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신호 처리를 통한 영상 표현 : 인식의 동일성과 관념성

        노재형 서울시립대학교 디자인전문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47

        일상생활, 학문, 예술 분야를 막론하고 우리 삶의 대부분의 영역에 디지털 미디어가 사용된다. 미디어는 일련의 정보의 집합인 신호를 매개하는데, 디지털 미디어는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로 변환하여 활용하는 신호 처리 과정을 거친다. 뉴미디어 아트에서 컴퓨터 및 디지털 기기를 사용하여 제작된 예술 작품은 마찬가지로 디지털 신호 처리를 사용한 영상의 표현 기법을 사용한다. 본 연구는 신호 처리의 과정과 외부 대상으로부터 정보를 얻는 인간의 인식 과정에 유사성이 있음에 주목하였다. 따라서 신호 처리의 기본 개념을 공학 이론을 통해 정리하고, 인간의 인식 과정의 특징을 철학 및 심리학의 이론에 비추어 파악하였다. 수많은 정보를 취사선택하며 생존을 위해 진화한 인간의 인식 방법은 디지털 발명품의 작동 방식에 그 원리가 그대로 재현되어 있다. 신호 처리의 샘플링과 양자화 개념은 인간의 인식틀의 모사이며, 인식의 동일성과 관념성의 한계적 특징을 파악함으로써 인식 지평의 확장 가능성을 엿볼 수 있다. 본 연구는 관념과 실재, 관점과 환원적 인식, 인식의 흐름과 경계, 자기동일성의 네 가지 주제를 다루었으며, 이와 관련된 인식틀을 표현하는 작품을 제작하여 이를 설명한다. 작품이 표현하는 인식틀은 신호 처리를 통한 영상 표현의 알고리즘을 그대로 반영한다. 제시된 작품을 통해서 신호 처리를 통한 영상 표현의 다양성이 인식 지평의 확장과 연관되어 있음을 주장한다. Digital media have been playing over the all parts of our life, including everyday activities, studies, and arts, etc. Media uses signals as a sequence of information, of which digital media takes signal processing of transforming analog signal into digital one. In new media art, the artworks with computer or digital devices, are also created by digital signal processing as representation techniques for visual images. This paper noticed the similarity between the signal processing and human cognitive process of achieving information from the outside. Thus, the fundamental concepts of the signal processing will be investigated in terms of engineering theory, and the characteristics of human cognitive process will be studied in view of philosophical and psychological theories. The principles of the human process applies to the working process of digital devices, which has been evolved over the tens of millions of years through information selection process, 'take it or leave it'. The sampling of signal processing and the theory of quantization are the reflection of cognitive framing. The access to the limitations of cognitive identity and ideality, meanwhile, will open a new prospect in human cognition. The paper had dealt with existence and idea, perspective and reductive cognition, the flow and boundary of cognition, and self-identity, and it elucidated the four themes by designing the works representing cognitive framing of the four. The works showed the cognitive framing with the same as the algorithm for expressing images by the signal processing. They, thus, can identify the possibility of expanding the human horizon with the various ways the signal processing expresses images.

