quinn Patton 재난안전사업평가 제도는 중대 재난 및 잦은 안전사고 발생으로 인명 및 재산피해가 가중되어, 부처별로 흩어져 있는 재난안전사업을 행정안전부(구, 국민안전처)가 총괄적으로 검토하는 ‘재난안전예산 사전협의 제도’의 시행에 따라, 재난 및 안전사업의 효과성과 효율성을 범부처적으로 평가하여 사업의 투자 효율성을 높이고자, 2015년에 재정사업자율평가에서 분리되어 재난안전사업을 전문적으로 평가하기 위해 도입된 제도이다. 하지만, 재정사업평가제도의 변경과 짧은 이력으로 평가제도가 완전하게 정착되지 않았으며, 재난안전사업의 특성과 추진목적이 고려하지 않고 재정투자의 효율성만 강조하는 방향으로 나아가고 있어, 평가지표 등 재난안전사업 평가제도 전반에 대한 개선이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평가제도의 문제점 분석 및 개선과제를 도출하고, 각 부처의 자체평가 담당자가 인명 및 재산피해 저감 사업성과를 제대로 평가할 수 있도록 인명피해 저감 사업 중심으로 표준 평가지표를 발굴하여 재난안전사업 평가에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이 진행되었다. 첫째, 문헌 조사와 재난안전사업평가 제도와 국가안전관리계획, 재난안전예산 사전협의 간의 연계 분석을 통하여 평가제도와 연관 관계 정립 및 평가지표 등 제도 개선에 필요한 사항을 추출하였다. 둘째, 국내외 유사 평가제도 및 선행연구와 평가 항목의 유사성 검토를 거쳐 재난안전사업의 분석을 통한 인명피해 저감 관련 표준평가 적용 대상 사업을 분류하여 인명피해 저감 사업 분야의 궁극적인 성과를 측정할 수 있는 평가지표 표준모형을 개발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하여, 평가 총괄담당자가 자체평가 및 유형별 평가를 위한 재정성과관리체계 재정립뿐만 아니라, 각 평가의 평가지표의 체계를 개편하고, 각각의 평가의 목적에 맞는 평가지표를 개발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 또한, 부처 사업담당자들이 해당 사업의 성과관리체계를 새롭게 정립하고, 사업추진 성과 및 효과를 분석할 수 있는 적합한 성과지표를 만들어 원활하게 성과관리를 수행하게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부처의 자체평가 담당자는 해당 부처의 사업을 평가하는데 적절한 자체 평가지표를 만들어 효율적으로 평가를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재난안전사업의 유형에 특화된 재정성과목표관리체계 재정립과 평가유형에 맞는 평가지표 개발을 통하여 평가한다면, 재난 및 안전관리의 궁극적 목표인 인명과 재산피해 저감에 이바지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Research seeks to prove, evaluation seeks to improve.” - Michael Quinn Patton The disaster safety program evaluation system was introduced in 2015 to evaluate disaster safety programs professionally, and it was separated from the self-evaluation of financial programs. This is a result of the 'Disaster and Safety Budget Pre-Consultation System', which is being comprehensively reviewed by the Ministry of the Interior and of Safety (formerly known as the Ministry of Public Safety and Security), and relates to disaster and safety management programs divided up among departments responsible for serious disasters and for more frequent safety-related accidents. In accordance with the implementation of this review, it is intended to improve the investment efficiency of the program by evaluating the effectiveness and efficiency of disaster and safety programs across the Ministry of the Interior and of Safety. However, due to the change and short history of the financial project evaluation system, the evaluation system was not fully established. In addition, as the government is moving toward emphasizing the efficiency of fiscal investments without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disaster safety programs and the purpose of their implementation, improvements in the overall evaluation system of disaster safety programs, including evaluation indicators, is required.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problems of the evaluation system and to draw up improvement tasks, and to find standard assessment indicators centered on the program for casualty reduction and to utilize it for evaluation of disaster safety programs so that the personnel in charge of self-assessment of each department can properly evaluate the performance of the program to reduce casualty and property damage. To this end, the study was conducted as follows: First, through a literature review and analysis of links between the disaster safety program evaluation system, the national safety management plan, and prior consultation on the disaster safety budget, the matters necessary for the improvement of the system were extracted, including the establishment of a relationship between the assessment system and the evaluation indicators. Second, a model of evaluation indicators was developed that could measure the ultimate performance of the program for casualties reduction by categorizing programs subject to standard assessment related to reduction of human casualties through analysis of disaster safety programs after reviewing similar assessment systems at home and abroad and after reviewing prior research and assessment items. Through the result of this study, it was helpful for the in charge of evaluation to not only re-establish the financial performance management system for self-evaluation and type evaluation, but also to reorganize the evaluation indicator system for each evaluation, and to develop evaluation indicators suitable for the purpose of each evaluation. In addition, the department's project managers can establish a new performance management system for the project and create appropriate performance indicators that can analyze the project promotion performance and effects to facilitate performance management, and also efficiently conduct evaluation by creating self-evaluation indicators suitable for evaluating their programs. Therefore, if the evaluation is conducted through the re-establishment of the financial performance goal management system specialized for the type of disaster and safety project and the development of evaluation indicators suitable for the evaluation type, it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the reduction of human and property damage, the ultimate goal of disaster and safety managem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