      • 중환자실 간호사에 의해 수행된 기계호흡 이탈지침이 기계환기 이탈시간에 미치는 영향

        노재형 울산대학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목적: 간호사나 호흡치료사에 의해 수행되는 프로토콜화된 이탈지침의 사용이 기계호흡 시간을 줄일 수 있다고 많은 연구에서 보고 되었다. 그러나 종래의 이탈지침에서 인공호흡기의 조작은 모두 임상의들에 의해 시행되고 있어, 기계호흡치료를 받는 환자에게 들어가는 인적자원을 효율적으로 배분하는 데에는 여전히 한계가 있고, 호흡치료사가 없는 국내에서 이러한 이탈지침의 효용성 역시 연구된 바가 없다. 이에 저자들은 호흡부전에서 회복된 환자에서, 간호사에 의해 수행되는 기계호흡 이탈지침에 따른 인공호흡기 조작이 폐쇄단위로 운영되는 중환자실에서 중환자실 전담 의사에 의해 시행되는 통상적인 이탈법에 비해 기계환기 시간을 줄일 수 있는 가 에 대해 알아보기로 하였다. 대상 및 방법: 전향적 무작위 대조 임상시험으로 2007 년 1 월부터 2009 년 1 월까지 서울아산병원 내과계중환자실에 입원하여 기계환기 치료를 받은 환자 중 호흡부전에서 회복되어 등록기준에 부합된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이탈지침군의 인공호흡기 조작은 정해진 이탈지침에 따라 간호사에 의해 수행되었고, 대조군은 종래의 방법과 같이 전적으로 임상의의 판단에 따라 인공호흡기 조작이 시행되었다. 결과: 이탈지침군과 대조군은 각각 61 명으로, 나이는 이탈지침군과 대조군에서 각각 64.2 ± 13.0, 63.4 ± 13.3 세 였고 (p = 0.721), 여성이 각각 19 (31.1%), 14 (23.0%) 명 이었다 (p = 0.308). 이 밖에 다른 임상적 특성과 APACHE II 점수로 평가된 중증도는 두 군에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기계환기 이탈 성공률은 두 군에서 차이가 없었고 (46 명, 75.4% vs 47 명, 77.0%, p = 0.832), 다변량 분석에서는 성별 (Hazard Ratio [HR], 0.530; 95% Confidence Interval [CI], 0.335 – 0.840; p = 0.007), 가장낮은 PaO2/FIO2 (HR, 1.008; 95% CI, 1.005 – 1.012; p < 0.001) 가 이탈 성공률과 독립적 상관관계를 보였지만 기계호흡 이탈지침은 이탈 성공률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1 차 유효성 지표인 기계환기 이탈 소요 시간은 이탈지침군에서 유의하게 짧았다 (중앙값 [사분위수범위]: 25 시간 [5.75 – 134 시간] vs 47 시간 [24 – 186 시간]; p = 0.010). 다변량 분석에서, 기계환기 이탈지침의 기계환기 이탈 소요 시간 감소 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경향을 보였다 (p = 0.069). 결론: 간호사에 의해 시행된 기계호흡 이탈지침은 임상의에 의해 시행된 일상적인 이탈법에 비해 이탈 성공률의 차이는 없었으며, 기계호흡 이탈 소요 시간과 총 기계환기 시간을 유의하게 줄일 수 있었다. 이는 아직 중환자실 전담의사의 수가 부족하고, 호흡치료사가 없는 중환자실이 많은 국내에서 중환자 치료의 질적 향상에 기여할 수 있으리라고 생각된다.

      • 전류 부정합 감소를 위한 전하 펌프 설계

        노재형 전북대학교 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31

        A charge pump circuit is an important component in phase-locked loops(PLLs) for clock generators and frequency synthesizers. The nonidealities of the charge pump lead to a phase offset and reference spurs in frequency synthesizers. In this thesis, the nonidealities of the charge pump due to the leakage current, the timing mismatch, the charge injection, the clock feedthrough, the current mismatch, and charge sharing are analyzed. Also, several architectures of the charge pump are investigated and their performances are compared. The proposed charge pump is focused on current mismatch reduction. The proposed charge pump with a regulated cascode cirucuit to increase the output resistance improved the current matching characteristics. The proposed charge pump was designed by using 0.18m 1.8V CMOS technology. The measurement results show that the maximum variation of the charging/discharging current over the charge pump output voltage range of 0.5V∼1.2V is approximately 1.5%.

      • 고속철도 전차선로 유지보수 개선 방법에 관한 연구

        노재형 우송대학교 철도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1989년 고속전기철도 건설 결정 시점부터 2004년 4월 경부고속철도 1단계 서울~대구간 개통이후 전차선로 설비의 각종 장애가 발생하였으며 특히 드롭퍼 단선 장애가 년간 50개소 이상 발생되어, 이에 대한 전차선로 각종 설비의 장애원인 및 대책 강구가 필요하였다. 고속철도 전차선로는 프랑스 고속철도 시스템을 직접 한국에 설치하였으며, 이에 대한 국내 지역적 환경과 계절적 특징, 전차선로 유지보수 점검시간, 자재수급 현황등의 요소를 분석하고 이러한 요인이 전차선로 설비에 미치는 영향을 도출하고 또한 고속철도 전차선로 설비의 장애원인 분석을 통하여 설비의 안정성 향성과 각종 설비의 유지보수 방법 개선방향을 제시하여 유지보수관리 체계를 효율화하는데 그 목적을 삼았으며, 이에 대한 연구 논문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첫째, 고속철도 전차선로 설비의 국내유지보수 자료 조사 및 분석 중 ○ 전차선로 각종 설비에 대한 국내 기술기준 조사 ○ 전차선로 각종 설비의 장애현황 분석 및 조사 둘째, 전차선로 설비의 유지보수 방법 개선 마련 대책 중 ○ 각종 전선류(드롭퍼) 표준 이격거리 확보 및 유지보수 개선 방법 제안 ○ 각종 설비 장애에 따른 유지보수 개선 방법 제안 ○ 각 유지보수 주기별 전기시설물 유지보수 개선방법 마련으로 구성되었고 연구결과를 기술함에 있어 경부고속철도 개통이전부터 현재까지 전차선로 시스템시설물을 유지보수를 시행하면서 다양하고 복잡한 장래사례가 발생하였고 이를개선하고자 많은 시행착오와 새로운 방법을 접목하여 제시함으로써 지금의 고속철도 전차선로 시설물 및 유지보수 체계가 특히 각종 시설물중 전선류를 분석한 결과 드롭퍼의 경우 일부개소에서의 기계적 파단면 분석은 일부의 파면에서 크랙(Crack) 발생 후 전파된 해안자국(Beach mark)이 관찰되었고, 파면의 전반에 걸쳐 이물질이나 결함의 흔적은 관찰되지 않았으며 반복적인 피로에 의한 파단으로 분석 되었다. 또한 각종 전선류를 지지하는 브래키트 및 금구류에서는 열차운행에 따른 마모현상이 진행되었지만 시설물 개량시기에는 미치지 못했다, 하지만 열차운행 확대 및 유지보수시간 단축에 따른 별도의 대책이 필요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특히 전차선 클램프, 균압선(128번), 터널내 자동장력조정장치와 각종 애자류, 에어죠인트, 에어색션, 건넘선 개소의 균압선등은 현재의 유지보수시 특별한 관심을 가지고 작업에 임하여야 하며 향후 별도의 대책을 수립하여 점검 및 유지보수 주기를 단축하거나 시설물 개량을 시행하여 열차안전운행에 만전을 기해야 된다는 연구결과가 도출되었다.

      • 진행성 위암에서 Nitric oxide synthase 아형들의 발현 양상과 Helicobacter pylori 감염과의 관련성에 대한 연구

        노재형 인하대학교 대학원 2002 국내박사

        RANK : 247631

        Nitric oxide synthase (NOS)는 인체의 종양 세포주와 고형종양 조직에 존재한다. 88명의 진행성 위암 환자에서 종양 조직과 종양 주위의 정상 점막에서 NOS의 세가지 아형들의 발현을 조사하였다. 정상 점막에서 내피성 NOS(eNOS)는 주로 내피 세포와 점막 상피 세포에서 발현되었으며 신경원성 NOS(nNOS)는 주로 신경섬유와 점막 상피세포의 기저부에서 발현되었다. 정상적인 위 점막세포의 대부분에서는 유도성 NOS(iNOS)는 발현되지 않았지만 염증세포와 장형화생세포에서는 강하게 발현되었다. 88 명의 위암 환자의 조직 중 eNOS 는 51 명(58.0%), nNOS 는 67 명(76.1%), iNOS 는 63 명 (71.6%)에서 발현되었다. 미만형의 선암보다 장형의 선암에서 eNOS(p=0.001)와 nNOS(p=0.002)의 반응이 높게 나타났다. 종양 세포들이 분화되었을수록 모든 형의 NOS(eNOS, p=0.000 ; nNOS, p=0.017 : iNOS, p=0.042)의 발현이 높았다. eNOS 는 남자 환자에서 발현이 높았고 nNOS 는 50 세 이상인 환자에서 발현이 높게 나타났다. iNOS는 종안의 크기가 5㎝ 보다 작은 경우에 강하게 발현되었다. 다른 임상병리학적 인자들 즉 림프혈관성 침윤, 신경주위 침윤, 침윤깊이, 림프절 전이 등은 NOS 발현과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종양세포 주위의 정상 점막에서 H.pylori 의 존재는 iNOS의 발현과 연관성이 있었으며(p=0.011) eNOS나 nNOS의 발현과는 연관성이 없었다. 이러한 결과로 볼 때 NOS 의 세가지 아형들이 모두 위암 발생에 관련되는 것으로 추정되고 eNOS 와 nNOS, iNOS 모두 예후가 비교적 좋은 임상병리학적 인자들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iNOS 는 H. pylori 양성인 환자에서 발현이 의미 있게 증가한 것으로 보아 H. pylori 와 연관된 위암의 발생에서 iNOS 가 관여할 것으로 생각된다. It has been reported that nitric oxide synthase (NOS) isotypes are present in human tumor cell lines and solid tumor tissues, The expression and cellular localization of three isotypes of nitric oxide synthase (NOS) was studied in the 88 advanced gastric carcinoma tissues together with adjacent normal mucosa. Endothelial NOS (eNOS) was detected mainly in the endothelial cells and mucosal epithelial cells. Neuronal NOS (nNOS) was detected mainly in the nerve fibers and mainly at the basal portion of the mucosal epithelial cells. Most of the normal gastric mucosal cells did not express iNOS, however, inflammatory cells and intestinal metaplastic cells revealed strong immunoreactivity, The tumor tissues of fifty one (58.0%),67 (76.1%), and 63 (71.6%) patients among 88 cases expressed eNOS, nNOS, and iNOS, respectively. Intestinal type adenocarcinomas tended to express the high level of eNOS (p=0.001) and nNOS (p=0.002) than diffuse type adenocarcinomas. All types of NOS (eNOS, p=0.000 ; nNOS p=0.017 ; iNOS, p=0.042) tended to be highly expressed in the well-differentiated tumors. eNOS revealed higher expression in tumors of male patients than those of female patients. In tumors of patients who are older than 50 years, nNOS was expressed more strongly. Tumors smaller than 5 cm in diameter showed the higher expression of iNOS. The NOS expression and other clinicopathological parameters including lymphovascular invasion, perineural invasion, depth of invasion, and lymph node involvement did not reveal statistically significant relationship. The coexistance of H. pylori in the adjacent normal mucosa was correlated with iNOS expression (p=0.011) but not with eNOS or nNOS express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all three isotypes of NOS have been implicated in gastric carcinoma development and related with clinicopathologic parameters associated with good prognosis. Expression of iNOS was significantly increased in H. pylori-positive cases, which suggests the contribution of iNOS in H pylori- associated gastric carcinogenesis.

      • 전력산업 구조개편에 따른 대체에너지 기술도입정책, 환경영향평가 및 경제성 분석에 관한 연구

        노재형 弘益大學校 大學院 2002 국내석사

        RANK : 247631

        현재 전세계적의 전력산업 주변 환경은 시장체제로 급변하고 있다. 이러한 전력산업의 경쟁도입은 에너지 시장에 막대한 영향을 미칠 것으로 판단되며, 특히, 환경친화적인 대체에너지원 등의 신기술의 전력시장에의 침투에 막대한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된다, 이는 전력산업 개편을 이룬 영국, 미국 등의 국가에서 이미 관찰되고 있으며, 이러한 선진국들은 현재 대체에너지기술의 지속적인 도입을 위하여 에너지정책, 경제성 분석 기법, Green Pricing 등 새로운 제도의 개발 등에 관한 적극적인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대체에너지기술과 기존의 전력기술 사이의 경제성 분석/비교, 환경영향 평가 등을 위해서는 이러한 각 기술에 대한 국내·외의 기술적/경제적/환경적 자료에 대한 DB를 구축하는 것이 우선되어야 하지만 현재로서는 미흡한 상황이다. 이러한 DB는 우리나라의 에너지정책, 환경정책 및 기술개발정책 수립에서 가장 중요한 부문이며, 이를 기초로 각 기술의 경제성 평가, 환경영향평가 등을 분석할 수 있는 Package/Tool이 필요하다. 이러한 상황에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하나의 방안은 현재 IAEA를 주축으로 8개 국제기구가 공동으로 개발중인(시제품은 완성) DECADES(Databases and Methodologies for Comparative Assessment of Different Energy Sources for Electricity Generation) 프로그램을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것이다. DECADES 프로그램의 개발 목적은 에너지공급에 있어서 환경영향을 최소화하고, 인간의 삶에 대 한 질을 향상시키면서 경제성장을 지속할 수 있는 항구적 에너지전략을 개발하는 데 있다, 발전자원간의 비교평가(비용, 환경, 보건 등) 및 Database 구축을 위해서 는 DECADES 프로그램의 활용이 필요하며, 궁극적으로 보급 촉진 방안을 시스템적인 차원에서 연구할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요구에 부응하여 발전기술의 경제성/환경영향을 종합적으로 비교평가 하는 새로운 접근 방법에 대한 연구 결과와 동향을 조사하고 전력 정책, 대체에너지정책 등의 분석에 활용할 수 있는 진보된 분석 절차 및 방법론들 과 이를 활용하기 위해 요구되는 정보와 의사결정 체계 구축을 위한 기반을 마련 하고자 하였다. 또한 DECADES 프로그램의 기능과 알고리즘을 분석하고, DECADES 프로그램을 활용해 신재생에너지 보급 확대를 위한 방안으로 국내에 신재생에너지 의무 할당제(Renewable Portfolio Standards, RPS)를 도입할 경우 환경영향(이산화탄소 배출량의 변화 등)과 경제성에 미치는 영향을 계량적으로 분석하였다, 동시에 DECADES에서 생성된 발전기술별 비용자료와 환경 배출량을 이용하여, 오염물질 배출에 의한 환경영향의 비용(Damage cost)을 변화시키면서 발전기술의 전체 비용평가를 수행하여 접점(break even point)을 도출하고자 한다. 이 값은 세금 또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국가의 에너지정책 및 전력정책의 기본 방향 결정에 활용될 수 있으며, 장기적으로 신재생 에너지원의 도입 방향(기술적, 경제적 측면) 등에도 적극적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국가의 에너지정책 및 전력정책의 기본 방향 결정에 활용될 수 있으며, 장기적으로 신재생에너지원의 도입 방향(기술적, 경제적 측면)등에도 적극적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경쟁적 전력시장에서의 전력신기술의 개발 및 확산 추진방향 연구를 통하여 국가 에너지안보 차원, 기후변화협약 대응 차원에서의 전력시장과 국가 정책사이의 Trade-off 분석을 시행 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Electricity industry restructuring introducing the competitive market became a worldwide trend. The introduction of competition will make a big influence on the energy market. Especially, the impact on the market penetration of new environmentally friend technologies is expected to be enormous. This phenomenon is observed in many countries such as U.K, and U.S.A, where electricity industry reshaping is under going. In this circumstances, many countries make studies vigorously on the energy policy, economic analysis methodologies, computer models and pricing mechanisms to help the market penetration of renewable energy. It is well known that the establishment of database on economic, technical and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of energy technologies, metero1ogical data, dose response function etc. is the most needed activity in order to make a comparative assessment for the sustainable development, However, the status of such database is still unsatisfactory in Korea, Thus, much efforts should be made to establish the fundamental database on the energy technologies, With the lack of database, few tool for the comparative analysis is available. One way to cope with these problem is to use the DECADES(Database and Methodologies for Comparative Assessment of Different Energy Source for Electricity Generation) program, being developed through the cooperative work by 8 international organizations including International Atomic Agency, The goal of the DECADES program is to develop a sustainable energy policy that could contribute to the minimization of environmental impacts, the improvement of human being's quality of life and the continuous economic development. This thesis reviews the study results and trends of the comparative assessment methodologies which can be used for comprehensive analysis considering both economic effect and environmental impacts. It also tries to identify the information needed for the analysis of electricity policy measures and national renewable energy 1101icy and to establish a decision making framework. In addition, this thesis analyzes the function and algorithm of the DECADES program and establish a country database of generating technologies and Korean electricity System. With the DECADES program, the environmental impact and economic effect by introducing Renewable Portfolio Standard into Korean electricity System is assessed quantitatively and the generation cost variation of electricity generation technologies in pursuant to the variation of environmental impact cost was evaluated. The values gained from this evaluation are expected to be useful in determining the level of subsidy or tax to promote the renewable energy use. A bottom up approach is adopted for the evaluation of air pollutant emission and its impact by RPS scenarios. The amount of pollutant emission is calculated by DECADES program. To evaluate environmental damage costs of RPS scenarios, the Extern-E results and Thailand externality study by EGAT is quoted, The damage costs of theses studies are modified in proportion to each country's purchasing power parity 0DP. Decision aiding tool, DAM, is used to make a trade off analysis among RPS scenarios.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ful in determining or analyzing the national electricity policy and energy policy, Particularly, the microscopic features of this study could complement studies using macroscopic equilibrium model for evaluating environmental impacts of electricity industry.

      • 창업보육사업에 대한 지방자치단체의 지원 실태와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 광주광역시를 중심으로

        노재형 광주대학교 산업대학원 2001 국내석사

        RANK : 247631

        IMF의 경제관리라는 경제위기를 겪으면서 정부의 정책방향이 대기업 위주의 수출지향정책방향에서 중소·벤처기업 육성정책으로 바뀌고 있다. 정부는 이중벤처기업에 대한 지원시책으로 벤처기업에게 직접금융의 활성화, 기술인력공급 및 입지공급의 원활화 등의 적극적인 지원을 하고 있다. 이에 대한 일환으로 정부의 각 부서 및 지방자치단체 등이 각각의 특징과 성격에 맞추어 창업보육센터를 설립하여 지원하고 있다. 창업보육사업이란 새로이 창업하여 자생력이 미약한 중소기업을 입주시켜 도와주는 사업이다. 창업보육사업은 정부 및 지방자치단체들이 벤처기업의 창업 및 사업을 지원하기 위한 가장 직접적이고 효과적인 방안이라고 할 수 있다. 특히, 지방자치단체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로는 기술혁신 결과의 촉진 및 신산업창출, 고용창출 등을 통한 세수증대 등 지방경제 활성화에 기여한다는 점이다. 이러한 점을 감안할 때, 지방자치단체는 지역중심 발전방식의 중요한 수단으로 창업보육사업을 인식하고 이를 위해 많은 지원을 아끼지 말아야 한다. 그러나, 이러한 현실에도 불구하고 지방자치단체인 광주광역시의 창업보육사업에 대한 지원은 매우 미약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창업보육사업에 대한 지방자치단체의 지원이 미약한 원인으로 세 가지를 제시하였다. 첫째로, 지역의 중점현안사업에 대한 과대 투자사업비 책정을 제시하였고 둘째로, 광주광역시의 빈약한 제정자립도를 제시하였으며 셋째로, 정책담당자의 중요성 인식부족으로 인한 투자우선순위 하위배정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이에 대한 개선방안을 두 가지 측면으로 제시하였는데 첫째는 인식제고의 측면으로 창업보육사업에 대한 투자우선순위 상위 배정을 제시하였고 둘째는, 제도적 측면으로 자금지원의 적극화와 민관 「파트너쉽」강화, 벤처육성 종합관리센터의 설치 촉구를 제시하였다. 이러한 개선방안을 통해 창업보육사업에 대한 지방자치단체의 지원이 강화된다면 지역경제의 활성화에 많은 도움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 비 허혈 유발 관상동맥 협착에 대한 이식혈관의 장기 개통율 연구

        노재형 울산대학교 2016 국내박사

        RANK : 247631

        배경 관상동맥을 통한 경쟁적 혈류(CF: competitive flow)의 존재와 이식편의 실패와의 관계에 관한 연구들은 대부분 CF 존재의 대리 표지자로 근위 관상동맥의 협착 정도를 사용하였다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저자들은 심근관류영상(MPI: myocardial perfusion image)상의 허혈 유발 관상동맥 병변과 비 허혈 유발 관상동맥 병변에 이식된 우회로의 개통율을 비교하고자 한다. 연구 방법 1997년부터 2011년까지 관상동맥우회술(CABG: coronary artery bypass grafting)을 시행 받은 환자 중 수술 전 관상동맥 조영 영상과 MPI가 있는 2304명(7613 이식편)의 환자가 단일 기관 레지스트리에서 추출되었다. 수술 전 MPI 결과에 따라, 이식편들은 각각 허혈 유발 병변에 이식된 우회로(ischemia-related graft, 4904개) 와 비 허혈 유발 병변에 이식된 우회로(ischemia-unrelated graft, 2709개)로 나누어 졌다. 이식편 실패를 평가하기 위한 추적 관상동맥 컴퓨터단층촬영은 담당 의사의 의학적 판단에 따라 실행 되었고, 이식편 실패의 발생률은 per-graft 분석을 통해 환자 내 군집효과를 감안하여 비교 되었다. 결과 5년간의 추적관찰 기간 동안 이식편의 실패는 ischemia-related grafts와 비교 하였을 때 ischemia-unrelated grafts에서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4.2% vs. 2.9%, p=0.003). 다변량 분석에서 역시 MPI 상 가역적 관류 결손 부에 우회로가 이식될 경우, 이식편의 개존에 대한 독립적 예측인자로 나타났다 (adjusted hazard ratio [HR], 0.60; 95% confidence interval [CI], 0.43-0.84; p=0.002). 한편, 주요 심뇌혈관 사건은 ischemia-unrelated graft를 가지고 있는 환자(1284명)와 ischemia-unrelated graft가 없는 환자(1020명)에서 발생률 차이를 보이지 않았고(19.3% vs. 18.0%, p=0.61), 두 군의 상이한 특성을 보정한 이후에도, ischemia-unrelated graft의 존재가 주요 심뇌혈관 사건의 발생과는 무관한 것으로 나타났다 (adjusted HR, 0.88; 95% CI, 0.72-1.08; p=0.22). MPI 상의 가역적 관류결손 심근에 대한 완전 재개통술 이후에, ischemia-unrelated graft를 통한 추가 적인 재개통술은 주요 심뇌혈관 사건의 발생을 예방하지 못했다 (adjusted HR, 1.03; 95% CI, 0.14-7.80; p=0.84) 결론 비 허혈 유발 관상동맥에 대한 우회로 이식은 이식편 실패의 독립적인 예측 인자 였다. 그러나, ischemia-unrelated graft와 연관된 잦은 이식편 실패는 심장 사건의 증가로 이어지지는 않았고, 이러한 이식편들은 미래의 임상사건을 예방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